KR20220014782A - 추락한 작업자 탈출 구조 안전대 - Google Patents

추락한 작업자 탈출 구조 안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782A
KR20220014782A KR1020200095137A KR20200095137A KR20220014782A KR 20220014782 A KR20220014782 A KR 20220014782A KR 1020200095137 A KR1020200095137 A KR 1020200095137A KR 20200095137 A KR20200095137 A KR 20200095137A KR 20220014782 A KR20220014782 A KR 20220014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safety belt
hook
worker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찬
Original Assignee
이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찬 filed Critical 이주찬
Priority to KR102020009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782A/ko
Publication of KR2022001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 등에서 고소작업 중인 작업자가 추락 사고를 당해 허공에 매달려 있을 때, 극심한 공포 와 혈압상승, 떨어질 때 충격으로 인한 압박으로 인해 2차 사고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떨어진 근로자 스스로 위험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원만한 구조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허공에 매달린 상태에서 자세 교정을 통해 압박을 최소화 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함이다.
기술적 수단으로 으로서 본 발명은 훅, 죔줄, 윈치, 윈치에서 인출된 로우프, 안전대로 연결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훅, 죔줄, 윈치, 윈치 와 고정 연결된 안전대의 구성으로 된다. 윈치 작동을 위한 유, 무선 구동버튼 스위치를 사용해 탈출을 도모 할 수 있으며, 자세를 교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안전대 허리 부위에 보호대를 인출하여 다리 사이로 연결을 하여 자세 교정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 과 압박을 줄여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색인어: (1) 훅 (2) 죔줄 (3) 윈치 (4) 로우프 (5) 안전대 (6) 구동버튼스위치 (7) 와이어 등 (8) 보호대 보관 캡 (9) 보호대 (10) 보호대 고정 장치

Description

추락한 작업자 탈출 구조 안전대{crashed worker escape succour safety belt}
본 발명은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 등 에서 고소 작업 시 근로자 추락에 의한 2차사고 예방에 관한 것으로 서 재해자 스스로 안전한 위치 확보 및 신속한 구조 활동을 위한 기능을 가진 안전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립형 위치 조절 안전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주로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 등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 중 추락사고 발생할 시에 허공에 메 달려 구조될 때까지 시간을 지체하게 되면 2차 사고위험에 노출됨에 따라 빠른 구조 활동 및 자립으로 추락원점까지 안전한 위치를 확보하여 사고를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비 특허 문헌자료로는 경기재난 안전본부에서 주관한 2017년 건설현장 타워크레인 안전교육 간행물(16page) 교육자료 내용으로써 안전대를 착용한 근로자가 고소작업 중 추락사고 발생 시 구조가 지연되어 (추락으로 인한 충격 및 정신적 스트레스 안전그네의 압박으로 인한 혈액순환 장해로 쇼크위험 있음.(안전벨트 착용자는 추락 후 5분 이내 안전그네 착용자는 추락 후 15-30분 이내에 쇼크위험 있음) 사망사고 발생 사례에 관한 예를 들고 있다.
또한 실제사고사례를 들어 2016.10.17 타워크레인 연장 작업 중 추락한 작업자가 허공에 매달려 의식을 잃고 쓰러져 사망한 재해 또한 예를 들고 있다.
이와 같은 사고예방의 목적을 가진 종래 기술제품의 경우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작업 시 시작 전에 안전블럭을 연결, 설치하여 안전블럭에서 인출되는 와이어를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에 연결하여 작업하는 방법 과 추락한 작업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용 케이블장치를 사용하여 구조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언급하다시피 작업자가 추락에 의해 몸이 받은 충격과 극심한 공포에서 심혈관에 문제가 생길 위험이 있어 빠른 구조를 해야 하나 최초 신고와 신고 접수 후 구조대 출동해 현장으로 도착하는데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15-30분에 구조시간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이러한 상황에 추락한 작업자가 구조 지연에 따라 안타까운 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현장에서 쓰이는 그네식 안전대 보다 상체식 안전대를 착용한 경우 추락사고 에 의한 재해자 몸에 더욱 충격이 가해지므로 신속히 빠른 구조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험 상황 노출에 대처하기 위하여 충격 과 압박 받는 신체를 자세 교정을 통해 통증을 완화 시키고 또한 재해자 스스로 탈출할 수 있는 안전 구조장치 기능을 기존 안전대에 부합하여 원만한 탈출 과 구조를 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 등에서 추락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고소 작업 중인 작업자가 작업 도중 추락해 허공에 매달려 있는 상황에 노출되게 되면 작업자 스스로가 안전대에 연결 부착된 윈치를 사용하여 위험 상황에서 탈출하는 기능 과 작업자를 빠르고 안전하게 구조 작업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허공에 매달려 근골격계 및 신경계 계통에 2차사고 위험을 야기 할 수 있어 작업자의 매달린 자세를 교정을 통하여 추락에서 받은 압박과 충격을 완화 하는데 또한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고정점이 연결되어진 훅, 훅 과 연결 되어진 죔줄, 죔줄 과 연결된 윈치, 윈치에서 인출된 로우프, 로우프 와 연결된 안전대로 구성을 이룬다. 또한 고정점에 연결되어진 훅, 훅 과 연결되어진 죔줄, 죔줄 과 연결된 윈치, 윈치 와 연결부합된 안전대 로 구성을 이룬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기 안전대 전면에 구동 버튼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어 허공에 매달린 위급 상황 시 재해자 스스로 스위치를 작동하여 상승, 하강하여 탈출을 도모하는 기능을 이루고 있다. 또한 작업자 뒷부분에 부위에 와이어, 로우프 등이 윈치에서 연결되어 추락한 작업자가 자세를 교정하고 보호캡에서 보호대를 인출하여 다리 사이로 연결하여 신체에 주고 있는 압박을 최소화 하는 기능 또한 구성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설현장 및 산업 현장 등에서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안전대에 본 발명은 추락한 작업자가 허공에 매달린 상황에서 스스로 탈출을 도모하거나 구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또한 추락에 의해 충격을 받은 복부 및 근골격계에 압박을 줄이고자 추락한 작업자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그네식 안전대를 착용한 작업자가 추락 후 허공에 매달린 상태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2는 상체식 안전대를 착용한 작업자가 추락 후 허공에 매달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안전대에 연결되어진 훅과 죔줄 윈치 윈치에서 인출된 로우프에 대해 상세히 표현하고자 나타낸 도면이며, 또한 리모컨 작동 스위치에 대해 예시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4는 도2에서 나타난 상체식 안전대를 착용한 작업자가 허공에 매달린 상태에 노출 되었을때 충격을 완화하고자 하는 기능을 도면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도5는 작업자가 착용한 상체식 안전대의 표현을 더욱 상세히 하고자 표현하였고 구체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 할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 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과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나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작업자가 지명하게 부가 할 수 있는 공지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히는 바입니다. 또한 상기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고소 작업 중인 작업자가 그네식 안전대를 착용하고 추락 사고를 당해 허공에 매달려 있을 때 본 발명의 구성요건에 대해 설명하고자 표현한 도면이다. 정확히 표현하면 고정점에 연결된 훅(1), 죔줄(2), 죔줄과 고정 연결된 윈치(3), 윈치에서 인출된 로우프(4), 로우프 와 연결된 안전대(5), 안전대에 부착된 구동버튼스위치(6) 구성으로 추락한 재해자가 리모컨 조작을 통해 윈치가 수직, 하강 작동을 통해 작업자 스스로 안전하게 지면으로 탈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한 구조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표현 하고자 한 것이다.
도2는 상체식 안전대를 착용한 작업자가 추락 사고를 당해 허공에 매달려 있을 때 상황을 나타내고자 한 도면이며, 고정점에 연결된 훅(1), 죔줄(2), 죔줄 과 연결된 윈치(3), 윈치 와 고정 연결된 안전대(5), 그리고 안전대 뒤쪽에 연결된 와이어(7), 와이어와 연결된 윈치(3), 윈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구동 버튼스위치(6) 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체식 안전대의 경우 구동 버튼스위치(6)를 통해 추락원점으로 수직 상, 하강을 할 수 있으며, 추락한 작업자의 불안정한 자세를 구동 버튼스위치(6)를 조작해 자세를 교정함에 따라 몸이 받고 있는 압박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3은 도1의 예시로 나타낸 도면으로 내용을 상세히 표현을 나타내고자 표현한 도면이며, 또 다른 하나는 구동버튼 스위치(6)에 대해서 표현한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 하자면 고정점에 연결된 훅(1), 죔줄(2), 윈치(3), 윈치에서 인출된 로우프(4), 안전대와 (5)연결 구성되어 있으며, 윈치에서 인출된 로우프(4) 와 연결된 안전대(5) 고정과 관련 기존 D링 또는 카라비나, 재봉 등으로 고정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원리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 버튼스위치(6)의 조작을 통해 스스로 탈출하거나 원만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표현 하고자 한 도면이다. 또한 작업자가 추락해 허공에 매달렸을 때 상기에서 언급한 로우프 및 죔줄, 그리고 고정연결구성 및 방법 들은 충분한 강도에 견딜 수 있는 재질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도4는 도2에 나타난 상체식 안전대를 착용한 작업자가 추락 사고를 당했을 때 본 발명의 구성요건 및 작동 과 관련하여 상세히 표현을 하고자 한 도면으로 고정점에 연결된 훅(1), 죔줄(2), 윈치(3), 윈치 와 연결된 안전대(5)로 구성되며, 윈치(3)의 기능에 별도의 윈치가 결합되거나 또는 1개의 윈치가 각기 다른 감김 역할을 구분하여 작동할 수 있다. 그러하기에 별도의 와이어(7)가 인출되어 안전대 뒷부분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구조 기능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5는 상체식 안전대를 착용한 작업자를 표현한 도면으로 전면부분, 후면부분1,2로 나누어 표현한 도면 이다. 전면 부분은 보호대 보관 캡(8)으로 추락 후 허공에 매달려 윈치(3)를 작동 시켜 자세를 교정하기 전 작업자 추락을 예방하기 위해 다리 사이로 보호대를 연결 할 수 있는 기능 을 표현하였다. 또한 전면에 추락한 작업자가 윈치를 작동을 원할 하게 할 수 있도록 전면에 구동버튼스위치(6)를 나타내었다. 후면 부는 안전대 벨트 등 부위에 와이어(7) 가 윈치(3) 와 연결 되어 윈치가 감김으로 자세를 교정하는 원리를 표현 하였고 또한 훅(1), 죔줄(2), 윈치(3) 구성에 대해 상세히 표현한 도면이다. 작업자 등에 고정되어진 와이어(7) 고정방법은 연결 부품인 D링, 카라비나, 재봉 등으로 연결되어 충분한 강도를 가진 모든 것이 해당이 된다. 윈치(3)의 작동 방법 역시 기존에 사용되는 윈치 2개를 연결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부에 표현한 보호대(9)를 후면부에 표기한 다리 사이로 연결해 체결하는 부분에 대해 표현 하였고 또한 추락 후 자세 교정을 통해 안전대에서 신체가 빠질 염려가 있어 다리 사이로 보호대(9)를 연결하여 빠짐 방지 조치에 대해서 표현 하였다. 통상적으로 흔히 가방에서 가슴으로 연결되는 연결 타입, 허리띠 버클타입 등 흔히 사용되는 공지 기술을 말한다. 또한 작업자 신체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비교적 넓은 띠 모양으로 구성되며 내, 외측에는 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쿠션 및 에어쿠션으로 구성이 된다. 이 역시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통상적으로 충분한 강도 및 재질의 모든 방법을 포함을 하고 있다.
윈치는 구동버튼스위치(6)와의 관계에서 원활한 작동을 위해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져야 하며, 추락으로 인해 윈치(3) 와 구동버튼스위치(6) 또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도1에서 훅(1), 죔줄(2) 과 연결 고정된 윈치(3), 윈치에서 인출된 로우프(4)로 로우프 와 안전대(5) 고정 연결 되어진 구조와 도2 훅(1), 죔줄(2), 죔줄 인출되는 윈치(3), 윈치와 고정 연결된 안전대(5)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기능은 통상적으로 천정 형 크레인 자재인양 윈치, 유,무선 리모컨 타입 과 차량 정비소에서 차량 차체를 띄우는 리프트 조종 버튼, 현장에서 자제인양 할 때 쓰이는 윈치 버튼 등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통상적 기술을 말한다. 또한 윈치 안전장치인권과 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등도 역시 포함된다.
구동버튼스위치(6) 는 상기에서 언급 하다시피 유, 무선 연결사용이 가능하며, 사고 위치를 알릴 수 있는 경보음 장치 및 위치 알림 장치도 설치 될 수 있다. 또한 위급상황시 외부 와 연락이 가능한 무전기 기능 역시 포함 되며, 또한 작업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위치를 달리 정하여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구성이 된다. 그리고 비상장치를 작동 시켜 재해자 다리 사이에 착용한 보호대(9)에 에어기능이 장착되어 신체가 받고 있는 압박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역시 장착 되어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고정점에 연결되어있는 훅, 훅 과 연결된 죔줄, 죔줄 과 연결된 윈치, 윈치에서 인출되는 로우프, 로우프 와 연결 부합된 안전대 윈치를 작동하기위한 유, 무선 구동 리모컨 스위치의 구성을 가진 안전대.
  2. 고정점에 연결 되어 있는 훅, 훅 과 연결된 죔줄, 죔줄 과 연결된 윈치, 윈치 와 연결 부합된 안전대,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 무선 구동 리모컨 스위치, 상기 안전대 허리 앞부분에 부착된 보호대 보관 캡이 부착되어 추락 후 자세의 교정 및 추락방지를 위한 보호대를 인출해 허리 뒤쪽에 연결 고정하는 특징을 가진 안전대
  3. 상기 윈치는 추락한 재해자 스스로 조작해 수직 상,하 작동 가능토록 한 기능 과 추락한 작업자 불안전 한 자세를 교정하는 역할을 하는 안전구출장치.
  4. 상기 보호대 보관 캡은 허리 안전대에 고정 연결되어 자세 교정을 위해 인출 시킨 뒤 다리사이로 통과 반대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시켜 안정적 자세를 교정하는 보호대.
  5. 상기 수직 상,하 조절기능 과 자세 교정을 위한 감김, 풀림기능, 비상버튼이 눌려질 경우 보호대에 에어가 부풀려져 압박을 줄여주는 특징을 가진 구동버튼스위치.
KR1020200095137A 2020-07-29 2020-07-29 추락한 작업자 탈출 구조 안전대 KR20220014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37A KR20220014782A (ko) 2020-07-29 2020-07-29 추락한 작업자 탈출 구조 안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37A KR20220014782A (ko) 2020-07-29 2020-07-29 추락한 작업자 탈출 구조 안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782A true KR20220014782A (ko) 2022-02-07

Family

ID=8025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137A KR20220014782A (ko) 2020-07-29 2020-07-29 추락한 작업자 탈출 구조 안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7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460B2 (en) Inflatable protectio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AU2011303473B2 (en) A fall protection system
EP3003504B1 (en) Improvements in rope access equipment
US20170128755A1 (en) Firefighter Breathing Apparatus Pack With Integrated Rescue Equipment
EP2536913A1 (en) A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ho use ladders
KR20220014782A (ko) 추락한 작업자 탈출 구조 안전대
US20160206902A1 (en) Fire escape emergency descent system (eds)
KR20120077503A (ko) 기구(氣球)가 부착된 비상탈출용 낙하산
CN212416703U (zh)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KR102428779B1 (ko) 추락 방지용 안전대
KR102418516B1 (ko) 추락 방지 벨트
CN112618989A (zh) 一种防坠落冲击安全衣
CN111450428A (zh)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KR101403665B1 (ko) 하수관 작업자 안전 구출 시스템
EP3744404A1 (en) Apparatus for anchoring on vertical pilings integrating a device for immediate rescuing
JPH11104257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CN211357502U (zh) 一种防坠器
KR20190133980A (ko) 자립형 길이조절기능 안전대
JP5102472B2 (ja) 安全ベスト
JP3168686U (ja) 安全帯の警報装置
CN211215056U (zh) 一种防坠落安全装置
CN215309821U (zh) 一种防坠落冲击安全衣
CN219662691U (zh) 一种可伸缩式减震防坠安全绳
JP2017074161A (ja) 墜落防止用安全帯
GB2376883A (en) Fall arres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