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749A -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749A
KR20220014749A KR1020200094768A KR20200094768A KR20220014749A KR 20220014749 A KR20220014749 A KR 20220014749A KR 1020200094768 A KR1020200094768 A KR 1020200094768A KR 20200094768 A KR20200094768 A KR 20200094768A KR 20220014749 A KR20220014749 A KR 20220014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completed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tex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749A/ko
Priority to PCT/KR2021/007114 priority patent/WO2022025410A1/ko
Publication of KR2022001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749A/ko
Priority to US18/102,483 priority patent/US202301772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24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FOR RECOMMENDING SEARCH TERM BASED ON CONTENT PROVID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검색을 위해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 검색어의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문자 및 현재 제공 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등에 저장된 개체들(entities) 중 가장 인기가 있는 개체를 추천해주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였다.
다만, 단순히 이러한 방식만을 이용하는 경우, 현재 사용자가 제공받고 있는 컨텐츠(ex. 웹 페이지,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컨텐츠 등)와는 무관한 단어가 검색어로 추천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 반영되지 않은 추천 검색어가 선별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개시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면서도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검색 엔진 서비스 외에 컨텐츠 기반의 검색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별로 각 텍스트에 대응되는 품사를 태깅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상기 입력된 문자로 시작되는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 전까지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상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상기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제1 텍스트 및 제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1 완성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2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완성 텍스트 및 제2 완성 텍스트를 각각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캡쳐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별로 각 텍스트에 대응되는 품사를 태깅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상기 입력된 문자로 시작되는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 전까지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상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상기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제1 텍스트 및 제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1 완성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2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제1 완성 텍스트 및 제2 완성 텍스트를 각각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완성 텍스트의 검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완성 텍스트의 검색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완성 텍스트의 검색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완성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따라 획득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현재 제공 받고 있는 컨텐츠까지도 반영된 사용자 맞춤형의 추천 검색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 내에 포함된 정보가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을 수행하도록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이 제공하는 추천 검색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에 해당할 확률이 높다.
특히, TV 등 문자 입력이 편리하지 않은 전자 장치(ex. 숫자 버튼만 있는 리모컨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 사용자 상황(: 사용자가 보고 있는 컨텐츠)에 맞는 추천 검색어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문자 입력 횟수를 한 번이라도 줄여줄 수 있다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안 검색창을 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 내 복수의 텍스트에 품사를 태깅하고, 기설정된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가 검색을 위한 UI를 통해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가 식별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완성된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및 서버 장치로 구현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그리고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TV로 구현된 전자 장치(1)는 특정한 웹 페이지(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10)는 'GAME of NOON'이라는 영화를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이고, 사용자는 웹 페이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ex. 항목(11))을 선택함으로써 'GAME of NOON'을 시청할 수 있다. 웹 페이지(10) 상에는 컨텐츠의 제목인 'GAME of NOON' 및 컨텐츠에 대한 간략한 설명(: A fantasy masterpiece following the 'GAME of RINGS')이 포함되어 있다.
도 1a에서, 검색창을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b와 같이, 전자 장치(1)는 검색창(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는 검색창(20)과 함께 검색창(20)에 적어도 하나의 문자(letter)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UI(User Interface)(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21).
도 1b를 참조하면, 키보드 UI(21)를 통해 'G' 및 'a'가 순차적으로 입력됨에 따라, 전자 장치(1)는 'Ga'로 시작하는 추천 검색어(search term)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는 'Ga'로 시작하면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웹 페이지(10)와 관련된 완성 텍스트들(: 'Game of Noon'(22-1), 'Game of Noon: season 7'(22-2), 'Game of Rings'(22-3))을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렇듯,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포함하면서도 현재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검색어를 제안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통해서는,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들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V,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지 않는 셋탑박스 또는 데스크탑 PC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TV 또는 모니터 등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 내지는 다양한 User Interface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 내 각각의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시스템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웹 페이지,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이미지, 게임 등 다양한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컨텐츠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의 전자 장치(ex. 셋탑박스, 서버 장치, 콘솔 장치 등)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검색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도 1b와 같이 검색창(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안 검색을 위한 UI를 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는, 전자 장치(100)가 'The Nawoo Runner'라는 제목의 비디오 컨텐츠(310)를 재생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이때, 도 3b를 참조하면, 비디오 컨텐츠(310)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UI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검색창(320) 및 키보드 UI(3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버튼 조작, 터치, 음성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리모컨이나 마우스 등 외부 제어 장치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다만, 도 3b와 달리, 키보드 UI(321)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검색창(320)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렇듯 검색창 및/또는 키보드 UI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검색을 위한 UI'가 표시되는 화면상 위치 내지는 크기 등은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b와 달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자체에 이미 검색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검색 엔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컨텐츠)에 접속해 있는 경우, 이미 검색창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검색창 내지는 검색을 위한 UI를 추가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검색을 위한 UI(320, 321)가 디스플레이되면, 전자 장치(100)는 비디오 컨텐츠(310)를 계속해서 재생할 수도 있고, 또는 일시 정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키보드 UI(321)를 통해 검색창(320)에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검색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구성된 검색어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하거나 또는 외부의 서버 장치를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검색에 따라 획득된 정보(: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면, 제공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completion text)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완성 텍스트는, '완성된 검색어'가 될 수 있는 텍스트로 정의될 수 있으며, 완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 내지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먼저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할 수 있다.
텍스트 코퍼스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텍스트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코퍼스는,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텍스트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코퍼스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 컨텐츠를 홍보하기 위한 텍스트, 컨텐츠를 평가하기 위한 텍스트, 컨텐츠의 검색 결과 텍스트,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개체(장소, 인물, 시간 등)를 나타내는 단어 등 컨텐츠와 관련하여 작성 및 배포되는 다양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코퍼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가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단지 메모리에 저장된 텍스트 코퍼스를 로드하여 텍스트 코퍼스를 간단히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에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가 저장된 경우, 해당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프로세서(120)는 저장된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의 서버 장치가 제공하는 웹 주소를 통해 웹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웹 페이지에 나타난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웹 주소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전자 장치(100)가 웹 주소에 접속해 있는 동안에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에 텍스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20)는 텍스트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를 텍스트 코퍼스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캡쳐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의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서버 장치로부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 상에서 디스플레이(110) 등을 통해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해당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에 기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 상에서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검색을 위한 UI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b를 통해서는, 획득된 텍스트 코퍼스를 이용하여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별로 각 텍스트에 대응되는 품사를 태깅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텍스트 코퍼스(410)를 도시한다. 본 텍스트 코퍼스(410)는 도 3a 내지 도 3b에서 제공되고 있는 비디오 컨텐츠(310)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이다.
도 4b는 품사를 태깅하기 위해 이용되는 품사 태그 정보(450)의 예시(출처: https://cs.nyu.edu/grishman/jet/guide/PennPOS.html)로서, 품사 태그 정보(450) 내에 정의된 품사 정보 및 태그들이 반드시 도 4b와 같이 정의될 필요는 없으며, 이밖에도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가 이용하는 '품사'의 종류는, 언어학적으로 통용되는 품사들 외에 필요에 따라 새롭게 정의된 종류의 품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기호를 의미하는 'SYM' 역시, 필요에 따라서는 특정한 품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술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비디오 컨텐츠(310)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410)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를 구분하고, 품사 태그 정보(450)에 따라 복수의 텍스트 각각에 품사를 태깅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를 띄어쓰기(공백) 및/또는 기호를 기준으로 복수의 텍스트(ex. 어절)로 구분한 뒤 구분된 각 텍스트를 분석(ex. 형태소 분석)하여 텍스트 별로 품사를 태깅할 수 있으나, 품사를 태깅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밖에도 다양한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결과, 'The'(411)는 한정사(determiner)를 의미하는 'DT'(411-1)로 태그되었고, 'Nawoo'(412)는 고유 명사를 의미하는 'NNP'(412-1)로 정의되었다. 마찬가지로, 텍스트 코퍼스(410) 내에 포함된 다른 텍스트들에 대해서도 각각 적어도 하나의 품사가 태깅되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1 품사는, 검색어가 될 수 있는 완성 텍스트의 첫 시작 단어가 될 수 있는 품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제1 품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d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각각 품사가 태깅된 복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들은 'True'로 정의하고, 그 밖의 텍스트들은 'False'로 정의할 수 있다. 즉, 'True'(412-2)로 정의된 텍스트 'Nawoo'(412)의 경우, 완성 텍스트의 시작 단어가 될 수 있는 반면, 'False'(411-2)로 정의된 텍스트 'The'(411)의 경우, 완성 텍스트의 시작 단어가 될 수 없다.
상술한 도 4a 내지 도 4d의 동작들은, 도 3a와 같이 비디오 컨텐츠(3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도 4a 내지 도 4d의 동작들은, 도 3b와 같이 검색을 위한 UI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도 4a 내지 도 4d의 동작들은, 후술할 도 5와 같이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입력됨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검색을 위한 UI 등을 통해)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시작하고 제1 기설정된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 텍스트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는, 비디오 컨텐츠(3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공된 검색을 위한 UI(320, 321)를 통해 문자 'n'(321-1)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태그된 텍스트 코퍼스(410'') 내에서, 입력된 문자 'n'으로 시작하고 기설정된 제1 품사(: True)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n'으로 시작하고 '(고유)명사'(: 기설정된 제1 품사에 포함됨)에 대응되는 텍스트들('Nawoo'(412), 'Nawoo'(422), 'Nawoo'(432))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텍스트로 시작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가 식별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품사 태깅된) 복수의 텍스트 중,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텍스트 및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2 품사는, 검색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 품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제2 품사는 '동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품사 태깅된) 복수의 텍스트 중,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 전까지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텍스트 및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호는, 검색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 기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호는, '.'(마침표(full stop)), ','(쉼표(comm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경우에 따라 ':'(쌍점(colon)), '-'(붙임표(hyphen)) 등의 기호는 기설정된 기호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7a는, 프로세서(120)가,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 또는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나오기 전까지의 텍스트들을 이용하여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410) 상에서 식별된 텍스트 'Nawoo'(412)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텍스트들(: 'Nawoo', 'Runner', 'is', ...)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Nawoo'(412)를 시작으로 '동사'에 대응되는 텍스트인 'is'(414) 전까지의 텍스트들을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 'Nawoo Runner'(710)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410) 상에서 식별된 텍스트 'Nawoo'(422)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텍스트들(: 'Nawoo', 'Runner', ':', 'Trials', ',', ...)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Nawoo'(422)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인 ','(426) 전까지의 텍스트들을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 'Nawoo Runner : Trials'(720)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410) 상에서 식별된 텍스트 'Nawoo'(432)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텍스트들(: 'Nawoo', 'Runner', ':', 'Death', 'Cure', ',', ...)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Nawoo'(432)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인 ','(438) 전까지의 텍스트들을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 'Nawoo Runner : Death Cure'(730)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품사 태깅된) 복수의 텍스트 중,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만,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에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도 7b는 프로세서(120)가 식별된 텍스트로부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410) 상에서 'Nawoo'(412)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5개의 텍스트들('Nawoo', 'Runner', 'is', 'a', '2014')을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 'Nawoo Runner is a 2014'(740)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기설정된 5개의 텍스트들 중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is'(414) 이전까지의 텍스트들('Nawoo', 'Runner')을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 'Nawoo Runner'(740')를 완성 텍스트로 획득할 수도 있다.
이렇듯,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코퍼스 상에서 시작 텍스트로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완성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완성된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시작 텍스트로 식별된 텍스트들(412, 422, 432) 각각으로부터 도 7a의 방식으로 획득된 완성 텍스트들(710, 720, 730)을 추천 검색어들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된 완성 텍스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완성 텍스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완성 텍스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하거나 또는 외부의 서버 장치를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검색에 따라 획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만약 완성 텍스트들 중 하나가 선택되지 않고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추가로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기존에 입력되어 있던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추가된 문자까지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상술한 과정들(: 도 6, 도 7a, 도 7b)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새롭게 획득하여 다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기설정된 제1 품사, 기설정된 제2 품사, 기설정된 기호 등은 전자 장치(100) 내에 저장되어 이용될 프로그램(ex.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과정에서 기정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다만 전자 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 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제공 모듈(121), 검색 모듈(122), 검색어 추천 모듈(123) 등 다양한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모듈들 각각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모듈(121)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로서, 디스플레이(110) 및 후술할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60) 등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검색 모듈(122)은 디스플레이(110) 등을 통해 검색을 위한 UI(검색창, 키보드 UI 등)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모듈(122)은 메모리(130) 내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 장치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검색어 추천 모듈(123)은, 상술한 실시 예들과 같이, 검색을 위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한편, 상술한 모듈들의 구성 및 각각의 기능은 일 예에 불과할 뿐,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외에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 통신 인터페이스(150),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메모리(ex: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다양한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 각각에 대한 텍스트 코퍼스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에는 저장된 텍스트 코퍼스에 대한 품사 태깅 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검색을 위한 UI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 입력된 문자들로 구성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추천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 등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터치, 버튼 조작, 모션, 목소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버튼, 카메라, 마이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Secure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등의 통신 규약(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구현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외부 전자 장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ex.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상술한 유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또는 네트워크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방식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ex. 셋탑박스, 서버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의 서버 장치와 연결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버 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과정이 서버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서버 장치로부터 완성 텍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하여, 구체적인 내용은 도 10을 통해 후술한다.
한편,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제어 장치(ex. 리모컨)의 제어를 받는 TV 등으로 구현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60)는 다양한 컨텐츠를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60)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헤드셋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컨텐츠를 청각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완성 텍스트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및 서버 장치로 구현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서버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문자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200)는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된 완성 텍스트의 검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완성 텍스트의 검색에 대한 요청을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완성 텍스트의 검색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완성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에 따라 획득된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2를 통해서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제어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10). 이때, 컨텐츠는 전자 장치에 기저장된 컨텐츠이거나 또는 외부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S1120).
구체적으로,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시작하면서 컨텐츠와 관련된 완성 텍스트를, 텍스트 코퍼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30).
완성 텍스트가 복수 개 획득된 경우, 복수 개의 완성 텍스트 각각을 복수의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추천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추천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과정(: S1120)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제어 방법은, 먼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할 수 있다(S1210). 이때, 전자 장치에 기저장된 텍스트 코퍼스를 로드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텍스트 코퍼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캡쳐하여 획득된 이미지 내에서 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들로 구성된 텍스트 코퍼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별로 각 텍스트에 대응되는 품사를 태깅할 수 있다(S1220).
만약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입력된 경우, 텍스트 코퍼스 내의 복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검색을 위해 입력된 문자로 시작되는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S1230). 여기서, 제1 품사는, 검색어가 될 수 있는 완성 텍스트의 첫 번째 텍스트가 될 수 있는 품사를 의미하며, 동사, 형용사, 명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S1240). 여기서, 식별된 텍스트로 시작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텍스트 코퍼스 내의 복수의 텍스트 중,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텍스트 및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텍스트 코퍼스 내의 복수의 텍스트 중,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 전까지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식별된 텍스트 및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텍스트 중,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만,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완성 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2 품사는, 검색어에 포함될 수 없는 것으로 정의된 품사로, 일 예로 '동사'가 제2 품사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으나, 다만 다른 방식으로 정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검색을 위해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텍스트가 복수 개 식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검색을 위해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제1 텍스트 및 제2 텍스트를 식별한 경우, 식별된 제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1 완성 텍스트 및 식별된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2 완성 텍스트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된 제1 완성 텍스트 및 제2 완성 텍스트가 각각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한 제어 방법은, 도 2 및 도 9를 통해 도시 및 설명된 전자 장치(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도 11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 및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을 통해 도시 및 설명된 시스템(1000)이 한 가지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 제어기(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프로세서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letter)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completion text)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별로 각 텍스트에 대응되는 품사를 태깅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상기 입력된 문자로 시작되는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 전까지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상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상기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제1 텍스트 및 제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1 완성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2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완성 텍스트 및 제2 완성 텍스트를 각각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캡쳐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텍스트 코퍼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코퍼스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별로 각 텍스트에 대응되는 품사를 태깅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상기 입력된 문자로 시작되는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기설정된 기호 전까지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텍스트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텍스트를 시작으로 이어지는 상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갯수의 텍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제2 품사에 대응되는 텍스트 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제1 품사에 대응되며 상기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제1 텍스트 및 제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1 완성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2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제1 완성 텍스트 및 제2 완성 텍스트를 각각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코퍼스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성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완성 텍스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완성 텍스트를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완성 텍스트의 검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완성 텍스트의 검색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완성 텍스트의 검색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완성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따라 획득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시스템.
KR1020200094768A 2020-07-29 2020-07-29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4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768A KR20220014749A (ko) 2020-07-29 2020-07-29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07114 WO2022025410A1 (ko) 2020-07-29 2021-06-08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8/102,483 US20230177265A1 (en) 2020-07-29 2023-01-27 Electronic apparatus recommending content-based search term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768A KR20220014749A (ko) 2020-07-29 2020-07-29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749A true KR20220014749A (ko) 2022-02-07

Family

ID=8003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768A KR20220014749A (ko) 2020-07-29 2020-07-29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77265A1 (ko)
KR (1) KR20220014749A (ko)
WO (1) WO2022025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7970A (zh) * 2021-04-26 2021-07-2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展示的方法、装置以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768B1 (ko) * 2003-06-12 2005-1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정보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배달정보 제공시스템 및배달정보 제공방법
WO2006003896A1 (ja) * 2004-07-02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検索キーワード統計処理サーバ装置
US8359371B2 (en) * 2007-04-26 2013-01-22 Access Co., Ltd. Input candidate providing device, input candidate providing system, input candidate providing method, and input candidate providing program
KR101092356B1 (ko) * 2008-12-22 2011-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호 정보를 이용한 형태소 품사 태깅 장치 및 방법
US9626429B2 (en) * 2010-11-10 2017-04-18 Nuance Communications, Inc. Text entry with word prediction, completion, or correction supplemented by search of shared corpus
CA2817103C (en) * 2010-11-11 2016-04-19 Google Inc. Learning tags for video annotation using latent subtags
KR101414492B1 (ko) * 2011-06-21 2014-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사문장 검색장치 및 그 검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7265A1 (en) 2023-06-08
WO2022025410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809B1 (ko)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조치 가능한 콘텐츠
RU2632144C1 (ru) Компьютерный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интерфейса рекомендации контента
US116765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169590B2 (ja) 適応的な入力言語切り換え
AU2014327147B2 (en) Quick tasks for on-screen keyboards
US20090048821A1 (en) Mobile language interpreter with text to speech
US9965569B2 (en) Truncated autosuggest on a touchscreen computing device
US20150331557A1 (en) Selector to coordinate experiences between related applications
US201703007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mmarizing multimedia content
US10402470B2 (en) Effecting multi-step operations in an application in response to direct manipulation of a selected object
US9262399B2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conver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5335383B (zh) 输入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US201302980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keyboard for web browser
AU2014201509B2 (en) Selectively activating A/V web page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US20230177265A1 (en) Electronic apparatus recommending content-based search term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750661B (zh) 一种对文本进行选定词句的方法和装置
CN107357481B (zh) 消息展示方法及消息展示装置
US20170097750A1 (en) Execution of parsed commands
WO2016086736A1 (zh) 基于输入法的网站信息提供方法和装置
US20150378530A1 (en) Command surface drill-in control
US9253436B2 (en) Video playback device, video playback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program, video playback control device,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control program
JP5703244B2 (ja) トレース支援装置、トレース支援システム、トレース支援方法、およびトレース支援プログラム
WO2017035953A1 (zh) 输入处理方法、装置、设备及非易失性计算机存储介质
CN115346205A (zh) 一种页面信息的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3008236A (ja) 文書データ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