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549A -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549A
KR20220014549A KR1020200094271A KR20200094271A KR20220014549A KR 20220014549 A KR20220014549 A KR 20220014549A KR 1020200094271 A KR1020200094271 A KR 1020200094271A KR 20200094271 A KR20200094271 A KR 20200094271A KR 20220014549 A KR20220014549 A KR 2022001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ect screen
frame
insec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314B1 (ko
Inventor
조한권
Original Assignee
조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권 filed Critical 조한권
Priority to KR102020009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3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가진 창호 프레임을 하나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집에서 벌레 또는 곤충, 미세먼지 걱정 없이 지낼 수 있는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벌레 곤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기능과 먼지,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진기능을 가지고 있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벌레 또는 곤충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부(100);
먼지 또는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결합하여방진부(200)와 방충부(200)가 결합된 부피를 간소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충부(100)는 패킹 보호부(130)를 구비하여 방충망 삽입틀부(140)에 이물질(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등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와 하 이동틀부(202)의 사이에 이동홈부(203)를 구비하여 프레임부(400)에 구비된 상 이동 프레임부(401) 또는 하 이동 프레임부(402)에 장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를 구비한 형태와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를 구비한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The window frame with the function of both inscet and dust protection}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가진 창호 프레임을 하나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집에서 벌레 또는 곤충, 미세먼지 걱정 없이 지낼 수 있는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방충망은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물로서 건물의 창호 외측에 주로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나, 건물 외부에 노출된 롤 방충망이 미관을 해치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쉽게 오염될 뿐만아니라 빗물 접촉에 따라 부식이 바르게 진행되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근래에 들어서는 창호를 구성하는 문틀이나 창틀 내부에 롤 방충망을 설치하는 추세이다.
특허문헌 0003에는 '개폐 가능한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망 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며 본 특허문헌에 제시된 도 1과 같이, 창호용 틀체(1)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롤 방충망(10)은 권취부재(도면부호 및 도시는 생략함)가 수용된 하우징(11)과, 상술한 하우징 내의 권취부재에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감겨지는 망체(12)와, 상술한 망체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지되 가압 버튼 방식 또는 다양한 구조의 개폐구(13a)를 구비한 핸들바(13)와, 상술한 망체(12) 및 핸들바(13)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4)과,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레일(14) 하부 내측에 부착되는 스토퍼(15)로 구성되고, 롤 방충망을 수용하기 위한 창호용 틀체(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확보된 압출물을 일정 길이 절단한 후 고정편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서 구성되는 것이며, 롤 방충망과 틀체 연결부위(J)는 볼트 내지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와 같이 창호용 틀체 내부 수용공간부에 삽입된 롤 방충망을 볼트로서 고정할 경우 필연적으로 틀체와 롤 방충망 구성품(하우징, 가이드레일, 스톱퍼)에 볼트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공정을 거쳐야 함으로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볼트 체결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함은 물론 부품 교체 및 하자 보수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상당히 좋지 못한 것이다.
자동차 배기가스, 미세먼지, 황사 등에 의해 대기오염이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중의 미세먼지는 전자제품, 기계장치 등에도 악영향을 미치지만, 인간의 신체, 특히 호흡기 질환을 야기하는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05년 악취방지법 제정과 2006년 1월 다중 이용 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 시행과 함께 공기오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건물 내 생활하는 대부분의 재실자들은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쾌적한 실내공기의 환경에서 거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실내 공기 오염방지를 위해 방진망이 제안되고 있는데, 종래의 방진망은 방진망의 목표인 대기먼지, 미세먼지, 황사 등의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며, 방진망의 성능이 나쁘고, 교체주기 등이 짧아서 실용성이 극히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방충망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방진망은 창문이나 출입문 등에 먼지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창틀이다.
이러한 방진망은 대개 원사를 조밀한 그물눈 형태로 직조(織造)한 직물을 프레임에 장착하므로 미세먼지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최근 방진망은 대륙의 사막화로 인해 발생한 황사뿐만 아니라 폐에 흡입되어 폐의 섬유화를 촉진하는 직경 10㎛ 이하의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진망은 프레임에 일단 장착되면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방충망은 실내와 실외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창문을 개방시킴에 따라 환기 시 실내로 벌레, 곤충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방진망은 미세먼지가 심한 경우 방진망을 닫아둠으로써, 실외의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방진망에는 방충망이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방진망을 개방시키면 곤충, 벌레 등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진망은 주택이나 학교 건물에 설치 시 미세먼지가 심한 경우 창문을 열 수 없어 환기를 시킬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0001에는 '롤식 방충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0001에 따른 롤식 방충망 장치는 방충망의 일측이 내부에 탄력적으로 권취되는 롤바디를 구비하고 창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롤방충망 본체, 상술한 롤방충망 본체 반대측에 설치되는 고정기둥, 상술한 롤방충망 본체와 고정기둥 사이의 창틀프레임의 다수 가이드레일 중 어느 한 가이드레일에 고정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 상술한 방충망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술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방충망을 인장하거나 권취하는 무브가이드, 상술한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이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다른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창문 및 상술한 창문의 개폐시 방충망이 연동하여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0002에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방진망이 구비된 창틀'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0002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방진망이 구비된 창틀은 내주면 테두리를 따라 소정 깊이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사각 프레임 형상의 외측창, 외측창의 가이드홈을 따라 삽입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을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고, 외측창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측창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 이동하면서 개폐 가능한 내측창, 외측창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방충망 및 내측창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방진망을 포함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0002에 따른 창틀은 슬라이딩 타입의 샤시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23974호(롤식 방충망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55405호(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방진망이 구비된 창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53205호(개폐 가능한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망 장치)
기존 발명은 방충부와 방진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방진부는 상측에 방진망 보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창문의 외측에 설치되며 이 때 방진부는 실외측에 설치되고 방충부는 방진부의 후방에 결합된 형태이며, 방진망 보관부가 볼록 튀어나와 실내에 설치할 경우 다른 창문에 간섭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이와 같은 간섭을 방지하고자 반대로 설치해야만 했지만 이런 경우에도 사용자가 방진망을 열고 닫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진망의 상 이동틀부에 방진망 보관부를 결합하고 상 이동틀부의 양측면과 하단에 방충망 삽입틀부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기존 발명처럼 평평한 후방측 부분에 방충부를 결합하는 것이 아닌 방진망 보관부와 같은 방향으로 결합되어 부피를 간소화 할 수 있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진망의 상 이동틀부에 방진망 보관부를 결합하고 상 이동틀부의 양측면과 하단에 방충망 삽입틀부를 결합시키는 형태이며 상 이동틀부의 형태변화에 따라 방충망 삽입틀부의 형태를 변화시켜 결합할 수 있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진부의 상 이동틀부에 방진망 보관부를 결합하고 상 이동틀부의 양측과 하단에 방충망 삽입틀부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방진망을 상승시켜 방충망만 사용할 수 있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충망 삽입틀부에 패킹부와 방충망을 결합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노후된 패킹부 또는 방충망부를 제거하여 새로운 패킹부 또는 방충망부를 교체할 수 있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충망과 방진망을 같은 방향으로 결합시켜 앞뒤가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미관상 수려하고 기존 사용하고 있는 창호프레임에 장착하여도 다른 창호프레임에 간섭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에 따라 방충망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방진망을 하강시켜 방충망과 방진망을 둘다 사용할 수 있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벌레 곤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기능과 먼지,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진기능을 가지고 있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벌레 또는 곤충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부(100);
먼지 또는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결합하여방진부(200)와 방충부(100)가 결합되어 방충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결합하여방진부(200)와 방충부(200)가 결합된 부피를 간소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충부(100)는 패킹 보호부(130)를 구비하여 방충망 삽입틀부(140)에 이물질(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등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를 구비한 형태 또는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를 구비한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 또는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와 하 이동틀부(202)의 사이에 이동홈부(203)를 구비하여 프레임부(400)에 구비된 상 이동 프레임부(401) 또는 하 이동 프레임부(402)에 장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를 구비한 형태와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를 구비한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충망과 방진망을 하나로 결합되어 먼지나 꽃가루가 날리는 봄, 가을에도 창문을 열어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쾌적한 내부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진망의 상 이동틀부에 방진망 보관부를 결합하고 상 이동틀부의 양측면과 하단에 방충망 삽입틀부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기존 발명처럼 평평한 후방측 부분에 방충부를 결합하는 것이 아닌 방진망 보관부와 같은 방향으로 결합되어 부피를 간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진망의 상 이동틀부에 방진망 보관부를 결합하고 상 이동틀부의 양측면과 하단에 방충망 삽입틀부를 결합시키는 형태이며 상 이동틀부의 형태변화에 따라 방충망 삽입틀부의 형태를 변화시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진부의 상 이동틀부에 방진망 보관부를 결합하고 상 이동틀부의 양측과 하단에 방충망 삽입틀부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방진망을 상승시켜 방충망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충망 삽입틀부에 패킹부와 방충망을 결합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노후된 패킹부 또는 방충망부를 제거하여 새로운 패킹부 또는 방충망부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충망과 방진망을 같은 방향으로 결합시켜 앞뒤가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미관상 수려하고 기존 사용하고 있는 창호프레임에 장착하여도 다른 창호프레임에 간섭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에 따라 방충망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방진망을 하강시켜 방충망과 방진망을 둘다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과 방진망이 결합된 사시도 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방충망과 방진망이 결합된 사시도 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과 방진망이 결합된 측면도 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패킹보호부를 구비한 방충망과 방진망기 결합된 측면도 이다.
도 1d는 기존발명의 방충망과 방진망이 결합된 측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충망과 방진망을 결합시켜주는 결합막대부가 분리된 사시도 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을 방진망과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패킹부와 방충망부가 분리된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진부의 사시도 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방충망부의 사시도 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부와 패킹부가 결합된 평면도 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와 방충망부의 분리된 평면도 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 결합틀부가 분리된 분리 사시도 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부의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가 형성된 평면도 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부의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망 보관부의 사시도 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망과 방진망 이탈방지부가 분리된 사시도 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망 이탈방지부와 방진망 결합막대부의 사시도 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망 보관부의 측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 체결부의 사시도 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이탈방지 체결부의 저면 사시도 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 체결 결합기둥부의 평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망 고정부의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 결합틀부의 사시도 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체결부의 사시도 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체결 막대결합홈부의 평면도 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 결합틀부의 패킹 결합틀 고정 막대부가 바닥부로 내려온 측면도 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 결합틀 고정 막대부의 위치가 바닥부로 내려온 사시도 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방충망 삽입틀부와 방진망 고정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벌레 곤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기능과 먼지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진기능을 가지고 있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벌레 또는 곤충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부(100);
먼지 또는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이 결합된 창호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창호프레임에 프레임부(4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 또는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충부(100), 방진부(200)를 포함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이 결합된 창호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방충부(100)는 방충망부(110), 패킹부(120),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방충부(100)는 패킹 보호부(130), 막대 삽입틀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충부(100)는 방충망부(110), 방충망 삽입틀부(140), 패킹 보호부(130), 막대 삽입틀부(18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충부(100)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벌레, 곤충 등을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방충망부(110)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벌레, 곤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며 나노 섬유의 필터로 이루어져있다.
상술한 방충망부(110)는 액상의 폴리머(한 종류 또는 수 종류의 구성 단위가 서로에게 많은 수의 화학결합으로 중합되어 연결된 분자 화합물)를 분사하여 결합되어 ‘나노 섬유 필터 망’을 형성하여 벌레, 곤충 등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액상 폴리머는 전기방사법(전기방사는 정전기력에 의해 낮은 점도 상태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섬유형태로 방사하여 생산품을 얻는 방법) 또는 공기압분사법(폴리머를 스프레이통에 가스와 함께 충진 시킨 후, 스프레이를 분사하는 방법)에 의해 방충망부(110)에 결합 되도록 한다.
상술한 폴리머는 작업자가 편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압력에 의해 분사하여 상술한 방충망부(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a에서 보는 것처럼 패킹부(120)는 방충망부(1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 패킹부(121), 좌 패킹부(122), 하 패킹부(123), 우 패킹부(124)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상 패킹부(121)는 방진망 막대결합홈부(262)에 결합되어 방충망부(110)의 상측면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좌 패킹부(122)는 방충망 삽입틀부(140)에 구비된 패킹 결합홈부(144)에 결합되어 방충망부(110)의 좌측면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하 패킹부(123)는 방충망 삽입틀부(140)에 구비된 패킹 결합홈부(144)에 결합되어 방충망부(110)의 하측면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우 패킹부(124)는 방충망 삽입틀부(140)에 구비된 패킹 결합홈부(144)에 결합되어 방충망부(110)의 우측면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패킹부(120)는 방충망부(110)와 함게 패킹 결합홈부(144)에 결합되어 방충망을 형성하여 벌레, 곤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방진부(200)를 설명한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 하 이동틀부(202), 이동홈부(203), 방진망 보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방진부(200)는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e 및 도 3f에서 보는 것처럼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를 구비한 것과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를 구비하지 않은 것 두 가지의 방진부(200)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상 이동틀부(201)는 방진부(200)의 상측면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이동홈부(203)와 하 이동틀부(202)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하 이동틀부(202)는 방진부(200)의 하측면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 이동틀부(201)와 이동홈부(203)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도 3e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 방진망 보관부(260), 방진망 막대결합홈부(262), 고정 체결 막대 결합홈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3e는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가 구비된 결합홈형 상 이동틀부(201)를 보여준다.
도 1d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 발명은 방충부(1)와 방진부(2)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방진부(2)는 상측에 방진망 보관부(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존 발명은 창문의 외측에 설치되며 이 때 방진부(2)는 실외(A)측에 설치되고 방충부(1)는 방진부(2)의 후방에 결합되어 실내(B)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기존 발명의 방진부(2)는 상측에 방진망 보관부(3)가 구비되어 있으며 볼록 튀어나와 상기와 같이 실내(B) 측에 방충부(1)가 설치되는 경우 다른 창문에 간섭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기와 같은 방진망 보관부(3)가 볼록하게 튀어 나온 문제점으로 기존 발명의 방진부(2)를 실내(B) 측 방향으로 설치를 해야하는데 이런 경우 다른 창문의 여닫음에 간섭을 하지 않게 되지만 방충망은 여닫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방진망을 열고 닫을 수 없는 문제점이 추가적으로 발생했다.
상기한 결합홈형 상 이동틀부(201)는 양측면과 하단부에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가 구비되어 각각의 홈에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삽입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킨다.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방충망 삽입틀 고정막대부(141), 방충망 삽입틀 바닥부(143)가 구비되어 있고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에 방충망 삽입틀 바닥부(143)를 삽입시켜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고정할 수 있으며 방충망 삽입틀 고정막대부(141)에 고정 체결부(340)를 결합시켜 더욱 단단히 고정 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를 구비한 방진부(200)는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가 결합된다.
상술한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결합홈형 상 이동틀부(201)의 양측면과 하단에 결합되고 각각의 방충망 삽입틀부(140)에 구비된 패킹 삽입홈부(144)에 좌 패킹부(122), 하 패킹부(123), 우 패킹부(124)를 결합하고 추가적으로 방진망 보관부(260)의 상측면에 구비된 방진망 막대결합홈부(262)에 상 패킹부(121)를 방충망부(110)와 함께 결합하여 방충망을 형성한다.
도 3f에서 보는 것처럼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가 구비된 상 이동틀부(201)는 형태가 변형된 방충망 삽입틀부(140)가 결합되며 형태가 변형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도 7 및 도 7c, 도 7d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또한 도 3f는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가 구비된 결합홈형 상 이동틀부(201)를 보여준다.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가 구비된 상 이동틀부(201)는 양측면과 하단부에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를 통해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고정 체결부(340)를 사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킨다.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방충망 삽입틀 고정막대부(141)가 구비되어 있고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에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방충망 삽입틀부(140)의 하측 끝타단에 구비된 방충망 삽입틀 고정막대부(141)에 체결 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 체결부(340)를 결합시켜 더욱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를 구비한 방진부(200)는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가 결합된다.
상술한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결합홈이 없는 상 이동틀부(201)의 양측면과 하단에 구비된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에 결합되고 각각의 방충망 삽입틀부(140)에 구비된 패킹 삽입홈부(144)에 좌 패킹부(122), 하 패킹부(123), 우 패킹부(124)를 결합하고 추가적으로 방진망 보관부(260)의 상측면에 구비된 방진망 막대결합홈부(262)에 상 패킹부(121)를 방충망부(110)와 함께 결합하여 방충망을 형성한다.
도 7 및 도 7c, 도 7d에서 보는 것처럼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방충망 삽입틀 고정 막대부(141), 패킹 삽입홈부(144), 방충망 삽입틀 바닥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 고정막대부(141)는 양측면에 고정 체결부 관통홈부(142)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방충망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방충망부(110)가 삽입되어 벌레 또는 곤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 기능을 수행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7e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받침부(310), 받침부 결합 막대부(320), 방진망 결합 막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받침부(310)는 상 이동틀부(201)의 내측면에 결합된 형태 또는 상 이동틀부(201)의 하측에 구비된 방충망 삽입틀부(140)와 결합된 형태로 제작 가능하고 이와 같은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앞서 설명한 두 가지 방충망 삽입틀부(140)의 형태와는 또 다른 형태이다.
상술한 받침부(310)는 방충망 삽입틀 고정막대부(141)의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여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상 이동틀부(201)에 나사 또는 피스 등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방진망부(240)가 받침부 결합 막대부(320) 및 방진망 결합 막대부(330)에 걸려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앞서 설명한 바처럼 받침부 결합 막대부(320)는 방진망 손잡이부(210)와 결합되는 역할을 하며 상측에는 받침부 막대 결합홈부(321)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받침부 막대 결합홈부(321)는 하강된 방진망 손잡이부(210)의 끝타단에 구비된 방진망 고정걸이부(211)가 맞물려 방진망부(24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술한 방진망 결합 막대부(330)는 방진망 밀착막대부(220)가 결합되며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진망 결합 상판부(331)와 방진망 결합 하판부(332)를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방진망 결합 막대홈부(333)를 형성하여 방진망 밀착 막대부(220)가 위치가 이탈 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앞서 설명한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와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의 형태와는 다르게 하측에 구비된 방충망 삽입틀부(140)와 방진망 고정부(300)가 결합된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삽입홈이 구비된 상 이동틀부(201)의 하단부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에 결합되고 결합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하 패킹부(123)를 패킹 삽입홈부(144)에 방충망부(110)의 하측면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술한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상 이동틀부(201)의 하단측에 결합되어 구비되고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의 패킹 삽입홈부(144)에 하 패킹부(123)와 결합되고,
또한 양측면에 구비된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에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결합시키며, 상기의 양측에 구비된 방충망 삽입틀부(140)의 패킹 삽입홈부(144)에 좌 패킹부(122), 우 패킹부(124)와 상 이동틀부(201)의 상단부에 구비된 방진망 보관부(260)가 구비한 방진망 막대결합홈부(262)에 상 패킹부(121)를 방충망부(110)과 함께 결합시켜 방충망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술한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양측면에 구비된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와 방진망 보관부(260)에 구비된 패킹 삽입홈부(144)와 방진망 막대결함홈부(262)에 패킹부(120)를 결합하여 방충망을 형성하여 방충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와 방진부(200)에 구비된 방진망 손잡이부(210)가 하강하여 방진망을 형성하고 먼지 또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도 3d에서 보는 것처럼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 고정 막대부(141)는 방충망 삽입틀부(140)의 측면 중앙에 구비되어 있고 방충망 삽입틀 고정홈부(145)에 방충망 삽입틀 바닥부(143)가 삽입되어 방진부(200)에 방충망 삽입틀부(140)가 결합되면 밀착 고정 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고정 체결부 관통홈부(142)는 고정 체결부(340)가 관통 결합하는 홈이며 방충망 삽입틀 고정 막대부(141)의 양측면에 하나씩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술한 고정 체결부(340)는 도 7a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a, 도 3d에서 보는 것처럼 상술한 패킹 삽입홈부(144)는 패킹부(120)와 방충망부(110)가 함께 삽입 되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방충망부(110) 또는 패킹부(120)를 쉽게 결합 또는 해체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 바닥부(143)는 패킹 삽입홈부(144)와 50 ~ 200mm 정도 이격된 거리에 구비되어 있고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 바닥부(143)는 삽입 되지 않는 비삽입형 형태의 방충망 삽입틀부(140)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7c, 도 7d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7 및 도 7c, 도 7d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와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 두 가지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상술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중앙 측면에 방충망 삽입틀 고정막대부(141)를 구비한 것이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이며 하측 끝타단에 방충망 삽입틀 고정 막대부(141)를 구비한 것이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이다.
상술한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인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상 이동틀부(201)에 구비된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에 결합할 수 있는 삽입틀부이고 비삽입형 방충망 십입틀부인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가 구비되지 않은 상 이동틀부(201)에 결합된다.
또한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와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는 방충망 삽입틀 고정 막대부(141)의 위치가 각각 중앙측면에 구비된 것이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
하측 끝 타단에 구비된 것이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로 두 가지의 형태로 구비된다.
도 1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상 이동틀부(201)의 상측면에 방충망 삽입틀부(140)가 결합되는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기존 발명에서 방진부(200)가 바깥쪽에 배치되고 방진부(200)의 평평한 면에 방충부(100)가 결합되어 부피가 증가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더불어 부피를 간소화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방충망부를 형성하는 주요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성형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은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고분자 물질 수지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여 조성한 고분자 물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의 고분자 물질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강도 및 내구성 면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에 수지 강화촉진 조성물을 포함하여 방충망 삽입틀부(140)의 성형과정에서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고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수지 강화촉진 조성물은 고분자 물질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3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한 수지 강화촉진 조성물은 알킬페닐폴리글리콜에테르 100 중량부에 폴리옥시알킬렌화 알킬 에테르 10~20중량부, 폴리옥시알킬렌화 소르비탄 에스테르 10~20중량부, 폴리옥시알킬렌화 에스테르 10~20중량부, 폴리옥시알킬렌화 알킬페닐 에테르 1~5중량부, 에톡실화 아미드 1~5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1~5중량부을 혼합하여 조성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에 증강제를 포함하여 방충망 삽입틀부의 탄성 및 강도를 강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증강제는 고분자 물질 수지 100중량부에 0.1~1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증강제의 일실시로 메타크릴산과 같은 친수성 단량체 100중량부에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진 소수성 단량체 20~80중량부, 메틸렌비스 아크릴아마이드 0.01~0.25 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0.05~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합시킨 증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에 천연 기능 첨가물을 포함하여 방충망 삽입틀부가 고분자 물질 수지인 점에서 환경호르몬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것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한다.
상기한 천연 기능 첨가물은 고분자 물질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0.00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천연 기능 첨가물은 나복자 100중량부에 맥문동 10~40중량부, 생지황 110~150중량부, 지부자 50~80중량부, 백출 100~150중량부, 산조인 10~30중량부, 위령선 80~120 중량부, 천오두 80~120 중량부, 고삼 10~30중량부, 사매 10~30중량부, 선퇴 80~120 중량부, 반하 10~30중량부, 강황 80~120 중량부, 천궁 50~8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기능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5~85%[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 형태로 5~25중량부 정도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부피가 커지는 기존 발명에서 방진부(200)는 후방에 방충부(1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과는 반대로 방진망 보관부(260)가 향하는 방향으로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결합시켜 부피 간소화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에 따라 방충부(100)의 기능만 사용하거나 방충부(100)와 방진부(200)의 두 가지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방충부(100)는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가 구비된 상 이동틀부(201)와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가 구비된 상 이동틀부(201)에 두 가지 형태의 방충망 삽입틀부(140)각각 결합시킬 수 있어 제작자가 제작 형태 변화에 따른 제작 시간의 감축으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와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가 구비된 상 이동틀부(201)에 결합하는 방법 및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와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가 구비된 상 이동틀부(201)를 결합하는 방법은 방충망 삽입틀 고정 막대부(141)와 상 이동틀부(201)를 접촉시켜 나사 또는 피스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7a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고정 체결부(340)는 고정 체결 머리부(341), 고정 체결 머리부(341), 고정 체결해제 좌측홈부(342), 고정 체결해제 우측홈부(343), 고정 체결 기둥부(344), 고정 체결 몸통부(345), 고정 체결 막대부1(346), 고정 체결 막대부2(34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 체결부(340)는 방충망 삽입틀 고정 막대부(141)의 고정 체결부 관통홈부(142)에 결합되어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게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고정 체결 머리부(341)는 고정 체결부(340)를 체결해제를 위한 부분이며 양측에 고정 체결해제 좌측홈부(342), 고정 체결해제 우측홈부(343)가 구비되어 체결해제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 체결해제 좌측홈부(342)와 고정 체결해제 우측홈부(343)에 얇은 도구(핀셋, 일자 드라이버 등)를 집어넣어 체결해제 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 체결 머리부(341)는 고정 하측 중앙면에 고정 체결 기둥부(344)를 구비하여 고정 체결 몸통부(345)와 결합된다.
상술한 고정 체결 기둥부(344)는 고정 체결 머리부(341)보다 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얇은 도구(핀셋, 일자 드라이버 등)가 비집고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고정 체결 몸통부(345)는 상측면에 고정 체결 기둥부(344)가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 체결부 관통홈부(142)에 맞닿는 부분이고 하측 양측면에 고정 체결 막대부1(346), 고정 체결 막대부2(347)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고정 체결 막대부1(346), 고정 체결 막대부2(347)는 후술할 고정 체결 막대 결합홈부(350)와 결합되어 방충망 삽입틀부(140)가 움직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고정 체결 막대 결합홈부(350)는 고정 체결 좌막대 결합홈부(351), 고정 체결 우막대 결합홈부(3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 체결 막대부1(376), 고정 체결 막대부2(377)는 고정 체결 좌막대 결합홈부(351), 고정 체결 우막대 결합홈부(352)에 각각 결합되어 방충망 삽입틀부(140)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
도 2 및 도 3a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패킹 보호부(130)는 방충망 삽입틀부(140)에 먼지 또는 미세먼지, 꽃가루 등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패킹 보호부(130)는 방충망 상 막대결합홈부(160), 방충망 하 막대결합홈부(161), 막대 삽입틀부(180), 막대 삽입홈부(18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방충망 상 막대결합홈부(160)는 방충망 상 결합막대부(150)가 결합되는 홈이며‘ㅜ’자형으로 구비되어 쉽게 결합이 해체되지 않는다.
상술한 방충망 하 막대결합홈부(161)는 방충망 하 결합막대부(151)가 결합되는 홈이며‘ㅜ’자형으로 구비되어 쉽게 결합이 해체되지 않는다.
상술한 막대 삽입틀부(180)는 상술한 패킹 보호부(130)의 양측면에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방충망 좌결합막대부(170), 방충망 우결합막대부(171)를 각각 결합되어 패킹 결합부(13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막대 삽입홈부(181)는 방충망 좌결합막대부(170), 방충망 우결합막대부(17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ㅜ’자형으로 구비되어 쉽게 결합이 해체되지 않는다.
상술한 방진망 밀착 막대부(220)는 도 4 및 도 4a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4 및 도 4a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방진부(200)는 방진망 손잡이부(210), 방진망 결합막대부(230), 방진망부(240), 이탈방지 채결부(250), 방진망 보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방진망 손잡이부(210)는 방진망 고정걸이부(211), 방진망 밀착 막대부(220), 방진망 이탈방지부(221), 방진망 이탈방지 관통홈부(2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방진망 손잡이부(210)는 사용자가 방진망부(24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며 방진망 손잡이부(210)의 끝 타단에는 갈고리 모양의 방진망 고정 걸이부(2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방진망 고정 걸이부(211)는 받침부 막대부(320)에 구비된 받침부 결합 막대홈부(321) 결합하여 방진망부(240)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방진망 밀착 막대부(220)는 상술한 방진망 결합 막대부(330)에 결합되어 방진망부(240)가 바람의 영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방진망 이탈방지부(221)는 방진망부(240)가 하강 시 상 이동틀부(201)의 측면을 따라서 이탈하지 않고 내려갈 수 있게 하며 방진망 이탈방지 관통홈부(222)에 후술할 이탈방지 체결부(250)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상술한 방진망 결합막대부(230)는 후방에 방진망부(240)를 결합하고 있고 전방에 방진망 이탈방지부(221)가 결합되며 추가적으로 이탈 방지부 결합홈부(2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방진망 결합막대부(230)는 하강 시 방진망부(240)와 함께 내려갈 수 있게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방진망 보관부(260)는 상측에 방진망 막대결합홈부(262)가 구비되어 있어 방진망부(240)를 외부 충격 또는 이물질(먼지, 초미세먼지 등)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방진망 막대결합홈부(262)는 상 패킹부(121) 또는 방충망 상 결합막대부(150)가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방진망 고정부(300)는 받침부(310), 받침부 결합 막대부(320), 방진망 결합 막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방진망 고정부(300)는 방진망부(240)가 하강 시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받침부(310)는 상 이동틀부(201)와 결합되어 프레임 하단부의 형상을 하며 받침부 결합 막대부(320)를 통해 방진망부(240)가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받침부 결합 막대부(320)는 방진망 손잡이부(210)와 결합되는 역할을 하며 상측에는 받침부 막대 결합홈부(321)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받침부 막대 결합홈부(321)는 하강된 방진망 손잡이부(210)의 끝타단에 구비된 방진망 고정걸이부(211)가 맞물려 방진망부(24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술한 방진망 결합 막대부(330)는 방진망 밀착막대부(220)가 결합되며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진망 결합 상판부(331)와 방진망 결합 하판부(332)를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방진망 결합 막대홈부(333)를 형성하여 방진망 밀착 막대부(220)가 위치가 이탈 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진망 결합막대부(230)는 이탈방지 연장관통홈부(223), 이탈방지부 결합홈부(231), 방진망 고정결합홈부(232)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어 있고 이탈방지 체결부(250)는 도 5 및 도 5a, 도 5b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상술한 방진망 결합막대부(230)는 방진망부(240), 방진망 이탈 방지부(221), 이탈방지 체결부(250)가 결합하는 부분이고 긴 막대형상을 하고 있으며 결합된 방진망부(240)와 함께 하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고정결합홈부(232)는 방진망 결합막대부(23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방진망부(240)가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승 또는 하강 시 방진망 결합막대부(230)와 함께 움직인다.
상술한 이탈방지 연장관통홈부(223)는 이탈방지 체결부(250)가 관통하는 홈으로 후술할 이탈방지 체결 결합기둥부(270)와 결합하여 방진망 이탈방지부(221)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이탈방지부 결합홈부(231)는 방진망 이탈방지부(221)가 결합되는 홈으로 상측에 천공된 구멍인 이탈방지부 결합홈부(231)를 통해 이탈방지 체결부(250)를 이용하여 방진망 이탈방지부(221)를 고정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방진망 보관부(260)는 내측에 방진망 권취부(2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방진망부(2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방진망 권취부(261)는 방진망이 상승 또는 하강 시 롤링하듯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또는 도 5a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이탈방지 체결부(250)는 이탈방지 체결 머리부(251), 이탈방지 결합 좌측홈부(252), 이탈방지 결합우측홈부(253), 이탈방지 체결 기둥부(254), 이탈방지 체결몸통부(255), 이탈방지 체결 좌측막대부(256), 이탈방지 체결 우측막대부(257), 이탈방지 체결 천공부(25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이탈방지 체결 머리부(251)는 이탈방지 체결부(250)를 체결해제를 위한 부분이며 양측면에 이탈방지 체결해제 좌측홈부(252), 이탈방지 체결해제 우측홈부(253)를 구비하여 홈에 얇은 도구를 집어넣어 해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이탈방지 체결 머리부(251)는 이탈방지 체결 몸통부(255)와 연결할 수 있는 이탈방지 체결 기둥부(25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술한 이탈방지 체결 기둥부(254)는 이탈방지 체결 머리부(251)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되어 양측면에 체결해제 도구가 비집고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부분이다.
상술한 이탈방지 체결 몸통부(255)는 하측 양측면에 이탈방지 체결 좌측막대부(256), 이탈방지 체결 우측막대부(257)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술할 이탈방지 체결 결합기둥부(270)에 결합된다.
도 5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이탈방지 체결결합기둥부(270)는 체결 결합기둥홈부(2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이탈방지 체결 결합기둥부(270)는 체결 결합기둥홈부(271)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결 결합기둥홈부(271)는 상술한 이탈방지 체결 좌측막대부(256), 이탈방지 체결 우측막대부(257)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이탈방지 체결부(250)는 체결수단 중 하나인 볼트(미도시), 너트(미도시)로 대체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부(400)는 상 이동 프레임부(401), 하 이동 프레임부(402), 상 이동프레임 보호부(410), 하 이동 프레임 보호부(411)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상 이동 프레임부(401)와 하 이동 프레임부(402)는 상술한 방진부(200)에 구비된 이동홈부(203)가 결합되어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이 움직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 이동 프레임 보호부(410)와 하 이동 프레임 보호부(411)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을 보호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이외의 창문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부서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방진망과 방충망이 결합된 창호프레임은 먼지, 벌레, 모래, 곤충 등으로 부터 사용자들을 보호하며 내부에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어, 판매, 유통, 연구 산업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과는 다르게 걸름부와 보호틀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교체 또는 장착할 수 있어 판매, 유통, 연구 산업에 유용하다.
100: 방충부 110: 방충망부
120: 패킹부 121: 상 패킹부
122: 좌 패킹부 123: 하 패킹부
124: 우 패킹부
130: 패킹 보호부 140: 방충망 삽입틀부
141: 방충망 삽입틀 고정 막대부 142: 고정 체결부 관통홈부
143: 방충망 삽입틀 바닥부 144: 패킹 삽입홈부
145: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 145-1: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
150: 방충망 상 결합막대부 151: 방충망 하 결합막대부
160: 방충망 상 막대결합홈부 161: 방충망 하 막대결합홈부
170: 방충망 좌 결합막대부 171: 방충망 우 결합막대부
180: 막대 삽입틀부 181: 막대 삽입홈부
200: 방진부 201: 상 이동틀부
202: 하 이동틀부 203: 이동홈부
210: 방진망 손잡이부 211: 방진망 고정걸이부
220: 방진망 밀착 막대부 221: 방진망 이탈방지부
222: 이탈방지 관통홈부 223: 이탈방지 연장관통홈부
230: 방진망 결합막대부 231: 이탈방지부 결합홈부
232: 방진망 고정결합홈부 240: 방진망부
250: 이탈방지 체결부 251: 이탈방지 체결 머리부
252: 이탈방지 체결해제 좌측홈부 253: 이탈방지 체결해제 우측홈부
254: 이탈방지 체결 기둥부 255: 이탈방지 체결 몸통부
256: 이탈방지 체결 좌측막대부 257: 이탈방지 체결 우측막대부
258: 이탈방지 체결 천공부 260: 방진망 보관부
261: 방진망 권취부 262: 방진망 막대결합홈부
270: 이탈방지 체결 결합기둥부 271: 체결 결합기둥홈부
300: 방진망 고정부 310: 받침부
320: 받침부 결합 막대부 321: 받침부 결합 막대홈부
330: 방진망 결합 막대부 331: 방진망 결합 상판부
332: 방진망 결합 하판부 333: 방진망 결합 막대홈부
340: 고정 체결부 341: 고정 체결 머리부
342: 고정 체결해제 좌측홈부 343: 고정 체결해제 우측홈부
344: 고정 체결 기둥부 345: 고정 체결 몸통부
346: 고정 체결 막대부1 347: 고정 체결 막대부2
350: 고정 체결 막대 결합홈부 351: 고정 체결 좌막대 결합홈부
352: 고정 체결 우막대 결합홈부 400: 프레임부
401: 상 이동 프레임부 402: 하 이동 프레임부
410: 상 이동프레임 보호부 411: 하 이동 프레임 보호부

Claims (4)

  1. 벌레 곤충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기능과 먼지,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진기능을 가지고 있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벌레 또는 곤충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부(100);
    먼지 또는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부(140)를 결합하여방진부(200)와 방충부(100)가 결합되어 방충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에 방충망 삽입틀 결합홈부(145)를 구비한 형태 또는 방충망 삽입틀 평상결합부(145-1)를 구비한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한 방충망 삽입틀부(140)는 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 비삽입형 방충망 삽입틀부(140) 또는 고정형 방충망 삽입틀부(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술한 방진부(200)는 상 이동틀부(201)와 하 이동틀부(202)의 사이에 이동홈부(203)를 구비하여 프레임부(400)에 구비된 상 이동 프레임부(401) 또는 하 이동 프레임부(402)에 장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20200094271A 2020-07-29 2020-07-29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2643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71A KR102643314B1 (ko) 2020-07-29 2020-07-29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71A KR102643314B1 (ko) 2020-07-29 2020-07-29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49A true KR20220014549A (ko) 2022-02-07
KR102643314B1 KR102643314B1 (ko) 2024-03-05

Family

ID=8025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271A KR102643314B1 (ko) 2020-07-29 2020-07-29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3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05A (ko) * 2001-09-03 2003-03-08 박희평 방충과 방진기능을 겸한 창호시스템
KR101855405B1 (ko) 2017-11-24 2018-05-04 주식회사 진테크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방진망이 구비된 창틀
KR101923974B1 (ko) 2016-09-22 2018-11-30 오철근 롤식 방충망 장치
KR102053205B1 (ko) 2018-12-26 2019-12-06 정태산 개폐 가능한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05A (ko) * 2001-09-03 2003-03-08 박희평 방충과 방진기능을 겸한 창호시스템
KR101923974B1 (ko) 2016-09-22 2018-11-30 오철근 롤식 방충망 장치
KR101855405B1 (ko) 2017-11-24 2018-05-04 주식회사 진테크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방진망이 구비된 창틀
KR102053205B1 (ko) 2018-12-26 2019-12-06 정태산 개폐 가능한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314B1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08000699B4 (de) Schieberahmen für Fenster und Türen mit anbringbaren und lösbaren Schienen
KR101911817B1 (ko) 이중 방충망 창호
DE29923250U1 (de) Form- oder Beschichtungsmaterial
DE102005021370A1 (de) Anordnung zum Aufhängen von Gegenständen
KR20220014549A (ko) 방충 기능과 방진 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DE60305834T2 (de) Verbundstruktur und Beschichtungskammer für Pulverbeschichtungsanlagen
DE102007013549B4 (de) Tür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763617A1 (de)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raumbereichen eines raumes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DE202006020885U1 (de) Schutzvorrichtung zur Verhinderung des Eindringens von Insekten, Pollen u.dgl.
KR102420725B1 (ko) 프로젝트창의 양개형 롤 방충망
KR102118111B1 (ko) 초미세먼지 방지용 나노 방진망을 설치한 창호용 설치구조
CN210564301U (zh) 一种带有棘轮锁绳机构的折叠纱窗
JP2005264450A (ja) 防花粉兼用網戸
DE102005003887A1 (de) Montagevorrichtung
EP1008390A1 (de) Einrichtung zur Reinigung der Luft von Pollenstaub und dergleichen
KR102235214B1 (ko) 미세먼지 방충망 설치구조
KR102133948B1 (ko) 창호 프레임 및 그 시공방법
DE202011004896U1 (de) Verbund aus Leuchtmittel tragenden Verbundelementen, Bolzenelement, Aufnahme und Verbindungsglied dafür sowie Verbindungselementsatz
EP0764255B1 (de) Gerätegehäuse für klimageräte
CH703370A2 (de) Insektenschutz für Fenster oder Türen.
EP1375771B1 (de) Lichtdurchlässiges Deckensystem
KR200216456Y1 (ko) 복합기능창
CN219864658U (zh) 一种轨道式纱窗
KR200465297Y1 (ko) 방충망 보수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