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039A -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4039A KR20220014039A KR1020200093606A KR20200093606A KR20220014039A KR 20220014039 A KR20220014039 A KR 20220014039A KR 1020200093606 A KR1020200093606 A KR 1020200093606A KR 20200093606 A KR20200093606 A KR 20200093606A KR 20220014039 A KR20220014039 A KR 202200140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hutter door
- door
- light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4725 window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외부인의 무단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폐가 원활해지도록 한 수배전반의 스프링 셔터에 의한 수동조작 및 전동모터에 의한 자동제어가 가능한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는 수배전반 함체(10)내부의 전면부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응시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과, 상기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수배전반의 개폐를 위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셔터도어(20)와, 상기 셔터도어의 상부 선단에 결합되어 셔터도어의 상향 이동 및 와인딩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도어 오픈을 촉진시키는 수배전반 함체 상부의 코일스프링(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는 수배전반 함체(10)내부의 전면부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응시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과, 상기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수배전반의 개폐를 위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셔터도어(20)와, 상기 셔터도어의 상부 선단에 결합되어 셔터도어의 상향 이동 및 와인딩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도어 오픈을 촉진시키는 수배전반 함체 상부의 코일스프링(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등과 같은 각종 함체형 전기설비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배전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수배전반의 설치현장에서 유지보수공간의 확보가 유리하며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등과 같은 각종 함체형 전기설비의 도어장치는 함체의 모서리 부분을 힌지축으로 하는 외문형 또는 양문형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배전반 등을 건물 내부에 설치할 때 필수 소요면적의 계산은 해당 수배전반 등에 설치된 모든 도어의 최대 오픈상태를 기준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것은 해당 수배전반 등의 도어 오픈 및 클로즈시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정검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배전반 등의 전기설비를 비교적 설치공간 및 설치면적에 있어 자유도가 높은 실외 설치의 경우와는 달리 건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그 전기설비에 마련된 여닫이 방식의 도어는 해당 설비의 설치공간 증가를 초래하여 건물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방해한다.
특히, 수배전반 등의 도어를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보통 그 함체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는 힌지는 도어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하는 회전축의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여기에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을 위한 열림각도별 스토퍼 장치를 별도로 부가할 수 있다.
이것은 해당 수배전반 등의 정비 점검 및 유지 보수시 오픈된 도어가 주위의 바람 등에 의해 자신의 열림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열림과 닫침을 반복하는 등의 작업자의 작업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므로 수배전반 등의 제품원가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등과 같은 각종 함체형 전기설비에 상, 하향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스프링 셔터도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그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수배전반에 대한 외부인의 무단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수배전반 함체(10)내부의 전면부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응시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과; 상기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수배전반의 개폐를 위한 모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셔터도어와; 상기 셔터도어의 상부 선단에 결합되는 와인딩축(36)과, 상기 와인딩축에 마련된 와인딩기어(35)와; 상기 와인딩 기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어(33,34) 및 이에 결합된 구동기어(32)와; 외부의 도어 개폐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에 정역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수배전반 함체 일단에 설치되며 수배전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처리하여 저감시키는 오염저감장치(2000)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저감장치(2000)는, 원통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통 파이프 형태로서 외부 동력에 의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입력관(2100)과;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기 동력에 의해서 에어를 이송시키는 펌프장치(2200)와; 상기 에어 입력관이 상부로 연결되어 에어를 입력받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에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출력시키는 에어 출력관(2500)과; 상기 에어 출력관(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에어 출력관을 통과한 에어가 내측 공간부에서 사방으로 튀면서 퍼지도록 하는 용기 형태의 확산실(2600)과; 상기 에어 입력관에 연결되어 외부 오염공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모터 입력관(2700)과; 상기 확산실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최종 출력라인(2800)과; 상기 최종 출력라인(2800)에 설치되며, 오염인자를 검출하고 처리하는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설치하되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며 흐르는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오리형 패널(2330)은, 에어가 입력되는 입구의 너비는 크게 형성하고, 에어가 출력되는 출구의 너비는 입구의 너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는, 상기 최종 출력라인의 일단에 설치되어 오염공기 채크를 위해 광을 투사하는 발광소자(2)와; 상기 발광소자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광소자의 광을 수신받아 출력라인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광소자(3)와; 상기 수광소자(3)의 발광량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와; 상기 수광소자(3)의 일축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보정부(7)와;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는,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를 갖고 먼지의 유입을 검지하는 포토센서(5)와;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반전증폭시키는 인버터부(6)와;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읽어들여 먼지의 유입량을 검출하고, 수광소자의 콜렉터전압에 따라 발광소자의 광량을 조절할 수있도록 펄스듀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8)와; 상기 제어부(8)의 출력신호에 의해 포토센서(5)인 발광소자(2)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8a)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전을 출력하는 코로나 방전소자(9)를 포함하고; 상기 광량조절부(8a)는, 상기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제어부(8)의 출력 펄스를 평활시키는 평활회로(9),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전원을 분압하는분압저항(R3)(R4)이 병렬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등과 같은 각종 함체형 전기설비에 셔터도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그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가 마련된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가 마련된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에 내부투시용 투시창이 마련된 또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에 투시창이 마련된 또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도어 일부오픈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동개폐식 스프링 셔터도어의 상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개폐식 셔터도어의 정역회전 구동모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셔터도어 자동개폐장치에 적용가능한 도어개폐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오염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코로나 방전수단 설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가 마련된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에 내부투시용 투시창이 마련된 또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에 투시창이 마련된 또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도어 일부오픈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동개폐식 스프링 셔터도어의 상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개폐식 셔터도어의 정역회전 구동모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셔터도어 자동개폐장치에 적용가능한 도어개폐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오염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코로나 방전수단 설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가 마련된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가 마련된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에 내부투시용 투시창이 마련된 또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개폐식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에 투시창이 마련된 또 다른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도어 일부오픈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동개폐식 스프링 셔터도어의 상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개폐식 셔터도어의 정역회전 구동모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셔터도어 자동개폐장치에 적용가능한 도어개폐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오염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코로나 방전수단 설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 1은 본 발명에의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가 마련된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로서, 수배전반 함체(10)의 전면부 내측 양쪽 가장자리에는 수직방향의 평행한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을 설치하고, 이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12) 사이에는 셔터도어(20)를 설치하여 수배전반의 도어개폐를 위한 외력에 의해 상기 셔터도어(20)가 제1,2사이드 가이드레일(11, 12)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여 함체의 상부의 코일스프링(26)에 와인딩 및 릴리스되게 설치한다.
상기 셔터도어(20)는 이 셔터도어의 원활한 상향 이동 및 하향 이동과 수배전반 함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26)에서의 와인딩 및 릴리스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수평도어셀(22)로 구성한다.
도 2는 도 1에서 보인 수배전반의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를 좌, 우로 분리한 것으로 이들 좌셔터도어(20-1)와 우셔터도어(20-2)의 사이에는 좌, 우 셔터도어를 지지하면서 가이드해 주기 위한 센터가이드레일(13)을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12)사이에 추가로 마련한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셔터도어의 상부에는 도어개폐시 셔터도어를 와인딩하고 릴리스하기 위한 코일스프링(26)이 상기 좌셔터도어(20-1)와 우셔터도어(20-2)마다 각각 설치된다.
도 3은 분할 스프링 셔터 도어장치에 내부투시용 투시창이 마련된 고저압 일체형 수배전반을 보이고 있고,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보인 수배전반의 도어 일부 오픈상태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는 수배전반의 좌셔터도어(20-1)와 우셔터도어(20-2)의 중앙부위에 내부 투시를 위한 투명의 윈도우(21-1,21-2)를 각각 장착한 것과 그리고 수배전반의 도어오픈에 따른 좌셔터도어(20-1)와 우셔터도어(20-2)의 동작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상기 윈도우(21-1,21-2)도 수평도어셀(22)과 마찬가지로 여러개의 윈도우셀의 집합을 통하여 구성되고 있다.
즉, 도 5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윈도우(21-2)는 셔터도어(20-2)를 이루는 수평도어 셀(22)의 중간에 윈도우 셀 포켓(23)을 만들고 이 윈도우 셀 포켓에 투명재로 제작된 윈도우 셀(24)을 장착시키고 있다 또한 동일한 사이즈의 윈도우 셀(24)이 장착된 수평도어 셀(22)을 인접배열시켜 윈도우 셀들의 조합을 통한 수배전반 내부투시용 윈도우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터 구동계의 실시예로서, 위에서 설명한 수동식 수배전반 셔터도어 장치를 기반으로 한 전동개폐식 셔터도어 자동개폐를 위한 정역회전 구동모터 동력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수배전반 함체(10)의 일측에 고정될 고정판(30)에 정역회전제어되는 구동모터(31)를 장착하되, 상기 고정판(30)을 관통하는 정역회전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32)를 고정하고, 상기 구동기어(32)에 나타나게되는 정역회전동력은 전달기어(33,34)를 통하여 상기 셔터도어를 와인딩하거나 또는 릴리스하기 위한 와인딩축(36)상에 마련된 와인딩기어(35)로 전달되게 구성한다.
상기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31)는 수배전반의 전면도어 일측이나 측면부에 마련될 수 있는 셔터도어 슬라이딩 개폐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통상의 정역제어회로를 통하여 작동하게 구성한다 상기 도어개폐스위치는 좌측 셔터 슬라이딩 도어와 우측 셔터 슬라이딩 도어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회로배선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좌, 우측 셔터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독립적 회로배선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셔터도어 자동개폐장치에 적용가능한 도어개폐 제어회로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콘트롤러(40)에는 정전센서(44), 화재센서(45) 등을 포함하는 사고감지부(43)의 사고감지신호와 번호키패드(46)로부터의 도어오픈을 위한 비밀번호신호가 입력되게 연결하고, 이 콘트롤러(40)에서 처리되어 생성되는 알람신호와 모터구동신호는 각각 알람부(56)와 모터구동부(55)를 제어하게 연결한다.
상기 콘트롤러(40)는 사고판별 레퍼런스 데이터 메모리(41)와 인증데이터 메모리(42)를 포함하며, 상기 사고감지부(43)와 번호키패드(46)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각각 사고판별 레퍼런스 데이터 메모리(41)와 인증데이터 메모리(42)의 정보에 비교하는 것으로 이상상태 경고용 알람 제어신호와 도어 개폐용 구동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콘트롤러(40)에는 수배전반 셔터도어의 개폐를 위한 인증번호 생성용 번호키패드(46) 대신, 적외선을 캐리어로 사용하는 원격제어용 IR수신부(47) 및 IR리모콘(51)이나, 또는 무선주파수를 캐리어로 사용하는 원격제어용 RF수신부(48) 및 RF리모콘(52)이나, 또는 통상의 도어록에 적용되는 ID칩리더(49) 및 동전형 ID칩키(53)이나, 또는 비접촉식 무선인식 기능을 갖는 RF카드리더(50) 및 RF카드(54)를 이용하여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또는 원격방식으로 수배전반 셔터도어 개폐를 위한 인증번호가 콘트롤러(40)에 입력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번호키패드(46)는 도면상 그 설치위치를 특정하고는 있지 않으나, 통상 슬라이딩 방식의 셔터도어의 손잡이 부근이나 그 도어와 인접한 가까운 측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ID칩리더(49) 또는 RF카드리더(50)를 번호키패드(46)에 대신하여 셔터방식 슬라이딩 도어 개폐를 위한 인증키 생성장치로 사용할 경우에 그 설치위치는 상기 번호키패드(46)의 설치위치와 동일하게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번호키패드(46) 대신 IR수신부(47) 또는 RF수신부(48)를 설치하게 될 경우, 이들 장치에 필요한 IR수신부 또는 RF안테나의 설치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 수배전반 정면 도어의 헤드부분에 노출시켜 설치한다.
여기서 도면상 점선표시의 IR수신부(47), RF수신부(48), ID칩리더(49) 및 RF카드리더(50)는 번호키패드(46)에 대체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정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수배전반 함체(10)의 셔터도어(20 또는 20-1 또는 20-2)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셔터도어의 손잡이를 들어올리게 되면 다수의 수평도어 셀(22)로 이루어진 셔터도어(20)는 수배전반 함체(10) 내부의 전면 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내에서 상향 이동하게 되며, 이때 코일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의 수평도어 셀부터 상기 코일스프링에 와인딩된다.
마찬가지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수배전반 함체(10)의 도어가 좌,우 셔터도어(20-1,20-2)로 분리된 경우에는 제1사이드가이드레일(11)과 센터가이드레일(13)사이 및 센터가이드레일(13)과 제2사이드가이드레일(12)사이에서 상기 좌, 우 셔터도어(20-1,20-2)가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26)에 와인드되어 도어오픈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코일스프링의 릴리스를 통한 도어 클로즈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코일스프링을 축으로 한 셔터도어의 와인딩 및 릴리스는 코일스프링 자체의 복원력 및 인장력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수배전반 도어의 개폐를 위한 셔터도어(20, 20-1,20-2)의 와인딩 및 릴리스 도중 외력을 제거하면 셔터도어는 가이드레일과의 사이에 형성된 마찰저항에 의해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정비 점검 작업자는 수배전반 도어의 열림 정도를 원하는 만큼으로 손쉽게 정할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여닫이 방식의 도어와 같이 열림각도 설정을 위한 별도의 스토퍼장치 등의 부가를 필요 없게 한다.
또한 상기 셔터도어는 도어 오픈시 셔터도어 몸체가 수배전반 함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6)의 몸통에 와인딩되므로 기존의 여닫이 방식의 도어 오픈시와는 달리 별도의 도어 오픈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는 수배전반 등의 건물내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하면서 외부인에 의한 수배전반설비에 대한 무단접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또한 손쉬운 수배전반도어의 손쉬운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셔터도어를 이루는 각 수평도어셀(22)중 일부의 수평도어셀 중간부위에 투명재의 윈도우셀(24)을 삽입 장착하고, 이들 윈도우셀(2)을 일정한 높이와 사이즈와 다수개 연속 배열시키는 것을 통하여 셔터도어(20-1,20-2) 상에 윈도우(21-1,21-2)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셀 조합타입의 윈도우 장치는 셔터도어가 수배전반내부의 코일스프링에 와인딩되고 릴리스될 때 셔터도어(20)의 슬라이드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것은 평상시에 수배전반의 셔터도어를 열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수배전반의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동제어방식의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배전반 함체(10)의 셔터도어(20)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셔터도어의 오픈을 위해 선택스위치(도시생략)를 조작하게 되면 구동모터(31)의 정회전구동에 따른 와인딩축(36)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다수의 수평도어 셀(22)로 이루어진 셔터도어(20)가 상기 와인딩축(36)에 와인딩된다.
이에 셔터도어(20)는 수배전반 함체(10) 내부의 전면부 양쪽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12)을 따라 상향 이동하여 수배전반의 도어가 오픈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수배전반 함체(10)의 도어가 좌,우 셔터도어(20-1,20-2)로 분리된 경우에는 제1사이드가이드레일(11)과 센터가이드레일(13)사이 및 센터가이드레일(13)과 제2사이드가이드레일(12)사이에서 상기 좌, 우 셔터도어(20-1,20-2)가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면서 와인딩축(36)에 와인드되어 도어오픈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릴리스에 의해 통한 도어 클로즈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어오픈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모터블록의 구동모터(31)가 셔터도어(20)를 오픈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이 회전력은 구동기어(32) 및 전달기어(33,34)를 통해 와인딩기어(35)로 전달되므로 이 와인딩기어(35)의 중앙에 마련된 와인딩축(36)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와인딩축(36)의 회전에 의해서 셔터도어(20)는 와인딩되어 결국 수배전반의 셔터도어는 오픈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개폐스위치를 도어 닫침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는 직전의 구동방향과 반대의 구동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인딩기어(35)의 와인딩축(36)에 와인딩된 셔터도어(20)를 릴리스시켜 줌으로써 도어 닫침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셔터도어의 전동식 개폐는 수배전반 점검 및 보수 작업자가 도어의 개폐량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여닫이 방식의 도어에서와 같이 열림각도 설정을 위한 별도의 스토퍼장치 등이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원격 또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또는 키잉 방식을 통하여 수배전반 셔터도어의 전동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 참고되는 것처럼, 수배전반의 도어장치에 보안수단으로서 번호키패드(46)를 장착시킨 경우, 이 번호키패드(46)를 조작하여 콘트롤러(40)에 도어오픈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콘트롤러(40)는 이를 인증데이터 메모리(42)에 등록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 모터구동부(55)에 셔터도어의 오픈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31)의 구동에 따른 수배전반의 전동식 도어 오픈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번호키패드(46)에 대신하여 IR수신부(47)와 IR리모콘(51)를 수배전반 도어개폐 보안수단으로 적용한 경우에, 수배전반 관리자 및 작업자가 IR리모콘(51)을 조작하여 사전에 등록시켜놓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면 이 IR신호는 IR수신부(47)를 통하여 콘트롤러(40)에 입력되고 이에 콘트롤러는 입력되는 IR신호의 정보 값을 인증데이터 메모리(42) 값과 비교하는 것으로, 권한을 가진자의 IR리모콘 조작 명령에 따라 구동모터(31)를 통한 전동식 수배전반 셔터도어의 오픈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수배전반의 도어개폐 보안수단으로서 상기 번호키패드(46)에 대신하여 RF수신부(48)와 RF리모콘(52), 또는 ID칩리더(49)와 ID칩키(53), 또는 RF카드리더(50)와 RF카드(54)를 이용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또는 원격방식으로 수배전반 셔터도어를 개폐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일어난다.
이들 RF수신부(48)와 RF리모콘(52), ID칩리더(49)와 ID칩키(53), RF카드리더(50)와 RF카드(54)는 도어개폐를 위한 인증데이터(비밀번호)를 콘트롤러(40)에 전송하는 캐리어(RF 또는 IR 등)방식에 있어 위에서 설명한 번호키패드 방식과는 다소 다를 뿐, 리모콘이나 ID키 또는 RF카드 등을 이용하여 수배전반 셔터도어 개폐를 위한 비밀번호를 콘트롤러(40)에 전달하여 인식시키는 기술적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수배전반 셔터도어의 개폐 제어수단으로서 IR수신부(47)와 IR리모콘(51)을 적용한 경우 IR리모콘(51)의 원격제신호는 적외선을 캐리어로하여 IR수신부(47)를 거쳐 상기 콘트롤러(40)에 입력되게 되고, 수배전반 셔터도어의 개폐 제어수단으로서 원격제어용 RF수신부(48)와 RF리모콘(52)을 적용한 경우 RF리모콘(52)의 원격제신호는 무선주파수를 캐리어로하여 RF수신부(48)를 거쳐 상기 콘트롤러(40)에 입력되게 되고, 수배전반 셔터도어의 개폐 제어수단으로서 통상의 도어록에 적용되는 ID칩리더(49)와 동전형 ID칩키(53)을 적용한 경우 ID칩키(53)에 저장된 비밀번호는 접촉방식으로 ID칩리더(49)를 거쳐 상기 콘트롤러(40)에 입력되게 되고, 비접촉식 무선인식 기능을 갖는 RF카드리더(50)와 RF카드(54)를 적용한 경우 RF카드(54)에 수록된 데이터는 전자유도 방식으로 RF카드리더(50)를 거쳐 상기 콘트롤러(40)에 입력되게 되어,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원격 또는 직접 조작에 따라 수배전반 셔터도어의 전동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배전반 내에서의 이상상태 발생시 콘트롤러(40)는 모터구동부(55)에 슬라이딩 방식의 셔터도어를 자동 오픈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은 수배전반 내부에서의 화재발생이나 정전사고발생과 같은 비상사태의 경우, 이러한 비상사태는 수배전반의 보안유지에 우선하므로 셔터도어를 자동 오픈시켜 누구나 소화기 등으로 비상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수배전반 내의 상황이 비상사태 조건인지 여부는 콘트롤러(40)로 입력되는 사고감지부(43)내의 정전센서(44), 화재센서(45)의 센싱신호를 변환처리한 다음 콘트롤러내 사고판별 레퍼런스 데이터 메모리(41)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즉 화재사고나 정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콘트롤러(40)에서는 비상경고를 위한 알람발생신호를 알람부(56)에 출력한다 또 상기 알람발생신호와 동시에 셔터도어 오픈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55)에 출력하여 수배전반의 전동 셔터도어의 전동개폐, 특히 수배전반의 셔터식 외부도어의 전동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비상사태시의 수배전반 도어 자동개폐 동작은 화재사고나 정전사고에 다른 사고 전파를 신속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한편, 본 발명은 수배전반 함체(10)의 일단에 오염저감장치(2000)를 더 부가 설치하는바, 본 발명의 오염저감장치는 에어가 모이면서 충돌하여 일정한 열을 발생시키도록하며, 상기와 같이 열이 발생하면서 오염 공기에 존재하는 오염요소가 일정부분 제거되도록 유도한다.
즉, 오염공기가 상호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되어 오염공기의 마찰에 의해서 일정부분 자연스럽게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에어 입력관(2100)과,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에어 출력관(2500)과, 확산실(2600)과, 모터 입력라인(2700)과, 최종 출력라인(28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수직한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작동으로 에어가 통과되는 관이다.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를 통과시켜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로 에어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임펠러를 회전시켜 에어를 에어 입력관(2100)으로 펌핑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작동범위는 에어의 순환과 온도에 따라서 적절히 펌프의 회전 속도조절이 가능한데, 이는 빠른 속도로 펌프 장치를 회전시키면 에어의 순환 속도가 빨라져서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작동속도를 늦추면 에어의 순환 속도가 늦어지며 에어의 온도가 느리게 상승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화된 속도로 에어의 온도를 조절시킬 목적으로 순환속도를 가변시켜 사용한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 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삽입되며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2방향 이상의 회오리형 패널(2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회로리형 패널(2330)을 2개 이상 설치하여 에어 입력 공간(D)이 2개 이상 발생하도록 하고, 입력된 에어는 한 개의 에어 배출관(2500)으로 혼합되면서 흐르도록 유도하는바, 이는 2개 이상의 지점에서 흘러들어온 에어가 한곳으로 모이면서 에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을 설치하는 이유는 에어가 섞이면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과압이 발생하고, 상기 압력에 의해서 에어 출력관(2500)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충돌하여 상부로 끌어올리게 되고, 이때 상부로 끌어 올려진 공기가 에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여유 공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에 압력조절 캡(2311)을 설치하지 않게 되면 에어의 회전에 따른 가중한 압력이 발생할 때 끌어올려진 공기가 머무를 곳이 없게 되고, 그렇게 되면 에어가 에어 출력관(2500)을 따라 배출될 때 원할한 공간부를 확보하지 못해 꿀렁 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압력조절 캡(2311)은 회전하는 에어에 의해 발생하는 과압에 따라 에어 출력관(2500)에 미리 존재하는 공기를 회전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에어 출력관(2500)을 따라 배출되는 에어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공기의 영향을 받아서 에어 출력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압력조절 캡(2311)에 의해서 에어가 배출되는 지점에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에어가 원활히 배출되게 되며, 압력조절 캡(2311)이 없으면 에어 배출지점에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꿀렁거림 현상이 나타나서 에어가 일정한 속도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러면 연속적인 열 발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압력조절 캡(2311)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에어에 의해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에 압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에어 배출관(2500)의 공기를 끌어올리면서 압력조절 캡(311)에 제 1 공간부(A)를 확보하게 되고, 동시에 회오리 에어 순환 장치와 에어 출력관 사이의 중심축에 제 2 공간부(B)를 확보하게 되어, 상기 제 1 공간부(A) 및 제 2 공간부(B)를 침범하지 않는 상태에서 에어가 회전되면서 배출되므로 연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연속적인 열 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는 이유는, 초기에 압력조절 캡의 내측 공간부에 에어가 채워진 상태인바, 이때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에어 공간부(C)를 바깥쪽으로 밀어 에어를 외부로 밀치게 되고, 바깥쪽으로 밀려나온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압력조절 캡(2311)에 에어가 가득 채워지게 되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원활한 에어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형성하게 되면 에어의 회전과 압축에 따라 발생된 에어 배출관(2500)으로부터 공기가 끌어올려지고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에어를 바깥쪽으로 밀어서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통해 압력조절 캡(2311) 바깥으로 일정 양만큼 밀어내게 되고,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통해 배출된 에어는 다시 회오리형 패널(2330)을 통해 입력되어 에어 배출관(250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내부에 포함하여 외각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 패널을 통해 에어 입력관(2100)이 연결되고, 하부 패널을 통해 에어 출력관(2500)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 입력관(2100)을 통해 이송되는 에어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로 이송되고, 이후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내부에 삽입되는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통과한 후 에어 출력관(2500)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확산실(2600)은 에어 출력관의 하부 끝부분에 연결되는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서, 에어 출력관의 끝부분이 확산실(2600)의 몸체 내부로 일정길이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출력관(2500)의 하부에 확산실(2600)을 삽입시켜 구성하는 이유는, 에어 출력관(2500)을 통과하는 에어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확산실(2600)로 낙하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에어가 퍼지도록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 입력용 펌프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수직하게 배치된 에어 입력관(2100)을 통해 에어가 수직 상승한다. 수직 상승된 에어는 에어 입력관(2100)의 내주 연을 따라서 에어가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상부로 이동된 후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의 내측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로 흘러들어온 에어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의 회로리형 패널(2330)로 삽입되는바, 상기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판(2310)과 하판(2320) 및 회오리형 패널(233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판(2310)과 하판(2320)에 의해 폐쇄되므로 에어는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의 회오리형 패널(23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 및 회전되면서 흐르게 되고 이후 압력조절 캡(2311) 및 에어 출력관(2500)을 통해 흐르게 되며, 이때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회오리형 패널(2330)이 다수 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에어가 압축 및 회전되면서 배출될 시에 서로 혼합되는 과정에서 열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에 형성된 압력조절 캡(2311)이 에어 흐름에 따른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바, 압축된 에어가 회오리형 패널(2330)을 통과시에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 내부에 압력 변화가 일어나며 이때 상기 압력조절 캡(2311)에 저압이 형성되면서 에어 출력관의 공기를 빨아올려 적절히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회전 및 압축되어 출력되는 에어가 일정한 속도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애오 순환용홀(23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저압에 의해서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의 내부 공간부에 존재하는 에어를 바깥쪽으로 밀어낼 때 에어가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따라 외부로 출력되고, 출력된 에어는 다시 회오리형 패널(2320)로 입력되면서 연속적인 순환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내부에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설치하되 다수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 사이를 에어가 흐르면서 압축 회전되어지고, 압축 회전되어진 에어가 서로 합쳐지면서 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또한 에어 출력관(2500)을 통과 후 확산실(2600)에서 다시 한 번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효율성이 극대화된 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최종 출력라인에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부가설치하여, 최종 출력라인에 오염인자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오염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오염인자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갖는 포토센서를 갖는다. 상기 최종 출력라인을 오염공기가 통과하면 발광소자의 빛이 수광소자로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어 유입되는 오염공기의 양이 많을 경우 발광소자(2)의 빛이 수광소자(3)로 도달하는 양이 감소되며, 유입되는 오염인자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발광소자(2)의 빛이 수광소자(3)로 도달하는 양이 증가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센서(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수광소자(3)의 발광량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와, 상기 수광소자(3)의 일축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보정부(7)와,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소자(9)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포토센서를 이용한 오염인자 검출장치는, 파이프(28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인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발광소자(2)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량 수광소자(3)로 공급됨에 따라 포토트랜지스터(PTR)를 턴온시켜 수광부(3)의 콜렉터 전압을 로우 레벨로 낮추게 되나, 파이프(2800)내부에 오염인자가 유입될 경우 오염인자 유입으로 인해 발광소자(2)의 빛이 일부 차단됨으로서 수광소자(3)의 포토트랜지스터(PTR)를 오프시키게 되어 콜렉터 전압이 하이 레벨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포토센서(4)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1)에 의해 DC 성분을 제거한 후 인버터부(6)를 경유함에 따라 반전 및 증폭시키게 되며, 이의 인버터부(6) 출력신호는 신호보정부(7)를 거침으로서 구형파를 발생하여 제어부(8)로 전송함으로서 먼저 유입상태를 신호보정부(7)의 출력펄스 유무로 알 수 있으며, 단위시간 당 펄스가 많을수록 오염인자의 수가 많음을, 그리고 펄스폭의 길이가 길수록 오염인자의 크기가 크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정량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2)와, 상기 발광소자(2)의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3)로 이루어진 포토센서(4)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소자(3)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반전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출력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부정부(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토센서(5)인 수광소자(3)의 일측에는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읽어들여 먼지의 유입량을 검출하고, 이의 검출 결과에 따라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8) 및 발광소자(2)의 출력측에는 광량조절부(8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량조절부(8a)는,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평활회로(8b)와 5V의 전원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3)(R4)이 병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의 출력단에는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방전을 제공하는 코로나 방전소자(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코로나 방전소자(9)는 전기적 방전에 의해서 오염공기를 연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10 : 수배전반 함체 11,12 : 사이드가이드레일
13 : 센터가이드레일 20,20-1,20-2 : 셔터도어
21-1,21-2 : 윈도우 22 : 수평도어셀
23 : 윈도우셀포켓 24 : 윈도우셀
26 : 코일스프링
30 : 고정판 31 : 구동모터
32 : 구동기어 33,34 : 구동기어
35 : 와인딩기어 36 : 와인딩축
40 : 콘트롤러 41 : 사고판별 레퍼런스 데이터 메모리
42 : 인증데이터 메모리 43 : 사고감지부
44 : 정전센서 45 : 화재센서
46 : 번호키패드 47 : IR수신부
48 : RF수신부 49 : ID칩리더
50 : RF카드리더기 51 : IR리모콘
52 : RF리모콘 53 : ID칩키
54 : RF카드 55 : 모터구동부
56 : 알람부
13 : 센터가이드레일 20,20-1,20-2 : 셔터도어
21-1,21-2 : 윈도우 22 : 수평도어셀
23 : 윈도우셀포켓 24 : 윈도우셀
26 : 코일스프링
30 : 고정판 31 : 구동모터
32 : 구동기어 33,34 : 구동기어
35 : 와인딩기어 36 : 와인딩축
40 : 콘트롤러 41 : 사고판별 레퍼런스 데이터 메모리
42 : 인증데이터 메모리 43 : 사고감지부
44 : 정전센서 45 : 화재센서
46 : 번호키패드 47 : IR수신부
48 : RF수신부 49 : ID칩리더
50 : RF카드리더기 51 : IR리모콘
52 : RF리모콘 53 : ID칩키
54 : RF카드 55 : 모터구동부
56 : 알람부
Claims (5)
- 수배전반 함체(10)내부의 전면부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응시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과;
상기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수배전반의 개폐를 위한 모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2사이드가이드레일(11, 12)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셔터도어와;
상기 셔터도어의 상부 선단에 결합되는 와인딩축(36)과, 상기 와인딩축에 마련된 와인딩기어(35)와;
상기 와인딩 기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어(33,34) 및 이에 결합된 구동기어(32)와;
외부의 도어 개폐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에 정역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수배전반 함체 일단에 설치되며 수배전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처리하여 저감시키는 오염저감장치(2000)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저감장치(2000)는,
원통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통 파이프 형태로서 외부 동력에 의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입력관(2100)과;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기 동력에 의해서 에어를 이송시키는 펌프장치(2200)와;
상기 에어 입력관이 상부로 연결되어 에어를 입력받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에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출력시키는 에어 출력관(2500)과;
상기 에어 출력관(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에어 출력관을 통과한 에어가 내측 공간부에서 사방으로 튀면서 퍼지도록 하는 용기 형태의 확산실(2600)과;
상기 에어 입력관에 연결되어 외부 오염공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모터 입력관(2700)과;
상기 확산실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최종 출력라인(2800)과;
상기 최종 출력라인(2800)에 설치되며, 오염인자를 검출하고 처리하는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설치하되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며 흐르는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오리형 패널(2330)은,
에어가 입력되는 입구의 너비는 크게 형성하고, 에어가 출력되는 출구의 너비는 입구의 너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는,
상기 최종 출력라인의 일단에 설치되어 오염공기 채크를 위해 광을 투사하는 발광소자(2)와;
상기 발광소자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광소자의 광을 수신받아 출력라인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광소자(3)와;
상기 수광소자(3)의 발광량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와;
상기 수광소자(3)의 일축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보정부(7)와;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는,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를 갖고 먼지의 유입을 검지하는 포토센서(5)와;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반전증폭시키는 인버터부(6)와;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읽어들여 먼지의 유입량을 검출하고, 수광소자의 콜렉터전압에 따라 발광소자의 광량을 조절할 수있도록 펄스듀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8)와;
상기 제어부(8)의 출력신호에 의해 포토센서(5)인 발광소자(2)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8a)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전을 출력하는 코로나 방전소자(9)를 포함하고;
상기 광량조절부(8a)는, 상기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제어부(8)의 출력 펄스를 평활시키는 평활회로(9),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전원을 분압하는분압저항(R3)(R4)이 병렬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606A KR20220014039A (ko) | 2020-07-28 | 2020-07-28 |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606A KR20220014039A (ko) | 2020-07-28 | 2020-07-28 |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4039A true KR20220014039A (ko) | 2022-02-04 |
Family
ID=8026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3606A KR20220014039A (ko) | 2020-07-28 | 2020-07-28 |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1403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39672A (zh) * | 2023-08-16 | 2023-11-10 | 东盟电气集团南京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型预装式变电站 |
KR102682370B1 (ko) * | 2023-09-26 | 2024-07-05 | 주식회사 한빛티엔에스 | 인증에 의해 유지보수가 가능한 통합배선반 시스템 |
KR102687158B1 (ko) * | 2023-09-26 | 2024-07-22 | (주)엔이아이씨 | 도어의 강제 폐쇄기능을 갖는 통합배선반 시스템 |
-
2020
- 2020-07-28 KR KR1020200093606A patent/KR202200140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39672A (zh) * | 2023-08-16 | 2023-11-10 | 东盟电气集团南京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型预装式变电站 |
CN117039672B (zh) * | 2023-08-16 | 2024-03-12 | 东盟电气集团南京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型预装式变电站 |
KR102682370B1 (ko) * | 2023-09-26 | 2024-07-05 | 주식회사 한빛티엔에스 | 인증에 의해 유지보수가 가능한 통합배선반 시스템 |
KR102687158B1 (ko) * | 2023-09-26 | 2024-07-22 | (주)엔이아이씨 | 도어의 강제 폐쇄기능을 갖는 통합배선반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14039A (ko) |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
KR100751922B1 (ko) | 다기능 디지털 도어 | |
US20070290630A1 (en) | Power Saving Switch | |
CN109240119A (zh) | 一种基于app的智能家居控制系统 | |
JP7303986B2 (ja) | 屋根構造 | |
CN106014075B (zh) | 一种智能家居用自动防护窗户 | |
KR100748221B1 (ko) |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
EP2034116A1 (en) | Switching device control system | |
KR20190126551A (ko) | 시스템루버 구동 장치 | |
CN112384048B (zh) | 一种物联网家电的物联网功能检测装置 | |
KR20210059520A (ko) | 태양광 발전 광선반 | |
KR20200039188A (ko) |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 |
CN107123929B (zh) | 一种智能防护配电柜 | |
KR200426825Y1 (ko) | 다기능 디지털 도어 | |
KR101442179B1 (ko) | 태양광발전 인버터 설치용 구조물 및 그 제어시스템 | |
EP3669335B1 (en) | Automatic system for identifying and controlling persons and regulating access to restricted areas | |
CN106992442B (zh) | 一种安全防护配电柜 | |
CN203299908U (zh) | 一种防尾随门禁系统 | |
KR101327410B1 (ko) | 다기능 재실 감지 장치 | |
KR100643199B1 (ko) | 택배도어를 포함하는 지능형 도어 시스템 | |
KR200472266Y1 (ko) | 컨트롤러가 내장된 패널형 금속탐지기 | |
KR102334218B1 (ko) | 휴대용태양광발전장치 | |
KR100748217B1 (ko) | 수배전반의 버티컬 도어장치 | |
CN112950831B (zh) | 一种基于物联网的安防用弱电门禁装置 | |
CN210924718U (zh) | 一种基于网络技术的智能门禁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