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184A -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184A
KR20220013184A KR1020200092386A KR20200092386A KR20220013184A KR 20220013184 A KR20220013184 A KR 20220013184A KR 1020200092386 A KR1020200092386 A KR 1020200092386A KR 20200092386 A KR20200092386 A KR 20200092386A KR 20220013184 A KR20220013184 A KR 20220013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ome shopping
data
user termina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005B1 (ko
Inventor
이지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알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알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알엔
Priority to KR1020200092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0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83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demographical data, e.g. age, family status or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 후,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상호간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Customized information suggestion service method using data home shopping TV application menu and video}
본 발명은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하여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홈쇼핑 방송은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제공되어 왔다. 텔레비전 방송은 수상기 화면 전체를 사용한다. 방송 사업자가 제작한 방송프로그램 컨텐츠는 수상기 화면 전체를 통해서 방송되며, 마찬가지로 시청자는 텔레비전 화면 전체로 홈쇼핑 방송을 시청한다.
이러한 홈쇼핑 방송은 데이터방송을 통해서도 제공되기도 한다. 데이터방송은 기존 텔레비전 방송과 구별되어 정의된다. 텔레비전 방송은 음성과 영상으로 이루어진 방송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으로 정의되지만, 데이터방송은 음성/영상의 방송이 아닌 부호나 데이터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을 말한다. 즉, 데이터방송은 방송 전파에 디지털 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면 수신장치가 부호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해독, 처리해 그 결과를 수신자가 직접 받아보거나 또는 그 정보에 의해 다른 기계장치 등을 제어하는 특성을 가진 뉴미디어로서 새로운 분야의 방송이다.
이러한 데이터방송 기술은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서 방송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제공하기만 했던 종래의 방송기술을 개선하였다. 특히 시청자와 실시간으로 인터랙티브한 관계가 구성되는 양방향적 환경을 조성하였다.
하지만 현재까지 데이터 홈쇼핑 방송은 단순히 VOD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것 외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데이터 홈쇼핑 방송은 방송사에서 구성한 상품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구체적인 정보를 원하는 경우 클릭 등의 행위를 통해서 추가적인 정보를 구할 수가 있으나, 이는 디지털 장비에 익숙한 세대들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들에게는 방송 중 생겼던 상품에 대한 관심을 구매까지 이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980430호. 2019.05.14.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 후,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상호간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방송 채널이 유지되는 제1 패턴, 사용자 단말의 리모컨을 이용해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하는 제2 패턴 또는 음성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음성기반 주문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제3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서칭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사용자의 미리 등록된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미리 설정 등록한 사용자 정보 중 성별 또는 나이에 기반하여 추천된 복수의 상품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등록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이전 구입내역,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연령층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추천된 복수의 상품들 또는 추천된 상품들과 유사한 종류의 상품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연결승낙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 정보 등록시 사용자로부터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 신호 전송에 대한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서버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 동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팝업창을 통해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 전송에 대한 동의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시에 연결요청 신호를 승낙할 경우 연결되는 상담원 단말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신호를 할당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영상 통화 연결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 통화의 영상 움직임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동기화시켜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한 제품을 추천하여 사용자의 잠재적인 구매의욕을 자극함으로써 홈쇼핑 매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관심상품에 대한 빠른 피드백을 통해 관심상품을 바로 구매로 이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해 직접 시청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채널이탈을 방지하고 홈쇼핑방송에 대한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니즈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대응함으로써 사용자의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 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의 개략도이다.
도3은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의 개략도이며, 도3은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S100)은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S130) 및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S130) 후,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상호간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홈쇼핑 방송은 채널연동형 데이터방송으로 TV 영상과 TV 애플리케이션이 조합되어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단말은 통신이 가능하며,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모든 전자장치를 의미하고, 모바일 단말기 및 디지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는 서버(예컨대, 홈쇼핑 방송국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는 미리 설정해놓은 사용 패턴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는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방송 채널이 유지되는 제1 패턴, 사용자 단말의 리모컨을 이용해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하는 제2 패턴 또는 음성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음성기반 주문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제3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TV의 채널 변경 중 특정 채널의 방송에 고정하여 일정 시간 이상 시청을 유지하는 것, 사용자가 방송 시청 중 디지털 TV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한다는 것 및 디지털 TV에 포함된 음성입력장치를 통해 주문을 요청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의 상품에 구입에 대한 관심 신호로 인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는 사용자 중에서 방송 중인 상품에 대한 관심을 가진 사용자로 인지하고,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메뉴 구성을 하기 위함이다. 시청 중인 모든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에 맞는 커스터마이징된 메뉴를 생성할 필요없이, 관심을 보이는 사용자를 선별하여 그 사람만의 커스터마이징된 메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작업만 수행하여 프로세서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고,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시청중 사용자는 현재 방송 중인 상품에 관심이 생기면 TV 리모컨을 통해 볼륨을 높이거나 TV 리모컨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하게 된다. 서버는 그 사용자 신호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디지털 TV의 채널 이동 중 데이터 홈쇼핑 방송 채널에서 멈춘 후, 해당 데이터 홈쇼핑 방송 채널의 시청시간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예컨대, 채널 변경 중 해당 홈쇼핑 채널 고정 후 1분간 채널 유지 신호) 동안 채널이 고정된 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또는 디지털 TV에 구비된 음성 인식장치에 “주문”이라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으로써 서버에 사용자 사용 패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S130)는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메뉴 TV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S130)는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서칭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사용자의 미리 등록된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미리 설정등록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등록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이전 구입내역,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연령층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추천된 복수의 상품들 또는 추천된 상품들과 유사한 종류의 상품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전 구입내역 및 성별 또는 비슷한 연령층의 구입물품에 기반하여 추천함으로써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상품구매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입력하여 저장해둔 데이터베이스를 서칭하여 수신된 신호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채널 가입시 또는 기존 물품 구입시에 사용자 정보 입력을 수신받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만약, 미리 입력한 정보가 없어서 사용자 식별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 정보를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개개인의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메뉴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채널 이탈 방지 및 데이터 홈쇼핑 방송에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60대 이상의 연세인 경우, ‘건강기능식품’, ‘영양제’‘주름방지 화장품’ 및 ‘안마기’ 등,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 등을 고려하여 추천된 제품으로 구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정보 기반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50)는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S130) 이후,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상호간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맞춤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50)는, 서버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연결승낙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 정보 등록시 사용자로부터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 신호 전송에 대한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서버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 신호 전송에 대한 사전 동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팝업창을 통해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 전송에 대한 동의를 미리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 신호 전송에 대한 사전 동의는 방송 가입시 또는 첫 번째 상품 구입시에 동의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시에 연결요청 신호를 승낙할 경우 연결되는 상담원 단말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신호를 할당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가 연결승낙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서버는 연결승낙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과 서버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로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맞춤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통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서버의 상담원은 요청받은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 단말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담원과 실시간으로 통화하면서 필요한 정보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전송받은 사용자는 요청한 정보를 보면서 상담원을 통해 설명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다. 상기 제안하는 서비스 방법을 통해서, 비대면 서비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특히, 디지털 장비에 익숙하지 않은 실버세대들의 온라인 구매에 대한 거부감을 누그러뜨릴 수 있다.
또한, 서버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대화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화면에 관련 데이터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에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해줌으로써, 비대면 거래의 단점인 궁금한 정보의 접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 각각에 맞는 정보를 획득하여 비대면 상품구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공지능 상담원과 대화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나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전송받은 정보를 화면을 통해서 확인하며, 인공지능 상담원을 통해 전송받은 정보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을 보면서 인공지능 상담원과 실시간으로 대화를 하면서 설명을 들음으로써, 제품구매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영상 통화 연결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 통화의 영상 움직임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동기화시켜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영상과 음성의 동기화를 통해, 영상과 음성 신호의 출력 속도 차이로 인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영상과 음성과의 괴리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 통화의 영상을 아바타로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S100)은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한 제품을 추천하여 사용자의 잠재적인 구매의욕을 자극함으로써 홈쇼핑 매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관심상품에 대해서 빠른 피드백을 통해 관심상품을 바로 구매로 이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해 직접 시청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채널 이탈을 방지하고 홈쇼핑방송에 대한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 후,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상호간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맞춤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데이터 홈쇼핑 방송 중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방송 채널이 유지되는 제1 패턴, 사용자 단말의 리모컨을 이용해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하는 제2 패턴 또는 음성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음성기반 주문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제3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서칭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미리 등록된 정보에 기반하여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미리 설정 등록한 사용자 정보 중 성별 또는 나이에 기반하여 추천된 복수의 상품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터마이징된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등록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이전 구입내역,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연령층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추천된 복수의 상품들 또는 추천된 상품들과 유사한 종류의 상품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연결승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 정보 등록시 사용자로부터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 신호 전송에 대한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상기 서버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동의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팝업창을 통해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 전송에 대한 동의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요청 신호를 승낙할 경우 연결되는 상담원 단말로 상기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신호를 할당하는 단계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영상 통화 연결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 통화의 영상 움직임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동기화시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인,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00092386A 2020-07-24 2020-07-24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1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86A KR102410005B1 (ko) 2020-07-24 2020-07-24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86A KR102410005B1 (ko) 2020-07-24 2020-07-24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84A true KR20220013184A (ko) 2022-02-04
KR102410005B1 KR102410005B1 (ko) 2022-06-16

Family

ID=8026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386A KR102410005B1 (ko) 2020-07-24 2020-07-24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0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124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어니언텍 아이피 티비 주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33667A (ko) * 2011-09-27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9182B1 (ko) * 2014-09-29 2015-07-29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KR20180093433A (ko) *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사운들리 방송 프로그램 시청자에게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추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2333A (ko) * 2017-04-03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0430B1 (ko) 2017-03-23 2019-05-2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Tv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방송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124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어니언텍 아이피 티비 주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33667A (ko) * 2011-09-27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9182B1 (ko) * 2014-09-29 2015-07-29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KR20180093433A (ko) *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사운들리 방송 프로그램 시청자에게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추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80430B1 (ko) 2017-03-23 2019-05-2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Tv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방송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KR20180112333A (ko) * 2017-04-03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005B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057B2 (en) Environment object recognition
US108200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otted advertising and control of corresponding user interfaces and transactions via user receiving devices and mobile devices
US9590837B2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servers in an environment
US88931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dial testing and audience response utilizing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US20160029094A1 (en)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social network users during synchronous display of video channgel
US200501324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on with television content
US20130194406A1 (en) Targeted Delivery of Content
US20070136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ervices using implicit content to indicate the availability of additional content
US201602054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iggering user interfaces for product and/or service transactions via user receiving devices and mobile devices
CN105389710A (zh) 用于传递广告信息的方法
US202100197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dvertising, upselling, cross-selling, and purchasing of products and services via user receiving devices and mobile devices
KR101969222B1 (ko)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JP2003515267A (ja) ライブカスタマーサービスを用いる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
KR20180098177A (ko)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공유 시스템과 방법
KR20170033071A (ko)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5052169A (zh) 一种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介质
JP2002027344A (ja) メール連動番組放送システム
KR102410005B1 (ko) 데이터 홈쇼핑 tv 애플리케이션 메뉴 및 영상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안 서비스 제공방법
KR101897968B1 (ko) 통역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운용하는 맞춤형 통역 서버 및 시스템
US20170034581A1 (en) Media device
US20190045245A1 (en) Video display system
KR20100123124A (ko) 아이피 티비 주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667313B1 (ko) 방송 내용 관련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2895A (ko) 셋톱 박스를 이용한 텔레비젼 화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1550457B2 (en) Method,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v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