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177A - 진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177A
KR20220013177A KR1020200092371A KR20200092371A KR20220013177A KR 20220013177 A KR20220013177 A KR 20220013177A KR 1020200092371 A KR1020200092371 A KR 1020200092371A KR 20200092371 A KR20200092371 A KR 20200092371A KR 20220013177 A KR20220013177 A KR 20220013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ving body
driving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511B1 (ko
Inventor
최성희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5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5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진동 저감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진동 저감장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이동몸체부와, 상기 이동몸체부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관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되는 구동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저감장치{VIBRATION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라 일컬어지는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이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한다.
공기조화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는 배관을 통해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순환할 수 있다. 이 때, 배관의 진동이 심해질 경우, 냉매가 누설되거나 배관에 크랙이 발생하여 배관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배관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배관에는 댐퍼가 설치된다.
배관에 댐퍼가 설치되는 경우, 배관의 고유 진동수를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 영역을 회피함으로써 배관의 진동을 저감시킨다.
종래에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에 고정형 댐퍼가 설치되므로, 인버터형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압축기가 설정된 작동 범위를 가지며 작동할 경우, 배관의 공진현상에 의해 배관의 진동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38128호(2019.04.08 공개, 발명의 명칭: 진동 저감용 댐퍼)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댐퍼의 위치가 변경되어 배관의 공진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이동몸체부와, 상기 이동몸체부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관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되는 구동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관의 외측에 접하며 상기 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가 상기 이동몸체부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는 상기 구동롤러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는 설정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가 상기 구동롤러와 같은 높이에 2개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 사이의 설정각도는 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부는,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배관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내측몸체부와, 상기 내측몸체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외측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전기저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 또는 제2제어부는, 상기 배관과 연결된 압축기의 작동주파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몸체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기 배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는, 상기 이동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배관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와, 제1스토퍼와 이격되며 상기 이동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배관에 고정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는, 배관과 연결된 압축기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이동몸체부의 설치위치가 가변되므로, 배관의 공진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의 떨림이 감소되거나 방지되므로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관의 수리 및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의 진동 감소에 따라 배관의 연결부위를 통해 냉매가 누설되는 현상이 감소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몸체부의 외측에 스트랩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1)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1)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1)는, 이동몸체부(10)와 구동부(20)와 구동롤러(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1)는, 가이드롤러(40)와 전기저장부(50)와 제1제어부(60)와 제2제어부(70)와 스토퍼부(80)와 스트랩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몸체부(10)는 공기조화기용 배관(90)의 외측에 위치하며, 배관(90)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동몸체부(10)는 구동롤러(30)와 가이드롤러(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부(10)는 구동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부(10)는 배관(90)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댐퍼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부(10)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부(10)는 고무 질량체로 이루어지며, 배관(90)에 접한 상태로 배관(90)을 따라 이동된다.
이동몸체부(10)는 구동롤러(30)와 가이드롤러(40)를 지지하는 부분은 고무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몸체부(10)는, 내측몸체부(12)와 외측몸체부(17)를 포함한다.
내측몸체부(12)는 구동롤러(30)와 가이드롤러(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배관(9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몸체부(1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측몸체부(12)는 배관(90)의 외측에 파이프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2개 또는 복수의 부재로 분리도 가능하다.
외측몸체부(17)는 내측몸체부(1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몸체부(17)는 내측몸체부(12)를 감싸며 배관(90)에 접할 수 있다. 외측몸체부(17)는 고무를 재질로 이루어지며,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도 외측몸체부(17)로 사용이 가능하다.
구동부(20)는 이동몸체부(10)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는 구동롤러(30)에 연결되며, 구동롤러(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구동부(20)는 스테핑 모터와 서보모터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는 이동몸체부(10)에 1개가 설치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 복수의 구동부(20)가 이동몸체부(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롤러(30)는 구동부(20)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이동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롤러(30)는 구동롤러몸체(32)와 구동축(37)을 포함한다.
구동롤러몸체(32)는 배관(90)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된다. 배관(90)의 단면이 원형이므로, 배관(90)과 마주하는 구동롤러몸체(32)에는 제1곡면(33)이 구비된다. 제1곡면(33)은 구동롤러몸체(3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제1곡면(33)의 형상에 의해 구동롤러몸체(32)는 배관(90)의 외측에 면접촉된다.
따라서 구동롤러몸체(32)와 배관(9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구동롤러(30)가 회전할 때 슬립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한 형상의 제1곡면(33)이 배관(90)의 외측에 접촉되므로 구동롤러(30)가 배관(90)을 따라 이동할 때 배관(9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90)과 접하는 구동롤러몸체(32)의 외측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물질을 코팅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30)가 배관(90)에 접하며 회전할 때 마찰저항이 증가하여 구동롤러(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롤러(30)의 회전으로 이동몸체부(10)가 이동되므로, 배관(90)의 고유진동수를 변경시키므로 배관(90)의 공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롤러몸체(32)의 양측으로 돌출된 구동축(37)은 내측몸체부(12)에 구비된 지지부재(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롤러(40)는 구동롤러(30)와 함께 배관(90)의 외측에 접하며, 이동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40)는 가이드몸체(42)와 연장축(47)을 포함한다.
가이드몸체(42)는 배관(90)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된다. 배관(90)의 단면이 원형이므로, 배관(90)과 마주하는 가이드몸체(42)에는 제2곡면(43)이 구비된다. 제2곡면(43)은 가이드몸체(4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제2곡면(43)의 형상에 의해 가이드몸체(42)는 배관(90)의 외측에 면접촉된다.
따라서 가이드몸체(42)와 배관(9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가이드롤러(40)가 회전할 때 슬립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한 형상의 제2곡면(43)이 배관(90)의 외측에 접촉되므로 가이드롤러(40)가 배관(90)을 따라 이동할 때 배관(9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90)과 접하는 가이드몸체(42)의 외측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물질을 코팅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롤러(40)가 배관(90)에 접하며 회전할 때 마찰저항이 증가하여 가이드롤러(4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가이드롤러(40)의 회전으로 이동몸체부(1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며, 이동몸체부(10)의 이동으로 배관(90)의 고유진동수가 변경되어 배관(90)의 공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42)의 양측으로 돌출된 연장축(47)은 내측몸체부(12)에 구비된 지지부재(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롤러(40)는 이동몸체부(10)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9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몸체부(10)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롤러(40)는 구동롤러(30)와 같은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롤러(30)와 가이드롤러(40)는 설정각도(A)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40)는 구동롤러(30)와 같은 높이에 2개가 설치되며, 구동롤러(30)와 가이드롤러(40) 사이의 설정각도(A)는 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1개의 구동롤러(30)와 2개의 가이드롤러(40)가 배관(90)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므로, 배관(90)에 진동 저감장치(1)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환경에 따라 구동롤러(30)와 가이드롤러(40)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40)와 구동롤러(30)로 이루어진 롤러모듈의 하측에는 복수의 가이드롤러(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동몸체부(10)의 상측 열에는 가이드롤러(40)와 구동롤러(30)로 이루어진 제1롤러모듈이 설치되며, 이동몸체부(10)의 하측 열에는 가이드롤러(40)로 이루어진 제2롤러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몸체부(10)의 상측과 하측에 가이드롤러(40)가 복수로 설치되므로 배관(9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몸체부(1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저장부(50)는 이동몸체부(10)에 설치되며, 구동부(2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저장부(50)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내측몸체부(12)와 외측몸체부(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저장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제어부(60)는 이동몸체부(10)에 설치되며, 구동부(20)와 전기저장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60)는 내측몸체부(12) 또는 외측몸체부(17)에 설치되며, 구동부(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70)는 제1제어부(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제어부(6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70)는 제1제어부(60)와 무선으로 통신을 하며, 배관(90)과 연결된 압축기와 관련된 정보를 제2제어부(7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1제어부(60) 또는 제2제어부(70)는, 배관(90)과 연결된 압축기의 작동주파수 정보를 전달받아 구동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토퍼부(80)는 이동몸체부(1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배관(90)에 고정되며, 이동몸체부(1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80)는, 이동몸체부(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배관(90)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82)와, 제1스토퍼(82)와 이격되며 이동몸체부(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배관(90)에 고정되는 제2스토퍼(8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80)는 댐퍼 기능을 하는 이동몸체부(10)와 접촉되어 이동몸체부(1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배관(90)을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된다. 스토퍼부(80)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스토퍼부(80)가 배관(90)의 양측에 설치되므로 이동몸체부(10)가 이동되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석 또는 실험을 통해 배관(90)의 공진 회피 범위 설정이 가능하도록 제1스토퍼(82)와 제2스토퍼(84)의 설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82)와 제2스토퍼(84)의 간격 설정도 상기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관(90)과 연결된 압축기가 배관(90)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운전할 경우, 이동몸체부(10)가 배관(90)을 따라 이동되므로 배관(90)의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어 배관(90)의 공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몸체부(10)의 외측에 스트랩부(1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부(100)는 이동몸체부(10)의 외측을 감싸며 외동몸체부를 조이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부(100)는, 이동몸체부(10)의 외측을 감싸는 스트랩몸체(101)와, 스트랩몸체(101)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리부재(102) 및 스트랩몸체(101)의 타측에 연결되며 고리부재(102)와 연결되어 고리부재(102)의 이동을 구속하는 접착부(10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제어부(70)는 압축기의 작동 주파수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은 후, 제1제어부(60)로 압축기의 작동 주파수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1제어부(60)와 제2제어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축기의 작동 주파수와 배관(90)의 고유 진동수의 중첩 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부(20)를 동작시킨다.
구동부(20)가 동작되어 구동롤러(30)가 회전되므로, 이동몸체부(10)는 배관(90)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동몸체부(10)가 제1스토퍼(82) 또는 제2스토퍼(84)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 경우, 제1제어부(60)와 제2제어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키므로 설정된 배관(90) 위치에 이동몸체부(10)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구동롤러(30)와 가이드롤러(40)와 구동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90)에 이동몸체부(10)가 정지될 때, 브레이크 장치가 구동롤러(30)나 가이드롤러(40)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이동몸체부(1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몸체부(10)의 이동에 의해 배관(90)의 공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몸체부(10)가 이동되면서 이루어지는 배관(90)의 주파수 변경 범위를 8.5Hz로 가정한다.
압축기가 37Hz 근방에서 운전할 경우, 제1제어부(60)와 제2제어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부(20)를 동작시켜 댐퍼 기능을 하는 이동몸체부(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배관(9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몸체부(10)가 제1스토퍼(82)에 접촉되어 이동이 불가한 경우, 구동부(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된다. 이동몸체부(10)가 제1스토퍼(82)에 접할 경우, 배관(90) 고유 진동수는 52.5Hz가 된다. 따라서 배관(90)의 공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압축기가 50Hz 근방에서 운전할 경우, 제1제어부(60)와 제2제어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부(20)를 동작시켜 댐퍼 기능을 하는 이동몸체부(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배관(9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몸체부(10)가 제2스토퍼(84)에 접촉되어 이동이 불가한 경우, 구동부(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된다. 이동몸체부(10)가 제2스토퍼(84)에 접할 경우, 배관(90) 고유 진동수는 37Hz가 된다. 따라서 배관(90)의 공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90)과 연결된 압축기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이동몸체부(10)의 설치위치가 가변되므로, 배관(90)의 공진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관(90)의 떨림이 감소되거나 방지되므로 배관(9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관(90)의 수리 및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배관(90)의 진동 감소에 따라 배관(90)의 연결부위를 통해 냉매가 누설되는 현상이 감소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진동 저감장치
10: 이동몸체부 12: 내측몸체부 13: 지지부재 17: 외측몸체부
20: 구동부
30: 구동롤러 32: 구동롤러몸체 33: 제1곡면 37: 구동축
40: 가이드롤러 42: 가이드몸체 43: 제2곡면 47: 연장축
50: 전기저장부
60: 제1제어부
70: 제2제어부
80: 스토퍼부 82: 제1스토퍼 84: 제2스토퍼
90: 배관
100: 스트랩부 101: 스트랩몸체 102: 고리부재 103: 접착부
A: 설정각도

Claims (12)

  1.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이동몸체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관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되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측에 접하며 상기 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이동몸체부에 복수 개 설치되는 진동 저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구동롤러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는 설정각도로 이격되는 진동 저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구동롤러와 같은 높이에 2개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 사이의 설정각도는 120°로 이루어지는 진동 저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부는,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관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내측몸체부;
    상기 내측몸체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외측몸체부;를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전기저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배관과 연결된 압축기의 작동주파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동 저감장치.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기 배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이동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배관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와 이격되며, 상기 이동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배관에 고정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KR1020200092371A 2020-07-24 2020-07-24 진동 저감장치 KR10237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71A KR102372511B1 (ko) 2020-07-24 2020-07-24 진동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71A KR102372511B1 (ko) 2020-07-24 2020-07-24 진동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77A true KR20220013177A (ko) 2022-02-04
KR102372511B1 KR102372511B1 (ko) 2022-03-08

Family

ID=8026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371A KR102372511B1 (ko) 2020-07-24 2020-07-24 진동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5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35A (ko) * 1999-09-28 2001-04-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
KR20070080138A (ko) * 2006-02-06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90038128A (ko) * 2017-09-29 201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저감용 댐퍼
KR102041416B1 (ko) * 2019-05-12 2019-11-06 송창선 내진 기능이 보강된 배관 행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35A (ko) * 1999-09-28 2001-04-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
KR20070080138A (ko) * 2006-02-06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90038128A (ko) * 2017-09-29 201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저감용 댐퍼
KR102041416B1 (ko) * 2019-05-12 2019-11-06 송창선 내진 기능이 보강된 배관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511B1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41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leak management
US104158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ivotable evaporator coils
US20130055748A1 (en) System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of a heat exchanger
KR101713546B1 (ko) 일체형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냉난방방법
US11603910B2 (en) Drive belt tensioner systems and methods
US20200340552A1 (en) Drive belt tensioner systems and methods
CN109974090A (zh) 空调器
KR102372511B1 (ko) 진동 저감장치
KR102457187B1 (ko) 용기용 열풍순환식 터널건조기
KR100778484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101311181B1 (ko) 공기조화시스템
JP5082639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350698B1 (ko) 냉각 및 텐션 조절이 가능한 송풍기가 내장된 공기조화기
JP2015124939A (ja) 空調システム
US20170191720A1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Dehumidification Features
JP201307978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9132539A (ja) 空調システムの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調システム
JP2014085088A (ja) 空気調和機システム
KR100810751B1 (ko) 벨트장력 자동조절 모터베이스 부착 공기조화기
KR100751574B1 (ko) 팬벨트 자동조절기 부착형 공기조화기
US117616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iz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ES2877449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 flujo de aire de suministro en un casete de confort
CN106091138B (zh) 柜式空调室内机、柜式空调及空调控制系统
US11448415B2 (en) Auto-adjusting fan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ing appliance
US12013137B2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