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746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746A
KR20220012746A KR1020200091935A KR20200091935A KR20220012746A KR 20220012746 A KR20220012746 A KR 20220012746A KR 1020200091935 A KR1020200091935 A KR 1020200091935A KR 20200091935 A KR20200091935 A KR 20200091935A KR 20220012746 A KR20220012746 A KR 20220012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nformation
feedback
electronic devi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규환
장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746A/ko
Priority to PCT/KR2021/006283 priority patent/WO2022019458A1/ko
Publication of KR2022001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2017/006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를 통해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고,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에 포함된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스피커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테스트신호 및 피드백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에 대하여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품질 오디오를 위해 스피커 출력 보정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TV 스피커의 경우, 외부 측정장치로 하여금 TV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를 수신하여 TV 스피커의 출력을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TV 스피커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출력 보정을 통해 오디오 품질이 원하는 수준까지 향상될 수 있다.
다만 TV의 스피커 개수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외부 측정장치의 규모, 개수 등도 증가하게 되어, 스피커 출력 보정을 위한 설계상, 비용상 등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TV 자체에 마련된 마이크를 활용하여 스피커 출력을 보정하는, 소위, 자가 출력 보정이 시도되고 있다. 즉, TV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를 TV 마이크로 수신하고, TV 마이크로 수신된 오디오에 기초하여 TV 스피커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측정장치를 활용하는 경우 대비 설계상, 시간상, 비용상 등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자가 출력 보정을 위해 TV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는 통상적으로 노이즈에 취약한 아날로그특성을 가지므로, 예컨대, TV 마이크로 수신되는 오디오에 주변 노이즈가 섞여 있다면, 주변 노이즈로 인해 아날로그특성이 왜곡되어, 스피커에 대한 출력 보정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출력 보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설계상, 시간상, 비용상 등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정확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 출력 보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스피커 출력 보정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출력부; 오디오 수신부; 및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를 상기 오디오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에 포함된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 각각에 포함된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아날로그정보는 상기 제1테스트신호의 진폭, 주파수 또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정보는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이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테스트신호 및 상기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1테스트신호 및 복수의 상기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복수의 상기 제1오디오 및 복수의 상기 제2오디오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1오디오 및 상기 복수의 제2오디오가 상기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에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2피드백신호에 상기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의 진폭이 제1문턱값 이하이거나, 제2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에 포함된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아날로그정보는 상기 제1테스트신호의 진폭, 주파수 또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정보는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이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테스트신호 및 상기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1테스트신호 및 복수의 상기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복수의 상기 제1오디오 및 복수의 상기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오디오 및 상기 복수의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오디오 및 상기 복수의 제2오디오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에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2피드백신호에 상기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의 진폭이 제1문턱값 이하이거나, 제2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에 포함된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커 출력 보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스피커 출력 보정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전자장치에 관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테스트신호에 포함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가 마련된 경우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주변 환경에 기초하여 테스트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3의 동작 S33과 관련하여,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과 관련하여,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구성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는 TV, 태블릿,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비디오 월, 전자액자 등과 같이 영상표시장치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셋탑박스 등의 영상처리장치, 냉장고, 세탁기 등의 생활가전, 컴퓨터본체와 같은 정보처리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는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스피커, AI 로봇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전자장치(1)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장치(1)가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 출력부(2)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는 오디오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는 전자장치(1)에 마련된 내부 오디오 출력부(2)이거나, 전자장치(1)의 외부에 마련된 외부 오디오 출력부(2)일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출력부(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장치(1)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오디오 출력부(2)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출력부(2)는 단품 스피커뿐만 아니라, 스피커를 구비하는 다양한 외부 음향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부 오디오 출력부(2)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 수신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 수신부(3)을 통해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오디오 수신부(3)는 앞서 오디오 출력부(2)를 통해 출력된 오디오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오디오 수신부(3)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사용자발화에 대한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수신부(3)은 전자장치(1)에 마련된 내부 오디오 수신부(3)이거나, 전자장치(1)의 외부에 마련된 외부 오디오 수신부(3)일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수신부(3)는 전자장치(1)의 본체와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컨"이라 지칭), 스마트폰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는 리모콘, 스마트폰 등의 오디오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 등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발화를 수신하면, 사용자발화에 대한 음성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음성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 처리를 수행하고, 음성 인식 처리에 의한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처리는 음성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STT(Speech-to-Text) 처리 과정과,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커맨드를 식별하여, 식별된 커맨드가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커맨드 식별 및 수행 과정을 포함한다.
음성 인식 처리의 STT 처리 과정과, 커맨드 식별 및 수행 과정은, 전자장치(1)에서 모두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전자장치(1)에 필요한 시스템 부하 및 소요 저장용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적어도 일부의 과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장치(1)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서버가 STT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전자장치(1)가 커맨드 식별 및 수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가 STT 처리 과정과, 커맨드 식별 및 수행 과정을 모두 수행하고, 전자장치(1)는 단지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부터 결과를 수신하기만 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자가 출력 보정은, 오디오 수신부(3)를 활용하여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의미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는 오디오 출력부(2)를 통해 제1테스트신호(4)에 기초한 제1오디오(6)를 출력하고, 제1오디오(6)에 대한 제1피드백신호(8)를 오디오 수신부(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1테스트신호(4)에는 아날로그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자장치(1)는 제1피드백신호(8)에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피드백신호(8)에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지 않으면, 전자장치(1)는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도록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제1테스트신호(4)에 포함된 아날로그정보 및 제1피드백신호(8)에 포함된 피드백정보 간의 간단한 비교를 통해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계상, 시간상, 비용상 등에 있어서 자가 출력 보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아날로그정보는 노이즈에 민감하므로, 제1피드백신호(8)에 노이즈신호가 포함되는 경우, 노이즈에 의해 피드백정보가 왜곡되는 결과, 아날로그정보 및 피드백정보 간의 비교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이는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의 정확도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전자장치(1)는 아날로그정보와 다른 타입의 정보, 예컨대, 디지털정보를 활용하여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자가 출력 보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전자장치(1)는 제2테스트신호(2)에 기초하여 제2오디오(7)를 출력하고, 제2오디오(7)에 관한 제2피드백신호(9)를 수신할 수 있다. 제2테스트신호(2)에는 디지털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자장치(1)는 제2피드백신호(9)에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피드백신호(9)에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전자장치(1)는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도록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정보는 이진 데이터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정보는 두 전압에 대응시킨 1과 0로 구성된 정보로서, 제2피드백신호(9)에 노이즈신호가 포함되더라도, 두 전압 자체가 변경되지 않은 한 1과 0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털정보는 노이즈에 대한 내성으로 인해, 아날로그정보 대비 노이즈에 의한 왜곡 가능성이 낮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1)는 제1피드백신호(8)에 포함된 피드백정보 및 제2피드백신호(9)에 포함된 피드백정보에 기초하여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계상, 시간상, 비용상 등에 있어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보다 정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장치에 관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자장치(1)의 구성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서는 전자장치(1)가 TV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전자장치(1)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가 전자장치(1)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장치(1)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 경우의 전자장치(1)는 디스플레이(24)와 같은 영상 표시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가 셋탑박스로 구현되는 경우에, 전자장치(1)는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외부의 TV에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인터페이스부(21)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는 유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지상파/위성방송 등 방송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연결되거나, 케이블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내장할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HDMI 포트, DisplayPort, DVI 포트, 썬더볼트,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등과 같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USB 포트 등과 같은 범용 데이터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광 전송규격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오디오 수신부(3) 또는 오디오 수신부(3)을 구비한 외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헤드셋, 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과 같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 오디오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이더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커넥터 또는 포트를 통해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기기,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서버 등과 1:1 또는 1:N(N은 자연수)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기기로부터 비디오/오디오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외부기기에 비디오/오디오신호를 송신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비디오/오디오신호를 각각 별개로 전송하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전자장치(1)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1)는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전자장치(1)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통신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서 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이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1대 1 다이렉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의 사이에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적외선 통신규격에 따라 IR(Infrared)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하거나,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기기로 리모컨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른 방식의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기기와 리모컨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수신하는 비디오/오디오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수신된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통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 및 서버 이외의 다른 외부 장치들과 연결되어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는 설계 방법에 따라 유선 인터페이스부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포함하며, 유선 인터페이스부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사용자입력부(23)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23)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 관련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23)는 전자장치(1)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전자장치(1)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터치패드, 디스플레이(24)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전자장치(1)는 디스플레이(2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4)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24)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디스플레이(24)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을 포함한다. 다만, 디스플레이(24)는 전자장치(1)가 셋탑박스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센서부(25)를 포함한다. 센서부(25)는 전자장치(1)의 전방을 센싱하여, 예컨대,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장치의 유무,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는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의 전방을 캡처하여, 캡처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장치의 유무,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센서부(25)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장치의 유무,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 출력부(2)를 포함한다. 오디오 출력부(2)는 오디오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는 전자장치(1)에 마련된 내부 스피커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가 외부 스피커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장치(1)는 오디오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 수신부(3)를 포함한다. 오디오 수신부(3)은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오디오 출력부(2)로부터 출력된 오디오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사용자발화에 대한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대한 노이즈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수신부(3)은 수집된 오디오신호를 프로세서(27)에 전달한다. 오디오 수신부(3)은 전자장치(1)에 마련된 내부 마이크 또는 본체와 분리된 리모컨, 스마트폰 등에 마련된 외부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수신부(3)가 외부 마이크로 구현되는 경우, 외부 마이크로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디지털화 되어 리모컨, 스마트폰 등으로부터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등에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 등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모컨의 기능, 예컨대, 전자장치(1)를 제어하거나, 스마트폰 등에 마련된 외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신호에 대한 오디오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은 AI 스피커, AI 로봇 등 다양한 외부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입력부(23), 디스플레이(24), 센서부(25), 오디오 출력부(2), 오디오 수신부(3) 등은 인터페이스부(21)와 별도의 구성으로 기재되었으나, 설계 방법에 따라 인터페이스부(21)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저장부(26)를 포함한다. 저장부(26)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6)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 속성의 스토리지(storage)와, 프로세서(27)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휘발성 속성의 메모리(memory)를 포함한다. 스토리지에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으며, 메모리에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다. 음성 어시스턴스가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저장부(26)는 음성 어시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프로세서(27)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7)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는 전자장치(1)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프로세서(27)는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4)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5)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2)를 통해 제1오디오(6) 및 제2오디오(7)를 각각 출력하고, 오디오 수신부(3)를 통해 제1오디오(6) 및 제2오디오(7)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8) 및 제2피드백신호(9)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8) 및 제2피드백신호(9)에 포함된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7)는 통신부(22)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면서, 상기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는 상기한 제1오디오(6) 및 제2오디오(7)의 출력 동작, 제1피드백신호(8) 및 제2피드백신호(9)의 수신 동작,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의 식별 동작 및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서버가 나머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자장치(1)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설계 방법에 따라 상기한 구성 중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한 구성 이외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27)는 상기한 출력 동작, 수신 동작, 식별 동작 및 출력 보정 동작을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네트워크(Neural Network),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7)는 학습부 및 인식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인식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식(또는, 추론, 예측, 추정,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부(26) 또는 서버저장부(42)로부터 획득하거나,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한 동작을 수행한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키기 전에, 획득된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학습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학습부는 전처리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는,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또는,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가중치를 가지며,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들은 일 신경망 네트워크의 출력 값이 다른 신경망 네트워크의 입력 값으로 이용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신경망 네트워크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과 같은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식부는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저장부(26) 또는 서버저장부(42)로부터 획득하거나,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인식 대상이 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전에, 획득된 타겟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타겟 데이터들 중에서 인식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 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인식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인식부는 전처리된 타겟 데이터를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함으로써, 신경망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츨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인식부는 출력값과 함께, 확률값 또는 신뢰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각 동작은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27)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4)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5)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2)를 통해 제1오디오(6) 및 제2오디오(7)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S31).
프로세서(27)는 오디오 수신부(3)를 통해 제1오디오(6) 및 제2오디오(7)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8) 및 제2피드백신호(9)를 수신할 수 있다(S32).
프로세서(27)는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8) 및 제2피드백신호(9)에 포함된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33).
이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계상, 시간상, 비용상 등에 있어서 효율적인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테스트신호에 포함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27)은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를 활용하여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를 이용하여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프로세서(27)는 자가 출력 보정을 위한 아날로그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아날로그정보는 진폭, 음압, 주파수, 주파수 대역 또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날로그정보가 진폭 및 주파수에 관한 정보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27)는 설정된 진폭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1테스트신호(4)를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제1아날로그정보(41) 또는 제2아날로그정보(42)와 같이 서로 다른 진폭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1테스트신호(4)를 마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설계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1테스트신호(4)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테스트신호(4)는 미리 정해진 진폭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마련된 비프신호, 톤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상기와 같이 마련된 제1테스트신호(4)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2)를 통해 제1오디오(6)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1오디오(6)에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8)를 오디오 수신부(3)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 및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 및 주파수가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 및 주파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는 어느 주파수 대역에서 어느 정도의 진폭 손실이 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 결과,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 및 주파수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27)는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 및 주파수가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 및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자가 출력 보정을 위한 디지털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정보는 아날로그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이진 데이터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이진 데이터 정보는 진폭 및 주파수를 서로 다른 두 전압을 나타내는 1과 0로 표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데이터 정보는 앞서 제1테스트신호(4)의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디지털정보는 임의의 이진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정보의 이진 데이터 정보가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여 마련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아날로그정보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제1디지털정보(43)는 제1아날로그정보(41)에 기초하여 "001000010"로 표현될 수 있으며, 제2디지털정보(44)는 제2아날로그정보(42)에 기초하여 "01110111"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아날로그정보에서 디지털정보로의 변환에는 다양한 변환 알고리즘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도 4에 표현된 바와 달리 변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디지털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변조는 디지털정보를 제2테스트신호(5)에 싣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는 일정한 진폭 하에 디지털정보에 따라 주파수를 변경하는 주파수변조, 디지털정보에 따라 진폭을 변경하는 진폭변조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프로세서(27)는 디지털정보에 대해 다양한 변조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디지털정보에 대한 변조를 통해 마련된 제2테스트신호(5)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2)를 통해 제2오디오(7)를 출력하고, 제2오디오(7)에 대응하는 제2피드백신호(9)를 오디오 수신부(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수신된 제2피드백신호(9)에 대한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는 제2테스트신호(5)에 대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으로, 제2피드백신호(9)로부터 디지털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복조를 통해 제2피드백신호(9)로부터 획득된 디지털정보가 제2테스트신호(5)에 실린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는 이진 데이터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어느 주파수 대역에서 어느 정도의 진폭 손실이 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 결과, 제2피드백신호(9)의 디지털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27)는 제2피드백신호(9)의 디지털정보가 제2테스트신호(5)의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아날로그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설계상, 시간상, 비용상 등에 있어서 효율적인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는 디지털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가 높은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프로세서(27)가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성능(51)을 고려하여 자가 출력 보정하는 경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성능(51)은 출력 진폭(w1), 출력 음압, 출력 주파수, 출력 주파수 대역(b1) 또는 출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진폭(w1) 및 출력 주파수 대역(b1)을 고려하여 자가 출력 보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진폭(w1) 및 출력 주파수 대역(b1)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식별된 출력 진폭(w1) 및 출력 주파수 대역(b1)에 대응하도록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w2) 및 주파수 대역(b2)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는 진폭(w2) 및 주파수 대역(b2)이 출력 진폭(w1) 및 출력 주파수 대역(b1) 이내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설정된 진폭(w2) 및 주파수 대역(b2)에 기초하여 제1테스트신호(4)를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는 설정된 진폭(w2) 및 주파수 대역(b2)에 기초하여 제1테스트신호(4)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신호 필터링을 위해 노치 필터(Notch Filter) 또는 바이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신호 필터링을 위해 다양한 필터링 구성을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필터링된 제1테스트신호(4)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6)를 출력하고, 제1오디오(6)에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8)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이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w2) 및 주파수 대역(b2)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일,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이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w2) 및 주파수 대역(b2)에 대응하지 않으면, 프로세서(27)는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이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w2) 및 주파수 대역(b2)에 대응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7)는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주파수 대역(b1) 이내의 특정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7)는 설정된 진폭(w2) 및 특정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1테스트신호(4)를 필터링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의 개수는 설계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필터링된 제1테스트신호(4)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6)를 출력하고, 제1오디오(6)에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 및 특정 주파수가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w2) 및 특정 주파수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성능(51)을 고려하여 아날로그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아날로그정보에 기초한 자가 출력 보정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지털정보에 기초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과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는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성능(51)을 고려하여 디지털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는 디지털정보의 이진 데이터 정보가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진폭(w1) 및 출력 주파수 대역(b1) 이내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설정된 디지털정보에 기초하여 제2테스트신호(5)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제2테스트신호(5)에 기초하여 제2오디오(7)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2오디오(7)에 대응하는 제2피드백신호(8)의 디지털정보를 식별하고, 제2테스트신호(5)의 디지털정보 및 제2피드백신호(8)의 디지털정보 간의 대응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성능(51)을 고려하여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오디오 출력부(2)에 최적화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가 출력 보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가 마련된 경우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성능(51)을 고려하여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오디오 출력부(2)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 프로세서(27)가 각 오디오 출력부(2)의 출력 성능을 고려하여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부(2)는 제1오디오 출력부(61) 및 제2오디오 출력부(6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오디오 출력부(2)는 설계 방법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1오디오 출력부(61)의 제1출력 성능(63) 및 제2오디오 출력부(62)의 제2출력 성능(64)를 식별할 수 있다. 제1출력 성능(63) 및 제2출력 성능(64) 각각은 제1오디오 출력부(61) 및 제2오디오 출력부(62) 각각의 출력 진폭, 출력 음압, 출력 주파수, 출력 주파수 대역 또는 출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오디오 출력부(61, 62)의 출력 진폭 및 출력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세서(27)는 제1오디오 출력부(61)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도록 제1서브테스트신호(65)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고, 제1서브테스트신호(65)에 기초하여 출력된 제1서브오디오에 대응하는 제1서브피드백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식별 결과에 따라 제1오디오 출력부(61)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27)는 제2오디오 출력부(62)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도록 제2서브테스트신호(66)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고, 제2서브테스트신호(66)에 기초하여 출력된 제2서브오디오에 대응하는 제2서브피드백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식별 결과에 따라 제2오디오 출력부(6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1서브테스트신호(65)에 기초하여 출력된 제1서브오디오 및 제2서브테스트신호(66)에 기초하여 출력된 제2서브오디오를 동시에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제1오디오 출력부(61) 및 제2오디오 출력부(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는 제1오디오 출력부(61) 및 제2오디오 출력부(6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동시에 진행하거나,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시 또는 순차 진행 여부는 자동으로 정해지거나, 사용자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입력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오디오 출력부(2)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 아날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제1테스트신호(4)가 마련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5)를 마련함에 있어서 상기한 과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는 제1오디오 출력부(61)의 제1출력 성능(63) 및 제2오디오 출력부(62)의 제2출력 성능(64)을 고려하여 디지털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디지털정보에 기초하여 제2테스트신호(5)를 각각 마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2테스트신호(5) 각각에 기초하여 제2오디오(7)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오디오(7) 각각을 동시에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제1오디오 출력부(61) 및 제2오디오 출력부(6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1오디오 출력부(61) 및 제2오디오 출력부(6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을 동시에 진행하거나,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시 또는 순차 진행 여부는 자동으로 정해지거나, 사용자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입력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오디오 출력부(2)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라도, 오디오 출력부(2) 각각에 최적화된 자가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디오 출력부(2) 각각에 자가 출력 보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주변 환경에 기초하여 테스트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프로세서(27)가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날로그정보를 설정하는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오디오 수신부(3)를 통해 주변 오디오에 대한 주변 오디오신호(71)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주변 오디오신호(71)를 수신하면, 주변 오디오신호(71)로부터 주변 오디오신호(71)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변 오디오신호(71)에 관한 정보는 아날로그정보 또는 디지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변 오디오신호(71)에 관한 정보가 주변 오디오신호(71)의 주파수 대역 정보인 경우를 가정한다.
즉, 프로세서(27)는 주변 오디오신호(71)의 주파수 대역 정보를 획득하고, 제1테스트신호(4)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는 제1테스트신호(4)의 주파수 대역이 주변 오디오신호(71)의 주파수 대역과 중복되지 않도록 제1테스트신호(4)의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조정된 주파수 대역의 제1테스트신호(4)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6)를 출력하고, 제1오디오(6)에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8)의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양 주파수 대역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27)가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날로그정보를 설정하는 일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지털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주변 오디오신호(71)의 주파수 대역 정보를 획득한 경우를 예로 들면, 프로세서(27)는 주변 오디오신호(71)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는 제2테스트신호(5)의 주파수 대역이 주변 오디오신호(71)의 주파수 대역과 중복되지 않도록 디지털정보의 이진 데이터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조정된 디지털정보에 기초하여 제2테스트신호(5)를 마련하고, 제2테스트신호(5)에 기초하여 제2오디오(7)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2오디오(7)에 대응하는 제2피드백신호(9)에 앞서 조정된 디지털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아날로그정보 및 디지털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 정보에 의해 자가 출력 보정의 정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대비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동작 S33과 관련하여,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제1테스트신호(4)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6)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8)를 수신할 수 있다. 제1피드백신호(8)를 수신함에 있어서, 노이즈신호(81)가 유입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드백신호(8)의 아날로그정보가 노이즈로 인해 왜곡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노이즈로 인한 왜곡으로 제1피드백신호(8)에 포함된 피드백정보가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1피드백신호(8)에 포함된 피드백정보가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면, 다시 말해, 제1피드백신호(8)에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면, 제2피드백신호(9)에 포함된 피드백정보가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일 제2피드백신호(9)가 미리 수신된 경우라면, 프로세서(27)는 미리 수신된 제2피드백신호(9)에 포함된 피드백정보가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제2피드백신호(9)가 미리 수신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27)는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5)에 기초한 제2오디오(7)가 출력되도록 하여, 제2테스트신호(5)에 대응하는 제2피드백신호(9)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피드백신호(9)에 포함된 피드백정보가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에 대해 우선적 식별을 수행하고,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에 대해 식별을 수행함으로써,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과 관련하여,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제1피드백신호(8)에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의 정상적 포함 여부를 식별하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값 및 주파수값과,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값 및 주파수값을 비교할 수 있다. 진폭값을 비교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프로세서(27)는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값이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값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는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값과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값이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값이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값을 포함하는 제1문턱값(A1) 및 제2문턱값(A2)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제1피드백신호(8)의 진폭값이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값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프로세서(27)는 제1진폭값(91)을 포함하는 제1피드백신호(8) 또는 제2진폭값(92)을 포함하는 제2피드백신호(8)에 대해서는, 제1테스트신호(4)의 진폭값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7)는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의 포함 여부에 대해 보다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오디오 출력부(2)에 대한 자가 출력 보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장치(1)와 같은 기기(Machine)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27)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장치(1)와 같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예컨대,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컨대,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컨대,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컨대,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컨대,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전자장치
2: 오디오 출력부
3: 오디오 수신부

Claims (19)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
    오디오 수신부; 및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를 상기 오디오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에 포함된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 각각에 포함된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정보는 상기 제1테스트신호의 진폭, 주파수 또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정보는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테스트신호 및 상기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1테스트신호 및 복수의 상기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복수의 상기 제1오디오 및 복수의 상기 제2오디오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1오디오 및 상기 복수의 제2오디오가 상기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를 설정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에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2피드백신호에 상기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의 진폭이 제1문턱값 이하이거나, 제2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는 전자장치.
  10.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에 포함된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정보는 상기 제1테스트신호의 진폭, 주파수 또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정보는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테스트신호 및 상기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1테스트신호 및 복수의 상기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복수의 상기 제1오디오 및 복수의 상기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오디오 및 상기 복수의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오디오 및 상기 복수의 제2오디오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에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2피드백신호에 상기 디지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의 진폭이 제1문턱값 이하이거나, 제2문턱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날로그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아날로그정보를 포함하는 제1테스트신호 및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제2테스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1오디오 및 제2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오디오 및 상기 제2오디오에 각각 대응하는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피드백신호 및 제2피드백신호에 포함된 상기 아날로그정보 및 상기 디지털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피드백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대한 출력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200091935A 2020-07-23 2020-07-2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2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35A KR20220012746A (ko) 2020-07-23 2020-07-2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1/006283 WO2022019458A1 (ko) 2020-07-23 2021-05-2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35A KR20220012746A (ko) 2020-07-23 2020-07-2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746A true KR20220012746A (ko) 2022-02-04

Family

ID=7972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935A KR20220012746A (ko) 2020-07-23 2020-07-2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2746A (ko)
WO (1) WO20220194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4874B2 (en) * 2013-12-16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eedback detection
KR20150086978A (ko) * 2014-01-21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48071B1 (ko) * 2014-09-15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KR20200043128A (ko) * 2018-10-1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08680B1 (ko) * 2018-12-17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458A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489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udio zoo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480812B1 (en) Portable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10388301B2 (en)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2200054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423912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udio signal on basis of resolution set on basis of volume of audio signal
KR2022001274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0563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530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42484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6537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5424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0563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41229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71664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3325A (ko) 음성 인식을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16529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2376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08232A (ko) 에코 캔슬링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7159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92383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64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8840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13941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401277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 signal
US1145710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