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675A -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675A
KR20220012675A KR1020200091750A KR20200091750A KR20220012675A KR 20220012675 A KR20220012675 A KR 20220012675A KR 1020200091750 A KR1020200091750 A KR 1020200091750A KR 20200091750 A KR20200091750 A KR 20200091750A KR 20220012675 A KR20220012675 A KR 20220012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ooling
generating article
rod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262B1 (ko
Inventor
장철호
고경민
배형진
서장원
정민석
정종성
정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9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62B1/ko
Priority to PCT/KR2021/009236 priority patent/WO2022019587A1/ko
Priority to JP2021556663A priority patent/JP2022545138A/ja
Priority to CN202180005250.2A priority patent/CN114364270B/zh
Priority to US17/602,145 priority patent/US20220400741A1/en
Priority to EP21766369.9A priority patent/EP3970518A4/en
Publication of KR2022001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85Forming the rod for cigarettes with an axial air duc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7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with ventilating mean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24C5/007Perf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60Final treatment of cigarettes, e.g. marking, printing, branding, decorating
    • A24C5/606Perforating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1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adjustable means for modifying the degree of filtration of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로드; 상기 냉각로드에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천공; 및 상기 천공을 가리도록 상기 냉각로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 위치로부터 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Aerosol generating article, Cooling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ir volume control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증기를 생성한 후 생성한 증기를 고체 상태의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등의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외부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천공을 포함한다. 천공은 외부 공기가 통과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냉각량을 조절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냉각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된 매질로드;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타측에 배치된 필터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로드; 상기 냉각로드에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천공; 및 상기 천공을 가리도록 상기 냉각로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 위치로부터 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로드에 형성된 천공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기 위한 가림부재; 및 상기 가림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천공에 연통되기 위한 통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는 비교적 쉬운 작업을 통해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냉각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음과 동시에 냉각량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를 포함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를 포함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통과공이 천공에 연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가림부재가 천공을 가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통과공이 천공에 연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가림부재가 천공을 가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II-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천공이 3개의 그룹으로 냉각로드에 형성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I-I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가 냉각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에 있어서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III-I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공기량 조절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포함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를 포함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를 포함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매질로드(10), 필터로드(20),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로드(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의 일측에 배치된다. 매질로드(10)는 에어로졸 발생부(미도시), 매질부(11), 및 튜브필터(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부에 니코틴이 함유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발생부와 매질부(11)의 재료, 순서, 길이는 특정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발생부는 니코틴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부는 니코틴이 제외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로졸 발생부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에어로졸 발생부는 글리세린과 프로필렌 글리콜이 약 8:2의 비율로 혼합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혼합 비율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부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부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을 함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부는 권축된 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권축된 시트에 함침된 상태로 에어로졸 발생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들 및 가향액은 권축된 시트에 흡수된 상태로 에어로졸 발생부에 포함될 수 있다.
권축된 시트는 고분자 소재로 구성된 시트일 수 있다. 예컨대, 고분자 소재는 종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라이오셀(lyocel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권축된 시트는 고온으로 가열되더라도 열에 의한 이취가 발생되지 않는 종이 시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발생부는 4mm 내지 12mm의 범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길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부는 약 10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매질부(11)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질부(11)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등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질부(1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들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매질부(11)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매질부(11)에 분사됨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는 담배 각초 또는 재구성 담배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고, 니코틴은 담뱃잎을 성형하거나 재구성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는 프리 베이스 니코틴(free base nicotine), 니코틴 염(nicotine salt)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일 수도 있다.
예컨대, 매질부(11)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담뱃잎들의 배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처리 공정들을 통하여 상기 배합물을 가공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배합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히터의 가열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매질부(11)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매질부(11)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매질부(11)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매질부(11)의 길이는 6mm 내지 18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길이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매질부(11)는 약 12mm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튜브필터(12)는 매질부(11)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의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튜브필터(12)는 매질부(11)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튜브필터(12)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필터로드(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의 타측에 배치된다. 매질로드(10)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은 필터로드(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 필터로드(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토우에 가소제(예컨대, 트리아세틴)를 가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필터로드(20)는 4mm 내지 30mm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길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로드(20)는 약 14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로드(2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로드(2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로드(2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로드(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캡슐은 향액을 포함하고, 캡슐이 파쇄됨에 따라 누출된 향액에 의하여 향미가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캡슐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고, 캡슐이 파쇄됨에 따라 누출된 물질에 의하여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 캡슐은 향액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외곽은 포장재(30)로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포장재(30)와 에어로졸 발생부 및 매질로드(10) 사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열을 전도시키기 위한 열전도성 래퍼(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열전도성 래퍼의 외부를 균일하게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열전도성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부 및 매질로드(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포장재(30)는 확보홈(300, 도 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30)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외곽을 둘러싼 경우, 확보홈(300)은 천공(3)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통과공이 천공에 연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가림부재가 천공을 가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로드(2), 냉각로드(2)에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천공(3), 및 천공(3)을 가리도록 냉각로드(2)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 위치로부터 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장치(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사용자가 공기량 조절장치(4)를 이동시키는 비교적 쉬운 작업을 통해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냉각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음과 동시에 냉각량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이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타르의 양, 니코틴의 양 및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다양한 양의 타르, 니코틴 및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담배맛의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량 조절장치(4)는 크기가 변경 가능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량 조절장치(4)는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냉각로드(2)로부터 이격됨과 아울러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냉각로드(2)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공기량 조절장치(4)를 1회성이 아닌 반복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공기량 조절장치(4)의 사용 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공기량 조절장치(4)는 열 또는 빛 등에 의해 크기가 변경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량 조절장치(4)는 종이, 플라스틱, 비닐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점선은 크기가 변경된 공기량 조절장치(4)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냉각로드(2), 천공(3), 및 공기량 조절장치(4)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냉각로드(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냉각로드(2)는 튜브필터(12) 및 필터로드(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로드(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로드(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에 가소제(예컨대, 트리아세틴)를 가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로드(2)의 모노 데니어는 5.0이고, 토탈 데니어 28,000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모노 데니어로 제한되지 않는다.
냉각로드(2)는 종이로 제작되며, 내부에 중공(2a)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냉각로드(2)에 포함된 중공(2a)의 직경은 4mm 내지 8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직경이 채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직경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냉각로드(2)의 중공(2a)은 7.0mm 내지 7.5mm의 범위 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각로드(2)는 4mm 내지 30mm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길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냉각로드(2)는 약 12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각로드(2)는 여러 개의 종이들로 구성된 합지에 의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예컨대, 냉각로드(2)는 외측 종이, 중간 종이 및 내측 종이로 구성된 합지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합지를 구성하는 내측 종이의 내측면은 소정의 물질(예컨대, 폴리락트 산)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냉각로드(2)가 종이로 제작되는 경우, 냉각로드(2)의 전체 두께는 330um 내지 34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로드(2)의 전체 두께는 약 333u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두께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냉각로드(2)가 종이로 제작되는 경우, 냉각로드(2)의 전체 평량은 230g/m2 내지 250g/m2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로드(2)의 전체 평량은 약 240g/m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통과공이 천공에 연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의 가림부재가 천공을 가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해칭은 단면을 도시한 것이 아니라 구성의 구분을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천공(3)은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는 천공(3)을 통해 냉각로드(2)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냉각로드(2)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천공(3)은 냉각로드(2)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천공(3)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흡입량을 증대시켜서 무화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천공(3)은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냉각로드(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경방향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연장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천공(3)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홀(hole)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천공(3)은 냉각로드(2) 및 포장재(30, 도 1에 도시됨)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로드(2)에 형성된 천공(3) 및 포장재(30)에 형성된 천공(3)은 서로 대응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천공(3)과 냉각로드(2)의 일 단 사이의 거리는, 천공(3)과 냉각로드(2)의 타 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공(3)을 통한 냉각 효과는 필터로드(2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지점에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외부 공기가 냉각로드(2)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외부 공기에 의한 냉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냉각로드(2)의 일 단에는 매질로드(10)가 배치될 수 있다. 냉각로드(2)의 타 단에는 필터로드(20)가 배치될 수 있다.
천공(3) 및 냉각로드(2)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천공(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로드(2)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량 조절장치(4)는 냉각로드(2)의 반경방향을 따라 회전하여서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천공(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로드(2)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기량 조절장치(4)는 냉각로드(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여서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량 조절장치(4)가 냉각로드(2)의 반경방향을 따라 회전하여서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로부터 공기량 조절장치(4)가 냉각로드(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여서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공기량 조절장치(4)는 일 위치로부터 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일 위치 및 타 위치는 냉각로드(2)의 외측에 배치된 공기량 조절장치(4)의 소정의 위치일 수 있다. 일 위치 및 타 위치는 서로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공기량 조절장치(4)는 천공(3)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냉각로드(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량 조절장치(4)는 냉각로드(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기량 조절장치(4)에는 냉각로드(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공기량 조절장치(4)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천공(3)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냉각로드(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7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II-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공기량 조절장치(4)는 가림부재(41), 및 통과공(42)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부재(41)는 천공(3)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기 위한 것이다. 가림부재(41)는 공기량 조절장치(4)의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가림부재(41)는 냉각로드(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림부재(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로드(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로드(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림부재(41)는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천공(3)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천공(3)을 가릴 수 있다. 천공(3)이 냉각로드(2)에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가림부재(41)는 복수 개의 천공(3)의 일부를 가림으로써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통과공(42)은 천공(3)에 연통되기 위한 것이다. 통과공(42)은 가림부재(41)에 형성될 수 있다. 통과공(42)은 도 5,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천공(3)을 통과하도록 천공(3)에 연통될 수 있다. 통과공(4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림부재(4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천공이 3개의 그룹으로 냉각로드에 형성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I-I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하나 이상의 천공(3)은 일 그룹을 이루며 상기 냉각로드(2)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 그룹은 상기 냉각로드(2)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천공(3)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그룹을 이루며 냉각로드(2)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천공(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그룹을 이루며 냉각로드(2)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그룹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3)이 포함될 수 있다.
통과공(42)은 천공(3)이 이루는 그룹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가림부재(41)에 형성될 수 있다. 천공(3)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그룹을 이루며 냉각로드(2)에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통과공(42)은 가림부재(41)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통과공(42) 사이의 이격거리는 천공(3)이 이루는 2개의 그룹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천공(3)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그룹을 이루며 냉각로드(2)에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통과공(42)은 가림부재(41)에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3개의 통과공(42) 간의 이격거리는 천공(3)이 이루는 3개의 그룹 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통과공(42)은 복수 개가 이격되어서 가림부재(4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통과공(42)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복수 개의 천공(3)이 서로 이격된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과공(42)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통과공(42)은 천공(3)과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천공(3)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통과공(42)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공정수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조절장치가 냉각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공기량 조절장치(4)는 냉각로드(2)의 외측에 감겨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량 조절장치(4)는 접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40)는 가림부재(41)의 일 단에 배치되어서 가림부재(41)의 일 단과 타 단을 접착시키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접착부(40)는 접착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부(40)는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에 있어서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III-I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지지장치(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5)는 공기량 조절장치(4)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공기량 조절장치(4)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여, 천공(3)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장치(5)는 냉각로드(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장치(5)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로드(2)의 외측에 감겨져서 배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5)는 종이, 플라스틱, 비닐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장치(5)는 제 1 지지부재(51), 및 제 2 지지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51)는 냉각로드(2)의 일측에 배치된 것이다. 냉각로드(2)의 일측은 필터로드(20)에서 매질로드(10)를 향하는 냉각로드(2)의 일부일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51)는 냉각로드(2)의 일측에 배치되어서 공기량 조절장치(4)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공기량 조절장치(4)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52)는 제 1 지지부재(5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제 2 지지부재(52)는 냉각로드(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로드(2)의 타측은 매질로드(10)에서 필터로드(20)를 향하는 냉각로드(2)의 일부일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52)는 냉각로드(2)의 타측에 배치되어서 공기량 조절장치(4)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1)는 공기량 조절장치(4)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52) 및 제 1 지지부재(51)의 사이에는 공기량 조절장치(4)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장치(5)는 공기량 조절장치(4)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함으로써, 공기량 조절장치(4)가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공기량 조절장치(4)는 제 2 지지부재(52) 및 제 1 지지부재(51)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5a, 도 16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52) 및 제 1 지지부재(51) 사이의 이격거리(5L, 도 17에 도시됨)는 냉각로드(2)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공기량 조절장치(4)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장치(5)는 공기량 조절장치(4)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더욱 제한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량 조절장치(4)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배터리(210), 제어부(220), 히터(230), 및 증기화기(24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히터(23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2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8에는 배터리(210), 제어부(220), 증기화기(240) 및 히터(23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는 증기화기(240) 및 히터(23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내부 구조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210), 제어부(220), 히터(230) 및 증기화기(24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히터(230) 및/또는 증기화기(240)를 작동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및/또는 증기화기(24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230) 및/또는 증기화기(240)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히터(230)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210)는 히터(230) 또는 증기화기(24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2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배터리(210), 히터(230) 및 증기화기(24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230)는 배터리(2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삽입되면, 히터(230)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2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2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23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23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23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23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3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는 히터(23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230)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230)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230)의 형상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24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2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2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24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24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24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24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배터리(210), 제어부(220), 히터(230) 및 증기화기(24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배터리(21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230)가 가열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의 전체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2 : 냉각로드
3 : 천공 4 : 공기량 조절장치
5 : 지지장치 41 : 가림부재
42 : 통과공 51 : 제 1 지지부재
52 : 제 2 지지부재 10 : 매질로드
20 : 필터로드 100 : 에어로졸 생성 물품
20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Claims (15)

  1.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로드;
    상기 냉각로드에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천공; 및
    상기 천공을 가리도록 상기 냉각로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 위치로부터 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은 상기 냉각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는 상기 냉각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회전하여서 상기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은 상기 냉각로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는 상기 냉각로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천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는 상기 냉각로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는 상기 천공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기 위한 가림부재, 및 상기 가림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천공에 연통되기 위한 통과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은 상기 천공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천공은 일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그룹은 상기 냉각로드에 복수 개가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는 크기가 변경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는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냉각로드로부터 이격됨과 아울러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냉각로드의 외면과 접촉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로드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냉각로드의 일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냉각로드의 타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는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냉각로드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공기량 조절장치의 길이와 동일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된 매질로드;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의 타측에 배치된 필터로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5.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로드에 형성된 천공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기 위한 가림부재; 및
    상기 가림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천공에 연통되기 위한 통과공;을 포함하는, 공기량 조절장치.
KR1020200091750A 2020-07-23 2020-07-23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KR102639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50A KR102639262B1 (ko) 2020-07-23 2020-07-23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PCT/KR2021/009236 WO2022019587A1 (ko) 2020-07-23 2021-07-19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JP2021556663A JP2022545138A (ja) 2020-07-23 2021-07-19 エアロゾル生成物品、エアロゾル生成物品用冷却組立体、及び空気量調節装置
CN202180005250.2A CN114364270B (zh) 2020-07-23 2021-07-19 气溶胶生成物品、气溶胶生成物品用冷却组件以及空气量调节装置
US17/602,145 US20220400741A1 (en) 2020-07-23 2021-07-19 Aerosol-generating article, cooling assembly for aerosol-generating articles, and air volume regulator
EP21766369.9A EP3970518A4 (en) 2020-07-23 2021-07-19 AEROSOL GENERATION ARTICLE, COOLING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ON ARTICLE AND AIR QUANTITY ADJU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50A KR102639262B1 (ko) 2020-07-23 2020-07-23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675A true KR20220012675A (ko) 2022-02-04
KR102639262B1 KR102639262B1 (ko) 2024-02-22

Family

ID=7931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750A KR102639262B1 (ko) 2020-07-23 2020-07-23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00741A1 (ko)
EP (1) EP3970518A4 (ko)
JP (1) JP2022545138A (ko)
KR (1) KR102639262B1 (ko)
CN (1) CN114364270B (ko)
WO (1) WO202201958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4281A (ja) * 2010-03-29 2016-03-17 ブリティッシュ・アメリカン・タバコ・ジャパン合同会社 喫煙品
KR101607994B1 (ko) * 2015-04-08 2016-03-31 (주)가교테크 담배대용심 교체 및 흡입농도 조절이 가능한 담배대용품
JP2019187423A (ja) * 2014-12-08 2019-10-31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tobacco (Investments) Limited 喫煙品、フィルターおよび喫煙品の製造方法
KR20200030896A (ko)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 방법
KR20200061290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3406A (en) * 1968-10-28 1970-03-31 Lawrence Murry Riegel Cigarettes
JPS567193Y2 (ko) * 1977-11-17 1981-02-17
JPS5697998U (ko) * 1979-12-27 1981-08-03
AU2015583A (en) * 1982-10-25 1984-05-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djustable air dilution filter for cigarette
JPS6230846U (ko) * 1985-08-08 1987-02-24
US4898190A (en) * 1989-03-01 1990-02-06 R. J. Reynolds Tabacco Company Adjustable air dilution cigarette with pressure drop compensation
JPH0341600U (ko) * 1989-09-01 1991-04-19
JP3325028B2 (ja) * 1996-06-17 2002-09-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生成物品
JP3042782U (ja) * 1997-04-22 1997-10-31 春見 太齋 安全喫煙パイプ
JP2005276551A (ja) * 2004-03-24 2005-10-06 Tokai Corp 流量調整フィルターおよび燃料電池用燃料容器
PL2787844T3 (pl) * 2011-12-08 2018-06-29 Philip Morris Products S.A. Urządzenie do wytwarzania aerozolu z regulowanym przepływem powietrza
EP2625975A1 (en) *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n aerosol-cooling element
US20130306085A1 (en) * 2012-05-17 2013-11-21 Loec, Inc. Methods and articles to control the gas-particle partition of an aerosol to enhance its taste characteristics
GB201217682D0 (en) * 2012-10-03 2012-11-1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smoking article and a method of manfacturing a smoking article
CN105142440B (zh) * 2013-05-31 2019-05-17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雪茄
WO2015180058A1 (zh) * 2014-05-28 2015-12-03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以及电子烟的进气量调节方法
KR20160069997A (ko) * 2014-12-09 2016-06-17 시아오춘 주 상부 충전식 전자 담배
KR20160080482A (ko) * 2014-12-29 2016-07-08 김한기 니코틴량 조절수단을 구비한 전자 담배
CN107438373A (zh) * 2015-02-02 2017-12-05 无畏品牌责任有限公司 个人电子蒸发器
CN204796750U (zh) * 2015-06-19 2015-11-25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雾化器及其气溶胶发生装置
GB2542376A (en) * 2015-09-16 2017-03-22 Nicoventures Holding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with variable airflow
KR102138246B1 (ko) * 2017-10-30 2020-07-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증기화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096214A (ko) * 2017-12-07 2020-08-1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열 팽창 가능한 센터링 요소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GB201805169D0 (en) *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Holdings Ltd A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KR102403222B1 (ko) * 2018-11-23 2022-05-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4281A (ja) * 2010-03-29 2016-03-17 ブリティッシュ・アメリカン・タバコ・ジャパン合同会社 喫煙品
JP2019187423A (ja) * 2014-12-08 2019-10-31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tobacco (Investments) Limited 喫煙品、フィルターおよび喫煙品の製造方法
KR101607994B1 (ko) * 2015-04-08 2016-03-31 (주)가교테크 담배대용심 교체 및 흡입농도 조절이 가능한 담배대용품
KR20200030896A (ko)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 방법
KR20200061290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0518A4 (en) 2022-07-20
KR102639262B1 (ko) 2024-02-22
EP3970518A1 (en) 2022-03-23
US20220400741A1 (en) 2022-12-22
CN114364270A (zh) 2022-04-15
WO2022019587A1 (ko) 2022-01-27
CN114364270B (zh) 2024-03-08
JP2022545138A (ja)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222B1 (ko)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299B1 (ko) 외부 래퍼를 포함하는 궐련
KR102480475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332541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102400620B1 (ko)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27343B1 (ko)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03276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008169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20153549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12675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KR102477682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2330302B1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503840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쓰레드 필터, 및 쓰레드 필터를 포함한 냉각 물품
KR20220050687A (ko)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10084014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US20240156151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KR102635852B1 (ko) 복수의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604670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US20240164439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same
KR20220155623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55540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