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290A -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290A
KR20200061290A KR1020190138773A KR20190138773A KR20200061290A KR 20200061290 A KR20200061290 A KR 20200061290A KR 1020190138773 A KR1020190138773 A KR 1020190138773A KR 20190138773 A KR20190138773 A KR 20190138773A KR 20200061290 A KR20200061290 A KR 20200061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article
perforation
segment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486B1 (ko
Inventor
최재성
이경준
장석수
황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ublication of KR2020006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7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with ventilating mean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8Selection of materials, other than tobacco, suitable for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75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 A24D3/0287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for composit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8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주류연(mainstream smoke)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주류연을 형성하기 위한 외기를 도입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전단 플러그; 주류연을 구성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담배 매질을 포함하는 담배 로드; 담배 로드를 중심으로 전단 플러그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 담배 로드를 포장하고,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 및 전단 플러그, 내부 권지로 포장되는 담배 로드 및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를 포장하고, 담배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을 포함하는 외부 권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receiving the sam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 및 담배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이 형성되는 외부 권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체 방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식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담배 매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주류연(mainstream smoke)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상기 주류연을 형성하기 위한 외기를 도입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전단 플러그; 상기 주류연을 구성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담배 매질을 포함하는 담배 로드; 상기 담배 로드를 중심으로 상기 전단 플러그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 상기 담배 로드를 포장하고,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 및 상기 전단 플러그, 상기 내부 권지로 포장되는 상기 담배 로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를 포장하고, 상기 담배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을 포함하는 외부 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 및 담배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을 포함하는 외부 권지가 담배 로드를 포장함에 따라, 주류연으로 합류하기 위한 외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담배 로드에 도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담배 매질에 히터에 의한 열이 보다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적절한 온도의 주류연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권지 및 외부 권지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통기도(permeability)가 개선될 수 있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부에서 담배 매질, 향미 물질 및 액상 조성물이 증기화(atomizing)되는 효율이 개선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의 양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끽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내부 권지에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에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가 포함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증기화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로 선택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가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전단 플러그(110), 담배 로드(120),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 내부 권지(140) 및 외부 권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도,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원통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원통 형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4.8 mm 이상 9.6 m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6.0 mm 이상 8.4 m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원통 형상인 경우, 전단 플러그(110), 담배 로드(120) 및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 역시 4.8 mm 이상 9.6 mm 이하, 또는 6.0 mm 이상 8.4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원통 형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길이는 37 mm 이상 59 mm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길이는 43 mm 이상 53 mm 이하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원통 형상인 경우, 전단 플러그(110)의 길이는 5 mm 이상 9 mm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전단 플러그(110)의 길이는 6 mm 이상 8 mm 이하일 수 있다. 담배 로드(120)의 길이는 12 mm 이상 18 mm 이하일 수 있다. 또는 담배 로드(120)의 길이는 14 mm 이상 16 mm 이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의 길이는 20 mm 이상 32 mm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의 길이는 23 mm 이상 29 mm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예시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및 그 구성 요소들의 직경 및 길이에 관한 수치가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형상 및 그 형상에 따른 각종 수치는 당업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에서 일부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어 가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가열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사용자에게 주류연(mainstream smoke)이 전달될 수 있다.
주류연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에서 상류로부터 하류로 흐르는 기류를 의미할 수 있다. 상류는 전단 플러그(110) 측을 의미할 수 있고, 하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 측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하류 측 단부를 통해 주류연을 흡입할 수 있다.
전단 플러그(11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 플러그(11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에 트리아세틴 등의 가소제가 첨가되어 제작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모노 데니어(mono denier)는 1.0 내지 1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단 플러그(110)의 필라멘트의 모노 데니어는 5.0일 수 있다.
전단 플러그(110)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단면은 Y자형일 수 있다. 전단 플러그(110)의 토탈 데니어(total denier)는 20,000 내지 30,0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00 내지 30,0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단 플러그(110)의 토탈 데니어는 28,000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단 플러그(110)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채널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전단 플러그(1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내부에 주류연을 형성하기 위한 외기를 도입하는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는 경우 전단 플러그(1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내부에서 주류연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위한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전단 플러그(110)에 형성되는 중공은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단 플러그(110)에 형성되는 중공은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 플러그(110)에 형성되는 중공은 Y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전단 플러그(110)는 담배 로드(120)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단 플러그(110)는 담배 로드(12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담배 로드(120)에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는 경우, 전단 플러그(1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지지할 수 있고, 흡연 과정에서 액상화되는 에어로졸이 누액되어 담배 로드(12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단 플러그(1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다른 종류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들로부터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 플러그(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인식용 코일의 인덕턴스(inductance)를 변화시키는 금속 호일(metal fo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호일을 구성하는 금속은 알루미늄(Al)일 수 있다.
담배 로드(12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담배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매질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배 매질은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매질은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담배 로드(120)는 전단 플러그(110) 및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담배 로드(120)는 원통 형상 내지 막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배 시트가 주름지게 접혀 원통 형상을 이루거나, 담배 가닥 또는 담배 각초가 원통 형상으로 주조될 수 있다.
담배 로드(12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담배 로드(12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12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120)에 전달되는 열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담배 로드(12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susceptor)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열 전도 물질이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하는 경우 담배 로드(12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120)는 무화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담배 로드(120)는 담배 로드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가하기 위한 향미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배 로드(12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12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120)에 분사되어 첨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담배 로드(120)를 중심으로 전단 플러그(11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담배 로드(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주류연을 냉각하거나, 주류연에 포함되는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여과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원통형 로드일 수 있고, 내부에 중공(hollow)을 포함하는 튜브형 로드일 수도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리세스(recess)형 로드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각각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향미를 발생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 있고, 가향액이 도포되는 별도의 섬유가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캡슐은 향미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캡슐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캡슐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가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또는 복수의 천공들이 형성되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물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가 단일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담배 로드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여과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적어도 하나의 권지(wrapper)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권지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에 외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perfora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단일 권지에 의해 포장될 수 있고, 둘 이상의 권지들에 의해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구성하는 담배 로드(120) 및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각각이 별도의 권지에 의해 개별적으로 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이 별도의 권지로 개별 포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구성들이 개별적으로 포장되는 경우, 개별적으로 포장되는 구성들 전체가 다른 권지에 의해 재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권지(140)는 담배 로드(120)를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권지(150)는 전단 플러그(110), 내부 권지(140)로 포장되는 담배 로드(120),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를 포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가 별도의 필터 권지에 의해 포장됨에 따라, 외부 권지(150)가 필터 권지에 의해 포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를 포장할 수도 있다.
내부 권지(140)는 다공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권지(140)의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소재는 높은 공기 투과율 내지 통기도(permeability)를 가질 수 있다. 다공성 소재가 높은 통기도를 가진다는 점에서,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140)를 통해 공기가 출입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내부 권지(140)는 20,000 코레스타 유닛(CU, CORESTA unit) 이상의 통기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내부 권지(140)는 40,000 코레스타 유닛 이상 55,000 코레스타 유닛 이하의 통기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내부 권지(140)는 45,000 코레스타 유닛 이상 50,000 코레스타 유닛 이하의 통기도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권지(140)의 통기도는 30,000 코레스타 유닛 이상 40,000 코레스타 유닛 이하일 수 있다. 또는, 내부 권지(140)의 통기도는 35,000 코레스타 유닛일 수 있다. 내부 권지(140)의 통기도가 20,000 코레스타 유닛 이상이 될 수 있음에 따라, 담배 로드(120)가 내부 권지(140)로 포장되는 경우에도 담배 로드(120)에 외기가 도입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내부 권지(140)의 두께는 70 ㎛ 이상 80 ㎛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8 ㎛일 수 있다. 내부 권지(140)의 평량은 20 g/m2 이상 25 g/m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3.5 g/m2일 수 있다.
외부 권지(150)는 멸균지(MFW)로 제작될 수 있다. 멸균지는 일반 종이보다 높은 인장 강도, 내수도 및 평활도 등을 갖도록 특수하게 제조되는 종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권지(150)의 평량은 57 g/m2 이상 63 g/m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g/m2일 수 있다. 외부 권지(150)의 두께는 64 ㎛ 이상 70 ㎛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7 ㎛일 수 있다.
외부 권지(150)에는 소정의 물질이 내첨될 수 있다. 소정의 물질의 예시로서 실리콘이 해당될 수 있고, 실리콘은 온도에 따른 변화가 적은 내열성,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성, 물에 대한 발수성, 및 전기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특성들을 갖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외부 권지(150)에 도포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외부 권지(150)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최외곽 면을 형성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모양은 외부 권지(150)의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권지(150)에는 문자, 무늬, 기호 및 이미지 등이 인쇄될 수 있고, 외부 권지(150)에 인쇄되는 문자, 무늬, 기호 및 이미지 등이 변경될 수 있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서로 다른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사용자는 외부 권지(150)에 인쇄되는 문자, 무늬, 기호 및 이미지 등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향미 또는 함유 재료의 성분비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성질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구별하여 선택할 수 있다. 외부 권지(150)의 모양에는 인쇄되는 문자, 무늬, 기호 및 이미지 등과 같은 시각적인 정보 또는 외부 권지(150)의 두께, 외부 권지(150)의 직경 차이와 같은 촉각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권지(150)는 담배 로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120)가 내부 권지(140) 및 외부 권지(150)로 포장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내부 권지(140)로 포장되는 담배 로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외부 권지(150) 상에서 담배 로드(120)의 상류 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권지(150)상에서 담배 로드(120)의 하류 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또는 상류 측에 대응되는 위치 및 하류 측에 대응되는 위치 모두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어, 외부의 기온, 풍속 및 습도 등의 환경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그로 인해 담배 로드(120)에 유입되는 외기가 받는 영향이 작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개수는 1개 이상 16개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개수는 6개 이상 12개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개수는 9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개수는 외기를 담배 로드(120) 내부에 도입하기에 적절한 다른 개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외부 권지(150)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개수가 9개인 경우, 9개의 제1 천공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 또는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부 권지(15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각각이 복수의 제1 천공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151a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151a 등) 각각은 서로 동일한 개수 또는 서로 상이한 개수의 제1 천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151a 등)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그룹들(151a 등) 각각은 외부 권지(15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개수가 9개인 경우, 9개의 제1 천공들은 3개의 그룹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3개의 그룹들 각각은 3개의 제1 천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그룹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3개의 그룹들은 모두 외부 권지(15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151a 등)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천공들 또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그룹들(151a 등) 각각에 포함되는 제1 천공들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와 복수의 그룹들(151a 등)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그룹들(151a 등) 중 인접하는 두 그룹들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그룹들(151a 등)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천공들 중 인접하는 두 제1 천공들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개수가 9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이 3개의 그룹들로 이루어지고, 3개의 그룹들 각각이 3개의 제1 천공들을 포함하는 경우, 3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3개의 제1 천공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3개의 그룹들 중 인접하는 두 그룹들 사이의 간격은 3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3개의 제1 천공들 중 인접하는 두 제1 천공들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151a 등)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천공들보다 복수의 그룹들(151a 등)이 서로 더 멀리 이격됨에 따라, 담배 로드(120)에 도입되는 외기가 외부 권지(150)의 표면을 통과하며 고르게 배분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기가 담배 로드(120)의 일부에만 편중되어 도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담배 로드(120) 전체에 외기가 보다 균일하게 도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세장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세장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세장형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형상은 외기를 도입하기에 적절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직경은 0.01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직경은 0.1 mm 이상 0.5 mm 이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그 직경이 0.01 mm 이상 3 mm 이하, 또는 0.1 mm 이상 0.5 mm 이하일 수 있고, 원형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최대 폭이 0.01 mm 이상 3 mm 이하, 또는 0.1 mm 이상 0.5 m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의 직경은 외기를 도입하기에 적절한 다른 수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예시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복수 개의 천공들이 일렬로 배열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천공들을 두 줄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은 복수 개의 천공들이 임의로 배열되는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140) 및 담배 로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포함하는 외부 권지(150)를 포함함에 따라, 주류연으로 합류하기 위한 외기가 담배 로드(120)에 도입될 수 있다. 담배 로드(120)에 도입되는 외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흡연되는 경우 주류연으로 합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이 담배 로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외기가 도입되더라도 주류연의 농도가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천공(151)을 통해 도입되는 외기는 담배 매질이 위치하는 담배 로드(120) 내부로 도입되어 주류연에 포함되므로, 제1 천공(151)을 통해 도입되는 외기 역시 담배 로드(120)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내부 권지(140)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외부 권지(15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도입된 외기가 높은 통기도를 갖는 내부 권지(140) 전체를 통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담배 로드(1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담배 로드(120) 내부의 담배 매질이 내부 권지(140)로 포장되어 지지될 수 있고, 담배 매질을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 등의 다른 구성들과 함께 외부 권지(150)로 포장하는 공정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는 내부 권지(140)의 장점이 유지되면서도, 담배 로드(120)에 외기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외부 권지(15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 및 내부 권지(140)에 포함되는 다공성 소재를 통해 주류연으로 합류하기 위한 외기가 담배 로드(120)에 도입됨에 따라 담배 로드(120)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 주류연으로 합류하기 위한 외기는 담배 로드(120)에 도입되는 과정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어, 담배 로드(120)에 고온으로 가열되는 외기가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담배 매질에 히터에 의한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담배 로드(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과 품질이 향상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끽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120)에 외기가 도입됨에 따라 주류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가열하기 위한 적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적정 온도 이상으로 예열할 수 있어, 흡연 초반에 생성되는 주류연이 과도한 열기를 가질 수 있으나, 담배 로드(120)에 외기가 추가적으로 도입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주류연이 일부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담배 로드(120)에 도입되는 외기에 의해 주류연이 적절한 온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 흡연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1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포함하는 외부 권지(150)에 의해 담배 로드(120) 내부에서 외부와의 공기 교환이 활발해짐에 따라, 담배 매질 및 향미 물질 등의 증기화가 보다 활발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외부 공기 교환 증가에 의해 담배 로드(120) 내부에서의 담배 매질 및 향미 물질 등의 증기압(vapor pressure)이 감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담배 매질 및 향미 물질 등의 증기화가 촉진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내부 권지에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부 권지(14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 권지(140)는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개수는 1개 이상 16개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개수는 6개 이상 12개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개수는 9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개수는 외기를 담배 로드(120) 내부에 도입하기에 적절한 다른 개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은 내부 권지(140)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개수가 9개인 경우, 9개의 제2 천공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 또는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부 권지(14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은 각각이 복수의 제2 천공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141a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141a 등) 각각은 서로 동일한 개수 또는 서로 상이한 개수의 제2 천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141a 등)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그룹들(141a 등) 각각은 내부 권지(14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개수가 9개인 경우, 9개의 제2 천공들은 3개의 그룹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3개의 그룹들 각각은 3개의 제2 천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그룹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3개의 그룹들은 모두 내부 권지(14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141a 등)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천공들 또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그룹들(141a 등) 각각에 포함되는 제2 천공들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와 복수의 그룹들(141a 등)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그룹들(141a 등) 중 인접하는 두 그룹들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그룹들(141a 등)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천공들 중 인접하는 두 제2 천공들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개수가 9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이 3개의 그룹들로 이루어지고, 3개의 그룹들 각각이 3개의 제2 천공들을 포함하는 경우, 3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3개의 제2 천공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3개의 그룹들 중 인접하는 두 그룹들 사이의 간격은 3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3개의 제2 천공들 중 인접하는 두 제2 천공들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141a 등)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천공들보다 복수의 그룹들(141a 등)이 서로 더 멀리 이격됨에 따라, 담배 로드(120)에 도입되는 외기가 내부 권지(140)의 표면을 통과하며 고르게 배분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기가 담배 로드(120)의 일부에만 편중되어 도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담배 로드(120) 전체에 외기가 보다 균일하게 도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세장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세장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세장형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형상은 외기를 도입하기에 적절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직경은 0.01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직경은 0.1 mm 이상 0.5 mm 이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그 직경이 0.01 mm 이상 3 mm 이하, 또는 0.1 mm 이상 0.5 mm 이하일 수 있고, 원형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최대 폭이 0.01 mm 이상 3 mm 이하, 또는 0.1 mm 이상 0.5 m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의 직경은 외기를 도입하기에 적절한 다른 수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은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예시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은 복수 개의 천공들이 일렬로 배열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은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천공들을 두 줄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은 복수의 제2 천공들이 임의로 배열되는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도입되는 외기가 내부 권지(140)의 다공성 소재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을 통해서도 담배 로드(1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에 외기가 전달되는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에 주류연을 희석하기 위한 외기를 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이 형성되는 경우 외부 권지(15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도입된 외기가 외부 권지(150) 및 내부 권지(14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에 형성되는 경우 외부 권지(150)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천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을 통한 외기 도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외기는 주류연으로 합류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141) 또는 내부 권지(140)의 다공성 소재를 통해 도입되는 외기는 담배 로드(120) 내부에서 주류연으로 합류하므로, 주류연의 농도가 감소하지 않을 수 있음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외기는 담배 로드(120)를 거치지 않으므로 주류연이 희석되어 주류연의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 내부에 도입되는 외기에 의해 주류연이 희석됨에 따라 주류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외기에 의해 주류연이 희석되어 주류연의 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류연의 향미가 조절되거나 사용자의 끽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을 통해 도입되는 외기에 의해 주류연의 온도 및 향미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에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가 포함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제1 세그먼트(131) 및 제2 세그먼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의 길이는 8 mm 이상 16 mm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제1 세그먼트(131)의 길이는 10 mm 이상 14 mm 이하일 수 있다. 제2 세그먼트(132)의 길이는 10 mm 이상 18 mm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제2 세그먼트(132)의 길이는 12 mm 이상 16 mm 이하일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 및 제2 세그먼트(132)가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세그먼트(131), 제2 세그먼트(132) 및 전단 플러그(110) 각각은 별개의 권지로 포장될 수 있고, 별개의 권지로 포장되는 제1 세그먼트(131), 제2 세그먼트(132) 및 전단 플러그(110)는 다시 외부 권지(150)로 포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단 플러그(110)는 플러그 권지(410)로, 담배 로드(120)는 내부 권지(140)로, 제1 세그먼트(131)는 제1 권지(431)로, 제2 세그먼트(132)는 제2 권지(432)로 포장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포장되는 전단 플러그(110), 담배 로드(120), 제1 세그먼트(131) 및 제2 세그먼트(132)는 다시 외부 권지(150)로 함께 포장될 수 있다.
한편, 내부 권지(140)는 전단 플러그(110)를 포장하는 플러그 권지(410), 제1 세그먼트(131)를 포장하는 제1 권지(431) 및 제2 세그먼트(132)를 포장하는 제2 권지(432)보다 높은 통기도를 가질 수 있다. 내부 권지(140)가 플러그 권지(410), 제1 권지(431) 및 제2 권지(432)보다 높은 통기도를 가짐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외부 권지(150)의 내부로 도입되는 외기가 플러그 권지(410), 제1 권지(431) 및 제2 권지(432)를 통과하는 대신 내부 권지(140)를 통과하여 담배 로드(120)에 전달될 수 있다.
전단 플러그(110)를 포장하는 플러그 권지(410)는 일반적인 필터 권지에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러그 권지(410)의 전체 두께는 45 ㎛ 이상 55 ㎛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3 ㎛일 수 있다. 플러그 권지(410)에 결합되는 금속 호일의 두께는 6 ㎛ 이상 7 ㎛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3 ㎛일 수 있다. 플러그 권지(410)의 평량은 50 g/m2 이상 55 g/m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3 g/m2일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를 포장하는 제1 권지(431)는 일반적인 필터 권지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권지(431)는 다공질 권지 또는 무다공질 권지일 수 있다. 제1 권지(431)의 통기도는 24,000 코레스타 유닛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권지(431)의 두께는 60 ㎛ 이상 70 ㎛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8 ㎛일 수 있다. 제1 권지(431)의 평량은 20 g/m2 이상 25g/m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1 g/m2일 수 있다.
제2 세그먼트(132)를 포장하는 제2 권지(432)는 PLA 합지로 제작될 수 있다. PLA 합지는 두 겹의 종이층 및 두 겹의 종이층 사이에 위치하는 PLA(polylactic acid)층을 포함하는 세 겹의 종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권지(432)의 두께는 100 ㎛ 이상 120 ㎛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 ㎛일 수 있다. 제2 권지(432)의 평량은 80 g/m2 이상 100 g/m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8 g/m2일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는 담배 로드(120) 및 제2 세그먼트(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담배 로드(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냉각할 수 있다. 또는, 제1 세그먼트(131)는 담배 로드(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주류연을 냉각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 및 제2 세그먼트(13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내부에 주류연을 희석하기 위한 외기를 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133)은 제1 세그먼트(131) 및 제2 세그먼트(13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는 내부에 중공(hollow)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가 튜브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주류연이 중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주류연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세그먼트(131)는 튜브 형상 외에도 내부에 공동(cavity)을 포함하는 리세스(recess) 형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는 상변이(phase shift)에 따른 열에너지의 이동을 통해 주류연을 냉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세그먼트(131)를 형성하는 물질은 열에너지가 흡수될 것을 요구하는 용융(melting) 또는 유리 전이(glass transition) 등의 상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세그먼트(131)를 형성하는 물질에 열에너지가 흡수되어 주류연이 냉각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분자 물질은 젤라틴(gelatin),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불화에틸렌프로필렌(FEP)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분자 물질은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락트산(PL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PCL), 폴리글리콜산(PGA),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s) 및 전분계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세그먼트(131)는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는 섬유 다발에 대한 직조 공정(weav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세그먼트(131)는 순수한 폴리락트산(PLA)으로 구성되는 섬유 다발에 대한 직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1 세그먼트(131)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에 트리아세틴 등의 가소제가 첨가되어 제작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제작되는 경우 제1 세그먼트(131)의 모노 데니어 및 토탈 데니어는 전단 플러그(110)의 모노 데니어 및 토탈 데니어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세그먼트(132)는 제1 세그먼트(131)를 중심으로 담배 로드(12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담배 로드(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여과할 수 있다. 또는, 제2 세그먼트(132)는 담배 로드(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주류연에 포함되는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세그먼트(132)는 주류연에 포함되는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집진 또는 흡착을 통해 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세그먼트(13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세그먼트(132)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모노 데니어(mono denier)는 1.0 내지 1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세그먼트(132)의 필라멘트의 모노 데니어는 9.0일 수 있다. 제2 세그먼트(132)의 필라멘트의 단면은 Y자형일 수 있다. 제2 세그먼트(132)의 토탈 데니어(total denier)는 20,000 내지 30,0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00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130)에 적어도 하나의 캡슐(433)이 포함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캡슐(433)은 제2 세그먼트(132)에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캡슐(433)은 향미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캡슐(433)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캡슐(433)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히터(11), 배터리(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장치(1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히터(11), 배터리(12) 및 제어부(13)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장치(10)의 설계에 따라 히터(11), 배터리(12) 및 제어부(13)가 배치되는 방식은 변경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수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지지 수단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를 고정하는 지지 수단은 전단 플러그(110)일 수 있다. 다만, 전단 플러그(110) 외에 다른 지지 수단이 장치(10)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히터(11)는 장치(10)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히터(11)가 가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히터(1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히터(11)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히터(11)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1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1)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11)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1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coi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suscep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히터(1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히터(11)는 관형 가열 요소, 판형 가열 요소, 침형 가열 요소 또는 봉형의 가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히터(1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의 형상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고, 내부 및 외부를 함께 가열할 수도 있다.
배터리(12)는 히터(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는 히터(11) 외에도 장치(10)가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12)는 제어부(13)가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는 장치(1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히터(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히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외에도 장치(10)가 수행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배터리(12), 히터(12)뿐만 아니라 장치(1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장치(10)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장치(1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장치(10)는 히터(11), 배터리(12) 및 제어부(13) 외에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1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는 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및 궐련 삽입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장치(10)에 수용되는 상태에서도 장치(10)에 장치외부 공기가 출입할 수 있다. 장치(10)는 장치외부 공기의 출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해 장치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수용하고 있는 장치(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장치외부 공기는 주류연을 형성하기 위한 외기로서 전단 플러그(110)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한편, 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장치외부 공기 중 일부는 전단 플러그(110)가 아닌 외부 권지(15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내부로 도입될 수도 있다.
전단 플러그(110)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내부로 도입되어 주류연을 형성하기 위한 외기는 담배 로드(120)가 히터(11)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담배 로드(120)가 히터(11)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에어로졸은 주류연의 일부(21)를 구성하여 장치(10)의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장치(10)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외부 권지(15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담배 로드(120)에 주류연으로 합류하기 위한 외기가 도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10)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및 장치(10) 사이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통로가 장치(10)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및 장치(10) 사이로 유입되는 장치외부 공기는 별도의 공기 통로 없이 장치(10)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및 장치(10)의 틈새로 유입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및 장치(10) 사이로 유입되는 장치외부 공기는 주류연으로 합류하기 위한 외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통해 담배 로드(120)에 도입되어 주류연의 일부(22)를 구성할 수 있다.
장치(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크기는 장치(10)의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에 대한 흡연에 관한 무화량, 흡인 저항, 주류연의 온도 및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장치(10)는 별도의 크래들(cradle)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크래들은 장치(10)의 배터리(12)를 충전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에 장치(10)가 결합되는 상태에서 히터(11)가 가열되어 사용자에게 주류연이 전달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증기화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히터(11), 배터리(12) 및 제어부(13) 외에 증기화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히터(11) 및 증기화기(14)는 일렬로 또는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에 따라 장치(1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증기화기(14)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액상 조성물을 증기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증기화기(14)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증기화기(14) 내에 포함되지 않고, 독립적인 모듈로서 장치(10)에 개별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의 담배 함유 물질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 등과 같은 심지(wic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또는 세라믹 히터 등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권선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가열 요소에 접촉하는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고, 그 결과로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은 장치(1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장치(1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장치(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해 장치(10)에 장치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과 혼합될 수도 있다.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은 주류연을 형성하기 위한 외기로서 전단 플러그(110)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내부에 도입될 수 있다.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 내부로 도입되는 에어로졸은 담배 로드(120)가 히터(11)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에어로졸과 혼합될 수 있고, 두 종류의 에어로졸들의 혼합 증기는 주류연의 일부(23)를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주류연의 일부(22)는 도 5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증기화기(14)를 더 포함하는 장치(10)에 의하여,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담배 로드(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과 혼합되어 주류연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류연의 향미가 다원화될 수 있고, 증기화기(14)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흡연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0)이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1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151)을 포함하는 외부 권지(150)를 포함하여 담배 로드(120)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순환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장치(10)를 통해 증기화기(14)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 및 담배 로드(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함께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담배 로드(120) 내부에서 증기가 포화되어 다시 액화되는 현상 없이 담배 매질 및 향미 물질 등이 원활하게 증기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주류연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히터
12: 배터리
13: 제어부
14: 증기화기
100: 에어로졸 생성 물품
110: 전단 플러그
120: 담배 로드
130: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
140: 내부 권지
150: 외부 권지
151: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

Claims (23)

  1. 주류연(mainstream smoke)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상기 주류연을 형성하기 위한 외기를 도입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전단 플러그;
    상기 주류연을 구성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담배 매질을 포함하는 담배 로드;
    상기 담배 로드를 중심으로 상기 전단 플러그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
    상기 담배 로드를 포장하고,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는 내부 권지; 및
    상기 전단 플러그, 상기 내부 권지로 포장되는 상기 담배 로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를 포장하고, 상기 담배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을 포함하는 외부 권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 및 상기 다공성 소재를 통해 상기 주류연으로 합류하기 위한 외기가 상기 담배 로드에 도입됨에 따라 상기 주류연의 온도가 조절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의 개수는 1개 이상 16개 이하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세장형 중 적어도 하나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의 직경은 0.01 mm 이상 3 mm 이하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은 각각이 복수의 제1 천공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들 중 인접하는 두 그룹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천공들 중 인접하는 두 제1 천공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에어로졸 생성 물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권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의 개수는 1개 이상 16개 이하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세장형 중 적어도 하나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의 직경은 0.01 mm 이상 3 mm 이하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은 각각이 복수의 제2 천공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들 중 인접하는 두 그룹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2 천공들 중 인접하는 두 제2 천공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에어로졸 생성 물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권지는,
    40,000 코레스타 유닛(CU, CORESTA unit) 이상 55,000 코레스타 유닛 이하의 통기도(permeability)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상기 주류연을 희석하기 위한 외기를 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천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는,
    상기 담배 로드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담배 로드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여과하고, 상기 제1 세그먼트를 중심으로 상기 담배 로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는 섬유 다발에 대한 직조 공정(weaving)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로드는,
    상기 담배 로드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가하기 위한 향미 물질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0.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액상 조성물을 증기화(atomize)시키는 증기화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기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상기 주류연을 형성하기 위한 외기로서 상기 전단 플러그를 통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도입되어 상기 담배 로드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과 혼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138773A 2018-11-23 2019-11-01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41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6476 2018-11-23
KR1020180146476 2018-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90A true KR20200061290A (ko) 2020-06-02
KR102441486B1 KR102441486B1 (ko) 2022-09-07

Family

ID=7109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773A KR102441486B1 (ko) 2018-11-23 2019-11-01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48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87A1 (ko) * 2020-07-23 2022-01-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WO2022167495A1 (en) * 2021-02-02 2022-08-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plug segments flanking an aerosol-generating element
WO2022191529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향시트가 적용된 전자식 무연담배
WO2022203148A1 (ko) *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냉각 성능과 향 지속성이 증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5363235A (zh) * 2022-07-12 2022-11-22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支撑段加香的气溶胶产生制品
WO2023075222A1 (en) * 2021-10-29 2023-05-04 Kt&G Corporation Cigarette and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with the same
WO2023214672A1 (ko) * 2022-05-04 2023-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WO2023214681A1 (ko) * 2022-05-04 2023-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P4302619A1 (en) * 2022-06-14 2024-01-10 Shenzhen Smoore Technology Limited Aerosol-generating substrate
WO2024017789A1 (en) * 2022-07-20 2024-01-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thick wrapper and front plug
WO2024051279A1 (zh) * 2022-09-09 2024-03-14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气溶胶产生制品及气溶胶产生系统
WO2024076107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510A (ko) * 2022-09-23 2024-04-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매질 세그먼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899A (ko) * 2002-02-15 2004-10-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흡연 장치 및 방법
KR20140118983A (ko) * 2011-12-30 2014-10-0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방-플러그 및 에어로졸-형성 기질을 가진 흡연 물품 및 사용방법
KR20150099771A (ko) 2012-12-21 2015-09-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기류 유도 요소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JP2018509917A (ja) * 2015-03-27 2018-04-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口側端くぼみおよび換気を備えた喫煙物品
KR20180088321A (ko) * 2018-05-12 2018-08-03 썬전 다카베이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궐련형 전자담배
KR20180111460A (ko) *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899A (ko) * 2002-02-15 2004-10-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흡연 장치 및 방법
KR20140118983A (ko) * 2011-12-30 2014-10-0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방-플러그 및 에어로졸-형성 기질을 가진 흡연 물품 및 사용방법
KR20150099771A (ko) 2012-12-21 2015-09-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기류 유도 요소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JP2018509917A (ja) * 2015-03-27 2018-04-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口側端くぼみおよび換気を備えた喫煙物品
KR20180111460A (ko) *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KR20180088321A (ko) * 2018-05-12 2018-08-03 썬전 다카베이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궐련형 전자담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87A1 (ko) * 2020-07-23 2022-01-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KR20220012675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물품용 냉각 조립체, 및 공기량 조절장치
CN114364270A (zh) * 2020-07-23 2022-04-15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物品、气溶胶生成物品用冷却组件以及空气量调节装置
JP2022545138A (ja) * 2020-07-23 2022-10-26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物品、エアロゾル生成物品用冷却組立体、及び空気量調節装置
CN114364270B (zh) * 2020-07-23 2024-03-08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物品、气溶胶生成物品用冷却组件以及空气量调节装置
WO2022167495A1 (en) * 2021-02-02 2022-08-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plug segments flanking an aerosol-generating element
WO2022191529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향시트가 적용된 전자식 무연담배
WO2022203148A1 (ko) *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냉각 성능과 향 지속성이 증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134696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냉각 성능과 향 지속성이 증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3075222A1 (en) * 2021-10-29 2023-05-04 Kt&G Corporation Cigarette and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with the same
WO2023214672A1 (ko) * 2022-05-04 2023-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WO2023214681A1 (ko) * 2022-05-04 2023-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P4302619A1 (en) * 2022-06-14 2024-01-10 Shenzhen Smoore Technology Limited Aerosol-generating substrate
CN115363235A (zh) * 2022-07-12 2022-11-22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支撑段加香的气溶胶产生制品
CN115363235B (zh) * 2022-07-12 2024-05-17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支撑段加香的气溶胶产生制品
WO2024017789A1 (en) * 2022-07-20 2024-01-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thick wrapper and front plug
WO2024051279A1 (zh) * 2022-09-09 2024-03-14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气溶胶产生制品及气溶胶产生系统
WO2024076107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486B1 (ko)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486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343251B2 (ja) シガレット及びシガレット用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138246B1 (ko) 증기화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173667B2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
JP7020746B2 (ja) 外部ラッパを含むシガレット
KR102156756B1 (ko) 복수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필터 구조물
JP7088595B2 (ja) シガレット及びシガレット用の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480475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JP2021512603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ヒータの電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その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2022537509A (ja) タバコシート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物品、及びそれを用いた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KR102425541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
CN114364270B (zh) 气溶胶生成物品、气溶胶生成物品用冷却组件以及空气量调节装置
KR102503840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쓰레드 필터, 및 쓰레드 필터를 포함한 냉각 물품
KR102632598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2785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4198B1 (ko)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7015322A (zh) 气溶胶生成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电子装置
JP2024516847A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
CN118102895A (zh) 烟以及用烟生成气溶胶的装置
JP2024511812A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及びそれを収容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2024515812A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
JP2024515963A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