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513A -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513A
KR20220012513A KR1020200091375A KR20200091375A KR20220012513A KR 20220012513 A KR20220012513 A KR 20220012513A KR 1020200091375 A KR1020200091375 A KR 1020200091375A KR 20200091375 A KR20200091375 A KR 20200091375A KR 20220012513 A KR20220012513 A KR 20220012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ay
disabled
notification device
braille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완
Original Assignee
김주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완 filed Critical 김주완
Priority to KR102020009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513A/ko
Publication of KR2022001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간단한 모터를 이용한 지하철 노선 알림 장치로써 지하철의 이동 시간에 맞게 모터를 동작시켜 실시간으로 지하철 노선도를 점자에 의해 알림 위치의 옆에 나타내어 정보를 알 수 있는 장치.
장애인석 팔걸이에 설치하는 기기이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비장애인이 보는 노선도처럼 현재 지하철역의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어 음성 안내를 듣지 못한 경우에도 교통상황 파악이 유용하다.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대중교통의 이동시간을 파악하여 알려주는 장치이므로 대중교통에서 효용 범위가 넓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subway st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the blin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점자 안내판을 기반으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에 탑승한 시각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교통 정보를 점자로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의 이동권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평등을 지향하고 있는 사회에서 당연히 보장되어야 하는 권리이다. 장애인은 사회적 장벽에 부딪혀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데 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복지를 개선하고 비장애인과의 장벽을 제거하여 '사회통합'을 이루고 궁극적으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에 따라,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더 나아가 사회통합에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교통수단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품은 지속적인 정보를 위해 점자로 지하철 노선도를 장애인석에 비치하여 정확하고 안전하게 현재 지하철역과 내릴 역을 파악하는 안내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버스, 전철 등의 교통수단에 설치된 교통약자전용석 팔걸이 상부에 배치된 점들과 모터를 이용하여 다음 정류장 명, 이전 정류장 명 등의 교통 정보를 교통약자 전용석에 착석하여 접촉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시청각 장애인 시력 및 청각이 노화된 노인, 시력이 나쁜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점자 표기법에 기초하여 팔걸이에 배치된 점들과 모터를 이용하여 다음 정류장 명 등의 교통 정보를 사용자의 촉각을 통해 알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점자 안내 방법에서, 교통수단이 현재 정류장을 출발함에 따라, 다음 정류장 관련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교통 정보에 따라 모터가 작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인석 팔걸이에 설치하는 기기이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비장애인이 보는 노선도처럼 현재 지하철역의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어 음성 안내를 듣지 못한 경우에도 교통상황 파악이 유용하다.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대중교통의 이동시간을 파악하여 알려주는 장치이므로 대중교통에서 효용 범위가 넓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의 동작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1 본 실시 예들은 시청각 장애우들을 위해 점자 표기법에 따라 점들을 제어하여 다음 정류장 명 등의 교통 정보를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통수단에 배치된 복수의 장애인 전용석 상부 면에 배치된 도트(dot)들을 활용하여 교통 정보를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들에서, "교통 수단"은 버스, 전철(즉, 지하철, 지승철 포함) 등의 대중교통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에서, 도트(dot)은 복수의 행(row)과 열(column)에 배치되어 점자 표기법에 따라 해당 글자 및 숫자를 나타내도록 돌출되어 있다.
점자 표기법은 텍스트(text) 기반의 글자(즉, 문자)와 숫자를 표현하기 위한 도트(dot)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글자는 언어에 따라 점자 표기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나라의 언어별 점자 표기법에 따라 점의 배치가 달라진다.
본 실시 예들에서는 한글 기반의 점자 표기법을 기반으로 점의돌출을 제어하여 교통 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실시 예에 해당하며, 한글 이외에 다양한 언어의 점자 표기법을 기반으로 교통 정보가 안내될 수 있다.
2 본 실시 예들에서, "알림 위치"에는 교통수단이 정차할 다음 정류장을 나타낸다. 해당 교통수단이 정차할 경우 모터가 동작하고 다시 다음 정류장에 도착할 경우 모터가 동작하는 것으로 노선도를 움직여 탑승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3 본 실시 예들에서, "노선도"는 도트(dot)들이 배치된다.
4 본 실시 예들에서, "정류장 명"은 버스, 전철 등이 정차하는 지점과 관련하여 미리 지정된 명칭으로서, 정류장 명이 미리 지정된 일정 길이 이상으로 긴 경우, 미리 약속한 축약된 형태 또는 영문 약어로 점을 기반으로 표현될 수 있다.
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6 도 1을 참고하면, 장애인 전용석 팔걸이 상부 면에 위치한 점자 안내판은 복수의 점들이 행과 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도트들 중 일부는 점자 표기법에 따라 해당 교통 정보를 나타내도록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손을 통해 돌출된 점자가 인식되어 다음 정류장 관련 정보(예컨대, 다음 정류장 명, 하차 방향 정보 등)를 탑승자가 확인할 수 있다.
7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의 동작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8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노선도
110 점자
200 모터
300 알림위치

Claims (1)

  1. 지하철의 이동 시간에 맞게 모터(200)를 동작시켜 실시간으로 지하철 노선도(100)를 점자(110)에 의해 알림 위치(300)의 옆에 나타내어 정보를 알 수 있는 단계;
KR1020200091375A 2020-07-23 2020-07-23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 KR20220012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75A KR20220012513A (ko) 2020-07-23 2020-07-23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75A KR20220012513A (ko) 2020-07-23 2020-07-23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513A true KR20220012513A (ko) 2022-02-04

Family

ID=8026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75A KR20220012513A (ko) 2020-07-23 2020-07-23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5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76285B (zh) 交通工具上的用于有视觉障碍的乘客的定向
BRPI0918521B1 (pt) dispositivo de entrada de chamada,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um dispositivo de entrada de chamada, processo para operação de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e processo para reequipagem de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Mark et al. Wayfinding directions as discourse: Verbal directions in English and Spanish
Flores et al. A public transit assistant for blind bus passengers
Ross Implementing assistive technology on wearable computers
KR20220012513A (ko) 시각장애인용 지하철역 알림 장치
JP2019121048A (ja) 乗客との会話により目的地を絞り込む移動体、移動体システム、目的地絞り込み方法及びプログラム
Majewski Part of Your General Public Is Disabled. A Handbook for Guides in Museums, Zoos, and Historic Houses.
Vystrčil et al. Naviterier-indoor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KR102057005B1 (ko) 원격제어리모컨을 이용한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Loo et al. Contributory factors to critically wrong road-crossing judgements among older people: An integrated research study
Arditi et al. Interactive tactile maps, visual disability, and accessibility of building interiors
Estival Aviation English: A linguistic description
JP2003346277A (ja) サイン及び誘導システム
Walker et al. Auditory Navigation Performance is Affected by Waypoint Capture Radius.
Hunter-Zaworski et al. Bus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sensory disabilities
Golledge et al. Towards an accessible city: Removing functional barriers to independent travel for blind and vision-impaired residents and visitors
JP2002117480A (ja) 移動支援装置
Marin-Lamellet et al. Combining verbal information and a tactile guidance surface: the most efficient way to guid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in transport stations?
Golledge et al. Public transit use by non-driving disabled persons: The case of the blind and vision impaired
Hwang et al. Development of a Route Guidance Support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Railway Stations
Piersma et al. GIDS architecture
Recommendation ITU-Tf. 921
Fusfeld Factors in Lipreading as Determined by the Lipreader
Čulík et al. Improving the Mo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