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486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486A
KR20220012486A KR1020200091141A KR20200091141A KR20220012486A KR 20220012486 A KR20220012486 A KR 20220012486A KR 1020200091141 A KR1020200091141 A KR 1020200091141A KR 20200091141 A KR20200091141 A KR 20200091141A KR 20220012486 A KR20220012486 A KR 2022001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area
displayed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준
김태훈
이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486A/en
Priority to US17/381,555 priority patent/US20220024313A1/en
Publication of KR2022001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4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K2370/152
    • B60K2370/166
    • B60K2370/52
    • B60K2370/7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and a method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comprises: an input unit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inside a vehicle; a memory storing a program controlling a display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program. The processor controls the displaying loca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device and a method therefor.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 형태의 발전에 따라, 차량 내 디스플레이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고, 디스플레이, 윈드쉴드, 윈도우까지 전 영역에 걸쳐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vehicle type, the in-vehicle display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a technology for using the display as a display in the entire area including a display, a windshield, and a window is also being developed.

그런데, 다양한 화면 및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 설정과 관련하여, 탑승자에게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in relation to setting the location of content to be displayed on various screens and enlarged display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delivering clearer information to passenger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내 적용 부품의 위치 정보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performing display control in conjunc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applied parts in a vehicle,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transmit information to passengers and to increase usability and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pla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vehicle device,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a display loc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ternal display is adjusted.

프로세서는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클러스터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The processor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in which cluster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프로세서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The processor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된 경우,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면,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설정한다. The processor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in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s fixed Set the location.

프로세서는 자율 주행 시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The processor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during autonomous driving.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a)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c)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vehicle device, (b) controlling a display loc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vehicle device, and (c)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in-vehicle device. and adjus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b) 단계는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클러스터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한다. In step (b), the display position at which cluster information is display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b) 단계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한다. In step (b),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controlled.

(c) 단계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된 경우,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면,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In step (c), whe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s fixed, when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content is moved to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djust the display position of information.

(c) 단계는 자율 주행 시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In step (c),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during autonomous driving.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또는 스티어링 휠의 차량 내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mart device or the steering wheel in the vehicle, and control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display information and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운전자와 동승자에 대해 각각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There is an effect of controlling the display information and the display area respectively provided to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주행 상황에 따라 운전자에게 우선 제공되어야 할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and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hat should be provided to the driver firs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의 거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변화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사물 위치 판단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의 휴대단말기 추가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상하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BV 내부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UB에서의 실내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주행 상황에서의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주행 상황에서의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상황에서의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상황에서의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휴대단말기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1 shows a displa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information changes according to a mounting position of a steering wheel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position determination of an object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movement and expansion of a left and right area of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illustrate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vertical area of th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show left and right area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PBV intern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indoor display in a H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information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positions of a steering wheel and a portable terminal in a manual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a 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 manual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information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positions of a steering wheel and a portable terminal in an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a 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n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illustrate display control according to a passenger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llustrates a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nly provided to easily inform the composition and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referenced elem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ad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1 shows a displa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pla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vehicle device, a memory 120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a display loc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cessor 130 for executing the program and the processor 130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프로세서(130)는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클러스터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The processor 130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at which cluster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프로세서(13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The processor 130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프로세서(130)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된 경우,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면,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설정한다. Whe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s fixed, the processor 130 mov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content is plac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Set the display position of information.

프로세서(130)는 자율 주행 시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The processor 130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during autonomous drivin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의 거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변화를 도시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information changes according to a mounting position of a steering wheel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W)에 휴대단말기(D)가 거치되고, 전방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으로 구획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mobile terminal D i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front display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1 , a second area A2 , and a third area A3 .

예컨대, 도 2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차량 내 기능 정보(예: 공조기 기능)를 디스플레이한다. For example, in FIG. 2A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portable terminal D are positioned on the driver's seat side, the first area A1 of the front display area displays clust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in-vehicle function information (eg, an air conditioner function).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차량 내 기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2B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portable terminal D are moved toward the passenger seat, the third area A3 displays cluster information, and the first area A1 In-vehicle fun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운전 제어권을 운전석에 탑승한 사용자로부터 조수석에 탑승한 사용자로 이양함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In transferring the driving control right from the user riding in the driver's seat to the user riding in the passenger seat,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portable terminal D may be moved to the passenger seat position.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중앙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차량 내 기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2C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mobile terminal D are moved to the central area, the second area A2 displays cluster information, and the first area A1 displays in-vehicle func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차량 내 좌석이 벤치형 시트인 경우, 착좌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확보되며, 스티어 바이 와이어 방식의 경우 스티어링 휠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확보된다. When the seat in the vehicle is a bench-type seat, the degree of freedom for the seating position is secured, and in the case of the steer-by-wire method, the degree of freedom for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is secured.

또한, 조수석 위치로 이동되기 전, 스티어링 휠(W)에 운전석에 탑승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를 떼어 내고, 스티어링 휠(W)이 조수석 위치로 이동된 후, 스티어링 휠(W)에 조수석에 탑승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before moving to the passenger seat position, remove the user's mobile terminal from the steering wheel (W) in the driver's seat, and after the steering wheel (W) is moved to the passenger seat position, the steering wheel (W) in the passenger seat A user's portable terminal may be moun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사물 위치 판단을 도시한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location determination of an object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센서(S)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룸미러 부근에 배치되거나, 도 3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 영역에 배치되어 차량 내 사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The camera/sensor S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rearview mirror as shown in FIG. 3(a) or is disposed in other areas as shown in FIG. 3(b)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objects in the vehicle. do.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센서(S)는 휴대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인식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정보 확인에 있어 UWB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3 , the camera/sensor S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recognizing the distance to the mobile terminal, and UWB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드형 센서 또는 스위치(S)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c) of Figure 3,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wide sensor or switch (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4 illustrates movement and expansion of a left and right area of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주행 상황에서, 휴대단말기의 거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출되는 정보의 내용 및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가 자동적으로 변화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ual driving situation, the content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are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이 때, 각 정보 표출에 대한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et the priority for each information expression by the user.

도 4의 (a)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H)가 운전석 부근의 스티어링 휠에 부착된 경우, 제1 영역(A1)에는 클러스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A2)에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3 영역(A3)에는 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휴대단말기(H)가 좌에서 우로 그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제1 영역(A1)은 휴대단말기(H)의 위치 정보에 따라 확장된다. Referring to FIG. 4A , when the mobile terminal H is attached to a steering wheel near the driver's seat, cluster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first area A1 and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A2. and media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3. When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 is moved from left to right, the first area A1 is expan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

이 때, 제1 영역(A1)의 확장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가상의 중심선까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가상의 중심선을 넘어 클러스터 정보(운전 관련 정보)가 표시될 경우,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the expansion of the first area A1 is limited to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entire display area, and this is because visibility may deteriorate when cluster information (driving-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beyond the virtual center line. .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석에 위치한 휴대단말기(H)가 우에서 좌로 이동됨에 따라, 클러스터 영역이 확장된다. As shown in (b) of FIG. 4 , as the portable terminal H located in the passenger seat is moved from right to left, the cluster area is expand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의 휴대단말기 추가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5 illustrates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승자의 휴대단말기(H2)가 추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중 동승자 측 영역(제3 영역, A3)에는 동승자의 휴대단말기(H2)와 연동된 스마트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As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H2 is added, smartphone contents linked to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H2 are displayed on the passenger side area (the third area, A3) of the display area.

이 때, 동승자 측 영역(A3)에는 미디어 조작 화면 및 스마트폰 컨텐츠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출된다. At this time, the media manipulation screen and the smartphone content display screen are displayed in the passenger side area A3.

운전자의 휴대단말기(H1) 및 동승자의 휴대단말기(H2)의 위치에 따라, 각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좌에서 우로, 또한 우에서 좌로 확장될 수 있는데, 이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그 확장이 제한된다.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driver's portable terminal H1 and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H2,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s may be extended from left to right and from right to left, which is based on a virtual center line among the entire display area. its extension is limite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상하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6 to 8 illustrate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vertical area of th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H)의 위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A1, A2, A3)의 위치가 조절된다. Referring to FIG. 6 ,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areas A1 , A2 , and A3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H .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상하 방향(z축) 휴대단말기 위치 이동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A1, A2, A3)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절된다. Referring to (b) of FIG. 6 ,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areas A1 , A2 , and A3 in which contents are displayed ar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vertical movement (z-axis)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도 6의 (c)를 참조하면, 테이블(T) 위에서 전/후/좌/우 이동되는 휴대단말기(H)의 위치 변화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영역(A1, A2, A3)의 위치가 조절된다. Referring to FIG. 6C ,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H that is moved forward/backward/left/right on the table T,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areas A1, A2, and A3 on which the contents are displayed is regulated

도 7의 (a)를 참조하면, 테이블(T) 위 제1 위치의 휴대단말기(H)의 위치에 따라, 윈드쉴드 또는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 중 영상 영역(A1)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FIG. 7A ,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 at the first position on the table 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image area A1 of the windshield or the entire display area.

도 7의 (b)를 참조하면, 테이블(T) 위에서 제2 위치로 휴대단말기(H)의 위치가 전방 이동됨에 따라, 영상 영역(A1)은 상부로 이동되고, 이동된 영상 영역(A1)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b) of FIG. 7 , as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 is moved forward to the second position on the table T, the image area A1 is moved upward, and the moved image area A1 is content is displayed on the

도 8의 (a)를 참조하면, 테이블(T) 위 제1 위치의 휴대단말기(H)의 위치에 따라, 윈드쉴드 또는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 중 영상 영역(A1)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a) of FIG. 8 , content is displayed on the image area A1 of the windshield or the entir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 at the first position on the table T.

도 8의 (b)를 참조하면, 릴렉스를 위한 착좌 자세 변화(후방 리클라이닝 및 시트 후방 이동)에 의해, 테이블(T) 위에서 제2 위치로 휴대단말기(H)의 위치가 후방 이동됨에 따라, 영상 영역(A1)은 상부로 이동되고, 이동된 영상 영역(A1)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b) of FIG. 8, as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 is moved backward from the table T to the second position due to the change of the seating posture for relaxation (rear reclining and seat rear movement), the image The area A1 is moved upward, an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moved image area A1.

이는 리클라이닝 시 테이블 및 테이블 위의 휴대단말기로부터 핸드 리치가 멀어짐과, 사용자의 시야가 상방으로 올라감을 고려한 디스플레이 제어의 실시예이며, 사용자의 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영상 영역(A1)은 상부로 이동되면서 그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is an embodiment of display control considering the distance from the table and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table during reclining and the user's view rising upward. As the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to the display area increases, the image area ( A1) is preferably moved upwards and the area is expand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BV(Purpose Built Vehicle) 내부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9 and 10 illustrate movement and expansion of a left and right area of a PBV (Purpose Built Vehicle) intern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BV, 미래형 차량 형태의 내부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의 위치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display of the PBV, a future vehicle type, in conjunction with the locatio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도 9의 (a)를 참조하면, PBV 내 2명의 탑승자가 탑승한 상황임을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 9A , it is assumed that two passengers in the PBV are on board.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탑승자의 휴대단말기(H1)와 연동되어, 내부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에 제1 탑승자의 개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FIG. 9B , the personal content of the first occupant is displayed on a partial area of the internal display by interwork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H1 of the first occupant.

도 9의 (c)를 참조하면, 제1 탑승자는 휴대단말기(H1)의 위치를 이동시켜, 내부 디스플레이 중 개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C , the first occupant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1 to expand an area in which personal content is displayed among the internal displays.

도 9의 (d)를 참조하면, 제2 탑승자는 자신의 휴대단말기(H2)를 이용하여 PBV 내부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을 자신의 개인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한다. Referring to FIG. 9D , the second occupant uses a portion of the internal display of the PBV as his/her personal content display area using his/her portable terminal H2.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a)에서 제1 탑승자의 휴대단말기(H1)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1 탑승자의 개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된다. Referring to FIG. 10 , as the first occupant's personal content is displayed as the first occupant's personal conten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is moved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H1)의 위치 정보 변화에 따라 개인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른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personal content display area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1.

예컨대, 제1 탑승자가 리클라이닝 기능을 통해 제1 탑승자의 좌석을 뒤로 젖힘에 따라, 제1 탑승자의 좌석에 배치된 테이블까지의 핸드 리치가 멀어지고, 제1 탑승자의 휴대단말기(H1)가 테이블 위에서 후방 이동됨에 따라, 제1 탑승자의 개인 컨텐츠 영역은 상부로 이동하며, 그 사이즈가 커지게 되며, 사이즈의 변동은 제1 탑승자의 안구로부터 내부 디스플레이까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이루어진다. For example, as the first occupant reclines the seat of the first occupant through the reclining function, the hand reach to the table disposed on the seat of the first occupant increases, and the portable terminal H1 of the first occupant moves away from the table. As it moves backward, the personal content area of the first occupant moves upward, and the size thereof increases, and the size is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from the eyeball of the first occupant to the internal display.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UB에서의 실내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11 shows an indoor display in a H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를 참조하면, UAM, PVB의 연동을 위한 거점이 되는 HUB의 내부에 실내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Referring to (a) of FIG. 11 , an indoor display is provided inside the HUB, which is a base for interworking of UAM and PVB.

도 11의 (b)를 참조하면, 각 고객은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거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내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개인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b) of FIG. 11 , as each customer adjusts the mounting position of his/her smart device, it is possible to view personal content using the internal display.

또한,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 이동에 따라, 개인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동 및 확장이 이루어진다. Also, referring to FIG. 11C , as described above, the personal content display area is mov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주행 상황에서의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steering wheel and a portable terminal in a manual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W)에는 휴대단말기(D)가 거치되고, 전방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으로 구획된다. Referring to FIG. 12 , the mobile terminal D i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front display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1 , a second area A2 , and a third area A3 .

예컨대, 도 12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미디어/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For example, in FIG. 12A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mobile terminal D are positioned on the driver's seat side, the first area A1 of the front display area displays clust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media/vehicle information.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b) of FIG. 12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portable terminal D are moved toward the passenger seat, the third area A3 displays cluster information, and the first area A1 Media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중앙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c) of FIG. 12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mobile terminal D are moved to the central area, the second area A2 displays cluster information, and the first area A1 displays media information,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주행 상황에서의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a 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 manual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W)에는 휴대단말기(D)가 거치되고, 전방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으로 구획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mobile terminal D i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front display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1 , a second area A2 , and a third area A3 .

예컨대, 도 13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For example, in FIG. 13A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mobile terminal D are positioned on the driver's seat side, the first area A1 of the front display area displays clust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vehicle information.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D)가 스티어링 휠(W)에서 떼어져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13B , as the mobile terminal D is removed from the steering wheel W and moved to the center fascia area, the third area A3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media information.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A3)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13C , as the portable terminal D is moved to the passenger seat area, the second area A2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media information. .

도 13의 (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2 영역(A2)이 내비게이션 정보 표출 영역으로 고정된 경우, 휴대단말기(D)가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출함을 유지하고, 제3 영역(A3)에 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d) of FIG. 13 , when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area is fixed as the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area, when the mobile terminal D is moved to the center fascia area, the second area A2 is While maintaining the display of navigation information, the media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상황에서의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information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positions of a steering wheel and a portable terminal in an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In FIG. 14A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mobile terminal D are positioned on the driver's seat side, the first area A1 of the front display area displays media information,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vehicle information.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b) of FIG. 14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portable terminal D are moved toward the passenger seat, the third area A3 displays media information, and the first area A1 Vehicle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중앙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c) of FIG. 14 ,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mobile terminal D are moved to the central area, the second area A2 displays media information, and the first area A1 displays vehicle information,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상황에서의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a 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n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사용 컨텐츠 미러링이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5 , mirroring of content for scann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도 15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 및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the steering wheel W and the mobile terminal D are positioned on the driver's seat side in FIG. 15A , the first area A1 of the front display area displays content information, and the second area A2 displays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and cluster information are displayed,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vehicle information.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D)가 스티어링 휠(W)에서 떼어져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2 영역(A2)은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 및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b) of FIG. 15 , as the mobile terminal D is removed from the steering wheel W and moved to the center fascia area, the second area A2 displays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irst area displays vehicle information, and the third area A3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and cluster information.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에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제1 영역(A1)에는 차량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2 영역(A2)에는 내비게이션 정보 및 클러스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As shown in (c) of FIG. 15 , as the portable terminal D is moved to the passenger seat area, conten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3 and vehicl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1. , navigation information and cluster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2 .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휴대단말기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16 and 17 illustrate display control according to a passenger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가 추가됨에 따라, 제3 영역(A3)에는 동승자의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FIG. 16A , as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D2 is added, conten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3 in conjunction with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가 조수석 측에서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에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와 연동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b) of FIG. 16 , as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D2 is moved from the passenger's seat side to the center fascia area, content information linked to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D2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2. do.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휴대단말기(D1)가 운전석 측에서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영역(A1)에는 클러스터 정보만이 표시되던 것에서 클러스터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되고, 제2 영역(A2)에 운전자의 휴대단말기(D1)와 연동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며, 제3 영역(A3)에는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와 연동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a) of FIG. 17 , as the driver's mobile terminal D1 is moved from the driver's seat side to the center fascia area, cluster informa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1 from only cluster information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linked to the driver's portable terminal D1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2, and content information linked to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D2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3. .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제2 영역(A2)에 대해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것으로 고정된 경우, 운전자의 휴대단말기(D1)의 위치 이동에도 제2 영역(A2)에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계속 표출되고, 제3 영역(A3)은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와 연동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b) of FIG. 17 , when navigation information is fixed to be displayed for the second area A2 , the navigation information continues in the second area A2 even when the driver moves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1 . is displayed, and in the third area A3, content information linked to the passenger's portable terminal D2 is displayed.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18 illustrates a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810)와,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S1820) 및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1830)를 포함한다.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vehicle device (S1810), controlling the display loc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vehicle device (S1820), and monitoring results of the location of the device in the vehicle and adjus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tep (S1830).

S1820 단계는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클러스터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한다. In step S1820, the display position at which cluster information is display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S1820 단계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한다. In step S18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controlled.

S1830 단계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된 경우,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면,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In step S1830, whe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s fixed, when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to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djust the display position.

S1830 단계는 자율 주행 시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한다. In step S18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during autonomous driv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adjus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Meanwhile,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or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A computer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memory, a user input device, a data communication bus, a user output device, and storage.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bus.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The comput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coupled to the network. The processor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rocesses instructions stored in a memory and/or storage.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and storag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memory may include ROM and RAM.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executable method. When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computer devic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may perform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y type of recording medium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d and executed as 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Claims (10)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an input unit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vehicle device;
a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is store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The processor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스티어링 휠 및 상기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클러스터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in which cluster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In-display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display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된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상기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설정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s fixed, the processor moves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display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Set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In-display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자율 주행 시 스티어링 휠 및 상기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during autonomous driving
In-display control unit.
(a)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vehicle device;
(b)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vehicle device; and
(c) adjus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ocation of the device in the vehicle
A display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스티어링 휠 및 상기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클러스터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b) is to control the display position at which cluster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In-display control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b) is to control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display control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된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상기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step (c), when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s fixed, when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s not Adjus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to another area
In-display control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자율 주행 시 스티어링 휠 및 상기 스티어링 휠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컨텐츠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c) is to adjust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during autonomous driving
In-display control method.
KR1020200091141A 2020-07-22 2020-07-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KR2022001248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141A KR20220012486A (en) 2020-07-22 2020-07-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17/381,555 US20220024313A1 (en) 2020-07-22 2021-07-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141A KR20220012486A (en) 2020-07-22 2020-07-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486A true KR20220012486A (en) 2022-02-04

Family

ID=8026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141A KR20220012486A (en) 2020-07-22 2020-07-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4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49842B (en) Adjust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hanging seat position in vehicle
US20180029501A1 (en)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US11648854B1 (en) Autonomous vehicle adapted for sleeping or resting in a reclined posture
CN106476660B (en) Enhance the seat adjustment of driver's visibility
US20160368509A1 (en) Method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component of a vehicle
US20140343796A1 (en) Detect Driver Persona in a Vehicle
CN108928281B (en) Vehicle seat with display device
JPWO2017159510A1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in-vehicle camera, vehicle, and parking assistance method
US11084408B2 (en) Dedicated massage function button for vehicle
US7430467B2 (en) Regulating method for a motor vehicle seat
CN109507799A (en) Vehicle-mounted HUD display methods and system
CN109572601A (en) Automobile seat adjus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90369396A1 (en) Heads-up display system
US202200243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11554670B2 (en) Display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display for a dashboard of a vehicle
KR202200124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JP6669017B2 (en) Vehicle oper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20210048884A1 (en) Display Method
KR202200138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10953811B2 (en) Vehicle image controll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20240101042A1 (en)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display units in a vehicle
US11491872B2 (en)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onto a windshield
US20200096356A1 (en) Method for a user/vehicle interface, and user/vehicle interface
CN111114439A (en) Automobile rearview mirror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KR202201360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steering wheel of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