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460A -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 Google Patents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460A
KR20220012460A KR1020200090914A KR20200090914A KR20220012460A KR 20220012460 A KR20220012460 A KR 20220012460A KR 1020200090914 A KR1020200090914 A KR 1020200090914A KR 20200090914 A KR20200090914 A KR 20200090914A KR 20220012460 A KR20220012460 A KR 2022001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v
emergency
real
miss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riority to KR102020009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460A/ko
Publication of KR2022001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04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3Flight plan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73Surveillance ai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구급차에서 벗어나 3차원 공간을 자율주행하여 이동할 수 있는 PAV를 활용해 사고피해자에게 필요한 응급구조키트를 빠르게 전달하고 환자를 빠르게 후송시킬 수 있고, 의료진과 실시간 중계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미리 준비하고 환자 인계 후 치료를 바로 시작하여 응급구조에 드는 시간을 줄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신고 접수 후 구급차가 출동하여 환자 이송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문제와 구급용 스마트 기기의 한계점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에 있어서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PAV 임무수행,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구급차에서 벗어나 3차원 공간을 자율주행하여 이동할 수 있는 PAV를 활용해 사고피해자에게 필요한 응급구조키트를 빠르게 전달하고 환자를 빠르게 후송시킬 수 있고, 의료진과 실시간 중계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미리 준비하고 환자 인계 후 치료를 바로 시작하여 응급구조에 드는 시간을 줄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신고 접수 후 구급차가 출동하여 환자 이송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문제와 구급용 스마트 기기의 한계점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Future Emergency Rescue System Using PAV}
본 발명은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에 있어서,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PAV 임무수행,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로 구성 하여서,
기존의 구급차에서 벗어나 3차원 공간을 자율주행하여 이동할 수 있는 PAV를 활용해 사고피해자에게 필요한 응급구조키트를 빠르게 전달하고 환자를 빠르게 후송시킬 수 있고, 의료진과 실시간 중계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미리 준비하고 환자 인계 후 치료를 바로 시작하여 응급구조에 드는 시간을 줄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은 구급용스마트기기와, 응급의료서비스서버와, 병원용스마트기기를 구축하여 기존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에 서비스를 추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은 긴급구조표준시스템(구급차, 응급대원), 구급용 스마트기기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은 긴급 구조 표준 시스템에서 응급구조자와 환자가 접촉후 스마트 기기로 의료기관과 소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은 신고 접수 후 구급차가 출동하여 환자 이송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문제와 구급용 스마트 기기의 한계점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110073382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이 신고 접수 후 구급차가 출동하여 환자 이송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문제와 구급용 스마트 기기의 한계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PAV 임무수행,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PAV 임무수행,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로 구성 함으로써, 기존의 구급차에서 벗어나 3차원 공간을 자율주행하여 이동할 수 있는 PAV를 활용해 사고피해자에게 필요한 응급구조키트를 빠르게 전달하고 환자를 빠르게 후송시킬 수 있고, 의료진과 실시간 중계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미리 준비하고 환자 인계 후 치료를 바로 시작하여 응급구조에 드는 시간을 줄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응급구조 시스템 운용개념도
즉, 본 발명은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1))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2))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3))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4))PAV 임무수행,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5))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은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것이다.
여기서, ((2))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은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것이다.
여기서, ((3))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은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것이다.
여기서, ((4))PAV 임무수행은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것이다.
여기서, ((5))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는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에 있어서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1))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2))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3))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4))PAV 임무수행,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5))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신고 접수 후 구급차가 출동하여 환자 이송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문제와 구급용 스마트 기기의 한계점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1))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2))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3))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4))PAV 임무수행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5))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 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 (2): 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 (3): 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 (4): PAV 임무수행, (5): 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

Claims (6)

  1. 시스템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에 있어서,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한 ((1))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2))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한 ((3))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한 ((4))PAV 임무수행,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한 ((5))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1))응급구조대원 PC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고 신고를 받고, PAV에게 임무전달, PAV의 비행제어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응급구조대원과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며 중계할 수 있게 실시간 3G/LTE/5G 무선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2))응급구조대원에서 PAV로 정보전달을 통하여 PAV 비행제어시스템에 원격으로 사고현장의 목적지를 지정해주고, PAV 내/외부의 상황, 기체 상황, 주행상태, 사고 피해자 상황 등 전체 임무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 할 수 있게 PAV와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3))PAV에서 응급구조대원으로 정보전달을 통하여 현재 주행중인 주행경로와 임무 목적을 분명히하고,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응급구조대원에게 중계 응급구조대원과 실시간 3G/LTE/5G 무선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4))PAV 임무수행을 통하여 목적지로 최적경로 탐색하여 스스로 이동후 탑재된 장비를 통해 환자상태를 확인하고 구급키트 전달 및 환자를 PAV에 실어 의료진과의 인계점으로 복귀하여 임무수행할 수 있게 최적경로탐색하여 자율주행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5))의료진과 응급상황 공유를 통하여 의료진이 사고 피해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치료들을 확인한 후 병원 도착후 바로 처치할 수 있게 응급구조대원이 받는 영상/소리 정보를 공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KR1020200090914A 2020-07-22 2020-07-22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KR20220012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14A KR20220012460A (ko) 2020-07-22 2020-07-22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14A KR20220012460A (ko) 2020-07-22 2020-07-22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460A true KR20220012460A (ko) 2022-02-04

Family

ID=8026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914A KR20220012460A (ko) 2020-07-22 2020-07-22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4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382A (ko) 2008-02-25 2011-06-29 나노머티어리얼스 디스커버리 코포레이션 선택투과성 막이 없는 직접 연료 전지 및 이의 구성요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382A (ko) 2008-02-25 2011-06-29 나노머티어리얼스 디스커버리 코포레이션 선택투과성 막이 없는 직접 연료 전지 및 이의 구성요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02986A (zh) 一种基于3g/4g网络的医疗急救无人机系统
CN110955260A (zh) 一种便携急救医疗设备智能调度系统及方法
US20180290731A1 (en) Mobile body,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body
US20160264377A1 (en) Elevator communication gateway
CN102637023A (zh) 基于3g、gprs手机通讯的远程无人机集群控制方法及系统
KR101897597B1 (ko)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
CN111301698A (zh) 一种生命救助飞行平台及其救助方法
KR20220012460A (ko) Pav를 활용한 미래형 응급구조시스템
CN105700349A (zh) 一种用于夜间群众疏散指挥及逃生引导的无人机系统
JP2019074782A (ja) 移動ロボット
KR102041542B1 (ko)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EP3195001B1 (en) Local navigation system
US9621258B2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for control of unmanned systems
PH12020500379A1 (en) Network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Assa et al. Role of air-medical evacuation in mass-casualty incidents—a train collision experience
Liu et al. Drones delivering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 new strategy to improve the prognosi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CN104527736B (zh) 一种有轨电车的交叉路口信号控制方法
KR101232877B1 (ko) 구원부를 갖는 열차의 무인운전 시스템
US20230402173A1 (en) Autonomous medical rescue robots and teams
US20210227371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vent response
CN206209895U (zh) 一种基于飞行机器人的院前急救系统
Blue et al. Overview of medical operations for a manned stratospheric balloon flight
CN114974526A (zh) 一种院前急救与院内救治协同救护系统
US106651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aming manned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614510B1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출동 지령 전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