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148A - 출입 관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출입 관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148A
KR20220012148A KR1020200091307A KR20200091307A KR20220012148A KR 20220012148 A KR20220012148 A KR 20220012148A KR 1020200091307 A KR1020200091307 A KR 1020200091307A KR 20200091307 A KR20200091307 A KR 20200091307A KR 20220012148 A KR20220012148 A KR 20220012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cess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passwor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순
Original Assignee
(주) 담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담비기술 filed Critical (주) 담비기술
Priority to KR102020009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148A/ko
Publication of KR2022001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148A/ko
Priority to KR1020220133627A priority patent/KR20220148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효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만을 선별하여 출입문의 입장을 허용하는 출입 관리 제어방법은, 안전 잠금장치가, 출입문을 개방시키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안전 잠금장치에 표시된 코드를 스캔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상기 안전 잠금장치의 단말기 ID를 리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ID와 저장된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안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비밀번호로 이루어진 QR 코드 신분증을과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QR 코드 신분증을과 인증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 또는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 잠금장치가, 상기 QR 코드 신분증을 스캔 또는 인증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식된 제1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인식된 제1 비밀번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안전 잠금장치가 상기 출입문을 개방시킨 후,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이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출입 관리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실에서 몰래카메라를 이용한 성범죄, 살인 사건 등 다양한 사건 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화장실 발생 범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는데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화장실 도어의 철저한 잠금 관리를 통해 신원 불명의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성별을 구분하여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화장실 도어는 기계식 잠금장치 또는 전자식 잠금장치를 통해 개폐가 제어되는데, 전자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외부인의 출입을 방지하거나 성별에 따라 출입을 통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전자식 잠금장치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버튼을 갖는 키패드를 포함하며, 키패드는 잠금장치의 비밀번호와 기능을 설정, 입력 또는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잠금장치 설정은 예를 들어, 사용자 액세스 코드(user access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 설정의 입력 또는 변경은 잠금장치 메모리 내로 사용자 액세스 코드를 프로그램하는 것, 잠금장치 메모리로부터 사용자 액세스 코드를 삭제하는 것 또는 잠금장치 기능 설정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키패드 및 다른 사용자 액세스 가능 스위치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잠금장치 설정을 변경하거나 조정하기 위해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그동안 공중화장실과 상가 화장실 도어는 대부분 개방되어 있어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거나 성별을 구분하여 출입을 통제하기 어려웠고, 이러한 상황에 의해 디지털 성범죄와 화장실의 위생 관리가 사회적 문제가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중화장실에 위급 상황 시 위급 상황을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비상벨을 설치하고, 상가 화장실에는 외부인을 통제하기 위한 전자식 잠금장치 설치하였다 . 하지만 비상벨은 사후 대책으로 범죄예방 효과가 극히 미미하며 상가의 화장실에 설치되고 있는 전자식 잠금장치 또한 비밀번호가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화장실의 비밀번호를 매장의 벽면에 크게 프린트해서 두고 고객이 확인한 후에 화장실의 전자식 잠금장치를 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해당 매장은 고객의 편의성을 위해 위와 같이 비밀번호를 관리하고 있지만, 한번이라도 해당 매장을 방문한 고객은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매장을 방문하지 않은 고객이라도 남녀 구분 없이 매장의 외부에서 비밀번호만 확인하고 화장실 전자식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러 매장이 함께 사용하는 전자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를 매번 주기적으로 변경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사정에 의해 비밀번호는 여러 곳으로 전파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비밀번호가 무분별하게 퍼져 범죄에 사용될 가능성도 매우 높다. 결국 유출이 쉬운 전자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 입력 방식으로 외부인 또는 성별을 구분하여 출입을 통제 관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16185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유효한 권한을 갖는 출입인만을 선별하여 출입문을 개방시키는 권한을 부여하는 출입 관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만을 선별하여 출입문의 입장을 허용하는 출입 관리 제어방법은, 안전 잠금장치가, 출입문을 개방시키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안전 잠금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된 단말기 ID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안전 잠금장치에 표시된 바코드ID를 스캔하여 상기 안전 잠금장치의 단말기ID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ID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발급 받아 미리 저장된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안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인증데이터 및 QR 코드 신분증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데이터 및 상기 QR 코드 신분증을 수신하여 인증데이터를 안전 잠금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거나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는 상기 안전 잠금장치가, 상기 인증데이터 또는 상기 QR 코드 신분증에 포함된 상기 제1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인식된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안전 잠금장치가 상기 출입문을 개방시킨 후,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이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입 관리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생년월일, 성별 및 전화번호를 사용자 정보로서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본인인증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 판단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본인인증서버로부터 본인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유효하게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보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입 관리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보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보안코드를 유효한 정보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생체인식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체인식정보를 입력 받아 유효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 상기 단말기 ID와 저장된 보안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입 관리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보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보안코드를 유효한 정보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보안코드 리드용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수신 받아 유효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 상기 단말기 ID와 저장된 보안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입 관리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생년월일, 성별정보를 사용자 정보로서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본인인증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 판단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본인인증서버로부터 수신된 본인인증정보를 기초로 여성의 사용자 단말기에만 상기 보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방법에 의하면, QR 코드 신분증 또는 인증데이터를 보유한 사용자만을 선별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출입문을 개방할 때마다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유효한 권한이 없는 사람의 출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시스템(10)은 안전 잠금장치(100), 출입 관리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본인 인증 서버(400)를 포함한다.
안전 잠금장치(100)는 출입문 또는 건물의 외부에 부착되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내장된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출입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잠금장치(100)는 일정한 조건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갱신할 수 있고, 갱신된 비밀번호는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안전 잠금장치(100)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유효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출입문이 개방될 때마다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전 잠금장치(100)는 사용자가 유효한 제1 비밀번호를 제공하여 출입문을 개방한 경우, 제1 비밀번호와 상이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는 제1 비밀번호가 아닌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안전 잠금장치(100)가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다.
안전 잠금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안전 잠금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바코드, 예컨대 이차원 바코드, 삼차원 바코드 등을 스캔하여 비밀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안전 잠금장치(100)는 유효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만을 선별하여 출입문의 입장을 허용시키기 위한 장치이므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된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에만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다.
안전 잠금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밀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안전 잠금장치(100)는 유효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만을 선별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에만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안전 잠금장치(100)는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이차원 바코드 또는 삼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 안전 잠금장치(100)는 별도의 표시 모듈을 통해 바코드를 표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코드를 포함하는 별도의 인쇄물이 출입문 또는 건물의 외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안전 잠금장치(100)는 단말기 ID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안전 잠금장치(100)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 ID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기를 특정하여 전송하거나 인접한 무작위의 사용자 단말기 전체 또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안전 잠금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 전체에 또는 특정 단말기에 ID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ID는 안전 잠금장치(100)가 설치된 출입문 및 건물의 위치 정보를 식별시키기 위한 정보로서, 안전 잠금장치(100)마다 서로 다른 단말기 ID가 부여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호스팅 할 수 있고, 네트워크 주소 지정이 가능한 장치로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데이터를 라이트(write)하거나 리드(read)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안전 잠금장치(100), 사용자 단말기(300),및 본인 인증 서버(40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통신망은 서버와 단말들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안전 잠금장치(100)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고, 안전 잠금장치(100)로부터 새로운 비밀번호가 제공될 때마다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유효한 사용자만을 선별하여 보안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출입 관리 서버(20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유효한 정보로서 사용자의 신분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보안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시스템은 공중 화장실과 같은 공간에서 발생되는 성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을 갖기 때문에, 출입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만을 선별하여 보안코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 남성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출입 관리 서버(200)는 보안코드 발급이 불가함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성별정보,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본인 인증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고, 본인 인증 서버(400)로부터 제공된 본인 인증정보를 기초로 신원이 확인된 여성 사용자에게만 보안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관리 제어시스템은 특정 그룹(단지 내 주민, 건물의 사용자, 특정 나이대, 특정 성별 등)에 포함된 사람에 한정하여 출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출입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특정 그룹에 속하는 경우만을 선별하여 보안코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 특정 그룹의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출입 관리 서버(200)는 보안코드 발급이 불가함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본인 인증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고, 본인 인증 서버(400)로부터 제공된 본인 인증정보를 기초로 특정 그룹에 포함된 것으로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에게만 보안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출입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본인 인증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고, 본인 인증 서버(400)로부터 제공된 본인인증정보를 기초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모두 보안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추후 안전 잠금장치(100)를 여는 시점에 단말기 ID와 보안코드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성별 내지 특정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안전 잠금장치(100)를 열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유효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 ID 및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기 ID에 대응하는 안전 잠금장치(100)를 개방시키기 위한 비밀번호를 QR 코드 신분증 및 인증데이터로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 신분증이란 비밀번호가 QR 코드 형태로 생성된 것이며, 인증데이터는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전자 파일이고, 상기 비밀번호는 안전 잠금장치(100)에 의해 생성되어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것이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생성된 QR 코드 신분증 및 인증데이터를 유효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안전 잠금장치(100)에 표시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안전 잠금장치(100)의 단말기 ID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단말기 ID와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는 안전 잠금장치(100)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된 단말기 ID를 인식할 수도 있으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단말기 ID와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출입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QR 코드 신분증을 표시모듈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안전 잠금장치(100)가 QR코드 신분증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는 안전 잠금장치(100)에 출입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인증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가 전송하는 인증데이터는 특정 안전 잠금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인 인증 서버(400)는 웹 인증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주소 지정이 가능한 장치로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데이터를 라이트(write)하거나 리드(read)할 수 있다. 본인 인증 서버(400)는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서버로서, 이동통신사 서버, 개인정보인증서버 등일 수 있다.
본인 인증 서버(400)는 출입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본인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 정보에 이름, 전화번호, 성별, 및 생년월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고, 인증결과를 포함하는 본인 인증정보를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주민등록번호, 성별정보, 전화번호, 생년월일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100).
출입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고(S110), 보안코드를 발급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S120).
실시 예에 따라, 출입 관리 서버(200)는 주민등록번호를 분석하여, 뒷자리 숫자 7자리 중 첫번째 자리 숫자가 1 2 또는 4 3을 갖는 사용자 정보만을 유효한 것으로 선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출입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성별 정보를 기초로 여성 성별을 갖는 사용자 정보만을 유효한 것으로 선별할 수 있다.
본인 인증 서버(400)는 출입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선별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S120). 본인 인증 서버(4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이름,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을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유효한 사용자로 인증할 수 있고, 인증된 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인증정보를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S130).
출입 관리 서버(200)는 본인 인증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본인 인증정보를 기초로 유효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만 보안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S140).
사용자 단말기(300)는 보안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데, 상기 보안코드를 유효한 정보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생체인식정보, 예컨대 지문정보, 홍채정보 등을 입력하여 보안코드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는 보안코드를 유효한 정보로 저장하기 위해, 보안코드 리드용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S15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출입 관리 제어방법은 도 2에서 설명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S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 잠금장치(100)는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는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고(S200), 출입 관리 서버(200)는 제1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미 저장된 비밀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출입 관리 서버(200)는 제1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출입문을 개방시키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안전 잠금장치(100) 상에 표시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에 포함된 단말기 ID를 리드할 수 있다(S208)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안전 잠금장치(100)로부터 단말기 ID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 ID 수신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단말기 ID와 기저장된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S210, S212). 이때,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에게 생체인식정보(지문 정보, 홍채 정보 등)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유효한 생체인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유효한 사용자로 인증하여 단말기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에게 보안코드 리드용 비밀번호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보안코드 리드용 비밀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유효한 사용자로 인증하여 단말기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단말기 인증정보를 기초로 보안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214). 즉, 출입 관리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에 발급한 보안코드와 단말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보안코드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토할 수 있다.
단말기 인증정보를 분석한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입 관리 서버(200)는 안전 잠금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제1 비밀번호로 이루어진 QR 코드 신분증 및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S214, S216).
사용자 단말기(300)는 출입문을 개방시키기 위해 수신된 QR 코드 신분증을 표시모듈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QR 코드 신분등을 표시모듈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22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300)는 인증데이터를 저장장치에 인증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222).
안전 잠금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가 표시하는 QR 코드 신분증을 스캔할 수 있고, QR 코드 신분증을 인식하여 제1 비밀번호를 리드할 수 있다(S224).
기 생성된 제1 비밀번호와 QR 코드 신분증을 통해 리드된 제1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안전 잠금장치(100)는 QR 코드 신분증에 포함된 제1 비밀번호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출입문을 개방한 후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S226, S228).
안전 잠금장치(100)는 한번 발급된 QR 코드 신분증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유효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도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문이 개방되는 순간 제1 비밀번호와는 상이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망 또는 안전 잠금장치에 연결된 유ㅇ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S230). 출입 관리 서버(200)는 기존에 저장되었던 제1 비밀번호를 폐기하고 제2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관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출입 관리 제어방법은 도 3에서 설명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들(S10, S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해 수신된 인증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무작위로 복수의 안전 잠금장치들에 전송하거나 특정한 안전 잠금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300).
안전 잠금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인증데이터를 인식하여 제1 비밀번호를 리드할 수 있다(S310).
기 생성된 제1 비밀번호와 리드된 제1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안전 잠금장치(100)는 인증데이터를 기초로 리드된 제1 비밀번호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출입문을 개방한 후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S320).
안전 잠금장치(100)는 한번 사용한 인증데이터 및 QR 코드 신분증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유효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도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문이 개방되는 순간 제1 비밀번호와는 상이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S330). 출입 관리 서버(200)는 기존에 저장되었던 제1 비밀번호를 폐기하고 제2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안전 잠금장치(100)가 생성한 제2 비밀번호는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망 또는 안전 잠금장치에 연결된 유ㅇ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안전 잠금장치
200: 출입 관리 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400: 본인 인증 서버

Claims (5)

  1. 유효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만을 선별하여 출입문의 입장을 허용하는 출입 관리 제어방법에 있어서,
    안전 잠금장치가, 출입문을 개방시키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안전 잠금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된 단말기 ID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안전 잠금장치에 표시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안전 잠금장치의 단말기 ID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ID와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발급 받아 미리 저장된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안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안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인증데이터 및 또는 QR 코드 신분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데이터 및 또는 QR 코드 신분증을 수신하여 인증데이터를 안전 잠금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거나 QR 코드 신분증을 안전 잠금장치에 화면상에 표시하는표시하는 단계;
    상기 안전 잠금장치가, 상기 인증데이터 또는 상기 QR 코드 신분증에 포함된 상기 제1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안전 잠금장치가 상기 출입문을 개방시킨 후,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이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신된 주민등록번호 및 전화번호를 사용자 정보로서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본인인증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본인인증서버로부터 본인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유효하게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보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보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보안코드를 유효한 정보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생체인식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체인식정보를 입력 받아 유효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 상기 단말기 ID와 저장된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출입 관리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보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보안코드를 유효한 정보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보안코드 리드용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수신 받아 유효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 상기 단말기 ID와 저장된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출입 관리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성별정보를 사용자 정보로서 출입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본인인증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의 유효성 판단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본인인증서버로부터 수신된 본인 인증정보를 기초로 여성의 사용자 단말기에만 상기 보안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 관리 제어방법.
KR1020200091307A 2020-07-22 2020-07-22 출입 관리 제어방법 KR20220012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07A KR20220012148A (ko) 2020-07-22 2020-07-22 출입 관리 제어방법
KR1020220133627A KR20220148140A (ko) 2020-07-22 2022-10-17 출입 관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07A KR20220012148A (ko) 2020-07-22 2020-07-22 출입 관리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627A Division KR20220148140A (ko) 2020-07-22 2022-10-17 출입 관리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148A true KR20220012148A (ko) 2022-02-03

Family

ID=802688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07A KR20220012148A (ko) 2020-07-22 2020-07-22 출입 관리 제어방법
KR1020220133627A KR20220148140A (ko) 2020-07-22 2022-10-17 출입 관리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627A KR20220148140A (ko) 2020-07-22 2022-10-17 출입 관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121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185A (ko)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세미코어 성별 인식을 이용한 화장실 출입 통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185A (ko)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세미코어 성별 인식을 이용한 화장실 출입 통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140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444B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JP5164448B2 (ja) 正当性認証システム及び正当性認証方法
KR101270941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인증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2011164675A (ja) 来訪者入退管理システム
KR20210033154A (ko) 실시간 숙박시설 관리 시스템
JP2009020650A (ja) 個人認証方法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JP2006309491A (ja) 生体認証システム
JP4337054B2 (ja) 入退場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80125729A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340148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887486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CN112714928A (zh) 受理终端机
KR20220012148A (ko) 출입 관리 제어방법
WO2020162550A1 (ja) 電子解錠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887479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10645070B2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CN112735004A (zh) 一种虚拟钥匙的分配方法、服务器及分配系统
KR102019093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7573317B2 (ja) 施設貸出システム及び施設貸出方法
JP7340268B2 (ja) 施設貸出システム及び施設貸出方法
JP2002339608A (ja) 携帯端末及び認証システムならびに認証方法
JP2015161163A (ja) 出入管理システム及び出入管理方法
JP2002297256A (ja) 個人識別システム
CN112689856A (zh) 管理系统及数据中心
JP7422428B1 (ja) 来訪者情報共有装置、来訪者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