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248A -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248A
KR20220011248A KR1020200089680A KR20200089680A KR20220011248A KR 20220011248 A KR20220011248 A KR 20220011248A KR 1020200089680 A KR1020200089680 A KR 1020200089680A KR 20200089680 A KR20200089680 A KR 20200089680A KR 20220011248 A KR20220011248 A KR 2022001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power line
integrated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철
정백선
기영준
Original Assignee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248A/ko
Publication of KR2022001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광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빌딩(in-building) 5G 광중계기의 HUB와 원격 광중계기(remote optic unit, ROU)간, 또는 원격 광중계기와 원격 광중계기간에 연결되는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을 일체화한 일체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빌딩(in-building) 5G 광중계기의 HUB와 ROU간의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을 일체화함으로써, 광케이블과 전원선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포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Coupled cable of optic fiber cable and UTP cable, and optic unit system including it}
본 발명은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광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빌딩(in-building) 5G 광중계기의 HUB와 원격 광중계기(remote optic unit, ROU)간, 또는 원격 광중계기와 원격 광중계기간에 연결되는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을 일체화한 일체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광중계 시스템으로서, 5G 광중계기의 HUB와 ROU간에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이 시공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HUB(100)와 ROU1(200) 및 ROU2(300)는, 건물 내(in-building)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HUB(100)는 전송받은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411)을 통하여 원격 광중계기인 ROU(remote optic unit)1(200)로 보내고, ROU1(200)은 다시 이 신호를 광케이블(412)를 통하여 다음 원격 광중계기인 ROU(remote optic unit)2(300)로 보낸다. ROU1(200) 및 ROU2(300)는, 받은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과 증폭을 통해 건물 내 음영지역을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종래 인빌딩(in-building) 5G 광중계기의 HUB(100)와 ROU(200,300)간의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의 시공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411,412)과 전원선(421,422)을 각각 분리된 형태로 시공하였다. 이로 인하여 광케이블과 전원선의 시공에 번거로운 작업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포설에 소요되는 비용 역시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81788 B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인빌딩(in-building) 5G 광중계기의 HUB와 ROU간의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을 일체화함으로써, 광케이블과 전원선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포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HUB와 원격 광중계기 간, 또는 원격 광중계기 간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은, 광케이블; 8쌍의 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선(UTP); 및, 상기 광케이블 및 상기 전원선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케이블의 양단부에서는, 상기 광케이블과 상기 전원선이 분리되고, 상기 전원선이 각각 4쌍의 전선을 포함하는 2개의 전원선으로 분리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HUB와 원격 광중계기 간, 또는 원격 광중계기 간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은, 광케이블; 4쌍의 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선(UTP); 및, 상기 광케이블 및 상기 전원선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케이블의 양단부에서는, 상기 광케이블과 상기 전원선이 분리된 형태이다.
상기 광케이블과 전원선이 분리된 지점(이하 '분리점'이라 한다)에는, 상기 광케이블 및 분리된 전원선을 묶는 열수축튜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케이블은, 최대 44.48N의 인장력(pull-forc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체형 케이블은, 120±20mm의 굽힘반경(bending radius)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케이블의 외부 자켓(jacket) 및 상기 전원선의 외부 자켓은, 난연재질로서, 저연 무할로겐(low smoke zero halogen, LSZH)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는, 모드 필드 직경(mode field diameter, MFD) ≥ 8.2μm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빌딩(in-building) 5G 광중계기의 HUB와 ROU간의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을 일체화함으로써, 광케이블과 전원선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포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5G 광중계기의 HUB와 ROU간에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이 시공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5G 광중계기의 HUB와 ROU간에,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이 일체화된 본 발명의 일체형 케이블이 시공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전원선(UTP)에 8개의 전선쌍(8 twisted pairs, 8P)이 포함된 본 발명의 8P 일체형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원선(UTP)에 4개의 전선쌍(4 twisted pairs, 4P)이 포함된 본 발명의 4P 일체형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중계 시스템으로서, 5G 광중계기의 HUB(100)와 ROU(200,300)간에,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이 일체화된 본 발명의 일체형 케이블(500,600)이 시공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서 HUB(100)와 ROU1(200) 간에 연결된 케이블(500) 및, ROU1(200)과 ROU2(300) 간에 연결된 케이블(600)은 각각, 광케이블과 전원선(UTP)이 일체화된 일체형 케이블이다. 도 2에서는 원격 광중계기를 ROU1, ROU2의 2개만을 도시하였으나, 일체형 케이블로 연결된 원격 광중계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우측 최종단에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변환을 통해 변환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HUB를 포함할 수 있다.
HUB(100)와 ROU1(200) 간의 일체형 케이블(500)은 광케이블(510)과 8P 전원선(UTP)(520)이 일체화된 케이블이고, ROU1(200)와 ROU2(300) 간의 일체형 케이블(600)은 광케이블(610)과 4P 전원선(UTP)(620)이 일체화된 케이블이다, 여기서 8P 전원선(520)이란, 전원선(520) 내부에, 8쌍의 전선이 서로 꼬인 형태로 구비된 전원선(8 twisted pairs)이며, 4P 전원선(620)이란, 전원선(620) 내부에, 4쌍의 전선이 서로 꼬인 형태로 구비된 전원선(4 twisted pairs)이다. ROU2(300) 이후에 원격 광중계기(ROU)가 더 구비되는 경우, 각 원격 광중계기 간에는 4P 전원선을 포함하는 일체형 케이블로 연결된다. 또한 우측 최종단에 HUB를 포함할 경우, 그 HUB와 이전의 원격 광중계기와 연결되는 일체형 케이블은 8P 전원선을 포함한다.
도 2와 같은 본 발명의 일체형 케이블(500,600)을 이용한 인빌딩 케이블 시공에 의하여, 도 1과 같은 종래 인빌딩 케이블 시공과 대비하여, 케이블 포설이 매우 간편해졌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포설비를 50~60% 절감하는 효과가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구조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그리고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구조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전원선(UTP)에 8개의 전선쌍(8 twisted pairs, 8P)이 포함된 본 발명의 8P 일체형 케이블(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전체적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A-A'으로 자른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원선(520) 내에 8쌍의 전선쌍(twisted pairs)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중앙부에서는, 광케이블(510)과 전원선(UTP)(520)이, 연결부(530)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로 일체화됨으로써 일체형 케이블(500)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도 3의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일단은, 도 2의 HUB(100)에 연결되고, 타단의 원격 광중계기 ROU1(200)에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양단부에서 광케이블(510)과 전원선(520)이 분리되며, 또한 8쌍의 전선쌍은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양단부 측 각각에서 2개의 전원선(521,522)으로 분리된다. 각각의 전원선(521,522)에는,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중앙부 8쌍의 전선쌍이 4쌍씩 분리된, 4쌍의 전선쌍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전원선(521,522) 및 광케이블(510)을 양단에서 HUB(100) 또는 ROU1(200)과 연결시키기 위하여, 광케이블(510)의 양단에는 광케이블 커넥터(510.1)가 구비되어 있고, 각 전원선(521,522) 양단에는 전원선 커넥터(521.1, 522.1)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중앙부 양단에서 전원선(520) 및 광케이블(510)이 분리되는 부분에는, 분리된 광케이블(510) 및 전원선(521,522)을 단단히 감싸는 열수축튜브(540)가 구비된다. 열을 가하여 강하게 조여진 열수축튜브(540)에 의하여, 광케이블(510) 및 전원선(521,522)이,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중앙부 쪽으로 더 분리되어 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광케이블(510)은 중심에 광섬유(511), 광섬유(511)를 둘러싸고 있는 피복(512), 피복(512) 주위를 감싸도록 채워져 있는 타이트 버퍼(tight buffer)(513) 및, 타이트 버퍼(513)을 감싸고 있는 외부 자켓(jacket)(514)를 포함한다.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양단부에서, 광케이블(510)과 전원선(520)의 분리지점(이하 '8P 분리점'이라 한다)으로부터 분리된 제2 전원선(522)의 커넥터(522.1) 끝단까지의 길이는 약 0.3m, 8P 분리점으로부터 광케이블(510)의 커넥터(510.1) 끝단까지의 길이는 약 0.25m, 그리고 분리된 제1 전원선(521)의 커넥터(521.1) 끝단까지의 길이는 약 0.2m이며,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양단부의 제2 전원선(522)의 커넥터(522.1) 끝단 간의 거리는 약 35~100m이다.
광케이블(510)의 자켓(514) 및 전원선(520) 외부 자켓은, 8P 일체형 케이블(500)의 중앙부 양단에서 전원선(520) 및 광케이블(510)을 분리하는 경우에 찢어지지 않을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8P 일체형 케이블(500)은, 최대 44.48N의 인장력(pull-force)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굽힘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120±20mm의 굽힘 반경(bending radius)을 가져야 한다. 또한 광케이블(510)의 자켓(514) 및 전원선(520) 외부 자켓은 난연 PE 재질로서, 저연 무할로겐(low smoke zero halogen, LSZH) 재질의 자켓을 사용한다.
광케이블(510)의 광섬유(511)는 외경이 0.90±0.1mm를 만족하며, 자켓(514)까지 포함한 전체 광케이블(510)의 최대 외경은 3.0±0.2mm를 만족해야 한다. 또한 양단부에서 2개(521,522)로 분리되기 전, 8P 일체형 케이블(500) 중앙부의 전원선(UTP)(520)의 최대 외경은 8.2±0.3mm를 만족한다.
또한 모드 필드 직경(mode field diameter, MFD)는,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광 에너지의 직경으로서, MFD는 광섬유 접속에 편리한 매개 변수이며, MFD가 같은 광섬유 상호 접속은 손실이 적게 된다. 본 발명의 광섬유의 MFD는, MFD ≥ 8.2μm를 만족한다.
도 4는 전원선(UTP)에 4개의 전선쌍(4 twisted pairs, 4P)이 포함된 본 발명의 4P 일체형 케이블(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전체적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A-A'으로 자른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원선(620) 내에 4쌍의 전선쌍(twisted pairs)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8P 일체형 케이블(500)과 마찬가지로, 4P 일체형 케이블(600) 역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중앙부에서, 광케이블(610)과 전원선(UTP)(620)이, 연결부(630)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로 일체화됨으로써 일체형 케이블(600)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의 8P 일체형 케이블(500)과 달리, 전원선(620)은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중앙부 양단에서 분리되지 않고, 전원선(620)과 광케이블(610)만 서로 분리된다. 이로써,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중앙부의 전원선(620) 내부의 4쌍의 전선쌍은,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양단까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중앙부 양단에서 전원선(620) 및 광케이블(610)이 분리되는 부분에는, 분리된 광케이블(610)과 전원선(620)을 단단히 감싸는 열수축튜브(640)가 구비된다. 8P 일체형 케이블(500)과 마찬가지로, 4P 일체형 케이블(600) 역시 열을 가하여 강하게 조여진 열수축튜브(640)에 의하여, 광케이블(610) 및 전원선(620)이,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중앙부 쪽으로 더 분리되어 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양단부에서, 광케이블(610)과 전원선(620)의 분리지점(이하 '4P 분리점'이라 한다)으로부터 분리된 전원선(620)의 커넥터(620.1) 끝단까지의 길이는 약 0.3m, 4P 분리점으로부터 광케이블(610)의 커넥터(610.1) 끝단까지의 길이는 약 0.25m이며,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양단부의 전원선(620)의 커넥터(620.1) 끝단 간의 거리는 약 35~100m이다.
광케이블(610)의 외부 자켓(jacket)(614) 및 전원선(620) 외부 자켓은,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중앙부 양단에서 전원선(620) 및 광케이블(610)을 분리하는 경우에 찢어지지 않을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4P 일체형 케이블(600)은, 최대 44.48N의 인장력(pull-force)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굽힘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120±20mm의 굽힘 반경(bending radius)을 가져야 한다. 또한 광케이블(610)의 자켓(614) 및 전원선(620) 외부 자켓은 난연 PE 재질로서, 저연 무할로겐(LSZH) 재질의 자켓을 사용한다.
광케이블(610)의 광섬유(611)는 외경이 0.90±0.1mm를 만족하며, 자켓(614)까지 포함한 전체 광케이블(610)의 최대 외경은 3.0±0.2mm를 만족해야 한다. 또한 4P 일체형 케이블(600)의 전원선(UTP)(620)의 최대 외경은 6.8±0.3mm를 만족한다.
또한 모드 필드 직경(mode field diameter, MFD)는,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광 에너지의 직경으로서, MFD는 광섬유 접속에 편리한 매개 변수이며, MFD가 같은 광섬유 상호 접속은 손실이 적게 된다. 본 발명의 광섬유의 MFD는, MFD ≥ 8.2μm를 만족한다.
100: HUB
200: ROU1
300: ROU2
500: 8P 일체형 케이블
510: 광케이블
510.1: 광케이블 커넥터
511: 광섬유
512: 피복
513: 타이트 버퍼(tight buffer)
514: 자켓
520: 8P 전원선
521,522: 4P로 분리된 전원선
521.1, 522.1: 전원선 커넥터
530: 연결부
540: 열수축튜브
600: 4P 일체형 케이블
610: 광케이블
610.1: 광케이블 커넥터
611: 광섬유
612: 피복
613: 타이트 버퍼(tight buffer)
614: 자켓
620: 4P 전원선
620.1: 전원선 커넥터
630: 연결부
640: 열수축튜브

Claims (7)

  1. HUB와 원격 광중계기 간, 또는 원격 광중계기 간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로서,
    광케이블;
    8쌍의 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선(UTP); 및,
    상기 광케이블 및 상기 전원선을 연결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케이블의 양단부에서는,
    상기 광케이블과 상기 전원선이 분리되고,
    상기 전원선이 각각 4쌍의 전선을 포함하는 2개의 전원선으로 분리된 형태인,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2. HUB와 원격 광중계기 간, 또는 원격 광중계기 간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로서,
    광케이블;
    4쌍의 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선(UTP); 및,
    상기 광케이블 및 상기 전원선을 연결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케이블의 양단부에서는,
    상기 광케이블과 상기 전원선이 분리된 형태인,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과 전원선이 분리된 지점(이하 '분리점'이라 한다)에는,
    상기 광케이블 및 분리된 전원선을 묶는 열수축튜브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케이블은,
    최대 44.48N의 인장력(pull-force)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케이블은,
    120±20mm의 굽힘반경(bending radius)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의 외부 자켓(jacket) 및 상기 전원선의 외부 자켓은,
    난연재질로서, 저연 무할로겐(low smoke zero halogen, LSZH) 재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는,
    모드 필드 직경(mode field diameter, MFD) ≥ 8.2μm를 만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KR1020200089680A 2020-07-20 2020-07-20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KR20220011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80A KR20220011248A (ko) 2020-07-20 2020-07-20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80A KR20220011248A (ko) 2020-07-20 2020-07-20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248A true KR20220011248A (ko) 2022-01-28

Family

ID=8005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680A KR20220011248A (ko) 2020-07-20 2020-07-20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12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788B1 (ko) 2003-12-08 2011-11-09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드롭 광섬유 케이블용 섬유 강화 열경화성 수지제 항장력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788B1 (ko) 2003-12-08 2011-11-09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드롭 광섬유 케이블용 섬유 강화 열경화성 수지제 항장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66657C1 (en) Ruggedized fiber optic connector
US7409127B1 (en) Fiber optic assemblies suitable for adding nodes to a communication network
US4494822A (en) Overhead electric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CN103109221A (zh) 环境密封的电缆分支组件
US5960144A (en) Communication cable with strain relief elements applied in the region of the outside cladding
CN102375191A (zh) 光缆分叉方法和光缆分叉组件
EP2255235B1 (en) Method of attachment of a connector to a fiber optic cable
CN115079361A (zh) 一种具有正方形横截面的管道用蝶形引入光缆
CN103208770A (zh) 110kV电缆中间接头附件及其连接方法
KR20220011248A (ko) 광케이블 및 전원선의 일체형 케이블
CN208580608U (zh) 一种电力通信电缆
WO2022222483A1 (zh) 一种光电复合缆及光电系统
KR100947631B1 (ko) 광단자함에서의 광케이블 분기방법
US5727100A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electric aerial cables
JP2011059607A (ja) 光配線方法および光配線システム
US11906795B2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with crimp tube subassembly and method of use
EP3764143A2 (en) Improved optical fiber and power transition design
JP2008311124A (ja) 複合ケーブル
CN113949028A (zh) 一种城域配电网用光纤复合架空绝缘电缆敷设接续总成
JPS62127808A (ja) 光フラツトコ−ド
CN215933266U (zh) 射频光电复合缆及接续盒
CN211554409U (zh) 具有子单元设计的光缆组件
KR102604855B1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점퍼 코드
AU2017237914A1 (en) Assembly for distributing trunk cable to furcated cable
JP2010060724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情報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