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132A - 3차원 제직 지지 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제직 지지 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132A
KR20220011132A KR1020217038096A KR20217038096A KR20220011132A KR 20220011132 A KR20220011132 A KR 20220011132A KR 1020217038096 A KR1020217038096 A KR 1020217038096A KR 20217038096 A KR20217038096 A KR 20217038096A KR 20220011132 A KR20220011132 A KR 2022001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oven
preform
fabrics
warp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록 길버트슨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엔지니어드 콤포짓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엔지니어드 콤포짓스, 인크. filed Critical 알바니 엔지니어드 콤포짓스, 인크.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0/033581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236805A1/en
Publication of KR2022001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oom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각 아암의 길이에 걸쳐 연속 경사 섬유 보강재(continuous warp fiber reinforcement)를 갖는 교차 C-빔들의 적어도 2개의 아암을 갖는 십자형체 보강 구조체(cruciform-shaped reinforcing structure)가 개시된다.

Description

3차원 제직 지지 빔 및 그 제조 방법
본 개시는 지지 빔의 형태를 갖는 3차원 제직 프리폼(woven preform)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빔의 양쪽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경사 보강재(warp reinforcement)를 갖는 교차 지지 빔 및 그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구조 부품들을 생산하기 위해 강화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현재 널리 퍼져 있으며, 특히 중량이 더 가볍고, 강하고(strong), 질기며(tough), 내열성이고, 자립성이며, 형성(formed) 및 형상화(shaped)에 대해 적응력의, 원하는 특성이 요구되는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품들은, 예를 들어, 항공, 항공 우주, 위성, 레크리에이션(경주용 보트 및 자동차에서와 같이) 및 기타 응용분야에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구조 부품들은 강화 부품들로 사용될 수 있다. 구조 부품들은, 예를 들어, 매트릭스 재료로 매립(embedding)되는 강화 재료들로부터 만들어진, I-빔, H-빔, 또는 C-빔 형태의 강화 프리폼을 갖는 강화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빔은 유리, 탄소, 세라믹,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및/또는 기타 재료들과 같은 재료들로부터 만들 수 있으며, 이 재료들은 원하는 물리적, 열적, 화학적 및/또는 기타 특성을 나타내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응력 파괴(stress failure)에 대한 큰 강도(great strength)이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강화 부품의 구성요소가 되는 이들 재료의 사용을 통해 매우 높은 강도와 같은 재료들의 원하는 특성이 완성된 강화 부품에 부여된다. 구성 강화 프리폼은 통상적으로 제직, 편직, 부직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구성 및 형상으로 배향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구성 강화 재료들이 선택되는 이유인 특성들이 최적으로 활용되도록 특별한 주의가 기울여진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강화 프리폼은 매트릭스 재료와 결합되어 원하는 완성된 강화 구조 부품을 형성하거나, 또는 완성된 강화 부품들의 궁극적인 생산을 위한 작업 원료(working stock)를 생성한다.
원하는 강화 프리폼이 구성된 후, 매트릭스 재료가 프리폼에 및 프리폼 내로 도입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통상적으로 강화 프리폼은 매트릭스 재료로 둘러싸이고 매트릭스 재료는 강화 프리폼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틈새 영역(interstitial areas)을 채운다. 매트릭스 재료는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세라믹, 탄소 및/또는 기타 재료들과 같은 다양한 재료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 재료는 원하는 물리적, 열적, 화학적, 및/또는 기타 특성을 나타낸다. 매트릭스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재료들은 강화 프리폼의 재료와 같을 수도 있고 같지 않을 수도 있으며, 비슷한 물리적, 화학적, 열적 또는 기타 성질을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동일한 재료들이 아니거나 또는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열적 또는 기타 특성들을 갖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처음에 복합재료를 사용할 때 추구하는 통상적인 목적이, 하나의 구성 재료만을 사용하여서는 달성할 수 없는, 최종 제품에서의 특성들의 조합을 달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결합된 후, 강화 프리폼과 매트릭스 재료는, 열경화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동일한 작업에서 경화 및 안정화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원하는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다른 작업들을 거칠 수 있다. 경화된 후, 매트릭스 재료의 응고된 덩어리(solidified mass)는 통상적으로 강화 재료(예를 들어, 강화 프리폼)에 매우 강하게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특히 섬유 또는 기타 구성 재료 사이의 접착제 역할을 하는 매트릭스 재료를 통해, 완성된 부품에 대한 응력이, 강화 프리폼의 구성 재료로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강화 프리폼의 구성 재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프리폼 강화 지지 빔의 통상적인 조합은 프리폼이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각도(통상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만들어진다. 결합된 강화 프리폼의 이러한 각 형태 배열(angular arrangements)의 통상적인 목적은 강화 프리폼을 형성하는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 압력이나 장력과 같은, 외부 힘에 노출될 때 변형 또는 파손에 대항하여 생성하는 복합재료 구조를 강화하는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관련 고려 사항은 강화 지지 빔 사이의 각각의 접합부를 가능한 한 강하게 만드는 것이다. 종종 강화 프리폼 부품들의 원하는 매우 높은 강도를 감안할 때, 접합부의 약점은 구조적 "사슬"에서 효과적으로 "약한 연결(weak link)"이 된다.
지지 빔들은 교차하는 지점에 부착된다. 대부분의 부착 방식은, 예를 들어, 리벳, 볼트, 클립 등과 같은 패스너를 사용하여, 금속에 허용되는 방식에 중점을 둔다. 특히, 서로 교차하는 C-빔 형태의 지지 빔은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부착할 수 있는 면적이 거의 없다. 통상적으로 빔의 표준 공법은 2차 빔의 단부들에 부착되는 연속적인 1차 빔을 포함한다. 이 디자인의 개선 사항은 1차 및 2차 빔의 웹의 교차부(intersection)에 걸쳐 연속 섬유를 통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C-빔 프리폼의 경우, 교차 부분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플랜지에 절단부가 있다. 절단 플랜지들(cut flanges)은 연속 플랜지와의 작은 랩 전단 접합부(lap shear joint)를 형성할 수 있지만(도 1 참조), 교차 부분에서 이용가능한 제한된 중첩 영역이 있으며, 이는, 브래킷, 패스너, 및/또는, 접합부를 가로지르는 토대(sill) 역할을 하는 추가의 별도 조각(additional separate piece)에 의한 강화를 필요로 한다.
제직 프리폼 및 그의 형성 방법이 개시되며, 제직 프리폼의 제1 부분에서 제2 패브릭(fabric) 위에 제직된 제1 패브릭을 포함한다. 제직 프리폼의 교차 부분(crossover portion)에서 제1 패브릭의 경사 섬유를 제2 패브릭의 경사 섬유와 엮어짜서, 교차 부분 후에, 제1 패브릭이 제직 프리폼의 제2 부분에서 제2 패브릭 아래에 제직되도록 한다. 제1 패브릭의 경사 섬유 및 제2 패브릭의 경사 섬유는 교차 부분에 걸쳐서 연속적이다. 제1 패브릭 및 제2 패브릭은 단층 패브릭(single layer fabrics) 또는 다층 패브릭(multilayer fabrics)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1 패브릭의 가장자리 상의 경사 섬유 및 제2 패브릭의 가장자리 상의 경사 섬유는 교차 부분에서 부출(floating)하고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교차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패브릭을 회전시켜, 제2 패브릭에 대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각도는 90도 또는 최종 구조 부품 구성에 따라 원하는 각도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1 패브릭 및 제2 패브릭은 C-빔으로 접혀진다. 프리폼에 매트릭스 재료를 함침시켜 복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진 경사 섬유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을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직 프리폼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며, 각각의 제직 패브릭은 제직 프리폼의 제1 부분에서 제2 패브릭 위에 제직된 제1 패브릭을 갖는다.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의 각각은, 각각의 제직 패브릭에 적어도 2개의 교차 부분이 있도록, 각각의 교차 부분에서 적어도 2개의 나머지 제직 패브릭과 엮어짜여진다.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의 각각의 교차 부분 후에, 다른 패브릭 위에 제직된 교차 패브릭이, 다른 제직된 패브릭 아래에 제직된다. 교차 패브릭의 경사 섬유는 각각의 교차 부분에 걸쳐 연속이다. 적어도 3개의 패브릭들의 각각은 단층 패브릭 또는 다층 패브릭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적어도 3개의 패브릭의 가장자리 상의 경사 섬유는 각각의 교차 부분에서 부출하고 있다. 교차 부분을 중심으로 적어도 3개의 패브릭을 회전시켜, 적어도 3개의 패브릭들은 적어도 3개의 패브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브릭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3개의 패브릭들은 C-빔 형상으로 접힐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4개의 패브릭들이 있고, 각각의 패브릭은 정확히 2개의 다른 패브릭과 교차하고, 4개의 패브릭들은 C-빔 형상으로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여기에 제시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플랜지들(flanges)을 갖는 형성된 상태의 십자형체(as-formed cruciform)의 종이 모델(paper model)을 예시한다.
도 2는 종이 모델을 사용하여 십자형체를 형성하는 동안 위사 섬유의 교차선의 이동을 예시하는 일련의 이미지들을 예시한다.
도 3은 경사 활주(warp sliding)를 가능하게 하는 프리폼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4는 형성된 상태의 플랜지 교차부(as-formed flange intersection)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5는 하나의 교차 부분(crossover portion)을 갖는 제직된 상태의 프리폼(as-woven preform)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6은 제직된 상태의 본 개시에 따른 프리폼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7은 도 6의 프리폼의 저면도를 예시한다.
도 8은 십자형체로 형성된 도 7의 프리폼을 예시한다.
도 9는, 도 8의 십자형체 상의 플랜지가 되도록 접힌 상단 가장자리(top edge)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도 8의 십자형체 상의 플랜지가 되도록 접힌 하단 가장자리(bottom edge)의 저면도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C-빔 십자형체의 복합체(composite)를 예시한다.
도 12는, 교차부(intersection) 내에 있는 3개의 상이한 경사 컬럼들의 부분도(cutaway view)를 보여준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라 제직되고 형성된 I-빔 십자형체를 예시한다.
도 14는 1개의 교차 부분(crossover portion)을 갖는 제직된 상태의 프리폼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5는 4개의 교차 부분들을 갖는 제직된 상태의 프리폼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6은 9개의 교차 부분들을 갖는 제직된 상태의 프리폼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7은 4개의 교차 부분들을 갖는 제직된 상태의 프리폼으로부터 형성된 C-빔 십자형체를 예시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는(comprising)" 및 "포함하다(comprises)"라는 용어는 "포함하는(including)" 및 "포함하다(includes)"를 의미하거나, 미국 특허법에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포함하다(comprises)"에 통상적으로 주어진 의미를 갖는다.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본질적으로 구성된(consisting essentially of)" 또는 "본질적으로 구성된다(consists essentially of)"이라는 용어는 미국 특허법에서 그들에 부여한 의미를 갖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들은 하기 개시내용에 기재되어 있거나 하기 개시내용으로부터(및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명백하다.
"실(threads)", "섬유(fibers)", "토우(tows)" 및 "사(yarns)"라는 용어는 하기 설명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실(threads)", "섬유(fibers)", "토우(tows)" 및 "사(yarns)"는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s), 멀티필라멘트 얀(multifilament yarns), 가연사(twisted yarns), 멀티필라멘트 토우(multifilament tows), 텍스쳐사(textured yarns), 땋은 토우(braided tows), 코팅사(coated yarns), 2성분사(bicomponent yarns)뿐만 아니라,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재료들의 스트레치 파단 섬유(stretch broken fibers)으로부터 제조된 사를 포함한다. 사(yarns)는 탄소, 나일론, 레이온, 유리 섬유, 면, 세라믹, 아라미드, 폴리에스테르, 금속, 폴리에틸렌 유리, 및/또는 원하는 물리적, 열적, 화학적 또는 기타 특성을 나타내는 기타 재료들로 만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패브릭"은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진 경사 섬유를 의미하고, 패브릭은 단층 패브릭 또는 다층 패브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층 패브릭"이라는 용어는 편의상 사용되며, 단층 패브릭도 또한 포함한다.
"접힌(folded)"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형성(forming)"을 의미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이는 펼치기, 구부리기, 및 기타 제직 패브릭의 형상을 조작하기 위한 이러한 용어를 포함한다. "C-플랜지" 및 "C-빔"이라는 용어는 C-형상의 단면을 갖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유사하게, 용어 "H-빔", "I-빔", "T-빔", "L-빔" 및 "Π-빔"(파이-빔)은 각각 H-형상, I-형상, T-형상, L-형상 또는 Π-형상(파이-형상)의 단면을 갖는 구초체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 단면 형상 목록이 완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즉, 모든 단면 형상이 고려된다. "지지 빔"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갖는 빔을 포함하는 데 사용된다.
아래 설명에서, "앞", "뒤", "왼쪽", "오른쪽", "가로", "세로", "바로위(above)", "바로아래(below)", "위(over)", "아래(under)", 등과 같은 용어는 관계상의 편의를 위한 단어이며, 제한적인 용어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 그 이점, 및 그 용도에 의해 달성되는 목적의 더 우수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구현예가 첨부 도면에 예시되고,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동일한 지시 번호로 식별되는, 첨부된 설명 사항을 참조한다.
본 개시는 지지 빔의 형상으로 프리폼을 강화하는 구조적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3차원(3D) 제직된 십자형체의 프리폼이 개시되며, 3차원(3D) 제직된 십자형체의 프리폼은 C-형 단면(C-빔) 및 아암(arms)의 길이에 걸친 섬유 연속성 또는 적어도 십자형체의 C-빔 아암이 교차하는 교차 부분에 걸쳐 섬유 연속성을 갖는 암을 갖는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제직된 C-빔 지지 프리폼을 제공하는데, 제직된 C-빔 지지 프리폼은 C-빔 아암에서 섬유를 절단하거나 그들이 교차하는 곳에 아암을 부착하기 위해 패스너를 사용할 필요를 피한다.
도 1은 C-빔(104, 106)을 갖는 3D 프리폼 십자형체(100)의 원하는 최종 형상의 모델을 예시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C-빔은 C-빔의 교차 플랜지(102)를 따라 연속 경사를 갖도록 제직된다. 이 배열은 십자형체의 X, Y 방향 양방향으로 연속 섬유를 갖는 C-빔 또는 아암이 있는 십자형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X 방향은 제1 아암의 경사 섬유의 방향이고, Y 방향은 제2 아암의 경사 섬유의 방향이다. 즉, C-빔의 플랜지(102)는 십자형체의 길이를 가로질러, 특히 십자형체의 C-빔이 교차하는 위치인 교차 부분(108)을 가로질러 연속 경사 토우(continuous warp tows)를 갖는다.
C-빔의 플랜지는 교차 부분에 걸쳐 섬유 연속성 없이 C-빔 십자형체에 대해 결과적인 십자형체 강화 프리폼의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십자형체의 X 및 Y 방향 모두에서 섬유의 패브릭 연속성을 동시에 달성하도록 제공한다. 원하는 형성된 상태의 교차 위치(as-formed crossover location)가 제직된 상태의 교차 위치(as-woven crossover location)와 다르기 때문에, 선행 기술의 C-빔 십자형체에서는 동시 연속성이 방해된다. 즉, 플랜지의 위사 섬유는, C-빔 플랜지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교차 위치에서 경사 섬유의 필요한 활주(sliding)를 방해한다. 도 2c는 이 교차 위치의 위치 변화를 예시한다.
도 2는, 예시를 위해, 종이 모델을 사용하여, 아암(미도시)을 회전시킴으로써 C-빔 십자형체 구조체(평면도로부터)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C-빔 십자형체 구조체를 형성하는 추가된 플랜지들(204, 206, 도 2에서와 같이)은, 교차하는 아암들(204, 206)에 의해 형성된 선을 따라 힘 또는 하중이 가해질 때, 플랜지가 없는 십자형체(즉, 플랜지(102)가 없는 경우)에 비해 강직성(stiffness)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십자형체 아암들의 교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랜지들 내의 경사 섬유를 절단하면, 플랜지 방향들 중 하나에서 섬유의 불연속성이 발생한다. 경사 섬유의 불연속성은, 후속적으로 적용된 수지 결합이 교차 부분을 가로질러 전달할 수 있는 한계까지 구조체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약한 지점(weak spot)을 생성한다.
C-빔 십자형체의 양 방향으로 플랜지들 전체에 걸쳐 연속적인 섬유를 유지하면, 결과적인 프리폼의 아암들 각각의 길이를 따라 인장 및 압축 강직성(tensile and compressive stiffness)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C-빔 십자형체의 아암들의 플랜지들 각각을 따라 동시에 경사 섬유 연속성(warp fiber continuity)을 가능하게 한다.
일 구현예에서, 경사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아암들의 이동 범위(range of motion) 전체에 걸쳐 플랜지들의 교차 부분에서, 부출한다(즉,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지지 않는다). 즉, 십자형체의 제1 아암의 플랜지 내의 경사 섬유는, 교차 부분 내의 십자형체의 제2 아암의 경사 섬유에 대해, 자유롭게 활주한다. 이러한 특징은, 아암들의 형성 상태의 지오메트리(as-formed geometry)가 되도록, C-빔의 플랫 제직된 아암들(flat woven arms)이 교차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제직된 C-빔의 하나의 아암(300)을 예시한다. C-빔은 플랫 제직되어(flat woven) 있다. 플랫 제직된 C-빔의 가장자리들(302, 304)는 나중에 C-빔의 플랜지로 형성된다. 가장자리들(302, 304)의 가장자리 부분들(306, 308) 내의 경사 섬유는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부분들(306, 308) 내의 경사 섬유는 부출(float)한다. 가장자리들(306, 308) 내의 경사 섬유의 부출은, 아암(300) 내의 경사 섬유가, 다른 교차하는 아암 내의 경사 섬유 위로 활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아암의 가장자리들이 C-빔 단면 형상이 되도록 접히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경사 섬유가 아암(300)의 폭에 걸쳐서 부출하고 있는 가장자리 부분들(302, 304)의 치수는 접힐 때 C-빔 플랜지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전형적으로 0.1 인치 내지 2인치의 범위에 있지만, 그 보다 크고 그 보다 작은 플랜지 길이도 고려된다. 아암(300)의 길이를 따른 가장자리 부분들(306, 308)의 치수는 임의의 폭 및 길이일 수 있으나, 전형적으로 상기 폭은 가장자리 부분들(302, 304)의 폭과 일치할 것이고, 상기 길이는 교차 아암(도 3에서는 미도시)의 폭을 수용할 것이다. 그러나, 가장자리 부분들(306, 308)의 치수 범위(dimensional ranges)는 본 개시된 구조에서 제한 인자(limiting factor)가 아니다.
도 4는, 플랜지를 갖는 C-빔 십자형체가 형성된 후 플랜지들의 교차부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4에서, 수평 아암 상의 십자 해칭은 위에서 볼 수 있는 C-빔 십자형체의 제1 아암(406)의 플랜지를 나타내고, 수직 아암 상의 십자 해칭은 C-빔 십자형체의 제2 아암(404)의 플랜지를 나타낸다. 플랜지들(404, 406)은 서로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거나, 최종 십자형체 구조체에 대해 임의의 원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아암(406)의 길이를 따른 수평선들은 제1 아암(406)의 경사 토우들(warp tows)(408)을 나타낸다. 경사 토우들(408)에 수직인 선들은 제1 아암(406)의 위사 토우들(weft tows)(412)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제2 아암(404)의 길이를 따른 수직선들(410)은 제2 아암(404)의 경사 토우들(410)을 나타낸다. 그리고 경사 토우들(410)에 수직인 선들은 제2 아암(404)의 위사 토우들(414)을 나타낸다.
제1 아암(406)과 제2 아암(404)이 교차하는 위치는 십자형체의 교차부(intersection)(교차 부분(crossover portion)(402))이다. 도 4에서, 위사 토우들(412, 414)은 형성된 프리폼의 교차 부분(402)에서 제1 및 제2 아암들의 플랜지들에 존재하지 않는다.
도 5는, 패브릭이 제직기에서 나올 때, 제직된 상태의 패브릭 프리폼(as-woven fabric preform)(500)의 경사 방향(warp direction)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예시된 프리폼은, 하나의 교차 부분(518)을 갖는 십자형체 구조체를 형성할 2개의 다층 패브릭들(502, 504)을 포함한다. 다층 패브릭(502)은 교차 부분 전에 다층 패브릭(504) 아래에 제직된다. 다층 패브릭(502)은 교차 부분 후에 다층 패브릭(504) 위에 제직된다.
나중 도면들에서의 식별을 위해, 다층 패브릭(502)은, 교차 부분 전에, 패브릭의 한쪽 면 상의 표면(514A), 및 패브릭의 반대쪽 면 상의 표면(514B)을 갖는다. 다층 패브릭(502)은, 교차 부분 후에, 패브릭의 한쪽 면 상의 표면(512A), 및 패브릭의 반대쪽 면 상의 표면(512B)을 갖는다. 유사하게, 다층 패브릭(504)은, 교차 부분 전에, 패브릭의 한쪽 면 상의 표면(510A), 및 패브릭의 반대쪽 면 상의 표면(510B)을 갖는다. 다층 패브릭(504)은, 교차 부분 후에, 패브릭의 한쪽 면 상의 표면(516A), 및 패브릭의 반대쪽 면 상의 표면(516B)을 갖는다.
제1 다층 패브릭 및 제2 다층 패브릭의 경사 섬유는 교차 부분에서 부출하며, 거기에서, 이것들은 플랜지가 되도록 접힐 것이고, 제1 다층 패브릭 및 제2 다층 패브릭의 경사 섬유는 교차 부분에 걸쳐서 연속적이다. 제1 다층 패브릭은 나중에 C-빔 십자형체의 제1 아암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다층 패브릭은 나중에 C-빔 십자형체의 제2 아암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다층 패브릭들은, 패브릭들이 서로에 대해 원하는 각도를 갖도록, 교차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제1 다층 패브릭과 제2 다층 패브릭 사이의 각도는 90도이다. 그러나, 45도 등과 같은 다른 각도도 고려된다. 제1 다층 패브릭의 가장자리는 접혀서 플랜지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제1 다층 패브릭은 C-형 단면을 갖게 된다. 유사하게, 제2 다층 패브릭의 가장자리는 접혀서 플랜지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제2 다층 패브릭은 C-형 단면을 갖게 된다.
프리폼은, 프리폼의 원하는 길이에 대해, 제2 다층 패브릭 위에 제직된 제1 다층 패브릭을 갖는 2차원 (플랫 제직) 구조체이다. 제1 다층 패브릭은 프리폼의 교차 부분에서 제2 다층 패브릭과 교차하며, 그에 따라, 교차 부분 후에, 제1 다층 패브릭은 제2 다층 패브릭 아래에 제직된다. 즉, 제1 및 제2 다층 패브릭들은,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교차 부분을 갖는 십자형체 구조체 내의 프리폼에서, 교차 부분에서는 서로 엮어짜여지고, 다른 곳에서는 서로 엮어짜여지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5에서의 표면들의 식별을 사용하여, 하나의 교차 부분을 갖는 제직 프리폼(500)의 형성에서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도 6은, 하나의 교차 부분(518)을 갖는 C-빔 구조체가 되도록 형성되기 전의 플랫 제직 패브릭 프리폼(flat-woven fabric preform)의 평면도이다. 패브릭의 가장자리들(620, 622) 상의 부분들(506, 508) 내의 경사 섬유는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부분들(506, 508)에서 경사 섬유는 부출한다. 도 5에서 식별된 표면들(510A, 512A)은, 제직 패브릭 프리폼의 평면도에서, 중간점(614)의 각 측면들 상에 나타나 있다.
도 7은 도 6의 패브릭 프리폼(500)의 저면도이며, 여기서, 평면도에서 엮어짜여진 영역들(506, 508)이 저면도에서는 엮어짜여지지 않는다. 도 5에서 식별된 표면들(514A, 516A)은, 제직 패브릭 프리폼의 저면도에서, 중간점(614)의 각 측면들 상에 나타나 있다.
도 8은, 패브릭들(502, 504)을 서로에 대해 회전시켜, 도 5에 예시된 플랫 제직 패브릭을 C-빔 십자형체로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다층 패브릭(502)의 패브릭 표면들(512A, 512b 및 514A, 514B)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J 및 K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9는, 도 8의 C-빔 십자형체를 C-빔 십자형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가장자리들(620, 622)는 각각 플랜지(902, 904)를 형성하도록 접혀서, C-빔 단면 형상을 갖게 된다. 교차 부분(518) 내의 경사 섬유는 부출(floating)하며, 이는 가장자리들(620, 622)이 접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분(506) 내의, 예를 들어 교차 부분(518) 내의, 경사 섬유는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교차 부분 내의 다층 패브릭(502) 내의 경사 섬유는, 위사 섬유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은 채, 교차 부분 내의 다층 패브릭(504)의 부출하는 경사 섬유 위로 활주할 수 있다. 나머지 가장자리들은 유사하게 접혀서, 십자형체 구조체의 다른 아암들 상에 C-빔 단면 형상을 형성한다.
도 10은 도 9에서 형성된 C-빔 십자형체의 저면도를 보여준다. 앞에서 설명된 도 9와 유사하게, 교차 부분(518) 내의 경사 섬유는 부출하며, 이는 가장자리들(620, 622)이 접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분(508) 내의, 예를 들어 교차 부분(518) 내의, 경사 섬유는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교차 부분 내의 다층 패브릭(502) 내의 경사 섬유는, 위사 섬유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은 채, 교차 부분 내의 다층 패브릭(504) 내의 부출하는 경사 섬유 위로 활주할 수 있다.
C-빔 십자형체 구조체를 형성한 후, 프리폼은 매트릭스 재료로 함침되어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복합 C-빔 십자형체의 예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2는 C-빔 십자형체(형성 후)의 플랜지 교차 부분에 있는 세 개의 경사 컬럼 A, B, 및 C를 예시한다. 제1 아암의 플랜지의 경사 토우들(1804)과 제2 아암의 플랜지의 경사 토우들(1806)은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져 있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암(1804)의 경사 토우들은 교차 부분(1802)에 걸쳐서 제2 아암의 경사 토우들(1806)과 엮어짜여져 있다. 이러한 특징은, C-빔의 아암이, 제직된 상태의 프리폼으로부터 원하는 십자형체 형상으로 형성될 때, 교차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도 13에 도시된 I-빔 십자형체 프리폼(1300)을 만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프리폼은 제1 아암(1306) 및 제2 아암(1304)을 포함한다. 제1 아암(1306) 및 제2 아암(1304) 각각은 2개의 대향 플랜지들(1302)을 갖는다.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은 교차 부분(1308)에서 교차한다.
본 발명은, C-빔 십자형체 구조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단 하나의 교차 부분을 갖는 제직 프리폼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수의 교차 부분들을 갖도록 플랫 제직된(flat-woven) C-빔 단면 형태를 갖는 십자형체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은 십자형체 구조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층 패브릭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H-빔", "I-빔", "T-빔", "L-빔", 및 "Π-빔"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단면 형태를 갖는 프리폼도 고려된다.
도 14는 2개의 다층 패브릭들(1402, 1404) 및 단일 교차 부분(14001)을 갖는 플랫 제직 프리폼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다층 패브릭(1402)은, 교차 부분(14001)의 한쪽 면 상에서 다층 패브릭(1404) 위에 그리고 교차 부분의 다른쪽 면 상에서 다층 패브릭(1404) 아래에, 제직된다. 앞에서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프리폼은 "십자형" 또는 "X자형"을 갖는 C-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4개의 다층 패브릭들(1502, 1504, 1506, 1508) 및 4개의 교차 부분들(15001, 15002, 15003, 15004)을 갖는 플랫 제직 프리폼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각각의 다층 패브릭은 2개의 다른 다층 패브릭들 각각과의 2개의 교차 부분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에, 제1 다층 패브릭은, 교차 부분의 한쪽 면 상에서 제2 다층 제직 패브릭 위에 제직되고, 교차 부분의 다른쪽 면 상에서 제2 패브릭 아래에 제직된다. 예를 들어, 다층 패브릭(1502)은, 각각 다층 패브릭 1506 및 1508을 갖는 2개의 교차 부분 15001 및 15004를 포함한다. 패브릭(1502)은, 교차 부분(15001)의 한쪽 면 상에서 패브릭(1506) 위에 그리고 교차 부분(15001)의 다른쪽 면 상에서 패브릭(1506) 아래에, 제직된다. 패브릭(1502)은, 교차 부분(15004)의 한쪽 면 상에서 패브릭(1508) 위에 그리고 교차 부분(15004)의 다른쪽 면 상에서 패브릭(1508) 아래에, 제직된다. 나머지 패브릭들(1504, 1506, 1508) 각각에 대해 유사한 제직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결과물은, 개방된 영역(1518)을 경계짓는 "해시(hash)" 또는 "숫자" 기호 형상의 형태를 갖는 십자형체 구조체이다.
도 17은 도 15에 예시된 패브릭으로부터 형성된 십자형체 구조체의 예시이다. 도 17에 도시된 십자형체 구조체는 4개의 아암들(1502, 1504, 1506, 1508)을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은 교차 부분들에서 두 개의 다른 아암들과 교차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아암은 두 개의 교차 부분들을 갖는다. 아암(1502)은 각각 다층 패브릭(1506) 및 다층 패브릭(1508)을 갖는 교차 부분(15001) 및 교차 부분(15004 )를 포함하며; 아암(1504)은 각각 다층 패브릭(1506) 및 다층 패브릭(1508)을 갖는 교차 부분(15002) 및 교차 부분(15003)을 포함하며; 아암(1506)은 각각 다층 패브릭(1502) 및 다층 패브릭(1504)을 갖는 교차 부분(15001) 및 교차 부분(15002)을 포함하며; 아암(1508)은 각각 다층 패브릭(1504) 및 다층 패브릭(1502)을 갖는 교차 부분(15003) 및 교차 부분(15004)을 포함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그 결과는, 개방 영역(1518)을 경계짓는 "해시" 또는 "숫자" 기호의 형태를 갖는 구조체이다.
도 16은 9개의 교차 부분들(16001, 16002, 16003, 16004, 16005, 16006, 16007, 16008, 16009)을 갖는 6개의 다층 패브릭(1602, 1604, 1606, 1608, 1610, 1612)을 갖는 플랫 제직 프리폼(flat-woven preform)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패브릭들 각각은 3개의 다른 패브릭들과의 3개의 교차 부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브릭(1602)은, 패브릭들(1608, 1610, 1612) 각각과의 교차 부분들(16001, 16002, 16003)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직된 프리폼은 예시된 복잡한 십자형체 패턴을 생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확장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본적인 2-암 십자형체와 다른 다른 구조를 생성하는 다른 실행예들이 고려된다. 도 14 내지 도 16에 설명된 패턴은 원하는 구조를 위해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삼각형, 마름모꼴, 5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의 구현예들에서, 제직된 프리폼은 매트릭스 재료로 함침될 수 있다. 매트릭스 재료는 에폭시, 비스말레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비닐 에스테르, 세라믹, 탄소, 및 기타 그러한 재료들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들은 다음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5)

  1. 제직 프리폼(woven preform)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은:
    상기 제직 프리폼의 제1 부분에서 제2 패브릭(fabric) 위에 제1 패브릭을 제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패브릭 및 상기 제2 패브릭 각각은 위사 섬유(weft fibers)와 엮어짜여진 경사 섬유(warp fibers)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직 프리폼의 교차 부분(crossover portion)에서 상기 제1 패브릭의 상기 경사 섬유를 상기 제2 패브릭의 상기 경사 섬유와 엮어짜서(interweaving), 상기 교차 부분 후에, 상기 제1 패브릭이 상기 제직 프리폼의 제2 부분에서 상기 제2 패브릭 아래에 제직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브릭의 상기 경사 섬유 및 상기 제2 패브릭의 상기 경사 섬유는 상기 교차 부분에 걸쳐서 연속적인,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브릭은 단층 패브릭(single layer fabric) 또는 다층 패브릭(multilayer fabric)이고,
    상기 제2 패브릭은 단층 패브릭 또는 다층 패브릭인,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브릭의 가장자리 상의 상기 경사 섬유 및 상기 제2 패브릭의 가장자리 상의 상기 경사 섬유는 상기 교차 부분에서 부출(floating)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패브릭을 회전시켜, 상기 제2 패브릭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90 도인,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브릭 및 상기 제2 패브릭의 가장자리들을 접어서, 상기 제직 프리폼이 H-빔(H-beam), I-빔, T-빔, L-빔, 및 Π-빔(Pi-bea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브릭의 상기 가장자리를 C-빔 형상으로 접는 단계; 및
    상기 제2 패브릭의 상기 가장자리를 C-빔 형상으로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8. 복합 지지 구조체(composite support structure)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제 7 항에 따른 제직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직 프리폼을 매트릭스 재료로 함침시키는 단계.
  9. 제직 프리폼으로서, 상기 제직 프리폼은: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진 경사 섬유의 제1 패브릭; 및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진 경사 섬유의 제2 패브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브릭의 상기 경사 섬유는 교차 부분에서 상기 제2 패브릭의 상기 경사 섬유와 엮어짜여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패브릭 내의 상기 경사 섬유 및 상기 제2 패브릭 내의 상기 경사 섬유가 상기 교차 부분에 걸쳐서 연속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 부분이 아닌 다른 곳에서, 상기 제1 패브릭과 상기 제2 패브릭은 서로 엮어짜여지지 않은,
    제직 프리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브릭은 단층 패브릭 또는 다층 패브릭이며,
    상기 제2 패브릭은 단층 패브릭 또는 다층 패브릭인,
    제직 프리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 프리폼은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진 경사 섬유의 제3 패브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브릭은 단층 또는 다층 패브릭이며,
    상기 제3 패브릭의 상기 경사 섬유는 교차 부분에서 상기 제2 패브릭의 상기 경사 섬유와 엮어짜여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3 패브릭 내의 상기 경사 섬유 및 상기 제2 패브릭 내의 상기 경사 섬유가 상기 교차 부분에 걸쳐서 연속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 부분이 아닌 다른 곳에서, 상기 제3 패브릭과 상기 제2 패브릭은 서로 엮어짜여지지 않으며,
    상기 제1 패브릭, 상기 제2 패브릭, 및 상기 제3 패브릭은 나머지 패브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브릭과 각도를 형성하는,
    제직 프리폼.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브릭 및 상기 제2 패브릭은, H-빔, I-빔, T-빔, L-빔, 및 Π-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면 형상을 갖는, 제직 프리폼.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브릭 및 상기 제2 패브릭은 각각 C-빔인, 제직 프리폼.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브릭의 가장자리 상의 상기 경사 섬유 및 상기 제2 패브릭의 가장자리 상의 상기 경사 섬유는 상기 교차 부분에서 부출하는, 제직 프리폼.
  15. 제 14 항에 따른 제직 프리폼; 및 매트릭스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지지 구조체.
  16.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은: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진 경사 섬유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을 제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직 패브릭들 각각은 상기 제직 프리폼의 제1 부분에서 제2 패브릭 위에 제직된 제1 패브릭을 갖는, 단계; 및
    각각의 교차 부분에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제직 패브릭과 엮어짜는 단계로서, 상기 제직 패브릭들 각각에 적어도 2개의 교차 부분들이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의 상기 교차 부분들의 각각의 후에, 다른 패브릭(another fabric) 위에 제직된 교차 패브릭(intersecting fabric)이, 상기 다른 제직 패브릭(another woven fabric) 아래에 제직되며,
    상기 교차 패브릭들 내의 상기 경사 섬유는 상기 교차 부분들 각각에 걸쳐서 연속적인,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의 각각은 단층 패브릭 또는 다층 패브릭인,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의 가장자리들 상의 상기 경사 섬유는 상기 교차 부분들 각각에서 부출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을 회전시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이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브릭과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개의 패브릭들이 있고, 각각의 패브릭은 정확히 2개의 다른 패브릭과 교차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패브릭들 각각의 가장자리를 C-빔 형상으로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22.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각각의 가장자리를 접어서, H-빔, I-빔, T-빔, L-빔, 및 Π-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23.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각각의 가장자리를 C-빔 형상으로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직 프리폼 형성 방법.
  24.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복합 지지 구조체 형성 방법:
    제 21 항에 따른 제직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직 프리폼을 매트릭스 재료로 함침시키는 단계.
  25.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복합 지지 구조체 형성 방법:
    제 23 항에 따른 제직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직 프리폼을 매트릭스 재료로 함침시키는 단계.
  26. 제직 프리폼으로서, 상기 제직 프리폼은:
    위사 섬유와 엮어짜여진 경사 섬유를 갖는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로서, 상기 제직 패브릭들 각각은 상기 제직 프리폼의 제1 부분에서 제2 패브릭 위에 제직된 제1 패브릭을 갖는,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각각은 교차 부분들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제직 패브릭과 엮어짜여져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각각에 적어도 2개의 교차 부분들이 있으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의 상기 교차 부분들 각각의 후에, 다른 패브릭 위에 제직된 교차 패브릭이 상기 다른 제직 패브릭 아래에 제직되며,
    상기 교차 패브릭들 내의 상기 경사 섬유는 상기 교차 부분들 각각에 걸쳐서 연속적인,
    제직 프리폼.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각각은 단층 패브릭 또는 다층 패브릭인, 제직 프리폼.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의 가장자리들 상의 상기 경사 섬유는 상기 교차 부분들 각각에서 부출하는, 제직 프리폼.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은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브릭과 각도를 형성하는, 제직 프리폼.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은 H-빔, I-빔, T-빔, L-빔, 및 Π-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면 형상을 갖는, 제직 프리폼.
  31.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개의 패브릭들이 있고, 각각의 패브릭은 정확히 2개의 다른 패브릭들과 교차하는, 제직 프리폼.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패브릭들 각각은 C-빔인, 제직 프리폼.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제직 패브릭들 각각은 C-빔인, 제직 프리폼.
  34. 다음을 포함하는 복합 지지 구조체:
    제 32 항에 따른 제직 프리폼; 및
    매트릭스 재료.
  35. 다음을 포함하는 복합 지지 구조체:
    제 33 항에 따른 제직 프리폼; 및
    매트릭스 재료.
KR1020217038096A 2019-05-22 2020-05-19 3차원 제직 지지 빔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1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51329P 2019-05-22 2019-05-22
US62/851,329 2019-05-22
PCT/US2020/033581 WO2020236805A1 (en) 2019-05-22 2020-05-19 Three-dimensional woven support beam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132A true KR20220011132A (ko) 2022-01-27

Family

ID=7345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096A KR20220011132A (ko) 2019-05-22 2020-05-19 3차원 제직 지지 빔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73095A1 (ko)
JP (1) JP2022534030A (ko)
KR (1) KR20220011132A (ko)
CN (1) CN113825867B (ko)
BR (1) BR112021023466A2 (ko)
MX (1) MX2021014316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96B2 (ja) * 1985-10-01 1996-03-13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多層織物
US6283168B1 (en) * 2000-11-28 2001-09-04 3Tex, Inc. Shaped three-dimensional engineered fiber preforms with insertion holes and rigid composite structures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 therefor
CA2600307A1 (en) * 2007-09-07 2009-03-07 Ralph Roemer Fabric for producing spunmelt or airlaid nonwovens including profiled yarns for soil release and contamination resistance
DE102011084472B3 (de) * 2011-10-13 2013-01-03 Airbus Operations Gmbh Strukturanordnung, Luft- oder Raumfahrzeu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rukturanordnung
US9290865B2 (en) * 2012-12-26 2016-03-22 Albany Engineered Composites, Inc. Three-dimensional woven corner fitting with lap joint preforms
CN107587240A (zh) * 2017-06-27 2018-01-16 安徽长青藤新材料有限公司 一种超高分子量聚乙烯三维织物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3095A1 (en) 2022-03-30
CN113825867B (zh) 2023-12-22
BR112021023466A2 (pt) 2022-01-18
US20200370212A1 (en) 2020-11-26
MX2021014316A (es) 2022-01-25
CN113825867A (zh) 2021-12-21
JP2022534030A (ja)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1830C (en) Pi-shaped preform with non-liniar legs and method to manufacture it
KR101860488B1 (ko) 바이어스 섬유들을 갖는 파이 형태 예비성형체
KR100620894B1 (ko) 비틀림이 최소화된 3차원 제직 프리폼
RU2386733C2 (ru) Трехмерная тканая панель с выполненными за одно целое с ней элементами жесткости
JP5618447B2 (ja) 一体的な軸外れスチフナを伴う織りプリフォーム
EP2367674B1 (en) Pi-preform with variable width clevis and related method of forming
TWI526586B (zh) 準等向性立體預織物及其製造方法
US9962901B2 (en) Preform with integrated gap fillers
CN113825867B (zh) 三维编织支撑梁及其制造方法
EP4345200A2 (en) Three-dimensional woven preforms for omega stiffeners
US12000069B2 (en) Three-dimensional woven support beam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WO2020236805A1 (en) Three-dimensional woven support beam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RU2809028C2 (ru) Трехмерная тканая опорная бал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RU219979U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тканая преформа интегральной панел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RU2795562C2 (ru) Трехмерные тканые заготовки для омегаобразных элементов жестк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