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982A -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982A
KR20220010982A KR1020200089815A KR20200089815A KR20220010982A KR 20220010982 A KR20220010982 A KR 20220010982A KR 1020200089815 A KR1020200089815 A KR 1020200089815A KR 20200089815 A KR20200089815 A KR 20200089815A KR 20220010982 A KR20220010982 A KR 20220010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formulation
implant
nir
car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492B1 (ko
Inventor
최영빈
김세나
지한비
박기호
김영국
하아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61K9/0051Ocular inserts, ocular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61F2210/0023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oper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hilst inside or touching the human body, heated or cooled by external energy source or cold supply
    • A61F2210/0047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oper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hilst inside or touching the human body, heated or cooled by external energy source or cold supply heated by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으로 유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있어서, 인입튜브를 통해 방수를 인입하고 인입된 방수를 유출하는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 및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주변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담지제형;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염증 억제 약물 및 NIR(Near Infrared;이하 NIR) 반응성 물질을 혼합 후 제형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NIR에 반응하여 약물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임플란트 이식 후에 비침습적으로 근적외선을 인가함 만으로도 환자 맞춤형으로 약물 방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문제가 되는 임플란트 이식 후 부작용을 거의 대부분 해결할 수 있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Drug release formulation controlled by near-infrared rays and drainage implant equipped with it}
본 발명은 근적외선으로 유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입튜브를 통해 방수를 인입하고 인입된 방수를 유출하는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 및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주변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담지제형;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염증 억제 약물 및 NIR(Near Infrared;이하 NIR) 반응성 물질을 혼합 후 제형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IR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탑재되는 약물담지제형에 관한 것이다.
녹내장은 전세계 약 7600만명, 국내 약 87만명의 유병 인구가 보고되어 있으며, 치료없이 방치할 경우 실명으로 이어지는 질환이다.
녹내장으로 인한 실명을 막기 위해서는 안압 하강이 가장 중요하다.
안압하강 점안약제로는 조절이 되지 않는 난치성 녹내장에서 유일한 치료법은 방수유출 임플란트 (Glaucoma Drainage Device, GDD)의 수술적 이식을 통해 안압을 낮추는 것이다.
이때 이식하는 방수유출 임플란트는 안구 전방으로부터 방수(aqueous humour)가 뒤쪽의 몸체(plate)를 통해 결막하 공간으로 나가게 하여 안구 내 압력을 낮추는 원리로 작용한다.
방수유출 임플란트의 실패율은 수술 후 1년째 약 20%, 수술 후 3년째에는 약 35%에 이르게 된다.
이는 수술 중이나 직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수술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안압조절에 실패하게 되는 것인데, 이처럼 수술이 실패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수술 부위 주변으로 발생하는 염증으로 인한 과도한 조직 섬유화 때문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녹내장 방수유출 임플란트는 모두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구의 결막하 공간에 넓은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가 위치하여 최종적인 방수 배출의 통로가 된다.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실리콘 몸체에 의한 이물반응 (foreign body reaction)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섬유화된 조직으로 인한 단단한 벽에 의해 방수의 유출이 막히면 안압이 상승하고 결국 수술의 실패를 초래하게 된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방수유출 임플란트 삽입 수술 후 스테로이드나 섬유막 형성을 억제하는 약물이 적절하게 조직에 흡수되는 형태로 적용될 경우 약물의 사용이 임플란트 이식 부위의 과다한 섬유화 및 이로 인한 결체 조직 피막의 형성을 억제하여 장기간 치료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추가적 약물 치료를 수행하여 왔으나 임플란트 국소 부위에서의 약물치료 효과가 미미하여 섬유화반응이 조절되지 못하고 수술 실패 비율이 줄어들지 못하고 있다. 임플란트 이식 후 점안약을 투여하는 방법은 전안부에서 약물이 너무 빠르게 사라지게 되어 약물 자체의 흡수율이 매우 낮아 치료 효과가 매우 미미하게 되어 수술 실패 비율은 줄어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임플란트 자체에 약물을 함께 탑재하여 국소 부위에 약물을 노출시키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나 개별 환자별 염증 정도가 달라 적정 약물 투여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수술 실패 비율이 줄어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2246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2246호(2017.12.19)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NIR에 반응하여 약물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환자 맞춤형으로 약물 방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문제가 되는 임플란트 이식 후 부작용을 거의 대부분 해결할 수 있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내 탑재된 약물제어방출 제형에서 약물이 조직으로 나오는 과정에 있어 환자의 염증 상태 (조직 섬유화 진행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약물 투여량을 적용할 수 있도록 약물담지제형이 NIR-반응성 복합 제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을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는, 인입튜브를 통해 방수를 인입하고 인입된 방수를 유출하는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 및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주변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담지제형;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염증 억제 약물 및 NIR(Near Infrared;이하 NIR) 반응성 물질을 혼합 후 제형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IR 반응성 물질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고체 상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염증 억제 약물의 방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탑재된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은, 인입튜브를 통해 방수를 인입하고 인입된 방수를 유출하는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탑재되어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주변으로 약물을 배출하는 약물담지제형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염증 억제 약물 및 NIR(Near Infrared;이하 NIR) 반응성 물질을 혼합 후 제형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IR 반응성 물질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고체 상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염증 억제 약물의 방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NIR에 반응하여 약물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환자 맞춤형으로 약물 방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문제가 되는 임플란트 이식 후 부작용을 거의 대부분 해결할 수 있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 내 탑재된 약물제어방출 제형에서 약물이 조직으로 나오는 과정에 있어 환자의 상태 (염증 또는 조직 섬유화 진행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약물 투여량을 적용할 수 있도록 약물담지제형이 NIR-반응성 복합 제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탑재된 약물담지제형 형태의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제형이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탑재된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제형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제형을 제작하는 제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IR인가 유무에 따른 약물방출 그래프(ICG 5mg 탑재)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IR인가 여부에 따른 약물방출 그래프(ICG 5mg, 10mg, 20mg 탑재)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방수유출 임플란트(10)에 탑재되는 약물담지제형(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방수유출 임플란트(10)는, 일반적으로 녹내장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녹내장 환자의 안구에 장착되어 방수를 유출시키고 이와 함께 약물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관절부위 통증 약물전달 시스템이나 항암제등에도 적용하여 환자의 상태나 경과에 따라 근적외선(Near Infrared; 이하 NIR)의 조사를 통해 즉각적으로 약물방출량의 조절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걸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출 임플란트(10)에 탑재된 약물담지제형(100)의 형태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근적외선으로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100)을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10)는, 임플란트(10) 몸체와 약물담지제형(100)을 포함한다.
임플란트(10) 몸체는, 인입튜브를 통해 방수를 인입하고 인입된 방수를 유출한다.
여기서, 인입튜브(12)는 일반적으로 일측단이 안구 중 전방(Anterior Chamber,AC)와 연결되고 타측단이 임플란트(10) 몸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전방의 방수를 임플란트(10)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유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입튜브(12)를 통해 인입된 방수는 임플란트 몸체에서 외부로 유출하게끔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담지제형(100)은,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10)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주변으로 약물을 방출된다.
여기서, 방수유출 임플란트(10)는 약물담지제형(10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방수유출 임플란트(10) 몸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에 약물담지제형(100)이 안착되어 경화시킴으로써 약물담지제형(100)이 방수유출 임플란트(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물담지제형(100)은, 파우더형으로 형성되어 임플란트(10) 주변 부 방수 내의 물과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서 방수와 함께 인근 혈관을 통하여 우리 몸으로 다시 흡수되고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수적이지는 않다.
즉, 약물담지제형(100)은 방수유출 임플란트(10) 몸체의 관통홀에 안착되어 경화됨으로써 고정되고 일부 노출된 부분에 임플란트(10)주변부의 방수 내 물과 효소에 의해 분해되며 방수와 함께 인근 혈관을 통하여 우리 몸으로 다시 흡수되고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수적이지는 않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제형(100)이 방수유출 임플란트(10)에 탑재된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제형(100)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약물담지제형(100)은, 염증 억제 약물(110) 및 NIR(Near Infrared;이하 NIR) 반응성 물질(120)을 혼합 후 제형화하여 생성된다..
상기 약물담지제형(100)은, 고체 상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약물담지제형(100)은, 고체 상태의 파우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임플란트(10)주변부의 체액 내 물과 효소에 의해 서서히 분해되어 외부로 유출된다면 블록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NIR 반응성 물질(120)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된다.
NIR 반응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ICG(Indocyanine Green; 이하 ICG)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인체에 흡수되어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NIR 조사 시 반응하여 온도를 상승시켜 약물담지(100)제형에서 국소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면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ICG는, Indocyanine green으로 NIR 조사 시 열을 발생시켜 약물담지제형(100)에서 국소적으로 온도를 상승시켜 고분자 입자의 matrix가 swelling, softening되어 느슨한 상태가 되도록 도와주어 약물 방출량을 증가시키게 한다.
그리고, 약물담지제형(100)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염증 억제 약물(110)의 방출량을 증가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의 약물담지제형(100)은 파우더형태로 형성되어 임플란트(10) 주변 부 체액 내의 물과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염증 억제 약물(110)을 방출하되, NIR가 조사되면 ICG의 온도가 상승되어 염증 억제 약물(110)의 방출량이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염증 억제 약물(110)은 일반적으로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섬유화를 억제하는 등 환자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면 염증 억제 약물(110)로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서술된 방수유출 임플란트(10)는 일반적으로 녹내장의 악화를 방지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기재된 염증 억제 약물(110)은 섬유화 억제 약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근적외선으로 유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은 인입튜브(12)를 통해 방수를 인입하고 인입된 방수를 유출하는 방수유출 임플란트(10)에 탑재되어 방수유출 임플란트(10) 주변 부 체액 내의 물과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서 방수와 함께 방출되는 약물담지제형(100)에 관한 것이다.
약물담지제형(100)은, 염증 억제 약물 및 NIR(Near Infrared;이하 NIR) 반응성 물질(120)을 혼합 후 제형화하여 생성된다.
NIR 반응성 물질(120)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되는 물질이다.
또한, 약물담지제형(100)은, 고체 상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약물담지제형(100)은, NIR이 조사되면 ICG의 온도가 상승하여 염증 억제 약물의 방출량을 증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제형(100)을 제작하는 제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제형(100)의 제조방법은, 우선, 염증 억제약물이 탑재된 제형(110)을 제조하는 단계(s110)와 (s110)단계에서 제조된 약물제형(110)과 NIR 반응성 물질(120)을 혼합하는 단계(s120) 및 (s120)단계에서 혼합된 염증 억제약물(110)과 NIR 반응성 물질(120)을 최종 제형화하는 단계(s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염증 억제약물제형(110)을 제조하는 단계인 (s110)단계는, 우선, 생체적합성 고분자 재료와 염증 억제 약물을 유기용매에 용해한다(s112).
여기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poly(lactic-co-glycolic acid), PGA, PLA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재료와 담지 하고자 하는 염증 억제 약물은 Dexamethasone, Tranilast 등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용매는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이하 MC)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s112)단계에서 제조된 생체적합성 고분자재료와 염증 억제약물의 용액을 계면활성제가 녹아있는 수용액을 통해 에멀전 형태로 제조한다(s114).
여기서, 계면활성제는 PVA(Polyvinyl Alcoh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멀전 형태로의 제조는 초음파 분산기(sonicator) 또는 homogenizer를 이용해서 목표 입자 크기 조건으로 인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생체적합성 고분자재료와 염증 억제 약물을 유기용매에 용해한 후에 계면활성제가 녹아있는 수용액에 에멀젼 방식을 이용하여 입자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s114) 단계에서 제조된 에멀전 상태의 혼합용액을 교반과 동시에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입자형태로 제조한다.
이를 통해 유기용매를 증발시키고 적정시간이 경과하여 유기용매가 모두 제거되면 입자를 수득하고 담지가 되지 않은 약물등의 제거를 위하여 distilled water로 4~5회 세척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입자를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s116)단계에서 제조된 입자를 액체질소를 이용해 얼린 후 동결건조기를 통해 남아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다(s118).
이때,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남아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건조상태의 파우더를 제작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입자는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 입자로 다양하게 가능하며, 이는 약물과 고분자의 선정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 가능하다.
그리고, 제조된 염증 억제 약물 (110)과 NIR 반응성 물질(120)을 혼합하는 단계인 (s120)단계는, 우선, (s110)단계에서 제조된 염증 억제약물(110)과 PDMS(polydimethylsiloane; 이하 PDMS) BASE를 혼합한다.
그 다음, PDMS Curing agent(실리콘 경화제)와 ICG를 혼합한다(s124).
여기서, PDMS BASE(가교제)와 PDMS Curing agent(경화제)는 실리콘 성형제로써,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s122)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과 (s124)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혼합한다(s126).
그리고, (s120)단계에서 혼합된 염증 억제약물(110)과 NIR 반응성 물질(120)을 제형화하는 단계인 (s130)단계는, (s120)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방수유출 임플란트(10)에 탑재한 후 경화시킨다(s13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함량비는 표 1과 같다.
연번 PDMS Base
(g)
염증 억제약물(110) 탑재량
(mg)
PDMS curing agent
(g)
ICG 탑재량
(mg)
Curing
온도
(도)
Curing
시간
(h)
1 0.5 50 1 5 25 3
2 0.5 50 1 10 25 3
3 0.5 50 1 20 25 3
4 0.5 50 1 30 25 3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IR인가 유무에 따른 약물방출 그래프(ICG 5mg 탑재)이다.도 6을 참고하면 NIR을 60초 인가했을 때 시간에 따라 누적방출량이 시간에 따라 차이가 확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IR인가 여부에 따른 약물방출 그래프(ICG 5mg, 10mg, 20mg 탑재)이다.
도 7을 참고하면, ICG의 탑재량에 따라 누적방출량이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염증 억제약물제형(110)과 NIR 반응성 양물의 혼합비율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환자의 상태 및 경과에 따라 누적방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방수유출 임플란트 12: 인입튜브
100: 약물담지제형 110: 염증 억제약물
120: NIR 반응성 물질

Claims (8)

  1. 인입튜브를 통해 방수를 인입하고 인입된 방수를 유출하는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 및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주변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담지제형;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염증 억제 약물 및 NIR(Near Infrared;이하 NIR) 반응성 물질을 혼합 후 제형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을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IR 반응성 물질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을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고체 상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을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염증 억제 약물의 방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을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5. 인입튜브를 통해 방수를 인입하고 인입된 방수를 유출하는 방수유출 임플란트에 탑재되어 상기 방수유출 임플란트 주변으로 약물을 배출하는 약물담지제형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염증 억제 약물 및 NIR(Near Infrared;이하 NIR) 반응성 물질을 혼합 후 제형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IR 반응성 물질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고체 상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지제형은,
    NIR이 조사되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염증 억제 약물의 방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KR1020200089815A 2020-07-20 2020-07-20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KR10239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815A KR102394492B1 (ko) 2020-07-20 2020-07-20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815A KR102394492B1 (ko) 2020-07-20 2020-07-20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982A true KR20220010982A (ko) 2022-01-27
KR102394492B1 KR102394492B1 (ko) 2022-06-10

Family

ID=8004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815A KR102394492B1 (ko) 2020-07-20 2020-07-20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246B1 (ko) 2016-07-18 2018-01-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압 조절용 녹내장 방수유출장치
KR20190097729A (ko) * 2018-02-13 2019-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안질환 치료용 약물 전달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40252A (ko) * 2018-06-11 2019-12-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안내 삽입형 약물 전달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246B1 (ko) 2016-07-18 2018-01-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압 조절용 녹내장 방수유출장치
KR20190097729A (ko) * 2018-02-13 2019-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안질환 치료용 약물 전달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40252A (ko) * 2018-06-11 2019-12-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안내 삽입형 약물 전달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492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433981T2 (de) Biocompatibele okulare implantate
JP5009786B2 (ja) 2ヶ月を超える期間の長期持続放出を与えるステロイド眼内インプラント
EP1750664B1 (en) Intravitreal implants in conjunction with photodynamic therapy to improve vision
KR101464788B1 (ko) 안내 약물 송달 시스템
Kuang et al. Biphasic drug release from electrospun polyblend nanofibers for optimized local cancer treatment
AU2008210541B2 (en) Punctal plugs and methods of delivering therapeutic agents
US20180177785A1 (en) Method of Making Sustained Release Microparticles
JP2015013863A (ja) 増大した前眼部クリアランス速度を有するα−2アドレナリン受容体アゴニストを用いる眼科治療
Palakurthi et al. Toxicity of a biodegradable microneedle implant loaded with methotrexate as a sustained release device in normal rabbit eye: a pilot study
EP0488401A1 (en) A controlled-release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intra-ocular implant
JP2007535564A (ja) 抗興奮毒性剤持続放出眼内インプラントおよび関連方法
Einmahl et al. A viscous bioerodible poly (ortho ester) as a new biomaterial for intraocular application
US20130302398A1 (en) Intraocular drug deliver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JP2007535556A (ja) チロシンキナーゼインヒビターおよび生分解性ポリマーをカプセル化する微小球を含む硝子体内インプラント
JP2004520900A (ja) 徐放薬剤送達装置の改良製造方法
WO2005110364A2 (en)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n eye
Hashizoe et al. Biodegradable polymeric device for sustained intravitreal release of ganciclovir in rabbits
US20050244466A1 (en) Photodynamic therapy in conjunction with intraocular implants
US11883525B2 (en) Bioerodible polyester polymer axitinib ocular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2394492B1 (ko) 근적외선으로 약물 방출량이 제어되는 약물담지제형 및 이를 탑재한 방수유출 임플란트
TW200826977A (en) Drug delivery device
Sun et al. Laden nanofiber capsules for local malignancy chemotherapy
CN101204382A (zh) 植入型抗肿瘤药丝裂霉素双重缓释膜剂及其制备方法
US20090304771A1 (en) Local Delivery System for the Chemotherapeutic Drug Paclitaxel
Zhang et al. Effect of biodegradable scleral plugs containing curcumin on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