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897A - 화환대 - Google Patents

화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897A
KR20220010897A KR1020200089614A KR20200089614A KR20220010897A KR 20220010897 A KR20220010897 A KR 20220010897A KR 1020200089614 A KR1020200089614 A KR 1020200089614A KR 20200089614 A KR20200089614 A KR 20200089614A KR 20220010897 A KR20220010897 A KR 20220010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ath
present
ground
front part
re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319B1 (ko
Inventor
이영록
Original Assignee
한국화원협동조합연합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원협동조합연합회 filed Critical 한국화원협동조합연합회
Priority to KR1020200089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3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2Apparatus for binding bouquets or wreat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지면과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복수의 화분등이 용이하게 안착되며, 화환대의 전도를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형태이며 일면에 돌출된 선반(300)이 형성된 전면부(100); 기둥형태이며 일측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며 타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기둥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환대 {Wreath}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지면과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복수의 화분등이 용이하게 안착되며, 화환대의 전도를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종이각형을 이용한 화환대 및 종이각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지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타측과 고정되며, 복수의 화환컵 또는 꽃다발 결합용화환판;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조립식 경조사용 화환대에 관한 것으로서, 접힘부를 접어 양쪽에 지지부를 형성한 상,하부 판재; 한쪽이 상기 하부 판재의 지지부에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쪽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판재의 지지부에 끼워지게 설치된 결합 부재; 상기 하부 판재의 지지부 안쪽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홈부; 한쪽에 걸림홈을 갖는 돌부가 상기 끼움홈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착탈홈과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받침판재;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경조사용 화환대에 관한 것으로서, 화환대의 전체형상을 원판형으로 형성하여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일반적인 3단 화환에 비해 뛰어난 전시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화환대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꽃다발이 꽂아지는 꽃다발유닛을 전면으로 볼록한 팽출부를 갖는 꽃꽂이판의 삽입공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에 방문하는 축하객 및 조문객들이 방문기념으로 상기 꽃다발유닛을 뽑아 개별적으로 간직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KR 10-2020-0021110 A (공개일자 2020년02월28일) KR 20-0455211 Y1 (등록일자 2011년08월18일) KR 10-2016-0139723 A (공개일자 2016년12월07일) KR 20-0357977 Y1 (등록일자 2004년07월26일)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지면과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복수의 화분등이 용이하게 안착되며, 화환대의 전도를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발명이며, 프레임 형태이며 일면에 돌출된 선반(300)이 형성된 전면부(100); 기둥형태이며 일측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며 타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기둥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또는 기둥부와 결착되며, 연성재질로 형성된 결착끈(410); 일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결착끈에 체결되며, 바 형태로 형성된 체결바(420); 상기 체결바의 타측에 결합되며, 중량물로 이루어진 중량부(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520); 상기 배터리와 결선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선(530); 상기 전력공급선에 부착되며, 선택적으로 전력을 차단 및 공급하는 스위치(540);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력공급선과 결선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5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 기둥부의 일측에 고정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풋트(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환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도감지센서(710); 상기 전도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신호를 발산하는 전도감지제어기(720); 상기 전도감지제어기의 작동신호에 의해 알람을 발산하는 스피커(7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환대는 3점 지면지지를 하므로 안정적인 위치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화환대는 기둥부의 회동 및 전면부의 분리, 폴딩, 슬릿에 의해 길이가변이 가능하므로 이동 및 보관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분등이 안착되는 선반을 선택적으로 화환대와 결합하므로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량부에 의해 화환대를 지지하므로 무게중심을 하향시키며,
화환대의 이동시 무게중심의 편심량을 감소시키므로 전도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 조명을 발광하므로 화환대의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미끄럼 가능한 풋트를 형성하므로 일정하중의 미끄럼하중에 의해 이동되므로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환대의 전도시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발생하므로 주면 사람들에게 위험을 사전 인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면부 및 기둥부로 이루어진 화환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지지대의 결합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도방지장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광장식장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풋트 구조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도감지센서 작동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프레임 형태이며 일면에 돌출된 선반(300)이 형성된 전면부(100); 기둥형태이며 일측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며 타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기둥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수직으로 위치하며 2개가 대칭 형성된 수직지지대(110); 상기 수직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120); 상기 수평지지대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부를 결합하며, 회동 및 고정 가능한 힌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1 등, 도면 1 참조)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다. 주요구성으로 화환장식물이 안착되는 선반이 존재하며, 상기 선반은 전면부에 거치된다. 전면부는 프레임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선으로 경사배치된다. 상기 전면부는 반대경사면으로 기둥부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다리가 전면부에 존재하며, 1개의 다리가 기둥부에 존재한다. 따라서 3각 형태의 지면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는 안정적인 지면거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면부는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중공된 각관 또는 원형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2개의 제1수직지지대 및 제2수직지지대가 동일한 각도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2개의 수직지지대 사이는 수평지지대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둥부는 상기 수평지지대로부터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힌지는 일정한 각도로 회동가능하며, 설정된 위치로부터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손잡이가 형성된 볼트가 힌지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볼트와 너트의 결합관계로, 기둥부 및 수평지지대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는 제1수직지지대(111) 및 제2수직지지대(112);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에 형성된 결합홈(113);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형성된 결합돌기(114);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 및 제2수직지지대에 형성된 회동힌지(115); 상기 제1수직지지대 및 제2수직지지대를 고정하는 제1고정클램프(116);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지지대가 상기 제1수직지지대 내부로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제1수직지지대 및 제2수직지지대를 고정하는 제2고정클램프(1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3 등, 도면 2 참조)은 화환대의 이동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전면부의 제1, 2수직지지대는 접힘 또는 폴딩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분리 가능한 구조의 경우, 제2수직지지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제1수직지지대의 결합홈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폴딩 가능할 경우, 제1수직지지대 및 제2수직지지대는 2개로 분리된 상태이나. 회동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다. 상기 회동힌지에 의해 2개의 수직지지대가 펼쳐진 경우, 제1고정클램프에 의해 2개의 수직지지대를 고정시킨다. 신장 가능할 경우, 제2수직지지대는 제1수직지지대의 내부로 수용되며, 원하는 길이로 돌출된 후, 제2고정클램프에 의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클램프는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구조를 가지며, 상기 나사는 제1, 2수직지지대를 일체로 관통시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수평지지대와 결착되는 결착홈(310); 상기 결착홈과 연장형성되며, 화분을 안착하는 안착대(320); 상기 안착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대(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에 형성되며, 화분이 고정되는 고정홈(321);을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에 모서리에 형성되며,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7 등, 도면 3 참조)은 화환대의 선반에 대한 것이다. 상기 선반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부에 결착된다. 따라서, 결착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화분등이 안착되는 안착대를 형성한다. 안착대는 판재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대에 의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개별화환이 복수로 상기 안착대에 안착될 경우, 화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대 내부에 고정홈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홈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화분이 상기 안착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착대 모서리는 이탈방지돌기로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안착대가 커링형성되어 돌출된 형태를 취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또는 기둥부와 결착되며, 연성재질로 형성된 결착끈(410); 일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결착끈에 체결되며, 바 형태로 형성된 체결바(420); 상기 체결바의 타측에 결합되며, 중량물로 이루어진 중량부(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는 단면이 균일하며,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에 균일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421); 상기 중량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으로 끼워맞춤 고정되는 체결돌기(4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1 등, 도면 4 참조)은 화환대의 전도방지에 대한 것이다. 통상의 화환대는 무게중심이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외부하중에 의해 화환대가 전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게중심을 하향이동시켜키며, 이는 전도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무게중심은 이동가능하며, 화환전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화환이 일측으로 전도될 경우, 결착끈에 매달린 중량부의 무게중심이 이동방향으로 편향되며, 이는 결착끈의 유연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정한 전도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화환대 상부에 고중량의 화분이 장착될 경우, 더욱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량부의 위치를 하향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공 및 체결돌기의 위치조정으로 가능하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520); 상기 배터리와 결선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선(530); 상기 전력공급선에 부착되며, 선택적으로 전력을 차단 및 공급하는 스위치(540);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력공급선과 결선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55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에 있어서, 빛을 발산하는 LED램프;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기(56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기에 장착되며, 주변광도를 측정하는 광도측정센서(5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 등, 도면 5 참조)은 화환대에 조명효과를 발생시킨다. 통상의 화환은 실내에 위치하며, 실내에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인위적으로 발산하거나, 빛의 점등시간을 특정주파수에 조절시켜, 심미적 화려함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한 후, 충전된 전력은 발광부로 연통하며, 발광부는 LED 조명에 의해 빛을 발산한다.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스위치를 장착하며, 외부 전력없이 사용 가능하게 하고자 배터리를 사용한다. 상기 배터리는 중량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앞에서 제시한 중량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조명의 발광시간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밝은 환경에서는 LED 조도를 낮게 형성하며, 흐린 환경에서는 LED 조도를 밝게 형성한다. 이는 발광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발광제어기는 광도측정센서에 의해 작동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 기둥부의 일측에 고정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풋트(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풋트는 상기 화환대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부(610); 지면과 접촉되는 지면접촉부(6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지면접촉부 및 삽입고정부 를 일체로 고정하며, 회동 가능한 지지힌지(6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지면접촉부는 테프론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지면접촉부는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1 등, 도면 6 참조)은 화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화환이 전도될 경우, 지면과 화환이 고정된다면, 무게중심의 편심량이 증대되어 일시에 전도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도과정에서 화환전체기 전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면, 화환대의 중심선과 무게중심선의 편심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시 화환대가 전도방향으로 미끄러지므로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지면으로부터 화환대가 쉽게 미끄러지기 위해, 풋트를 형성한다. 상기 풋트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기 위해, 테프론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마찰을 감소키기 위해, 점접촉을 구현한다. 따라서, 반구형 형상이 지면에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화환대는 경사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힘의방향이 지면과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기 위해앞에서 제시한 지지힌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힌지에 의해 화환대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부와 지면과 접촉되는 지면접촉부를 분리하고, 분리된 관절에 지지힌지를 형성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화환대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화환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도감지센서(710); 상기 전도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신호를 발산하는 전도감지제어기(720); 상기 전도감지제어기의 작동신호에 의해 알람을 발산하는 스피커(7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 등, 도면 7 참조)은 화환 전도시 사람에게 전도사실을 인지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화환대 어디에도 장착가능한 전도감지센서를 부착하며, 상기 전저감지센서는 스피커와 결착된다. 즉, 전도량을 감지하며, 일정이상 전도될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신호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높은 고음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100 : 전면부 110 : 수직지지대
111 : 제1수직지지대 112 : 제2수직지지대
113 : 결합홈 114 : 결합돌기
115 : 회동힌지 116 : 제1고정클램프
117 : 제2고정클램프 120 : 수평지지대
130 : 힌지 200 : 기둥부
300 : 선반 310 : 결착홈
320 : 안착대 321 : 고정홈
322 : 이탈방지돌기 330 : 보강대
410 : 결착끈 420 : 체결바
421 : 체결공 430 : 중량부
431 : 체결돌기 510 : 케이스
520 : 배터리 530 : 전력공급선
540 : 스위치 550 : 발광부
560 : 발광제어기 570 : 광도측정센서
600 : 풋트 610 : 입고정부
620 : 지면접촉부 630 : 지지힌지
710 : 전도감지센서 720 : 전도감지제어기
730 : 스피커

Claims (5)

  1. 화환대에 있어서,
    프레임 형태이며 일면에 돌출된 선반(300)이 형성된 전면부(100);
    기둥형태이며 일측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며 타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기둥부(200);를 포함하는 화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또는 기둥부와 결착되며, 연성재질로 형성된 결착끈(410);
    일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결착끈에 체결되며, 바 형태로 형성된 체결바(420);
    상기 체결바의 타측에 결합되며, 중량물로 이루어진 중량부(430);를 포함하는 화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520);
    상기 배터리와 결선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선(530);
    상기 전력공급선에 부착되며, 선택적으로 전력을 차단 및 공급하는 스위치(540);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력공급선과 결선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550);를 포함하는 화환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 기둥부의 일측에 고정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풋트(600);를 포함하는 화환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환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도감지센서(710);
    상기 전도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신호를 발산하는 전도감지제어기(720);
    상기 전도감지제어기의 작동신호에 의해 알람을 발산하는 스피커(730);를 포함하는 화환대.

KR1020200089614A 2020-07-20 2020-07-20 화환대 KR102442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14A KR102442319B1 (ko) 2020-07-20 2020-07-20 화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14A KR102442319B1 (ko) 2020-07-20 2020-07-20 화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897A true KR20220010897A (ko) 2022-01-27
KR102442319B1 KR102442319B1 (ko) 2022-09-13

Family

ID=8004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614A KR102442319B1 (ko) 2020-07-20 2020-07-20 화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50A (ko) 2022-10-05 2024-04-12 김영락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77Y1 (ko) 2004-04-20 2004-08-02 윤종진 화환대
KR200455211Y1 (ko) 2011-06-10 2011-08-25 정승화 조립식 경조사용 화환대
KR20110009694U (ko) * 2010-04-06 2011-10-12 김민영 화환 받침대
KR20110117762A (ko) * 2010-04-22 2011-10-28 양용규 절첩식 화환설치대
KR20160139723A (ko) 2015-05-28 2016-12-07 김태열 경조사용 화환대
KR20200021110A (ko) 2018-07-30 2020-02-28 한국화원협동조합연합회 화환대 및 화환대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77Y1 (ko) 2004-04-20 2004-08-02 윤종진 화환대
KR20110009694U (ko) * 2010-04-06 2011-10-12 김민영 화환 받침대
KR20110117762A (ko) * 2010-04-22 2011-10-28 양용규 절첩식 화환설치대
KR200455211Y1 (ko) 2011-06-10 2011-08-25 정승화 조립식 경조사용 화환대
KR20160139723A (ko) 2015-05-28 2016-12-07 김태열 경조사용 화환대
KR20200021110A (ko) 2018-07-30 2020-02-28 한국화원협동조합연합회 화환대 및 화환대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319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8932B1 (en) Jigsaw puzzle holding and assembling table
US20190293278A1 (en) Lighted gaming furniture system, lighted gaming chair and lighted gaming desk
US9642314B1 (en) Plant stand with multiple lighting devices and plant holders
US20070108364A1 (en) Assembly for deck accessories
KR102442319B1 (ko) 화환대
US6155529A (en) Adjustable Christmas tree/plant stand
US6546654B1 (en) Display stand
US4951181A (en) Light diffusing glass block furniture
KR101736298B1 (ko) 포트 설치대를 이용한 포트 꽂이형 화환
KR20150097253A (ko) 오아시스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화환받침대
US10295130B1 (en) Frame support for handmade paper crafts and lanterns
USD475797S1 (en) Solar-powered outdoor light
JP3209636U (ja) 丸太椅子又は台若しくはテーブル
US5607130A (en) Support apparatus for arts and crafts project
JP2007012501A (ja) 傾斜感知型の発光装置
US6527544B1 (en) Pumpkin/fruit display stand
US4082384A (en) Casket canopy
US6029936A (en) Decorative fishbowl stand
ES2356532A1 (es) Dispositivo expositor modular con sistema de sujeción por ventosa.
USD332534S (en) Lighting fixture display stand
JP2893519B2 (ja) 電飾スタンド
USD494690S1 (en) Vase and candle stand
ES1070134U (es) Arbol decorativo.
KR2023003229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의자로도 사용 가능한 스탠딩 데스크
US20060244716A1 (en) Them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