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782A -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782A
KR20220010782A KR1020200089302A KR20200089302A KR20220010782A KR 20220010782 A KR20220010782 A KR 20220010782A KR 1020200089302 A KR1020200089302 A KR 1020200089302A KR 20200089302 A KR20200089302 A KR 20200089302A KR 20220010782 A KR20220010782 A KR 2022001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event
serve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043B9 (ko
KR102364043B1 (ko
Inventor
배성진
Original Assignee
배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진 filed Critical 배성진
Priority to KR102020008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0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043B1/ko
Publication of KR10236404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04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L65/10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현장에 배치되어 영상 이벤트를 탐지하는 탐지용 아이피 카메라와 상기 영상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 추적 촬영을 개시하는 추적용 아이피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감시 설비; 상기 현장에서 오디오 이벤트를 탐지하는 복수의 아이피 오디오 센서들과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녹음하는 오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로써, 상기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오디오 레코더는 자동 녹음을 개시하고, 상기 아이피 오디오 센서들은 볼륨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탐지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현장에 배치되는 아이피 피제어 설비;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피제어 설비가 엘레먼트로 등록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는 통합 관제 서버; 및 상기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아이피 조회를 통해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현장을 감시하고, 상기 현장에 위치한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피제어 설비를 제어하는 운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는 소음, 대화, 가청주파수 밖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피제어 설비, 상기 통합 관제 서버, 상기 운영 장치 각각의 상호간은 클라우드 환경의 동일한 플랫폼에서 통합 운영되는 이엠에스 기반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Intellectual and Integral Control System Based EMS}
본 발명은 감시 설비의 통합 운영을 위한 이엠에스(Element Management System, EMS)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 감시 시스템은 영상 설비, 영상 설비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 서버, 이 운영 서버에서의 영상 데이터 조회를 통해 수집된 영상에 대해 각종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로 구성된다. 영상 설비는 인터넷 프로토콜 카메라(Internet Protocol Camera, 이하 “IP 카메라”), 네트워크 스위치를 포함한 IP기반 영상 전송 장치, 영상 저장 및 분배 장치, 영상 분석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서버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 Base Management System, 이하 “DBMS”) 프로그램이 설치된 비디오 관리 시스템(Video Management System, 이하 “VMS”)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DBMS 프로그램에는 모든 영상 설비들에 대한 정보가 등록된 영상 데이터베이스 (Data Base, 이하 “DB”)가 구축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PC는 VMS 서버에서 영상 데이터의 조회를 통해 카메라 조작, 운영, 영상 표출, 영상 재생, 및 백업 등 각종 영상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감시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카메라(E1), 영상 전송 장치(E2, E3, E4), 영상 교환 장치(E7), 저장 및 분배 장치(E5, E6), 영상 처리 장치(E8, E9, E10)의 연결 관계가 나타나 있다. 영상 감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는 네트워크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데, 각 설비들의 특수성으로 인해 서로 다른 연결 네트워크를 갖는다. 현장 감시 개소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영상은 관제 센터에 설치된 표출 장치(E8)에 의해 실시간으로 영상이 표출되고, 운영자는 녹화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원격 재생, 백업, 및 카메라 제어 등 필요한 통합 운영을 할 수 있다.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의 영상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VMS 서버(E4)는 내부에 상용 DBMS 프로그램을 탑재한 후 감시 카메라(E1), 영상 저장 장치(E6) 등 영상 설비들을 등록하여 영상 DB를 구성한다. 한편, VMS 서버(E4)의 클라이언트 PC 인 표출 장치(E8)는 영상 표출을 하기 위해 VMS 서버(E4)의 영상 DB의 조회를 통해 원하는 카메라(E1)의 IP 등 카메라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카메라 IP 호출을 통해 비디오 스트리밍을 받은 후 영상 디코딩 과정을 통해 모니터 상에 영상 표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PC 인 운영 장치(E9)는 임의의 카메라(E1)에 대해 저장된 영상을 재생 및 백업하기 위해 VMS 서버(E4)의 영상 DB를 조회함으로써 해당 카메라 영상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저장 장치 IP 호출을 통해 원하는 카메라(E1)의 저장 영상을 스트리밍, 영상 재생, 및 영상 백업(E10)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유사한 동작 원리에 의해, 클라이언트 PC 인 운영 장치(E9)는 영상 확대/축소 및 방향 등의 카메라 제어를 하기 위해서 VMS 서버(E4)의 영상 DB를 조회하고 카메라 IP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카메라 IP를 호출하여 팬틸트줌(Pan-tilt-zoom, PTZ) 등 필요한 카메라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영상 감시 시스템은 영상 분석을 위해 서버 기반의 영상 분석 기술 또는 엣지(Edge) 기반의 영상 분석 기술 등을 채용하고 있다. 서버 기반의 영상 분석 기술은, 영상 설비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 별도의 영상 분석 서버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시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영상 분석을 처리하기 위해 하나의 영상 분석 서버가 처리 가능한 카메라 수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통합적인 영상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영상 분석 서버들의 설치가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고가의 비용 및 대규모의 설치 공간 등을 필요로 하여 경제적인 제약이 많을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 서버에 탑재되는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는 영상 처리 장치에 탑재되는 영상 관리 소프트웨어와 연동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 엣지 기반의 영상 분석 기술은 카메라 자체에서 영상 분석이 가능한 방식이다. IP 카메라의 하드웨어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카메라 내부에 애드온(Add On) 방식으로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엣지 기반의 영상 분석 기술을 통해 객체 인식, 자동 추적, 번호판 인식, 인원 카운팅, 안면 인식 등 영상 분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식은 각 카메라의 분산 지능을 통해 수행되므로, 영상 감시 시스템 내에서 다른 요소들을 이용한 통합적인 제어가 어렵다. 오류 이벤트의 필터링, 수동 추적을 위한 제어 등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통합 관제 시스템의 이상 이벤트 탐지에 있어서, 영상으로는 탐지하기 어렵거나 시각적인 정보 이외의 정보를 기반으로만 판단될 수 있는 이상 이벤트 또한 탐지해낼 수 있도록 새로운 방식의 감시 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통합 관제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복수의 감시 개소들에 대한 장시간의 영상 감시는 운영자의 집중력 및 판단력을 저하시키므로 다수의 영상들에 대해 개별적인 관찰 및 대응이 요구되지 않는 지능형의 통합 관제 시스템이 필요하다.
통합 관제 시스템의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이상 이벤트를 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서버 기반 영상 분석 방식 및 엣지 기반 영상 분석 방식 각각 효율적인 통합 관제 시스템의 구현에 문제가 있어 새로운 방식의 영상 분석 방식이 필요하다. 즉, 서버 기반 영상 분석 방식을 이용할 경우, 하나의 영상 분석 서버가 처리 가능한 카메라 수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다수의 영상 분석 서버들의 설치가 불가피하여 영상 분석 서버들의 설치 및 유지를 위해 고가의 비용 및 대규모의 설치 공간 등을 필요로 한다. 한편, 엣지 기반의 영상 분석 방식을 이용할 경우, 영상 분석이 각 카메라의 분산 지능을 통해 수행되므로, 영상 감시 시스템 내에서 통합적인 제어가 어렵다. 이상 이벤트의 필터링, 수동 추적을 위한 제어 등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통합 관제 시스템에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와 운영 서버 및 영상 처리 장치 등에 탑재된 영상 관리 소프트웨어가 서로 개별적인 솔루션에 의해 구동하여 연동되지 않거나 불안정하게 구동하는 경우가 많아 이상 이벤트 발생시 통합적인 관제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은, 현장에 배치되어 영상 이벤트를 탐지하는 탐지용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카메라와 영상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 추적 촬영을 개시하는 추적용 아이피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감시 설비; 상기 현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오디오 이벤트를 탐지하는 복수의 아이피 오디오 센서들과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녹음하는 오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로써, 상기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오디오 레코더는 자동 녹음을 개시하고, 상기 아이피 오디오 센서들은 볼륨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탐지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현장들에 배치되는 아이피 피제어 설비; 상기 영상 감시 설비,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피제어 설비가 엘레먼트로 등록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이벤트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는 통합 관제 서버; 및 상기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아이피 조회를 통해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현장을 감시하고, 상기 현장에 위치한 상기 영상 감시 설비,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피제어 설비를 제어하는 운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는 소음, 대화, 가청주파수 밖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영상 감시 설비,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피제어 설비, 상기 통합 관제 서버, 상기 운영 장치 각각의 상호간은 클라우드 환경의 동일한 플랫폼에서 통합 운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제어 설비는 통신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통신 설비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디오 센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오디오의 감도를 증폭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현장은 복수개로써,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피제어 설비는,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감시 설비들, 복수의 오디오 감시 설비들, 및 복수의 피제어 설비들이고, 상기 영상 감시 설비들 및 오디오 감시 설비들 각각은 각 설비들이 배치된 현장의 영상 및 오디오 이벤트를 독립적으로 분석 및 탐지하는 분산 지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영상 감시 설비의 아이피 및 상기 영상 이벤트가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이벤트에 대한 액션플랜이 설정되는 영상 전용 운영 서버, 및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가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에 대한 액션플랜이 설정되는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는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영상 및 오디오 이벤트를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현장은 복수개로써,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피제어 설비는,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감시 설비들, 복수의 오디오 감시 설비들, 및 복수의 피제어 설비들이고, 상기 현장들 중 어느 하나의 현장에 배치된 영상 및 오디오 감시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는,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제공하는 통합 운영 그룹의 일원인 동시에 독립 운영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독립 운영 그룹은,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에의 로컬 사용자 등록 및 별도의 로컬 운영 장치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운영 장치는, 상기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영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의 상기 추적용 카메라에 대한 제어권 요청 및 이양하여 상기 추적용 카메라를 수동 조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디오 센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현장에서 발생하는 오디오를 저장하는 오디오 레코딩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은, 현장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오디오 이벤트를 탐지하는 복수의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오디오 센서들과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녹음하는 오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로써, 상기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아이피 오디오 센서들은 상기 오디오의 감도를 증폭시켜 오디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볼륨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탐지하며, 상기 오디오 레코더는 자동 녹음을 개시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현장들에 배치되는 아이피 피제어 설비;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를 엘레먼트로 등록시키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는 통합 관제 서버; 및 상기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아이피 조회를 통해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현장을 감시하고, 상기 현장에 위치한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의 자동 구동을 제어하는 운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는 소음, 대화, 가청주파수 밖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통합 관제 서버, 및 상기 운영 장치 상호간은 클라우드 환경의 동일한 플랫폼에서 통합 운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제어 설비는 통신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통신 설비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은, 복수의 현장들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현장의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이벤트를 탐지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이상 이벤트 발생시 자동 추적 촬영을 개시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복수의 추적용 카메라들; 상기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로부터 각각 탐지된 이상 이벤트들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는 이벤트 관리 서버; 상기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의 정보와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이상 이벤트를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운영 서버; 및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추적용 카메라들 중 상기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의 추적용 카메라에 대해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제어권 요청 및 이양을 통해 상기 추적용 카메라를 수동 조작하는 운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운영 서버의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에 의해 전달받은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대한 영상들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 장치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통해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대해 통합적으로 감시를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는, 상기 운영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현장의 상황을 지원할 수 있는 비영상 설비가 더 배치되고, 상기 비영상 설비는, 상기 운영 서버의 상기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며, 상기 운영 장치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통해 상기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에 대해 상기 비영상 설비를 제어하여 상기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 설비들 각각은 각 영상 설비가 배치된 현장의 이상 이벤트를 독립적으로 분석 및 탐지하는 분산 지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은, 복수의 탐지용 오디오 센서들 및 오디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오디오 관리 시스템(Audio Management System) 서버를 도입하여, 보다 정밀하고 다양한 이상 이벤트를 감시하고, 영상 및 비영상 설비들을 제어하여 현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은,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의 통합 DB 구축을 통해, 다수의 현장들 또는 다수의 분리된 감시 개소들에 대해 통합 운영이 가능하고, 통합 관제 센터 하의 개별 관제 센터 내의 VMS 서버의 영상 DB 구축을 통해 지역적으로 분리된 감시 개소에 대해 독립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계층적 운영 구조를 가지므로, 대규모 또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의 카메라는 내부에 영상 분석 수단이 자체적으로 탑재되는 카메라에서 분산 지능이 가능하여 이상 이벤트 발생시 즉각적인 탐지가 가능하여 별도의 영상 분석 서버가 필요없어 물리적인 공간의 제약없이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한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영상 설비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이상 이벤트의 학습이 가능하므로, 감시 대상 또는 이벤트의 종류가 변하더라도 기존 설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은,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가 VMS 서버의 DB와 서버-클라이언트로 연동되므로, 단일 운영 플랫폼 상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영상 감시 설비 뿐만 아니라 음성 감시 설비, 환경 감시 설비, 네트워크 설비, 인터폰, 출입 통제 설비, 및 방송 설비 등을 단일 운영 플랫폼 상에서 운영이 가능하므로, 영상 및 비영상 설비들을 용이하게 제어하여 현장을 지원할 수 있는 지능형 운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영상 감시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구축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B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영상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오디오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2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구축 방식에 의한 통합 관제 시스템(B300)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로컬 관제 시스템(P300)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로컬 관제 시스템(P300)을 이용하여 복수의 주요 시설물들을 감시하는 대규모 통합 관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3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300)에서 운영 장치1(OMS)에 의한 계층 구조의 위치 맵(E-MAP) 기반 운영 및 조작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로컬 관제 시스템(P400)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4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영상 감시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설명된 각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배경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이하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항목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구축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B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축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B100)은 영상 분석을 위해 복수의 영상 분석 서버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감시 대상이 되는 현장에 구축되는 현장 시스템(101)은 탐지용 카메라(103) 및 추적용 카메라(105) 등의 영상 설비, 방송 설비(107) 및 침입 탐지 센서(109) 등의 비영상 설비, 이더넷 전원 장치(Power Over Ethernet, PoE 스위치, B111), 네트워크 스위치(113) 등의 스위치 등을 포함하며, 네트워크 통신망(115)을 통해 통합 관제 센터(117)와 연결된다. 통합 관제 센터(117)는, 이더넷 전원 장치(PoE 스위치, B119), 네트워크 스위치(121) 등의 스위치, 전달받은 영상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분석 서버#1 내지 #n(123), 운영 서버(VMS 서버, B125), 저장 및 분배 장치(127), 운용 및 표출 장치들(129)을 포함하는 사용자 운영 장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영상 분석 서버(123)는 시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영상 분석을 처리하기 위해 고성능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는데, 일반적인 성능의 하드웨어를 이용할 경우 하나의 서버당 처리 가능한 카메라 수가 약 4~8개 정도로 매우 제한적이므로, 통합적인 영상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영상 분석 서버들의 설치가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고가의 비용 및 대규모의 설치 공간 등을 필요로 하여 전체적인 영상 감시 시스템을 설치 및 유지하는데 경제적인 제약이 많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의 블록도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종류의 부재를 의미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은, 영상 분석 기능 및 이상 이벤트 탐지 기능을 수행하는 탐지용 IP 카메라(104)와, 상기 이상 이벤트 수집, 필터링, 추적 촬영 제어, 및 현장 학습 기능을 갖춘 이벤트 관리 시스템(Event Management System, 이하“EMS 서버”, 124)과, 카메라 정보, 이상 이벤트 정보가 등록되는 통합 DB 및 이벤트 액션 플랜(Action Plan)이 설정되는 운영 서버(Video Management System, 이하 “VMS 서버”, 126)를 구비하고, 각 요소들을 상호 연동 운영함으로써 별도의 복수의 영상 분석 서버들을 포함하지 않고도 이상 이벤트를 자동 탐지, 자동 대응, 및 수동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은 대규모의 통합 관제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각 현장에 대해 운영자의 즉각적 대응 및 현장 설비 제어가 가능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현장 시스템(102)에 설치된 탐지용 카메라(104)는,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며, 인식된 객체의 이상 이벤트 여부를 분석 및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탐지용 카메라(104)는 장치 내에 탑재된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현장의 영상을 분석하고 이상 이벤트를 탐지해내는 IP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탐지용 카메라(104) 자체 내에서 이상 이벤트를 탐지해내므로, 도 2와 같은 별도의 복수의 영상 분석 서버들(123)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을 설치 및 유지하는데 있어서 경제적인 제약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탐지용 카메라(104) 자체에서 영상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는 분석된 이상 이벤트를 관리하는 장치이므로, 본 발명의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은 무제한의 카메라에 대한 지능형 영상 분석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현장들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104)이 있는 경우, 각각의 카메라는 각 카메라가 배치된 현장의 이상 이벤트를 독립적으로 분석 및 탐지하는 분산 지능을 가진다.
상기 탐지용 카메라(104)를 통해 탐지된 이상 이벤트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통신망(116)을 통해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로 보고된다.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는 이상 이벤트를 관리하고, 사용자 목적 및/또는 상황에 따라 전달받은 이상 이벤트를 필터링하여 운영 서버(VMS 서버, 126)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운영 서버(VMS 서버, 126)는 상기 필터링된 이상 이벤트를 추적용 카메라(106)에 전달하여, 상기 추적용 카메라(106)가 자동으로 구동하여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을 추적 촬영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운영자는 상기 운영 서버(VMS 서버, 126)를 통해 추적용 카메라(106)의 자동 추적을 중지시키는 제어권 요청 및 수동 조작 후의 제어권 이양 등을 통해 추적용 카메라(106)를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현장에 발생한 이상 이벤트에 대해 즉각적이면서도 유연성있게 대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감시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5)는 현장의 환경에 대한 학습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16)은 각 설비 및 서버들이 클라우드 환경 하에서 상호 연동되도록 구축된 것일 수 있다. 각 설비 및 서버들이 단일 플랫폼 하에서 운영됨에 따라 구동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VMS 서버, 126)에서는 현장의 상태 영상 및 이상 이벤트들을 저장하고, 운용 및 표출 장치(129)를 구비하는 운영 장치(131)에 이상 이벤트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 영상은 사용자의 모니터월(Monitor Wall)에 팝업 및 경보 표시가 되어 사용자가 현장의 이상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을 즉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를 통해 현장에 배치된 추적용 카메라(106) 및/또는 비영상 장치들(107, 109)을 구동시키거나 제어를 하여 원격으로 현장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상기 비영상 장치들(107, P109)은, 운영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므로 피제어 설비로도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비영상 장치들(107, 109)은, 방송 설비(107), 탐지 센서(109)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영상 장치들(107, 109)은, 오디오 설비, 환경 제어 설비, 통신 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도 3의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을 포함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P300)을 구축할 경우, 전술한 영상 감시 설비 외에 환경 감시 설비, 방송 설비, 출입 통제 설비 및 인터폰과 같은 비상 통화 설비 등 비영상 설비와 함께 운영될 수 있다. 통합 관제 시스템(P300)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은 상기 영상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100)에 따라 운용될 수 있다. 도 3과 중복되는 명칭은 동일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3및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감시 소프트웨어(A100)는 탐지용 카메라(104), 추적용 카메라(106),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 운영 서버(VMS 서버, 126), 운영 장치(131) 등 개별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중 운영 서버(VMS 서버, 126),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 등은 서버 프로그램이고, 운영 장치(131) 등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며, 서버-클라이언트 상호간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조회로 통합 운영이 가능하다. 특히, 프로그램들은 운영 서버(VMS 서버, 126)의 통합 DB를 기반으로 DB 조회를 통해 이벤트 정보의 공유를 하는 등 네트워크 상에서 유기적으로 연동되므로, 이들에 대한 통합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영 서버(VMS 서버, 126)는 영상 설비 등록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을 탑재하며, 이를 통해 IP 카메라(104, 106) 및 운영에 필요한 이벤트 등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104, 106)의 등록시에는 카메라 제조사, 모델명, 카메라 명칭, 통신 프로토콜, 프로파일 정보, IP, ID, 패스워드 및 팬틸트줌(Pan-tilt-zoom; PTZ) 제어 여부 등 각종 정보가 등록 가능하게 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저장 및 분배 장치(127) 등의 영상 설비 등록시에는, 모델명, 이름, IP, ID, 패스워드, 카메라 등록정보 등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하며, 클라이언트 PC를 통해 각각의 영상 설비에 등록된 카메라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탐지용 카메라(104)는 임베디드(Imbedded) 방식 또는 애드온(Add On) 방식의 지능형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탑재한다. 지능형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는 현장에서 객체 인식(104A)이 가능하며, 영상에 대한 자체 분석을 통해 이상 이벤트를 탐지하여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에 이상 이벤트를 보고(104B)한다.
탐지용 카메라(104)와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의 관계를 살펴보면, 탐지용 카메라(104)는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를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내용을 보고할 서버로 등록하며 탐지, 비상벨, 이상 이벤트 발생시 자동적으로 해당 이벤트를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로 보내어 지능형 탐지 이벤트 보고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는 이벤트 수집(124A) 및 이벤트 필터링(Filtering, 124B) 과정을 통해 유효한 이상 이벤트 정보를 운영 서버(VMS 서버, 126)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는 현장의 환경 학습 기능을 제어(124C)하고, 이벤트를 필터링(124B)할 때, 제어 결과를 반영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와 추적용 카메라(106)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는 이벤트 수집(124A) 및 이벤트 필터링(124B) 과정을 통해 유효한 이상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추적용 카메라(106)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추적용 카메라(106)에 의한 자동 추적 촬영이 개시된다. 추적용 카메라(106)는 자동 추적 소프트웨어(Auto Tracking S/W, 106A)와 영상의 확대/축소,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팬틸트줌(Pan-tilt-zoom, 이하 “PTZ”) 전동 장치(106B)를 포함한다.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는 추적용 카메라(106)에 의한 자동 추적 기능 제어권을 가지며, 운영자의 카메라 제어권 요청이 있을시 자동 추적을 중단하며, 운영자는 추적용 카메라(106)를 직접 제어 및 수동 조작할 수 있다. 운영자는 추적용 카메라(106)의 수동 조작을 마치면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를 통해 제어권 이양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적용 카메라(106)는 자동 추적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운영 서버(VMS 서버, 126)는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로부터 이벤트를 보고받는다. 구체적으로, 운영 서버(VMS 서버. 126)의 이벤트 관리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은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받아 설정된 이벤트 액션플랜(126A)에 따라 필요한 액션플랜(Action Plan)을 수행한다.
한편, 운영 서버(VMS 서버, 126)에는 현장에 대한 운영 그룹 정보, 현장의 위치 맵(E-MAP)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이 등록(126B)되고, 영상 설비에 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126C)가 만들어진다. 운영 서버(VMS 서버, 126)가 이상 이벤트 수신하면 해당 탐지용 카메라(124)의 영상을 운영 장치(131)에 팝업, 가시 및 가청 경보 등의 정보 전파 기능(131B)을 수행하여 운영자가 경보 상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영 서버(VMS 서버, 126)에 액션플랜의 설정(126A)을 통해 해당 카메라의 경보에 대응되는 자동 방송, 카메라의 프리셋(Preset) 이동, 자동 추적 개시, 추적 종료 등 등록된 카메라의 통제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운영 장치(131)는 운영 서버(VMS 서버, 126)의 클라이언트 PC 로서 운영 서버(VMS 서버, 126)의 운영 그룹 관리 기능 소프트웨어 모듈에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접근이 가능한 설비이다. 운영 장치(131)는 현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맵, 사용자 정보, 및 경보를 처리하는 기능(131A)을 수행할 수 있다. 운영 장치(131)가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영상이 팝업 및 경보가 표시(131B)되어 운영자가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다. 운영자는 원격 통신 및 엘레먼트 제어기(131C)를 통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스피커 및 PTZ 제어 장치 등 콘솔 설비(129)를 활용하여 위치 맵 기반으로 운영 그룹 내 등록된 추적용 카메라(106)에 대한 운용 및 조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운영자는 수백 개에 이르는 감시 카메라 영상을 동시에 감시 및 운영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카메라 영상 분석을 통해 객체 인식 및 자동 추적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규모 영상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카메라(104) 자체에 분석 기능을 탑재하는 동시에, 운영자에 의한 현장 제어가 가능한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지능형 오디오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2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의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은 상기 오디오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200)에 따라 운용될 수 있다. 도 4와 동일한 부재 번호는 동일한 종류의 장치를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과 상기 오디오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200)의 구동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영상 감시 시스템(P100)과 상기 오디오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100)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서술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은,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224), 음성 전용 운영 서버(Audio Management System, 이하 “AMS 서버”, 226)를 구비한다.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3)는 오디오 분석 기능 및 이벤트 탐지 기능을 수행한다.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224)는 상기 이벤트를 수집하고(224A), 이벤트를 필터링 및 보고하며(224B), 및 현장 학습 기능(224C)을 수행한다. 또한, 이상 이벤트의 발생으로 오디오 센서(204) 또는 오디오 레코더가 자동으로 오디오 레코딩되거나 오디오 발생 위치를 자동 추적하는 기능이 수행될 때, 운영자로터 오디오 센서의 제어권 요청을 받아 장치들의 자동 구동을 제어(224D)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3)는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오디오의 감도를 증폭시켜 오디오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볼륨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3) 자체 구비된 레코드 기능 또는 오디오 레코더를 이용하여 현장의 자동 녹음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3) 및/또는 오디오 레코더(206)의 자동 구동은 후술하는 운영 장치(131)의 제어권 요청 및 이양에 의해 자동 구동을 제어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이벤트는 소음, 대화, 가청주파수 밖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벤트의 대상은 운영자의 감시 및/또는 관리 목적에 달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전용 운영 서버(Audio Management System, 이하 “AMS 서버”, 226)는 오디오 이벤트 액션플랜이 설정(226A)되고, 감시 시스템(P200)에 대한 운영 그룹, 위치 맵, 및 사용자가 등록(126B)되며,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의 정보, 오디오 설비가 등록되는 통합 DB(226C)를 포함한다. 이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에 따르면, 오디오 이벤트의 자동 탐지, 액션플랜에 의한 자동 대응, 및 제어권 변경에 따른 수동 제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는 음성, 미세한 소리 등을 기초로 이벤트를 탐지해낼 수 있다. 영상 감시 시스템(P200)의 일반적인 오디오 감도를 가진 영상 설비는 저품질 또는 낮은 감도로 오디오를 저장하기 때문에 이벤트를 탐지하지 못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고감도 오디오 센서(204)를 이용하여 독립된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을 구축할 경우, 오디오 분석에 의한 이벤트를 탐지하고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장에 설치된 설비의 비정상적인 구동이 외관으로는 나타나지 않고 미세한 오디오를 통해 탐지될 수 있는 경우, 경계 구역 진입자가 감시 시스템 담당자를 호출하는 경우, 감시 시설물 방문자 간의 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실익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은, 본 발명의 영상 감시 시스템(P100)과 마찬가지로, 자동 이벤트 탐지, 액션플랜에 의한 자동 대응, 및 제어권 변경에 따른 수동 제어가 가능하므로, 대규모의 통합 관제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각 현장에 대해 운영자의 즉각적 대응 및 현장 설비 제어가 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현장 시스템(202)에 설치된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는 상호간에 거리를 두고 현장에 배치될 수 있다.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오디오를 탐지하며, 음성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객체의 이벤트 여부를 분석 및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위치의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에서의 오디오 볼륨의 크기 등에 따라 이벤트의 위치 등이 파악될 수 있다. 상기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는 장치 내에 탑재된 오디오 분석 소프트웨어(204A)를 통해 현장의 오디오를 분석하고 이벤트를 탐지해낼 수 있다. 이벤트는 오디오 센서 시스템(P2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소음, 대화 발생, 호출 발생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를 통해 탐지된 오디오 이벤트는 네트워크 통신망(115)을 통해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224)로 보고(203B) 된다.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는 오디오 이벤트를 수집(224A)하고, 사용자 목적 및/또는 상황에 따라 전달받은 이벤트를 필터링(224B)하여 음성 전용 운영 서버(AMS 서버, 226)에 전달할 수 있다.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는 이상 오디오 이벤트 및/또는 대상 오디오 이벤트가 탐지되면, 오디오 센서(204) 자체에 도 5와 같이 내장된 녹음 기능 또는 오디오 레코더(206)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서의 오디오를 녹음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디오 센서들(204)을 활용하여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운영자는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224)를 통해 오디오 센서 제어권 요청 및 수동 조작 후의 제어권 이양 등을 할 수 있어, 현장에 발생한 이상 이벤트에 대해 즉각적이면서도 유연성있게 제어(224D) 및 대응할 수 있다.
음성 전용 운영 서버(AMS 서버, 226)는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 오디오 레코더(206), 통신 장비(208) 등의 오디오 설비 정보 등이 등록되고, 현장의 상태 및 이벤트들이 저장되는 오디오 설비 통합 DB를 포함하며, 운용 및 표출 장치(129)를 구비하는 운영 장치(131)에 오디오 이벤트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의 위치는 운영자의 모니터월(Monitor Wall)에 팝업 및 경보 표시(231B)가 되어 운영자가 현장의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을 즉각적으로 감시 및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4)를 통해 현장에 배치된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의 감도, 볼륨, 녹음 등을 제어하여 원격으로 현장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은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이 녹음 기능을 갖추거나 별도의 오디오 레코더(2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의 녹음 기능 또는 상기 오디오 레코더(206)는 상기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현장에서 발생하는 오디오를 저장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는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외에도 방송 설비, 인터폰과 같은 비상 통화 설비, 통신 설비(208) 등이 다른 오디오 설비와 함께 운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전용 운영 서버(AMS, 226)에 전술한 방송 설비, 인터폰과 같은 비상 통화 설비, 통신 설비(208) 등이 다른 오디오 설비 등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며, 운영 장치(131)에서 음성 전용 운영 서버(226)의 통합 DB와의 연동 및 조회를 통해 각 오디오 설비 등에 접근할 수 있다.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 방송 설비, 및 인터폰과 같은 비상 통화 설비 등의 오디오와 관련된 장치들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로 통합 운영될 수 있다. 현장에서 탐지용 오디오 센서#1 내지 #n(204)에 의해 이벤트가 탐지될 경우 운영 장치(231)에 이벤트 정보가 전파되며, 운영자는 오디오 레코더(206), 방송 설비, 비상 통화 설비, 통신 설비(208) 등으로 현장 지원을 할 수 있다.
도 7은 일반적인 구축 방식에 의한 통합 관제 시스템(B300)의 블록도이다. 도 7의 통합 관제 시스템(B300)은 도 2의 영상 감시 시스템(B100)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일반적인 방식의 시스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통합 관제 시스템(B300)의 현장 시스템(301)은, 영상 감시 설비(303) 이외에 환경 감시 설비(309), 방송 설비(307), 출입 통제 설비, 및 인터폰(305) 등의 비상 통화 설비 등 비영상 설비와 함께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비영상 설비들은 영상 감시 설비(303)와 가입자 망(311) 및 액세스(Access) 망(315)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공유하나, 사실상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비영상 설비들은 개별 솔루션에 의한 운영이 불가피하여 출입 통제 서버(325A), 인터폰 모장치(325B), 방송 서버(325C), VMS 서버(325D) 등의 별도의 장치들이 각각 배치된 서버 팜(325)을 구성하며, 이에 따라 시스템이 복잡성이 증가하는 측면이 있다.
한편, 현장의 설비는 관제 센터 설비(317)와 연결된다. 관제 센터 설비(317) 중 영상 감시 설비(321)에서는 전술한 복수의 영상 분석 서버(321A)들이 존재하여 이상 이벤트를 탐지해내고, 운영 서버(VMS 서버, 325D) 및 운영 장치(323D)를 통해 운영자가 이상 이벤트를 인식하고 인터폰 등의 방송 콘솔(323C)을 통해 현장에 설치된 방송 설비(307), 출입 통제 설비(305) 등으로 이상 이벤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운영자가 현장의 이상 이벤트에 유연한 대응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지만, 카메라의 수에 따라 영상 분석 서버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대규모의 통합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기에 제약이 크다.
도 8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통합 관제 시스템(P300)의 블록도이다. 도 8의 통합 관제 시스템(P300)은 도 3의 영상 감시 시스템(P100)의 구조를 채용하는 방식의 시스템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통합 관제 시스템(P300)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장 및 국가 중요 시설물에 대해 적용한 예시들이 나타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P300)의 현장 시스템(302)은, 영상 감시 설비(302E) 이외에 환경 감시 설비(308), 방송 설비(306), 출입 통제 설비, 및 인터폰(304) 등의 비상 통화 설비 등 비영상 설비와 함께 통합 운영될 수 있다.
비영상 설비들, 즉 환경 감시 설비(308), 방송 설비(306), 출입 통제 설비(304) 등은 영상 설비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 IoT) 기술을 통해 설비 요소(Element)로 등록된다. 이에 따라, 이들 각각의 설비 엘레먼트들은 클라우드(Cloud) 환경 (312, 314, 320) 하에서 인터넷 프로토콜로 통합 관제 서버(Element Management System, 이하 “EMS 서버”, 330) 및 이벤트 수집 서버(326A)에 의해 단일 운영 플랫폼으로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대규모 관제 센터라 할 경우라 해도 객체 인식 서버, 방송 서버, 인터폰 모장치 및 출입 통제 서버 등이 통합 관제 서버(EMS 서버, 330)에 의해 통합 운영 가능하므로, 방송 서버, 출입 통제 서버 및 인터폰 모장치 등이 불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므로 운영 및 유지 보수 등에 유리하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와는 달리 영상 감시 설비(302E)가 자체적으로 영상 분석을 하여 그 분석 결과 값, 즉 이상 이벤트를 통합 관제 서버(EMS 서버, 330)에 보고하므로 통합 관제 시스템(P300)에 별도의 영상 분석 서버가 요구되지 않아 복수 장소에 대한 대규모의 통합 운영 시스템의 구성이 용이하고, 통합 관제 서버(EMS 서버, 330), 비디오 관리 시스템(Video Management System, 이하 “VMS 서버”, 322B), 이벤트 수집 서버(326A), 운용 장치 및 표출 장치(324D, 324B) 등 프로그램간 통합 연동 운영이 가능하므로 현장 설비에의 유연한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IP 카메라(302A, 302B), 영상 저장 및 분배 장치(322A), 영상 전송 설비(313), 방송 설비(306), 인터폰 및 출입 통제 설비(304) 등 IP 설비들은 현장에 설치하고, 관제 센터에서는 영상 처리 기능만 수행하므로 분산 컴퓨팅에 의해 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 관제 시스템(P300)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장 및 국가 중요 시설물에 대해 적용한 예시들이 나타나 있다. 전력 제어실, 공조실, 원자재 보관통, 생산 설비실 등은 탐지 카메라, 자동 추적 카메라, 온/습도 센서, 공기 살균기, 출입 통제 설비 등의 영상 및 비영상 설비들을 통해 감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 및 비영상 설비들은 통합 관제 서버(EMS서버, 330)에 엘레먼트(Element)로 등록되며, 사물 인터넷 기술 및 클라우드 환경(314, 326) 등을 통한 단일 운영 플랫폼 상에서 원격의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므로, 안정적으로 대규모 현장에 대한 지능형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3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의 통합 관제 시스템(P300)은 상기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300)에 따라 운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는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 비디오 관리 시스템 서버(VMS 서버, 322B), 이벤트 수집 서버(326A), 운영 장치 1 (OMS, 320D1), 운영 장치 2 (OPS, 320D2) , 표출 장치(WDS, 324B) 등 개별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사업 규모에 따라 한 개의 하드웨어에 설치되거나 각 소프트웨어별로 하드웨어에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별 응용 소프트웨어 중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 비디오 관리 시스템 서버(VMS 서버, 322B), 이벤트 수집 서버(326A) 등은 서버 프로그램이고, 운영 장치 1 (OMS, 320D1), 운영 장치 2 (OPS, 320D2) , 표출 장치(324B) 등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서버-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호간 데이터베이스 조회 및 제공으로 통합 운영이 가능하다. 특히, 프로그램들은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의 통합 DB를 기반으로 프로그램들 상호간 DB 조회를 통해 사용자 정보, 등록된 엘레먼트 정보, 이벤트 정보의 공유를 하는 등 네트워크 상에서 유기적으로 연동되므로, 이들에 대한 통합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는 엘레먼트 등록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을 탑재하며,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엘레먼트, 및 운영에 필요한 이벤트 등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엘레먼트 중 감시 카메라(302A, 302B)의 등록시에는 카메라 제조사, 모델명, 카메라 명칭, 통신 프로토콜, 프로파일 정보, IP, ID, 패스워드 및 팬틸트줌(PTZ) 제어 여부 등 각종 정보가 엘레먼트 등록 소프트웨어에 등록 가능하게 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저장 및 분배 장치(322A) 등의 영상 설비 등록시에는, 모델명, 이름, IP, ID, 패스워드, 카메라 등록정보 등 정보를 엘레먼트 등록 소프트웨어에 등록 가능하게 하며, 클라이언트 PC를 통해 각각의 영상 설비에 등록된 카메라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IP 기반 영상 전송 장치(313), 환경 감시 설비(308), 방송 설비(306), 인터폰 및 출입 통제 설비(304) 등록시에는 클라이언트 PC를 통해 각각의 엘레먼트 접근에 필요한 보안 정보 등을 등록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IP 기반 엘레먼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302A, 302B), 저장 및 분배 장치(322A) 등의 영상 감시 설비(302E, 322), 온습도 센서(308A), 탐지 센서(308B), 및 연동 장치(308C) 등의 환경 감시 설비(308), 영상 전송 설비 설비(313), 인터폰(304A), 스피커(306A) 등의 방송 설비(306), 출입 통제 설비(304) 등이 있을 수 있다.
IP 기반 엘레먼트과 이벤트 수집 서버(326)의 관계를 살펴보면, IP 기반 엘레먼트 중 이벤트 서버 등록 기능이 있는 사물인터넷 장치(Smart IoT Device)의 경우, 이벤트 수집 서버(326)를 이벤트 서버로 등록하며 탐지, 비상벨, 장애 이벤트 발생시 자동적으로 해당 이벤트를 이벤트 수집 서버(326)로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 수집 서버(326)는 이벤트 수집(326A1) 및 이벤트 필터링(326A2) 과정을 통해 유효한 장애 정보를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에 보고(326A4)할 수 있다. 이벤트 필터링 기능 소프트웨어 모듈의 경우 사업별 특성에 맞는 맞춤(Customizing) 수행을 통해 최적의 성능 조건이 구현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이벤트 서버 수집 기능이 없는 IP 기반 엘레먼트의 경우에는, 이벤트 수집 서버 내의 상태 정보 수집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폴링(Polling, 326A3)에 의한 주기적 접근을 이용하여, 개별 엘레먼트의 장애 및 상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는 이벤트 수집 서버(326A)로부터 이벤트를 보고받는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의 활성 이벤트 관리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330A1)은 이벤트 수집 서버(326A)로부터 이벤트 활성 정보를 받아 필요한 액션플랜(Action Plan)을 수행한다. 비활성 이벤트 수신 시에는 이벤트 이력 관리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330A2)로 보내지며 통합 DB에 저장됨으로써 운영 장치(320D1)를 통한 비활성 경보에 대한 조회 기능을 지원한다.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의 통합 DB에는 각종 설비 엘레먼트들이 등록(330A3)되고, 운영 그룹, 위치 맵, 및 사용자가 등록(330A4)되어 있다. 이에 따라, 등록된 운영자가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의 통합 DB 조회를 통해 각종 설비들을 조회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활성 이벤트 수신 시에는 장애 정도에 따라 경보(Warning), 마이너(Minor), 메이저(Major) 및 긴급 경보 등 4 등급 이상으로 가시 및 가청 경보를 선언하며 운영 장치(320D1)에 경보 전파 기능을 수행을 통해 운영자가 경보 상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액션플랜의 설정을 통해 해당 엘레먼트의 경보에 대응되는 자동 방송, 카메라의 프리셋(Preset) 이동, 자동 추적 개시, 추적 종료 등 등록된 엘레먼트의 통제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운영 장치1(OMS, 320D1)는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 및 VMS 서버(322B)의 클라이언트 PC 로서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의 운영 그룹 관리 기능 소프트웨어 모듈(330A4)에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접근이 가능한 설비이다. 운영 장치1(OMS, 320D1)는 위치 맵이 등록되며, 경보 조회, 및 사용자 접근 제어 기능(D11)이 구동된다. 이상 이벤트가 운영 장치1(OMS, 320D1)에 전파되면, 영상 팝업 및 이벤트 처리기(D12)가 구동될 수 있다. 운영 장치1(OMS, 320D1)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스피커 및 팬틸트줌(PTZ) 제어 장치 등 콘솔 설비를 활용하여 위치 맵 (E-MAP) 기반으로 운영그룹 내 등록된 엘레먼트에 대한 운용 및 제어 기능(D13)을 수행할 수 있다. 단일의 운영 장치1 (OMS, 320D1)는 원격 통신을 통해 다수의 표출 장치(WDS, 324B)들을 통합 제어(D13)함으로써, 대규모 모니터월 상에서 영상 디스플레이 교환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영상의 전시 방식이 가능하다.
운영 장치 2(OPS, 320D2)는 원격 통신 및 모니터월 컨트롤러(D21)와 로컬 및 원격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모듈(D22)을 탑재하여 운영 장치2(OPS, 320D2)와 표출 장치(WDS, 324B) 간 통합 연동이 가능하다.
표출 장치(Wall Display Interface System, WDS, 324B)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 서버(VMS 서버, 322B)의 클라이언트 PC 로서, 모니터월(Monitor Wall)이라 불리는 다수의 영상 디스플레이의 모니터 조합을 통해 영상 전시를 한다. 표출 장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에 등록된 후,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330)의 클라이언트인 운영 장치(320D1, 320D2)를 통해 원격 통신으로 비디오 관리 시스템 서버(VMS 서버, 322B)의 영상 DB를 조회하고, 영상 표출에 필요한 감시 카메라를 할당 받을 수 있다. 할당된 감시 카메라의 조합을 통해 분할 화면으로 구성된 표출 그룹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표출 장치(324B)에 키보드 및 마우스 등 콘솔을 연결할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매니저(Display Manager)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 영상을 표출할 수도 있다.
도 11는 도 10의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300)에서 운영 장치1(OMS, 320D1)에 의한 계층 구조의 위치 맵(E-MAP) 기반 운영 및 조작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운영 장치(OMS)는 도 10의 운영 장치1(OMS, 320D1)에 대응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계층 구조의 위치 맵(E-MAP) 운용에 의해 경보가 발생된 위치가 시각화되어 나타남으로써, 운영자가 경보 발생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운영 장치(OMS, 도 10의 320D1)의 원격 통신 및 제어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은 위치 맵(E-MAP) 상에서 엘레먼트와 동일한 외형을 보여주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엘레먼트에 대한 웹 기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콘솔 장치를 통한 팬틸트줌(PTZ) 제어, 양방향 통화, 출입문 원격 쇄정 등 엘레먼트 제어가 가능하다.
도 11의 좌측 하단의 윈도우 캡쳐 화면 부분을 참조하면, 좌측 윈도우에는 이벤트 활성화에 따라 운영 콘솔 모니터에 영상 팝업이 나타나 있고, 우측 윈도우에는 운영자가 수동 카메라 제어기 실행을 하여 현장을 수동 조작을 하는 예시 화면을 보여준다.
비디오 관리 시스템 서버(VMS 서버, 도 10의 322B)는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의 메인 서버로 기능하나, 통합 관제 시스템에서는 EMS 서버(도 10의 330)의 통합 DB에 등록된 개별 운영그룹에 할당된 영상 DB를 구성하는 개념을 가진다. 즉, 통합 관제 시스템은 한 개의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EMS 서버, 도 10의 330)에 대해 다수의 관제 센터들의 다수의 비디오 관리 시스템 서버(VMS 서버, 도 10의 322B)들을 구축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로컬 관제 시스템(P400)의 블록도이다.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P400)은 도 5 및 도 6의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 및 그 알고리즘(A200)을 채용하는 방식의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P400)과 상기 통합 관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400)의 구동은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통합 관제 시스템(P300)과 그 알고리즘(A300)과 유사하나,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을 더 포함하여, 탐지용 오디오 센서 #1 내지 #n, 오디오 레코더, 통신 설비 등의 오디오 설비(402E), 음성 이벤트를 포함하여 관리하는 통합 관제 서버(EMS 서버, 430), 음성 전용 운영 서버(AMS 서버, 426B) 등을 포함하고, 이들이 세션 개시 프로토콜로 통합 운영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통합 관제 시스템(P300)과 그 알고리즘(A30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적용 방식에 의한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4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와 중복되는 명칭은 동일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P300)은 오디오 감시 설비(402E), 영상 감시 설비(302E), 환경 감시 설비(308), 방송 설비(306), 출입 통제 설비(304), 인터폰 등의 비상 통화 설비(304A), 네트워크 설비(312, 314) 등 비영상 설비와 함께 통합 운영될 수 있다.
환경 감시 설비(308), 방송 설비(306), 출입 통제 설비(304), 인터폰 등의 비상 통화 설비(304A), 네트워크 설비(312, 314) 등은 오디오 감시 설비(402E) 및 영상 감시 설비(302E)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설비 엘레먼트로 등록되므로, 클라우드 환경 하에서 통합 관제 서버(EMS 서버, 430) 및 이벤트 수집 서버(426A)에 의해 단일 운영 플랫폼으로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오디오 감시 설비(420E)는 자체적으로 오디오 분석을 하여 이벤트를 탐지하므로, 통합 관제 시스템(P400)에 별도의 오디오 분석 서버가 요구되지 않아 복수 장소에 대한 대규모의 통합 운영 시스템의 구성이 용이할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EMS 서버, 430), 오디오 관리 시스템 서버(AMS 서버, 426B), 비디오 관리 시스템 서버 (VMS 서버, 326B), 이벤트 수집 서버(426A), 운영 장치1,2 및 표출 장치(324D1, 324D2, 324B) 등은 클라우드 환경하에서 프로그램간 통합 연동 운영이 가능하므로 현장 설비에의 유연한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오디오 센서, 오디오 저장 및 분배 장치, 오디오 전송 설비, 방송 설비, 인터폰, 출입 통제 설비 및 IP 설비들은 현장에 설치하며 관제 센터에서는 오디오 및 영상 처리 기능만 수행하므로 분산 컴퓨팅에 의해 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3의 영상 감시 시스템(P100), 도 4의 영상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100), 도 5의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 도 6의 오디오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200), 도 8의 통합 관제 시스템(P300), 도 10의 통합 관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300), 도 12의 통합 관제 시스템(P400), 도 13의 통합 관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40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현장에 배치된 영상 감시 설비, 오디오 감시 설비, 피제어 설비, 이에 따른 하나의 영상 전용 운영 서버, 하나의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 만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 5의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 도 6의 오디오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200), 도 8의 통합 관제 시스템(P300), 도 10의 통합 관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300), 도 12의 통합 관제 시스템(P400), 도 13의 통합 관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A400)은 복수의 현장들, 즉 복수의 개별 감시 개소들을 통합 운영하는 데 이용된다.
즉, 복수의 현장들 중 어느 하나의 현장에 배치된 영상 감시 설비, 오디오 감시 설비, 및 피제어 설비에 대응하는 영상 전용 운영 서버 및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는, 통합 관제 서버와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이벤트를 공유하는 통합 운영 그룹의 일원인 동시에 독립 운영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이 ‹š, 상기 독립 운영 그룹은, 영상 전용 운영 서버 및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에의 로컬 사용자 등록 및 별도의 로컬 운영 장치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P100), 오디오 감시 시스템(P200), 및 통합 관제 시스템(P300, P400)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개시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들에 불과하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개시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P100: 본 발명의 영상 감시 시스템
A100: 본 발명의 영상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
P200: 본 발명의 오디오 감시 시스템
A200: 본 발명의 오디오 감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
P300, P400: 본 발명의 통합 관제시스템
A300, A400: 본 발명의 통합 관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
104: 탐지용 IP 카메라
106, 312, 314, 320: 추적용 IP 카메라
116: 네트워크 통신망(클라우드 환경)
124, 224: 이벤트 관리 서버(EMS 서버)
126, 326B: 운영 서버(VMS 서버)
204, 402A: 오디오 센서
226, 426B: 운영 서버(AMS 서버)
330, 430: 통합 관제 서버(EMS 서버)
402E: 오디오 감시 설비

Claims (15)

  1. 현장에 배치되어 영상 이벤트를 탐지하는 탐지용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카메라와 영상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 추적 촬영을 개시하는 추적용 아이피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감시 설비;
    상기 현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오디오 이벤트를 탐지하는 복수의 아이피 오디오 센서들과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녹음하는 오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로써, 상기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오디오 레코더는 자동 녹음을 개시하고, 상기 아이피 오디오 센서들은 볼륨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탐지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현장들에 배치되는 아이피 피제어 설비;
    상기 영상 감시 설비,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피제어 설비가 엘레먼트로 등록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이벤트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는 통합 관제 서버; 및
    상기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아이피 조회를 통해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현장을 감시하고, 상기 현장에 위치한 상기 영상 감시 설비,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피제어 설비를 제어하는 운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는 소음, 대화, 가청주파수 밖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영상 감시 설비,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피제어 설비, 상기 통합 관제 서버, 상기 운영 장치 각각의 상호간은 클라우드 환경의 동일한 플랫폼에서 통합 운영되는 이엠에스 기반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설비는 통신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통신 설비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센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오디오의 감도를 증폭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은 복수개로써,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피제어 설비는,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감시 설비들, 복수의 오디오 감시 설비들, 및 복수의 피제어 설비들이고,
    상기 영상 감시 설비들 및 오디오 감시 설비들 각각은 각 설비들이 배치된 현장의 영상 및 오디오 이벤트를 독립적으로 분석 및 탐지하는 분산 지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시 설비의 아이피 및 상기 영상 이벤트가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이벤트에 대한 액션플랜이 설정되는 영상 전용 운영 서버, 및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가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에 대한 액션플랜이 설정되는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는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영상 및 오디오 이벤트를 각각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은 복수개로써,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피제어 설비는,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감시 설비들, 복수의 오디오 감시 설비들, 및 복수의 피제어 설비들이고,
    상기 현장들 중 어느 하나의 현장에 배치된 영상 및 오디오 감시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는,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제공하는 통합 운영 그룹의 일원인 동시에 독립 운영 그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운영 그룹은, 상기 영상 및 상기 오디오 전용 운영 서버에의 로컬 사용자 등록 및 별도의 로컬 운영 장치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장치는, 상기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영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의 상기 추적용 카메라에 대한 제어권 요청 및 이양하여 상기 추적용 카메라를 수동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센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현장에서 발생하는 오디오를 저장하는 오디오 레코딩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10. 현장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오디오 이벤트를 탐지하는 복수의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오디오 센서들과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녹음하는 오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로써, 상기 오디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아이피 오디오 센서들은 상기 오디오의 감도를 증폭시켜 오디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볼륨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탐지하며, 상기 오디오 레코더는 자동 녹음을 개시하는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현장들에 배치되는 아이피 피제어 설비;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를 엘레먼트로 등록시키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는 통합 관제 서버; 및
    상기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아이피 조회를 통해 상기 오디오 이벤트의 발생 현장을 감시하고, 상기 현장에 위치한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의 자동 구동을 제어하는 운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이벤트는 소음, 대화, 가청주파수 밖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상기 통합 관제 서버, 및 상기 운영 장치 상호간은 클라우드 환경의 동일한 플랫폼에서 통합 운영되는 이엠에스 기반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설비는 통신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감시 설비 및 상기 통신 설비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12. 복수의 현장들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현장의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이벤트를 탐지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이상 이벤트 발생시 자동 추적 촬영을 개시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복수의 추적용 카메라들;
    상기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로부터 각각 탐지된 이상 이벤트들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는 이벤트 관리 서버;
    상기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의 정보와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이상 이벤트를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운영 서버; 및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추적용 카메라들 중 상기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의 추적용 카메라에 대해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제어권 요청 및 이양을 통해 상기 추적용 카메라를 수동 조작하는 운영 장치;를 포함하는 이엠에스 기반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의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탐지용 카메라들에 의해 전달받은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대한 영상들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 장치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통해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 대해 통합적으로 감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에스 기반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장들에는, 상기 운영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현장의 상황을 지원할 수 있는 비영상 설비가 더 배치되고,
    상기 비영상 설비는, 상기 운영 서버의 상기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며,
    상기 운영 장치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통해 상기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에 대해 상기 비영상 설비를 제어하여 상기 이상 이벤트가 발생한 현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에스 기반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설비들 각각은 각 영상 설비가 배치된 현장의 이상 이벤트를 독립적으로 분석 및 탐지하는 분산 지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엠에스 기반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200089302A 2020-07-20 2020-07-20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364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02A KR102364043B1 (ko) 2020-07-20 2020-07-20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02A KR102364043B1 (ko) 2020-07-20 2020-07-20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782A true KR20220010782A (ko) 2022-01-27
KR102364043B1 KR102364043B1 (ko) 2022-02-16
KR102364043B9 KR102364043B9 (ko) 2022-06-16

Family

ID=8004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302A KR102364043B1 (ko) 2020-07-20 2020-07-20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951B1 (ko) * 2022-02-08 2022-08-24 주식회사 오라시스템 멀티 사이트 통합 운영을 위한 스마트 ems 기반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215A (ko) * 2008-05-06 2009-11-11 (주) 티앤엑스시스템즈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60110790A (ko) * 2015-03-12 2016-09-22 주식회사 디지소닉 위험인지 가능 영상감시시스템
KR101671783B1 (ko) * 2014-12-29 2016-11-02 오세동 통합경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6895B1 (ko) * 2017-09-18 2019-04-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음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자동차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215A (ko) * 2008-05-06 2009-11-11 (주) 티앤엑스시스템즈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671783B1 (ko) * 2014-12-29 2016-11-02 오세동 통합경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0790A (ko) * 2015-03-12 2016-09-22 주식회사 디지소닉 위험인지 가능 영상감시시스템
KR101936895B1 (ko) * 2017-09-18 2019-04-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음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자동차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951B1 (ko) * 2022-02-08 2022-08-24 주식회사 오라시스템 멀티 사이트 통합 운영을 위한 스마트 ems 기반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043B9 (ko) 2022-06-16
KR102364043B1 (ko)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5748A1 (en) Automated camera response in a surveillance architecture
US7015806B2 (en) Distributed monitoring for a video security system
US9300921B2 (en) Video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US8520068B2 (en) Video security system
US10410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security
US20050132414A1 (en) Networked video surveillance system
KR101814544B1 (ko) 보안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090115570A1 (en) Device for electronic access control with integrated surveillance
CN101511002B (zh) 一种联动监视系统及实现方法
KR101832446B1 (ko) 단일 망으로 비상벨에서의 양방향 통화 기능이 구현된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US20040086091A1 (en) Lifestyle multimedia security system
CN109361594A (zh) 多功能杆的网关系统及多功能杆
KR20160080159A (ko) 통합경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5951B1 (ko) 멀티 사이트 통합 운영을 위한 스마트 ems 기반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102364043B1 (ko)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CN101635657A (zh) 全ip化网络视频监控告警控制方法和业务管理服务器
CN103152552A (zh) 执法监督系统
US918373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 management of security systems
US2003022111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security access control system
RU127500U1 (ru) Система видеонаблюдения
KR20200113322A (ko) 이엠에스 기반 지능형 통합관제 시스템
CN105448054A (zh) 用于现代社区的智能安防系统
EP1787270B1 (en) Monitoring system
KR100793813B1 (ko)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E60307739T2 (de)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