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266A -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266A
KR20220010266A KR1020200088945A KR20200088945A KR20220010266A KR 20220010266 A KR20220010266 A KR 20220010266A KR 1020200088945 A KR1020200088945 A KR 1020200088945A KR 20200088945 A KR20200088945 A KR 20200088945A KR 20220010266 A KR20220010266 A KR 2022001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tore
terminal
user terminal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926B1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Priority to KR102020008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9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3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characterised by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payment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5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characterised by personalisation for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결제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범위에 상기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METHOD, PAYMENT DEVICE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A SIMPLE PAYMENT MEANS AVAILABLE IN STORES}
본 발명은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장에서 결제 대기 중인 고객에게 간편 결제 수단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카오 페이, 페이코, 삼성 페이 등의 간편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개발되어 온라인 결제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고, 오프라인의 카페, 식당, 편의점 등에서도 간편 결제 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오프라인에서 이러한 간편 결제 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매장의 POS기와 같은 결제 단말 앞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부터 결제까지 준비 과정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간편 결제 수단의 이용이 온라인 보다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따라서, 간편 결제 수단을 오프라인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간편 결제 수단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을 미리 제공함으로써 간편 결제 수단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결제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범위에 상기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범위는, 상기 매장 내 결제를 대기하기 위한 결제 대기 영역에 위치한 센서들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에 설치된 외부 기기에 의하여 상기 매장 내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송신 범위에 상기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전 재전송 요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결제 단말의 기준 거리보다 가까워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리스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범위는, 상기 매장의 구조에 따라 송신 각도 및 송신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매장의 구조는, 상기 매장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영역, 상기 매장의 입구, 상기 결제 수단의 위치 및 결제 대기를 위한 결제 대기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범위는, 상기 매장의 이용 시간 별 고객의 수를 고려하여, 상기 이용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범위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상기 리스트의 전송을 위한 통신 전파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포인트나 쿠폰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상기 송신 범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 각각에 대해 상기 매장에서 제공되는 혜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 범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은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고객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제 단말에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i) 결제 전 재전송 요청 또는 ii) 상기 간편 결제 수단의 비이용 의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결제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간편 결제 수단들을 필터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의 간편 결제 수단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가장 최근에 이용되거나 또는 가장 많이 이용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특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이 매장을 이용하고, 상기 특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 중 일부 고객이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 중 결제를 수행하지 않은 고객들의 사용자 단말에 더치 페이를 위한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은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대표 결제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서버 및 상기 결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결제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는 단계; 매장에 설치된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매장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기준 거리 이하의 범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준 시간 동안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결제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매장에 설치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 내 고객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 내 고객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결제 단말에 인접한 결제 대기 영역에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단말에 인접한 결제 대기 영역은, 상기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기준 거리 내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매장의 결제 단말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고,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 범위에 상기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매장 내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고객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제 단말에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매장의 결제 단말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고, 매장에 설치된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매장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간편 결제 수단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을 미리 제공함으로써 간편 결제 수단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과 결제 단말에 의해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구조에 따라 송신 범위가 다르게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등의 외부 기기에 따라 송신 범위가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시간 별 이용 고객의 수를 고려하여 송신 범위가 다르게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복수의 고객들 중 일부 고객이 결제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과 결제 단말에 의해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에서 간편 결제 수단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결제 대기시 매장의 결제 단말(101)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결제 전에 미리 간편 결제 수단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결제 단말(101)은 매장에 결제를 수행하거나 매출을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POS(Point Of Sale System) 단말에 대응하거나 매장에 선불 결제 등을 위해 별도로 설치된 데스크탑, 노트북 등의 통신 장치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2)은 프로세서에 대응하며, 스마트폰, 태플릿, 노트북과 같은 메모리 및 통신 모뎀을 구비한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간편 결제 수단이란 온라인 상에 등록된 카드나 계좌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오프라인 상에서 실물의 현금이나 카드 없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간단한 인증을 수행하고, NFC, QR 코드 인식, 바코드 인식 같은 기능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수단을 의미한다. 일례로, 간편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카카오페이, 페이코, PayPal, 삼성 페이 등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단말(101)이 매장에 있는 고객들 중 결제 단말(101)로부터 특정 범위에 속하는 고객들의 사용자 단말(102)에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한다.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2)을 소지한 고객은 결제 단말(101) 앞에서 결제를 수행할 때 이용할 간편 결제 수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은 도 2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201)에서, 결제 단말은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한다. 매장에 따라 지원되지 않는 간편 결제 수단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결제 단말은 각 간편 결제 수단들의 이용 조건 등을 고려하여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결정하거나, 매장의 관리자로부터 입력 받아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2)에서, 결제 단말은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범위를 결정한다. 송신 범위는 매장 내에서 결제를 마치고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이 아닌 결제 대기 중인 고객들을 대상으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가 송신되는 영역 또는 범위를 의미한다.
일례로, 결제 단말은 매장의 구조에 따라 송신 각도 및 송신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송신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 각도는 결제 단말과 매장의 입구가 이루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결제 단말로부터 +180도 이하, -180도 이상의 각도 범위에서 특정한 각도 또는 일정한 크기의 각도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송신 각도는 서로 다른 복수의 각도 범위로 결정될 수 있으며, 기재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송신 거리는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가 송신되는 최대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송신 거리는 송신 각도 별로 달라질 수 있으며, 송신 거리는 결제 단말에서 근거리 통신 전파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결정된다. 전파의 세기가 약할수록 송신 거리는 줄어들고, 전파의 세기가 클수록 송신 거리도 늘어난다.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의 전송은 근거리 통신 전파가 이용된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근거리 통신 전파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직비(Zigbee) 등의 일정 거리 이상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기술에 이용되는 전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근거리 통신 전파는 기재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종류의 기술에 기반한 근거리 통신 전파도 이용될 수 있다.
매장의 구조는 매장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영역, 매장의 입구, 결제 대기를 위한 결제 대기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치를 의미한다. 매장 마다 테이블과 같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영역, 대기줄, 대기석과 같이 결제 대기를 위한 결제 대기 영역이 다른 위치 및 크기를 갖기 때문에, 결제 단말은, 매장의 구조를 고려하여 결제를 대기 중인 고객들이 있는 결제 대기 영역을 송신 범위로 결정하여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매장의 구조에 대한 정보는 매장의 관리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거나 서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매장의 구조에 따라 송신 범위를 정하는 구체적인 예는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른 예로, 결제 단말은 매장 내 결제를 대기하기 위한 결제 대기 영역에 설치된 센서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장 내 결제를 대기하기 위한 대기줄, 대기석 또는 입구 근처에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결제 단말은 매장에 설치된 센서 각각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속하는 범위를 송신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즉, 결제 단말은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매장 내 센서로부터 일정 거리에 속하는 범위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결제 단말과 센서 사이의 특정 범위를 송신 범위로 결정하고,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의 입구나, 매장 내 장소에 와이파이나 비콘 등의 외부 기기가 설치되는 경우, 와이파이나 비콘으로 매장 내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될 수 있고, 매장 내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제 단말은 와이파이나 비콘으로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는 경우에 송신 범위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매장 내 비콘은 매장의 입구나 결제 단말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송신 범위는 결제 단말부터 매장의 입구까지의 범위로 결정되거나, 와이파이나 비콘에서 일정 거리 범위 내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매장은 이용 시간 별로 고객의 이용 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매장에 고객들이 많은 시간 대와 고객들이 적은 시간 대를 구분하여 송신 범위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즉, 결제 단말은 고객들이 많은 시간대는 근거리 통신 전파의 세기를 키움으로써 송신 범위를 넓게 하고, 고객들이 적은 시간대는 근거리 통신 전파의 세기를 줄임으로써 송신 범위를 사람들이 붐비는 시간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송신 범위의 크기나 위치는 매장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정한 값으로 제한되지 않고, 매장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거나, 결제 단말에서 이전의 거래 기록들을 분석하여 시간 대 별로 송신 범위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제 단말은 이전의 거래 기록들을 분석하여, 고객의 수가 증가하는 시간대일수록 송신 범위를 넓게 결정하고, 고객이 적은 시간대일수록 송신 범위를 좁게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간에 따라 매장의 구조가 변하는 경우, 결제 단말은 매장의 관리자로부터 시간에 따라 미리 입력된 송신 범위를 식별하고, 식별된 송신 범위에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203)에서, 결제 단말은 결정된 송신 범위에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방법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 전파를 이용할 수 있다. 결제 단말은 일방적으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하며, 송신 범위에 있던 사용자 단말들에 전송된다.
일례로, 결제 단말은 단순히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 뿐만 아니라, 각 간편 결제 수단 별로 매장에서 이용될 때 제공되는 혜택들에 대한 정보를 함께 송신 범위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매장의 고객들은 간편 결제 수단 별로 제공되는 혜택을 고려하여 간편 결제 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간편 결제 수단의 이용을 장려할 수 있다.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특정 간편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진행한 후에도, 선택되지 않은 간편 결제 수단의 혜택을 푸시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써 취소 후 재결제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단말은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 뿐만 아니라,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포인트나 쿠폰을 식별하고, 식별된 포인트나 쿠폰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송신 범위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장의 관리자가 매장에서 적립이 가능한 포인트나 쿠폰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들(예: L.point, 해피포인트, 스타벅스 등)을 결제 단말에 미리 설정하고, 결제 단말은 결제시 포인트 적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포인트나 쿠폰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송신 범위로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 범위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은 일방적으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수신하기 때문에 중복하여 수신하는 경우, 결제를 이미 했거나 서비스를 이미 이용 중인 고객의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단계(203)에서, 결제 단말은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푸시 메시지로 송신하고, 송신 범위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은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 간편 결제 수단 별 이용 혜택, 이용 가능한 포인트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결제 단말은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에 간편 결제 리스트들이 표시되도록 푸시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거나,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에 간편 결제 수단을 미리 준비하라는 등의 안내 문구와 함께 고객이 i) 푸시 메시지에 대해 결제 전 재전송 요청을 위한 버튼, ii) 일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 중 대표 결제자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및 iii) 간편 결제 수단의 비이용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버튼 등이 표시되도록 푸시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에서 후술한다. 대표 결제자와 관련된 내용은 도 6에서 후술한다.
결제 대기 중이 아니거나 간편 결제 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은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한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버튼을 통해 간편 결제 수단의 비이용 의사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ID를 결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결제 단말은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할 때 비이용 의사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이 제외하고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대기 중이지만 다른 용무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고객은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한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버튼을 통해 결제 전 재전송 요청을 결제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즉, 고객이 간편 결제 수단을 추후에 결제 단말 앞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동일한 푸시 메시지를 결제 단말 앞에서 다시 전송하도록 하는 결제 전 재전송 요청과 사용자 단말의 ID 및 위치를 결제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결제 단말은 결제 전 재전송 요청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이 결제 단말과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ID를 이용하여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재전송할 수 있다. 기준 거리는 매장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특별한 값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고객에 의하여 상술한 버튼이 아닌 푸시 메시지의 나머지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다. 단계(204)에서, 사용자 단말은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에서 고객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단계(205)에서, 사용자 단말은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 단말에 결제 요청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결제 단말은 송신 범위와 관계없이 결제 단말이나 매장의 입구에 설치되는 와이파이, 무선 센서, 비콘 등의 외부 기기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외부 기기는 결제 단말의 주변 또는 내부에 설치되고, 결제 단말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주기적으로 매장 내부로 근거리 통신 전파를 송신하고, 결제 단말이 근거리 통신 전파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ID나 위치를 포함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매장 진입을 감지하고 매장 내 사용자 단말의 수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와 다른 방법으로 간편 결제 리스트의 제공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결제 단말은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매장 내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제 단말은 결제 단말로부터 기준 거리 이하의 범위에 사용자 단말이 기준 시간 동안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결제를 대기 중인 것으로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에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후불로 결제하는 매장인 경우, 도 2와 다른 방법으로 간편 결제 리스트의 제공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결제 단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전 재전송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결제 단말과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후불로 결제하는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에 센서나 비콘 등의 외부기기들이 설치되는 경우, 결제 단말은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에 있는 고객들의 수를 결정하고,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 내 고객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 결제 단말에 인접한 결제 대기 영역에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결제 대기 영역은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내 범위를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또는, 결제 단말은 사용자의 위치가 매장 내 서비스 영역에서 결제 대기 영역으로 변경되는 경우, 위치가 변경된 사용자 단말에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결제 단말은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매장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들의 매장 방문 시점, 각도 및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의 각도는 사용자 단말 및 결제 단말이 이루는 가상의 선분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의 방향 벡터는 3차원 현실 좌표계에서 사용자 단말의 z 축 상 하단부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z축 상 상단부로의 벡터에 대한 x, y 축 성분을 의미하고, 사용자 단말의 센서(예: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의 각도가 작을수록 사용자 단말이 결제 단말을 향하게 된다.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매장 방문 시점, 각도 및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단말은 매장 방문 시점, 각도 및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제 대기 상태는 매장에 진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결제를 대기 중인 상태를 의미한다. 일례로, 선불로 결제하는 매장에서, 사용자 단말의 매장 방문 시점 이후 매장에 머무른 시간이 일정 시간 이하이고, 사용자 단말의 각도가 기준 각도 이하이고,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제 대기 영역은 결제 단말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의미하거나, 매장 내부의 대기석, 대기줄과 같은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제 대기 영역의 매장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결제 대기 영역은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내 고객의 수가 증가하는 시간대일수록 결제 대기 영역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기준 각도는 일정한 각도 범위를 나타낸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영역에 위치한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고, 사용자 단말로 결제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매장 진입이 감지된 이후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결제 대기 상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의 입구에서부터 결제 단말로의 경로가 미리 결제 단말에 입력되고,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가 미리 입력된 경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상태인지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후불로 결제하는 매장에서, 사용자 단말의 매장 방문 시점 이후 매장에 머무른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고, 사용자 단말의 각도가 기준 각도 내이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서비스 영역에서 결제 대기 영역으로 변경되는 경우,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영역은 매장 내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역(예: 테이블)을 나타내는 영역이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결제 대기 영역에서 서비스 이용 영역으로 변하는 경우,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상태가 아닌 것으로 사용자 단말의 상태를 변경한다.
다른 예로,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간편 결제가 처리된 경우, 결제 단말은 간편 결제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을 결제 대기 상태가 아닌 것으로 사용자 단말의 상태를 변경한다.
다른 예로,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매장 내부에서 매장 밖으로 변화한 경우,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결제 대기 상태가 아닌 것으로 사용자 단말의 상태를 변경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매장 내부에서 매장 밖으로 변화한 경우,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재방문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로 일정 시간 이내에 결제가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고 재방문 쿠폰을 제공한다. 재방문 쿠폰은 1주일, 1달, 3달의 기한 내 매장에 재방문시 이용 금액의 일부가 할인되도록 하는 쿠폰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결제 대기 상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결제 단말 간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 단말들에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결제 단말과 가까울수록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결제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이 때, 결제 대기 상태가 아닌 사용자 단말은 우선순위가 설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결제 단말 간의 거리와 관계없이, 결제 대기 영역 내에서 위치 별로 우선순위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대기 영역에 설치된 센서 마다 다른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각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 단말은 센서의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결제 단말은 결제 대기 영역 내에서 위치 별로 결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제 대기 영역 내에서 결제를 기다리는 대기줄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결제 대기 영역 내 위치에 따른 우선순위가 미리 결정되고,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는 경우, 그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가 그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매장에 대기석이 마련되는 경우, 대기석 마다 다른 우선순위가 설정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특정 대기석에 대응하는 경우, 특정 대기석의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들에 우선순위가 설정된 경우, 결제 단말은 우선순위가 낮은 순서로 N개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매장의 결제 단말을 통한 오프라인 결제가 아닌 온라인 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예상 대기 시간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결제는 매장과 관련된 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N은 임의의 정수로서, 매장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들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은 매장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수록 또는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의 수가 클수록 큰 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N은 매장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또는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의 수가 적을수록 적은 값으로 결정된다.
일례로,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의 수가 10이고, 우선순위가 6번째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매장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기다려야하는 시간이 15분 이상인 경우, N은 5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제 대기 상태인 사용자 단말의 수가 M 이하인 경우, N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M은 임의의 자연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구조에 따라 송신 범위가 다르게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서로 다른 두 매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매장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영역(301)과 결제를 대기하기 위한 결제 대기 영역(302, 303)의 배치가 상이함에 따라 송신 범위(302, 303)가 다르게 결정된다.
도 3과 같이 매장 마다 테이블과 같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영역, 대기줄, 대기석과 같이 결제 대기를 위한 결제 대기 영역이 다른 위치 및 크기를 갖기 때문에, 결제 단말은, 매장의 구조를 고려하여 결제를 대기 중인 고객들이 있는 결제 대기 영역을 송신 범위로 결정하여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매장은 결제 단말과 매장 입구가 이루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결제 단말로부터 일정 각도까지는 결제 대기 영역(302)이며, 일정 각도 이후부터 서비스 영역(301)인 구조를 갖는 매장이다.
일례로, 도 3의 (a)에서, 결제 단말은 매장의 구조에 따라 결제 대기 영역(302)과 서비스 영역(301)을 구분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송신 각도를 결정하고, 매장의 입구까지 거리를 송신 거리로 결정함으로써 결제 대기 영역(302)을 송신 범위(302)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매장은 결제 대기 영역(302)과 서비스 영역의 배치 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영역과 결제를 대기하기 위한 결제 대기 영역(303)이 일정한 각도로 구분되지 않고, 결제 단말로부터 거리에 의하여 구분된다.
일례로, 도 3의 (b)에서, 결제 단말은 매장의 구조에 따라 송신 각도를 결제 단말로부터 +180도부터 -180도로 결정하고, 송신 각도를 결제 단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영역까지의 거리로 결정함으로써 송신 범위(303)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매장의 구조는 일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구조의 매장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등의 외부 기기에 따라 송신 범위가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결제 대기 줄(401)에 따라 센서(402)들이 배치된 매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결제 단말은 매장에 설치된 센서(402) 각각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속하는 범위를 송신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a)에서 결제 단말은 각 센서(402)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 단말들에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례로, 각 센서(402)는 바닥에 설치되고, 결제 단말은 센서(402) 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들에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의 (b)는 매장 내 별도로 마련된 대기석(403)에 센서가 배치된 매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결제 단말과 센서 사이의 특정 범위를 송신 범위로 결정하고,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범위는 센서로부터 대기석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고, 결제 단말은 송신 거리 및 송신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대기석(403)에 대응하는 결제 대기 영역을 송신 범위로 결정하고,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시간 별 이용 고객의 수를 고려하여 송신 범위가 다르게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매장은 이용 시간 별로 고객의 이용 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매장에 고객들이 많은 시간 대와 고객들이 적은 시간 대를 구분하여 송신 범위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a)는 도 5의 (b) 보다 고객이 적은 시간대의 송신 범위(501)를 도시한 도면으로, 결제 단말은 도 5의 (a)와 같이 고객들이 적은 시간대에 근거리 통신 전파의 세기를 도 5의 (b)에서 근거리 통신 전파의 세기 보다 줄임으로써 송신 범위를 결정한다.
도 5의 (b)는 도 5의 (a) 보다 고객이 많은 시간대의 송신 범위(502)를 도시한 도면으로, 결제 단말은 도 5의 (b)와 같이 고객들이 많은 시간대에 근거리 통신 전파의 세기를 도 5의 (a)에서 근거리 통신 전파의 세기 보다 키움으로써 송신 범위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송신 범위의 크기나 위치는 매장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정한 값으로 제한되지 않고, 매장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거나, 결제 단말에서 이전의 거래 기록들을 분석하여 시간 대 별로 송신 범위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시간대 별 거래 기록의 수에 따라 송신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래 기록과 송신 범위의 크기는 비례 관계일 수 있다. 즉, 거래 기록의 수가 많을수록 송신 거리도 커지고, 거래 기록의 수가 적을수록 송신 거리도 작아지는 관계일 수 있다. 다만, 거래 기록 및 시간대와 송신 범위의 크기의 관계는 특정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복수의 고객들 중 일부 고객이 결제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매장을 이용하는 복수의 고객(601)들이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친구'와 같은 특정한 관계를 가진 경우, 복수의 고객 중 일부만이 대표 결제자(602)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고객(601) 중 대표 결제자(602)가 아닌 나머지 고객(603)은 결제 단말로부터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대표 결제자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통해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나머지 고객(603)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대표 결제자를 선택하고, 결제 단말은 대표 결제자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나머지 고객(603)으로부터 선택된 대표 결제자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의 서버 및 결제 단말에 송신한다.
결제 단말은 수신한 나머지 고객(603)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ID,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상의 계정 정보 및 대표 결제자에 대한 계정 정보를 수신한다. 결제 단말은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의 서버에 복수의 고객(601)들의 계정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고객(601)들이 '친구'와 같은 특정한 관계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단말은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의 서버에 대표 결제자가 수행한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결제 단말 또는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의 서버는 대표 결제자(601)에게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더치 페이를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결제 정보 및 나머지 고객(603)의 계정 정보를 포함한 푸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대표 결제자(602)의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 중 결제를 수행하지 않은 나머지 고객(603)들의 사용자 단말에 더치 페이를 위한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한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되고,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702)가 사용자 단말(701)에 표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702)는 어떤 매장으로부터 송신된 푸시 메시지인지 나타내는 정보와 간편 결제 수단을 미리 준비해달라는 의미의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702)는 고객이 i) 푸시 메시지에 대해 결제 전 재전송 요청을 위한 버튼(703), ii) 일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 중 대표 결제자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704) 및 iii) 간편 결제 수단의 비이용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버튼(7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결제 전 재전송 요청을 위한 버튼(703)을 통해 간편 결제 수단의 비이용 의사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ID를 결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결제 단말은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송신할 때 비이용 의사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이 제외하고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간편 결제 수단의 비이용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버튼(705)을 통해 결제 전 재전송 요청을 결제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결제 단말은 결제 전 재전송 요청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이 결제 단말과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ID를 이용하여 간편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재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일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 중 대표 결제자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704)을 통해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표 결제자에 대한 정보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서버 및 결제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결제 단말
102: 사용자 단말

Claims (23)

  1. 매장의 결제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범위에 상기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범위는,
    상기 매장 내 결제를 대기하기 위한 결제 대기 영역에 위치한 센서들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에 설치된 외부 기기에 의하여 상기 매장 내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송신 범위에 상기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전 재전송 요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결제 단말의 기준 거리보다 가까워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리스트를 재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범위는,
    상기 매장의 구조에 따라 송신 각도 및 송신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매장의 구조는,
    상기 매장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영역, 상기 매장의 입구, 상기 결제 수단의 위치 및 결제 대기를 위한 결제 대기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치를 의미하는,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범위는,
    상기 매장의 이용 시간 별 고객의 수를 고려하여, 상기 이용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범위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상기 리스트의 전송을 위한 통신 전파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결정되는,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포인트나 쿠폰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상기 송신 범위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 각각에 대해 상기 매장에서 제공되는 혜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 범위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공 방법.
  10.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고객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제 단말에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i) 결제 전 재전송 요청 또는 ii) 상기 간편 결제 수단의 비이용 의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결제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간편 결제 수단들을 필터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의 간편 결제 수단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가장 최근에 이용되거나 또는 가장 많이 이용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특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이 매장을 이용하고, 상기 특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 중 일부 고객이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한 관계에 있는 고객들 중 결제를 수행하지 않은 고객들의 사용자 단말에 더치 페이를 위한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공 방법.
  15.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신저 기능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대표 결제자에 대한 계정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서버 및 상기 결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16. 매장의 결제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는 단계;
    매장에 설치된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매장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송신하는, 제공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기준 거리 이하의 범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준 시간 동안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송신하는, 제공 방법.
  19. 매장의 결제 단말이 수행하는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매장에 설치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 내 고객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 내 고객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결제 단말에 인접한 결제 대기 영역에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대기 영역은,
    상기 매장 내에서 서비스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기준 거리 내 영역인, 제공 방법.
  21.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매장의 결제 단말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고,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 범위에 상기 결제 수단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결제 단말.
  22.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매장 내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로부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고객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결정된 간편 결제 수단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제 단말에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23.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매장의 결제 단말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들을 식별하고, 매장에 설치된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매장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간편 결제 수단들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결제 단말.
KR1020200088945A 2020-07-17 2020-07-17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 KR10246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45A KR102460926B1 (ko) 2020-07-17 2020-07-17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45A KR102460926B1 (ko) 2020-07-17 2020-07-17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66A true KR20220010266A (ko) 2022-01-25
KR102460926B1 KR102460926B1 (ko) 2022-10-31

Family

ID=8004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945A KR102460926B1 (ko) 2020-07-17 2020-07-17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9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887A (ko) * 2014-04-18 2015-10-28 (주)하우투메리 위치 기반 고객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3266A (ko) * 2014-10-13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1286A (ko) * 2015-03-16 201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부가 서비스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33302A (ko) * 2015-05-12 2016-11-22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KR20190096036A (ko) * 2018-02-08 2019-08-19 머지홀딩스(주)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더치페이 결제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887A (ko) * 2014-04-18 2015-10-28 (주)하우투메리 위치 기반 고객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3266A (ko) * 2014-10-13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1286A (ko) * 2015-03-16 201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부가 서비스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33302A (ko) * 2015-05-12 2016-11-22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KR20190096036A (ko) * 2018-02-08 2019-08-19 머지홀딩스(주)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더치페이 결제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926B1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9863B1 (en) Selection of a financial account associated with a proxy object
CN107004189B (zh) 支付系统和用于管理支付卡使用的方法
US9224141B1 (en) Encoding a magnetic stripe of a card with data of multiple cards
US11727378B2 (en) Processing multiple point-of-sale transactions
US9760880B2 (en) Facilitating cash payment for transit mobile applications
US20190251536A1 (en) Utilizing apis to facilitate open ticket synchronization
US11238426B1 (en) Associating an account with a card
US20140025567A1 (en) Payment system pre-selection environment processing
TWI665620B (zh) Portable device,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20150107418A (ko) 전자 지갑을 활용한 결제 방법, 장치 그리고 시스템
CN110709876B (zh) 账单拆分系统
KR20170115686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전자 결제방법
US20210383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ctioning a first-in-wallet payment account status
KR20180098069A (ko) 대리 결제 시스템, 서버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101184426B1 (ko) 개인 단말을 이용한 결제장치 및 방법
KR20160103728A (ko) 포인트 적립 방법 및 장치
JP5448368B2 (ja) サーバ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202001934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universal, global, virtual wallet to merchant payment system adapter
KR102460926B1 (ko)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 결제 수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결제 단말과 사용자 단말
US202200840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location-based interactions by reducing interchange fees
KR20140097840A (ko) 분할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597306B1 (ko)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결제 중계 서버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101534769B1 (ko)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JP7442883B1 (ja) チップ決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375068A1 (e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payment system, and payment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