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769B1 -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769B1
KR101534769B1 KR1020130052745A KR20130052745A KR101534769B1 KR 101534769 B1 KR101534769 B1 KR 101534769B1 KR 1020130052745 A KR1020130052745 A KR 1020130052745A KR 20130052745 A KR20130052745 A KR 20130052745A KR 101534769 B1 KR101534769 B1 KR 101534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age
gift
information
bank server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117A (ko
Inventor
최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13005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76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76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서버가 금융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처 및 사용금액에 대한 제한이 최소화된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개인 모바일 단말기가 은행서버에게 사용처 및 사용금액에 대한 제한이 최소화된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은행서버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은행서버가 수혜자의 단말기에게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전송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Bank server for providing online gift voucher service, Mobile device for requesting online gift voucher service}
본 발명은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버와,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개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기프티콘(Gifticon) 또는 기프티콘(Giftcon)은,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전송되는 바코드 형태의 온라인 상품권을 의미한다. 선물을 의미하는 'Gift'와 아이콘 'Icon'을 이용하여 파생된 합성어이다. 기프티콘은 특정 매장에서 특정 상품과의 교환 가능한 상품권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매장에서 기프티콘에 포함된 바코드를 제시하면, 해당 기프티콘에 할당된 상품으로 교환받을 수 있다.
특히 '기프티콘'은, 타인에게 온라인 선물 쿠폰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직접 만나서 선물을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온라인으로 선물을 전송할 수 있어 유용하다. 또한, 우편상으로 보내기는 부적절한 선물이지만, 대중적인 선호도가 높은 간식류에 대한 교환권이 기프티콘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아이스크림 가게의 아이스크림 한 개와 교환 가능한 기프티콘, 특정 커피가게의 커피 한 잔과 교환 가능한 기프티콘, 특정 도너츠 가게의 몇천원 어치의 도너츠와 교환 가능한 기프티콘, 또는 특정 햄버거 가게의 햄버거 세트와 교환 가능한 기프티콘과 같이, 특정 매장의 특정 상품과 교환이 가능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은행서버가 금융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사용범위의 제한이 최소화된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개인 모바일 단말기가 은행서버에게 사용범위의 제한이 최소화된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기프티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로부터,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에서 사용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결제요청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은행서버에 저장된 상기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선택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결제요청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인증된 결제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기프티콘의 결제수단이 되는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요청금액을 지급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할 결제수단 입력창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의 요청 정보 및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사용처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처 선택창,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금액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금액별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금액 선택창, 및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기한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기간별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기간 선택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에게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은,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은행서버에게,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은행서버에게,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은행서버에게, 상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할 결제수단 입력창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의 요청 정보 및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는,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프티콘 발송부; 상기 기프티콘과 관련하여 수신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 및 상기 사용선택 정보,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전송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기프티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프티콘을 이용한 결제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기프티콘의 결제수단이 되는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사용금액을 지급처리하는 기프티콘 결제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에게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기는,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 및 상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은행서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 요청과 상기 결제수단 정보, 상기 사용선택 정보 및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은행서버에게 전송하는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 기프티콘과 같이, 한 매장에서만 하나의 물품과 교환할 수 있는 기프티콘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기프티콘은 초기 설정된 다수의 사용처에서 사용금액의 한도 내에서 수혜자가 원하는 물품을 직접 선택하여 구매하면서 기프티콘을 이용하여 구매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프티콘은, 수혜자에게 구매물품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도가 확장되고, 금융카드처럼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프티콘처럼 매장에서 바코드나 식별코드만 판독되면 구매대금이 결제가능하므로 기존 기프티콘의 사용편의성은 유지될 수 있다.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자에게도, 은행서버에 의해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을 위한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프티콘의 초기설정이 가능하므로,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 절차가 용이하고 간소해질 수 있다.
따라서, 기프티콘을 보내주는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자와 수혜자에게 모두 편리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은행서버에서도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자의 체크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기프티콘의 결제대금을 지급처리하므로, 계좌고객의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와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신청자 단말기, 수혜자 단말기의 블록도들을 도시한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청자 단말기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 신청자 단말기와 수혜자 단말기 간에 기프티콘 서비스가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 6 및 7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가 제공하는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100)와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신청자 단말기(150)에 대해 상술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100)와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신청자 단말기(150), 수혜자 단말기(180)의 블록도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100)는,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 기프티콘 발송부(120),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Datebase; DB)(130) 및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 기프티콘 발송부(120),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 및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 기프티콘 발송부(120),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 및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가 각각의 자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프로세서(미도시)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은행서버(100)가 전체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의 외부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 기프티콘 발송부(120),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 및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 기프티콘 발송부(120),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 및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의 데이터 입출력을 관할하는 메모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네트워크 망을 거쳐 신청자 단말기(15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망은, 개방형 인터넷, 폐쇄형 인트라넷을 포함한 유선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과 연동된 무선 인터넷 통신망 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등의 가능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도 1 에서는, 은행서버(100)와 하나의 신청자 단말기(150), 하나의 수혜자 단말기(180) 간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단말기들이 은행서버(100)에 대해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또한 은행서버(100)도 다수의 단말기들에게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청 단말기(150)와 수혜자 단말기(1800의 개수에 대해서는 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100)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은행서버(100)의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들의 세부 동작들이 상술된다.
단계 2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신청자 단말기(150)로부터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신청자 단말기(150)로부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수단 정보는,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해 필요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의 결제 수단이 금융카드인 경우에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금융카드의 카드번호, 비밀번호 및 유효만기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카드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와 같이 은행계좌와 연계되는 직불카드를 통칭하는 광의적인 용어이다. 따라서, 특정한 금융카드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의 결제 수단이 은행계좌인 경우에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은행계좌의 계좌번호 및 이체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은행서버(100)가 신청자 단말기(150)로부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발송부(120)는, 은행서버(100)가 신청자 단말기(150)로부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 단말기(18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발송부(120)는, 수혜자 단말기(180)에게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는, 기프티콘과 관련하여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가 수신한 결제수단 정보, 사용선택 정보, 수혜자 단말기 정보 및 전송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는, 기프티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로부터, 수혜자 단말기(180)에게 발송한 기프티콘을 이용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는 수신된 결제요청에 따라, 기프티콘의 결제수단이 되는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금액을 지급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가 사용처로부터 수신하는 결제요청정보는, 현재 사용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결제요청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는,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사용선택정보와, 사용처로부터 수신된 결제요청정보를 비교하여, 결제요청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는,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대해 유효성이 인증되면,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결제수단 정보에 의해 설정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결제요청금액을 지급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결제처리부(140)는,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을 특정하지 않고,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사용처에서 사용기간 이내에 사용금액의 범위 이내의 결제금액이라면 지급처리할 수 있다.
단계 210, 220, 230 에서, 은행서버(100)의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신청자 단말기(150)로부터 기프티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서, 결제수단 정보, 사용선택 정보 및 수혜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은행서버(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결제수단 정보, 사용선택 정보 및 수혜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은행서버(100)는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고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할 결제수단 입력창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신청자 단말기(150)에 의해 입력된 기프티콘 서비스의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수단을 입력하기 위한 결제수단 입력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신청자 단말기(150)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의 결제수단 입력창에 입력된 결제수단 정보를, 신청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사용처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처 선택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신청자 단말기(150)에 의해 복수 개의 사용처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에 대한 정보를, 신청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는,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금액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금액별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금액 선택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신청자 단말기(150)에 의해 소정 금액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금액별로 선택된 사용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천원 이상 5만원 이하의 한도에서, 5천원단위마다 사용금액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는,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기한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기간별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기간 선택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110)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신청자 단말기(150)에 의해 소정 기간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기간별로 선택된 사용기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주일 이상 6개월 이내의 한도 이내에서, 2주마다 사용기간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단말기(150)는,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 및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단말기(150)는,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 및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 및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가 각각의 자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프로세서(미도시)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은행서버(100)가 전체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의 외부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 및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단말기(150)는,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 및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신청자 단말기(150)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의 데이터 입출력을 관할하는 메모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청자 단말기(150)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3 를 참조하여 신청자 단말기(150)의 구성요소들(160, 170)들의 세부 동작들이 상술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는,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신청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에 의해 구동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프티콘 서비스가 신청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 개의 사용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금액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금액별로 사용금액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기간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기간별로 사용기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혜자 단말기 정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160)에 의해 구동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들을 기초로,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는 은행서버(100)에게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의 결제수단이 금융카드인 경우에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는 은행서버(100)에게 금융카드의 카드번호, 비밀번호 및 유효만기일에 대한 정보를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프티콘의 결제수단이 은행계좌인 경우에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는 은행서버(100)에게 은행계좌의 계좌번호 및 이체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 3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선택 정보, 즉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수혜자 단말기(180)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정보는 적어도 수혜자 단말기(180)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100)가 제공하는 기프티콘 서비스를 수혜자 단말기(180)가 이용하기 위한 과정이 도 4를 참조하여 상술된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 신청자 단말기(150)와 수혜자 단말기(180) 간에 기프티콘 서비스가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은행서버(100)가 제공하는 온라인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고자 하는 신청자(412)는 개인 컴퓨터(414) 또는 스마트폰(416)과 같이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신청자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단말기(150)는, 개인 컴퓨터(414) 또는 스마트폰(416)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모바일폰, 태블릿 PC, PDA, 넷북 등의 모바일 컴퓨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단말기(150)에는 탑재된 소정 프로세서는, 웹 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은행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웹사이트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운영체제 기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신청자 단말기(150)에는 탑재된 소정 프로세서는, 은행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자 단말기(15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키보드, 키패드와 같은 신청자 단말기(150)에 탑재된 하드웨어 장치 뿐만 아니라 신청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신청자 단말기(150)는 신청자(412)가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신청자 단말기(150)는 사용자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신청자 단말기(150)는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웹 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 결제수단, 사용처, 사용금액, 사용기간, 수혜자 단말기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청자 단말기(150)는, 신청자(412)가 사용자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수단, 사용처, 사용금액, 사용기간, 수혜자 단말기번호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 6 및 7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가 제공하는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500, 600, 620, 700, 73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500, 600, 620, 700, 730)는, 신청자 단말기(150)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웹 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됨에 따라 신청자 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사용처를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500)는, 제1 사용처 선택창(51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처 선택창(51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들이 순차적으로 수록된 사용처 후보목록(530)이 드롭다운 형식으로 펼쳐질 수 있다. 사용처 후보목록(530)에 포함된 사용처들은 은행서버(100)와 제휴한 기프티콘 가맹점으로서, 은행서버(100)에 의해 발급되는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매장들이다.
사용처 후보목록(530) 중에서 하나의 사용처 'XX 커피'가 선택되면 제1 사용처 선택창(51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처 선택창(510)의 추가버튼(52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추가 사용처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사용처 선택창(54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사용처 선택창(54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나머지 사용처 후보목록(550)이 드롭다운 형식으로 펼쳐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사용처 후보목록(550)에서 선택된 사용처는 제2 사용처 선택창(540)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신청자 단말기(150)는, 사용금액 선택창(630) 및 제2 사용처 선택창(540)에 표시된 사용처에 대한 식별정보를,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신청자 단말기(150)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가, 도 4에 도시된 사용처(410)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사용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600)는, 사용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금액 아이콘들(610, 611, 612, 613, 614, 6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금액 아이콘들(610, 611, 612, 613, 614, 615) 중에서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됨으로써 사용금액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600)에 포함된 사용금액 아이콘들(610, 611, 612, 613, 614, 615)의 금액 범위 이내에서, 선택가능한 사용금액의 최소금액와 최대금액이 각각 5천원과 3만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사용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620)는, 사용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금액 선택창(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금액 선택창(63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기프티콘을 이용한 사용금액들이 순차적으로 수록된 사용금액 후보목록(640)이 드롭다운 형식으로 펼쳐질 수 있다. 사용금액 후보목록(640) 중에서 하나의 사용금액이 선택되면 사용금액 선택창(630)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620)에 포함된 사용금액 후보목록(640)의 금액 범위 이내에서, 선택가능한 사용금액의 최소금액와 최대금액이 각각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청자 단말기(150)는, 사용금액 아이콘들(610, 611, 612, 613, 614, 615) 중에서 선택된 사용금액 또는 사용금액 선택창(630)에 표시된 사용금액에 대한 정보를,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사용기간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700)는, 수혜자 단말기(180)가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시작일과 종료일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기간 입력창들(710, 712, 714, 720, 722, 7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시작일과 종료일은 각각 연, 월, 일 단위로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프티콘 사용기간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730)는, 수혜자 단말기(180)가 기프티콘을 수신한 날로부터의 사용기간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기간 아이콘들(731, 732, 733, 734, 735, 7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기간 아이콘들(731, 732, 733, 734, 735, 736) 중에서 하나의 사용기간 아이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됨으로써, 사용금액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730)에 포함된 사용기간 아이콘들(731, 732, 733, 734, 735, 736)의 기간 범위 이내에서, 선택가능한 사용기간의 최소기간와 최대기간이 각각 1주일과 3개월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청자 단말기(150)는, 사용기간 입력창들(710, 712, 714, 720, 722, 724)을 통해 입력된 사용기간의 시작일 및 종료일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기간 아이콘들(731, 732, 733, 734, 735, 736) 중에서 입력된 사용기간에 대한 정보를,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도 5, 6, 7에서 참조한 유저 인터페이스(500, 600, 620, 700, 730)는 본 발명의 아이디어를 보여주기 위한 실시예일 뿐이므로, 본 발명에 의해 구현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유저 인터페이스(500, 600, 620, 700, 730)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신청자 단말기(150)는, 웹 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수단 정보 및 사용선택 정보의 사용자 입력이 있기 이전이나 또는 이후에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본인인증 과정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한 본인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이 완료될 수 있다.
신청자 단말기(150)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결제수단 정보, 사용선택 정보, 수혜자 단말기 정보 등을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450). 은행서버(100)는, 신청자 단말기(150)의 입력 정보들이 유효하면, 신청자 단말기(150)가 신청한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자 단말기(150)에게 신청 접수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s490).
은행서버(100)는, 신청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한 결제수단 정보, 사용선택 정보, 수혜자 단말기 정보를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결제수단 정보로서, 신청자 단말기(150)가 설정한 금융카드의 카드번호, 비밀번호 및 유효만기일을 저장하거나, 은행계좌의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결제수단 정보가 등록됨에 따라, 해당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대기 승인 상태에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사용선택 정보로서, 신청자 단말기(150)가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410), 사용금액, 사용기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수혜자 단말기 정보로서, 수혜자의 이름 또는 닉네임, 수혜자 단말기(180)의 단말기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기프티콘 신청 접수가 완료된 후에, 신청자 단말기(150)가 설정한 수혜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혜자 단말기(180)에게 기프티콘을 포함한 MMS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s455).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 기프티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혜자 단말기(180)에게 발송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도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유효한 사용처(41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혜자 단말기(180)에게 발송된 기프티콘을 이용한 결제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s460).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410)에서 POS 단말기에 연결된 바코드 인식기나 QR코드 인식기를 이용하여 기프티콘을 인식하여 기프티콘의 식별정보가 판독될 수 있다.
유효한 사용처(4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기프티콘을 이용하여 상품금액을 결제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는 정보가 밴(VAN)사(420) 또는 은행서버(100)에게 전송될 수 있다(s470, s480).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410)의 POS 단말기는, 해당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사용처의 식별정보, 기프티콘을 이용한 결제금액 및 결제품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 정보를, 밴사(420) 또는 은행서버(9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밴사(420)는, 결제수단으로 금융카드가 설정된 경우에 기프티콘을 이용한 결제요청에 대한 승인처리를 중개할 수 있다. 밴사(420)는 기프티콘 결제승인 정보를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480).
또한, 사용처(410)로부터 은행서버(100)에게로 직접 결제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은행서버(100)는 사용처(410)로부터 수신한 결제요청 정보와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프티콘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결제요청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은행서버(100)는, 사용처(410)로부터 수신한 결제요청 정보 중에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와,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결제요청 정보의 기프티콘이 은행서버(100)에 의해 발급된 기프티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은행서버(100)는, 사용처(410)로부터 수신한 결제요청 정보 중에서 결제요청 단말기의 전화정보와,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수혜자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결제요청 정보의 단말기가 해당 기프티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수혜자 단말기(18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은행서버(100)는, 사용처(410)로부터 수신한 결제요청 정보 중에서 사용처의 식별정보와,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프티콘의 사용처 정보를 비교하여,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한 사용처가 해당 기프티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사용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은행서버(100)는, 사용처(410)로부터 수신한 결제요청 정보 중에서 결제금액 정보와,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프티콘의 사용금액 정보를 비교하여, 결제요청 정보의 결제금액이 해당 기프티콘을 이용하여 결제되도록 설정된 사용금액의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은행서버(100)는, 사용처(410)로부터 수신한 결제요청 정보 중에서 결제요청일자와,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프티콘의 사용기간 정보를 비교하여, 결제요청 정보의 결제요청일자가 해당 기프티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사용기간의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은행서버(100)는,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수혜자 단말기 정보, 사용처의 식별정보, 결제금액 정보 및 결제요청 일자가 모두 유효함을 확인하면, 사용처(410)로부터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은행서버(100)는,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결제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결제대기 승인 상태에 있는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지급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가 결제대기 승인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은행서버(100)는 신용카드사나 결제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체크카드나 은행계좌가 결제대기 승인 상태인 경우에는, 체크카드에 연계된 은행계좌 또는 직접 설정된 은행계좌로부터 결제금액이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초기설정된 사용금액 이내에서, 사용처(410)에서 이용된 기프티콘의 결제금액을 처리한 후의 잔액을 관리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소정 기프티콘의 최초 결제시에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잔액 정보를 새로이 저장하고, 다음 결제시부터는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의 기존 잔액 정보를 현재 잔액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은행서버(100)는, 사용처(410)와의 합의 하에 기프티콘과 함께 이용 가능한 쿠폰 또는 할인 혜택 이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소정 기프티콘와 연계하여, 쿠폰 정보 및 할인 혜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행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은행서버(100)는, 사용처(410)로부터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유효한 기프티콘이 사용되고 있다고 인증되는 경우에, 기프티콘 데이터베이스(130)에 현재 기프티콘과 연계된 행사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사용처(410)에게 행사 정보가 있음을 통보하고, 행사 정보에 대응하는 쿠폰, 할인 혜택 이벤트를 수혜자 단말기(18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기프티콘과 함께 현재 사용처(410)에서 사용가능한 쿠폰이 제공되는 경우는, 사용처(410)에서 보너스 상품을 제공한다던가 주문상품보다 업그레이드된 상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프티콘과 함께 현재 사용처(410)에서 사용가능한 할인 혜택 이벤트가 제공되는 경우는, 현재 결제금액보다 할인금액만큼 차감된 금액이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서 지급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블록도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형태라고 당업자에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흐름 차트, 흐름도, 상태 전이도, 의사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표현되어,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지 아니든지 간에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제어부" 또는 "...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와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A와 B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첫 번째 옵션 (A)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 열거된 옵션 (B)의 선택만, 또는 양쪽 옵션들 (A와 B)의 선택을 포괄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인 예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는, 첫 번째 열거된 옵션 (A)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 열거된 옵션 (B)의 선택만, 또는 세 번째 열거된 옵션 (C)의 선택만, 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열거된 옵션들 (A와 B)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열거된 옵션 (B와 C)의 선택만, 또는 모든 3개의 옵션들의 선택(A와 B와 C)이 포괄할 수 있다. 더 많은 항목들이 열거되는 경우에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은행서버가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은행 서버는,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들이 순차적으로 수록된 사용처 후보목록을 상기 신청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처 후보목록 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를 수신함 -;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은행 서버가, 상기 기프티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결제요청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요청 금액을 지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은행서버에 저장된 상기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선택정보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결제요청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인증된 결제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기프티콘의 결제수단이 되는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요청금액을 지급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할 결제수단 입력창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의 요청 정보 및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사용처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처 선택창,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금액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금액별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금액 선택창, 및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기한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기간별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기간 선택창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기에 의해 복수 개의 사용처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소정 금액한도 내에서 상기 소정 단위금액별로 선택된 사용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소정 기한한도 내에서 상기 소정 단위기간별로 선택된 사용기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의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인 상기 금융카드인 경우에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금융카드의 카드번호, 비밀번호 및 유효만기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의 결제 수단이 상기 은행계좌인 경우에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은행계좌의 계좌번호 및 이체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
  6. 은행서버에게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은행서버에게,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은행서버에게,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신청자 단말기는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들이 순차적으로 수록된 사용처 후보목록을 제공받고, 상기 은행 서버에게 상기 사용처 후보목록 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를 전송함 -; 및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은행서버에게, 상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상기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 메시지가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에게 전송되고,
    상기 은행 서버에 의해 상기 기프티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결제요청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요청 금액을 지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요청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상기 결제요청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상기 기프티콘의 결제수단이 되는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요청금액이 지급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요청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할 결제수단 입력창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의 요청 정보 및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요청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사용처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처 선택창,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금액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금액별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금액 선택창, 및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기한한도 내에서 소정 단위기간별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기간 선택창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복수 개의 사용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소정 금액한도 내에서 상기 소정 단위금액별로 사용금액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기가 상기 소정 기한한도 내에서 상기 소정 단위기간별로 사용기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요청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의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인 상기 금융카드인 경우에 상기 신청자 단말기는 상기 은행서버에게 상기 금융카드의 카드번호, 비밀번호 및 유효만기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의 결제 수단이 상기 은행계좌인 경우에 상기 신청자 단말기는 상기 은행서버에게 상기 은행계좌의 계좌번호 및 이체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기프티콘 서비스 요청 방법.
  11.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에 있어서,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 -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 접수부는,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들이 순차적으로 수록된 사용처 후보목록을 상기 신청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처 후보목록 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를 수신함 -;
    상기 신청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에게 상기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프티콘 발송부;
    상기 기프티콘과 관련하여 수신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 및 상기 사용선택 정보,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전송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기프티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프티콘을 이용한 결제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기프티콘의 결제수단이 되는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사용금액을 지급처리하는 기프티콘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
  12. 은행서버에게 기프티콘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기프티콘의 사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금융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기프티콘을 사용할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 사용금액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선택 정보, 및 상기 기프티콘을 수신할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은행서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구동부 - 상기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기프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들이 순차적으로 수록된 사용처 후보목록을 제공받음 - ;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 요청과 상기 결제수단 정보, 상기 사용선택 정보 및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 정보를, 상기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은행서버에게 전송하는 기프티콘 서비스 신청부 - 상기 은행 서버에게 상기 사용처 후보목록 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를 전송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상기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MMS 메시지가 상기 수혜자의 단말기에게 전송되고,
    상기 은행 서버에 의해 상기 기프티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된 기프티콘의 식별정보 및 결제요청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요청 금액이 지급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30052745A 2013-05-09 2013-05-09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KR10153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745A KR101534769B1 (ko) 2013-05-09 2013-05-09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745A KR101534769B1 (ko) 2013-05-09 2013-05-09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17A KR20140133117A (ko) 2014-11-19
KR101534769B1 true KR101534769B1 (ko) 2015-07-24

Family

ID=5245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745A KR101534769B1 (ko) 2013-05-09 2013-05-09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946A (ko) 2021-04-12 2022-10-19 권택준 인공지능 기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451B1 (ko) 2022-06-20 2022-10-31 주식회사 한국기프티거래소 인공지능 기반 기프티콘 구매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701A (ko) * 2000-08-08 2002-02-20 이철수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상품권 운영 시스템
KR20020028537A (ko) * 2000-10-10 2002-04-17 이창형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맞춤 상품권 발행 및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701A (ko) * 2000-08-08 2002-02-20 이철수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상품권 운영 시스템
KR20020028537A (ko) * 2000-10-10 2002-04-17 이창형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맞춤 상품권 발행 및 사용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블로그, ‘기프티콘, 기프티콘 사용법/선물하기’(2012.03.24.)*
인터넷블로그, '기프티콘, 기프티콘 사용법/선물하기'(2012.03.2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946A (ko) 2021-04-12 2022-10-19 권택준 인공지능 기반 기프티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17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2425A1 (en) Nfc mobile walle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10496979B2 (en) Smart wallet
US108855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nceling a payment after initiating the payment using a proxy card
US11599863B1 (en) Selection of a financial account associated with a proxy object
US9224141B1 (en) Encoding a magnetic stripe of a card with data of multiple cards
US9183480B1 (en) Using temporary data with a magnetic stripe card
US104603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gifting and gift redemption
CA2819936C (en) Secure payment system
US10102518B2 (en) Enrollment and registration of a device in a mobile commerce system
US8600882B2 (en) Prepaid card budgeting
US20130018779A1 (en) Alias-based merchant transaction system
US11238426B1 (en) Associating an account with a card
WO2014103046A1 (ja) 電子マネーサーバ、電子マネー送金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30159077A1 (en) Local affiliate marketing
KR20130086205A (ko) 전자 지갑
WO2013116714A1 (en) Automatically emailing receipt at pos
US20120239474A1 (en) Prepaid card rewards
AU2014251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evice financing
US20130211937A1 (en) Using credit card/bank rails to access a user's account at a pos
WO2016130260A1 (en) Mobile system for exchanging gift cards
AU2021250970A1 (en) NFC mobile walle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20200410525A1 (en) Use of Payment Card Rewards Points for an Electronic Cash Transfer
US20150278782A1 (en) Depositing and withdrawing funds
KR20140117105A (ko) 통합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534769B1 (ko)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