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196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196A
KR20220010196A KR1020200088782A KR20200088782A KR20220010196A KR 20220010196 A KR20220010196 A KR 20220010196A KR 1020200088782 A KR1020200088782 A KR 1020200088782A KR 20200088782 A KR20200088782 A KR 20200088782A KR 20220010196 A KR20220010196 A KR 20220010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sensor
purified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래
용민철
박찬정
김철호
박시준
고문석
예병효
이경민
이권재
이현우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196A/ko
Publication of KR2022001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에 일정 여과 압력 이상의 원수가 공급되도록 원수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가압부의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발생하는 배압으로 인해 온수 생성부 내부의 정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정수를 추가로 유입시킨 후에 정수를 가열하게 되며, 만수위 기준으로 부족한 양의 정수만 추가로 유입시키게 되므로 온수 추출 시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를 가열하게 되므로 가열 부재의 순간적인 소손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에 일정 여과 압력 이상의 원수가 공급되도록 원수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가압부의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발생하는 배압으로 인해 온수 생성부 내부의 정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정수를 추가로 유입시킨 후에 정수를 가열하게 되며, 만수위 기준으로 부족한 양의 정수만 추가로 유입시키게 되므로 온수 추출 시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를 가열하게 되므로 가열 부재의 순간적인 소손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보다 신선한 물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증가 및 제품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저장 탱크를 구비하지 않은 직수식 정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수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정수를 이용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직수식 정수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직수형 정수기는 공급된 원수를 가열하기 위한 순간 온수 히터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순간 온수 히터는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 유량이 매우 적어 짧은 시간에 목표 온도에 해당하는 온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Coway Co., Ltd.의 유럽공개특허공보 제2694882호는 종래의 정수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공급되는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이러한 히터로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부가 구비되고, 제어부는 공급할 정수의 유량을 계산해서 계산된 유량에 맞게 정수가 공급되도록 유입 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히터 내부에 남아 있는 정수의 양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부에 의해 계산된 정수의 유량을 대략 2초 ~ 4초 정도의 시간 동안 공급한 이후에 히터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히터 내부에 남아 있는 정수의 양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정수를 공급한 후에 히터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대기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역삼투막이 구비되는 역삼투압 필터를 이용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경우 역삼투압 필터에 일정 여과 압력 이상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함께 사용되는데, 펌프의 구동 초기에 형성되는 배압(back pressure)이 히터에 인가되면 이로 인해 히터 내부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또한, 역삼투압 필터의 이물질이 원수와 함께 배출되는 플러싱 동작 시에도 배압이 형성되며, 이러한 배압이 히터에 인가되면 이로 인해 히터 내부의 정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부만으로는 이와 같이 펌프 구동 초기 또는 플러싱 동작 중에 형성되는 배압으로 인해 히터 내부의 정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으며, 결국 제어부는 히터 내부에 정수가 채워져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히터를 동작시키게 되나, 이러한 상태에서 히터가 동작할 경우 정수가 채워져 있지 않는 부분에서 히터의 순간적인 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8122호에 개시된 정수기에는 히터가 구비된 온수모듈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센서가 구비되며, 이러한 유량센서를 통해 온수모듈로 유입된 유입수의 양을 확인한 후에 히터를 가열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역삼투압 필터와 펌프가 구비된 정수기에 사용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 구동 초기 또는 플러싱 동작 중에 형성되는 배압으로 인해 온수모듈 내부의 정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히터를 동작시키게 되면 유입수가 채워져 있지 않은 부분에서 히터의 순간적인 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유럽공개특허공보 제269488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8122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에 일정 여과 압력 이상의 원수가 공급되도록 원수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가압부의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발생하는 배압으로 인해 온수 생성부 내부의 정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정수를 추가로 유입시킨 후에 정수를 가열하게 되며, 만수위 기준으로 부족한 양의 정수만 추가로 유입시키게 되므로 온수 추출 시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고,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를 가열하게 되므로 가열 부재의 순간적인 소손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가압부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가열 부재의 동작을 우선 차단하므로 수위 감지 부재를 통해서도 감지하기 어려운 순간적인 수위 저하 상황에서도 가열 부재의 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정수기의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눌러야 하는 복수 개의 버튼 중 온수 기능 선택 버튼이 눌리게 되면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를 감지해서 온수 생성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정수를 추가로 유입시키고, 출수 버튼이 눌리게 되면 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켜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 생성부 내부의 정수와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수위 감지 정밀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와 상시 통전되는 제1 센서와, 정수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통전되는 제2 센서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1 센서와 제2 센서가 정수와 모두 통전된 경우에만 가열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가열 부재가 복수 개의 단위 히터로 구성되고, 제2 센서가 각각의 단위 히터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2 단위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수 온도에 맞게 단위 히터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량이 감소하게 되고, 각각의 단위 히터에 구비된 제2 단위 센서를 통해 정수의 수위를 감지한 후에 단위 히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와 접촉하는 경우에만 통전되는 제3 센서를 통해 정수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케이스 부재 내부 정수의 이온화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증진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3 센서가 케이스 부재와 절연되도록 절연 부재가 구비되고, 케이스 부재 내부의 순간적인 수위 저하 시에도 절연 부재에 정수가 남아 있지 않도록 절연 부재를 돌출 배치하거나, 또는 절연 부재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수위 감지 정밀도와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가 유입되는 버퍼 탱크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러한 버퍼 탱크에 제4 센서를 설치하여 케이스 부재보다 높은 위치에서 정수가 감지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상황에서 가열 부재가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별도의 드레인 유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온수 추출 종료 시에도 정수의 배출 및 유입을 반복함으로써 제4 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이와 같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정수의 수위차가 최소화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온수를 다시 추출하는 경우 빠른 온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의 전기 전도도를 이용해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5 센서를 사용하여 구성이 단순화됨으로써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6 센서가 정수와 직접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로터의 위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된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도록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가압된 정수를 공급받아서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통해 여과된 정수가 이동하는 여과 유로 부재와,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출되는 플러싱 유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 생성부에는 정수가 수용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로 정수가 유입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입수 유로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서 가열된 온수가 유출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출수 유로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하도록 상기 케이스 부재의 측벽에 구비되는 판상형 가열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 부재로부터 정수의 수위 정보를 입력받되, 상기 가압부의 동작 초기에 상기 케이스 부재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거나, 상기 플러싱 유로 부재로 이물질과 물이 함께 배출되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정수를 추가로 유입시켜서 정수의 수위가 상기 가열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에 상기 가열 부재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의 동작 초기, 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상기 가열 부재의 동작을 우선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로부터 정수의 수위 정보를 입력받고, 정수의 수위가 상기 가열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는 것이 확인된 후에 상기 가열 부재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수 기능 선택 버튼 및 출수 버튼이 순차적으로 눌린 경우에 가열된 온수가 상기 출수 유로 부재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기능 선택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를 확인해서 정수의 수위가 상기 가열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정수를 추가로 유입하고, 상기 출수 버튼이 눌린 후에 상기 가열 부재를 동작시켜서 정수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와 직접 접촉하면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를 통해 정수와 상시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케이스 부재와 절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정수와 접촉하는 경우에만 정수와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가열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복수 개의 상기 단위 히터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 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2 단위 센서는 각각의 상기 단위 히터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정수와 접촉하는 경우 정전용량에 의한 전위값 변화를 확인하도록 전기적으로 설치되는 제3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제3 센서가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3 센서가 상기 케이스 부재와 절연되도록 절연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의 선단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주면보다 상기 케이스 부재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 하측을 향해 제1 경사가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 하측을 향해 제2 경사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로 유입되는 정수가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 부재와 연통되는 버퍼 탱크와, 상기 버퍼 탱크에 유입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버퍼 탱크에 설치되는 제4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센서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 생성부에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드레인 하기 위해 상기 입수 유로 부재에서 분기되는 제1 드레인 유로 부재와, 상기 출수 유로 부재에서 분기되는 제2 드레인 유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입수 유로 부재에는 정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드레인 유로 부재에는 정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2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출수 유로 부재에는 유출되는 온수가 출수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드레인 유로 부재로 정수가 배출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제3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정수 유입을 시작하되,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로 정수가 유입됨에 따라 밀려나는 공기가 상기 제2 드레인 유로 부재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3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정수 유입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입된 정수가 상기 제4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 부재를 동작시키고, 정수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3 밸브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개방하며, 정수의 출수량이 목표 출수량에 도달한 경우 상기 가열 부재의 동작을 중단시킨 후에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내에 정수를 다시 출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제3 밸브를 통해 정수가 상기 제1 드레인 유로 부재와 상기 제2 드레인 유로 부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4 센서에 의해 정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3 밸브를 개방해서 정수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정수와 접촉하는 경우 정수의 전기 전도도를 확인하도록 전기적으로 설치되는 제5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출수 유로 부재에는 상향 연장되는 버퍼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센서는 상기 버퍼 영역에 정수가 채워지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정수의 수위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가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플로터에 삽입된 마그넷을 감지하는 제6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입수 유로 부재와 상기 출수 유로 부재를 상호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유로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플로터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 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바이패스 유로 부재는 유입되는 정수에 의한 유체 흐름이 생성되지 않는 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출수 유로 부재에는 상기 플로터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에 일정 여과 압력 이상의 원수가 공급되도록 원수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가압부의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발생하는 배압으로 인해 온수 생성부 내부의 정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제어부는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정수를 추가로 유입시킨 후에 정수를 가열하게 되며, 만수위 기준으로 부족한 양의 정수만 추가로 유입시키게 되므로 온수 추출 시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고,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를 가열하게 되므로 가열 부재의 순간적인 소손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가압부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가열 부재의 동작을 우선 차단하므로 수위 감지 부재를 통해서도 감지하기 어려운 순간적인 수위 저하 상황에서도 가열 부재의 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정수기의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눌러야 하는 복수 개의 버튼 중 온수 기능 선택 버튼이 눌리게 되면 온수 생성부 내부의 수위를 감지해서 온수 생성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정수를 추가로 유입시키고, 출수 버튼이 눌리게 되면 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켜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 생성부 내부의 정수와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수위 감지 정밀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와 상시 통전되는 제1 센서와, 정수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통전되는 제2 센서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1 센서와 제2 센서가 정수와 모두 통전된 경우에만 가열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가열 부재가 복수 개의 단위 히터로 구성되고, 제2 센서가 각각의 단위 히터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2 단위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수 온도에 맞게 단위 히터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량이 감소하게 되고, 각각의 단위 히터에 구비된 제2 단위 센서를 통해 정수의 수위를 감지한 후에 단위 히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와 접촉하는 경우에만 통전되는 제3 센서를 통해 정수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케이스 부재 내부 정수의 이온화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증진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3 센서가 케이스 부재와 절연되도록 절연 부재가 구비되고, 케이스 부재 내부의 순간적인 수위 저하 시에도 절연 부재에 정수가 남아 있지 않도록 절연 부재를 돌출 배치하거나, 또는 절연 부재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수위 감지 정밀도와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가 유입되는 버퍼 탱크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러한 버퍼 탱크에 제4 센서를 설치하여 케이스 부재보다 높은 위치에서 정수가 감지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상황에서 가열 부재가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별도의 드레인 유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온수 추출 종료 시에도 정수의 배출 및 유입을 반복함으로써 제4 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이와 같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정수의 수위차가 최소화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온수를 다시 추출하는 경우 빠른 온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의 전기 전도도를 이용해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5 센서를 사용하여 구성이 단순화됨으로써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6 센서가 정수와 직접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로터의 위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로서, 온수 생성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로서, 플러싱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생성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와 제2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히터와 제2 단위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탱크와 제4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탱크와 제4 센서의 구성도로서, 정수 유입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탱크와 제4 센서의 구성도로서, 온수 추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탱크와 제4 센서의 구성도로서, 정수 배출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와 제6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와 제6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로서, 온수 생성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로서, 플러싱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W1)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가압부(100)와, 이러한 가압부(100)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된 원수(W1)를 여과해서 정수(W2)를 생성하도록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가 구비되는 여과부(200)와, 여과부(200)로부터 가압된 정수(W2)를 공급받아서 온수(W3)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300) 및 이러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여과부(200)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를 통해 여과된 정수(W2)가 이동하는 여과 유로 부재(220)와,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출되는 플러싱 유로 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10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에 일정 여과 압력 이상으로 원수(W1)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고, 이를 위해 펌프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 앞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플러싱 동작 시에는 구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플러싱 동작은 원수(W1)의 공급 압력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에는 역삼투막(213)이 구비되어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를 여과측(212)과 비여과측(211)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여과측(212)과 비여과측(211)에는 후술하는 여과 유로 부재(220)와 플러싱 유로 부재(2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여과측(212)에 연결된 여과 유로 부재(220)에는 감압밸브와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에서 여과된 물은 감압밸브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된 원수(W1) 중 일부는 역삼투막(213)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나머지 물은 역삼투막(213)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플러싱 유로 부재(230)에는 플러싱 밸브(214)와 저항 밸브(215)가 구비될 수 있다. 역삼투막(213)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W2)는 여과측(212)으로 이동한 후 여과측(212)에 연결된 여과 유로 부재(220)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역삼투막(213)을 통과하지 못한 원수(W1)는 비여과측(211)에 연결된 플러싱 유로 부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과부(200)에는 전처리 필터 부재(240)와 후처리 필터 부재(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 부재(240)는 가압부(100)의 전단에 배치되며, 원수(W1)는 이러한 전처리 필터 부재(240)에서 먼저 여과된 후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에서 추가로 여과될 수 있다. 후처리 필터 부재(25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여과측(212)에 연결된 여과 유로 부재(220)에 배치되어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를 통해 여과된 정수(W2)를 추가로 여과하게 된다. 여과부(200)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 이외에 포함되는 정수 필터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수(W1)를 여과할 수 있는 정수 필터라면 어떠한 정수 필터라도 가능하다. 또는 여과부(200)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여과부(200)를 통해 여과된 정수(W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수 생성부(500)나 온수 생성부(300)로 이동하게 된다. 냉수 생성부(500)에는 여과된 정수(W2)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코일 부재(5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 코일 부재(510)의 내부에는 액화된 저온 저압의 냉매가 흐르면서 정수(W2)를 냉각시키고, 정수(W2)를 냉각시키면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 부재로 공급되면서 냉매 유로를 순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생성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와 제2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l 방향은 케이스 부재의 폭 방향이고, w 방향은 케이스 부재의 폭 방향이며, z 방향은 케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을 말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생성부(300)에는 정수(W2)가 수용되는 케이스 부재(310)와,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로 정수(W2)가 유입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입수 유로 부재(320)와,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서 가열된 온수(W3)가 유출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출수 유로 부재(330)와,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W2)를 가열하도록 케이스 부재(310)의 측벽에 구비되는 판상형 가열 부재(340)와,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부재(340)의 경우 케이스 부재(310)의 측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판상형(plate type)으로 형성되어 패키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열 부재(34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가열 용량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배출부(600)에는 이와 같이 생성된 냉수나 온수(W3)가 사용자에게 직접 출수되도록 출수 부재(6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냉수 생성부(500)나 온수 생성부(300)가 이러한 출수 부재(61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유로 전환 부재(6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수위 감지 부재(350)로부터 정수의 수위 정보를 입력받되, 가압부(100)의 동작 초기에 케이스 부재(310)에 수용된 정수(W2)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거나, 플러싱 유로 부재(230)로 이물질과 물이 함께 배출되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플러싱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케이스 부재(310)에 수용된 정수(W2)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정수(W2)를 추가로 유입시켜서 정수(W2)의 수위가 가열 부재(34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에 가열 부재(3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W2)의 수위가 가열 부재(34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를 만수위로 정의할 때, 이러한 케이스 부재(310)의 만수위 기준으로 부족한 양의 정수(W2)만 추가로 유입시키게 되므로 온수(W3) 추출 시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온수 생성부(30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W2)를 가열하게 되므로 가열 부재(340)의 순간적인 소손을 방지하여 정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0)는, 가압부(100)의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가열 부재(340)의 동작을 우선 차단한 상태에서 수위 감지 부재(350)로부터 정수(W2)의 수위 정보를 입력받고, 정수(W2)의 수위가 가열 부재(34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는 것이 확인된 후에 가열 부재(3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가압부(100)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가열 부재(340)의 동작을 우선 차단하므로 수위 감지 부재(350)를 통해서도 감지하기 어려운 순간적인 수위 저하 상황에서도 가열 부재(340)의 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온수 생성부(30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W2)를 가열함으로써 정수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0)는 온수 기능 선택 버튼(B1) 및 출수 버튼(B2)이 순차적으로 눌린 경우에 가열된 온수(W3)가 출수 유로 부재(330)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되, 제어부(400)는, 온수 기능 선택 버튼(B1)이 눌린 경우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W2)의 수위를 확인해서 정수(W2)의 수위가 가열 부재(34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정수(W2)를 추가로 유입하고, 출수 버튼(B2)이 눌린 후에 가열 부재(340)를 동작시켜서 정수(W2)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기능 선택 버튼(B1)과 출수 버튼(B2)은 사용자를 향하여 노출된 조작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조작부에는 출수량 선택 버튼(B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온수(W3)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온수 기능 선택 버튼(B1), 출수량 선택 버튼(B3) 및 출수 버튼(B2)을 순차적으로 누르게 되는데, 이때, 출수량 선택 버튼(B3)의 경우 초기 값으로 정해진 출수량 만큼만 추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로 누르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온수(W3)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온수 기능 선택 버튼(B1)과 출수량 선택 버튼(B3)을 눌러야 하며, 제어부(400)는 온수 기능 선택 버튼(B1)이 눌리게 되면 출수량 선택 버튼(B3)이나 출수 버튼(B2)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케이스 부재(310) 내부의 정수(W2)가 만수위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해서 만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정수(W2)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추가 유입시키고, 사용자가 출수 버튼(B2)을 누른 후에 가열 부재(340)를 동작시켜서 정수를 가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눌러야 하는 복수 개의 버튼 중 가장 먼저 온수 기능 선택 버튼(B1)이 눌리게 되면 케이스 부재(31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해서 케이스 부재(310)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정수(W2)를 추가로 유입시키고, 출수 버튼(B2)이 눌리게 되면 정수(W2)를 가열함으로써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수위 감지 부재(350)는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W2)와 직접 접촉하면서 정수(W2)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 감지 부재(350)가 온수 생성부(300) 내부의 정수(W2)와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면 수위 감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수위 감지 부재(350)는 케이스 부재(310)를 통해 정수(W2)와 상시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센서(351)와, 케이스 부재(310)와 절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정수(W2)와 접촉하는 경우에만 정수(W2)와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351)는 후크 형태의 센서로 케이스 부재(310)에 결합되어 정수(W2)와 상시 통전되고, 제2 센서(352)는 스크류 타입의 센서로 케이스 부재(310)에 삽입되되, 정수(W2)와 접촉하는 경우에만 정수(W2)와 통전되도록 케이스 부재(310)와는 절연된다. 즉, 정수(W2)와 상시 통전되는 제1 센서(351)와, 정수(W2)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통전되는 제2 센서(352)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1 센서(351)와 제2 센서(352)가 정수(W2)와 모두 통전된 경우에만 가열 부재(340)가 동작함으로써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센서(351)는 1번 위치(351a), 2번 위치(351b) 또는 3번 위치(351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센서(352)는 티타늄 바디가 백금 도금 공정을 거쳐 직류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티타늄 용출 및 부식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센서(351)와 제2 센서(352)를 제어부(400)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이러한 제2 센서(352)는 가열 부재(34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부재(31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해서 제2 센서(352)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는 가열 부재(340)가 정수(W2)에 충분히 잠긴 상태이므로 가열 부재(340)의 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히터와 제2 단위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가열 부재(340)는 케이스 부재(310)의 높이 방향(z)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 히터(341)를 포함하고, 제2 센서(352)는 복수 개의 단위 히터(341)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 센서(352a)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 단위 센서(352a)는 각각의 단위 히터(341)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히터(341)마다 정수(W2)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용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W3)의 온도에 맞게 적절한 개수의 단위 히터(341)를 동작시키게 된다. 즉, 케이스 부재(310)의 높이 방향(z)을 따라 4개의 단위 히터(341)가 구비된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W3)의 온도가 중간 정도의 온도라면 2개의 단위 히터(341)만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단위 히터(341)가 동작하는 순서는 케이스 부재(310)의 높이 방향 기준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단위 히터(341)부터 높은 위치에 배치된 단위 히터(341) 순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 단위 히터(341)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는 정수(W2)의 높이, 즉, 만수위의 기준이 낮아지게 되므로 단위 히터(341)가 빠르게 동작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추가로 유입되는 정수(W2)와 혼합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W3)의 온도를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 부재(340)가 복수 개의 단위 히터(341)로 구성되고, 제2 센서(352)가 각각의 단위 히터(341)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2 단위 센서(352a)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수(W3) 온도에 맞게 단위 히터(341)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량이 감소하게 되고, 각각의 단위 히터(341)에 구비된 제2 단위 센서(352a)를 통해 정수(W2)의 수위를 감지한 후에 단위 히터(341)를 동작시킴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수위 감지 부재(350)는 정수(W2)와 접촉하는 경우 정전용량에 의한 전위값 변화를 확인하도록 전기적으로 설치되는 제3 센서(353)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센서(353)는 내식성을 갖는 재질의 핀 형상의 센서로서, 정전용량에 의한 전위값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소형 회로 기판과, 제어부(400) 연결을 위한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 부재(310) 내부에 정수(W2)가 유입됨에 따라 제3 센서(353)에 일정량 이상의 정수(W2)가 접촉하게 되면서 수위가 감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정수(W2)와 접촉하는 경우에만 통전되는 제3 센서(353)를 통해 정수(W2)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케이스 부재(310) 내부 정수(W2)의 이온화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증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310)에는 제3 센서(353)가 설치되는 설치홀(311)이 형성되되, 설치홀(311)의 내주면에는 제3 센서(353)가 케이스 부재(310)와 절연되도록 절연 부재(3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 부재(312)를 통해 제3 센서(353)가 케이스 부재(310)와 절연되면 제3 센서(353)의 오동작이 방지되어 제3 센서(353)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부재(312)의 선단은 케이스 부재(310)의 내주면보다 케이스 부재(310)의 폭 방향(w) 내측을 향해 일정 돌출 깊이(d) 이상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 부재(312)의 선단이 케이스 부재(310)의 내주면보다 폭 방향(w)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정수(W2)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에 절연 부재(312)와 설치홀(311) 사이에 정수(W2)가 남아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3 센서(353)의 오동작을 방지를 통한 동작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부재(312)의 선단에는 케이스 부재(310)의 높이 방향(z) 하측을 향해 제1 경사(α)가 형성된 경사면(312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312a)이 형성되면 정수(W2)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에 정수(W2)가 이러한 경사면(312a)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즉, 제3 센서(353)가 케이스 부재(310)와 절연되도록 절연 부재(312)가 구비되고, 케이스 부재(310) 내부의 순간적인 수위 저하 시에도 절연 부재(312)에 정수가 남아 있지 않도록 절연 부재(312)를 돌출 배치하거나, 또는 절연 부재(312)에 경사면(312a)을 형성함으로써 수위 감지 정밀도와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3 센서(353)는 케이스 부재(310)의 높이 방향(z) 하측을 향해 제2 경사(β)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W2)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에 정수(W2)가 이러한 제3 센서(353)의 제2 경사(β)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어 제3 센서(353)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탱크와 제4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수위 감지 부재(350)는 케이스 부재(310)로 유입되는 정수(W2)가 이동하도록 케이스 부재(310)와 연통되는 버퍼 탱크(354)와, 이러한 버퍼 탱크(354)에 유입되는 정수(W2)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버퍼 탱크(354)에 설치되는 제4 센서(355)를 포함하며, 제4 센서(355)는 케이스 부재(31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 부재(310)와는 별도로 제4 센서(355)가 삽입된 버퍼 탱크(354)를 배치하고, 케이스 부재(310)를 통해 이러한 버퍼 탱크(354)로 이동하는 정수(W2)를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부재(310) 내부에 정수(W2)가 만수위 이상으로 충분히 유입된 경우에만 가열 부재(340)가 동작하게 되므로 정수기의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 부재(310)에 버퍼 탱크(354)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54a)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온수 생성부(300)에는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W2)를 드레인 하기 위해 입수 유로 부재(320)에서 분기되는 제1 드레인 유로 부재(360)와, 출수 유로 부재(330)에서 분기되는 제2 드레인 유로 부재(37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온수(W3)가 추출되지 않더라도 케이스 부재(310) 내부의 정수(W2)를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케이스 부재(310)의 안정적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입수 유로 부재(320)에는 정수(W2)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 밸브(321)가 구비되고, 제1 드레인 유로 부재(360)에는 정수(W2)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2 밸브(361)가 구비되며, 출수 유로 부재(330)에는 유출되는 온수(W3)가 출수되거나, 또는 제2 드레인 유로 부재(370)로 정수(W2)가 배출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제3 밸브(331)가 구비되어 정수(W2)나 온수(W3)의 유로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탱크와 제4 센서의 구성도로서, 정수 유입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탱크와 제4 센서의 구성도로서, 온수 추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탱크와 제4 센서의 구성도로서, 정수 배출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0)는, 제1 밸브(321)를 개방하고, 제2 밸브(361)를 폐쇄한 상태에서 정수(W2) 유입을 시작하되,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로 정수(W2)가 유입됨에 따라 밀려나는 공기가 제2 드레인 유로 부재(370)로 배출되도록 제3 밸브(33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정수 유입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정수(W2) 유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0)는, 유입된 정수(W2)가 제4 센서(355)에 의해 감지된 경우 제1 밸브(321)와 제3 밸브(331)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열 부재(340)를 동작시키고, 정수(W2)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제3 밸브(331)를 통해 정수(W2)가 출수되도록 개방하며, 정수(W2)의 출수량이 목표 출수량에 도달한 경우 가열 부재(340)의 동작을 중단시킨 후에 제1 밸브(321)와 제3 밸브(331)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정수(W2)가 만수위에 도달한 상태에서 가열 부재(340)를 동작시키고, 출수 종료 시에도 가열 부재(340)를 먼저 중단하게 되므로 가열 부재(340)의 소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
아울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내에 정수(W2)를 다시 출수하지 않는 경우 제1 밸브(321)를 폐쇄하고, 제2 밸브(361)와 제3 밸브(331)를 통해 정수(W2)가 제1 드레인 유로 부재(360)와 제2 드레인 유로 부재(370)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센서(355)에 의해 정수(W2)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2 밸브(361)를 폐쇄하고, 제1 밸브(321)와 제3 밸브(331)를 개방해서 정수(W2)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정수(W2)의 재출수가 없는 경우 정수(W2)를 제1 드레인 유로 부재(360)와 제2 드레인 유로 부재(370)를 통해 일부 배출하되, 정수(W2)의 배출로 인해 수위가 낮아지면서 제4 센서(355)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감지 해제 수위(h1)까지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정수(W2)의 배출을 중단하고, 정수(W2)가 감지되는 감지 수위(h2)까지 정수(W2)를 다시 유입시켜서 만수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때, 정수(W2)가 제4 센서(355)에 맺힘에 따라 잘못 감지되는 경우에도 정수(W2)의 배출이 진행되면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맺혀 있는 정수(W2)가 제거되고, 이에 따라 제4 센서(355)를 통해 정수(W2)의 감지가 정상적으로 해제될 수 있게 됩니다. 즉, 별도의 제1 드레인 유로 부재(360)와 제2 드레인 유로 부재(37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온수(W3) 추출 종료 시에도 정수(W2)의 배출 및 유입을 반복함으로써 제4 센서(355)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이와 같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정수(W2)의 수위차(Δh)가 최소화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온수(W3)를 다시 추출하는 경우 빠른 온수(W3)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수위 감지 부재(350)는 정수(W2)와 접촉하는 경우 정수(W2)의 전기 전도도를 확인하도록 전기적으로 설치되는 제5 센서(356)일 수 있다. 즉, 제5 센서(356)는 전기 전도도만 측정하는 TDS 센서일 수 있으며, 정수(W2)의 수위 감지를 위해 제5 센서(356)만 사용하게 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됨으로써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정수(W2)가 제5 센서(356)에 접촉하기 전에는 통전된 상태가 아니므로 정수(W2)의 이온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출수 유로 부재(330)에는 상향 연장되는 버퍼 영역(332)이 형성되고, 제5 센서(356)는 이러한 버퍼 영역(332)에 정수(W2)가 채워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출수 유로 부재(330)에 T 형상의 폐유로를 구성하고, 폐유로 끝단에 제5 센서(356)를 배치함으로써 정수(W2)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와 제6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와 제6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수위 감지 부재(350)는 정수(W2)의 수위에 따라 높이 방향(z)으로 이동하는 플로터(357)와, 플로터(357)가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플로터(357)에 삽입된 마그넷(357a)을 감지하는 제6 센서(35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6 센서(358)가 정수(W2)와 직접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로터(357)의 위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정수(W2)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W2)의 청정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입수 유로 부재(320)와 출수 유로 부재(330)를 상호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유로 부재(380)가 구비되며, 플로터(357)는 바이패스 유로 부재(380)에 설치되되, 바이패스 유로 부재(380)는 유입되는 정수(W2)에 의한 유체 흐름이 생성되지 않는 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이패스 유로 부재(380)를 통해 정수(W2)가 다량으로 흐를 경우 정수(W2)의 온수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세관으로 형성하여 정수(W2)의 유체 흐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온수 온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정수(W2)의 동압을 이용해서 안정적인 수위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출수 유로 부재(330)에는 플로터(357)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3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출수 유로 부재(330)까지 정수(W2)가 채워지는 것이 감지되면 가열 부재(3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가열 부재(340)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됩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에 일정 여과 압력 이상의 원수(W1)가 공급되도록 원수(W1)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가압부(100)가 구비된 상태에서 가압부(100)의 동작 초기 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210)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발생하는 배압으로 인해 온수 생성부(300) 내부의 정수(W2)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에도 제어부(400)는 온수 생성부(30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정수(W2)를 추가로 유입시킨 후에 정수(W2)를 가열하게 되며, 만수위 기준으로 부족한 양의 정수(W2)만 추가로 유입시키게 되므로 온수(W3) 추출 시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고, 온수 생성부(30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정수(W2)를 가열하게 되므로 가열 부재(340)의 순간적인 소손을 방지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됩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가압부 200 : 여과부
210 : 역삼투압 필터 부재 211 : 비여과측
212 : 여과측 213 : 역삼투막
214 : 플러싱 밸브 215 : 저항 밸브
220 : 여과 유로 부재 230 : 플러싱 유로 부재
240 : 전처리 필터 부재 250 : 후처리 필터 부재
260 : 분기 부재 300 : 온수 생성부
310 : 케이스 부재 311 : 설치홀
312 : 절연 부재 312a : 경사면
320 : 입수 유로 부재 321 : 제1 밸브
330 : 출수 유로 부재 331 : 제3 밸브
332 : 버퍼 영역 333 : 설치 영역
340 : 가열 부재 341 : 단위 히터
350 : 수위 감지 부재 351 : 제1 센서
351a : 제1 센서 1번 위치 351b : 제1 센서 2번 위치
351c : 제1 센서 3번 위치 352 : 제2 센서
352a : 제2 단위 센서 353 : 제3 센서
354 : 버퍼 탱크 354a : 커넥터
355 : 제4 센서 356 : 제5 센서
357 : 플로터 357a : 마그넷
358 : 제6 센서 360 : 제1 드레인 유로 부재
361 : 제2 밸브 370 : 제2 드레인 유로 부재
380 : 바이패스 유로 부재 400 : 제어부
500 : 냉수 생성부 510 : 냉각 코일 부재
600 : 배출부 610 : 출수 부재
620 : 유로 전환 부재 B1 : 온수 기능 선택 버튼
B2 : 출수 버튼 B3 : 출수량 선택 버튼
W1 : 원수 W2 : 정수
W3 : 온수 d : 돌출 깊이
h1 : 감지 해제 수위 h2 : 감지 수위
Δh : 수위차 l : 케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
w : 케이스 부재의 폭 방향 z : 케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
α : 제1 경사 β : 제2 경사

Claims (23)

  1. 원수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된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도록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가압된 정수를 공급받아서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통해 여과된 정수가 이동하는 여과 유로 부재와,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출되는 플러싱 유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 생성부에는 정수가 수용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로 정수가 유입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입수 유로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서 가열된 온수가 유출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출수 유로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하도록 상기 케이스 부재의 측벽에 구비되는 판상형 가열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 부재로부터 정수의 수위 정보를 입력받되, 상기 가압부의 동작 초기에 상기 케이스 부재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거나, 상기 플러싱 유로 부재로 이물질과 물이 함께 배출되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정수를 추가로 유입시켜서 정수의 수위가 상기 가열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에 상기 가열 부재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의 동작 초기, 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플러싱 동작 진행 시에 상기 가열 부재의 동작을 우선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로부터 정수의 수위 정보를 입력받고,
    정수의 수위가 상기 가열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는 것이 확인된 후에 상기 가열 부재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수 기능 선택 버튼 및 출수 버튼이 순차적으로 눌린 경우에 가열된 온수가 상기 출수 유로 부재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기능 선택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의 수위를 확인해서 정수의 수위가 상기 가열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정수를 추가로 유입하고,
    상기 출수 버튼이 눌린 후에 상기 가열 부재를 동작시켜서 정수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와 직접 접촉하면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를 통해 정수와 상시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케이스 부재와 절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정수와 접촉하는 경우에만 정수와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가열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복수 개의 상기 단위 히터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 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2 단위 센서는 각각의 상기 단위 히터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정수와 접촉하는 경우 정전용량에 의한 전위값 변화를 확인하도록 전기적으로 설치되는 제3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제3 센서가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3 센서가 상기 케이스 부재와 절연되도록 절연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의 선단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주면보다 상기 케이스 부재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 하측을 향해 제1 경사가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 하측을 향해 제2 경사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로 유입되는 정수가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 부재와 연통되는 버퍼 탱크와, 상기 버퍼 탱크에 유입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버퍼 탱크에 설치되는 제4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센서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생성부에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드레인 하기 위해 상기 입수 유로 부재에서 분기되는 제1 드레인 유로 부재와, 상기 출수 유로 부재에서 분기되는 제2 드레인 유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유로 부재에는 정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드레인 유로 부재에는 정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2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출수 유로 부재에는 유출되는 온수가 출수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드레인 유로 부재로 정수가 배출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제3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정수 유입을 시작하되,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로 정수가 유입됨에 따라 밀려나는 공기가 상기 제2 드레인 유로 부재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3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정수 유입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입된 정수가 상기 제4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 부재를 동작시키고,
    정수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3 밸브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개방하며,
    정수의 출수량이 목표 출수량에 도달한 경우 상기 가열 부재의 동작을 중단시킨 후에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내에 정수를 다시 출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제3 밸브를 통해 정수가 상기 제1 드레인 유로 부재와 상기 제2 드레인 유로 부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4 센서에 의해 정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3 밸브를 개방해서 정수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정수와 접촉하는 경우 정수의 전기 전도도를 확인하도록 전기적으로 설치되는 제5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유로 부재에는 상향 연장되는 버퍼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센서는 상기 버퍼 영역에 정수가 채워지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는 정수의 수위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가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플로터에 삽입된 마그넷을 감지하는 제6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유로 부재와 상기 출수 유로 부재를 상호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유로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플로터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 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바이패스 유로 부재는 유입되는 정수에 의한 유체 흐름이 생성되지 않는 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유로 부재에는 상기 플로터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200088782A 2020-07-17 2020-07-17 정수기 KR20220010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782A KR20220010196A (ko) 2020-07-17 2020-07-17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782A KR20220010196A (ko) 2020-07-17 2020-07-17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196A true KR20220010196A (ko) 2022-01-25

Family

ID=8004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782A KR20220010196A (ko) 2020-07-17 2020-07-17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019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4882A2 (en) 2011-04-01 2014-02-12 Coway Co., Ltd. Warm water supply device and warm water supply method
KR20190008122A (ko) 2017-07-14 2019-01-23 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통합 연료 노즐 연결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4882A2 (en) 2011-04-01 2014-02-12 Coway Co., Ltd. Warm water supply device and warm water supply method
KR20190008122A (ko) 2017-07-14 2019-01-23 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통합 연료 노즐 연결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42214B (zh) 净水器及其控制方法和装置
CN107879423A (zh) 净水机及其水路系统
CN110577248B (zh) 用于净水器的启动保护装置和净水器
KR20220010196A (ko) 정수기
KR102329401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CN110772119A (zh) 饮品设备及控制方法
CN112902439A (zh) 净水器
CN112728759A (zh) 储水式热水系统以及控制方法
CN107892426A (zh) 纯水机及其水路系统
CN211722809U (zh) 饮品设备
KR101564133B1 (ko) 정수기
CN211722794U (zh) 三合一饮品设备
CN103768948B (zh) 水净化装置
CN112815520A (zh) 一种双水加热结构及双水加热方法
CN111335406A (zh) 一种集成水槽及其控制方法
KR20120096825A (ko) 정수기의 온수 제어 장치
CN217148870U (zh) 饮水机
CN220529790U (zh) 一种净饮茶盘机
EP4273089A1 (en) Hot water generation apparatus, water purifier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t water generation apparatus
CN110840250A (zh) 饮品设备及滤芯检测方法
KR20220090706A (ko) 직수형 정수기 및 그 가열 제어방법
CN219774958U (zh) 节水水龙头组件及具有其的节水净水设备
KR101052334B1 (ko) 급탕기
CN219940352U (zh) 温度可调的净水加热系统
CN209771564U (zh) 水路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