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090A -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 Google Patents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090A
KR20220010090A KR1020200088569A KR20200088569A KR20220010090A KR 20220010090 A KR20220010090 A KR 20220010090A KR 1020200088569 A KR1020200088569 A KR 1020200088569A KR 20200088569 A KR20200088569 A KR 20200088569A KR 20220010090 A KR20220010090 A KR 20220010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oor
air
toe
hing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840B1 (ko
Inventor
염다솜
Original Assignee
염다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다솜 filed Critical 염다솜
Priority to KR102020008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8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이 여닫이문과, 힌지 부재와, 쿠션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 전달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상기 사용자 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가 충돌될 때, 상기 쿠션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 사이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Toe Injury Door Unit}
본 발명은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문이란 사무실, 가정, 학교 등에서 사용자들이 실내와 실외, 또는 실내에서 벽으로 구획된 하나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해 출입할 수 있는 것을말하고, 문의 종류로는 크게 여닫이문과 미닫이문 등이 있다.
상기 미닫이문은 문이나 창 등을 옆으로 밀어서 개폐시키는 것으로, 학교의 교실문이나 아파트의 현관문 등에 적용되고, 상기 여닫이문은 문틀에 고정되어 있는 경첩 등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거나 닫는 것으로, 가정의 현관문이나 각 가정의 방문 등에 적용된다.
상기 여닫이문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여닫이문에 의하면, 상기 여닫이문을 열거나 닫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의 외곽에 형성된 문고리 등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여닫이문을 밀거나 당기게 되는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 앞에 서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여닫이문을 당기게 되면, 상기 여닫이문은 상기 사용자와 근접되도록 회전되는데, 이 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서 가장 앞으로 돌출된 발가락이 상기 여닫이문과 바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끼이면서 발가락이 부상당하는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2061730 호, 등록일자 : 2019.12.26., 발명의 명칭 : 양방향 개방형 여닫이문 등록특허 제 10-1078791 호, 등록일자 : 2011.10.26., 발명의 명칭 : 여닫이문 전후 양방향 개폐장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여닫이문이 사용자 쪽으로 회전될 때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는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은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에 형성되는 문틀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틀에 대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여닫이문; 상기 문틀에 상기 여닫이문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문틀에 대해 상기 여닫이문이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문틀과 상기 여닫이문을 연결시키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여닫이문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여닫이문을 상기 사용자 쪽으로 당기면, 상기 여닫이문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가 충돌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충돌된 상기 쿠션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중 상기 쿠션 부재와 접촉된 부분을 보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에 의하면, 상기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이 여닫이문과, 힌지 부재와, 쿠션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 전달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상기 사용자 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가 충돌될 때, 상기 쿠션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 사이의 충돌 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을 구성하는 힌지 잠금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힌지 잠금 부재가 여닫이문측 연결부를 고정시킨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을 구성하는 힌지 잠금 부재가 적용된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100)은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에 형성되는 문틀(1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여닫이문(110)과, 힌지 부재(120) 및 쿠션 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여닫이문(110)을 상기 사용자 쪽으로 당기면, 상기 여닫이문(110)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130)가 충돌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충돌된 상기 쿠션 부재(13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중 상기 쿠션 부재(130)와 접촉된 부분을 보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문틀(10)은 상기 출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여닫이문(110)에 의해 상기 출입구가 닫힐 때, 상기 여닫이문(110)이 삽입되는 틀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여닫이문(110)은 상기 문틀(10)에 대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여닫이문(110)은 일정 면적의 평판이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좌우 방향의 폭에 비해 수직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패널(panel)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11은 상기 여닫이문(110)의 외곽으로 돌출되는 외력 전달부이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외력 전달부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여닫이문(110)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력 전달부를 손으로 잡고 상기 사용자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외력 전달부를 밀면 상기 여닫이문(110)이 열리게 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력 전달부를 손으로 잡고 상기 사용자와 근접되도록 상기 외력 전달부를 당기면 상기 여닫이문(110)이 닫히게 된다.
또한, 상기 여닫이문(110)이 상기 문틀(10)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력 전달부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문틀(10)에 대해 고정되어 있던 상기 여닫이문(110)이 고정해제 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 부재(120)는 상기 문틀(10)에 상기 여닫이문(110)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문틀(10)에 대해 상기 여닫이문(110)이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문틀(10)과 상기 여닫이문(110)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여닫이문(110)은 상기 힌지 부재(120)를 기준으로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힌지 부재(120)는 문틀측 연결부(121)와, 여닫이문측 연결부(122)와, 연결축(123)을 포함한다.
상기 문틀측 연결부(121)는 상기 문틀(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문틀측 연결부(121)는 나사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문틀(1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122)는 상기 여닫이문(110)에 연결되고, 상기 문틀측 연결부(12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문틀측 연결부(121)는 나사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11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연결축(123)은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문틀측 연결부(121)와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122)에 함께 삽입되면서 상기 문틀측 연결부(121)와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122)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문틀측 연결부(121)는 고정된 상기 문틀(10)에 결합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122)는 상기 여닫이문(1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축(123)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부재(120)는 상기 문틀(10)에 대해 상기 여닫이문(110)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여닫이문(110)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정 높이 이격되면서 배치된다.
상기 쿠션 부재(130)는 상기 여닫이문(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쿠션 부재(130)는 탄성을 가진 우레탄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110)을 당겨서 상기 쿠션 부재(130)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충돌되면, 상기 쿠션 부재(130) 중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접촉된 부분이 그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130) 사이의 에너지를 상기 쿠션 부재(130)가 흡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쿠션 부재(130) 중 일측 말단부의 하측 모서리, 즉 상기 쿠션 부재(130) 중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대면되는 방향이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110)을 당길 때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대적으로 먼저 만나는 부분에는 모서리 라운딩(Rounding) 또는 모서리 면취(Chamfer)(131)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130)가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중 국부적인 부분에 대한 상처가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쿠션 부재(130)의 모서리가 직각 형태로 형성되면, 그 모서리가 상대적으로 뾰족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110)을 당길 때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톱 사이에 상기 쿠션 부재(130)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톱 사이가 찢어지는 등의 상처가 발생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쿠션 부재(130)의 모서리에 상기 모서리 라운딩(Rounding) 또는 모서리 면취(Chamfer)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톱 사이에 발생되는 상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쿠션 부재(130) 중 일측 말단부의 하측 모서리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기 모서리 면취(13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100)이 상기 여닫이문(110)과, 상기 힌지 부재(120)와, 상기 쿠션 부재(13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력 전달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110)이 상기 사용자 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130)가 충돌될 때, 상기 쿠션 부재(13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130) 사이의 충돌 시 발생되는 운동 에너지인 충돌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을 구성하는 힌지 잠금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힌지 잠금 부재가 여닫이문측 연결부를 고정시킨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은 여닫이문(210)과, 힌지 부재(220)와, 쿠션 부재(230) 및 힌지 잠금 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여닫이문(210)은 상기 문틀에 대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힌지 부재(220)는 상기 문틀에 상기 여닫이문(210)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문틀에 대해 상기 여닫이문(210)이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문틀과 상기 여닫이문(210)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힌지 부재(220)는 상기 문틀에 연결되는 문틀측 연결부(221)와, 상기 여닫이문(210)에 연결되고, 상기 문틀측 연결부(22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여닫이문측 연결부(222)와, 상기 문틀측 연결부(221)와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222)에 함께 삽입되면서 상기 문틀측 연결부(221)와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222)를 연결시키는 연결축(223)을 포함한다.
상기 쿠션 부재(230)는 상기 여닫이문(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힌지 잠금 부재(240)는 상기 쿠션 부재(230)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210)이 상기 사용자와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충돌될 때, 상기 힌지 부재(220)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상기 힌지 부재(220)를 잠그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힌지 잠금 부재(240)는 공기 저장체(241)와, 공기 유동 배관(243)과, 공기 분지 배관(244)과, 공기 유입홀(245)과, 탄성 확장체(246)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저장체(241)는 상기 쿠션 부재(230)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되되, 그 내부에 빈 공간(242)이 형성되어 공기가 저장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은 상기 공기 저장체(241)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저장체(241)의 내부에 있던 상기 공기를 상기 연결축(223) 쪽으로 유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은 상기 공기 저장체(24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빈 공간(242)과 연통되고,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의 일부는 상기 여닫이문(2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여닫이문(210), 더 정확하게는 상기 여닫이문(210) 중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222)가 결합되는 측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축(223)의 중심부를 따라 상승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은 상기 연결축(223)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과 연통되어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을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은 상기 연결축(22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각도로 이격되면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은 90도 간격으로 네 개가 관통되어 형성되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그 개수가 본 발명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은 상기 연결축(223)의 하부 쪽에서 상기 연결축(223)의 중심부를 따라 상승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은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연결축(223)의 외곽을 향해 분지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홀(245)은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의 말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축(223)의 외곽에 형성되되, 상기 연결축(223)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을 통해 유동된 상기 공기가 유입되어 모이는 것이다.
상기 공기 유입홀(245)은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에서 상기 연결축(223)의 외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확장체(246)는 상기 공기 유입홀(245)의 개방된 외곽을 덮도록 설치되고,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210)이 상기 사용자와 근접되도록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공기 저장체(241)가 충돌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이 상기 공기 저장체(241)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공기 저장체(241) 내부에 있던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 및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홀(245)까지 유동되고, 상기 공기 유입홀(245)까지 유동된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홀(245)에 모이면서 상기 공기 유입홀(245)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공기 유입홀(245)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 확장체(246)가 탄성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상기 연결축(223)과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222) 사이의 틈을 막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축(223)과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222) 사이가 잠기게 됨으로써 상기 문틀에 대한 상기 여닫이문(21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210) 앞에 서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210)이 상기 사용자 쪽으로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공기 저장체(241)가 충돌되면, 상기 공기 저장체(241) 내부에 있던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을 통해 유동되고,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을 통해 유동된 상기 공기는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을 통해 유동되어 상기 공기 유입홀(245)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공기 유입홀(245)의 내부 압력이 증대되면서 상기 탄성 확장체(246)가 부풀어 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탄성 확장체(246)가 상기 연결축(223)과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222) 사이의 틈을 막아서 상기 연결축(223)과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222) 사이가 잠기게 된다.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이 상기 공기 저장체(24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공기 저장체(241)의 충돌이 해제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탄성 확장체(24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 확장체(246)가 원형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여닫이문(210)과 상기 여닫이측 연결부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이 발생되고, 상기 탄성 확장체(246)의 복원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홀(245)에 있던 상기 공기는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을 통해 밀려나서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을 통해 유동된 후 상기 공기 저장체(241)의 상기 빈 공간(242)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잠금 부재(240)는 복수 개의 상기 힌지 부재(220) 중 상기 쿠션 부재(230)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위치에 배치된 것에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분지 배관(244), 상기 공기 유입홀(245) 및 상기 탄성 확장체(246)가 복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각 공기 분지 배관(244)은 상기 공기 유동 배관(243)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연결축(223)의 외곽을 향해 각각 방사상으로 분지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공기 분지 배관(244)의 말단에 상기 각 공기 유입홀(245)이 형성되고, 상기 각 공기 유입홀(245)의 외곽에 각각 상기 각 탄성 확장체(246)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연결축(223)의 복수 지점에서 상기 각 탄성 확장체(246)가 부풀어올라서, 상기 연결축(223)과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222) 사이의 틈이 복수 지점에서 잠길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을 구성하는 힌지 잠금 부재가 적용된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 잠금 부재(340)가 내부 수집체(347)와 이중 확장체(348)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 수집체(347)는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공기 유입홀(345)의 내부에 고정되되, 공기 분지 배관(344)과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상기 분지 배관과 대면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공기 저장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기 분지 배관(344)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일부를 포집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 확장체(348)는 상기 내부 수집체(347)의 중앙부와 연통되고, 그 내부가 비어 있되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형태로 형성되고,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내부 수집체(347)에 포집된 상기 공기에 의해 부풀어오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의 앞에 선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외력 전달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상기 사용자와 근접되도록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공기 저장체가 충돌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이 상기 공기 저장체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공기 저장체에 저장된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분지 배관(344)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공기 유입홀(345)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탄성 확장체(346)가 부풀어오르게 됨으로써, 상기 탄성 확장체(346)가 연결축(323)과 여닫이문측 연결부(322) 사이의 틈을 막게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유입홀(345)로 유입된 상기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내부 수집체(347)에 의해 포집된 다음 상기 이중 확장체(348)로 유입되어 상기 이중 확장체(348)가 부풀어 오르게 됨으로써, 상기 이중 확장체(348)가 상기 탄성 확장체(346)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 확장체(346)를 밀어주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탄성 확장체(346)가 상기 연결축(323)과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322) 사이의 틈을 더욱 견고하게 막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 확장체(348)가 상기 탄성 확장체(346)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 확장체(346)를 밀어주게 되면, 상기 이중 확장체(348)가 구비되지 아니한 상태에 비해 상기 탄성 확장체(346)가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에 부풀어 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공기 저장체가 충돌되었을 때부터 상기 여닫이문의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에 의하면, 사용자의 외력 전달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상기 사용자 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가 충돌될 때, 상기 쿠션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 사이의 충돌 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문틀
100 :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110 : 여닫이문
120 : 힌지 부재
130 : 쿠션 부재
240 : 힌지 잠금 부재

Claims (5)

  1.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에 형성되는 문틀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틀에 대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여닫이문;
    상기 문틀에 상기 여닫이문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문틀에 대해 상기 여닫이문이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문틀과 상기 여닫이문을 연결시키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여닫이문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여닫이문을 상기 사용자 쪽으로 당기면, 상기 여닫이문이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쿠션 부재가 충돌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충돌된 상기 쿠션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중 상기 쿠션 부재와 접촉된 부분을 보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부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우레탄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 중 일측 말단부의 하측 모서리에는 모서리 라운딩(Rounding) 또는 모서리 면취(Chamfe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 끼임 방지문은
    상기 쿠션 부재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상기 사용자와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충돌될 때, 상기 힌지 부재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상기 힌지 부재를 잠그는 힌지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문틀에 연결되는 문틀측 연결부와,
    상기 여닫이문에 연결되고, 상기 문틀측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여닫이문측 연결부와,
    상기 문틀측 연결부와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에 함께 삽입되면서 상기 문틀측 연결부와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를 연결시키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잠금 부재는
    상기 쿠션 부재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되되,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가 저장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공기 저장체와,
    상기 공기 저장체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저장체의 내부에 있던 상기 공기를 상기 연결축 쪽으로 유동시키는 공기 유동 배관과,
    상기 연결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 배관과 연통되어 상기 공기 유동 배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분지 배관과,
    상기 공기 분지 배관의 말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축의 외곽에 형성되되, 상기 연결축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분지 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공기 분지 배관을 통해 유동된 상기 공기가 모이는 공기 유입홀과,
    상기 공기 유입홀의 개방된 외곽을 덮도록 설치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 확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회전되다가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과 상기 공기 저장체가 충돌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이 상기 공기 저장체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공기 저장체 내부에 있던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 배관 및 상기 공기 분지 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홀까지 유동되고, 상기 공기 유입홀까지 유동된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홀에 모이면서 상기 공기 유입홀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공기 유입홀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 확장체가 탄성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상기 연결축과 상기 여닫이문측 연결부 사이의 틈을 막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문틀에 대한 상기 여닫이문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KR1020200088569A 2020-07-17 2020-07-17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KR10248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69A KR102483840B1 (ko) 2020-07-17 2020-07-17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69A KR102483840B1 (ko) 2020-07-17 2020-07-17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090A true KR20220010090A (ko) 2022-01-25
KR102483840B1 KR102483840B1 (ko) 2023-01-03

Family

ID=8004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69A KR102483840B1 (ko) 2020-07-17 2020-07-17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8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646A (ja) * 2005-07-04 2007-01-18 Panahome Corp 安全ドア
KR101078791B1 (ko) 2011-07-08 2011-11-02 주식회사 이음엔지니어링 여닫이문 전후 양방향 개폐장치
KR20140057694A (ko) * 2012-09-17 2014-05-14 조상희 문틈 손가락 및 발가락 부상방지용 순간안전자동브레이커
KR102061730B1 (ko) 2019-03-14 2020-01-02 김수호 양방향 개방형 여닫이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646A (ja) * 2005-07-04 2007-01-18 Panahome Corp 安全ドア
KR101078791B1 (ko) 2011-07-08 2011-11-02 주식회사 이음엔지니어링 여닫이문 전후 양방향 개폐장치
KR20140057694A (ko) * 2012-09-17 2014-05-14 조상희 문틈 손가락 및 발가락 부상방지용 순간안전자동브레이커
KR102061730B1 (ko) 2019-03-14 2020-01-02 김수호 양방향 개방형 여닫이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840B1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9495A (en) Door for buildings
US2586757A (en) Door hinge check
US5816309A (en) Door edge guard
US2709030A (en) Fire escape
WO2007026127A1 (en) Anti-movement device for closure member
US4580820A (en) Security devices
US9206622B2 (en) Energy absorbing lock systems and methods
KR20220010090A (ko) 발가락 부상 방지문 유닛
KR101994273B1 (ko) 손끼임 사고방지를 위한 완충기능 및 도어의 고정기능을 갖는 원터치형 도어용 스토퍼
KR102248737B1 (ko)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EP3765691B1 (en) Cubicle comprising a door locking device providing emergency access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KR102267498B1 (ko)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CA3088916C (en) Door with finger pinch prevention function
KR20180093706A (ko) 미관이 수려한 접철식 방충도어의 손끼임 방지 연결구조
KR102151624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KR102286197B1 (ko) 도어용 댐퍼장치
JP5827080B2 (ja) 自閉式引き戸
KR10254625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KR100721329B1 (ko) 건축물 실내도어 충격흡수 구조체
KR20110011771A (ko) 롤권취 도어
KR20000019120U (ko) 자동문의 비상 개방장치
KR20210023136A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367976B1 (ko) 손끼임 방지기구
KR20210021748A (ko) 끼임 방지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