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852A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9852A KR20220009852A KR1020210027775A KR20210027775A KR20220009852A KR 20220009852 A KR20220009852 A KR 20220009852A KR 1020210027775 A KR1020210027775 A KR 1020210027775A KR 20210027775 A KR20210027775 A KR 20210027775A KR 20220009852 A KR20220009852 A KR 202200098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ctic acid
- obesity
- acid bacteria
- plantarum
- ceb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3579 anti-obesit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44000164595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2523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577 cryoprote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HDTRYLNUVZCQOY-UHFFFAOYSA-N α-D-glucopyranosyl-α-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O)C(O)C(O)C(CO)O1 HDTRYLNUVZCQOY-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HDTRYLNUVZCQOY-WSWWMNSNSA-N Trehal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WSWWMNSN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HDTRYLNUVZCQOY-LIZSDCNHSA-N alpha,alpha-trehal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LIZSDCNH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JYJIGFIDKWBXDU-MNNPPOADSA-N in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C@]1(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C@]%12(OC[C@]%13(OC[C@]%14(OC[C@]%15(OC[C@]%16(OC[C@]%17(OC[C@]%18(OC[C@]%19(OC[C@]%20(OC[C@]%21(OC[C@]%22(OC[C@]%23(OC[C@]%24(OC[C@]%25(OC[C@]%26(OC[C@]%27(OC[C@]%28(OC[C@]%29(OC[C@]%30(OC[C@]%31(OC[C@]%32(OC[C@]%33(OC[C@]%34(OC[C@]%35(OC[C@]%36(O[C@@H]%37[C@@H]([C@@H](O)[C@H](O)[C@@H](CO)O%37)O)[C@H]([C@H](O)[C@@H](CO)O%36)O)[C@H]([C@H](O)[C@@H](CO)O%35)O)[C@H]([C@H](O)[C@@H](CO)O%34)O)[C@H]([C@H](O)[C@@H](CO)O%33)O)[C@H]([C@H](O)[C@@H](CO)O%32)O)[C@H]([C@H](O)[C@@H](CO)O%31)O)[C@H]([C@H](O)[C@@H](CO)O%30)O)[C@H]([C@H](O)[C@@H](CO)O%29)O)[C@H]([C@H](O)[C@@H](CO)O%28)O)[C@H]([C@H](O)[C@@H](CO)O%27)O)[C@H]([C@H](O)[C@@H](CO)O%26)O)[C@H]([C@H](O)[C@@H](CO)O%25)O)[C@H]([C@H](O)[C@@H](CO)O%24)O)[C@H]([C@H](O)[C@@H](CO)O%23)O)[C@H]([C@H](O)[C@@H](CO)O%22)O)[C@H]([C@H](O)[C@@H](CO)O%21)O)[C@H]([C@H](O)[C@@H](CO)O%20)O)[C@H]([C@H](O)[C@@H](CO)O%19)O)[C@H]([C@H](O)[C@@H](CO)O%18)O)[C@H]([C@H](O)[C@@H](CO)O%17)O)[C@H]([C@H](O)[C@@H](CO)O%16)O)[C@H]([C@H](O)[C@@H](CO)O%15)O)[C@H]([C@H](O)[C@@H](CO)O%14)O)[C@H]([C@H](O)[C@@H](CO)O%13)O)[C@H]([C@H](O)[C@@H](CO)O%12)O)[C@H]([C@H](O)[C@@H](CO)O%11)O)[C@H]([C@H](O)[C@@H](CO)O%10)O)[C@H]([C@H](O)[C@@H](CO)O9)O)[C@H]([C@H](O)[C@@H](CO)O8)O)[C@H]([C@H](O)[C@@H](CO)O7)O)[C@H]([C@H](O)[C@@H](CO)O6)O)[C@H]([C@H](O)[C@@H](CO)O5)O)[C@H]([C@H](O)[C@@H](CO)O4)O)[C@H]([C@H](O)[C@@H](CO)O3)O)[C@H]([C@H](O)[C@@H](CO)O2)O)[C@@H](O)[C@H](O)[C@@H](CO)O1 JYJIGFIDKWBXDU-MNNPPOAD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4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7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7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86
- 235000009200 high fat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5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35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5
- 235000013965 Lactobacillus plant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1
- 240000006024 Lactobacillus plant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31
- 229940072205 lactobacillus plantarum Drugs 0.000 description 3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5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4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01000010063 epididym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6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1596 intra-abdominal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5000021590 normal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7490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5228 liver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108010016731 PPAR gamma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102100038825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08010074436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2100026839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101710190443 Acetyl-CoA carboxyl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100021334 Bcl-2-related protein A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740 C57BL/6 mous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OZFAFGSSMRRTDW-UHFFFAOYSA-N (2,4-dichlorophenyl) benze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ClC1=CC(Cl)=CC=C1OS(=O)(=O)C1=CC=CC=C1 OZFAFGSSMRRT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91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SRBFZHDQGSBBOR-UHFFFAOYSA-N beta-D-Pyranose-Lyxose Natural products OC1COC(O)C(O)C1O SRBFZHDQGSBB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08020004465 16S ribosomal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100036475 Alanine aminotransfer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10082126 Alanine transam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8010003415 Aspartate Aminotransf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625 Aspartate Aminotransfe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10023302 H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8010028554 L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949 hem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53 real-tim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5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872 mr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MZOFCQQQCNRIBI-VMXHOPILSA-N (3s)-4-[[(2s)-1-[[(2s)-1-[[(1s)-1-carboxy-2-hydroxyeth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3-[[2-[[(2s)-2,6-diaminohexanoyl]amino]acetyl]amino]-4-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CCCN=C(N)N)NC(=O)[C@H](CC(O)=O)NC(=O)CNC(=O)[C@@H](N)CCCCN MZOFCQQQCNRIBI-VMXHOPILSA-N 0.000 description 3
- SHZGCJCMOBCMKK-UHFFFAOYSA-N D-mannomethylose Natural products CC1OC(O)C(O)C(O)C1O SHZGCJCMOBCM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 IL-1β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1005 Interleukin-6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PIWKPBJCKXDKJR-UHFFFAOYSA-N Isoflurane Chemical compound FC(F)OC(Cl)C(F)(F)F PIWKPBJCKXDKJ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PNNNRSAQSRJVSB-UHFFFAOYSA-N L-rhamnose Natural products CC(O)C(O)C(O)C(O)C=O PNNNRSAQSRJVS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8214 LDL Cholesterol Method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0852 Tumor Necrosis Factor-alph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86 adipose tissue brow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PYMYPHUHKUWMLA-UHFFFAOYSA-N arabinose Natural products OCC(O)C(O)C(O)C=O PYMYPHUHKUWML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83 inhalation anesth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725 isoflura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496 pancrea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26 G1 to G0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ZUVPPKBWHMQCE-UHFFFAOYSA-N Haematoxylin Chemical compound C12=CC(O)=C(O)C=C2CC2(O)C1C1=CC=C(O)C(O)=C1OC2 WZUVPPKBWHMQ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929 Lactobacillus brev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957 Lactobacillus brev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612 Lactobacillus sake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1060 Lip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00 Sequenc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0 TBST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789 adip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PYMYPHUHKUWMLA-LMVFSUKVSA-N aldehydo-D-rib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LMVFSUKV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88 aut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6995 beta-Glucos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47754 beta-Glucos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42 biochem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72 cell harv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8 cryo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304 hepa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BJRNKVDFDLYUGJ-RMPHRYRLSA-N hydroquinone O-beta-D-gluc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O)C=C1 BJRNKVDFDLYUGJ-RMPHRYRL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56 liver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00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5 peristal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23 prote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574 retroperitoneal spa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DIYNQZUNSSENW-UUBOPVPUSA-N (2R,3S,4R,5R)-2,3,4,5,6-pentahydroxyhexana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C[C@@H](O)[C@@H](O)[C@H](O)[C@@H](O)C=O XDIYNQZUNSSENW-UUBOPVPUSA-N 0.000 description 1
- XUCIJNAGGSZNQT-JHSLDZJXSA-N (R)-amygda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H](O[C@@H](C#N)C=2C=CC=CC=2)O1 XUCIJNAGGSZNQT-JHSLDZJXSA-N 0.000 description 1
- VBUYCZFBVCCYFD-JJYYJPOSSA-N 2-dehydro-D-gluc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C(O)=O VBUYCZFBVCCYFD-JJYYJPOSSA-N 0.000 description 1
- PLXMOAALOJOTIY-FPTXNFDTSA-N Aesculin Natural products OC[C@@H]1[C@@H](O)[C@H](O)[C@@H](O)[C@H](O)[C@H]1Oc2cc3C=CC(=O)Oc3cc2O PLXMOAALOJOTIY-FPTXNFDT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74 Alkaline Phospha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2260 Alkaline Phospha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DCSYEGIMSA-N Bet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DCSYEGIMSA-N 0.000 description 1
- 101710180684 Beta-hexosamin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24976 Beta-hexosaminidase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NBCMONIPIJTSB-BGNCJLHMSA-N Cichori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c2c(OC(=O)C=C2)c1 WNBCMONIPIJTSB-BGNCJLHM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NGQZWQHPSA-N D-Arabitol Natural products OC[C@H](O)C(O)[C@H](O)CO HEBKCHPVOIAQTA-NGQZWQHP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CUHNMECISA-N D-Cello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CUHNMECISA-N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VRPWFDPXSA-N D-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VRPWFDPX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QWWZWVQMSA-N D-arabi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O)[C@H](O)CO HEBKCHPVOIAQTA-QWWZWVQMSA-N 0.000 description 1
- SHZGCJCMOBCMKK-SVZMEOIVSA-N D-fucopyranose Chemical compound C[C@H]1OC(O)[C@H](O)[C@@H](O)[C@H]1O SHZGCJCMOBCMKK-SVZMEOIV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QWIZNVHXZXRPDR-UHFFFAOYSA-N D-melezitose Natural products O1C(CO)C(O)C(O)C(O)C1OC1C(O)C(CO)OC1(CO)OC1OC(CO)C(O)C(O)C1O QWIZNVHXZXRP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SOOFDHNKSA-N D-rib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SOOFDHNKSA-N 0.000 description 1
- LKDRXBCSQODPBY-OEXCPVAWSA-N D-tagatose Chemical compound OCC1(O)OC[C@@H](O)[C@H](O)[C@@H]1O LKDRXBCSQODPBY-OEXCPVAWSA-N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IOVATXLUSA-N D-xyl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IOVATXLU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371 Est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382 Gelatin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6132 Gelat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53187 Glucuron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0309 Glucuron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1181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7 Glyco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8910 Haemo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QUHHTBVTRBESD-UHFFFAOYSA-N Hexa-Ac-myo-Inositol Natural products CC(=O)OC1C(OC(C)=O)C(OC(C)=O)C(OC(C)=O)C(OC(C)=O)C1OC(C)=O SQUHHTBVTRBE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2 Inul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KDRXBCSQODPBY-AMVSKUEXSA-N L-(-)-Sorbose Chemical compound OCC1(O)OC[C@H](O)[C@@H](O)[C@@H]1O LKDRXBCSQODPBY-AMVSKUEXSA-N 0.000 description 1
- SHZGCJCMOBCMKK-PQMKYFCFSA-N L-Fucose Natural products C[C@H]1O[C@H](O)[C@@H](O)[C@@H](O)[C@@H]1O SHZGCJCMOBCMKK-PQMKYFCFSA-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IMJSIDKUSA-N L-arabi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O)[C@@H](O)CO HEBKCHPVOIAQTA-IMJSIDKUSA-N 0.000 description 1
- SHZGCJCMOBCMKK-DHVFOXMCSA-N L-fucopyranose Chemical compound C[C@@H]1OC(O)[C@@H](O)[C@H](O)[C@@H]1O SHZGCJCMOBCMKK-DHVFOXMCSA-N 0.000 description 1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OWMBCFKOSA-N L-rib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OWMBCFKOSA-N 0.000 description 1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ROHFNLRQFUQHCH-UHFFFAOYSA-N 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ROHFNLRQFUQH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132 Leuconostoc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7 Lip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82 Lip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4295 Maltase-glucoamyl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OVRNDRQMDRJTHS-UHFFFAOYSA-N N-acelyl-D-glucosamine Natural products CC(=O)NC1C(O)OC(CO)C(O)C1O OVRNDRQMDRJT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VRNDRQMDRJTHS-FMDGEEDCSA-N N-acetyl-beta-D-glucosamine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 OVRNDRQMDRJTHS-FMDGEEDCSA-N 0.000 description 1
- MBLBDJOUHNCFQT-LXGUWJNJSA-N N-acetylglucosamine Natural products CC(=O)N[C@@H](C=O)[C@@H](O)[C@H](O)[C@H](O)CO MBLBDJOUHNCFQT-LXGUWJNJSA-N 0.000 description 1
- DKXNBNKWCZZMJT-UHFFFAOYSA-N O4-alpha-D-Mannopyranosyl-D-mannose Natural products O=CC(O)C(O)C(C(O)CO)OC1OC(CO)C(O)C(O)C1O DKXNBNKWCZZM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YRXSINWFIIFAE-UHFFFAOYSA-N O6-alpha-D-Galactopyranosyl-D-galactose Natural products OCC1OC(OCC(O)C(O)C(O)C(O)C=O)C(O)C(O)C1O AYRXSINWFIIF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88 Pep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0698 Pepto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2907 Phosphat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LCFGWHYROZGBI-JJKGCWMISA-M Potassium gluconate Chemical compound [K+].OC[C@@H](O)[C@@H](O)[C@H](O)[C@@H](O)C([O-])=O HLCFGWHYROZGBI-JJKGCWMI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158 Protease/peptid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0122 Protein O-GlcNAc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10081801 Protein O-GlcNAc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99095 Putative beta-hexosamin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GFMICBWJRZIBI-JZRPKSSGSA-N Salic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CO)cccc1 NGFMICBWJRZIBI-JZRPKSSG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42 Tryp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1 Tryp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UHFFFAOYSA-N UNPD196149 Natural products OC1C(O)C(CO)OC1(CO)OC1C(O)C(O)C(O)C(COC2C(C(O)C(O)C(CO)O2)O)O1 MUPFEKGTMRGPL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ZSNJWFQEVHDMF-UHFFFAOYSA-N Valine Natural products CC(C)C(N)C(O)=O KZSNJWFQEVHD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2221 Weiss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ZCGUPFRVQAUEE-KCDKBNATSA-N aldehydo-D-g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GZCGUPFRVQAUEE-KCDKBNATSA-N 0.000 description 1
- GZCGUPFRVQAUEE-KVTDHHQDSA-N aldehydo-D-mann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GZCGUPFRVQAUEE-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PNNNRSAQSRJVSB-BXKVDMCESA-N aldehydo-L-rhamnose Chemical compound C[C@H](O)[C@H](O)[C@@H](O)[C@@H](O)C=O PNNNRSAQSRJVSB-BXKVDMCESA-N 0.000 description 1
- PYMYPHUHKUWMLA-WISUUJSJSA-N aldehydo-L-xyl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WISUUJSJ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6 aldehydo-L-xyl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STGXQOJASA-N alpha-D-lyx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H](O)[C@@H](O)[C@H]1O SRBFZHDQGSBBOR-STGXQOJA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840 alpha-Galactos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0291 alpha-Galactos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8144 alpha-Glucos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2086 alpha-L-Fucos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1314 alpha-L-Fucos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9199 alpha-Mannos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2864 alpha-Mannos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7597 alpha-chymotryp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NGFMICBWJRZIBI-UHFFFAOYSA-N alpha-salicin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C=CC=C1CO NGFMICBWJRZI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9837 amygda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YZLOSXFCSIDECK-UHFFFAOYSA-N amygdalin Natural products OCC1OC(OCC2OC(O)C(O)C(O)C2O)C(O)C(O)C1OC(C#N)c3ccccc3 YZLOSXFCSIDE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4 anaes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271 arbu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61 blood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5938 carbohydrate u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42 colon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QGOJNYOYNNSMM-UHFFFAOYSA-N eosin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C1=C2C=C(Br)C(=O)C(Br)=C2OC2=C(Br)C(O)=C(Br)C=C21 YQGOJNYOYNNS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18 epididy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96 esc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XHCADAYNFIFUHF-TVKJYDDYSA-N esc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C1)O)=CC2=C1OC(=O)C=C2 XHCADAYNFIFUHF-TVKJYDDYSA-N 0.000 description 1
- AWRMZKLXZLNBBK-UHFFFAOYSA-N esculin Natural products OC1OC(COc2cc3C=CC(=O)Oc3cc2O)C(O)C(O)C1O AWRMZKLXZLNB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ZGCGKFAPXFTNM-UHFFFAOYSA-N ethanol;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O DZGCGKFAPXFT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GHHWSRCTPQFFC-UHFFFAOYSA-N eucalyptosin A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OC(C#N)C=2C=CC=CC=2)OC(CO)C(O)C1O YGHHWSRCTPQF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13 ferric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GUCUJZIJSA-N galac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GUCUJZIJSA-N 0.000 description 1
- DLRVVLDZNNYCBX-CQUJWQHSSA-N gentio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O)O1 DLRVVLDZNNYCBX-CQUJWQHS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445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6919 glyc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88 hem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DAISMWEOUEBRE-GPIVLXJGSA-N inosit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O)[C@@H]1O CDAISMWEOUEBRE-GPIVLXJG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67 inos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339 in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NPFOYSMITVOQOS-UHFFFAOYSA-K iron(III) citrate Chemical compound [Fe+3].[O-]C(=O)CC(O)(CC([O-])=O)C([O-])=O NPFOYSMITVOQOS-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1 lip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30 lip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9 lys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60 malt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LRVVLDZNNYCBX-ABXHMFFYSA-N meli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O)O1 DLRVVLDZNNYCBX-ABXHMFFYSA-N 0.000 description 1
- HOVAGTYPODGVJG-ZFYZTMLRSA-N methyl alpha-D-gluc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H](CO)[C@@H](O)[C@H](O)[C@H]1O HOVAGTYPODGVJG-ZFYZTMLRSA-N 0.000 description 1
- HOVAGTYPODGVJG-VEIUFWFVSA-N methyl alpha-D-man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H](CO)[C@@H](O)[C@H](O)[C@@H]1O HOVAGTYPODGVJG-VEIUFWFVSA-N 0.000 description 1
- ZBDGHWFPLXXWRD-JGWLITMVSA-N methyl beta-D-xyl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C@@H](O)[C@H](O)[C@H]1O ZBDGHWFPLXXWRD-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HOVAGTYPODGVJG-UHFFFAOYSA-N methyl beta-galactoside Natural products COC1OC(CO)C(O)C(O)C1O HOVAGTYPODGVJ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6780 n-acetylglucos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092 no hepa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JRNKVDFDLYUGJ-UHFFFAOYSA-N p-hydroxyphenyl beta-D-all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C=C(O)C=C1 BJRNKVDFDLYU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37 peptide hydrol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19 pep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81 phylogenet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75 potass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4 potassium gluc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89 potassium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6 potassium gluc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SFHMOMWXNDPMM-YMDUGQBDSA-M potassium;(2r,3s,4s)-2,3,4,6-tetrahydroxy-5-oxohexanoate Chemical compound [K+].OCC(=O)[C@@H](O)[C@H](O)[C@@H](O)C([O-])=O GSFHMOMWXNDPMM-YMDUGQBD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ZQSKZDJDSA-N raffin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C@@H]2[C@@H]([C@@H](O)[C@@H](O)[C@@H](CO)O2)O)O1 MUPFEKGTMRGPLJ-ZQSKZDJD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ZXFHETKHSA-N rib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ZXFHETKHSA-N 0.000 description 1
- NGFMICBWJRZIBI-UJPOAAIJSA-N salic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C=C1CO NGFMICBWJRZIBI-UJPOAAIJ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0668 sali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CDAISMWEOUEBRE-UHFFFAOYSA-N scyllo-inosotol Natural products OC1C(O)C(O)C(O)C(O)C1O CDAISMWEOUEBR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07 serial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15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93 sucr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88 tryp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4 v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22—Means for packing or storing viable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에서 분리한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수탁번호: KCCM 12127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수탁번호: KCCM 12127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트레할로스(Trehalos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아가베 이눌린(Agave inulin)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동결보호제로 동결건조한 분말 제형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수탁번호: KCCM 12127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트레할로스(Trehalos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아가베 이눌린(Agave inulin)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동결보호제로 동결건조한 분말 제형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및 이의 균주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보다 상세히는 동결건조된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김치에는 일반적으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이셀라(Weissella) 속 유산균과 같이 크게 3개의 속(Genus)에 속하는 20여 종의 다양한 유산균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김치 유산균은 체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정장작용,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변비나 설사, 대장암 등 장질환을 예방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외에도 면역력 증강, 항염증, 다이어트 등 다양한 효과가 알려져 있어,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다양한 신규 유산균을 분리하여 건강식품 등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72236호 김치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HY-08을 개시하고 있고, 이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98202호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OK56,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OK10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OK169과 같은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을 개시하고 있고, 이러한 유산균들은 항비만 활성,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 혈중 중성지질 저하 활성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개시하고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이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것은 여러 문헌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90409호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90407호는 락토바실러스 플 란타룸 K10 균주,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68025호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유산균은 생존환경에 따라 그 효능에 차이가 있는 만큼 보다 우수한 유산균의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유산균 제품은 생균 또는 사균 형태로 이용될 수 있고, 주로 액상이나 분말 제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유산균의 분말 제형은 제품의 유통기간, 복용 면에서 유리하다. 유산균의 분말 제형은 일반적으로 사균은 열 건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반면, 생균은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동결건조에 있어, 동결보호제(동결 부형제)는 유산균의 생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동결보호제는 이미 다양한 성분들이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인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동결보호제의 종류, 구성, 함량은 유산균의 생존율에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유산균의 동결건조 최적화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비만 효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및 이의 균주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의 생존율 향상에 최적화된 동결건조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수탁번호: KCCM 12127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제형, 건조 제형 또는 액상 제형일 수 있다.
한편,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를 동결보호제 존재하에서 동결건조시켜 제조된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Trehalos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아가베 이눌린(Agave inulin)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 및 말토덱스트린 2종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동결보호제 중에서 트레할로스 20~80 중량%, 말토덱스트린 20~80 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20~40 중량%, 말토덱스트린 50~70 중량%일 수 있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약 30 중량%, 말토덱스트린은 60 중량%일 수 있다.
한편, 일 양태에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 말토덱스트린 및 아가베 이눌린 3종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동결보호제 중에서 트레할로스 20~60 중량%, 말토덱스트린 50~70 중량%, 아가베 이눌린 5~15 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20~40 중량%, 말토덱스트린 50~70 중량%, 아가베 이눌린 5~15 중량%일 수 있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약 30 중량%, 말토덱스트린 60 중량%, 아가베 이눌린 약 10 중량%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일 수 있으나, 상기 함량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식품첨가제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는 항비만 효능이 매우 우수하여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 제형은 유산균 생존율이 매우 우수하여 항비만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의 용혈 활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의 젤라틴 액화 반응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의 growth curv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동물모델에 따라, 4주 동안 식이로 비만 유도된 C57BL/6 마우스 사진이다. (NFD: 정상식이군, HFD:고지방식이 대조군, P10, P20, P30: 유산균 식이군(유산균 미투여)
도 7(b)는 도 7(a)의 비만 유도 후 4주 동안 유산균 경구 투여에 따른 C57BL/6 마우스 사진이다. (NFD: 정상식이군, HFD:고지방식이 대조군, P10, P20, P30: 유산균 식이군(유산균 투여)
도 8은 본 발명의 유산균 경구투여 후 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조직무게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 간, (b) 부고환지방, (c) 후복막지방, (d) 갈색지방, (e) 신장, (f) 췌장.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간 조직의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고환 지방조직의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복막 지방조직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AST와 ALT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a) 총 콜레스테롤, (b) triglyceride, (c) LDL-콜레스테롤, (d) HDL-콜레스테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관련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Western blot 결과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관련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Western blot 결과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동물실험에서, 간 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 ACC1, (b) aP2, (c) FAS, (d) C/EBPα, (e) PPARγ, (f) SREBP1
도 19는 본 발명의 동물실험에서,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관련 유전자 발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 ACC1, (b) aP2, (c) FAS, (d) C/EBPα, (e) PPARγ, (f) SREBP1
도 20은 본 발명의 동물실험에서,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 ACC1, (b) aP2, (c) FAS, (d) C/EBPα, (e) PPARγ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Cytokine(TNF-α, IL-1β, IL-6)의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의 용혈 활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의 젤라틴 액화 반응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의 growth curv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동물모델에 따라, 4주 동안 식이로 비만 유도된 C57BL/6 마우스 사진이다. (NFD: 정상식이군, HFD:고지방식이 대조군, P10, P20, P30: 유산균 식이군(유산균 미투여)
도 7(b)는 도 7(a)의 비만 유도 후 4주 동안 유산균 경구 투여에 따른 C57BL/6 마우스 사진이다. (NFD: 정상식이군, HFD:고지방식이 대조군, P10, P20, P30: 유산균 식이군(유산균 투여)
도 8은 본 발명의 유산균 경구투여 후 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조직무게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 간, (b) 부고환지방, (c) 후복막지방, (d) 갈색지방, (e) 신장, (f) 췌장.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간 조직의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고환 지방조직의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복막 지방조직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AST와 ALT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a) 총 콜레스테롤, (b) triglyceride, (c) LDL-콜레스테롤, (d) HDL-콜레스테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관련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Western blot 결과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관련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Western blot 결과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동물실험에서, 간 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 ACC1, (b) aP2, (c) FAS, (d) C/EBPα, (e) PPARγ, (f) SREBP1
도 19는 본 발명의 동물실험에서,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관련 유전자 발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 ACC1, (b) aP2, (c) FAS, (d) C/EBPα, (e) PPARγ, (f) SREBP1
도 20은 본 발명의 동물실험에서,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 ACC1, (b) aP2, (c) FAS, (d) C/EBPα, (e) PPARγ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Cytokine(TNF-α, IL-1β, IL-6)의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유산균”은 균주의 종류가 언급되지 않는 한,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항비만”은 비만의 억제, 예방 또는 치료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함량 설명에서 용어 “약”은 언급되는 함량 수치의 20% 범위 내에서 가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0 중량%”는 20±4중량%의 의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유산균 및 이의 제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 전통방식으로 담근 다양한 종류의 김치들로부터 유산균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중 항비만 효능이 가장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였다.
본 발명은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수탁번호: KCCM 12127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제형, 건조 제형 또는 액상 제형일 수 있다.
한편,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를 동결보호제 존재하에서 동결건조시켜 제조된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Trehalos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아가베 이눌린(Agave inulin)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 및 말토덱스트린 2종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동결보호제 중에서 트레할로스 20~80 중량%, 말토덱스트린 20~80 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20~40 중량%, 말토덱스트린 50~70 중량%일 수 있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약 30 중량%, 말토덱스트린은 60 중량%일 수 있다.
한편, 일 양태에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 말토덱스트린 및 아가베 이눌린 3종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동결보호제 중에서 트레할로스 20~60 중량%, 말토덱스트린 50~70 중량%, 아가베 이눌린 5~15 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20~40 중량%, 말토덱스트린 50~70 중량%, 아가베 이눌린 5~15 중량%일 수 있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약 30 중량%, 말토덱스트린 60 중량%, 아가베 이눌린 약 10 중량%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일 수 있으나, 상기 함량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식품첨가제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최적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1)
김치유래
유산균의 분리
한국 전통 김치에서 유산균의 분리를 위하여 원재료 및 제조방법이 다른 갓김치, 고들빼기김치, 배추김치, 부추김치, 열무김치 및 파김치 등 총 6종류의 한국 토종 김치를 사용하였다.
김치에서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 MRS 평판배지에 균질화된 김치 시료를 단계 희석 후 접종하여 35℃에서 24~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colony의 형태, 색 및 크기에 따라 순수 분리 및 계대배양 하여, 내산성이 강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의 현미경 사진이다.
(2)
김치유래
유산균의 동정(염기서열 분석, 계통도 분석)
상기 선발된 균주의 염기서열 분석은 16S rRNA의 27F (5’’1492R (5’’primer를 사용하였다. 증폭된 PCR products는 ㈜제노텍에 의뢰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는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이다.
상기 선발된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자료를 NCBI(http://www.ncbi.nlm.nih.gov/)의 BLAST search 하여 ‘’가 높은 순으로 배열 후 상위 15개 종에 대한 계통도를 Neighbor joining 법으로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신규 Lactobacillus plantarum 아종으로 판명되어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로 명명하였고, 상기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7년 10월 16일자로 수탁되었다(수탁번호: KCCM12127P).
(3)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
plantarum
Ceb
-
kc
-007의 생화학적 특성(API kit 분석)
분리 동정한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산균은 API 50CHL kit를 사용하였으며, 배양 중 발현되는 효소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API ZYM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방법 및 결과 분석은 API kit protocol 및 결과 기준표에 따라 실시하였다.
① API 50 CHL kit
API 50 CHL kit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의 생화학적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ube | Active ingredient | Result | Tube | Active ingredient | Result |
1 | Glycerol | - | 26 | Salicin | +++ |
2 | Etrythritol | - | 27 | D-celiobiose | +++ |
3 | D-arabinose | - | 28 | D-maltose | +++ |
4 | L-arabinose | + | 29 | D-lactose | +++ |
5 | D-ribose | + | 30 | D-melibiose | +++ |
6 | D-xylose | - | 31 | D-saccharose(sucrose) | +++ |
7 | L-xylose | - | 32 | D- trehalose | +++ |
8 | D-adonitol | - | 33 | Inulin | - |
9 | Methyl-β-D-xylopyranoside | - | 34 | D- melezitose | +++ |
10 | D- galactose | +++ | 35 | D-raffinose | - |
11 | D-glucose | +++ | 36 | Amidon(starch) | - |
12 | D-fructose | +++ | 37 | Glycogen | - |
13 | D- mannose | +++ | 38 | Xylitol | - |
14 | L-sorbose | - | 39 | Gentiobiose | ++ |
15 | L-rhamnose | - | 40 | D-uranose | - |
16 | Dulcitol | - | 41 | D-lyxose | - |
17 | Inositol | - | 42 | D-tagatose | - |
18 | D- manitol | +++ | 43 | D-fucose | - |
19 | D- sorbitol | +++ | 44 | L-fucose | - |
20 | Methyl-α-D-mannopyranoside | - | 45 | D-arabitol | - |
21 | Methyl-α-D-glucopyranoside | - | 46 | L-arabitol | - |
22 | N- acetylglucosamine | +++ | 47 | Potassium gluconate | + |
23 | Amygdalin | +++ | 48 | Potassium 2-ketogluconate | - |
24 | Arbutin | +++ | 49 | Potassium 5-ketogluconate | - |
25 | Esculin ferric citrate | - |
② API ZYM kit
API ZYM kit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가 발현하는 효소에 대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No. | Enzyme Assayed For | Result | No. | Enzyme Assayed For | Result |
1 | Control | - | 11 | Acid phospatase | ++ |
2 | Alkaline phosphatase | + | 12 | Naphtol-AS-BI-phosphohydrolase | ++ |
3 | Esterase (C4) | + | 13 | α-galactosidase | - |
4 | Esterase Lipase (C8) | ++ | 14 | β-glucuronidase | - |
5 | Lipase(C14) | - | 15 | β-glucosidase | - |
6 | Leucine arylamidase | +++ | 16 | α-glucosidase | ++ |
7 | Valine arylamidase | ++ | 17 | β-glucosidase | +++ |
8 | Crystine arylamidase | + | 18 | N-acetyl-β-glucosaminidase | +++ |
9 | Trypsin | - | 19 | α-mannosidase | - |
10 | α-chymotrypsin | - | 20 | α-fucosidase | - |
표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총 20종의 효소 중 13종이 확인되었고, 유해 효소의 발현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주로 당 이용에 관련된 효소의 활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
plantarum
Ceb
-
kc
-007 균주의
내산성
, 안전성 및 최적 배양조건
(1)
내산성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의 내산성 시험을 위해 MRS broth를 pH 7 및 pH 2로 각각 제조하여 9mL test tube에 분주하였다. 유산균은 37℃/18h 배양하여 원심분리 후 phosphate buffer로 2회 세척하고 최종적으로 cell 농도를 OD600 1.0으로 조정하였다. 유산균 1mL를 pH 2.0 및 7.0 tube에 각각 접종 및 Vortex로 균질화하였다. 37℃/3h 배양 후 1mL를 분취하여 단계 희석 후 MRS agar plate에 접종 및 배양하여 생균수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pH 7 | pH 2 | |
CFU/mL | 3.8×107 | 1.7×105 |
log CFU/mL | 7.6 | 5.2 |
유산균의 내산성 시험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은 pH 2에서도 1.7×105 CFU/mL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매우 강한 내산성을 나타냈으며, pH 7 대비 pH 2의 생존율은 약 0.45%로 확인되었다.
(2) 용혈활성
용혈 활성은 sheep blood agar plate에 유산균을 접종 및 37℃/48h 배양 후 콜로니 주변에 용혈현상으로 인해 생성된 환의 형태 관찰하여 용혈 활성을 확인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적혈구를 용해하는 용혈 활성을 시험한 결과 용혈 활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젤라틴 액화반응
젤라틴 액화반응은 MRS broth에 beef extract(0.3%), peptone(0.5%), gelatin(12%)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유산균을 MRS 배지에서 37℃/24h 배양 후 젤라틴이 첨가된 배지에 접종하였다. 유산균이 접종된 배지는 37℃의 온도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성장을 확인하였고, 총 7일간 관찰하였다. 7일 후 4℃ 냉장 상태에서 사면으로 방치 및 응고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의 젤라틴 액화 반응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유해 효소 중의 하나인 gelatinase의 분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젤라틴 액화 반응을 시험한 결과 액화 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은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최적 배양조건
김치에서 분리 및 선발된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의 최적배양 조건에서 배지는 Lactobacillus 속의 영양요구성이 잘 갖춰진 MRS를 사용하였다. 온도는 35℃±2℃로 설정하였으며, 호기 및 혐기 조건에서의 생장능을 생균수로 확인하였다. MRS broth에 실리스토퍼로 마개하여 호기적 배양조건으로 설정하였고, 멸균 유동파라핀을 MRS broth 상층으로부터 2cm 이상 채워 혐기 배양조건으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조건에서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최적 배양조건을 확인하였다.
호기 | 혐기 | |
CFU/mL | 2.8×109 | 3.6×10 9 |
pH | 4.25 | 4.22 |
MRS 배지를 사용하여 호기 및 혐기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호기 조건보다 혐기 조건에서 보다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Growth curve
최적 배양조건으로 확인된 MRS 배지 및 혐기 조건에서 35℃의 온도로 총 26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2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생균수 및 pH를 측정하여 유산균의 growth curve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접종 후 0~12시간의 유도기를 거쳐, 12~23시간까지 대수기를 유지하였으며, 23~24시간 후 정지기 및 25시간 이후 사멸하는 곡선을 나타냈다. pH 변화는 접종 직후 pH6.8에서 대수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대수기부터 사멸기 이후에는 pH4.3 수준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2: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
plantarum
Ceb
-
kc
-007의 분말
제형화
(동결건조)
(1) 동결보호제의 종류에 따른 고온에서의 생존율 시험 (40℃, 습도
70RH%
)
본 발명에서 분리동정된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를 배양 후 원심분리하고, 수세한 다음 다시 원심분리하여 cell harvest를 수행하였다. 유산균 분말 제형화를 위해 동결보호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처리 후 생균수 및 저장 기간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동결보호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동결보호제로는 trehalose, maltodextrin, Agave inulin 및 skim milk를 사용하였다. Cell harvest된 균주에 각각의 동결보호제 처리 후 동결건조를 실시하였으며, 마쇄 후 냉동보관하였다. 이후 비교적 높은 온도인 40℃, 습도 70RH%의 가혹한 조건에서 0일, 3일, 7일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유기농 원료 | 0일 | 3일 | 7일 | |
Skim milk(20%) | CFU/mL | 2×1011 | 4.8×106 | 0 |
생존율(%) | 100 | 33.5 | 0 | |
Saline buffer(0.85%) | CFU/mL | 2×1011 | 0 | 0 |
생존율(%) | 100 | 0 | 0 | |
Trehalose(20%) | CFU/mL | 2.0×1011 | 6.7×10 10 | 2×10 10 |
생존율(%) | 100 | 33.5 | 10 | |
Maltodextrin(20%) | CFU/mL | 2×1011 | 5×1010 | 8.7×109 |
생존율(%) | 100 | 25 | 4.4 | |
Agave inulin(20%) | CFU/mL | 2×1011 | 3.7×1010 | 5×109 |
생존율(%) | 100 | 18.5 | 2.5 |
표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동결보호제 처리 실험 결과 trehalose > maltodextrin > Agave inulin 순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skim milk는 7일 차에 생균수가 확인되지 않아 보존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할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 실험에서는 제외하였다.
(2) 복합 동결보호제 처리 후 실온에서의 생존율 시험 (20~25℃, 55~
60RH%
)
유산균에 trehalose, maltodextrin, Agave inulin 총 3가지 동결보호제의 비율을 달리하여 복합처리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결건조한 다음, 20~25℃의 실온 및 55~60RH% 습도에서 0일, 3일, 7일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생균수 및 저장 기간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복합 동결보호제의 비율은 하기 표 7과 같으며, 0.85% saline buffer는 동결보호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유기농 원료 | 0일 | 3일 | 7일 | |
Trehalose(1%) | CFU/mL | 2.0×1011 | 9.0×1010 | 9.6×109 |
생존율(%) | 100 | 45 | 4.8 | |
복합(1%) Trehalose:Maltodextrin: Agave inulin=60:30:10 |
CFU/mL | 2.0×1011 | 9.2×1010 | 1.5×1010 |
생존율(%) | 100 | 46 | 7.5 | |
복합(1%) Trehalose:Maltodextrin: Agave inulin=50:40:10 |
CFU/mL | 2.0×1011 | 1.1×1011 | 5.5×1010 |
생존율(%) | 100 | 55 | 27.5 | |
복합(1%) Trehalose:Maltodextrin: Agave inulin=40:50:10 |
CFU/mL | 2.0×1011 | 1.2×1011 | 6.0×1010 |
생존율(%) | 100 | 60 | 30 | |
복합(1%) Trehalose:Maltodextrin: Agave inulin=30:60:10 |
CFU/mL | 2.0×1011 | 1.2×1011 | 9.8×10 10 |
생존율(%) | 100 | 60 | 49 | |
Saline buffer(0.85%) | CFU/mL | 2.0×1011 | 4.0×106 | 2.0×103 |
생존율(%) | 100 | 0.02 | 0 |
상기 표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복합 동결보호제는 Trehalose 대비 Maltodextrin이 증가할수록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rehalose : Maltodextrin : Agave inulin = 30 : 60 : 10 비율의 동결보호제로 제형화했을 때 실온에서의 안정성이 총 7일 동안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유산균의 동결보호제의 농도에 따른 실온 생존율 시험 (20~25℃, 55~
60RH%
)
복합 동결보호제의 비율을 Trehalose : Maltodextrin : Agave inulin = 30 : 60 : 10으로 고정하고 사용 농도를 0.2%, 0.5% 및 1.0%로 달리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하고, 20~25℃의 실온 및 55~60RH%의 습도에서 7일간 생존율 시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유기농 원료 | 0일 | 3일 | 7일 | |
복합(1%) Trehalose:Maltodextrin: Agave inulin=30:60:10 |
CFU/mL | 2.0×1011 | 1.2×1011 | 9.8×1010 |
생존율(%) | 100 | 60 | 49 | |
복합(0.5%) Trehalose:Maltodextrin: Agave inulin=30:60:10 |
CFU/mL | 2.0×1011 | 2.0×10 11 | 1.9×10 11 |
생존율(%) | 100 | 100 | 95 | |
복합(0.2%) Trehalose:Maltodextrin: Agave inulin=30:60:10 |
CFU/mL | 2.0×1011 | 1.0×1011 | 5.0×1010 |
생존율(%) | 100 | 50 | 25.0 |
상기 표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복합 동결보호제의 농도를 0.5% 사용 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최적 동결보호제 비율 및 사용 농도로 설정하였다.
(4) 복합 동결보호제의 온도에 따른 저장 안정성(n=5)
유산균에 Trehalose : Maltodextrin : Agave inulin = 30 : 60 : 10 비율의 복합 동결 보존제 0.5%를 처리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결건조 후 저온(4℃), 실온(20~25℃) 및 고온(40℃)에서 0일, 3일, 7일 후 생균수를 분석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0일 | 3일 | 7일 | |||
4℃, 50RH% | CFU/mL | 2.0×1011 | 2.0×1011 | 2.0×1011 | |
생존율(%) | 100 | 100 | 100 | ||
20~25℃, 55~60RH% | CFU/mL | 2.0×1011 | 2.0×1011 | 1.9×1011 | |
생존율(%) | 100 | 100 | 95 |
실험 결과 저온 및 실온에서는 저장 7일까지 1000억 이상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매우 높은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5) 최적 제형의 제조 및 저장
유산균을 37℃에서 배양 후 대수기에서 정지기로 이동되기 전인 약 18시간 전후로 cell harvest 하여 가장 활력이 있는 단계의 cell을 확보하였다. 배양 중간에 적정 pH 유지를 위해 5N NaOH로 조절하였으며, 배양 중 소모되는 당을 보충하기 위하여 5%의 포도당을 첨가하였다. 유산균 cell harvest 후 동결건조를 위해 Trehalose : Maltodextrin : Agave inulin = 30 : 60 : 10 비율의 복합 동결보호제 0.5%를 처리하였고, 4일 동안 동결건조하였으며 마쇄 후 -20℃에 냉동보관 하였다.
동결건조 제형 유산균의 제조 후 생균수를 분석한 결과 하기 표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람 당 약 3,900억으로 확인되었다. 원말 규격에 대해 3,000억 CFU/g으로 표준화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 검사항목 | 시험 검사 결과 | |||
1 | 2 | 3 | 평균 | |
생균수(CFU/g) | 3.8×1011 | 4.0×1011 | 3.9×1011 | 3.9×1011 |
실험예
2: 유산균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
식이섭취량
및 조직무게 변화 측정
김치에서 유래한 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을 MRS로 배지로 37℃의 온도에서 12시간 배양 후 cell harvest 및 동결보호제를 처리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유산균의 사용 농도는 1.0×109, 3.0×109, 5.0×109 CFU/mouse로 선정하였다.
(1) 마우스의 비만 유도 실험
실험에 사용한 동물은 4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주)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였으며, 1주일 적응 기간을 가진 후 몸무게를 측정하여 그룹화하였다. 정상 사료와 고지방 사료는 (주)두열바이오텍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 그룹은 정상식이군(NFD), 고지방식이 대조군(HFD) 및 본 발명의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동결건조 식이군(유산균 식이군)으로 구성된 3개 군으로 설정하였다.
정상식이군에는 정상 사료(10% kcal/diet)를 4주 동안 공급하였고, 고지방식이 대조군과 유산균 식이군은 고지방 사료(45% kcal/diet)를 4주 동안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시켰다(표 11).
실험군 | NFD | HFD | 유산균 (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 plantarum Ceb-kc-007) | ||
P10 | P30 | P50 | |||
식이 (kcal/diet) |
정상 사료 (10%) |
고지방사료 (45%) |
고지방사료 (45%) |
고지방사료 (45%) |
고지방사료 (45%) |
실험 기간 4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C57BL/6 마우스에서 비만이 유도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호흡 마취제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7(a)는 본 발명의 동물모델에 따라, 4주 동안 식이로 비만 유도된 C57BL/6 마우스 사진이다. (NFD: 정상식이군, HFD:고지방식이 대조군, P10, P20, P30: 유산균 식이군(유산균 미투여).
마우스 관찰 결과, 정상식이군(NFD)보다 고지방식이 (HFD)를 섭취한 실험군에서 대체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비만 유도 후 유산균 식이 실험
4주간의 비만 유도 후, 정상식이군은 normal diet와 함께 100uL DPBS을 같이 경구투여하였고, 고지방식이 대조군에는 45% kcal/diet를 제공하면서 100uL DPBS을 같이 경구투여하였다. 유산균 이용 소재 식이군에게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면서 100uL의 DPBS에 용해된 P10, P30, P50을 4주간 경구 투여하였다(표 12).
각 실험에 쓰이는 실험동물은 물과 실험식이(정상, 고지방 식이)를 자유로이 먹이면서 주 2회 동일한 시간대에 식이섭취량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식이효율 (Food efficiency ratio, FER)은 실험 기간에 성장한 체중 증가량을 같은 기간 동안 섭취한 식이의 양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실험군 | NFD | HFD | 유산균 (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 plantarum Ceb-kc-007) | ||
P10 | P30 | P50 | |||
경구투여량 (100 uL/mouse) |
DPBS | DPBS | DPBS + 유산균 | ||
1.0×109 (CFU/mouse) |
3.0×109 (CFU/mouse) |
5.0×109 (CFU/mouse) |
|||
식이 (kcal/diet) |
정상 사료 (10%) |
고지방 사료 (45%) |
고지방 사료 (45%) |
고지방 사료 (45%) |
고지방 사료 (45%) |
도 7(b)는 도 7(a)의 비만 유도 후 4주 동안 유산균 경구 투여에 따른 C57BL/6 마우스 사진이다. (NFD: 정상식이군, HFD:고지방식이 대조군, P10, P20, P30: 유산균 식이군(유산균 투여)
(3) 유산균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 변화 측정
4주 동안 정상식이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C57BL/6 마우스에 유산균을 4주 동안 농도별로 경구투여를 진행하였다. 경구투여는 주 5일 같은 시간대에 투여하였으며 고지방식이 시작 후 29일부터 경구투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부검 전(54일)에 마우스의 체중 비교 시 고지방식이만 섭취한 마우스와 유산균(P10~P50)이 함께 투여된 마우스의 체중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산균 투여량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은 확인할 수 있었다(표 13 및 도 28).
Days | Sample | ||||
NFD | HFD | P10 | P30 | P50 | |
1 | 20.78±0.68 | 21.27±1.00 | 21.28±0.51 | 21.10±0.68 | 21.04±0.91 |
15 | 23.75±0.92 | 26.29±1.23 | 27.59±1.31 | 26.78±1.31 | 26.11±0.97 |
22 | 24.48±1.12 | 29.36±0.80 | 29.51±1.37 | 29.01±2.01 | 28.13±0.74 |
29 | 25.80±1.91 | 31.10±1.64 | 31.57±0.60 | 31.19±2.03 | 31.15±0.88 |
33 | 26.83±1.26 | 33.27±1.32 | 32.98±1.34 | 32.07±2.32 | 30.95±1.20 |
36 | 27.53±1.29 | 32.78±1.49 | 33.56±1.44 | 32.85±2.32 | 31.49±1.14 |
40 | 27.81±1.21 | 33.41±1.52 | 33.64±1.16 | 33.6±2.66 | 32.45±1.31 |
43 | 27.82±0.68 | 33.52±0.54 | 33.75±0.56 | 33.47±2.45 | 32.31±1.34 |
47 | 27.96±1.15 | 33.78±0.89 | 33.89±0.13 | 32.87±1.30 | 32.64±0.54 |
50 | 28.16±1.43 | 34.00±0.27 | 34.19±0.32 | 32.62±1.39 | 32.58±0.57 |
54 | 28.50±1.26 | 34.21±1.23 | 34.46±0.38 | 33.27±1.30 | 32.93±0.18 |
(4) 유산균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측정
비만 유도 기간 마지막 날인 29일에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한 후 유산균을 경구투여하면서 식이섭취량을 주 2회 측정하였고(표 14), 체중 변화와 식이섭취량을 이용하여 식이효율(FER, %)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유산균(P10~P50)을 섭취한 식이군에서 식이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5).
Days | Sample | ||||
NFD | HFD | P10 | P30 | P50 | |
29 | 7.73 | 6.88 | 7.79 | 7.50 | 7.51 |
33 | 17.45 | 14.67 | 19.26 | 16.76 | 15.36 |
36 | 24.93 | 21.25 | 25.71 | 23.63 | 22.45 |
40 | 33.21 | 28.78 | 34.01 | 31.82 | 30.76 |
43 | 39.77 | 35.11 | 41.15 | 38.29 | 37.60 |
47 | 47.94 | 42.37 | 49.28 | 46.10 | 46.55 |
50 | 46.45 | 40.95 | 47.62 | 44.37 | 45.13 |
54 | 45.30 | 40.90 | 44.05 | 43.13 | 45.72 |
Days | Groups | ||||
NFD | HFD | P10 | P30 | P50 | |
29 | 17.0 | 25.3 | 26.5 | 29.1 | 40.2 |
33 | 13.4 | 26.1 | 18.0 | 18.3 | 18.4 |
36 | 12.2 | 16.1 | 15.8 | 16.2 | 15.0 |
40 | 10.0 | 14.1 | 12.2 | 14.4 | 14.1 |
43 | 8.4 | 11.8 | 10.3 | 11.6 | 11.1 |
47 | 7.2 | 10.4 | 8.9 | 8.4 | 9.7 |
50 | 7.9 | 11.3 | 9.8 | 8.1 | 9.9 |
54 | 8.9 | 11.9 | 11.2 | 9.9 | 10.5 |
(5) 유산균 투여에 따른 마우스 조직들의 무게 변화
유산균을 4주간 농도별로 경구 투여한 뒤 부검을 진행하여 간, 부고환지방, 후복막지방, 갈색지방, 신장, 췌장을 채취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간과 췌장은 중간농도와 고농도(3.0×109, 5.0×109 CFU/mouse)에서 HFD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고환지방과 갈색지방은 고농도(3.0×109, 5.0×109 CFU/mouse)에서 HFD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후복막지방과 신장은 모든 유산균 투여군(P10~P50)에서 HFD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농도 의존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간 및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H&E staining)
실험이 종료된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킨 뒤 isoflurane 흡입마취제로 희생시킨 후 간과 부고환 주위 지방조직을 채취하여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10% formalin solution으로 세포를 고정하여 조직학적 분석 시까지 보관하였다. 포르말린 용액에 의하여 고정된 간 조직은 농도별 에탄올 용액 (70, 80, 90, 95, 100%)에 순차적으로 담가 탈수시킨다. 조직에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하기 위해 xylene용액에 담근 다음, 꺼내어 굳힌다. 조직을 5 um으로 자른 뒤 슬라이드로 옮겼다. hematoxylin solution을 10분간 침지한 후, 증류수로 5분간 세척 하였다. 1% HCl-EtOH에 5번 담갔다가 증류수로 3분간 세척 하였다. 그 다음, Eosin solution을 2분 동안 침지한 뒤 염색된 조직을 농도별 에탄올 용액에 순차적으로 담가 탈수시켰다. Xylene에 침지시킨 뒤 슬라이드 위에 고정시켜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간 조직, 부고환 지방조직 및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체지방 감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H&E staining을 진행하여 조직 내 지방축적, 지방세포의 크기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었다.
(1) 간 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H&E stainin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간 조직의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간 조직에서 정상식이군(NFD)과 고지방식이군(HFD)을 비교했을 때 고지방식이군에서 지방구의 크기가 증가하여 비만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유산균(P10~P50)을 농도별로 경구 투여 진행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방구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부고환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H&E stainin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고환 지방조직의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유산균(P10~P50)을 농도별로 경구 투여하여 부고환 지방조직의 지방구를 관찰한 결과, 농도변화에 따른 지방구의 크기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P50에서는 지방구가 HFD 대비 약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
후복막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H&E staining)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복막 지방조직 염색(H&E staining) 결과이다.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복막 지방조직의 지방구를 관찰한 결과, 유산균(P10~P50)의 투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지방구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혈청 분석 및 혈당 조절 여부 확인
실험이 종료된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킨 뒤 isoflurane 흡입마취제로 희생시켜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4℃, 3,000rpm/15min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석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원심 분리한 혈청으로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lucose, total cholesterol (T-CHO),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및 triglyceride (TG)을 분석하였다. 또한,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조절 여부를 확인하여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간 독성 (AST와 ALT)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간 독성(ALT, AST) 확인 결과, 본 발명의 유산균에서는 간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a) 총 콜레스테롤, (b) triglyceride, (c) LDL-콜레스테롤, (d) HDL-콜레스테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control인 HFD군 대비해서 유산균 P30과 P50을 투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riglyceride의 경우에는 P50에서 HFD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은 P10~P50을 투여하였을 때 모두 HFD군 대비해서 유의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5는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혈당 (Glucose)의 경우 P50에서만 HFD군 대비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분석
효모 발효 서목태 이용 소재에 의한 지방분해 관련 단백질 변화량을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해서 확인하였다. 관찰하고자 하는 단백질은 PPARγ, C/EBPα, SREBP-1c이다. 지방조직을 lysis buffer+protease inhibitor cocktail+phosphatase inhibitor cocktail 혼합액으로 용해시킨 후 단백질 정량을 진행하였다. 정량한 단백질을 SDS-PAGE에 전기영동을 진행하였다. 단백질 분리 후 0.2 uM PVDF membrane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transfer하였다. 그 후, membrane을 5% BSA(Bovine serum albumin)으로 1시간 blocking 하였다. Blocking 과정 후 1차 항체 반응을 1:1000으로 overnight 처리한 후 TBST로 washing하였다. 다음으로 2차 항체 반응을 1:2000으로 2시간 처리하고 TBST로 세척 하였다. ECL solution을 이용해 X-ray film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관련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Western blot 결과이다. 도 1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C/EBPα, PPARγ, SREBP-1에서 유산균을 처리한 실험군이 농도 의존적으로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유산균 투여에 따른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관련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Western blot 결과이다. 도 1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C/EBPα, PPARγ, SREBP-1에서 유산균을 처리한 실험군이 농도 의존적으로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6: 비만 관련 유전자 측정
지방조직에서 TRIzol reagent 용액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total RNA를 정량한 후 oligo dT primer와 reverse를 이용하여 1 ug의 RNA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이 cDNA를 template로 사용하여 각각의 primer와 SYBR premix를 첨가하고, Real time PCR 기기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후 정량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Real time PCR로 증폭된 산물은 comparative cycle threhold(Ct)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PCR에 사용한 각 유전자의 primer는 표 16과 같다.
Primer | Sequence (5′→ 3′) | |
PPARγ | Forward | CAAAACACCAGTGTGAATTA |
Reverse | ACCATGGTAATTTCTTGTGA | |
FAS | Forward | AGGGGTCGACCTGGTCCTCA |
Reverse | GCCATGCCCAGAGGGTGGTT | |
SREBP-1c | Forward | CACTTCTGGAGACATCGCAAAC |
Reverse | ATGGTAGACAACAGCCGCATC | |
aP2 | Forward | GGATTTGGTCACCATCCGGT |
Reverse | TTCACCTTCCTGTCGTCTGC | |
C/EBPα | Forward | TGGACAAGAACAGCAACGAGTAC |
Reverse | TGGACAAGAACAGCAACGAGTAC | |
ACC1 | Forward | GGAGATGTACGCTGACCGAGAA |
Reverse | ACCCGACGCATGGTTTTCA | |
GAPDH | Forward | AGGTTGTCTCCTGCGACT |
Reverse | TGCTGTAGCCGTATTCATTCTCA |
(1) 간 조직에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유전자 측정
간 조직에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유전자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조직을 분쇄한 뒤 real-time PCR을 진행하여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간 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인 aP2, FAS, C/EBPα, PPARγ, 그리고 SREBP-1c가 P50에서만 유의적으로 HFD 대비 감소하였고, ACC1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유전자 측정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유전자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조직을 분쇄한 뒤 real-time PCR을 진행하여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19에 나타내었다. 도 19에 보이는 바와 같이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유산균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FAS는 HFD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aP2와 C/EBPα 유전자는 고농도의 유산균인 P50에서만 유의적으로 HFD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CC1, PPARγ, 그리고 SREBP-1c는 HFD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유전자 측정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의 유전자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조직을 분쇄한 뒤 real-time PCR을 진행하여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도 20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복막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유산균을 투여한 실험군은 모든 농도(1.0×109 ~ 5.0×109 CFU/mouse)에서 3개 유전자(ACC1, FAS, 그리고 C/EBPα) 모두 HFD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효과는 농도 의존적이었다. aP2와 PPARγ는 고농도의 유산균인 P50에서만 HFD 대비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났다.
실험예
7: 혈액 내 염증성
cytokine
변화 분석
마우스의 혈액에서 정상군(NFD), 고지방식이 대조군(HFD), 효모+서목태 이용 소재 식이군(P10, P20, P30)의 염증성 cytokine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실험동물을 12시간 절식시킨 뒤 isoflurane 흡입마취제로 희생시켜 복대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지방조직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액에서 cytokine 분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ELISA kit를 이용하여 TNF-α, IL-1β, IL-6의 활성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21에 나타내었다. 도 21에 보이는 바와 같이 TNF-α는 P30과 P50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IL-1β와 IL-6의 경우에는 HFD와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110> COENBIO CO., LTD.
<120>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and
compositions having anti-obesity activity comprising the same
<130> SDP-220109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19
<212> R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400> 1
tgattggtgc ttgcatcatg atttacattt gagtgagtgg cgaactggtg agtaacacgt 60
gggaaacctg cccagaagcg ggggataaca ctggaaacag atgctaatac cgcataacaa 120
cttggaccgc atggtccgag cttgaaagat ggcttcggct atcacttttg gatggtcccg 180
cggcgtatta gctagatggt ggggtaacgg ctcaccatgg caatgatacg tagccgacct 240
gagagggtaa tcggccacat tgggactgag acacggccca aactcctacg ggaggcagca 300
gtagggaatc ttccacaatg gacgaaagtc tgatggagca acgccgcgtg agtgaagaag 360
ggtttcggct cgtaaaactc tgttgttaaa gaagaacata tctgagagta actgttcagg 420
tattgacggt atttaaccag aaagccacgg ctaactacgt gccagcagcc gcggtaatac 480
gtaggtggca agcgttgtcc ggatttattg ggcgtaaagc gagcgcaggc ggttttttaa 540
gtctgatgtg aaagccttcg gctcaaccga agaagtgcat cggaaactgg gaaacttgag 600
tgcagaagag gacagtggaa ctccatgtgt agcggtgaaa tgcgtagata tatggaagaa 660
caccagtggc gaaggcggct gtctggtctg taactgacgc tgaggctcga aagtatgggt 720
agcaaacagg attagatacc ctggtagtcc ataccgtaaa cgatgaatgc taagtgttgg 780
agggtttccg cccttcagtg ctgcagctaa cgcattaagc attccgcctg gggagtacgg 840
ccgcaaggct gaaactcaaa ggaattgacg ggggcccgca caagcggtgg agcatgtggt 900
ttaattcgaa gctacgcgaa gaaccttacc aggtcttgac atactatgca aatctaagag 960
attagacgtt cccttcgggg acatggatac aggtggtgca tggttgtcgt cagctcgtgt 1020
cgtgagatgt tgggttaagt cccgcaacga gcgcaaccct tattatcagt tgccagcatt 1080
aagttgggca ctctggtgag actgccggtg acaaaccgga ggaaggtggg gatgacgtca 1140
aatcatcatg ccccttatga cctgggctac acacgtgcta caatggatgg tacaacgagt 1200
tgcgaactcg cgagagtaag ctaatctctt aaagccattc tcagttcgga ttgtaggctg 1260
caactcgcct acatgaagtc ggaatcgcta gtaatcgcgg atcagcatgc cgcggtgaat 1320
acgttcccgg gccttgtaca caccgcccgt cacaccatga gagtttgtaa cacccagaag 1380
tcggtggggt aacctattag gaaccagccg ccttaatgt 1419
Claims (10)
-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Ceb-kc-007 균주(수탁번호: KCCM 12127P).
-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제형, 건조 제형 또는 액상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보호제를 포함하여 동결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Trehalos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아가베 이눌린(Agave inulin)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 및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할로스는 전체 동결보호제 중에서 20~80 중량%,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20~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트레할로스, 말토덱스트린 및 아가베 이눌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할로스는 전체 동결보호제 중에서 20~60 중량%,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50~70 중량%, 상기 아가베 이눌린은 5~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7775A KR20220009852A (ko) | 2020-07-16 | 2021-03-02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861A KR102274678B1 (ko) | 2020-07-16 | 2020-07-16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KR1020210027775A KR20220009852A (ko) | 2020-07-16 | 2021-03-02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861A Division KR102274678B1 (ko) | 2020-07-16 | 2020-07-16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9852A true KR20220009852A (ko) | 2022-01-25 |
Family
ID=768591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861A KR102274678B1 (ko) | 2020-07-16 | 2020-07-16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KR1020210027775A KR20220009852A (ko) | 2020-07-16 | 2021-03-02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861A KR102274678B1 (ko) | 2020-07-16 | 2020-07-16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7467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6366B1 (ko) * | 2022-08-16 | 2023-03-09 | (주)지에이치바이오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8202A (ko) | 2014-02-17 | 2015-08-2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
KR101972236B1 (ko) | 2017-11-02 | 2019-04-24 |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 김치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
KR20190068025A (ko) | 2017-12-08 | 2019-06-18 |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KR20190090409A (ko) | 2017-12-26 | 2019-08-02 |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이의 용도 |
KR20190090407A (ko) | 2017-12-26 | 2019-08-02 |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10 균주 및 이의 용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67056A1 (en) * | 2009-05-01 | 2016-09-14 | UAS Laboratories LLC | Bacterial compositions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degenerative disease |
KR101611834B1 (ko) * | 2015-06-08 | 2016-04-14 |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 cbt lp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US11602552B2 (en) * | 2018-02-02 | 2023-03-14 | Kobiolabs, Inc. | Lactobacillus plantarum KBL396 strain and use thereof |
KR20190051772A (ko) * | 2018-07-30 | 2019-05-15 | 한국식품연구원 |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
2020
- 2020-07-16 KR KR1020200087861A patent/KR1022746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3-02 KR KR1020210027775A patent/KR2022000985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8202A (ko) | 2014-02-17 | 2015-08-2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
KR101972236B1 (ko) | 2017-11-02 | 2019-04-24 |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 김치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
KR20190068025A (ko) | 2017-12-08 | 2019-06-18 |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KR20190090409A (ko) | 2017-12-26 | 2019-08-02 |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이의 용도 |
KR20190090407A (ko) | 2017-12-26 | 2019-08-02 |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10 균주 및 이의 용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6366B1 (ko) * | 2022-08-16 | 2023-03-09 | (주)지에이치바이오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4678B1 (ko) | 2021-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uan et al. |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that produce fermented milk and reduce cholesterol levels | |
CN114752529B (zh) | 植物乳杆菌hom3201菌株及其活菌制剂、制备方法和用途 | |
CN113444668A (zh) | 一株降血糖作用的凝结芽孢杆菌及其应用 | |
CN115466696B (zh) | 一种复合益生菌及其在预防肝损伤中的用途 | |
EP2543379A1 (en) | Novel lactobacillus stra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for improving the syndrome of diabetes and complication thereof | |
KR101834231B1 (ko) |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 |
CN114196593A (zh) | 一株高抗氧化活性植物乳杆菌p101及其应用 | |
KR102274678B1 (ko)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 |
CN118086155B (zh) | 一株具有减肥降脂功效的发酵粘液乳杆菌un-p及其应用 | |
KR102457212B1 (ko)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3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
CN114561320A (zh) | 乳酸杆菌益生菌CGMCC No.1.13855在制备肝病治疗药物中的应用 | |
Wan et al. |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he cholesterol-lowering ability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HJ-S2 isolated from the intestine of Mesoplodon densirostris | |
KR102536627B1 (ko) | 키위 발효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0457002B1 (ko) |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 첨가제 | |
JP4320408B2 (ja) | 胆汁酸結合能を有する新規菌株 | |
CN114854623B (zh) | 德氏乳杆菌保加利亚亚种、含有该菌的菌剂及应用 | |
KR101919764B1 (ko) | 우수한 홍삼박 발효능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hd 9098 균주, 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14533768B (zh) | 乳酸杆菌益生菌CGMCC No.1.13855在制备糖尿病治疗药物中的应用 | |
CN116410898A (zh) | 一种凝固魏茨曼氏菌elf131及其应用 | |
KR102606626B1 (ko) | 상황버섯 유래 균주의 사균체 분말 제조방법, 사균체 분말 및 이의 용도 | |
JP7498914B2 (ja) | 白神山地に生息するキハダ由来の新規乳酸菌 | |
KR20230100283A (ko) |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544180B1 (ko) | 공액리놀레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균제제와 공액리놀레산이 증대된 식품 | |
KR102455992B1 (ko)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3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20220057323A (ko) | 락토바실러스 무단지앙엔시스 ckdb001 균주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비만,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