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844A - Pcb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Pcb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844A
KR20220009844A KR1020210001416A KR20210001416A KR20220009844A KR 20220009844 A KR20220009844 A KR 20220009844A KR 1020210001416 A KR1020210001416 A KR 1020210001416A KR 20210001416 A KR20210001416 A KR 20210001416A KR 20220009844 A KR20220009844 A KR 2022000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hole
disposed
lower plat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581B1 (ko
Inventor
서창민
김용재
장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US17/210,40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45610B2/en
Priority to CN202110687774.6A priority patent/CN114051317A/zh
Priority to EP21181191.4A priority patent/EP3941164A3/en
Publication of KR2022000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844A/ko
Priority to KR1020230036088A priority patent/KR102661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2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same plane, e.g. auxiliary printed circuit insert mounted in a main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5Arrangements wherein electric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wo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e.g. Cordwoo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PCB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PCB 어셈블리는, 제1 PCB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홀을 갖는 제2 PCB, 제1 홀 및 제2 홀 상부에 배치되며 제1 홀 상부에 배치되는 제3 홀과 제2 홀 상부에 배치되는 제4 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제1 홀 및 제2 홀 하부에 배치되며 제1 홀 하부에 배치되는 제5 홀과 제2 홀 하부에 배치되는 제6 홀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를 갖는 홀더, 제3 홀, 제1 홀 및 제5 홀을 관통하는 제1 고정 나사 및 제4 홀, 제2 홀 및 제6 홀을 관통하는 제2 고정 나사를 포함하되, 하부 플레이트는 제2 PCB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CB 어셈블리{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본 개시는 PCB 어셈블리로서, 보다 상세히는, 홀더와 복수의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PCB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PCB(printed circuit board)는 전기적 부품이 결합되는 절연 카드로서, 전기 회로가 설치되어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된다.
전자 제품 내에서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회로가 PCB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V, 휴대 전화, 컴퓨터 및 주변 장치와 같은 전자 제품에 있어서 PCB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인 전원부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인 신호부가 설치된다.
그런데, 하나의 기판으로 이루어진 PCB 상에 전원부와 신호부가 함께 설치되는 경우, 즉 이종의 회로가 하나의 PCB 상에 설치되는 경우, 전원부 회로 또는 신호부 회로 중 하나의 개량 또는 교체를 위하여 PCB 전체를 다시 생산하고 교체해야 했으며, 제조 상에 있어서도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목적은 제1 PCB와 제2 PCB가 홀더와 고정 나사에 의하여 지지되며 결합되는 PCB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는, 제1 홀을 갖는 제1 PCB, 상기 제1 PCB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홀을 갖는 제2 PCB,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 상부에 배치되는 제3 홀과 상기 제2 홀 상부에 배치되는 제4 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 하부에 배치되는 제5 홀과 상기 제2 홀 하부에 배치되는 제6 홀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를 갖는 홀더, 상기 제3 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5 홀을 관통하는 제1 고정 나사 및 상기 제4 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6 홀을 관통하는 제2 고정 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PCB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PCB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PCB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제2 PCB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PCB는 상기 제1 홀이 형성된 일 측면에 배치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CB는 상기 제2 홀이 형성된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PCB의 일 측면의 외부로 돌출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커넥터의 연결부를 수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PCB는, 상기 제2 홀이 형성된 일 측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삽입부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 PCB의 상기 일 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홈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와 인접하는 상기 제3 홀 및 상기 제4 홀의 하부 측벽들로부터 상기 제 3 및 4 홀들 내부로 돌출된 지지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제1 고정 나사 및 상기 제2 고정 나사의 나사 머리들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5 홀 및 상기 제6 홀이 연장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면으로 부터 돌출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의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돌출부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홀을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복수의 제1 홀에 대향되게 상기 제2 홀을 복수로 포함하며, 상기 홀더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나사는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는 서로 상이한 무게를 가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PCB를 수용하는 영역과 상기 제2 PCB를 수용하는 영역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는 각각을 구성하는 레이어층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PCB를 수용하는 영역과 상기 제2 PCB를 수용하는 영역 각각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3 홀을 갖는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4 홀을 갖는 제2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을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들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삽입부 내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은,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의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에 인접하여 후면에 형성되는 보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돌기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보조 돌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돌기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의 양 측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보조 돌기 홀은 복수의 보조 돌기에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5 홀 및 상기 제6 홀이 연장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CB 어셈블리는, 제 1 홀을 갖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2 홀을 갖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 3 홀 및 제 4 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및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상에 배치되고, 제 5 및 제 6 홀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로 개재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홀더; 상기 제 1 홀, 상기 제 3 홀, 및 상기 제 5 홀 내에 제공되는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홀, 상기 제 4 홀 및 상기 제 6 홀 내에 제공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1 기판의 일 측면 및 상기 제 2 기판의 일 측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일 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홈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게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기술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측면', '좌측', '우측', '상부', '하부', '영역'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은 서로 다른 독립적인 기기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개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100)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PCB 어셈블리(100)는 제1 PCB(110) 및 제2 PCB(120)를 포함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는 통상적으로 저항체 또는 스위치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설치되는 얇은 판을 의미하며, 컴퓨터, 휴대 전화, TV 등의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PCB는 하나의 기판상에 다양한 종류의 회로가 설치된 구조일 수 있으며, 이종의 PCB가 제조된 이후 솔더링 공정과 같은 접합 공정을 통하여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PCB 어셈블리(100)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가 홀더(150)에 의하여 결합된 조립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PCB(110)의 일 측면과 제2 PCB(120)의 일 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접촉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홀더(150)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1 PCB(110)와 제2 PCB(120)는 베이스 기판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지 않고 상이하게 이루어진 개별적인 PCB로, 제1 PCB(110)와 제2 PCB(120)는 전원부 및 신호부와 같이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는 회로가 설치된 이종의 PCB 일 수 있으며, 또한 동종의 PCB 기판일 수도 있다. 제1 PCB(110) 및 제2 PCB(120)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으로도 불릴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1 PCB(110) 및 제2 PCB(120)로 설명한다.
PCB 어셈블리(100)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가 각각 생산되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 PCB(110)와 제2 PCB(120)는 커넥터(123)와 소켓(11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PCB 어셈블리(100)의 생산 과정에서 하나의 베이스 기판 상에 복수의 회로가 설치된 PCB와 비교하면, PCB 어셈블리(100)의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PCB 어셈블리(100)의 제1 PCB(110)와 제2 PCB(120)가 이종인 경우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보드와 영상 보드와 같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PCB(110)인 파워 보드는 단면 보드뿐만 아니라 양면 보드로서 구현될 수 있으나, 제2 PCB(120)인 영상 보드는 구조적으로 양면 보드로 구현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PCB 어셈블리(100)가 하나의 단일 보드 기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PCB 어셈블리(100)의 설계와 제조에 있어서 전체를 양면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일부만을 양면으로 생산하거나 전체를 단면으로 생산하여야 하기에 생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PCB 어셈블리(100)는 이종의 제1 PCB(110)와 제2 PCB(120) 각각을 제조하고 결합시킬 수 있기에, 파워 보드인 제1 PCB(110)는 양면 보드로 생산하고 영상 보드인 제2 PCB(120)는 단면 보드로 생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PCB(110)와 제2 PCB(120) 중 하나만이 고장 나거나 교체가 필요할 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며, 대상 장치에 따라 적절한 파워 보드와 영상 보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에, 파워 보드와 영상 보드 각각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성능 변경 또는 기술 발전에 의하여 이종의 제1 PCB(110) 또는 제2 PCB(120) 중 제2 PCB(120)만 변경해야 하는 경우 제2 PCB(120)만을 교체하고 제1 PCB(110)는 기생산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PCB 어셈블리(100)는 유지 보수, 수리 또는 변경을 위하여 제1 PCB(110) 또는 제2 PCB(120) 중 하나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해당 PCB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100)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고하면, PCB 어셈블리(100)는 홀더(150) 및 복수의 고정 나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50)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를 지지하며, 복수의 고정 나사(170)에 의하여 제1 PCB(110) 및 제2 PCB(120)와 고정될 수 있다.
제1 PCB(110)은 제1 홀(117)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홀(117)은 제1 PCB(110)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PCB(120)는 제1 홀(117)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홀(127)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홀(127)은 제1 PCB(110)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제2 PCB(120)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117)과 제2 홀(127)이 마주보는 영역에 홀더(150)가 배치되어, 홀더(150)가 제1 홀(117)과 제2 홀(127)에 복수의 고정 나사(170)에 의해 고정되며 제1 PCB(110)와 제2 PCB(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홀(117)과 제2 홀(127)은 직경이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구조와 무게를 고려하여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홀더(150)는 제3 내지 제6 홀(163, 164, 165, 166, 도 3a 참조)이 형성되어 복수의 고정 나사(170) 각각이 제3 내지 제6 홀(163, 164, 165, 166, 도 3a 참조) 중 하나 이상을 관통할 수 있다. 홀더(150)의 상세한 구조는 도 3a, 3b를 참고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제1 PCB(110)는 일 측면에 제1 홀(117)과 소켓(113)이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 PCB(120)는 제1 PCB(110)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일 측면으로 제1 홀(117)과 소켓(113)에 대향되도록 제2 홀(127)과 커넥터(1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PCB(110)와 제2 PCB(120)는 홀더(150)에 의하여 결합되며 소켓(113)과 커넥터(123)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23)는 제2 PCB(120)의 일 측면의 외부로 돌출된 연결부(124)를 포함하여, 커넥터(123)의 연결부(124)가 소켓(113)으로 수용되며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제 1 PCB(110)의 일 측면 및 제 2 PCB(120)의 일 측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PCB 어셈블리(100)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가 각각의 일 측면 방향으로 접합하는 방식이므로, 일 측면에 제1 홀(117)과 제2 홀(127)을 각각 포함하도록 기판을 제작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제1 PCB(110)와 제2 PCB(120) 각각의 크기와 형상 등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홀더(150)는 제1 PCB(110) 및 제2 PCB(120) 각각의 두께 및 종류에 대응하여 이들을 수용하는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는, 제1 PCB(110) 및 제2 PCB(120) 각각을 구성하는 레이어층의 적어도 일부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PCB(110) 및 제2 PCB(120)의 무게 또는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홀더(150)는 제1 PCB(110) 및 제2 PCB(120) 각각을 수용하는 영역의 구조 및 형상을 달리하여, 두께 또는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PC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가 상이한 무게를 가지는 경우, 제1 PCB(110) 및 제2 PCB(120) 각각의 무게에 대응하여 홀더(150)는 제1 PCB(110)와 접하는 영역과 제2 PCB(120)와 접하는 영역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즉, 홀더(150)는 더 무거운 PCB 를 수용하는 영역의 상부 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56)의 두께, 면적 등이 더 가벼운 PCB를 수용하는 영역보다 더 두껍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150)는 무게가 상이한 이종의 PCB 결합에서도, 더 무거운 PCB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PCB(110) 및 제2 PCB(120)는 각각을 구성하는 레이어층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경우, 제1 PCB(110) 및 제2 PCB(120)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여 홀더(150)는 제1 PCB(110)와 접하는 영역과 제2 PCB(120)와 접하는 영역 각각에서 상부 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56) 사이의 간격이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150)는 상부 플레이트(151), 하부 플레이트(156) 또는 돌출부(160) 각각의 형상, 결합 구조 등을 달리하며, 이종의 PCB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PCB(110)의 적층 개수는 제2 PCB(120)의 적층 개수와 다를 수 있고, 제 1 PCB(110)의 두께와 제2 PCB(120)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PCB(110)의 적층 개수는 교대로 적층된 제 1 절연막들과 제 1 도전 패턴들의 적층 개수일 수 있다. 제2 PCB(120)의 적층 개수는 교대로 적층된 제 2 절연막들과 제 2 도전 패턴들의 적층 개수일 수 있다. 제1 PCB(110) 적층 개수와 제 2 PCB(120)의 적층 개수가 다를 경우, 제1 PCB(110)의 무게와 제2 PCB(120)의 무게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PCB(110)는 제1 홀(117)을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로 포함하고, 제2 PCB(120)는 복수의 제1 홀(117)에 대향되게 제2 홀(127)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은 일 측면에 제1 홀(117), 소켓(113), 제1 홀(117) 순서로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2 기판은 일 측면에 제2 홀(127), 커넥터(123), 제2 홀(127) 순서로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홀더(150) 및 복수의 고정 나사(170)는 복수의 제1 홀(117)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제1 홀(117), 복수의 제2 홀(127) 및 복수의 홀더(150)를 통하여 본 개시의 PCB 어셈블리(100)는 커넥터(123)와 소켓(113)이 위치한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접합 면을 복수의 고정 부위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홀더(150)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상면 위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51) 및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하면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56)를 포함하고, 하부 플레이트(156)는 제2 PCB(1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돌출부(160, 도 3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0)는 상부 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56) 사이에서 제 1 PCB(110)와 제 2 PCB(120) 사이로 개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플레이트(156)의 돌출부(160)는 하부 플레이트(156)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51)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PCB(110)를 관통하여 상부 플레이트(151)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50)의 상부 플레이트(151), 하부 플레이트(156) 및 돌출부(16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60)는 돌출부(160)의 위치가 상부 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56)의 중심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홀더(150)를 H-beam 홀더(150)로 호칭할 수 있다. 다만, 돌출부(16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부 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56)를 연결하며 지지할 수 있다면 만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나사(170)는 제1 고정 나사(171)와 제2 고정 나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고정 나사(170)는 고정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나사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결합 부재(170)일 수 있고, 제1 고정 나사(171) 및 제2 고정 나사(172)는 제1 결합 부재(171) 및 제2 결합 부재(172)로도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합 부재(170)로 고정 나사(170)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종류의 결합 부재(170)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고정 나사(171)는 홀더(150)의 상부 플레이트(151)의 제3 홀(163)과 제1 PCB(110)의 제1 홀(117), 그리고 홀더(150)의 하부 플레이트(156)의 제5 홀(165)을 공통으로 관통하며, 제2 고정 나사(172)는 홀더(150)의 상부 플레이트(151)의 제4 홀(164)과 제2 PCB(120)의 제2 홀(127), 그리고 홀더(150)의 하부 플레이트(156)의 제6 홀(166)을 공통으로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나사(170)는 홀더(150)의 상부 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56)에 의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지지가 되며 고정되고, 제1 홀(117)과 제2 홀(127)을 통과하여 제1 PCB(110)와 제2 PCB(120)를 고정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나사(170)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형 또는 원뿔형인 스크류일 수 있으며, 또는 나사 산과 골이 형성된 수나사, 즉 볼트일 수 있다.
홀더(150)는 상부 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56)를 통하여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상면과 하면 각각을 지지하며 고정하므로, 제1 PCB(110) 또는 제2 PCB(120)의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을 억제할 수 있고, PCB 어셈블리(100)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도 안정적으로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홀더(150)는 복수의 고정 나사(170)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PCB 어셈블리(100)를 결합하는 공정에서 각 구성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솔더링과 같은 융접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제1 PCB(110) 와 제2 PCB(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후에도 필요에 따라 제1 PCB(110)와 제2 PCB(120)를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다.
홀더(150)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상하면들을 지지하면서 제1 PCB(110)와 제2 PCB(120) 사이를 결합할 수 있기에 PCB 어셈블리(100)가 자중에 의하여 휘거나 외력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서로 다른 무게 또는 서로 다른 두께에서의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휨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5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50)의 측면 단면도로, 상세히는 도 3a의 홀더(150)의 A-A'방향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홀더(150)는 상부 플레이트(151), 하부 플레이트(156) 및 돌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51)는 제1 PCB(110)의 일면 및 제2 PCB(120)의 일면 상에, 상세히는 제1 홀(117) 및 제2 홀(127)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51)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접합 면의 상면 방향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51)는 제1 홀(117) 상부에 배치되는 제3 홀(163)과 제2 홀(127) 상부에 배치되는 제4 홀(164)을 가질 수 있다.
제3 홀(163)과 제4 홀(164) 각각은 제1 홀(117)과 제2 홀(127)과 직경이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홀더(150)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 나사(170)는 나사 머리가 홀더(150) 상면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홀(163)과 제4 홀(164)의 측면부 전면이 복수의 고정 나사(170)의 측면부를 감싸며 지지하므로, 상부 플레이트(151)가 복수의 고정 나사(17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3 홀(163)과 제4 홀(164) 각각은 제1 홀(117)과 제2 홀(127)보다 직경이 크고, 복수의 고정 나사(170)의 나사 머리의 직경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3 홀(163)과 제4 홀(164)은 복수의 고정 나사(170)의 나사 머리를 수용할 수 있으며, 홀더(150)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 나사(170)의 나사 머리는 상부 플레이트(15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나사(170)가 결합된 후, 상부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커버를 씌우거나 접착 부재를 주입하는 등의 이탈 방지 공정을 통하여 복수의 고정 나사(1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56)는 상부 플레이트(151)가 배치되는 제1 PCB(110)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 및 제2 PCB(120)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 상에, 상세히는 제1 홀(117) 및 제2 홀(127)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156)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접합 면의 하면 방향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56)는 제1 홀(117) 하부에 배치되는 제5 홀(165)과 제2 홀(127) 하부에 배치되는 제6 홀(166)을 가질 수 있다.
제5 홀(165)과 제6 홀(166) 각각은 제1 홀(117)과 제2 홀(127)과 직경이 같거나 더 작을 수 있으며, 제5 홀(165)과 제6 홀(166)은 제1 홀(117)과 제2 홀(127)을 통과한 복수의 고정 나사(170)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제5 홀(165)과 제6 홀(166)은 복수의 고정 나사(17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나사(170)가 스크류 형상을 갖는 경우, 제5 홀(165)과 제6 홀(166)은 하단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고정 나사(170)가 수나사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5 홀(165)과 제6 홀(166)은 수나사 형상에 대응되는 피치를 갖는 암나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홀더(150)는 지지부(157), 연장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51)의 지지부(157)는 제1 PCB(110) 및 제2 PCB와(120)와 인접하는 제3 홀(163)과 제4 홀(164)의 하부 측벽들로부터 제3 홀(163) 및 제4 홀(164)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7)는 상부 플레이트(151)에 형성된 제3 홀(163)과 제4 홀(164)에서, 제3 홀(163)과 제4 홀(164)의 전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복수의 고정 나사(170) 각각의 나사 머리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57)의 상면에 복수의 고정 나사(170)의 나사 머리의 하면이 접하며, 지지부(157)는 복수의 고정 나사(170)를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157)의 형상은 제1 고정 나사(171)와 제2 고정 나사(172) 각각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56)의 연장부(158)는 제5 홀(165) 및 제6 홀(166)이 연장하여 하부 플레이트(156)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서, 하부 플레이트(156)의 하면으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고정 나사(170)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연장부(158)는 제5 홀(165) 및 제6 홀(166)이 복수의 고정 나사(170)의 하단의 측면부를 더 넓은 면적으로 감싸며 지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 나사(170)와 홀더(150)의 고정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돌출부(160)는 상부 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56)를 연결하며 지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진 부재일 수 있고, 또는 선 또는 면으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얇은 로프 또는 박막일 수 있다. 돌출부(160)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대한 설명 중 도 2a 및 도 2b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홀더(150)는 돌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0)는 제1 PCB(110)와 제2 PCB(120) 각각의 일 측면에 접할 수 있으며, 돌출부(160)가 일정 값 이상의 너비를 갖는 경우, 돌출부(160)에 의하여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접합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부(160)는 제1 PCB(110) 및/또는 제2 PCB(120)에 형성된 수용 부재에 수용될 수 있다. 돌출부(160)는 삽입부(118, 128)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삽입부(118, 128)는 제2 PCB(120)의 일 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PCB(110) 및 제2 PCB(120) 각각에서 제1 홀(117) 및 제2 홀(127)이 형성된 일 측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돌출부(160)를 수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128)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PCB(120)에만 존재하여 돌출부(160)를 수용할 수 있고,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118, 128)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CB(110)와 제2 PCB(120) 각각에 존재하여 돌출부(160)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즉, 제1 PCB(110) 및/또는 제2 PCB(120)는 그것의 일 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삽입부(118, 128)를 가질 수 있고, 삽입부(118, 128)는 제1 PCB(110) 및/또는 제2 PCB(120)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홀(117) 및/또는 제2 홀(127)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60)는 삽입부(118, 128)에 수용되며 돌출부(160)의 측면 부가 삽입부(118, 128)에 의하여 지지되어, 홀더(15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제1 PCB(110)와 제2 PCB(12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200)의 평면도이고, 도 5b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2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의 PCB 어셈블리 (200)는 제1 상부 플레이트(217), 제2 상부 플레이트(227)와 하부 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PCB 어셈블리(200)의 제1 PCB(210)와 제2 PCB(220)의 구조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PCB 어셈블리(100)의 제1 PCB(110)와 제2 PCB(120)의 제1 홀(117), 제2 홀(127)을 포함하는 구조와 동일할 수 있으며, PCB 어셈블리(200)는 제1 PCB(210)와 제2 PCB(220)의 결합 방식이 PCB 어셈블리(100)와 상이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17, 227)는 제1 홀(219) 및 제2 홀(229) 상부에 배치되며 제1 홀(219) 상부에 배치되는 제3 홀(263)과 상 제2 홀(229) 상부에 배치되는 제4 홀(264)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플레이트(217, 227)는 상기 제1 홀(219)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219)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홀(263)을 갖는 제1 상부 플레이트(217)), 상기 제2 홀(229)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홀(229)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4 홀(264)을 갖는 제2 상부 플레이트(22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상부 플레이트(217)와 제2 상부 플레이트(227) 각각은 제1 PCB(210)와 제2 PCB(220) 각각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형성된 제3 내지 제4 홀(263, 264)을 통하여 복수의 고정 나사(270)가 관통되며, 복수의 고정 나사(270)의 나사 머리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50)는 제1 PCB(210)와 제2 PCB(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 플레이트(217, 227)에 대응되도록 중심부에 형성된 제5 내지 제6 홀(253)을 통하여 복수의 고정 나사(270)가 관통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50)는 제1 PCB(210)와 제2 PCB(220)를 지지하며, 접합 면에서 발생하는 휨을 억제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50)는 제5 내지 제6 홀(253)이 연장하여 하부 플레이트(25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연장되는 구조를 가져, 복수의 고정 나사(27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제1 PCB(210) 및 제2 PCB(220) 각각은 상부 플레이트(217, 227)의 위치, 즉 제1 홀(117) 및 제2 홀(127)에 인접하여 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돌기(219, 229)를 포함하고, 하부 플레이트(250)는 복수의 보조 돌기(219, 229)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보조 돌기 홀(259)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돌기(219, 229)는 복수의 보조 돌기 홀(259)에 고정되며, 복수의 고정 나사(270)와 함께 제1 PCB(210)와 제2 PCB(220)를 하부 플레이트(25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PCB(210) 및 제2 PCB(220)는 삽입부(218, 228)를 포함하고, 하부 플레이트(250)는 돌출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50)는 제1 PCB(21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돌출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51)는 제1 PCB(210)의 삽입부(218)를 관통하여, 하부 플레이트(250)와 제1 PCB(2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부(251)는 하부 플레이트(250)의 수평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들(251)로 제공되어 삽입부(218, 228) 내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돌출부(251)와 삽입부(218)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제1 PCB(210) 및 제2 PCB(220) 각각은 상부 플레이트(217, 227)의 위치, 즉 제1 홀(117) 및 제2 홀(127)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218, 228)를 포함하고, 하부 플레이트(250)는 복수의 삽입부(218, 228)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보조 기둥(2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251)는 상부로 하부 플레이트(25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복수의 삽입부(218, 228)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251)는 복수의 삽입부(218, 228)에 고정되며, 복수의 고정 나사(270)와 함께 제1 PCB(210)와 제2 PCB(220)를 하부 플레이트(25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삽입부(218, 228)는 제1 홀(219) 및 제2 홀(229)에 인접하여 양 측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218, 228)는 제1 PCB(110) 및 제2 PCB(120) 각각을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251)는 이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51)는 하부 플레이트(250)의 수평 방향 양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져, 하부 플레이트(250)의 지지 및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보조 돌기(219, 229)도 제1 PCB(210) 및 상기 제2 PCB(220) 각각에서 제1 홀(219) 및 제2 홀(229)의 양 측면에 복수로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250)의 보조 돌기 홀(259)은 복수의 보조 돌기(219, 229)에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251)는 하부 플레이트(250)로부터 제1 PCB(210)와 제2 PCB(220) 방향으로 복수의 삽입부(218, 228)를 통과하며 고정되고, 복수의 보조 돌기(219, 229)는 제1 PCB(210)와 제2 PCB(220)로부터 하부 플레이트(250) 방향으로 복수의 보조 돌기 홀(259)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플레이트(250)는 제1 PCB(210) 및 제2 PCB(220)와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며 제1 PCB(210) 및 제2 PCB(220)에 발생하는 휨 또는 외부로부터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도 안정적으로 제1 PCB(210)와 제2 PCB(220)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PCB 어셈블리 110 : 제1 PCB
120 : 제2 PCB 150 : 홀더
170 : 고정 나사

Claims (20)

  1. 제1 홀을 갖는 제1 PCB;
    상기 제1 PCB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홀을 갖는 제2 PCB;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 상부에 배치되는 제3 홀과 상기 제2 홀 상부에 배치되는 제4 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 하부에 배치되는 제5 홀과 상기 제2 홀 하부에 배치되는 제6 홀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를 갖는 홀더;
    상기 제3 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5 홀을 관통하는 제1 고정 나사; 및
    상기 제4 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6 홀을 관통하는 제2 고정 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PCB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PCB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연결되도록 상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PCB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PCB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PCB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 PCB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PCB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CB는 상기 제1 홀이 형성된 일 측면에 배치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CB는 상기 제2 홀이 형성된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PCB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PCB의 일 측면의 외부로 돌출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커넥터의 연결부를 수용하여 연결되는, PCB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CB는,
    상기 제2 홀이 형성된 일 측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 PCB의 상기 일 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홈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 내에 제공되는, PCB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와 인접하는 상기 제3 홀 및 상기 제4 홀의 하부 측벽들로부터 상기 제 3 및 4 홀들 내부로 돌출된 지지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제1 고정 나사 및 상기 제2 고정 나사의 나사 머리들을 지지하는, PCB 어셈블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5 홀 및 상기 제6 홀이 연장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면으로 부터 돌출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PCB 어셈블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돌출부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PCB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홀을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복수의 제1 홀에 대향되게 상기 제2 홀을 복수로 포함하며,
    상기 홀더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나사는 상기 복수의 제1 홀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PCB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는 서로 상이한 무게를 가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PCB를 수용하는 영역과 상기 제2 PCB를 수용하는 영역의 형상이 상이한, PCB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는 각각을 구성하는 레이어층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PCB를 수용하는 영역과 상기 제2 PCB를 수용하는 영역 각각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 PCB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3 홀을 갖는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4 홀을 갖는 제2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PCB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을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들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삽입부 내에 대응되게 제공되는 PCB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은, 상기 제1 PCB 및 상기 제2 PCB 각각의 후면에 형성되는 보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돌기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보조 돌기 홀을 포함하는, PCB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돌기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의 양 측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보조 돌기 홀은 복수의 보조 돌기에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는, PCB 어셈블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5 홀 및 상기 제6 홀이 연장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갖는, PCB 어셈블리.
  18. 제 1 홀을 갖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2 홀을 갖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 3 홀 및 제 4 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및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상에 배치되고, 제 5 및 제 6 홀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로 개재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홀더;
    상기 제 1 홀, 상기 제 3 홀, 및 상기 제 5 홀 내에 제공되는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홀, 상기 제 4 홀 및 상기 제 6 홀 내에 제공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PCB 어셈블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1 기판의 일 측면 및 상기 제 2 기판의 일 측면은 서로 접촉하는 PCB 어셈블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일 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홈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 내에 제공되는 PCB 어셈블리.
KR1020210001416A 2020-07-16 2021-01-06 Pcb 어셈블리 KR10251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10,406 US11445610B2 (en) 2020-07-16 2021-03-23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CN202110687774.6A CN114051317A (zh) 2020-07-16 2021-06-21 印刷电路板组件
EP21181191.4A EP3941164A3 (en) 2020-07-16 2021-06-23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KR1020230036088A KR102661523B1 (ko) 2020-07-16 2023-03-20 Pcb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155 2020-07-16
KR20200088155 2020-07-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088A Division KR102661523B1 (ko) 2020-07-16 2023-03-20 Pcb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844A true KR20220009844A (ko) 2022-01-25
KR102513581B1 KR102513581B1 (ko) 2023-03-24

Family

ID=800492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416A KR102513581B1 (ko) 2020-07-16 2021-01-06 Pcb 어셈블리
KR1020240046946A KR20240051097A (ko) 2020-07-16 2024-04-05 Pcb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6946A KR20240051097A (ko) 2020-07-16 2024-04-05 Pcb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35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4007A1 (en) * 2009-02-16 2010-08-19 Molex Incorporated Co-edge connector
JP2013084609A (ja) * 2008-03-04 2013-05-09 Molex Inc コエッジ型のコネクタ
US20170164499A1 (en) * 2015-12-08 2017-06-08 Ciena Corporation Backplane alignment and stiffening apparatus for two backplanes spanning single modu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4609A (ja) * 2008-03-04 2013-05-09 Molex Inc コエッジ型のコネクタ
WO2010094007A1 (en) * 2009-02-16 2010-08-19 Molex Incorporated Co-edge connector
US20170164499A1 (en) * 2015-12-08 2017-06-08 Ciena Corporation Backplane alignment and stiffening apparatus for two backplanes spanning single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097A (ko) 2024-04-19
KR102513581B1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3541B2 (en) Flat cable connection wire assembly applicable for signal transmission interface
TWI413303B (zh) 堆疊夾層連接器
CN101849324A (zh) 具有正交接点尾线的电连接器系统
KR102661523B1 (ko) Pcb 어셈블리
KR101921794B1 (ko) 인터커넥트 디바이스들
US5667401A (en) Cable connector, circuit board and system having circuit boards connected together by the cable connector
KR101860858B1 (ko) Fpcb 조립체 및 그것을 채용한 평판 표시 장치
KR102513581B1 (ko) Pcb 어셈블리
CN105578749A (zh) 电路板连接组件及移动终端
US20060134945A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CN102522644B (zh) 安装在印刷电路上的插座连接器
CN1171516C (zh) 印刷电路板结构
US20070212943A1 (en) Pcb mounted connectors assembly
KR20170047791A (ko)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12411170U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US10785873B1 (en) Circuit board
KR20200112577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CN108922407B (zh) 显示屏及显示装置
US9241406B2 (en) Electronic assembly
KR20210040845A (ko) 자기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N113451380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2170753A (zh) 一种线路板引脚结构
US8758028B2 (en) Televis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266034B1 (en) Interface system for functional module and functional module thereof
KR20120067654A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