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813A -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813A
KR20220009813A KR1020200088479A KR20200088479A KR20220009813A KR 20220009813 A KR20220009813 A KR 20220009813A KR 1020200088479 A KR1020200088479 A KR 1020200088479A KR 20200088479 A KR20200088479 A KR 20200088479A KR 20220009813 A KR20220009813 A KR 2022000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guide
gea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925B1 (ko
Inventor
구광모
Original Assignee
화진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진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진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9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진공압에 의해 흡입되는 폐기물질에서 분진은 별도로 배출시키고 폐기물질은 낙하하도록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에서 낙하된 폐기물질을 저장했다가 하측으로 배출하는 상부호퍼와, 상기 상부호퍼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호퍼보다 더 큰 체적을 갖는 하부호퍼를 포함하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호퍼는, 상부에 상기 분리기로부터 낙하하는 폐기물질이 투입되는 상부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시 저장된 폐기물질을 배출하는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상부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면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개폐게이트를 포함하는 상부개폐수단; 상기 하부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면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개폐게이트를 포함하는 하부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부개폐게이트와 하부개폐게이트는 서로 교대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분리기 내부에 항상 진공압이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폐기물질 처리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industrial waste}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유를 정제할 때 발생하는 각종 산업폐기물질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의 정제에 사용되는 다양한 촉매와 같이 특정한 공정 수행을 위해 사용하고 남게 되는 다양한 산업용 폐기물들은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생성되는 양도 매우 많아 각국마다 처리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폐기물질은 그 자체로 폐기시키기 매우 부적절하므로 통상 현장에서 수거하여 특정 지역에 매립시키거나 재처리를 통해 재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다만, 현장에서의 폐기물질 수거는 별도의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되도록 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0883973호(2009.02.10.) "폐촉매의 자동 연속 분리장치"는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이 종래기술에서는 폐촉매를 진공압에 의해 분리기로 모여지게 하여 공기보다 가벼운 분진은 진공압에 의해 별도의 경로를 통해서 배출되어 수거되고, 공기보다 무거운 폐촉매들은 분리기에 일정량이 채워지게 되면 자동으로 분리기로부터 그 하부의 호퍼를 통해서 폐기용 용기에 일정량씩 채워지도록 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분리장치는 처리 중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면서 심각한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외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폐촉매의 종류에 따라서는 자연 발화에 의해 화재를 유발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2588(2014.4.1.)에서 "진공압에 의해 흡입되는 폐기물질에서 공기보다 가벼운 분진은 배큠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공기보다 무거운 폐기물질들은 하향 낙하하도록 구비되는 분리기(20); 상기 분리기로부터 낙하하는 폐기물질들이 채워지는 상부 호퍼(30); 상기 상부 호퍼의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반원형 밸브판과 상기 반원형 밸브판들을 작동시키는 실린더로서 구비되는 제1 밸브(40); 상단부는 상기 상부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호퍼보다는 더 큰 내부 체적을 갖도록 하는 하부 호퍼(50); 상기 하부 호퍼의 직경을 축소시킨 하단부에 상단이 결합되고, 일측의 핸들 조작에 의해 내부의 버터플라이 밸브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 호퍼 내부의 폐기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 및 단속하는 플랜지관 형상의 제2 밸브(60); 상기 제2 밸브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파렛트에서 동일 반경에 적재되는 복수의 폐기용 드럼들의 반경 중심과 동일한 중심에 구비되는 상단부로부터 일측의 폐기용 드럼의 상단부에 근접하면서 하단부는 상기 폐기용 드럼 중심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아웃렛 노즐(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용 폐기물질 수거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부호퍼에 채워진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해 제1밸브를 개방할 때 분리기 내부에 진공이 해제되도록 진공압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밸브를 개방하여 폐기물을 하측으로 배출한 후 제1밸브를 닫고 분리기 내부에 진공압을 다시 발생시켜 폐기물 흡입 및 분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호퍼에 쌓인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진공압을 해제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처리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83973(2009.02.10.) "폐촉매의 자동 연속 분리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2588(2014.4.1.) "산업용 폐기물질 수거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호퍼에서 하부호퍼로 폐기물을 배출할 때 진공압을 해제하지 않고 배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정유 산업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는 진공압에 의해 흡입되는 폐기물질에서 분진은 별도로 배출시키고 폐기물질은 낙하하도록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에서 낙하된 폐기물질을 저장했다가 하측으로 배출하는 상부호퍼와, 상기 상부호퍼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호퍼보다 더 큰 체적을 갖는 하부호퍼를 포함하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호퍼는, 상부에 상기 분리기로부터 낙하하는 폐기물질이 투입되는 상부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시 저장된 폐기물질을 배출하는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상부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면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개폐게이트를 포함하는 상부개폐수단; 상기 하부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면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개폐게이트를 포함하는 하부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부개폐게이트와 하부개폐게이트는 서로 교대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분리기 내부에 항상 진공압이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폐기물질 처리작업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개폐수단은, 한 쌍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폐기물질이 투입되는 상부투입구의 하측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개폐레일바와, 상기 개폐레일바의 상부에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어홀이 형성되는 상부개폐게이트와, 상기 상부개폐게이트의 양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가 상기 기어홀에 각각 삽합되는 개폐기어와, 양단에 상기 개폐기어가 각각 결합되는 개폐회전축과, 상기 개폐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상기 개폐기어의 맞은편 상측에는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면에는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어홀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게이트와,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의 양단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가 상기 기어홀에 각각 삽합되는 가이드기어와, 양단에 상기 가이드기어가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회전축과, 어느 하나의 가이드기어와 상기 개폐기어를 연동시키는 전달체인 및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개폐수단은, 한 쌍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폐기물질이 배출되는 하부배출구의 하측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개폐레일바와, 상기 개폐레일바의 상부에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어홀이 형성되는 하부개폐게이트와, 상기 하부개폐게이트의 양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가 상기 기어홀에 각각 삽합되는 개폐기어와, 양단에 상기 개폐기어가 각각 결합되는 개폐회전축과, 상기 개폐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상기 개폐기어의 맞은편 상측에는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면에는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어홀이 형성되는 하부가이드게이트와,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의 양단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가 상기 기어홀에 각각 삽합되는 가이드기어와, 양단에 상기 가이드기어가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회전축과, 어느 하나의 가이드기어와 상기 개폐기어를 연동시키는 전달체인 및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호퍼에서 하부호퍼로 폐기물질을 배출할 때도 상부개폐게이트를 닫아 분리기와 상부호퍼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기의 진공압을 해제하지 않고 분리작업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높아진다.
도 1은 종래 산업용 폐기물질 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호퍼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개폐수단 또는 하부개폐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부개폐수단 또는 하부개폐수단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크게 분리기(10), 상부호퍼(20), 하부호퍼(30), 아웃렛노즐(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참고로, 상기 분리기(10), 하부호퍼(30) 및 아웃렛노즐(40)은 종래 기술과 대동소이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사항인 상부호퍼(2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분리기(10)는 별도의 진공압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해 내부에 진공압이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흡입되는 폐기물질에서 공기보다 가벼운 분진이나 먼지는 별도로 배출시키고 무거운 폐기물질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분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분리기(10)는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기(10) 내부에는 흡입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버퍼용 덕트(11)가 구비된다.
또 상기 분리기(10)의 상단에는 진공압에 의해 폐기물질이 흡입되는 인렛파이프(12)와 분진이 수거되는 베큠파이프(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큠파이프(13)에는 진공압해제밸브(14)가 설치되어 진공압 발생 및 해제를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에는 상기 진공압해제밸브가 설정된 타임을 주기로 개폐되도록 제어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항상 진공압을 해제할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폐기물질을 흡입하고 수거 및 처리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별도도 개폐가 제어될 필요는 없다.
상기 분리기(10)에서 분리된 폐기물질은 낙하하여 상기 상부호퍼(20)로 투입된다.
다음으로 도 3, 4,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상부호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호퍼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개폐수단 또는 하부개폐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부개폐수단 또는 하부개폐수단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상부호퍼(20) 상기 분리기(10)에서 낙하된 폐기물질을 일정량 저장했다가 하측의 하부호퍼(30)로 배출하는 것으로, 하우징(100), 상부개폐수단(200) 및 하부개폐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것은 상부가이드수단(400)과 하부가이드수단(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분리기(10)보다 더 큰 체적을 가지는 통형상의 탱크로서, 상부에서 폐기물질이 투입되고, 하부에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에 폐기물질이 일정량 이상 채워지면 후술하는 상기 상부개폐수단(200)과 하부개폐수단(300)의 작동에 의해 폐기물질을 상기 하부호퍼(30)로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분리기(10)로부터 낙하하는 폐기물질이 투입되는 상부투입구(110)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시 저장된 폐기물질을 배출하는 하부배출구(120)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투입구(110)와 하부배출구(120)는 폐기물질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쌍이 하향 경사지게, 다시 말해서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개폐수단(200)은 상기 상부투입구(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개폐게이트(220)가 수평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개폐수단(200)은, 개폐레일바(210), 상부개폐게이트(220), 개폐기어(230), 개폐회전축(240), 종동스프라켓(250), 구동스프라켓(260), 구동체인(270), 회전실린더(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레일바(210)는 상기 상부투입구(110)의 하측을 가로지르면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봉이나 바(bar)이다. 상기 개폐레일바(210)는 한 쌍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의 양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레일바(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일바(210)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게이트채널(c)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기어홀(221)이 일렬로 배열된 구조이다.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의 양단은 상기 개폐레일바(210)의 상부면에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의 면적은 상기 상부투입구(110)의 하부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완전히 닫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의 상측, 다시 말해서, 상기 기어홀(221)의 직상방에는 한 쌍의 개폐기어(2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기어(230)의 어느 하나의 기어치는 상기 기어홀(221)에 삽합(삽입되고 치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기어(2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상기 기어홀(221)에 삽합된 기어치가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를 연속적으로 밀게 되므로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상기 개폐기어(230)는 개폐회전축(240)의 양단에 결합되어 함께 구동되며, 상기 개폐회전축(240)의 일단에 종동스프라켓(250)이 결합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250)의 일측에 구동체인(270)으로 연동되는 구동스프라켓(2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60)은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실린더(280)의 축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실린더(280)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상부개폐수단(200)의 상측에 상부가이드수단(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수단(400)은 상기 상부개폐수단(200)과 연동되어 함께 작동하는데,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를 개방시킬 때 폐기물질이 잘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폐쇄시킬 때는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와 상부투입구(110) 사이로 폐기물질이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여 폐기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가이드수단(400)은 가이드레일(410), 상부가이드게이트(420), 가이드기어(430), 가이드회전축(440), 전달체인(450), 경사가이드판(460) 및 전달스프라켓(4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를 수평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개폐기어(230)의 맞은편에서 일정 높이 상측에 한 쌍이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410)을 수용할 수 있는 게이트채널(c)이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기어홀(221)이 직선배열, 형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의 양단은 상기 가이드레일(410)의 상부면에 각각 거치된 상태로 구비되어 수평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의 기어홀(221) 하측에 가이드기어(4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기어(430)의 기어치는 상기 기어홀(221)에 삽입, 치합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기어(430)는 각각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회전축(440)의 양단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기어(430)는 상기 개폐기어(230)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회전축(240) 및 가이드회전축(440)의 타단에 각각 전달스프라켓(470)이 결합되고, 두 전달스프라켓(470)은 전달체인(450)으로 연동된다.
한편,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의 단부에는 경사가이드판(460)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가이드판(460)의 경사는 상기 상부투입구(110)의 경사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어 낙하되는 폐기물질의 유입이 용이한 구조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개폐수단(300)과 하부가이드수단(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하부개폐수단(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배출구(12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개폐수단(200)과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지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하부개폐수단(300)도 개폐레일바(310), 하부개폐게이트(320), 개폐기어(330), 개폐회전축(340), 종동스프라켓(350), 구동스프라켓(360), 구동체인(370) 및 회전실린더(380)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각각 상기 상부개폐수단(200)을 구성하는 개폐레일바(210), 상부개폐게이트(220), 개폐기어(230), 개폐회전축(240), 종동스프라켓(250), 구동스프라켓(260), 구동체인(270) 및 회전실린더(280)와 대동소이하다.
상기 개폐레일바(310)는 상기 하부배출구(120)의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한 쌍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는 상기 하부배출구(120)의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상기 개폐레일바(310)에 거치된 상태로 수평이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레일바(310)도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일바(310)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게이트채널(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의 면적은 상기 하부배출구(120)의 하부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의 기어홀(321)의 상측에는 한 쌍의 개폐기어(3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는 상기 기어홀(321)에 삽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기어(3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개폐게이트(320)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개폐기어(330)는 개폐회전축(340)의 양단과 결합되고, 상기 개폐회전축(340)의 일단에 종동스프라켓(350)이 결합되며, 상기 종동스프라켓(350)의 일측에 구동체인(370)으로 연동되는 구동스프라켓(36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360)은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실린더(380)의 축과 결합된다.
상기 하부가이드수단(500)은 상기 하부개폐수단(3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개폐수단(300)과 연동되어 함께 작동한다.
이는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를 개방시킬 때 폐기물질이 잘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폐쇄시킬 때는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와 하부배출구(120) 사이에 배출되는 폐기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가이드수단(500)은 가이드레일(510), 하부가이드게이트(520), 가이드기어(530), 가이드회전축(540), 전달체인(550), 경사가이드판(560)및 전달스프라켓(5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각각은 상기 상부가이드수단(400)을 구성하는 가이드레일(410), 상부가이드게이트(420), 가이드기어(430), 가이드회전축(440), 전달체인(450), 경사가이드판(460) 및 전달스프라켓(470)과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레일(510)은 상기 하부개폐수단(300)의 개폐기어(330)의 맞은편에서 일정 높이 상측에 한 쌍이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510)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510)을 수용할 수 있는 게이트채널(c)이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520)도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기어홀(521)이 직선 형성, 배열된다.
또 상기 기어홀(521) 하측에 가이드기어(5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는 상기 기어홀(521)에 삽입, 치합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520)를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기어(530)는 각각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52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회전축(540)의 양단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회전축(340) 및 가이드회전축(540)의 타단에 각각 전달스프라켓(570)이 결합되고, 두 전달스프라켓(570)은 전달체인(550)으로 연동된다.
더불어,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520)의 단부에는 경사가이드판(560)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배출구(120)의 경사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어 낙하되는 폐기물질의 배출이 용이한 구조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이 하부호퍼(30)와 아울렛노즐(4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부호퍼(30)는 상기 상부호퍼(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호퍼(20)에서 배출하는 폐기물질을 저장한다. 즉, 상기 하부호퍼(30)의 상단은 상기 하부배출구(120)와 연통된다.
그래서 상기 하부호퍼(30)는 상부호퍼(20)보다 더 큰 체적을 가지는 탱크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호퍼(30)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부호퍼(30)의 하단에는 상기 아울렛노즐()이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하부호퍼(30)와 아울렛노즐(40) 사이에는 버터플라이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울렛노즐(40)은 하부가 외측으로 일정각도 휘어지다 다시 하향 휘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호퍼(3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도 3,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3은 상부개폐게이트가 개방되고, 하부개폐게이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상부개폐게이트가 폐쇄되고, 하부개폐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진공압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분리기(10)에 분리된 폐기물질이 상기 상부호퍼(20)에 저장되었다가, 일정량 이상이 되어 상기 하부호퍼(30)로 배출시킬 때 상기 분리기(10)에 걸린 진공압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를 닫고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를 열어 폐기물질을 상기 하부호퍼(30)로 배출하도록 제어된다.
즉, 상부개폐게이트(220)와 하부개폐게이트(320)가 서로 교대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되므로 상기 분리기(10) 내부에 걸린 진공압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 분리, 처리작업을 중단없이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도 3은 상기 상부투입구(110)가 개방되어 폐기물질이 낙하하여 상기 상부호퍼(20)로 계속 투입, 저장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진공압에 의해 상기 분리기(10)로 유입된 폐기물질 중 분진은 상기 베큠파이프를 통해 빠져나가고 나머지 폐기물질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상부투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호퍼(20)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는 후진하여 상기 상부투입구(11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므로 투입된 폐기물질은 상기 상부호퍼(20)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는 후진하고 경사가이드판(460)이 상기 상부투입구(110)와 같은 경사로 배치되므로 낙하하는 폐기물질이 상기 상부투입구(110)로 쉽게 투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사가이드판(460)은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를 수용하는 게이트채널(c) 내부로 폐기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차단한다.
한편,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는 전진하여 상기 하부배출구(120)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므로 상기 상부호퍼(20)에 저장되는 폐기물질은 상기 하부호퍼(30)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520)는 전진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6은 상기 하부배출구(120)가 개방되어 폐기물질이 낙하하여 상기 하부호퍼(30)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는 전진하여 상기 상부투입구(110)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므로 상기 분리기(10)에서 분리된 폐기물질은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의 상부면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는 전진하게 되며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420)의 상부면에도 폐기물질이 쌓일 수 있다.
여기에 쌓인 폐기물질은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와 상부가이드게이트(420)가 후진할 때 상기 상부투입구(110)의 단부에 의해 쓸어모아져 낙하된다.
한편,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는 후진하여 상기 하부배출구(120)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상기 상부호퍼(20)에 저장되어 있던 폐기물질은 상기 하부호퍼(3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520)는 후진하게 되고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520)의 경사가이드판(560)이 상기 하부배출구(120)와 같은 경사로 배치되어 폐기물질이 쉽게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특히, 상기 경사가이드판(560)은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520)를 수용하는 게이트채널(c) 내부로 폐기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차단한다.
상기 상부호퍼(20) 내의 폐기물질이 모두 배출되어 상기 하부호퍼(30)로 투하되면, 상기 하부개폐게이트(320)를 닫고 상기 상부개폐게이트(220)를 열면, 다시 폐기물질은 상기 상부호퍼(20)에 투입되어 일정량에 도달할 때까지 저장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분리기 20 : 상부호퍼
30 : 하부호퍼 40 : 아웃렛노즐
100 : 하우징
110 : 상부투입구 120 : 하부배출구
200 : 상부개폐수단 210 : 개폐레일바
220 : 상부개폐게이트 221 : 기어홀
230 : 개폐기어 240 : 개폐회전축
250 : 종동스프라켓 260 : 구동스프라켓
270 : 구동체인 280 : 회전실린더
300 : 하부개폐수단 310 : 개폐레일바
320 : 하부개폐게이트 321 : 기어홀
330 : 개폐기어 340 : 개폐회전축
350 : 종동스프라켓 360 : 구동스프라켓
370 : 구동체인 380 : 회전실린더
400 : 상부가이드수단
410 : 가이드레일 420 : 상부가이드게이트
421 : 기어홀 430 : 가이드기어
440 : 가이드회전축 450 : 전달체인
460 : 경사가이드판 470 : 전달스프라켓
500 : 하부가이드수단
510 : 가이드레일 520 : 하부가이드게이트
521 : 기어홀 530 : 가이드기어
540 : 가이드회전축 550 : 전달체인
560 : 경사가이드판 570 : 전달스프라켓
c : 게이트채널

Claims (5)

  1. 진공압에 의해 흡입되는 폐기물질에서 분진은 별도로 배출시키고 폐기물질은 낙하하도록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에서 낙하된 폐기물질을 저장했다가 하측으로 배출하는 상부호퍼와, 상기 상부호퍼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호퍼보다 더 큰 체적을 갖는 하부호퍼를 포함하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호퍼는,
    상부에 상기 분리기로부터 낙하하는 폐기물질이 투입되는 상부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시 저장된 폐기물질을 배출하는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상부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면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개폐게이트를 포함하는 상부개폐수단;
    상기 하부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면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개폐게이트를 포함하는 하부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부개폐게이트와 하부개폐게이트는 서로 교대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분리기 내부에 항상 진공압이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폐기물질 처리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폐수단은,
    한 쌍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폐기물질이 투입되는 상부투입구의 하측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개폐레일바와, 상기 개폐레일바의 상부에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어홀이 형성되는 상부개폐게이트와, 상기 상부개폐게이트의 양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가 상기 기어홀에 각각 삽합되는 개폐기어와, 양단에 상기 개폐기어가 각각 결합되는 개폐회전축과, 상기 개폐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어의 맞은편 상측에는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면에는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어홀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게이트와,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의 양단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가 상기 기어홀에 각각 삽합되는 가이드기어와, 양단에 상기 가이드기어가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회전축과, 상기 개폐회전축 및 가이드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전달스프라켓과, 상기 전달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전달체인 및 상기 상부가이드게이트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폐수단은,
    한 쌍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폐기물질이 배출되는 하부배출구의 하측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개폐레일바와, 상기 개폐레일바의 상부에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어홀이 형성되는 하부개폐게이트와, 상기 하부개폐게이트의 양단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가 상기 기어홀에 각각 삽합되는 개폐기어와, 양단에 상기 개폐기어가 각각 결합되는 개폐회전축과, 상기 개폐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어의 맞은편 상측에는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면에는 거치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고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어홀이 형성되는 하부가이드게이트와,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의 양단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치가 상기 기어홀에 각각 삽합되는 가이드기어와, 양단에 상기 가이드기어가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회전축과, 상기 개폐회전축 및 가이드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전달스프라켓과, 상기 전달스프라켓을 연동시키는 전달체인 및 상기 하부가이드게이트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KR1020200088479A 2020-07-16 2020-07-16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KR102389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479A KR102389925B1 (ko) 2020-07-16 2020-07-16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479A KR102389925B1 (ko) 2020-07-16 2020-07-16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813A true KR20220009813A (ko) 2022-01-25
KR102389925B1 KR102389925B1 (ko) 2022-04-26

Family

ID=8004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479A KR102389925B1 (ko) 2020-07-16 2020-07-16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845A (ko) *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대청씨앤엠 파우더 제조 및 패키징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515Y1 (ko) * 2007-05-03 2007-08-31 삼흥산업개발 (주) 파쇄골재의 선별혼입이송장치
KR100787958B1 (ko) * 2004-09-25 2007-12-31 구재완 폐합성 고분자화합물의 연속식 열분해 시스템
KR100883973B1 (ko) 2007-08-06 2009-02-17 에이피엠 주식회사 폐촉매의 자동 연속 분리장치
KR101382588B1 (ko) 2013-05-08 2014-04-07 주식회사 제이콘 산업용 폐기물질 수거장치
JP2020050415A (ja) * 2018-09-28 2020-04-02 昭和機械商事株式会社 スライドゲ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58B1 (ko) * 2004-09-25 2007-12-31 구재완 폐합성 고분자화합물의 연속식 열분해 시스템
KR200436515Y1 (ko) * 2007-05-03 2007-08-31 삼흥산업개발 (주) 파쇄골재의 선별혼입이송장치
KR100883973B1 (ko) 2007-08-06 2009-02-17 에이피엠 주식회사 폐촉매의 자동 연속 분리장치
KR101382588B1 (ko) 2013-05-08 2014-04-07 주식회사 제이콘 산업용 폐기물질 수거장치
JP2020050415A (ja) * 2018-09-28 2020-04-02 昭和機械商事株式会社 スライドゲ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845A (ko) *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대청씨앤엠 파우더 제조 및 패키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925B1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8587U (ja) 袋詰めゴミ処理装置
EP2046667B1 (e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material
KR101382588B1 (ko) 산업용 폐기물질 수거장치
CN108906191A (zh) 一种环保型建筑垃圾处理设备
KR102389925B1 (ko)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US20140116965A1 (en) Separator and method for separating a heterogeneous supply
KR101388322B1 (ko) 드럼통 세척액 정화장치 및 세척 볼 회수 및 투입장치
US20080028952A1 (en) Compactor construction
CN210235258U (zh) 一种拦污清漂船
KR100799944B1 (ko) 음식물 쓰레기 공기 흡입 이송에서의 각종 협잡물과 고압공기간 분리 장치
EP0815912B1 (de) Verfahren zum Abräumen von Schwimmstoffen und Räumvorrichtung
CN117263317A (zh) 一种压力气动隔油池及其使用方法
KR101905504B1 (ko) 슬러지 유도판 및 플라이트 레일 조절기술을 적용한 스컴제거형 슬러지 수집장치
KR100729952B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용 여과 스크린
CN213651939U (zh) 一种手推式餐厨油水分离器
CN109954565B (zh) 一种塑料垃圾破碎装置
KR20130025777A (ko) 트롬멜장치
NO803214L (no) Transportinnretning for vaesker.
KR100729718B1 (ko)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설비용 이송관 자동 청소 장치
CN214086107U (zh) 垃圾收集箱
KR102619645B1 (ko) 협잡물 처리기
CN220827028U (zh) 过程无菌的填充机出料装置
CN218653198U (zh) 污水处理排泥装置
KR100900025B1 (ko)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효율을향상시키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CN218721533U (zh) 一种工业污泥的回收利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