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685A - 버튼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버튼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685A
KR20220008685A KR1020200087139A KR20200087139A KR20220008685A KR 20220008685 A KR20220008685 A KR 20220008685A KR 1020200087139 A KR1020200087139 A KR 1020200087139A KR 20200087139 A KR20200087139 A KR 20200087139A KR 20220008685 A KR20220008685 A KR 2022000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l end
flat
secondary battery
button
type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김병습
성주환
이용곤
이제준
황보광수
민건우
조민수
채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8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685A/ko
Priority to EP21842476.0A priority patent/EP4087033A4/en
Priority to PCT/KR2021/009060 priority patent/WO2022015058A1/ko
Priority to CN202180012614.XA priority patent/CN115053385A/zh
Priority to US17/799,096 priority patent/US20230065592A1/en
Priority to JP2022542660A priority patent/JP2023510836A/ja
Publication of KR2022000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74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inside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캔에 전극조립체가 탑재되면 상부캔이 하부캔에 결합되는 버튼형 이차전지로써, 제1평면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제1측벽부가 형성되는 하부캔; 제2평면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제2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평면부는 제1평면부와 마주하고 제2측벽부는 제1측벽부 외부에 놓이도록 상기 하부캔과 결합되는 상부캔; 음극,분리막,양극이 적층된 상태로 권취되며 하부캔과 상부캔의 내부공간 내에 탑재되며 음극은 하부캔에 연결되고 양극은 상부캔에 연결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상부캔과 하부캔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제2측벽부와 제1측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벽부는 제1평면부와 제1측벽부가 연결되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절곡되며 상기 제1평면부의 아래에 놓이는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말단부와 제1평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튼형 이차전지{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직경이 높이 보다 더 큰 형태를 갖는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캔의 끝단이 하부캔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절곡되어 상부캔과 하부캔이 더 강건하게 결합된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코인형 전지, 단추형 전지 등으로도 통용되는 버튼형 전지는 높이 보다 직경이 더 큰 형태로써 얇은 단추 또는 버튼 형상을 가지며, 리모컨, 시계, 장남감, 컴퓨터부품 등 여러 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튼형 전지는 주로 재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로 제조되었었으나, 최근 소형화기기의 개발에 맞춰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도 널리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버튼형 이차전지 또한 원통형 또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와 같이 케이스 내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내장되어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1 은 종래의 버튼형 이차전지의 종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형 이차전지는 상부캔(4)과 하부캔(3)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되, 상기 상부캔(4)과 하부캔(3)은 높이 보다 직경이 더 큰 납작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캔(4)은 하부캔(3) 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캔(3)에는 양극, 분리막, 음극이 적층된 상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1) 및 전해액(미도시)이 탑재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는 회전하는 권심에 분리막, 음극, 분리막, 양극 순서로 투입되어 권취되며 상기 권심이 빠진 중심홀에는 센터핀(2)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음극에서 연장된 음극탭(미도시) 및 양극에서 연장된 양극탭(미도시)이 돌출되고 상기 음극탭과 양극탭은 하부캔(3)과 상부캔(4) 각각에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캔(4)과 하부캔(3)의 결합시 쇼트를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부캔(4)과 하부캔(3)이 접촉하는 지점에는 전기전도성이 없는 가스켓(5)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캔(4)의 끝단이 가스켓(5)을 가압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하부캔(3)에 체결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체결방식은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부캔과 하부캔의 분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외부충격에 더 강건한 구조를 갖는 버튼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캔에 전극조립체가 탑재되면 상부캔이 하부캔에 결합되는 버튼형 이차전지로써, 제1평면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제1측벽부가 형성되는 하부캔; 제2평면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제2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평면부는 제1평면부와 마주하고 제2측벽부는 제1측벽부 외부에 놓이도록 상기 하부캔과 결합되는 상부캔; 음극,분리막,양극이 적층된 상태로 권취되며 하부캔과 상부캔의 내부공간 내에 탑재되며 음극은 하부캔에 연결되고 양극은 상부캔에 연결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상부캔과 하부캔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제2측벽부와 제1측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벽부는 제1평면부와 제1측벽부가 연결되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절곡되며 상기 제1평면부의 아래에 놓이는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말단부와 제1평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켓의 끝단에는 말단부를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는 제1평면부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제2측벽부는, 제2평면부에서 절곡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본체부 보다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와 확장부 사이에는 점차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단면모양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와 말단부 사이의 연결지점은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다.
상기 말단부에서 돌출된 노출부는 말단부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제1평면부에는 말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아랫쪽으로 돌출부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말단부에서 돌출된 노출부는 말단부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면부에는 노출부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랫쪽으로 돌출부가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와 노출부 및 말단부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는 상기 말단부의 아랫쪽으로 확장되어 상기 말단부의 아랫쪽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버튼형 이차전지 복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이차전지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부캔 제2측벽부의 끝단에 형성된 말단부가 제1평면부와 제1측벽부가 연결되는 모서리를 감싸며 상기 제1평면부에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종래 구조 대비 상부캔과 하부캔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가스켓의 끝단에는 상기 말단부를 지나 제1평면부 아래에 위치하며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캔과 하부캔 사이의 전기적 쇼트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는 말단부와 평탄면을 형성하므로, 금속물체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쇼트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상기 노출부는 상기 말단부의 아랫쪽으로 확장되어 상기 말단부의 아랫쪽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되므로 쇼트발생 활률을 더 낮출 수 있고, 물리적 충격에서 말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버튼형 이차전지의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상부캔의 말단부가 하부캔의 제1평면부 아래로 절곡되어 상부캔과 하부캔의 결합이 이뤄진 모습이 나타난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노출부의 두께가 증대되어 상기 노출부와 말단부가 평탄면을 이룬 모습이 나타난 종단면도.
도 4 는 돌출부와 말단부 사이에서 연속된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노출부가 두께 및 길이가 증대된 모습이 나타난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노출부가 말단부의 아랫쪽으로 확장되어 상기 말단부의 아랫쪽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형상을 갖는 모습이 나타난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직경이 높이 보다 더 큰 형상을 갖는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써, 하부캔(10)과 상부캔(20)이 더 강건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 버튼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상부캔(20)의 말단부(26)가 하부캔(10)의 제1평면부(11) 아래로 절곡되어 상부캔(20)과 하부캔(10)의 결합이 이뤄진 모습이 나타난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전극조립체(1)는 회전하는 권심에 분리막, 음극, 분리막, 양극 순서로 투입되어 권취된 후, 상기 권심이 탈거되면 중심에 센터핀이(2)이 삽입된 구조를 가지며, 양극에서 연장된 양극탭(미도시)은 일측면(도면에서 상면)에서 돌출되고 음극에서 연장된 음극탭(미도시)은 타측면(도면에서 하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하부캔(10)에 완전하게 삽입되기 전에 상기 음극탭은 하부캔(10)에 접합되고 양극탭은 상부캔(20)에 접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캔(10)은 원판형태를 갖는 제1평면부(11)의 둘레를 따라 수직 윗쪽으로 제1측벽부(1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부캔(10)에는 전극조립체(1)가 안착되면 미리정해진 만큼의 전해액이 주액된다.
상기 상부캔(20)은 원판형태를 갖는 제2평면부(21)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제2측벽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평면부(21)의 직경은 제1평면부(11) 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부(12)는 제2측벽부(22)의 내측으로 진입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캔(20)과 하부캔(10)의 결합이 이뤄질 때, 상기 제2평면부(21)는 제1평면부(11)와 마주하고 제2측벽부(22)는 제1측벽부(12) 외부에 놓인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캔(10)과 상부캔(20) 각각은 음극탭과 양극탭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캔(20)과 하부캔(10)이 맞닿게 되는 지점인 제1측벽부(12)와 제2측벽부(22) 사이에는 가스켓(30)이 삽입된 상태로 상부캔(20)과 하부캔(10)의 결합이 이뤄진다. 상기 가스켓(30)은 제1측벽부(12)의 끝단과 제2평면부(21)가 맞닿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그 끝단은 제1측벽부(12)의 내측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벽부(22)는, 제1평면부(11)와 제1측벽부(12)가 연결되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절곡되며 상기 제1평면부(11)의 아래에 놓이는 말단부(26)를 갖는다. 이때, 상기 가스켓(30)은 상기 말단부와(26) 제1평면부(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아울러, 상기 가스켓(30)의 끝단은 말단부(26)를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부(31)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구조에서는 제2측벽부(22)의 말단부(26)가 하부캔(10)의 제1평면부(11) 아래에 놓여 상기 하부캔(10)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이므로, 상부캔(20)과 하부캔(10)의 압입력에 의해 체결력이 형성되는 종래 구조 대비 더 강건하게 하부캔(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측벽부(22)는 제2평면부(21)에서 절곡되는 본체부(23) 및 상기 본체부(23)와 상기 말단부(26)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본체부(23) 보다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3)와 상기 확장부(25) 사이에는 점차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단면 모양을 갖는 경사부(24)가 형성된다.
따라서, 말단부(26)가 절곡되기 전에 상부캔(20) 내측으로 하부캔(10)이 진입할 때 보다 용이하게 진입이 이뤄질 수 있고, 하부캔(10) 내부와 가까운 제1측벽부(12) 끝단 쪽(도면에서 상측)에서 가스켓(30)이 더 압축되므로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벽부(22)에서 확장부(25)와 말단부(26) 사이의 연결지점은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날카로움에 의한 파손 또는 이차전지가 탑재되는 장치의 긁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노출부(31)의 두께가 증대되어 상기 노출부(31)와 말단부(26)가 평탄면을 이룬 모습이 나타난 종단면도이고, 도 4 는 돌출부(31)와 말단부(26) 사이에서 연속된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노출부(31)가 두께 및 길이가 증대된 모습이 나타난 종단면도이다.
도 3, 4 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상기 말단부(26)에서 돌출된 가스켓(30)의 노출부(31)는 말단부(26)에서 이어지는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D)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캔(10)의 제1평면부(11)에는 말단부(26)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아랫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13)가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차전지의 바닥면으로 말단부(26)에 의해 아래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와 같이 돌출된 부분을 상쇄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3)는 외부기기의 음극단자와 용이하게 접촉하기 위해 돌출된 구조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노출부(31)는 돌출부(13)와도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짐으로써 버튼형 이차전지에서 상기 돌출부(13), 노출부(31), 말단부(26)는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노출부(31)의 길이에 따라서 이러한 평탄면은 도 3 과 같이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 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상기 노출부(31)는 평탄면을 형성함에 따라 말단부(26)와 하부캔(10)의 쇼트를 더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노출부(31)가 말단부(26)의 아랫쪽으로 확장되어 상기 말단부(26)의 아랫쪽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형상을 갖는 모습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상기 노출부(31)는 끝부분(31a)이 상기 말단부(26)의 아랫쪽으로 확장되어 상기 말단부(26)의 아랫쪽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말단부(26)와 하부캔(10)은 더욱 확실하게 단절이 이뤄지므로 쇼트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탄성을 가지며 전기를 절연하는 가스켓(30)이 최하단에 놓이므로, 이차전지의 적재 및 안착이 이뤄질 때 이차전지 표면 긁힘 등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이차전지들이 종방향으로 적재될 때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부캔(20) 제2측벽부(22)의 끝단에 형성된 말단부(26)가 제1평면부(11)와 제1측벽부(12)가 연결되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절곡되며 상기 제1평면부(11) 아래에 놓이게 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 구조 대비 상부캔(20)과 하부캔(10) 사이의 체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켓(30)의 끝단에는 상기 말단부(26)를 지나 제1평면부(11) 아래에 위치하며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캔(20)과 하부캔(10) 사이의 전기적 쇼트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31)는 말단부(26)와 평탄면을 형성하므로, 금속물체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쇼트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상기 노출부(31)는 상기 말단부(26)의 아랫쪽으로 확장되어 상기 말단부(26)의 아랫쪽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되므로 쇼트발생 활률을 더 낮출 수 있고, 물리적 충격에서 말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 하부캔
11 : 제1평면부
12 : 제1측벽부
20 : 상부캔
21 : 제2평면부
22 : 제2측벽부
26 : 말단부
30 : 가스켓
31 : 노출부

Claims (10)

  1. 하부캔에 전극조립체가 탑재되면 상부캔이 하부캔에 결합되는 버튼형 이차전지로써,
    제1평면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제1측벽부가 형성되는 하부캔;
    제2평면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제2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평면부는 제1평면부와 마주하고 제2측벽부는 제1측벽부 외부에 놓이도록 상기 하부캔과 결합되는 상부캔;
    음극,분리막,양극이 적층된 상태로 권취되며 하부캔과 상부캔의 내부공간 내에 탑재되며 음극은 하부캔에 연결되고 양극은 상부캔에 연결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상부캔과 하부캔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제2측벽부와 제1측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벽부는 제1평면부와 제1측벽부가 연결되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절곡되며 상기 제1평면부의 아래에 놓이는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말단부와 제1평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끝단에는 말단부를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는 제1평면부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부는,
    제2평면부에서 절곡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본체부 보다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확장부 사이에는 점차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단면모양을 갖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와 말단부 사이의 연결지점은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에서 돌출된 노출부는 말단부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면부에는 말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아랫쪽으로 돌출부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에서 돌출된 노출부는 말단부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를 갖고, 상기 제1평면부에는 노출부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랫쪽으로 돌출부가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와 노출부 및 말단부가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말단부의 아랫쪽으로 확장되어 상기 말단부의 아랫쪽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튼형 이차전지 복수 개가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차전지모듈.
KR1020200087139A 2020-07-14 2020-07-14 버튼형 이차전지 KR20220008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39A KR20220008685A (ko) 2020-07-14 2020-07-14 버튼형 이차전지
EP21842476.0A EP4087033A4 (en) 2020-07-14 2021-07-14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PCT/KR2021/009060 WO2022015058A1 (ko) 2020-07-14 2021-07-14 버튼형 이차전지
CN202180012614.XA CN115053385A (zh) 2020-07-14 2021-07-14 纽扣型二次电池
US17/799,096 US20230065592A1 (en) 2020-07-14 2021-07-14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JP2022542660A JP2023510836A (ja) 2020-07-14 2021-07-14 ボタン型二次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39A KR20220008685A (ko) 2020-07-14 2020-07-14 버튼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685A true KR20220008685A (ko) 2022-01-21

Family

ID=7955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139A KR20220008685A (ko) 2020-07-14 2020-07-14 버튼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65592A1 (ko)
EP (1) EP4087033A4 (ko)
JP (1) JP2023510836A (ko)
KR (1) KR20220008685A (ko)
CN (1) CN115053385A (ko)
WO (1) WO20220150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941A (ja) * 2002-02-19 2003-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ン形電池
JP2007172859A (ja) * 2005-12-19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ボタン形アルカリ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318122B (zh) * 2009-02-09 2015-08-19 瓦尔达微电池有限责任公司 纽扣电池和用于产生该纽扣电池的方法
CN104662694A (zh) * 2012-09-11 2015-05-27 儒特杰德公司 具备耦合加强部的二次电池用外壳
JP6811003B2 (ja) * 2014-11-19 2021-01-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及び電気化学セルの製造方法
KR101865383B1 (ko) * 2016-06-03 2018-06-07 울산과학기술원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차 전지 모듈 제조 방법
EP3255714B1 (de) * 2016-06-07 2019-07-31 VARTA Micro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n mit lithium-depot,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solcher zellen und batterie mit solchen zellen
CN107425145B (zh) * 2017-06-20 2023-06-20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钮扣式锂电芯密封结构及密封方法
FI128151B (fi) 2017-10-11 2019-11-15 Build Care Oy Polymeeridispersio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CN207587785U (zh) * 2017-11-10 2018-07-06 松栢投资有限公司 可充电电池
KR102512119B1 (ko) * 2018-08-16 2023-03-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WO2020036440A1 (ko) * 2018-08-16 2020-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20210077676A (ko) * 2018-09-11 2021-06-25 에너자이저 브랜즈, 엘엘씨 슬롯형 그로밋을 갖춘 보청기 배터리
CN111009625A (zh) * 2019-12-30 2020-04-14 广东微电新能源有限公司 储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0836A (ja) 2023-03-15
EP4087033A1 (en) 2022-11-09
CN115053385A (zh) 2022-09-13
US20230065592A1 (en) 2023-03-02
WO2022015058A1 (ko) 2022-01-20
EP4087033A4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029B1 (ko) 이차전지
JP4499648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965684B1 (ko) 전지 팩
US20170352845A1 (en) Power battery top cover and power battery
KR101142600B1 (ko) 이차전지
US11258143B2 (en) Battery module, secondary battery and cap assembly thereof
KR20210078998A (ko) 이차 전지
KR101136288B1 (ko) 배터리 팩
KR101073313B1 (ko) 이차전지
US20100310925A1 (en) Cylindric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9214698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fixing part on the inside of the can with a defined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electrode assembly
KR20220008685A (ko) 버튼형 이차전지
KR20080037869A (ko) 이차전지
US20230223625A1 (en)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JP2548464B2 (ja) 非水電解液電池
EP4195376A1 (en)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US8663838B2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center pin having improved structure
KR20210123923A (ko) 이차전지
KR101285898B1 (ko) 이차전지
KR100319110B1 (ko) 각형 이차 전지
US20230143427A1 (en)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KR20220039127A (ko) 버튼형 이차전지
KR20070078860A (ko) 이차전지
KR20210133666A (ko) 이차 전지
KR20230050177A (ko) 버튼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