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883A -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서의 피크 전류 사용량 감소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서의 피크 전류 사용량 감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883A
KR20220007883A KR1020217040343A KR20217040343A KR20220007883A KR 20220007883 A KR20220007883 A KR 20220007883A KR 1020217040343 A KR1020217040343 A KR 1020217040343A KR 20217040343 A KR20217040343 A KR 20217040343A KR 20220007883 A KR20220007883 A KR 2022000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s
row
light
during
sub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토마스 블랭크
일리아스 파파스
마이클 이
Original Assignee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0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25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having all the same time d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4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02B2027/011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comprising devices for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5Reduction of instantaneous peaks of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방출 프레임들의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광을 방출하기 위해 제1 색상의 제1 발광 다이오(LED)들을 구동하고,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광을 방출하기 위해 제2 색상의 제2 LED들을 구동하고,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광을 방출하기 위해 제3 색상의 제3 LED들을 구동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제1, 제2, 및 제3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필드의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 상으로 지향된다. 제1, 제2, 및 제3 LED들은 제1 LED들이 제2 LED들로부터 제1 거리 떨어져 있고 제1 LED들이 제3 LED들로부터 제2 거리 떨어져 있도록 LED들의 어레이 상에서 정렬된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서의 피크 전류 사용량 감소
본 출원은 2019년 5월 9일에 출원된 그리스 출원 번호 20190100204 및 2019년 6월 3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6/430,135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리스 특허 출원 번호 20190100204 및 미국 출원 번호 16/430,135의 내용들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이한 시간들에 켜지는 적어도 발광 다이오드(LED)들의 서브세트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 현실(AR) 시스템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또는 근안 디스플레이(near-eye display)로서 자주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뷰어의 눈에 광을 방출하는 LED들의 어레이 및 디스플레이와 눈 사이에 위치한 광학 블록을 포함한다. 광학 블록은 상기 어레이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하고 광이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이미지 필드에 투사되도록 광의 지향방향을 조정하는 광학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LED들의 어레이가 광을 방출하고, 광이 이미지 필드 상의 픽셀 위치들에 투사된다.
주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ED들의 어레이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는 색상들(예를 들어, 적색, 청색, 녹색) 각각에 대해 많은 수의 LED들(예를 들어, 2560개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레이의 모든 LED들(예를 들어, 7,680개의 LED들)을 동시에 켜는 것은 많은 양의 순시 전류를 소모시킨다. LED들의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해 많은 양의 전류가 필요한 경우, LED들의 어레이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복잡한 시스템 설계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한 시스템 설계를 개발하고 제조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프로세스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전류가 사용되는 경우, 실리콘의 성능이 저하되어 불량품들이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LED들의 어레이로부터의 광을 이미지 필드로 투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LED들의 어레이로부터 방출된 광은 회전 미러(rotating mirror)로 지향될 수 있고, LED들의 어레이와 이미지 필드 사이에 위치된 회전 미러에 의해 이미지 필드로 재지향될 수 있다. 미러의 지향방향에 따라서, 광은 이미지 필드의 픽셀 위치들의 특정 서브세트를 조명하도록 재지향된다. 미러가 회전함에 따라, 광은 픽셀 위치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에 투사되고, 미러가 전체 이미지 필드를 스캐닝할 때 이미지 필드에 이미지들이 생성된다. LED들의 어레이는 동일한 색상의 LED들이 동일한 행(row)에 있도록 배열되는 각 색상(예를 들어, 적색, 청색, 녹색)에 대한 복수의 LED들(예를 들어, 2560개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을 방출하기 위해 LED들의 어레이를 구동할 때, 주어진 시간에 전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방출 프레임의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상이한 서브세트들의 LED들이 켜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ED들의 어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각의 방출 프레임은 2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된다.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제1 LED들이 켜져 제1 색상(예를 들어, 적색)의 광을 방출하는 반면, 제2 색상(예를 들어, 녹색)의 제2 LED들과 제3 색상(예를 들어, 청색)의 제3 LED들은 꺼진다. 제1 서브프레임에 이어 제2 서브프레임 동안에는, 제1 LED들은 꺼지고, 제2두 LED들과 제3 LED들이 켜진다. 제1 LED들의 행은 제2 LED들의 행으로부터 제1 거리 떨어져 있고, 제3 LED들의 행은 제2 LED들의 행으로부터 제2 거리 떨어져 있으며, 여기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는 상이하다.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제1 LED들, 제2 LED들, 및 제3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이 적절한 픽셀 위치들에 투사되도록 적어도 제1 서브프레임 및 제2 서브프레임의 방출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방출 프레임은 3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된다.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제1 LED들이 켜지고 제2 LED들과 제3 LED들이 꺼진다.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제2 LED들이 켜지고 제1 LED들과 제3 LED들이 꺼진다. 제3 서브프레임 동안, 제3 LED들이 켜지고 제1 LED들과 제2 LED들이 꺼진다. 제1 LED들의 행은 제2 LED들의 행으로부터 제1 거리 떨어져 있고, 제3 LED들의 행은 제2 LED들의 행으로부터 제2 거리 떨어져 있으며, 여기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는 동일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안 디스플레이(NED)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NED의 아이웨어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어셈블리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들(LEDs)의 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LED로부터 이미지 필드로 방출된 광의 투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필드 상의 픽셀 위치들의 행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프레임에 2개의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LED들의 방출 패턴들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프레임에 3개의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LED들의 방출 패턴들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방출 프레임들에 대해 LED들이 광을 투사하는 행들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방출 프레임들에 대해 LED들이 광을 투사하는 행들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들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실시예들은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LED들의 어레이에 의한 피크 전류 사용량을 줄이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어레이의 모든 LED들을 동시에 켜는 대신, 제1 색상의 제1 LED들이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광을 방출하도록 구동되고 제2 색상의 제2 LED들은 비활성화된다. 동일한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2 LED들이 구동되어 광을 방출하는 반면 제1 LED들은 비활성화된다.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공 현실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이와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공 현실은 사용자에게 제공 전에 일부 방식으로 조정된 현실의 형태이고, 이는 예를 들어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혼합 현실(MR), 하이브리드 현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 및/또는 유도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현실 콘텐트는 완전하게 생성된 콘텐트 또는 캡처된 (예를 들어, 실세계(real-world)) 콘텐트와 결합되는 생성된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현실 콘텐트는 비디오, 오디오, 햅틱 피드백, 또는 그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들 중 임의의 것은 단일 채널로 또는 다중 채널들(예컨대, 뷰어에게 3차원 효과를 생성하는 스테레오 비디오와 같음)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공 현실은 또한 예를 들어 인공 현실에서 콘텐트를 생성하고/하거나 인공 현실에서 달리 사용되는(예를 들어, 활동들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 제품들, 액세서리들, 서비스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과 관련될 수 있다.  인공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공 현실 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독립형 HMD,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시스템, 또는 인공 현실 콘텐트를 한명 이상의 뷰어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하드웨어 플랫폼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랫폼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근안 디스플레이(NEAR-EYE DISPLA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안 디스플레이(NED)의 다이어그램이다. NED(100)는 사용자에게 미디어를 제공한다. NED(100)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의 예들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디오는 NED(100), 콘솔(도시되지 않음) 또는 둘 모두로부터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고,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피커들 및/또는 헤드폰들)를 통해 제공된다. NED(100)는 VR NED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NED(100)는 또한 증강 현실(AR) NED, 혼합 현실(MR) NED,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서 동작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NED(100)는 컴퓨터 생성 요소들(예를 들어, 이미지, 비디오, 사운드 등)로 물리적 실세계 환경의 뷰들을 증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NED(100)는 프레임(105) 및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프레임(105)은 사용자들에게 미디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가 NED(100)에 의해 제공된 콘텐트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눈에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이미지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소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소스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광원, 광학 시스템,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VR 시스템의 예일 뿐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1은 또한 HMD(Head-Mounted-Display)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NED(100)의 단면도(200)이다. 단면(200)은 적어도 하나의 도파관 어셈블리(210)를 도시한다. 사출 동공(exit pupil)은 사용자가 NED(100)를 착용할 때 아이박스 영역(230)에서 눈(220)이 위치하는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05)은 아이웨어 안경의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를 위해, 도 2는 단일의 눈(220) 및 단일 도파관 어셈블리(210)와 연관된 단면(200)을 도시하지만,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2에 도시된 도파관 어셈블리(210)로부터 분리된 다른 도파관 어셈블리가 사용자의 다른 눈(220)에 이미지 광을 제공한다.
도 2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파관 어셈블리(210)는 사출 동공을 통해 눈(220)으로 이미지 광을 지향시킨다. 도파관 어셈블리(210)는 NED(100)의 시야(field of view)(이하 'FOV'로 약칭함)를 넓히고 중량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하는 하나 이상의 굴절률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예를 들어, 플라스틱, 유리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들에서, NED(100)는 도파관 어셈블리(210)와 눈(220) 사이에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들을 포함한다. 광학 요소들은 도파관 어셈블리(210)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 도파관 어셈블리(210)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의 일부 다른 광학 조정,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확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파관 어셈블리(210)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의 수차를 보정). 광학 요소들의 예는 애퍼처, 프레넬 렌즈, 볼록 렌즈, 오목 렌즈, 필터, 또는 이미지 광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파관 어셈블리(210)는 도 5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될 방식으로 많은 퓨필 복제들(pupil replications)을 생성하고 아이박스 영역(230)으로 보낼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NED(100)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파관 어셈블리(210) 또는 도파관 어셈블리(210)의 일부)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일부 다른 NED들, 또는 디스플레이 이미지 광을 특정 위치로 지향시키는 다른 시스템의 일부이다. 실시예들 및 구현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또한 도파관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캐닝 디스플레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스캐닝 미러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스캐닝 미러 없이 도파관을 통해 이미지 필드에 광을 투사하는 광 방출기들(light emitters)의 매트릭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 방출기들의 2차원 매트릭스에 의해 방출된 이미지는 광이 도파관 또는 스크린에 도달하기 전에 광학 어셈블리(예를 들어, 렌즈)에 의해 확대될 수 있다.
도파관 및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는 특정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소스 어셈블리(310), 출력 도파관(320), 및 컨트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양쪽 눈(both eyes) 또는 단일 눈(single eye)을 위한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도 3a는 단일 눈(220)과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와 분리된(또는 부분적으로 분리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는 사용자의 다른 눈에 이미지 광을 제공한다. 부분적으로 분리된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각각의 눈에 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에 공유될 수 있다.
소스 어셈블리(310)는 이미지 광(355)을 생성한다. 소스 어셈블리(310)는 광원(340) 및 광학 시스템(345)을 포함한다. 광원(34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광 방출기들을 사용하여 이미지 광을 생성하는 광학 구성요소이다. 각각의 광 방출기는 단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340)은 적색 이미지 광, 청색 이미지 광, 녹색 이미지 광, 적외선 이미지 광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이미지 광을 생성한다. RGB가 본 개시에서 종종 논의되지만,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원색으로서 적색, 청색 및 녹색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색상들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본 색상들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가지보다 많은 원색들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시스템(345)은 광원(34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광에 대한 포커싱, 결합, 컨디셔닝, 및 스캐닝 프로세스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일련의 광학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학 시스템(345)은 도 3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합 어셈블리, 광 컨디셔닝 어셈블리, 및 스캐닝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소스 어셈블리(310)는 이미지 광(355)을 생성하고 출력 도파관(320)의 커플링 요소(350)로 출력한다.
출력 도파관(320)은 사용자의 눈(220)에 이미지 광을 출력하는 광 도파관이다. 출력 도파관(320)은 하나 이상의 커플링 요소들(350)에서 이미지 광(355)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이미지 광을 하나 이상의 디커플링 요소들(360)로 안내한다. 커플링 요소(350)는 예를 들어, 회절 격자, 홀로그램 격자, 이미지 광(355)을 출력 도파관(320)에 결합하는 일부 다른 요소,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링 요소(350)가 회절 격자인 실시예들에서, 회절 격자의 피치는 전체 내부 반사가 발생하고 이미지 광(355)이 디커플링 요소(360)를 향해 내부적으로 전파하도록 선택된다. 회절 격자의 피치는 300nm 내지 600nm 범위일 수 있다.
디커플링 요소(360)는 출력 도파관(320)으로부터 전체 내부 반사된 이미지 광을 분리한다. 디커플링 요소(360)는 예를 들어, 회절 격자, 홀로그램 격자, 출력 도파관(320)으로부터 이미지 광을 분리하는 일부 다른 요소,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커플링 요소(360)가 회절 격자인 실시예들에서, 회절 격자의 피치는 입사 이미지 광이 출력 도파관(320)을 빠져나가게 하도록 선택된다. 출력 도파관(32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이미지 광의 지향방향 및 포지션은 커플링 요소(350)에 들어가는 이미지 광(355)의 지향방향 및 포지션을 변경함으로써 제어된다. 회절 격자의 피치는 300nm 내지 600nm 범위일 수 있다.
출력 도파관(320)은 이미지 광(355)의 전체 내부 반사를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도파관(320)은 예를 들어, 실리콘, 플라스틱, 유리, 또는 폴리머,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도파관(320)은 비교적 작은 폼 팩터(form factor)를 갖는다. 예를 들어, 출력 도파관(320)은 X-차원을 따라 약 50mm 폭, Y-차원을 따라 30mm 길이 및 Z-차원을 따라 0.5-1mm 두께일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소스 어셈블리(310)의 이미지 렌더링 동작들을 제어한다. 컨트롤러(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지시들(display instructions)에 기초하여 소스 어셈블리(310)에 대한 지시들을 결정한다. 디스플레이 지시들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렌더링하기 위한 지시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지시들은 단순히 이미지 파일(예를 들어, 비트맵)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시들은 예를 들어 VR 시스템(여기에 도시되지 않음)의 콘솔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스캐닝 지시들(scanning instructions)은 이미지 광(355)을 생성하기 위해 소스 어셈블리(310)에 의해 사용되는 지시들이다. 스캐닝 지시들은, 예를 들어, 이미지 광의 소스의 유형(예를 들어, 단색(monochromatic), 다색(polychromatic)), 스캐닝 속도, 스캐닝 장치의 배향, 하나 이상의 조명 파라미터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소스 어셈블리(31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소스 어셈블리(310)는 이미지 필드(도시되지 않음) 상에 투사될 이미지 광(335)을 생성하도록 광학 시스템(345)에 의해 광학적으로 처리되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340)을 포함한다. 광원(340)은 컨트롤러(330) 또는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 회로(370)에 의해 구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회로(370)는 광원(340)의 다양한 광 방출기들에 연결되고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회로 패널이다. 결합되는 구동 회로(370) 및 광원(340)은 때때로 디스플레이 패널(380) 또는 LED 패널(일부 형태의 LED들이 광 방출기들로 사용되는 경우)로 지칭될 수 있다.
광원(340)은 공간적으로 간섭성인 또는 부분적으로 공간적으로 간섭성인 이미지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340)은 다수의 광 방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 방출기들은 수직 공동 표면 방출 레이저(VCSEL) 디바이스, 발광 다이오드(LED), 마이크로LED, 가변 레이저(tunable lasers), 및/또는 일부 다른 발광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원(340)은 광 방출기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원(340)은 광 방출기들의 다중의 세트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세트는 색상에 의해 그룹화되고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광원(340)은 가시 대역(예를 들어, 약 390nm 내지 700nm)의 광을 방출한다. 광원(340)은 컨트롤러(330)에 의해 설정되고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 및 구동 회로(370)에 의해 잠재적으로 조정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 파라미터들에 따라 광을 방출한다. 조명 파라미터는 광을 생성하기 위해 광원(340)에 의해 사용되는 지시이다. 조명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소스 파장, 펄스 속도, 펄스 진폭, 빔 유형(연속 또는 펄스), 방출된 광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파라미터(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340)은 소스 광(385)을 방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광(385)은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의 다중 빔들을 포함한다.
광학 시스템(345)은 광원(340)으로부터의 광을 광학적으로 조정하고 잠재적으로 재지향하는 하나 이상의 광학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의 예시적인 조정의 한 형태는 광을 컨디셔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340)으로부터의 광을 컨디셔닝하는 것은, 예를 들어, 확장, 시준, 하나 이상의 광학 오류들(예를 들어, 필드 곡률(field curvature),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등)에 대한 보정, 광의 일부 다른 조정,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스템(345)의 광학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렌즈, 미러, 애퍼처, 격자,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스템(345)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광(355)으로 지칭된다.
광학 시스템(345)은 이미지 광(355)이 출력 도파관(320)(도 3a에 도시됨)을 향한 특정 방향으로 투사되도록 하나 이상의 반사 및/또는 굴절 부분들을 통해 이미지 광(335)을 재지향시킬 수 있다. 이미지 광이 재지향되는 방향은 하나 이상의 반사 및/또는 굴절 부분들의 특정 방향들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학 시스템(345)은 적어도 2차원으로 스캐닝하는 단일 스캐닝 미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학 시스템(345)은 각각이 서로 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캐닝하는 복수의 스캐닝 미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스템(345)은 래스터 스캔(수평 또는 수직으로), 복공진 스캔(biresonant scan),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학 시스템(345)은 2차원을 따라 스캐닝하고 사용자의 눈에 제공되는 미디어의 2차원 투사 라인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특정 진동 주파수로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들을 따라 제어된 진동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학 시스템(345)은 또한 하나 이상의 스캐닝 미러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학 시스템(345)은 검류계 미러(galvanometer mirror)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검류계 미러는 하나 이상의 미러들로 이미지 광빔을 편향시킴으로써 전류를 감지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전기 기계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검류계 미러는 이미지 광(355)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직교 치수로 스캐닝할 수 있다. 검류계 미러의 이미지 광(355)은 사용자의 눈에 제공되는 미디어의 2차원 라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어셈블리(310)는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다. 광원(34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도파관(320)(도 3a에 도시됨)으로 직접 투사된다.
컨트롤러(330)는 광원(340), 일부 경우들에서는 광학 시스템(345)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3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330)는 다른 유형들의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컨트롤러(33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콘텐트를 취하고, 콘텐트를 개별 섹션들로 분할하는 것을 포함한다. 컨트롤러(330)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서 각 행에 대응하는 광 방출기들을 사용하여 개별 섹션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광원(340)에 지시한다. 컨트롤러(330)는 광의 상이한 조정을 수행하도록 광학 시스템(345)에 지시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30)는 제공된 개별 섹션들을 출력 도파관(320)(도 3a에 도시됨)의 커플링 요소의 상이한 영역들에 스캐닝하도록 광학 시스템(345)을 제어한다. 따라서, 출력 도파관(320)의 사출 동공에서, 각각의 개별 부분은 상이한 위치에 제공된다. 각각의 개별 섹션이 상이한 시간에 제공되는 동안, 개별 섹션들의 제공(presentation) 및 스캐닝은 사용자의 눈이 다른 섹션들을 단일 이미지 또는 일련의 이미지들로 통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빠르게 발생한다. 컨트롤러(330)는 또한 광원(340)의 개별 소스 요소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및/또는 개별 소스 요소에 인가된 전기적 바이어스를 포함하는 스캐닝 지시들을 광원(3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은 범용 프로세서 및/또는 여기에 설명된 특징들을 수행하는 데 전용인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회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범용 프로세서는 프로세서가 여기에 설명된 특정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지시들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전용인 하나 이상의 회로들일 수 있다. 도 3b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이 컨트롤러(330) 및 구동 회로(370)와 분리된 독립형 유닛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은 컨트롤러(330) 및 구동 회로(370)의 서브 유닛일 수 있다. 즉, 이들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330) 또는 구동 회로(370)는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의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한다.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IGHT EMITTING DIODE ARRAY)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 및 3b의 광원(340)에 포함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어레이(400)의 평면도이다. 어레이(400)는 행들과 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어레이(400)는 동일한 색상의 LED들이 동일한 행에 있도록 배치된 적색 LED들(410),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을 포함한다. 녹색 LED들(420)은 녹색 LED들(420)의 한 측면에서 적색 LED들(410)을 따라 정렬된다. 청색 LED들(430)은 적색 LED들(410)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배치되고, 녹색 LED들(420)은 녹색 LED들(420)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적색 LED들(410)의 행은 녹색 LED들(420)의 행으로부터 제1 거리(D1)에 있고, 청색 LED들(430)의 행은 녹색 LED들(420)의 행으로부터 제2 거리(D2)에 있다.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도 6a 및 6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드 동안 적어도 방출 프레임의 다수의 서브프레임들과 상관된다.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LED들의 다양한 다른 구성도 역시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400)는 상이한 색상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색상 배열 및/또는 각 색상에 대한 LED들의 추가 행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LED들은 행들과 행들에 수직인 열들로 배열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어레이(400) 상의 LED들은 다른 형태들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들 중 일부는 대각선으로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배열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행과 열이라는 용어는 요소들의 두 가지 상대적 공간 관계들을 기술할 수 있다. 단순함을 위해, 여기에 설명된 열은 일반적으로 요소들의 수직 라인과 연관되지만, 열은 수직으로(또는 세로로) 배열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행은 수평으로(또는 가로로) 배열될 필요는 없다. 행과 열은 또한 때때로 비선형인 배열을 기술할 수도 있다. 행들과 열들은 반드시 평행 또는 수직 배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행이나 열을 라인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색상에 대해 2개 이상의 LED 라인들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ED 라인들의 수는 각 색상의 밝기에 기초하여 색상마다 변한다. 예를 들어, 적색 LED들은 청색 LED들보다 밝을 수 있다. 어레이의 밝기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어레이에 2개 라인의 적색 LED들과 5개 라인의 청색 LED들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ED들은 마이크로LED(microLED)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수직 공동 표면 발광 레이저(VCSEL)들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광 방출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LED"는 작은 활성 발광 영역(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2,000㎛2 미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20㎛2 미만 또는 10㎛2 미만)을 갖는 특정 유형의 LED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LED의 방출 표면은 대략 5㎛ 미만의 직경을 가질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방출 표면에 대해 더 작은(예를 들어, 2㎛) 또는 더 큰 직경이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LED는 또한 일부 예들에서 시준(collimated) 또는 비-램버시안(non-Lambertian) 광 출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작은 활성 발광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의 밝기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미지 형성의 예(EXAMPLE FORMATION OF AN IMAGE)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LED로부터 이미지 필드로 방출된 광의 투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광원(340)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들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도시한다. 이미지 필드는 광원(340)에 의해 방출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 필드는 도 3a에서 커플링 요소(350)의 일부 또는 디커플링 요소(360)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미지 필드는 실제 물리적 구조가 아니라 이미지 광이 투사되고 이미지가 형성되는 영역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필드는 커플링 요소(350)의 표면이고 이미지 필드 상에 형성된 이미지는 광이 출력 도파관(320)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확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지 필드는 광이 이미지 필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이한 색상들의 광을 결합하는 도파관을 통과한 후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필드는 사용자의 눈에 직접 투사될 수 있다.
스캐닝 동작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스캐닝 미러(520)를 사용하여 광원(340)으로부터의 광을 이미지 필드(530)에 투사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근안 디스플레이(100) 또는 다른 스캔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광원(340)은 도 3b에 도시된 광원(340)에 대응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사용될 수 있다. 광원(340)은 인셋(515) 내의 도트들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발광 디바이스들의 다중 행들 및 열들을 갖는 어레이(4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광원(340)은 각각의 색상에 대해 단일 라인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원(340)은 각각의 색상에 대해 한 라인보다 많은 라인들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340)에 의해 방출된 광(502)은 시준된 광빔의 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광(502)은 LED 행들에 의해 방출되는 다중 빔들을 나타낸다. 미러(520)에 도달하기 전에, 광(502)은 컨디셔닝 어셈블리와 같은 상이한 광학 디바이스들에 의해 컨디셔닝될 수 있다. 미러(520)는 광원(340)으로부터 이미지 필드(530)로 광(502)을 반사 및 투사한다. 미러(520)는 축(5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미러(520)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미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미러일 수 있다. 미러(520)는 도 3b의 광학 시스템(345)의 실시예일 수 있고 또는 광학 시스템(345)의 일부일 수 있다. 미러(520)가 회전함에 따라, 실선의 광(504)의 반사 부분과 점선의 광(504)의 반사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502)은 이미지 필드(530)의 다른 부분으로 지향된다.
미러(520)의 특정 지향방향(즉, 특정 회전 각도)에서, 어레이(400)는 이미지 필드(530)의 일부(예를 들어, 이미지 필드(530) 상의 다중 픽셀 위치들(532)의 특정 서브세트)를 조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LED들은 각각의 LED로부터의 광빔이 대응하는 픽셀 위치(532) 상에 투사되도록 배열되고 이격된다. 인접한 LED 열들 사이의 거리는 도 6a 및 6b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LED와 같은 소형 광 방출기들이 LED들에 사용되어, 다중 광 방출기들의 서브세트로부터의 광빔이 동일한 픽셀 위치(532)에서 함께 투사된다. 다시 말해서, 다중 LED들의 서브세트는 한 번에 단일 픽셀 위치(532)를 집합적으로 조명한다.
이미지 필드(530)는 또한 광(502)이 이미지 필드(530)의 영역에 투사될 때, 이미지 필드(530)의 영역이 광(502)에 의해 조명되고 있기 때문에 스캔 필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이미지 필드(530)는 행들 및 열들의 픽셀 위치들(532)(인셋(534) 내의 블록들에 의해 표시됨)의 매트릭스에 의해 공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픽셀 위치는 단일 픽셀을 나타낸다. 이미지 필드(530)에서 픽셀 위치들(532)(또는 단순히 픽셀들)은 때때로 실제로 추가적인 물리적 구조가 아닐 수 있다. 대신에, 픽셀 위치들(532)은 이미지 필드(530)를 분할하는 공간 영역들일 수 있다. 또한, 픽셀 위치들(532)의 크기들 및 위치들은 광원(340)으로부터의 광(502)의 투사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520)의 주어진 회전 각도에서, 광원(340)으로부터 방출된 광빔들은 이미지 필드(530)의 영역에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필드(530)의 픽셀 위치들(532)의 크기들 및 위치들은 각각의 광빔의 위치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픽셀 위치(532)는 공간적으로 서브픽셀들(도시되지 않음)로 세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셀 위치(532)는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서브픽셀은 하나 이상의 적색 광빔들이 투사되는 위치 등에 대응한다. 서브픽셀들이 존재할 때, 픽셀(532)의 색상은 서브픽셀들의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 평균에 기초한다.
광원(340)의 어레이(400)에 있는 LED의 행들 및 열들의 수는 이미지 필드(530)에서 픽셀 위치(532)의 행들 및 열들의 수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레이(400)의 행에 있는 LED들의 수는 이미지 필드(530)의 행에 있는 픽셀 위치들(532)의 수와 동일하지만, 열에 있는 어레이(400)의 LED들의 수는 2개 이상이지만 이미지 필드(530)의 열에 있는 픽셀 위치들(532)의 수보다 적다. 달리 말하면, 그러한 실시예에서, 광원(340)은 이미지 필드(530)에서 픽셀 위치(532)의 열들의 수와 동일한, 어레이(400)에서의 LED의 열들의 수를 갖지만 이미지 필드(530)보다 더 적은 행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광원(340)은 어레이(400)에 약 1280개의 LED의 열들을 가지며, 이는 이미지 필드(530)의 픽셀 위치(532)의 열들의 수와 동일하지만 3개의 LED의 행들만을 갖는다. 광원(340)은 LED들의 제1 행에서 마지막 행까지 측정된 제1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이미지 필드(530)는 스캔 필드(530)의 1행에서 p행까지 측정된 제2 길이(L2)를 갖는다. 한 실시예에서, L2는 L1보다 크다(예를 들어, L2는 L1보다 50 내지 10,000배 더 큼).
일부 실시예들에서 픽셀 위치(532)의 행들의 수가 어레이(400)의 LED의 행들의 수보다 더 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미러(520)를 사용하여 상이한 시간에 상이한 픽셀들의 행들에 광(502)을 투사한다. 미러(520)가 회전하고 광(502)이 이미지 필드(530)를 통해 빠르게 스캐닝함에 따라, 이미지 필드(530)에 이미지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원(340)은 또한 이미지 필드(530)보다 적은 수의 열들을 갖는다. 미러(520)는 2차원으로 회전하여 이미지 필드(530)를 광으로 채울 수 있다(예를 들어, 행들을 래스터형으로 스캐닝 다운하고, 이미지 필드(530)에서 새로운 열들로 이동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미리 정의된 디스플레이 주기(display period)들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주기는 이미지이 형성되는 시간의 지속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주기는 주어진 시간(예를 들어, 1초) 내에서 방출 프레임이 반복되는 빈도를 나타내는 프레임 속도와 연관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레임 속도의 역수). 회전 미러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주기는 또한 스캐닝 주기(scanning period)로도 지칭될 수 있다. 미러(520)의 완전한 회전 사이클을 스캐닝 주기라고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스캐닝 주기는 전체 이미지 필드(530)가 완전히 스캐닝되는 미리 결정된 사이클 시간을 의미한다. 스캐닝 주기는 복수의 방출 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방출 프레임은 이미지 필드(530) 상의 픽셀 위치들의 특정 서브세트(예를 들어, 이미지 필드 상의 픽셀 위치들의 3개의 행들) 상에 투사된 광에 대응한다. 이미지 필드(530)의 스캐닝은 미러(520)에 의해 제어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광 생성은 미러(520)의 회전과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필드(530)의 1행에 광을 투사하는 초기 포지션에서 이미지 필드(530)의 p행에 광을 투사하는 마지막 포지션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초기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미러(520)의 이동은 스캐닝 주기와 같다. 스캐닝 주기는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프레임 속도와도 관련될 수 있다. 스캐닝 주기를 완료함으로써 스캐닝 주기마다 이미지 필드(530)에 이미지(예를 들어, 프레임)가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 속도는 1초마다 스캐닝 주기들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미러(520)가 회전함에 따라, 광은 이미지 필드를 통해 스캐닝되고 이미지들이 형성된다. 주어진 픽셀 위치(532)의 실제 색상 값 및 광 강도(밝기)는 스캐닝 주기 동안 픽셀 위치를 조명하는 다양한 색상의 광빔들의 평균일 수 있다. 스캐닝 주기를 완료한 후, 새로운 구동 신호 세트가 LED들에 공급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미러(520)는 이미지 필드(530)의 처음 몇 행들에 다시 광을 투사하기 위해 초기 포지션으로 되돌아간다. 미러(520)가 주기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동일한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이한 프레임들의 스캐닝 필드(530)에 상이한 이미지들이 형성된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필드 상의 픽셀 위치들의 행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미지 필드(530)는 픽셀 위치들의 행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행은 복수의 픽셀 위치들을 포함한다.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 이미지 필드(530)에 z개의 행들이 있다. 스캐닝 미러(520)가 회전함에 따라, 어레이(400)로부터 방출된 광은 주어진 시간에 이미지 필드(530)의 상이한 행들을 조명하기 위해 이미지 필드(530)의 상이한 부분들에 투사된다.
일 실시예에서, 어레이(400) 상의 모든 LED들은 방출 프레임의 시작에서 켜지고 방출 프레임의 전반부에 대응하는 방출 주기 동안 광을 방출하도록 구동된다. 방출 주기 동안, 어레이(400)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필드(530) 상의 처음 3개의 행들(예를 들어, Row 1, Row 2, Row 3)의 픽셀 위치들에 투사된다. 예를 들어, 적색 LED들(410)로부터 방출된 적색 광은 Row 1에 투사되고, 녹색 LED들(420)로부터 방출된 녹색 광은 Row 2에 투사되고,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청색 광은 Row 3에 투사된다. 방출 프레임 이후에, 미러(520)는 후속 방출 프레임에서 어레이(400)로부터 방출된 광이 이전 방출 프레임과 비교하여 한 행만큼 오프셋된 이미지 필드(530) 상의 3개의 행들의 픽셀 위치들에 투사되도록 회전한다. 예를 들어, 이제 적색 광이 Row 2에 투사되고, 녹색 광이 Row 3에 투사되고, 청색 광은 Row 4에 투사된다.
그러나, 발광 주기 동안 어레이(400)의 모든 LED들이 동시에 광을 방출하도록 구동되는 경우, 모든 LED들을 동시에 켜기 위해 많은 순시 전류가 요구된다. 그러나, 근안 디스플레이(100)는 어레이(400)의 모든 LED들을 켜는 데 필요한 전류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큰 전류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설계 및 제조 비용이 높아 고가가 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은 쉽게 내려가지 않을 수 있는 큰 열 공급으로 인한 안전 위험뿐만 아니라 고전류로 동작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대로 기능하지 않을 위험이 증가한다. 피크 전류를 줄이기 위해 시분할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방출 프레임을 서브프레임들로 분할하고, 어레이(400)의 모든 LED들을 동시에 켜는 대신 각 서브프레임에서 어레이(400) 상의 상이한 부분의 LED들을 켤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6a는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방출 프레임이 2개의 서브프레임 A, B를 갖는 LED들의 방출 패턴들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어레이(400)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방출 프레임의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어레이(400) 상의 LED 서브세트들을 켜는 것이다. 컨트롤러(330) 또는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375)은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이 이미지 필드(530) 상의 픽셀 위치의 서브픽셀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LED(410)에 인가할 전압 값을 결정한다. 도 6a에 도시된 예에서, 어레이(400) 상의 LED의 제1 서브세트는 방출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A 동안 광을 방출하고, 어레이(400) 상의 LED의 제2 서브세트는 서브프레임 A를 뒤따르는 방출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B 동안 광을 방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LED의 제1 서브세트는 적색 LED들(410)이고, LED의 제2 서브세트는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LED의 제1 서브세트 및 LED의 제2 서브세트는 상이한 색상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LED의 제1 서브세트는 녹색 LED들(420)일 수 있고, LED의 제2 서브세트는 적색 LED들(410) 및 청색 LED들(430)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타이밍도에서, 어레이(400)의 제1 행에 배치된 적색 LED(410)들은 각각의 방출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A 동안 광을 방출한다. 적색 LED들(410)이 켜져 광을 방출하는 동안,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은 꺼진다. 녹색 LED들(420)은 어레이(400)의 제2 행에 배치되고, 각각의 방출 프레임 동안 서브프레임 A에 이어지는 서브프레임 B 동안 광을 방출한다. 청색 LED들(430)은 녹색 LED들(420) 아래에 어레이(400)의 제3 행에 배치되며, 녹색 LED들(420)과 동시에 서브프레임 B 동안 광을 방출한다.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이 켜져 광을 방출하는 동안, 적색 LED들(410)은 꺼진다.
이미지 필드(530)에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적색 LED들(410),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이 이미지 필드(530)에 투사된다. 이미지 필드(530)의 각 픽셀은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로 분할된다. 어레이(400) 상의 모든 LED들이 동시에 광을 방출할 때, 어레이(400) 상의 LED들의 행들은 2개의 인접한 행들 사이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LED들의 상이한 부분들이 상이한 시간에 광을 방출하도록 구동될 때, 어레이(400) 상의 행들 사이의 거리는 이미지 필드(530)에서 이미지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시간 지연에 대해 보상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LED들(410)과 녹색 LED들(420) 사이의 거리는 D1이고, 녹색 LED들(420)과 청색 LED들(430) 사이의 거리는 D2이며, 여기서 녹색 LED들(420)의 행은 적색 LED들(410)의 행과 청색 LED들(430)의 행 사이에 있다. 어레이(400)가 서브프레임 A 동안 적색 LED들을 켜고 서브프레임 B 동안 녹색 LED들을 켜도록 구성될 때, 적색 LED들(410)과 녹색 LED들(420) 사이의 거리 D1은 녹색 LED들(420)과 청색 LED들(430) 사이의 거리 D2의 (n+1/2) 배와 같으며, 여기서 n은 0 또는 0보다 큰 정수이다.
도 6b는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방출 프레임이 3개의 서브프레임들 A', B', C'를 갖는 LED들의 방출 패턴들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서브프레임 A' 동안, LED의 제1 서브세트는 제1 색상의 광을 방출한다. 서브프레임 B' 동안, LED의 제2 서브세트가 광을 방출하고, LED의 제2 서브세트는 LED의 제1 서브세트와 상이한 제2 색상의 광을 방출한다. 서브프레임 C' 동안, LED의 제3 서브세트는 제1 및 제2 색상들과 상이한 제3 색상의 광을 방출한다.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 LED의 제1 서브세트는 적색 LED들(410)이고, LED의 제2 서브세트는 녹색 LED들(420)이며, LED의 제3 서브세트는 청색 LED들(430)이다. 다른 예들에서, LED의 서브세트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색상들을 가질 수 있다. 서브프레임들 A', B', C'는 동일한 지속시간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지속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서브프레임들 A', B', C'의 지속시간의 합은 프레임의 지속시간과 같거나 짧아야 한다.
서브프레임 A' 동안, 적색 LED들(410)이 켜지고 녹색 LED들(420)과 청색 LED들(430)이 꺼진다. 서브프레임 B' 동안, 녹색 LED들(420)이 켜지고 적색 LED들(410)과 청색 LED들(430)이 꺼진다. 서브프레임 C' 동안, 청색 LED들(430)이 켜지고 적색 LED들(410)과 녹색 LED들(420)이 꺼진다.
3개의 서브프레임들이 있고 어레이(400) 상의 각 LED 행이 도 6b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서브프레임 동안 광을 방출하도록 구동될 때, 적색 LED들(410)과 녹색 LED들(420) 사이의 거리 D1 및 녹색 LED들(420)과 청색 LED들(430) 사이의 거리 D2는 동일하다. 그러나, 거리들 D1, D2는, 방출 프레임 동안 어레이(400)의 3개의 모든 행들(예를 들어, 방출 프레임의 전반부 동안 광을 방출 어레이의 3개의 모든 행들)에서 동시에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인접한 행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방출 프레임들에 대해 LED들이 광을 투사하는 행들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각각의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어레이(400) 상의 LED의 제1 서브세트가 켜지고 어레이(400) 상의 LED의 제2 서브세트가 꺼진다. 제1 서브프레임에 이어지는 각각의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어레이(400) 상의 LED의 제1 서브세트가 꺼지고 어레이(400) 상의 LED의 제2 서브세트가 켜진다. 적색 LED들(410),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은 컨트롤러(330)에 의해 동작되어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적절한 방출 서브프레임들 동안 켜지고 꺼진다.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필드(530)를 가로질러 광을 스캐닝하도록 회전하는 미러(520)의 표면에서 반사된다.
도 7a는 제1 방출 프레임 동안 이미지 필드(530) 상으로의 광의 투사를 도시한다. 어레이(400)의 각각의 행에 있는 LED들의 수는 이미지 필드(530)의 행에 있는 픽셀 위치들의 수와 일치한다. 왼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400) 상의 적색 LED들(410)이 3개의 연속적인 방출 프레임들의 제1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켜진다. 적색 LED들(410)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이미지 필드(530)의 Row n에 투사된다.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은 제1 서브프레임 동안 꺼진다. 각각의 적색 LED(410)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필드(530)의 Row n에 있는 픽셀 위치의 적색 서브픽셀을 조명한다.
오른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적색 LED들(410)이 꺼지고,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이 켜진다. 녹색 LED들(420)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필드(530)의 Row n-1에 투사된다. Row n-1은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적색 LED들(410)이 광을 투사하는 Row n에 인접한다.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필드(530)의 Row n-2에 투사된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방출 프레임 이후의 제2 방출 프레임 동안 이미지 필드(530) 상으로의 광의 투사를 도시한다. 미러(520)는 어레이(400)로부터 방출된 광을 재지향시켜 적색 LED들(410),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이 도 7a와 비교하여 한 행만큼 오프셋된 행들에 투사되도록 한다. 왼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400) 상의 적색 LED들(410)로부터의 광은 제2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Row n+1에 투사되며, 여기서 적색 LED들(410)은 Row n+1 상의 픽셀 위치들의 적색 서브픽셀들에 대응한다. 오른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LED들(420)로부터의 광은 Row n에 투사되고, 청색 LED들(430)로부터의 광은 Row n-1에 투사된다. 녹색 LED들(420)로부터 방출된 광은 Row n의 픽셀 위치들의 녹색 서브픽셀들에 대응하고,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은 Row n-1의 픽셀 위치들의 청색 서브픽셀들에 대응한다.
도 7c는 제3 방출 프레임 동안 이미지 필드(530) 상으로의 광의 투사를 도시한다. 왼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LED들(410)로부터의 광은 제3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Row n+2에 투사된다. 제3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녹색 LED들(420)로부터의 광은 Row n+1에 투사되고, 청색 LED들(430)로부터의 광은 Row n에 투사된다.
각각의 방출 프레임은 짧은 시간의 기간(예를 들어, 345ns) 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한 방출 프레임에서 다음 방출 프레임으로 방출되는 광은 사람의 눈으로 구별할 수 없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3개의 연속적인 방출 프레임들에 걸쳐, 적색 LED들(410),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은 Row n에 투사된다. 제1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적색 LED들(410)로부터 방출된 광, 제2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녹색 LED들(420)로부터 방출된 광, 및 제3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필드의 Row n에 픽셀들의 한 행으로 나타난다. 상이한 색상들의 광이 상이한 시간에 투사되지만, 인간의 눈에서 광은 흐릿하고(blurring) 공간적 통합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픽셀은 상이한 방출 프레임에서 각각 제공되는 3개의 별개의 서브픽셀들 대신 단일 색상으로 나타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3개의 방출 프레임에 이어지는 제4 방출 프레임에서, 적색 LED들(410)로부터의 광은 제1 서브프레임 동안 Row n+3에 투사되고, 녹색 LED들(420)로부터의 광은 제2 서브프레임 동안 Row n+2에 투사되고, 청색 LED들(430)로부터의 광은 제2 서브프레임 동안 Row n+1에 투사된다. 제2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적색 LED들(410)로부터 방출된 광, 제3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녹색 LED들(420)로부터 방출된 광, 및 제4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은, Row n+1에 픽셀들의 한 행으로 나타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서브프레임들 A', B' C'를 갖는 방출 프레임들에서 LED들이 광을 투사하는 행들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a는 제1 방출 프레임 동안 이미지 필드(530) 상으로의 광의 투사를 도시한다. 제1 방출 프레임은 세 개의 서브프레임들 A', B', C'로 분할되고, 각 서브 프레임 동안 상이한 행의 LED들이 켜져 광을 방출한다. 왼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LED들(410)이 제1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aw n에 투사되고, 그동안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은 꺼진다. 중간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LED들(420)은 제1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ow n-1에 투사되고, 그동안 적색 LED들(410) 및 청색 LED들(430)은 꺼진다. 오른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LED들(430)은 방출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ow n-2에 투사되고, 그동안 적색 LED들(410) 및 녹색 LED들(420)은 꺼진다.
도 8b는 제1 방출 프레임 직후의 제2 방출 프레임 동안 이미지 필드(530) 상으로의 광의 투사를 도시한다. 미러(520)는 어레이(400)로부터 방출된 광을 재지향시켜 적색 LED들(410),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이 도 7a와 비교하여 한 행만큼 오프셋된 행들에 투사되도록 한다. 왼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LED들(410)은 제2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ow n+1에 투사되고, 그동안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은 꺼진다. 중간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LED들(420)은 제2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ow n에 투사되고, 그동안 적색 LED들(410) 및 청색 LED들(430)은 꺼진다. 오른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LED들(430)은 제2 방출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ow n-1에 투사되고, 그동안 적색 LED들(410) 및 녹색 LED들(420)은 꺼진다.
도 8c는 제2 방출 프레임 직후의 제3 방출 프레임 동안 이미지 필드(530) 상으로의 광의 투사를 도시한다. 왼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LED들(410)은 제3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ow n+2에 투사되고, 그동안 녹색 LED들(420) 및 청색 LED들(430)은 꺼진다. 중간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LED들(420)은 제3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ow n+1에 투사되고, 그동안 적색 LED들(410) 및 청색 LED들(430)은 꺼진다. 오른쪽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LED들(430)은 제3 방출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 동안 켜져 Row n에 투사되고, 그동안 적색 LED들(410) 및 녹색 LED들(420)은 꺼진다.
제1 방출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적색 LED들(410)로부터 방출된 광, 제2 방출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녹색 LED들(420)로부터 방출된 광, 및 제3 방출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 동안 청색 LED들(430)로부터 방출된 광은, 이미지 필드의 Row n에 픽셀들의 한 행으로 나타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동작 방법의 예(EXAMPLE METHOD OF OPERATING DISPLAY DEVIC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LED들로부터 광을 방출하기 위해 방출 프레임들의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1 색상의 제1 LED들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9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이미지 필드의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920). 제1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은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광을 투사하는 회전 미러로 지향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 위치들은 이미지 필드 상의 픽셀들의 행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LED들이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광을 방출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출 프레임들의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2 색상의 제2 LED들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9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발광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2 LED들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94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이미지 필드의 복수의 픽셀 위치들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950). 제2 LED들이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광을 방출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1 LED들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960).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3 색상의 제3 LED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LED들 및 제3 LED들이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광을 방출하도록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3 LED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출 프레임들의 제3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3 LED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3 LED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제3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1 LED들 및 제2 LED들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LED들은 어레이의 제1 행을 따라 배열되고, 제2 LED들은 제1 행의 한 측면에서 제1 행과 평행한 제2 행을 따라 배열되고, 제3 LED들은 제1 행의 반대 측면에서 제1 및 제2 행들과 평행한 제3 행을 따라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언어는 원칙적으로 가독성 및 교육 목적으로 선택되었으며, 본 발명의 주제를 정확하게 기술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았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의 범주는 이러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기초한 본 출원에 대해 주장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개시내용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색상의 광을 이미지 필드의 적어도 대응하는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방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발광 다이오드(LED)들;
    제2 색상의 광을 이미지 필드의 적어도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방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LED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방출 프레임들의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1 LED들을 동작시키고 제2 LED들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2 LED들을 동작시키고 제1 LED들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ED들과 상기 제2 LED들로부터 분리된 미러(mirr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러는:
    상기 방출 프레임들 중 하나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상기 제1 LED들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방출 프레임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상기 제2 LED들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 위치들은 상기 이미지 필드에서 필셀 위치들의 행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제3 색상의 광을 상기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방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3 LED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LED들은 제1 행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2 LED들은 상기 제1 행의 한 측면에서 상기 제1 행과 평행한 제2 행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3 LED들은 상기 제1 행의 반대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행들과 평행한 제3 행을 따라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LED들은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동작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비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2 행으로부터 제1 거리 떨어져 있고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3 행으로부터 제2 거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의 (n+1/2) 배이고, n은 0 또는 0보다 큰 정수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LED들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3 서브프레임들 동안 동작되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비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2 행으로부터 제1 거리 떨어져 있고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3 행으로부터 제2 거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방법으로서:
    제1 LED들로부터 광을 방출하기 위해 방출 프레임들의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1 색상의 제1 LED들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1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이미지 필드의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으로 지향시키는 단계;
    상기 방출 프레임들의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제2 색상의 제2 LED들을 비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2 LED들로부터 광을 방출하기 위해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상기 제2 LED들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2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이미지 필드의 복수의 픽셀 위치들로 지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상기 제1 LED들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ED들로부터 광을 지향시키는 단계는 상기 방출 프레임들 중 하나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미러에 의해 상기 제1 LED들로부터의 광을 상기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으로 반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LED들로부터 광을 지향시키는 단계는 상기 방출 프레임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미러에 의해 상기 제2 LED들로부터의 광을 상기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으로 반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 위치들은 상기 이미지 필드에서 필셀 위치들의 행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3 LED들로부터 광을 방출하기 위해 복수의 제3 LED들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LED들은 제1 행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2 LED들은 상기 제1 행의 한 측면에서 상기 제1 행과 평행한 제2 행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3 LED들은 상기 제1 행의 반대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행들과 평행한 제3 행을 따라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LED들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동작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비활성화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2 행으로부터 제1 거리 떨어져 있고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3 행으로부터 제2 거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의 (n+1/2) 배와 동일하고, n은 0 또는 0보다 큰 정수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LED들은 제3 서브프레임들 동안 동작되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들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비활성화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2 행으로부터 제1 거리 떨어져 있고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3 행으로부터 제2 거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와 동일한, 방법.
  17. LED들의 어레이에 있어서:
    제1 행을 따라 배열되고 제1 색상의 광을 이미지 필드의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방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LED들;
    상기 제1 행의 한 측면에 있고 상기 제1 행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분리된 제2 행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LED들로서, 제2 LED들은 제2 색상의 광을 상기 이미지 필드의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복수의 제2 LED들; 및
    상기 제1 행의 다른 측면에 있고 상기 제1 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분리된 제3 행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3 LED들로서, 제3 LED들은 제3 색상의 광을 상기 이미지 필드의 복수의 픽셀 위치들 상에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의 (n+1/2) 배에 대응하고, n은 0 또는 0보다 큰 정수인, 상기 복수의 제3 LED들을 포함하는, LED들의 어레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LED들은 상기 제1 LED들이 방출 프레임들의 제1 서브프레임들 동안 비활성화될 때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LED들의 어레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ED들은 상기 제2 및 제3 LED들이 방출 프레임들의 제2 서브프레임들 동안 비활성화될 때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LED들의 어레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LED들로부터 방출된 광은 미러에서 상기 복수의 픽셀 위치들로 반사되는, LED들의 어레이.
KR1020217040343A 2019-05-09 2020-05-04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서의 피크 전류 사용량 감소 KR20220007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R20190100204 2019-05-09
GR20190100204 2019-05-09
US16/430,135 2019-06-03
US16/430,135 US10861373B2 (en) 2019-05-09 2019-06-03 Reducing peak current usage in light emitting diode array
PCT/US2020/031371 WO2020227242A1 (en) 2019-05-09 2020-05-04 Reducing peak current usage in light emitting diode ar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883A true KR20220007883A (ko) 2022-01-19

Family

ID=7304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343A KR20220007883A (ko) 2019-05-09 2020-05-04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서의 피크 전류 사용량 감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1373B2 (ko)
EP (1) EP3932052A1 (ko)
JP (1) JP2022531073A (ko)
KR (1) KR20220007883A (ko)
CN (1) CN113826380A (ko)
WO (1) WO2020227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0620B2 (en) 2020-08-05 2022-03-08 Jade Bird Display (shanghai) Limited Scan needle and scan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US11308862B2 (en) 2020-08-05 2022-04-19 Jade Bird Display (shanghai) Limited Scan needle and scan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US11317065B2 (en) 2020-08-05 2022-04-26 Jade Bird Display (shanghai) Limited Scan needle and scan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US11270632B2 (en) * 2020-08-05 2022-03-08 Jade Bird Display (shanghai) Limited Scan needle and scan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US11308848B2 (en) * 2020-08-05 2022-04-19 Jade Bird Display (shanghai) Limited Scan needle and scan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US11527572B2 (en) 2020-08-05 2022-12-13 Jade Bird Display (shanghai) Limited Scan needle and scan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9584A1 (fr) 2000-03-14 2001-09-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fficheur d'image et procede d'affichage d'image
JP4174195B2 (ja) * 2001-05-28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6882331B2 (en) * 2002-05-07 2005-04-19 Jiahn-Chang Wu Projector with array LED matrix light source
JP4665402B2 (ja) 2004-02-04 2011-04-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8542167B2 (en) * 2007-08-01 2013-09-24 Himax Technologies Limited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US20090128786A1 (en) * 2007-11-19 2009-05-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aging system with a microelectromechanical light valve
US8400391B2 (en) * 2008-01-10 2013-03-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dimming performance in a field sequential color display device
US8106604B2 (en) * 2008-03-12 2012-01-3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ED driver with dynamic power management
US8279144B2 (en) * 2008-07-31 2012-10-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ED driver with frame-based dynamic power management
US8810561B2 (en) * 2011-05-02 2014-08-19 Microvision, Inc. Dual laser driv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6075590B2 (ja) * 2012-02-28 2017-02-08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9697777B2 (en) * 2012-12-21 2017-07-0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6072368A1 (ja) * 2014-11-06 2016-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60075891A (ko) * 2014-12-19 2016-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1073A (ja) 2022-07-06
CN113826380A (zh) 2021-12-21
EP3932052A1 (en) 2022-01-05
US10861373B2 (en) 2020-12-08
WO2020227242A8 (en) 2021-10-07
WO2020227242A1 (en) 2020-11-12
US20200357331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1373B2 (en) Reducing peak current usage in light emitting diode array
US11450250B1 (en) Scanning waveguide display
US10951867B2 (en) Light emitter architecture for scanning display device
CN112292628B (zh) 用于波导显示器的单芯片超光亮发光二极管阵列
JP7398131B2 (ja) 画像プロジェクタ
EP3737989A1 (en) Geometrically multiplexed rgb lasers in a scanning mems display system for hmds
US20190019448A1 (en) Redundant microleds of multiple rows for compensation of defective microled
US11598965B2 (en) Super-resolution scanning display for near-eye displays
US10690919B1 (en) Superluminous LED array for waveguide display
CN112567286B (zh) 具有增加的均匀性的扫描显示器
US11764331B1 (en) Display with replacement electrodes within pixel array for enhanced current spr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