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522A -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522A
KR20220007522A KR1020210085704A KR20210085704A KR20220007522A KR 20220007522 A KR20220007522 A KR 20220007522A KR 1020210085704 A KR1020210085704 A KR 1020210085704A KR 20210085704 A KR20210085704 A KR 20210085704A KR 20220007522 A KR20220007522 A KR 20220007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time
salary
credenti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116B1 (ko
Inventor
송지훈
Original Assignee
(주) 더라이브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라이브러리 filed Critical (주) 더라이브러리
Publication of KR2022000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일 개시에 의하여,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사이의 계약 내용 교환에 기초하여 온라인 계약서를 작성하는 단계,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무 시작시간, 근무 종료시간, 휴게 시작시간 및 휴게 종료시간을 획득하고, 실시간 누적된 근로자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근로자의 근무시간과 기 설정된 급여 조건을 제1 변수로써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될 제1 급여를 계산하는 단계, 근로자의 휴게시간과 기 설정된 휴게 조건을 제2 변수로써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청구할 청구액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1 급여로부터 청구액을 차감하여 제2 급여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2 급여를 근로자의 계정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ng part-time pay settlement based on online salary contracts}
일 개시에 의하여, 온라인으로 작성한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의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며, 특히, 근무시간과 휴게시간을 구분하여 급여를 산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월급을 정산하고 자동지급하는 기술적 특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종업원, 아르바이트생과 같은 계약직 근로자의 급여 명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근로자 명부가 사전 준비되어야 했고, 근로자가 실질적으로 근로한 시간을 시계 또는 타임시트 등에 의해 입력하는 방식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통상적으로 근로자의 질병, 지각, 연장근무, 조퇴 등 때문에 근로자 명부에 등록된 근무 시간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타임시트에 기록되거나 직접 수기로 근로 시간을 작성하는 방법은 고용주에게 전달되어 결재된 다음에 급여 처리를 위하여 급여 관리 부서에게 제공되는데, 이는 근로자의 근태를 파악할 수 있고 관리 감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방대한 양의 데이터 입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여 원활한 급여 정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근로자의 근무시간과 휴게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체결된 급여 계약서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급여를 산출하고 정산하는 자동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73146호(발명의 명칭 : IT를 활용한 자동근태 체크 및 급여계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49566호(발명의 명칭 : POS시스템과 연계한 급여관리 방법 및 장치)
일 개시에 의한 기술적 과제는 고용주와 근로자 사이에서 온라인 근로 계약서를 체결하고, 근로 계약서에 기초하여 실제 근로자의 근무시간에 따른 월급을 산출하고, 자동으로 정산 및 지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 의하여,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사이의 계약 내용 교환에 기초하여 온라인 계약서를 작성하는 단계, 온라인 계약서에 포함된 근무시간 조건 및 휴게시간 조건에 대응하는 급여정산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무 시작시간, 근무 종료시간, 휴게 시작시간 및 휴게 종료시간을 획득하고, 실시간 누적된 근로자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근로자의 근무시간과 기 설정된 급여 조건을 제1 변수로써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될 제1 급여를 계산하는 단계, 근로자의 휴게시간과 기 설정된 휴게 조건을 제2 변수로써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청구할 청구액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1 급여로부터 청구액을 차감하여 제2 급여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2 급여를 근로자의 계정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하여,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사이의 계약 내용 교환에 기반하여 온라인 계약서를 작성하고, 온라인 계약서에 포함된 근무시간 조건 및 휴게시간 조건에 기초하여 급여정산 테이블을 작성하고,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무 시작시간, 근무 종료시간, 휴게 시작시간 및 휴게 종료시간을 획득하고, 실시간 누적된 근로자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을 계산하고, 근로자의 근무시간과 기 설정된 급여 조건을 제1 변수로써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될 제1 급여를 계산하고, 근로자의 휴게시간과 기 설정된 휴게 조건을 제2 변수로써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청구할 청구액을 계산하고, 제1 급여로부터 청구액을 차감하여 제2 급여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2 급여를 근로자의 계정에 할당하는,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의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시간제 급여 정산 자동화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QR코드로부터 주파수가 860~930MHz인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한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절연체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 제조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일 개시에 따른 정해진 시간 단위로 근로자의 급여를 정산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급여 정산이 가능해진다. 또한, 온라인으로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근무시간, 휴게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어서 근로자의 근태 관리에 효과적이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근로자가 근무시간 중 항시 카운터를 지켜야 하는 유인시스템의 단점과 코로나로 불거진 무인시스템 매장의 소독 및 청결관리와 관련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근로자의 근무 시간 중 일정수준의 휴게시간을 부여하여 탄력적으로 매장을 운영할 수 있는 유무인 통합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축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르면, 근로자가 근무 시간 외의 휴게시간에 단순 휴식을 하거나, 근무지의 시설을 이용함에 따라 청구금액이 달라지며, 이를 기 정해진 기준에 따라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독서실 총무의 경우 독서실을 관리 및 유지하는 근무시간 외에 독서실을 이용하는 휴게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예에서 휴게시간에 발생하는 독서실 이용금액을 따로 정산하여, 근무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급여와 독서실 이용금액을 효율적으로 정산하고, 자동으로 입금까지 처리해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근무시간에 따른 1차 정산을 실시한 후, 근무지를 이용함에 따른 이용 금액을 별도로 부과하여 2차 정산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면서도 복잡하지 않게 월급 정산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자동 정산에 따라 급여를 정산하고 입금하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근로자의 근로시간에 따른 실시간 급여를 표시하고, 급여액을 높일 수 있는 근로내용의 안내를 도와주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고, 급여를 계산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무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근무 및 휴식 상태를 구분하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100)는,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로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시간당 급여가 정해지는 시간제 급여 계약직의 급여를 결정하고, 근로자에게 급여를 입금하는 기술적 특징으로 제공한다.
특히, 독서실, 까페와 같이 업무량이 많지 않은 시간대에 휴식시간을 주거나, 근무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근무시간에 따른 급여를 산정하기가 까다롭다. 또한, 최저임금 등의 근무에 관련된 노동법을 중시하면서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에게 효율적인 급여를 결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고용계약서에 기초하여 근무시간과 휴게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에 따른 급여를 계산하고 자동으로 지급하는 특징을 제공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 단말(200) 및 고용주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 및 고용주의 계약 내용의 교환에 따른 온라인 근로 계약서(101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근로자 단말(200) 및 고용주 단말(300)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나, 휴대용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단말, 기타 이동통신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1020)가 근무하는 시간 및 휴식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자(1020)로부터의 근무 시간 확인 요청, CCTV 속 근로자의 모습에 기반한 근로시간 획득, 근태 관리 장치로부터의 근로시간 획득, 근무지의 필수 기기를 조작함에 따른 신호 획득 등으로부터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온라인 근로 계약서(1010)에 기반하여 근로자(1020)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에 따른 급여를 산정할 수 있다.
특히,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무시간에 관련된 제1 변수들을 이용하여 근무시간에 따른 급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급여는 순수하게 근무시간과 근무조건에 기반한 급여로서 제1 급여로 칭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휴게시간에 관련된 제2 변수들을 이용하여 휴게시간에 따른 청구액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휴게시간은 근로자(1020)가 근무를 하지 않는 시간을 통합적으로 지칭하며, 근로자(1020)가 근무를 하지 않는 시간에 근무지의 시설을 이용하거나, 근무지의 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휴식 또는 외출을 할 수 있다. 이때, 근무지의 시설을 이용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근로자(1020)에게 청구할 금액이 발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최종적으로 근로자(1020)가 근무한 시간에 기반하여 급여를 계산하여 지급하고, 추가적으로 근무지의 시설을 이용한 근로자(1020)에게 청구하는 청구액을 차감하여 최종적인 급여(제2 급여)를 근로자(1020)의 계좌에 입금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기 설정된 고용주의 계정 또는 고용주의 계좌로부터 근로자의 계정 또는 근로자의 계좌로 급여를 입금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1020)의 계좌에 직접적으로 급여를 입금하고, 청구액을 출금하는 대신 근로자(1020)의 계정을 이용하여 계정에 가상의 급여를 입금하고, 청구액을 출금하고, 남은 최종적인 금액을 급여로 입금함으로써 명확한 급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블록 201에서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사이의 계약 내용 교환에 기초하여 온라인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고용주 단말로부터 고용 계약에 관련된 항목을 수신하여 근로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근로자 단말로부터 고용계약의 수용, 수정, 거절 등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고용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용 계약에 관련된 항목은 근무지의 정보, 근무 내용, 시간당 급여, 출근 시간 및 퇴근시간, 필수 이행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고용 관리, 근태 관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고용주 단말로부터 근무 요일, 근무시간, 근무내용, 휴게시간 및 급여조건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고용계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복수의 고용계약 정보를 근로자 단말로 전송하고, 근로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고용계약 정보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선택된 고용계약 정보 및 고용주와 근로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계약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온라인 계약서를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각각으로부터 서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획득한 서명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계약서의 작성을 완료하고, 온라인 계약서를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블록 202에서 온라인 계약서에 포함된 근무시간 조건 및 휴게시간 조건에 대응하는 급여정산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급여정산 테이블은 근로자의 시급으로 정해진 금액, 식대, 교통비, 세금, 근무 연수 등을 고려하여 근무시간당 설정된 급여 테이블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급여정산 테이블은 근로자와 고용주 사이에서 협약된 시간당 급여, 근무 시간, 초과근무 시 시간당 급여 및 근무 내용을 정리한 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블록 203에서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무 시작시간, 근무 종료시간, 휴게 시작시간 및 휴게 종료시간을 획득하고, 실시간 누적된 근로자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의 근무 시간 및 휴게시간을 획득할 수 있지만, 다른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태 관리 장치, 근무 모니터링 장치 등 외부 장치로부터 근로자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근로자의 생체 신호 정보, 근태 관리 장치에서 획득한 정보, 사용자의 모습이 포함된 영상 정보 및 근무에 사용되는 기기의 조작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가 근무지에서 정상 근무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근무한 시간은 근로자가 근무지에서 수행해야할 근무 내용을 정상적으로 이행한 경우 소비된 시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근무지를 이탈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근무한 시간을 의미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로부터 입력된 근무시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근무시간과 비교하여 명확한 근무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가 정상 근무한 시간에 대한 정보와 근로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가 기 정해진 오차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근로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근무시간을 최종 근무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하근로자가 정상 근무한 시간에 대한 정보와 근로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가 기 정해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근무시간을 이용하여 급여를 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블록 204에서 근로자의 근무시간과 기 설정된 급여 조건을 제1 변수로써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될 제1 급여를 계산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제1 변수는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를 나타내며, 나아가, 시간당 급여액, 하루 근무시간, 근무 내용의 위험도, 세금, 식대 등의 다른 변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블록 205에서 근로자의 휴게시간과 기 설정된 휴게 조건을 제2 변수로써 이용하여, 근로자에게 청구할 청구액을 계산할 수 있다.
일 개시에 따른 제2 변수는 근로자에게 청구할 청구액을 계산하기 위한 변수로서, 근무지의 이용 여부, 이용 조건, 이용 시간, 근로자의 근무 연수, 근무지의 업무시설을 이용하는 비용, 근로조건에 따른 할인률, 이용가능한 시간 및 이용가능한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변수에 포함되는 내용은 근로자와 고용주의 계약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휴게조건 및 휴게시간에 기초하여 근로자에게 청구할 청구액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휴게시간에 근무지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청구액은 0일 수 있으며, 근로자가 휴게시간에 근무지의 시설을 이용한 경우에는 시설 이용 비용 및 기타 조건에 따라 청구액이 정해질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 단말로부터 자격 증명을 수행하여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사이에서 교환된 계약 내용에 기초하여 온라인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의 신원 인증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가 제3자로부터 공격당하는 경우에 근로자의 신원 인증 정보(개인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근로자 단말로부터 제1 크리덴셜을 기초로 생성된 제1 프레젠테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크리덴셜(credential)은 크리덴셜의 소유자의 특정 자격을 증명하는 증명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클레임(claim)들과 크리덴셜을 발급하는 데 사용된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크리덴셜은 근로자의 신원 인증 정보 및 신원 인증 기관의 제1 서명을 포함하여 신원 인증 기관(예컨대, 은행 등 신원 인증 기관)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원 인증 기관은 제1 크리덴셜을 근로자 단말에 발급한 뒤에 제1 크리덴셜의 증명을 위한 제1 공개 키만을 온라인 저장소(예컨대,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제1 크리덴셜 전문은 신원 인증 기관에서 즉시 제거함으로써, 제1 크리덴셜이 근로자 단말에만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 단말에 발급된 제1 크리덴셜 전문은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 또는 온라인 저장소를 포함하여 다른 어떠한 장소에도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근로자 단말이 제1 크리덴셜에 대해 자기주권(self-sovereignty)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젠테이션은 근로자 단말에 의해 제1 크리덴셜에 포함된 클레임(claim)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근로자의 신원 인증 정보는 제1 크리덴셜에만 포함되어 있으며, 제1 프레젠테이션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프레젠테이션에는 제1 크리덴셜에 포함되는 제1 서명과는 다른 제2 서명이 포함되며, 제2 서명은 제1 프레젠테이션의 기초가 되는 제1 크리덴셜에 제1 서명이 포함되어 있음을 영지식 증명(zero knowledge proof)하기 위해 근로자 단말에서 생성된 서명일 수 있다. 여기서, 영지식 증명이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정보를 알고 있음을 증명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즉, 제2 서명은 제1 서명 대신 노출되고, 제2 서명에 대해 공개 키를 통해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제1 서명이 노출되지 않더라도 제1 크리덴셜에 제1 서명이 포함되어 있음이 증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 단말에 발급된 제1 크리덴셜에 포함된 제1 서명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제1 프레젠테이션 및 온라인 저장소에 저장된 제1 공개 키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신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제1 공개 키와 제2 서명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온라인 저장소에서 제1 공개 키를 불러올 때 제2 서명을 제출하여 과거에 제2 서명이 제출된 적이 있었는지 이력을 확인함으로써, 한번 생성된 프레젠테이션이 여러 번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신원 인증이 수행된 근로자와 고용주 사이에서 교환된 계약 내용에 기초하여 근로 계약 정보를 생성한 뒤, 근로자 단말에 근로 계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크리덴셜을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제2 크리덴셜을 근로자 단말에 발급한 뒤에 제2 크리덴셜의 증명을 위한 제2 공개 키만을 온라인 저장소에 저장하고, 제2 크리덴셜 전문은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에서 즉시 제거함으로써, 제2 크리덴셜이 근로자 단말에만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 단말은 제2 크리덴셜에 대해서도 자기주권(self-sovereignty)을 가질 수 있다.
근로자 단말은 제1 크리덴셜 및 제2 크리덴셜을 함께 기초로 하여 제2 프레젠테이션을 생성하고, 이를 고용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고용자 단말은 고용주가 근로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2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제2 공개 키를 이용하여 근로 계약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승인한 승인 정보를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저장소에 근로 계약 정보에 대응하는 온라인 계약서를 게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 단말로부터 자격 증명을 수행하여 근로자의 계정에 급여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근로 계약 내용에 포함된 근로자 및 고용주의 개인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가 제3자로부터 공격당하는 경우에 근로자 및 고용주의 개인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근로자 단말로부터 제2 크리덴셜을 기초로 생성된 제3 프레젠테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로자 및 고용주의 개인 정보는 제2 크리덴셜에만 포함되어 있으며, 제3 프레젠테이션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제3 프레젠테이션 및 온라인 저장소에 저장된 제2 공개 키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로 계약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근로 계약 내용, 해당 근로 계약 내용에 대응하는 근무시간을 기초로 제1 급여를 산출하고, 제1 급여 및 근로 계약 내용에 대응하는 휴게시간을 기초로 제2 급여를 산출하고, 근로자 단말에 산출 내역을 포함하는 제3 크리덴셜을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제3 크리덴셜을 근로자 단말에 발급한 뒤에 제3 크리덴셜의 증명을 위한 제3 공개 키만을 온라인 저장소에 저장하고, 제3 크리덴셜 전문은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에서 즉시 제거함으로써, 제3 크리덴셜이 근로자 단말에만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 단말은 제3 크리덴셜에 대해서도 자기주권(self-sovereignty)을 가질 수 있다.
근로자 단말은 제2 크리덴셜 및 제3 크리덴셜을 함께 기초로 하여 제4 프레젠테이션을 생성하고, 이를 고용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고용자 단말은 고용주가 근로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4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제3 공개 키를 이용하여 제2 급여를 확인하고 이를 승인한 최종 급여 내역을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는 최종 급여 내역에 기초하여 온라인 저장소에 제2 급여에 대응하는 급여 내역서를 게시할 수 있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자동 정산에 따라 급여를 정산하고 입금하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실시간 계산된 청구액을 근로자의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앱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계산된 청구액을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블록 206에서 제1 급여로부터 청구액을 차감하여 제2 급여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2 급여를 근로자의 계정에 할당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제1 급여로부터 청구액을 차감함으로써 근로자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제2 급여를 실시간으로 근로자의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기 정해진 주기마다 제1 급여를 근로자의 계정에 할당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의 계정에 할당된 제1 급여으로부터 청구액을 차감할 수 있다. 따라서, 급여 지급과 청구액 차감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한 달에 한번 기 정해진 날짜에, 근로자의 계정에 남아있는 금액을 근로자의 계좌로 자동입금 할 수 있다.
이때,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 단말(200)로 급여액, 차감액 및 최종 급여액에 대한 내용을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SNS, 메일, MMS 등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메시지는 자동으로 생성되어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근로자의 근로시간에 따른 실시간 급여를 표시하고, 급여액을 높일 수 있는 근로내용의 안내를 도와주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급여정산 테이블에 기초하여, 누적된 근무시간에 대응하는 근로자의 제1 급여를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실시간 계산된 근로자의 제1 급여를 근로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급여에서 청구액을 제외한 금액을 근로자의 단말(20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제1 급여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추가 근무시간 및 추가 근무내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도 4에서와 같이 추가 근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401)을 수신함에 따라, 추가 근무에 대응하는 근무 내용, 시급, 할인율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40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의 계정에 접속한 근로자 단말로부터 급여 선인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급여 선인출 요청에 대응하여, 근로자 단말로 현재 인출가능한 총액 및 총액으로부터 인출할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UI를 표시하고, 금액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 단말로부터 인출할 금액을 수신함에 따라, 고용주 단말로 급여 선인출 허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고용주 단말로부터 급여 선인출 허락을 승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근로자가 선인출을 요청한 금액을 근로자의 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고, 급여를 계산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에 설치된 근태 관리 장치(1500)와 통신하거나, 근태 관리 장치(1500)를 일 모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 단말(200)로부터 근태에 관련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근태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근로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로자 단말(200)이 출근, 퇴근, 휴식 등의 이벤트를 알리기 위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로 근무 시간에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현재 시간, 근무 조건, 근무 내용, 근무 종료 시간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근로자 단말로(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QR 코드는 근로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 근무지, 근로 시작 및 종료 시간, 휴게 시작 및 종료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QR 코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 리더기는 근태 관리 장치(1500)에 포함된 구성이거나,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으며, 구성의 위치에 제한두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근로자의 근태에 관련된 정보를 고용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QR코드로부터 주파수가 860~930MHz인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한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는 절연 코팅 조성물로 코팅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절연체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 제조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절연 코팅 조성물로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체는 구체적으로 실리콘 2산화물(dioxide), Al2O3, Ta2O5, TiO2, CrO2, HfO2, Y2O3, PMMA 및 TEOS와 같은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nitride), 탄탈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과 같은 질화물, SiOxNy와 같은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 BaSiTiO3, BaTiO3, 및 SrTiO3와 같은 고유전율(ε≥30) 금속 산화물, 크세로겔(xerogel) 및 이들의 조합물(combination), 다층물(multilayer), 또는 혼합물(mixut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은 증착(deposition) 기술을 사용하여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물리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진공 증착(evaporation), 스핀온 코팅(spin-on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및 기타 유사한 증착 기술이 코팅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절연체 35 중량부, 경화제인 모노아민 5 중량부, 용매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절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절연체는 Ta2O5, TiO2, CrO2, 및 Y2O3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절연 코팅 조성물을 기판의 일면에 2nm의 두께로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절연 코팅 조성물에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외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절연 코팅 조성물에서 절연체를 제외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절연 특성 평가
일본 미쓰비시사(Mitsubishi, JPN)의 하이 레지스턴스 테스터(High resistance tester)를 이용하여 기판에 대한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표면 저항 О x
(O:표면 저항 값 3xl010 초과, ㅿ: 표면 저항 값 lxlO9 내지 3xl010, x:표면 저항 값 1xlO9 미만)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절연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절연막 신뢰성 평가
필-오프(Peel off) 특성을 평가하기 위 해 일본 히라야마사의 PCT 챔버를 이용해서 PCT 평가를 진행하였다.
전술된 PCT 평가는 온도는 121℃, 압력은 2atm, 및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 RH) 100% 조건 하에서 진행하였다.
또한, 필-오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본 히타치사의 코스모피아(COSMOPIA)를 이용해서 항온 항습 평가를 진행하였다. 전술된 항온 항습 평가는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 조건 하에서 진행하였다.
제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필-오프 여부(PCT Test) X X О
필-오프 여부(항온, 항습 Test) X О О
(О: 코팅층이 기판에서 탈리됨. X: 코팅층이 기판에서 탈리되지 않음)기판의 사용 조건 하에서의 코팅층의 탈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필-오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필-오프 여부에 대해 본 발명의 제조예에 의한 코팅층은 탈리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의 경우에도 PCT 테스트 상에서는 비교예 1이 탈리되지 않았으나 항온 항습 실험에서는 탈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통신부(1100), 프로세서(1200) 및 메모리(1300)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근태 관리 장치(1500) 및 카메라(1600)를 포함하거나, 통신부(1100)를 이용하여 근태 관리 장치(1500) 및 카메라(16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0)는,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200) 및 메모리(1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2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원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통상적으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그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거나, 통합된 형태의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프로세서(1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200)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메모리(1300)는, 프로세서(1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로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가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300)는 가이드 정보의 출력 여부 판단을 위한 특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알림 모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은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프로세서(1200)는, 통상적으로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0)는, 메모리(1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다른 모듈 들의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0)는 메모리(1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시간제 급여 정산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근로자의 근무 시간 및 휴게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지문, 홍채 등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근무 시작 시간 및 종료시간을 획득하거나, 근로자 단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QR 코드 생성기, QR 코드 리더기 등을 포함하여 도 5와 같이 QR코드를 이용한 근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카메라(1600)는 근무지에 설치되어 근무지에서 근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600)는 촬영된 영상을 프로세서(120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1200)는 영상 속 근로자의 모습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근태 시간을 체크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카메라(1600)는 기 설치된 복수의 CCTV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0)는 통신부(1100)를 이용하여 기 설치된 복수의 CCTV로부터 영상을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카메라(160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카메라들은 근무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무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근무 및 휴식 상태를 구분하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복수개의 카메라(1610, 1620)를 포함하거나, 근무지에 설치된 복수개의 카메라(1610, 162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복수개의 카메라(1610, 1620)로부터 근무지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카메라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복수개의 카메라(1610, 1620)로부터 획득한 근무지의 영상으로부터 근로자 및 일반손님을 인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근무지의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사람들(701, 702)을 인식할 수 있다.
특히, 근태 관리 장치(1500)는 복수의 사람들(701, 702) 중 근로자(701)를 특정할 수 있으며, 그에 기반하여 근로자(701)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로자는 RFID 태그 또는 UVB 태그가 포함된 식별마커(703)를 포함하는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마커(703)가 포함된 유니폼을 장착할 수 있다.
식별마커(703)는 상기 근로자에 의하여 장착 및 분리가능하게 제작된 UWB 태그 또는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모듈이다. 식별마커(703)는 유니폼에 포함되거나, 장착 및 분리가능한 완장 형태, 소지가능한 액세서리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작 방식을 제한하지 않는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전파를 이용하여 고유 정보를 식별하여 사물을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RFID 기술은 물체나 동물 또는 사람 등을 식별하기 위해서 전자기 스펙트럼 부분의 무선 주파수 내에 전자기 또는 정전기 커플링 사용을 통합시킨 기술로서, RFID의 가장 큰 장점은 직접 접촉을 하거나 가시대역 상에 스캐닝을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RFID 시스템은 안테나, 리더기, 그리고 트랜스폰더(transponder)라고도 불리는 태그(tag)가 그것이다. 안테나는 태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전파를 사용한다. 태그가 활성화되면, 태그가 가지고 있던 데이터를 안테나로 전송한다. 안테나는 리더기에 연결되어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RFID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태그는 능동형(active)과 수동형(passive)으로 구분되며 능동형 태그는 리더기로부터 수십m의 거리를 초과하는 범위에서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수동형 태그는 수cm의 가까운 거리에서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UWB 태그는, 초광대역(UWB) 통신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을 위해 UWB 임펄스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UWB 태그는 각각의 근로자 즉, 감시 객체에 제공되는 태그로서, 출입 카드형, 배지형 등일 수 있다. UWB 태그에는 각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ID가 부여될 수 있으며, 감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여러 감시 객체가 경합할 때 UWB 태그에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추적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UWB 기반 위치 추적은, 500㎒에서 수 ㎓ 이상의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UWB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GPS 없이 실내 등 좁은 공간에서 정밀하게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UWB 태그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임펄스를 발생하고, UWB 송신 안테나를 통해 UWB 임펄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RFID 태그 및 UWB 태그는 무게도 무겁지 않고, 부피가 크기 않아서, 휴대상의 장점이 있어서, 근로자의 유니폼, 추가 액세서리, 완정 등으로 제작됨에 용이하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식별마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UWB 태그 및 RFID 태그로부터의 신호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이동 동선을 확보하거나, 카메라 영상를 분석하여 식별마커를 추적하고 분석함으로써 근로자의 이동 동선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근무지의 영상으로부터 식별마커를 소지한 근로자를 인식함으로써 일반손님과 근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식별마커(703)를 포함하는 근로자(701)와 일반손님(702)을 식별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식별마커를 소지한 근로자(701)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701)의 동선을 파악하고, 나아가 근로자(701)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근로조건과 근로자의 동선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실제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상기 근로자의 이동 경로가 기 정해진 근무 영역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하여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시간을 근무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근무 영역은 정해진 근무지 보다 넓은 범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동적인 근무 영역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시급을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이동 경로를 검출함으로써, 근무 시간 중 화장실을 다녀오거나, 잠시 쉬는 것과 같은 불연속적인 이벤트는 근무시간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로자의 이동 경로가 기 정해진 휴게 영역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하여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시간을 휴게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휴게 영역은 근무 영역 외의 영역으로서, 근무지 내의 유료 휴게 공간을 이용하는 경우 청구액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청구액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근태 관리 장치(1500)는소정의 시간 동안 이용한 시설 사용료를 산출할 수 있다. 근태 관리 장치(15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근로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근로자가 근무지의 시설을 이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한 근태 관리 장치(1500)는 이동 동선과 이동 시간대를 비교하여, 정해진 근무시간에 검출된 근로자의 이동 동선이 근무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근무자가 정상 근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정해진 근무시간에 소정의 시간 이상 근무지 외의 장소에서 이동 동선이 검출되는 경우 근무자가 정상근무를 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고용주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사이에서 교환된 계약 내용에 기초하여 온라인 계약서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무 시작시간, 근무 종료시간, 휴게 시작시간 및 휴게 종료시간을 획득하고, 실시간 누적된 근로자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근로자의 근무시간과 기 설정된 급여 조건을 제1 변수로써 이용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될 제1 급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근로자의 휴게시간과 기 설정된 휴게 조건을 제2 변수로써 이용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청구할 청구액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급여로부터 상기 청구액을 차감하여 제2 급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급여를 상기 근로자의 계정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계약서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의 신원 인증 정보 및 신원 인증 기관의 제1 서명을 포함하여 생성된 제1 크리덴셜을 기초로 생성되고 상기 제1 크리덴셜에 상기 제1 서명이 포함되어 있음을 영지식 증명하기 위해 상기 근로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공개 키를 통해 검증 가능하도록 생성된 제2 서명을 포함하는, 제1 프레젠테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젠테이션을 기초로 상기 근로자의 신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신원 인증이 수행된 근로자와 고용주와의 근로 계약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근로자 단말에 근로 계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크리덴셜을 발급하는 단계;
    상기 고용주 단말로부터, 상기 고용주가 상기 근로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크리덴셜 및 제2 크리덴셜을 기초로 생성되어 수신된 제2 프레젠테이션을 기초로 상기 근로 계약 정보를 확인하고 승인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저장소에 상기 근로 계약 정보에 대응하는 온라인 계약서를 게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의 계정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크리덴셜을 기초로 생성된 제3 프레젠테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프레젠테이션을 기초로 상기 근로자의 근로 계약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근로자 단말에 상기 근무시간, 상기 휴게시간, 상기 제1 급여 및 상기 제2 급여를 포함하는 제3 크리덴셜을 발급하는 단계;
    상기 고용주 단말로부터, 상기 고용주가 상기 근로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2 크리덴셜 및 제3 크리덴셜을 기초로 생성되어 수신된 제4 프레젠테이션을 기초로 상기 제2 급여를 확인하고 승인한, 급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급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급여에 대응하는 급여 내역서를 게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리덴셜은,
    상기 근로자의 상기 신원 인증 기관에 대한 신원 인증 결과로서, 상기 신원 인증 기관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근로자 단말에 발급된 뒤에 상기 신원 인증 기관에서 제거되고,
    상기 신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저장소에 저장된 제1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제2 서명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근로자의 신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리덴셜을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근로자 단말에 상기 근로 계약 정보 및 서비스 제공자의 제3 서명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크리덴셜을 발급하는 단계;
    상기 제3 서명 및 상기 제2 크리덴셜을 기초로 생성되는 상기 제2 프레젠테이션에 포함되는 제4 서명을 검증 가능한 제2 공개 키를 상기 온라인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발급된 제2 크리덴셜의 임시 저장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방법.
KR1020210085704A 2020-07-10 2021-06-30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66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5602 2020-07-10
KR1020200085602 2020-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522A true KR20220007522A (ko) 2022-01-18
KR102566116B1 KR102566116B1 (ko) 2023-08-11

Family

ID=8005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704A KR102566116B1 (ko) 2020-07-10 2021-06-30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390B1 (ko) * 2023-08-30 2024-02-23 김형철 급여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04B1 (ko) * 2004-06-28 2005-08-03 정종수 임금 선결제 대행 시스템 및 대행 방법
KR20120074719A (ko) * 2010-12-28 2012-07-06 (주)유토닉스 실내 작업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에 이용되는 무선수신장치
KR20150049566A (ko) 2013-10-30 2015-05-08 농협은행(주) Pos시스템과 연계한 급여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92821A (ko) * 2015-01-28 2016-08-05 김상회 근무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
KR20180073146A (ko)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라인페이롤서비스 It를 활용한 자동근태 체크 및 급여계산
KR20190062098A (ko) * 2017-11-28 2019-06-05 (주)비피앤솔루션 작업 시간 측정 시스템
KR20200014989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비즈데이터 사용자 위치 기반 근태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04B1 (ko) * 2004-06-28 2005-08-03 정종수 임금 선결제 대행 시스템 및 대행 방법
KR20120074719A (ko) * 2010-12-28 2012-07-06 (주)유토닉스 실내 작업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에 이용되는 무선수신장치
KR20150049566A (ko) 2013-10-30 2015-05-08 농협은행(주) Pos시스템과 연계한 급여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92821A (ko) * 2015-01-28 2016-08-05 김상회 근무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
KR20180073146A (ko)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라인페이롤서비스 It를 활용한 자동근태 체크 및 급여계산
KR20190062098A (ko) * 2017-11-28 2019-06-05 (주)비피앤솔루션 작업 시간 측정 시스템
KR20200014989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비즈데이터 사용자 위치 기반 근태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390B1 (ko) * 2023-08-30 2024-02-23 김형철 급여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116B1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3889B2 (en)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program, checkpoint management system, and checkpoint management method
US11790316B2 (en) Provisioning temporary functionality to user devices
US20130191175A1 (en) Personnel activity recording terminal,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system
US20160042308A1 (en) Timesly: A Mobile Solution for Attendance Verification Powered by Face Technology
US10127557B2 (en) Dynamic offline card authorization
US117098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a license plate number with a user
CN106716458A (zh) 用于专业服务系统和方法的计时和计费的改进的客户输入与维护系统
KR20120118578A (ko) 모바일을 이용한 구인 구직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66116B1 (ko) 온라인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시간제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34572A (ko) 근태정보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13113064A1 (en) A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ata signal for the collection, use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JP2018147174A (ja) ユーザの業務状況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EP3223204A1 (en) Dynamic offline card authorization
US11593765B2 (en) Application data integration for automatic data categorizations
KR102187419B1 (ko) 문화예술공연 및 이벤트 참여자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260041B1 (ko) 사용자 맞춤형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약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US11900476B2 (en) Code generation and tracking for automatic data synchronization in a data management system
US20220084086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uditing tolling associated with routes
WO2022195815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A3158558A1 (en) Code generation and tracking for automatic data synchronization in a data management system
KR101867083B1 (ko) 모바일 경영 서비스 시스템
JP2018147470A (ja) ユーザの業務状況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WO202219580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424925B1 (ko)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KR102259174B1 (ko)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