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977A - 가바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바 - Google Patents
가바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6977A KR20220006977A KR1020200092253A KR20200092253A KR20220006977A KR 20220006977 A KR20220006977 A KR 20220006977A KR 1020200092253 A KR1020200092253 A KR 1020200092253A KR 20200092253 A KR20200092253 A KR 20200092253A KR 20220006977 A KR20220006977 A KR 202200069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gaba content
- grains
- gaba
- cereal bar
- Prior art date
Links
- BTCSSZJGUNDROE-UHFFFAOYSA-N gamma-amino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O)=O BTCSSZJGUNDROE-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5
- 229960003692 gamma aminobutyric acid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2182 cereal bar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18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4000045195 Cicer arietin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0523 Cicer arietin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4647 Lens culinaris subsp culin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0235 chia see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0238 sunflower see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6162 Chenopodium quino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408747 Lepomis gibbos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20236 pumpkin see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FTSSQIKWUOOEGC-RULYVFMPSA-N fructooligosaccharide Chemical compound OC[C@H]1O[C@@](CO)(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H]%12O[C@H](CO)[C@@H](O)[C@H](O)[C@H]%12O)O[C@H](CO)[C@@H](O)[C@@H]%11O)O[C@H](CO)[C@@H](O)[C@@H]%10O)O[C@H](CO)[C@@H](O)[C@@H]9O)O[C@H](CO)[C@@H](O)[C@@H]8O)O[C@H](CO)[C@@H](O)[C@@H]7O)O[C@H](CO)[C@@H](O)[C@@H]6O)O[C@H](CO)[C@@H](O)[C@@H]5O)O[C@H](CO)[C@@H](O)[C@@H]4O)O[C@H](CO)[C@@H](O)[C@@H]3O)O[C@H](CO)[C@@H](O)[C@@H]2O)[C@@H](O)[C@@H]1O FTSSQIKWUOOEGC-RULYVFMP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107187 fructooligosacchar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1255 galacto-oligosaccharid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3271 galacto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DLRVVLDZNNYCBX-RTPHMHGBSA-N isomal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O)O1 DLRVVLDZNNYCBX-RTPHMHGB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043158 Lens esculenta Species 0.000 claims 1
- OGNSCSPNOLGXSM-UHFFFAOYSA-N (+/-)-DABA Natural products NCCC(N)C(O)=O OGNSCSPNOLGXSM-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4322 Lens culin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214 Glutamate decarboxyl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22930 Glutamate decarboxy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739 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XHLLJAMBQLULT-UHFFFAOYSA-N 2-[[6-[4-(2-hydroxyethyl)piperazin-1-yl]-2-methylpyrimidin-4-yl]amino]-n-(2-methyl-6-sulfanylphenyl)-1,3-thiazole-5-carboxam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C=1C(N2CCN(CCO)CC2)=NC(C)=NC=1NC(S1)=NC=C1C(=O)NC1=C(C)C=CC=C1S WXHLLJAMBQLU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476 Metasta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42 dietary patter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69 dri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1871 estr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62 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05 low-protein-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01 meta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58 neurotransmitt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15 nutritional st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73 salicylate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85 whole gra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8—Gamma-amino butyr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강 첨가 및 다양한 물리적 처리에 의해서 GABA와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곡물을 시리얼바 제조에 이용함으로써, 기능성이 향상되고 영양성분이 풍부한 시리얼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강 첨가 및 다양한 물리적 처리에 의해서 GABA와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곡물을 시리얼바 제조에 이용함으로써, 기능성이 향상되고 영양성분이 풍부한 시리얼바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바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식생활 패턴의 변화와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인해 영양이 풍부한 각종 곡물과 견과류를 식사대용이나 간식 또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이른바 시리얼 바(식품에 필요한 영양소를 가감하여 정상인 또는 체중의 감소, 증가가 필요한 사람의 한 끼를 대용할 수 있도록 분말, 액상, 페이스트상, 편상, 덩어리 등의 식용에 적합한 제품으로 제조·가공한 것)가 주목받고 있다.
시리얼바(cereal bar)는 다양한 곡류, 견과류 및 건과일 등의 혼합물을 바인더와 당액을 이용하여 성형시키고 절단하여 먹기 쉽게 포장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다. 또한, 시리얼 바는 그 구성 성분에 따라 맛과 영양 상태가 다르고 식감도 달라서 구성성분의 조성에 따라서 제품의 품질과 가격 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최근에는 시리얼바의 맛 또는 기호도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진행되는 추세로, 영양 및 기능성 성분에 중점을 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감마-아미노부틸산(γ-aminobutyric acid(GABA))은 4개의 탄소로 구성되어 있는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서 1980년대 중반부터 이용되기 시작하였으며,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한 성분으로 신경안정 작용, 스트레스 해소, 기억력 증진, 혈압강화 작용, 우울증 완화, 중풍과 치매 예방, 불면, 비만, 갱년기 장애, 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졸증 및 결장암, 대장암 세포의 전이 및 증식 억제 효과도 있어 세계적인 식품 소재로 알려지고 있어 식품업계에서 특히 주목되고 있는 기능성 성분의 하나로 각 방면에서 GABA를 증강시킨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몸은 GABA 요구량을 모두 생산하지만 에스트로겐, 살리실산염 및 식품첨가물의 과잉섭취, 저 단백 식단, 아연과 비타민 B의 부족이 GABA 생성을 방해하며, 식품을 통해 보충할 경우 필요량은 하루 500-3000 mg 정도이다. GABA는 곡류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나, 자연상태에서의 식물체 GABA 함유량으로는 양리작용을 발휘하기에 부족하여 자연적인 섭취로 GABA의 생리작용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화학적 방법, 미생물 이용방법, 다양한 스트레스 이용 방법 등을 이용하여 GABA 함량을 증대시키고 이를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GABA 함량을 높인 녹차, 쌀배아, 발아현미 등이판매되고 있으나,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 제조법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바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GABA 전구체인 글루탐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곡물을 재료로 이용하되, 상기 곡물들에 미강 첨가 및 다양한 물리적 처리를 통해 GABA 함량을 증진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물을 분무하여 상기 혼합물의 수분 함량을 20 내지 50%로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수분 함량이 조절된 혼합물을 혐기적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상기 곡물의 GABA 함량을 증진시키는 단계; 및
(d) 올리고당 및 상기 GABA 함량이 증진된 곡물을 혼합 후 가열 및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미강과 곡물을 1:9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물은 증류수, pH 2-4의 산성 이온수, pH 5-8의 중성 이온수, pH 9-11의 알칼리성 이온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4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물은 곡류, 두류 및 견과종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곡류는 겉보리, 귀리 및 퀴노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두류는 렌틸콩 및 병아리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견과종실류는 해바라기씨, 호박씨 및 치아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올리고당은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및 갈락토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강 첨가 및 다양한 물리적 처리에 의해서 GABA와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곡물을 시리얼바 제조에 이용함으로써, 기능성이 향상되고 영양성분이 풍부한 시리얼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다양한 곡물들의 글루탐산과 GABA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리얼바 제조시, 미강과 곡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리얼바 제조시,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 수분 함량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리얼바 제조시, 배양 온도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리얼바 제조시, 배양 시간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최적 조건하에서 시리얼바 제조시 곡물의 GABA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최적 조건하에서 제조된 시리얼바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리얼바 제조시, 미강과 곡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리얼바 제조시,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 수분 함량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리얼바 제조시, 배양 온도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리얼바 제조시, 배양 시간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최적 조건하에서 시리얼바 제조시 곡물의 GABA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최적 조건하에서 제조된 시리얼바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GABA 전구체인 글루탐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곡물을 재료로 이용하되, 상기 곡물들에 미강 첨가 및 다양한 물리적 처리를 통해 GABA 함량을 증진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물을 분무하여 상기 혼합물의 수분 함량을 20 내지 50%로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수분 함량이 조절된 혼합물을 혐기적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상기 곡물의 GABA 함량을 증진시키는 단계; 및 (d) 올리고당 및 상기 GABA 함량이 증진된 곡물을 혼합 후 가열 및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a) 단계는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미강에는 글루탐산을 GABA로 전환시키는 glutamate decarboxylase(GAD)가 포함되어 있는바, 상기 미강은 곡물에 존재하는 글루탐산을 GABA로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물 내 글루탐산의 함량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미강과 곡물은 1:9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GABA의 함량 증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3:7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곡물의 GABA 함량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에 물을 분무하여 상기 혼합물의 수분 함량을 20 내지 50%로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미강과 곡물의 수분 함량을 20-50%로 조절함에 따라 곡물에 함유된 GABA의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GABA의 함량 증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미강과 곡물의 수분 함량을 30 내지 50%로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분 조절에 사용되는 물은 증류수, pH 2-4의 산성 이온수, pH 5-8의 중성 이온수, pH 9-11의 알칼리성 이온수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pH 2-4의 산성 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분 함량이 조절된 혼합물을 혐기적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상기 곡물의 GABA 함량을 증진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30-50 ℃의 온도에서 4-1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건에 따른 물리적 처리에 의해, 곡물의 GABA의 함량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d) 단계는 올리고당 및 상기 GABA 함량이 증진된 곡물을 혼합 후 가열 및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d) 단계를 통해 최종적으로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은 GABA의 전구체인 글루탐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시리얼바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기 곡물은 곡류, 두류 및 견과종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류는 예를 들어 겉보리, 귀리 및 퀴노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두류는 예를 들어 렌틸콩 및 병아리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견과종실류는 예를 들어 해바라기씨, 호박씨 및 치아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리얼바 제조에 사용되는 곡물의 GABA 함량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c) 단계(1차 물리적 처리)를 통해 GABA 함량이 증진된 곡물 1종 이상을 혼합한 후, 혐기적 조건하에서 30-50 ℃의 온도에서 4-12 시간 동안 다시 한번 배양함으로써(2차 물리적 처리) GABA 함량이 더욱 증진된 곡물을 수득한 후에, 상기 (d)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시리얼바의 GABA 함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당은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및 갈락토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가바
(
GABA
) 및 글루탐산 분석
가바(GABA) 함량 분석은 먼저, 1 g의 시료를 설포살리실산 용액 (4%, 4.5 mL), 에탄올 용액 (80%, 4.5 mL)과 2분 동안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70℃의 진탕 물중탕에서 30분 동안 진탕한 후, 15분 동안 원심분리(3,000 rpm, 4℃)하여 상층액을 취하였다. 상기 과정을 3번 반복하여 얻은 상층액을 PVDF filter (0.20 ㎛pore, Advante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여과 시킨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도체 시약은 OPA/MPA을 사용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미강
첨가 및 다양한 물리적 처리를 이용한 곡물의
GABA
함량 증진 및
시리얼바
제조
실시예
1.
곡물별
글루탐산과
GABA
함량 분석
본 발명의 시리얼바 제조에 사용되는 곡물들의 글루탐산 함량과 잔류 GABA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미강(국산), 렌틸콩(미국산), 치아시드(파라과이산), 병아리콩(이집트산), 퀴노아(미국산)는 50mg/100g이상, 귀리(호주산), 겉보리(국산), 해바라기씨(불가리아산), 호박씨(중국산)는 20mg/100g이상의 글루탐산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GABA 함량은 대부분 20mg/100g 이하로 매우 소량 함유되어 있으며, 병아리콩, 렌틸콩, 해바라기씨에는 GABA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2.
미강과
곡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분석
먼저, 곡물과 미강 혼합 비율별 가바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준비된 곡물들을 분쇄하고 미강과 각 곡물을 1:9, 1.5:8.5, 2:8, 2.5:7.5, 3:7, 3.5:6.5, 4: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산성수((주)설곡)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20%으로 조절하고, 질소 혹은 혐기적인 조건에서 30℃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도 2는 미강과 곡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곡물에 미강을 첨가할 경우, 곡물의 가바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미강과 곡물을 3:7의 중량비로 혼합할 경우 GABA 함량은 20-28 mg/100 g이고(보리는 5 mg/100 g), 미강과 곡물을 4:6의 중량비로 혼합할 경우 GABA 함량은 21~30 mg/100 g으로서(보리는 6 mg/100 g), 상기 혼합비에서 GABA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 수분 함량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분석
먼저, 준비된 곡물들을 분쇄하고 미강과 각 곡물을 3:7의 중량비로 혼합 후 산성수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20, 25, 30, 35, 40, 45, 50%로 조절하고, 질소 혹은 혐기적인 조건에서 30℃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도 3은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 수분 함량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분 함량은 GABA의 함량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분 함량을 20 또는 25%로 조절할 경우의 GABA 함량은 20~30 mg/100 g(보리는 5 mg/100 g)로 그 함량이 낮은 반면, 수분 함량을 30 내지 50%로 조절할 경우 GABA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수분 함량을 30%로 조절할 경우 GABA 함량은 30~44 mg/100 g(보리는 7 mg/100 g)로서, 곡물의 GABA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의 배양 온도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분석
먼저, 준비된 곡물들을 분쇄하고 미강과 각 곡물을 3:7의 중량비로 혼합 후 산성수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30%로 조절하고, 질소 혹은 혐기적인 조건 및 20, 25, 30, 35, 40, 45, 50, 55, 60℃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도 4는 배양 온도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 온도는 GABA의 함량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배양 온도를 30 ℃ 미만 또는 50 ℃를 초과할 경우의 GABA 함량은 18~44 mg/100 g(보리는 7~9 mg/100 g)로 그 함량이 낮은 반면, 수분 함량을 30 내지 50℃로 조절할 경우 GABA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배양 온도를 40℃로 조절할 경우 GABA 함량은 40~58 mg/100 g(보리는 12 mg/100 g)로서, 곡물의 GABA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의 배양 시간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분석
먼저, 준비된 곡물들을 분쇄하고 미강과 각 곡물을 3:7의 중량비로 혼합 후 산성수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30%로 조절하고, 질소 혹은 혐기적인 조건 및 40℃에서 0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도 5는 배양 시간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 시간은 GABA의 함량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배양 초기에는 배양 시간이 길어질수록 GABA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양 8시간 까지는 GABA 함량이 크게 증가하고, 배양 12시간 이후로는 GABA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최적 조건하에서
미강과
곡물 혼합물 배양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분석
상기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도출된 최적 조건을 바탕으로, 준비된 곡물들을 분쇄하고 미강과 각 곡물을 3:7의 중량비로 혼합 후 산성수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30%로 조절하고, 질소 혹은 혐기적인 조건 및 40℃에서 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도 6은 전술한 최적 조건 하에서 미강과 곡물 혼합물 배양에 따른 곡물의 GABA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무런 물리적 처리 없이 단순히 미강과 곡물을 혼합한 경우 GABA 함량은 대부분 20mg/100g 이하인 반면, 전술한 최적 조건하에서 물리적 처리를 수행할 경우, 치아시드의 GABA 함량은 83mg/100g, 호박씨의 GABA 함량은 81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아리콩, 렌틸콩, 해바라기씨의 경우 GABA 함량이 9배, 귀리, 퀴노아, 치아시드, 호박씨의 경우 GABA 함량이 4배 이상 증가하는 등대부분의 곡물에서 60mg/100g 이상의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 혼합 곡물의 배양에 따른
GABA
함량 분석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1종 이상의 곡물을 혼합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최적 조건하에서 배양에 따른 혼합 곡물의 GABA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리적 처리 없이 단순히 곡물을 혼합한 경우 GABA 함량은 9-19mg/100g으로 그 함량이 매우 낮은 반면, 곡물 혼합 후 물리적 처리시 GABA 함량은 69-83mg/100g로 GABA 함량이 4-7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최적 조건하에서 제조된
시리얼바의
GABA
함량 분석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GABA 함량이 증가된 곡물들을 건조시키고, 곡물, 프락토올리고당(76 brix,칠레) 및 물을 6:3:1 비율로 혼합한 후, 80-150℃에서 1-5분간 가열하고, 실온에서 1시간 식힌 후 커팅(2*8 cm)하여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를 제조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최적 조건하에서 제조된 시리얼바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최적 조건하에서 제조된 시리얼바의 GABA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7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귀리, 퀴노아, 겉보리 혼합물을 첨가하여 시리얼바를 제조하는 경우 베이지색의 시리얼바, 해바라기씨 혼합물을 첨가하는 경우 갈색의 시리얼바, 병아리콩 혼합물을 첨가하는 경우 노란색의 시리얼바, 렌틸콩 혼합물을 첨가하는 경우 붉은색의 시리얼바, 치아시드 혼합물을 첨가하는 경우 검정색의 시리얼바가 제조되는 등, 곡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시리얼바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다.
다음으로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순히 곡물을 혼합한 후 시리얼바를 제조하는 경우, GABA 함량은 3-13mg/100g으로 그 함량이 매우 낮은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GABA 함량이 증진된 곡물을 혼합하여 시리얼바를 제조할 경우 GABA 함량은 38-50 mg/100g으로, GABA 함량이 4-9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라 미강 첨가 및 다양한 물리적 처리를 통해 단시간에 곡물의 GABA와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이를 시리얼바 제조에 이용할 경우, 기능성이 향상되고 영양성분이 풍부한 시리얼바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 (a) 미강과 곡물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물을 분무하여 상기 혼합물의 수분 함량을 20 내지 50%로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수분 함량이 조절된 혼합물을 혐기적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상기 곡물의 GABA 함량을 증진시키는 단계; 및
(d) 올리고당 및 상기 GABA 함량이 증진된 곡물을 혼합 후 가열 및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미강과 곡물을 1:9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물은 증류수, pH 2-4의 산성 이온수, pH 5-8의 중성 이온수, pH 9-11의 알칼리성 이온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4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곡류, 두류 및 견과종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곡류는 겉보리, 귀리 및 퀴노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두류는 렌틸콩 및 병아리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견과종실류는 해바라기씨, 호박씨 및 치아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당은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및 갈락토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 제1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GABA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4171 | 2020-07-08 | ||
KR20200084171 | 2020-07-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6977A true KR20220006977A (ko) | 2022-01-18 |
KR102528555B1 KR102528555B1 (ko) | 2023-05-08 |
Family
ID=8005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2253A KR102528555B1 (ko) | 2020-07-08 | 2020-07-24 | 가바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85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04362A (zh) * | 2022-01-24 | 2022-04-12 | 安徽燕之坊食品有限公司 | 一种藜麦即食谷物棒及其加工工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2473A (ko) * | 2013-07-25 | 2015-02-0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물리적 처리를 이용한 쌀 부산물의 감마-아미노부틸산 함량 증진방법 |
KR101920799B1 (ko) * | 2017-06-01 | 2018-11-22 |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 초석잠을 이용한 에너지바 제조방법 |
-
2020
- 2020-07-24 KR KR1020200092253A patent/KR1025285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2473A (ko) * | 2013-07-25 | 2015-02-0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물리적 처리를 이용한 쌀 부산물의 감마-아미노부틸산 함량 증진방법 |
KR101920799B1 (ko) * | 2017-06-01 | 2018-11-22 |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 초석잠을 이용한 에너지바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발효 가바쌀겨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개발, 산한연 공동기술개발 최종보고서(DB 구축일자 2014.11.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400027262) 1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04362A (zh) * | 2022-01-24 | 2022-04-12 | 安徽燕之坊食品有限公司 | 一种藜麦即食谷物棒及其加工工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8555B1 (ko) | 2023-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Olukomaiya et al. | Effect of solid-state fermentation on proximate composition, anti-nutritional factor, microb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upin flour | |
Hassan et al. | Production of cereal-based probiotic beverages | |
Oyarekua |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and microbiological status of co-fermented cereals/cowpea ‘OGI’ | |
CN111165787A (zh) | 一种多菌种双重发酵黑豆酱油及其酿造方法 | |
CN103911244A (zh) | 一种玉米格瓦斯发酵饮料及其制备工艺 | |
Awulachew | Teff (Eragrostis Abyssinica) and teff based fermented cereals | |
KR102528555B1 (ko) | 가바 함량이 증가된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바 | |
Malomo et al. | Protein qua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masa produced from maize, acha and soybean | |
Almaiman et al. | Biochemical changes during traditional fermentation of Saudi sorghum (Sorghum bicolor L.) cultivars flour into khamir (local gluten free bread) | |
CN112167343B (zh) | 一种燕麦酸奶的制备方法 | |
Miah et al. | Evaluation of amino acid profile of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seed and its utilization for development of protein enriched supplementary food | |
Abdulkadir et al. | Microbial profile and nutritional quality during the fermentation of cereal based weaning food fortified with soya bean and tiger nut using starter culture | |
KR20180046091A (ko) | 팥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5124260A (zh) | 一种诱食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 |
CN114468152A (zh) | 一种生产富硒牛肉的肉牛饲料及制备方法和肉牛饲养方法 | |
Nnam | Nitrogen and mineral utilization of young children fed blends of fermented or unfermented corn (Zea mays L.) African yam bean (Sphenostylis stenocavpa) and Cowpea (Vigna unguiculata) | |
Mohapatra et al. | Impact of LAB Fermentation on the Nutrient Content, Amino Acid Profile, and Estimated Glycemic Index of Sorghum, Pearl Millet, and Kodo Millet | |
CN105124149A (zh) | 一种增强免疫力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 |
KR102401748B1 (ko) | 미강 첨가 및 다양한 물리적 처리를 통한 간장 내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증진방법 | |
KR101544926B1 (ko) | 발아현미를 이용한 냉면용 소스와 그 제조방법 | |
Ogodo et al. | Variations i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oybean flour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
Chude et al. | Microbial Lactic Acid Fermentation Improves Nutritional and Organoleptic Profile of Non-Dairy Milk Made from Bambara Groundnut | |
TWI477236B (zh) | 含γ-胺基丁酸的機能性米及其製備方法 | |
CN115530325B (zh) | 一种富含γ-氨基丁酸的鹰嘴豆酸豆粉及其应用 | |
CN102461782A (zh) | 绿色杂粮面条的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