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940A -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940A
KR20220006940A KR1020200084961A KR20200084961A KR20220006940A KR 20220006940 A KR20220006940 A KR 20220006940A KR 1020200084961 A KR1020200084961 A KR 1020200084961A KR 20200084961 A KR20200084961 A KR 20200084961A KR 20220006940 A KR20220006940 A KR 20220006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nch
charging
solar cel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943B1 (ko
Inventor
임재학
엄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에너지
Priority to KR102020008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9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4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is selected from a number of characters arranged one beside the other, e.g. on a common c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를 통해 사용자의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벤치부에 앉아 쉬면서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으며, 벤치부가 배터리를 통해 냉풍 또는 열풍을 주변온도에 따라 분사하므로, 벤치부에 앉은 사용자가 겨울이나 여름에도 앉아 쉴 수 있도록 하고, 태양전지부가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회전되므로, 최대 광량을 집광할 수 있도록 하며, 풍속에 따라 전지판을 절접시켜 강한 풍속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며, 태양전지부의 하측에 전광판 또는 투사체를 형성하여 광고를 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조도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부를 이송시켜 발생되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외부의 온도를 통해 배터리의 전원으로 태양전지부의 하측 일측에 형성되는 벤치부를 작동 또는 상기 벤치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에 사용자가 전동기기를 연결하여 충전시키도록 제어부에서 설정되는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를 통해 태양전지부의 상태값, 감지부의 감지값, 벤치부의 상태값, 충전부의 상태값 및 광고표시부의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들을 확인하여 고장 또는 파손등을 감지하고, 이를 확인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resting facilities with smart bench and electric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를 통해 사용자의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벤치부에 앉아 쉬면서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으며, 벤치부가 배터리를 통해 냉풍 또는 열풍을 주변온도에 따라 분사하므로, 벤치부에 앉은 사용자가 겨울이나 여름에도 앉아 쉴 수 있도록 하고, 태양전지부가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회전되므로, 최대 광량을 집광할 수 있도록 하며, 풍속에 따라 전지판을 절접시켜 강한 풍속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며, 태양전지부의 하측에 전광판 또는 투사체를 형성하여 광고를 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치는 공원이나 길가 등에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의자이다.
최근에는 벤치에 태양광 모듈을 결합하여 조명이나 송풍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보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구조의 대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강설, 또는 사람이나 반려 동물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었으며, 일단 오염된 후에는 물청소 등을 통해 오염된 부분을 청소했지만 벤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상 충분한 물을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벤치에는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들을 충전할 수 잇는 충전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급하게 충전을 해야 할때에는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상하로 연장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시트부 및, 상기 기둥의 상단에서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하여 확장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제1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제1 태양광 루프를 포함하여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태양전지가 벤치의 지붕역할만 하는 구성이므로, 급하게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해야 하는 경우 충전을 할 수 없으며,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벤치를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만 작동시키지 못하므로,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8908호(2020.05.29.)
본 발명은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를 통해 사용자의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벤치부에 앉아 쉬면서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으며, 벤치부가 배터리를 통해 냉풍 또는 열풍을 주변온도에 따라 분사하므로, 벤치부에 앉은 사용자가 겨울이나 여름에도 앉아 쉴 수 있도록 하고, 태양전지부가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회전되므로, 최대 광량을 집광할 수 있도록 하며, 풍속에 따라 전지판을 절접시켜 강한 풍속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며, 태양전지부의 하측에 전광판 또는 투사체를 형성하여 광고를 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은,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조도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부를 이송시켜 발생되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외부의 온도를 통해 배터리의 전원으로 태양전지부의 하측 일측에 형성되는 벤치부를 작동 또는 상기 벤치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에 사용자가 전동기기를 연결하여 충전시키도록 제어부에서 설정되는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를 통해 태양전지부의 상태값, 감지부의 감지값, 벤치부의 상태값, 충전부의 상태값 및 광고표시부의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들을 확인하여 고장 또는 파손등을 감지하고, 이를 확인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에 전동기기를 사용자가 연결하면,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전동기기의 충전 전압과 시간 및 충전량을 산출하여 전동기기를 충전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충전부에 전동기기가 연결되면 충전부에 구비되는 잠금부재를 작동시켜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잠금부재를 작동시키기 전에 입력하는 잠금입력을 통해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외부 온도와 조도를 통해 벤치부의 좌석과 등받이를 가열부를 통해 가열하거나, 등받이 및 다리측에 형성되는 통풍구를 통해 가열부를 통해 가열되는 열풍 또는 냉각부를 통해 냉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의 전광판을 통해 표시하거나 레이저를 투사하는 투사체를 통해 바닥에 투사하여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를 통해 광고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값 및 감지값을 통해 벤치부, 태양전지부, 광고표시부 및 충전부의 상태를 확인하여 서버에서 태양전지부의 접힘과 펼쳐짐 제어, 벤치부의 구동제어, 광고표시부의 정삭작동 여부 및 충전부의 정상충전 여부에 대한 오동작 제어 또는 파손을 감지하여 원격으로 오동작을 보정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려 파손 부위를 수리 또는 교체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게시설은,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시키고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태양전지부; 상기 태양의 위치, 외부의 온도, 외부의 압력, 외부의 조도 및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값과 영상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감지부; 상기 태양전지부를 통해 발생되어 배터리에 저장되는 전원 또는 외부 전원을 통해 전동기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온도와 조도를 통해 사용자가 앉는 벤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벤치부; 상기 전동기기 충전 시 전동기기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잠금 전동기기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벤치부의 온도, 태양전지부의 접힘과 펼처짐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되는 광고를 LED 전광판 또는 레이저 투사부를 통해 바닥에 투사시키는 광고표시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값이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값을 전달받아 상기 벤치부, 태양전지부, 충전부 및 광고표시부를 제어하며, 음향 및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제어부의 상태, 상기 감지부의 감지값 및 벤치부, 태양전지부, 충전부, 광고표시부의 작동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받은 감지값 및 상태값을 저장하고, 감지값 및 상태값을 통해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벤치부, 태양전지부, 충전부, 광고표시부를 제어 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벤치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태양전지부에 형성되어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여 태양전지부가 태양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광추적센서; 상기 태양전지부 또는 벤치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충전부 및 잠금부재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상기 벤치부에 형성되어 벤치부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상기 벤치부의 좌석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센서 및 상기 태양전지부가 지지되는 기둥 또는 태양전지부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태양전지부 하측과 주변을 촬영하는 보안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벤치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수의 전동기기가 거치 또는 지지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에 형성되어 전동기기를 잠가 도난을 방지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거지부재에 거치 또는 지지되는 전동기기를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를 통해 사용자의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벤치부에 앉아 쉬면서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벤치부가 배터리를 통해 냉풍 또는 열풍을 주변온도에 따라 분사하므로, 벤치부에 앉은 사용자가 겨울이나 여름에도 앉아 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부가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회전되므로, 최대 광량을 집광할 수 있도록 하며, 풍속에 따라 전지판을 절접시켜 강한 풍속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부의 하측에 전광판 또는 투사체를 형성하여 광고를 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태양전지부가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의 태양전지부 전지판이 절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일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타측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조도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부(40)를 이송시켜 발생되는 전원으로 배터리(90)를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90)를 충전하는 단계(S10); 상기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외부의 온도를 통해 배터리(90)의 전원으로 태양전지부(40)의 하측 일측에 형성되는 벤치부(20)를 작동 또는 상기 벤치부(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30)에 사용자가 전동기기를 연결하여 충전시키도록 제어부(60)에서 설정되는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S20); 상기 제어부(60)에 저장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 상기 제어부(60)와 연결되는 통신부(80)를 통해 태양전지부(40)의 상태값, 감지부(10)의 감지값, 벤치부(20)의 상태값, 충전부(30)의 상태값 및 광고표시부(100)의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40) 및 상기 서버(110)에서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들을 확인하여 고장 또는 파손등을 감지하고, 이를 확인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S20)는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30)에 전동기기를 사용자가 연결하면, 제어부(60)에서 자동으로 전동기기의 충전 전압과 시간 및 충전량을 산출하여 전동기기를 충전하고,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충전부(30)에 전동기기가 연결되면 충전부(30)에 구비되는 잠금부재(32)를 작동시켜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잠금부재(32)를 작동시키기 전에 입력하는 잠금입력을 통해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외부 온도와 조도를 통해 벤치부(20)의 좌석과 등받이를 가열부(21)를 통해 가열하거나, 등받이 및 다리측에 형성되는 통풍구를 통해 가열부(21)를 통해 가열되는 열풍 또는 냉각부를 통해 냉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는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100)의 전광판을 통해 표시하거나 레이저를 투사하는 투사체를 통해 바닥에 투사하여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를 통해 광고표시부(100)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는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값 및 감지값을 통해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광고표시부(100) 및 충전부(30)의 상태를 확인하여 서버(110)에서 태양전지부(40)의 접힘과 펼쳐짐 제어, 벤치부(20)의 구동제어, 광고표시부(100)의 정삭작동 여부 및 충전부(30)의 정상충전 여부에 대한 오동작 제어 또는 파손을 감지하여 원격으로 오동작을 보정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려 파손 부위를 수리 또는 교체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게시설은,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시키고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태양전지부(40); 상기 태양의 위치, 외부의 온도, 외부의 압력, 외부의 조도 및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값과 영상을 카메라(16)를 통해 촬영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하는 감지부(10); 상기 태양전지부(40)를 통해 발생되어 배터리(90)에 저장되는 전원 또는 외부 전원을 통해 전동기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충전부(30); 상기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온도와 조도를 통해 사용자가 앉는 벤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벤치부(20); 상기 전동기기 충전 시 전동기기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잠금 전동기기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벤치부(20)의 온도, 태양전지부(40)의 접힘과 펼처짐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부(70); 상기 제어부(60)에서 설정되는 광고를 LED 전광판 또는 레이저 투사부를 통해 바닥에 투사시키는 광고표시부(100); 상기 감지부(10)로부터 감지값이나 상기 입력부(70)로부터 입력값을 전달받아 상기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및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하며, 음향 및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제어부(60); 상기 제어부(60)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제어부(60)의 상태, 상기 감지부(10)의 감지값 및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광고표시부(100)의 작동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110)로 전송하는 통신부(80) 및 상기 통신부(80)로부터 받은 감지값 및 상태값을 저장하고, 감지값 및 상태값을 통해 제어신호를 제어부(60)로 전송하여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광고표시부(100)를 제어 하는 서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벤치부(2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 상기 태양전지부(40)에 형성되어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여 태양전지부(40)가 태양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광추적센서(12); 상기 태양전지부(40) 또는 벤치부(20)에 형성되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3); 상기 충전부(30) 및 잠금부재(32)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4); 상기 벤치부(20)에 형성되어 벤치부(20)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5); 상기 벤치부(20)의 좌석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센서 및 상기 태양전지부(40)가 지지되는 기둥 또는 태양전지부(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태양전지부(40) 하측과 주변을 촬영하는 보안용 카메라(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부(30)는, 상기 벤치부(20)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수의 전동기기가 거치 또는 지지되는 거치부재(33); 상기 거치부재(33)에 형성되어 전동기기를 잠가 도난을 방지하는 잠금부재(32) 및 상기 거지부재에 거치 또는 지지되는 전동기기를 배터리(90)의 전원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모듈(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조도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부(40)를 이송시켜 발생되는 전원으로 배터리(90)를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90)를 충전하는 단계(S10),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외부의 온도를 통해 배터리(90)의 전원으로 태양전지부(40)의 하측 일측에 형성되는 벤치부(20)를 작동 또는 상기 벤치부(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30)에 사용자가 전동기기를 연결하여 충전시키도록 제어부(60)에서 설정되는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S20), 제어부(60)에 저장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 제어부(60)와 연결되는 통신부(80)를 통해 태양전지부(40)의 상태값, 감지부(10)의 감지값, 벤치부(20)의 상태값, 충전부(30)의 상태값 및 광고표시부(100)의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40) 및 서버(110)에서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들을 확인하여 고장 또는 파손등을 감지하고, 이를 확인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태양전지부가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의 태양전지부 전지판이 절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일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의 휴게시설 타측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휴게시설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시키고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태양전지부(40), 태양의 위치, 외부의 온도, 외부의 압력, 외부의 조도 및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값과 영상을 카메라(16)를 통해 촬영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하는 감지부(10), 태양전지부(40)를 통해 발생되어 배터리(90)에 저장되는 전원 또는 외부 전원을 통해 전동기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충전부(30),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온도와 조도를 통해 사용자가 앉는 벤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벤치부(20), 전동기기 충전 시 전동기기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잠금 전동기기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벤치부(20)의 온도, 태양전지부(40)의 접힘과 펼처짐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부(70), 제어부(60)에서 설정되는 광고를 LED 전광판 또는 레이저 투사부를 통해 바닥에 투사시키는 광고표시부(100), 감지부(10)로부터 감지값이나 상기 입력부(70)로부터 입력값을 전달받아 상기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및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하며, 음향 및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제어부(60)의 상태, 상기 감지부(10)의 감지값 및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광고표시부(100)의 작동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110)로 전송하는 통신부(80) 및 통신부(80)로부터 받은 감지값 및 상태값을 저장하고, 감지값 및 상태값을 통해 제어신호를 제어부(60)로 전송하여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하는 서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부(40)는 낮에 비춰지는 태양의 빛을 통해 전원을 발생시키고,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태양의 위치를 따라 태양전지부(40)가 제어부(60)의 제어로 회동되어 태양의 빛을 최대한 많이 집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10)는, 벤치부(2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 태양전지부(40)에 형성되어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여 태양전지부(40)가 태양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광추적센서(12), 태양전지부(40) 또는 벤치부(20)에 형성되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3), 충전부(30) 및 잠금부재(32)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4), 벤치부(20)에 형성되어 벤치부(20)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5), 벤치부(20)의 좌석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센서 및 태양전지부(40)가 지지되는 기둥 또는 태양전지부(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태양전지부(40) 하측과 주변을 촬영하는 보안용 카메라(16)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11)는 벤치부(20)에 형성되어 벤치부(2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광추적센서(12)는 태양전지부(40)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60)에서 태양전지부(40)를 회동시켜 태양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여 태양전지부(40)의 전지판(41)이 태양광을 최대한 많이 집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광추적센서(12)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태양의 빛의 방향을 추적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LED 센서로 이루어져 태양의 빛을 추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측이 개구된 통을 형성하고, 하부에 광센서를 설치하여 통 내부로 유입되는 빛의 양에 따른 광센서의 전도율을 제어부(60)에서 감지하고, 이를 통해 태양전지부(40)를 회동시켜 태양을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격 감지센서는 충전부(30)에 연결되어 잠금부재(32)를 통해 잠겨진 전동기기를 탈취하기 위해 잠금부재(32)를 파손하려고 하는 압력 또는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충격 감지센서는 압력센서 또는 압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력센서로 이루어질 경우 제어부(60)에 설정되는 압력 이상으로 잠금부재(32)에 압력이 가해지면 감지되는 압력을 제어부(60)로 전송하여 제어부(60)에 구비되는 표시부재를 통해 음향 및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조도센서(13)는 벤치부(20) 또는 태양전지부(40)에 형성되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조도센서(13)에서 감지된 조도를 통해 광고표시부(100)의 휘도를 제어하게되며, 조도센서(13)의 조도값을 통해 밤이나 태양의 빛이 약할 경우에는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부(30), 벤치부(20) 및 광고표시부(100)를 작동시키거나, 배터리(90)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5)는 벤치부(20)에 형성되어 벤치부(20)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동작감지센서(15)는 벤치부(2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벤치부(20)를 작동시켜 가열 또는 냉각 되도록 한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5)를 통해 감지되는 움직임이 벤치부(20) 근처에서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벤치부(20)를 작동시키고, 일시적으로 감지되었다가 움직임이 사라지면 벤치부(20)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중량센서는 벤치부(20)의 좌석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벤치부(2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며, 동작감지센서(15)를 통해 감지되는 움직임으로 벤치부(20)가 작동되어도 중량센서에서 일정시간 동안 감지되는 사용자의 무게가 없을 경우 벤치부(20)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지 않도록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카메라(16)는 태양전지부(40)가 지지되는 기둥 또는 태양전지부(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태양전지부(40) 하측과 주변을 촬영하여 제어부(60)로 영상을 전송하고, 제어부(60)에서 영상을 서버(11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감지부(10)의 광추적센서를 통해 태양전지부(40)가 회동되어 태양의 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태양전지부(40)는 바닥에 고정되는 다수의 기둥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한쌍이 형성되어 중단이 기둥에 힌지로 결합되는 가이드대(44), 가이드대(44)를 따라 절첩되며, 일측단 또는 타측단이 힌지로 가이드대(44)에 고정되고, 태양의 빛을 통해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지판(41), 전지판(41)의 일측 끝단과 또는 타측 끝단 및 중단에 형성되어 가이드대(44)를 따라 가이드되는 회전롤(45), 가이드대(44)의 양단에 힌지로 결합되며, 기둥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46), 기둥과 가이드대(44) 간에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대(44)를 좌우 양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체(43), 가이드대(44)의 일단 또는 타단에 형성되어 전지판(41)의 일단 또는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롤(45)과 연결되는 와이어를 권취하여 양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회전모터(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대(44)는 전지판(41)에 결합되는 회전롤(45)이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지판(41)보다 길게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한쌍이 양측의 기둥 상측에 수평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지판(41)은 다수겹으로 절첩되도록 힌지로 절첩부위가 형성되며, 일측단 또는 타측단이 가이드대(44)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하측에 결합되는 회전롤(45)이 가이드대(44)를 통해 가이드되어 절첩되도록 한다.
상기 전지판(41)은 태양전지부(40)에 형성되는 풍속감지센서를 통해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여 풍속이 강할 경우 힌지로 고정되는 일측단 또는 타측단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1 회전모터(42)를 통해 와이어를 권취시켜 전지판(41)이 절첩될 수 있도록 하며, 풍속이 제어부(60)에 설정되는 속도 이하인 경우 제1 회전모터(42)를 통해 와이어를 반대로 권취시켜 전지판(41)이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태양전지부(40)의 가이드대(44)의 양단에는 지지대(46)가 힌지로 결합되고, 다른쪽이 기둥의 한점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어 구동체(43)를 통해 태양전지부(40)의 가이드대(44)가 기중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대(44)는 중심이 기둥에 힌지로 결합되며, 일측또는 타측에 기둥과 대각선으로 결합되는 구동체(43)가 형성되어 제어부(60)의 제어를 통해 가이드대(44)가 태양을 따라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체(43)는 전동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대(44)의 하측에는 별도로 가림부(50)가 형성되어 전지판(41)이 절첩될 때 펼쳐져 비를 차단하여 벤치부(20)로 비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림부(50)는 일측 또는 타측에 가림막이 권취되는 권취롤(52)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회전모터(51)가 형성되어 와이어를 통해 가림막을 당겨 평쳐지도록 하며, 권취롤(52)에 탄성체가 삽입되어 제2 회전모터(51)의 권취력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권취롤(52)에 가림막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림막은 천재질 또는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부(40)의 가이대 하측에는 카메라(16), 조명부재, 광고표시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16)는 태양전지부(40)의 하측에 형성되어 태양전지부(40) 하측과 외부를 촬영하고, 이를 통해 전동기기의 도난, 휴게시설의 파손 또는 사용자에 대한 위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부재는 감지부(10)의 조도센서(13)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조도를 통해 제어부(60)에서 작동시켜 밤에도 휴게시설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고표시부(100)는 전광판 또는 레이저 투사체로 이루어져 제어부(60)에 설정되는 광고를 표시하거나 레이저로 바닥에 투사하여 표시하게 된다.
상기 광고표시부(100)는 벤치부의 하측 및 양측 기둥에 형성되어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광고표시부(100)가 광고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기둥의 양측에 형성되어 벤치부(20)의 측면을 차단하므로, 외부의 바람 또는 비로부터 벤치부(20)의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고표시부(100)는 충전부(30)가 형성되는 타측에도 형성되어 제어부(60)에 설정되는 광고를 표시하거나, 광고판으로서 표시하게 된다.
상기 태양전지부(40)의 하측 일측에는 벤치부(2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아 쉴 수 있도록 하며, 감지부(10)의 온도센서(11)를 통해 감지되는 주위의 온도를 통해 벤치의 좌석 및 등받이를 가열하거나, 냉풍 또는 열풍을 벤치부(20)의 통풍구를 통해 사용자 측으로 분사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상기 벤치부(20)는 사용자가 앉는 좌석, 등받이로 구성되고, 좌석과 등받이 내부에 열선이 형성되며, 좌석의 다리부위와 등받이에 형성되는 통풍구를 통해 열풍 또는 냉풍이 분사되도록 하는 송풍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2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컨디셔닝장치 또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가열 냉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부(22)가 열전소자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열전소자의 특성상 냉각면과 가열면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냉풍을 공급할 경우에는 가열면으로 송풍이 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냉풍이 통풍구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며, 열풍을 공급할 경우에는 냉각면 측으로 바람이 유동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열풍이 통풍구를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벤치부(20)의 등받이 또는 좌석에 송풍부(22)가 내장되고, 배터리(90)가 등받이 뒤쪽에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충전부(30)는 배터리(90)에 저장되는 전원 또는 외부 전원을 통해 전동기기를 거치 및 충전하게 된다.
상기 충전부(30)는 사용자의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재(34), 상기 벤치부(20)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수의 전동기기가 거치 또는 지지되는 거치부재(33), 거치부재(33)에 형성되어 전동기기를 잠가 도난을 방지하는 잠금부재(32) 및 거지부재에 거치 또는 지지되는 전동기기를 배터리(90)의 전원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모듈(31)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재(34)는 벤치부(20)의 등받이 상측에 형성되는 충전함에 형성되어 충전함에 사용자의 휴대기기를 넣고 충전하거나 좌석에 앉은 상태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충전을 하며 휴대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함은 휴대기기를 사용자가 넣고 충전시킬 때 도난을 방지하도록 잠글수 잠금부재(32)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보안입력을 입력부(70)를 통해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벤치부(20)의 타측에는 충전부(30)의 거치부재(33)와 충전모듈(31) 및 잠금부재(32)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전기자전거 또는 전동킥보드등의 전동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거치부재(33)에 거치 또는 지지하고, 잠금부재(32)를 통해 전기가전거 또는 전동킥보드를 잠가 도난을 방지한다.
상기 거치부재(33)는 벤치부 내부측으로 형성되어 전동기기의 일부가 삽입되어 잠금부재(32)를 통해 잠겨질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별도의 거치부재(33)가 형성되어 전동기기가 잠겨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모듈(31)의 케이블을 전기자전거 또는 전동킥보드 등에 연결하여 충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기자전거 또는 전동킥보드 등은 충전단자의 규격이 모두 같을 수 없으므로, 케이블의 끝단과 충전단자 간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는 도난 또는 분실하게 되면 전동기기의 충전이 불가능하므로, 체결부재 또는 보관함을 별도로 구비하여 충전시에만 해당 커넥터를 꺼내어 연결하여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잠금부재(32)는 별도로 형성되는 입력부(70)의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보안암호를 입력하여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70)는 충전부(30)에 형성되어 전동기기 충전시 거치대에 전동기기를 거치시켜 잠금부재(32)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잠금입력체(71, 벤치부(20)의 좌석 및 등받이를 가열하는 가열온도, 송풍부(22)의 온도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입력부재(72) 및 태양전지부(40)를 접어 절첩되도록 하거나 펼쳐지도록 수동 제어하는 절첩입력부재(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70)는 터치스크린 또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버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감지부(10)로부터 감지값이나 상기 입력부(70)로부터 입력값을 전달받아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및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하며, 음향 및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60)는 설정되는 제어값으로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및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지만, 연결되는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서버(110)의 제어신호를 통해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및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연결되는 통신부(80)를 통해 서버(110)에서 전송되거나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고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이를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에는 별도의 연결모듈이 형성되어 관리자의 단말부와 연결되어 단말부의 광고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60)는 외부의 인터넷이 연결되어 벤치부(20) 또는 충전부(3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무료로 무선 인터넷(와이파이 : wifi)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통신부(80)로부터 받은 감지값 및 상태값을 저장하고, 감지값 및 상태값을 통해 제어신호를 제어부(60)로 전송하여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배터리(90)를 충전하는 단계(S10)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를 통해 낮 동안에는 태양전지부(40)에서 태양의 빛을 통해 전원을 발생시켜 배터리(90)를 충전하거나, 밤동안에 외부 전원을 통해 배터리(90)를 충전시키게 된다.
상기 배터리(90)를 충전하는 단계(S10)를 통해 태양광 또는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90)를 충전시키게 되면,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S20)를 통해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외부의 온도를 통해 배터리(90)의 전원으로 태양전지부(40)의 하측 일측에 형성되는 벤치부(20)를 작동 또는 상기 벤치부(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30)에 사용자가 전동기기를 연결하여 충전시키도록 제어부(60)에서 설정되는 제어값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S20)는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30)에 전동기기를 사용자가 연결하면, 제어부(60)에서 자동으로 전동기기의 충전 전압과 시간 및 충전량을 산출하여 전동기기를 충전하고,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충전부(30)에 전동기기가 연결되면 충전부(30)에 구비되는 잠금부재(32)를 작동시켜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잠금부재(32)를 작동시키기 전에 입력하는 잠금입력을 통해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외부 온도와 조도를 통해 벤치부(20)의 좌석과 등받이를 가열부(21)를 통해 가열하거나, 등받이 및 다리측에 형성되는 통풍구를 통해 가열부(21)를 통해 가열되는 열풍 또는 냉각부를 통해 냉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외부 풍속을 감지하는 감지부(10)의 풍속감지센서의 감지값이 제어부(60)에 설정되는 설정 풍속 이상일 경우 태양전지부(40)의 전지판(41) 파손을 방지하도록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제1 회전모터(42)를 통해 전지판(41)을 절첩시키고, 설정 풍속 미만이 되면 제1 회전모터(42)를 통해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태양전지부(40)의 하측에는 별도로 형성되는 가림부(50)의 가림막이 전지판(41)이 절첩될 때 펼쳐져 하부의 벤치부(20) 및 충전부(30) 측으로 비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50)는 전지판(41)이 펼쳐지면 다시 권취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S20)를 통해 충전부(30) 또는 벤치부(20)의 작동을 제어하면,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제어부(60)에 저장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100)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광고표시부(100)는 전광판 또는 레이저 투사체로 이루어져 광고를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표시하거나 레이저 투사체로 벤치부(20)에 앉은 사용자가 볼수 있도록 바닥에 광고를 투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광고를 표시할 때에는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외부의 조도를 통해 광고표시부(100)의 휘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밤에는 휘도를 낮춰 광고표시부(100)가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고, 낮에는 휘도를 높여 시인성이 좋도록 한다.
상기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광고를 표시하면, 외부의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40)를 통해 제어부(60)와 연결되는 통신부(80)를 통해 태양전지부(40)의 상태값, 감지부(10)의 감지값, 벤치부(20)의 상태값, 충전부(30)의 상태값 및 광고표시부(100)의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110)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110)에서는 제어부(6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태양전지부(40), 벤치부(20) 및 충전부(30)의 상태를 확인하고,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40)를 통해 제어부(60)에서 서버(110)로 감지값 및 상태값들을 전송하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를 통해 서버(110)에서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들을 확인하여 고장 또는 파손등을 감지하고, 이를 확인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는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값 및 감지값을 통해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광고표시부(100) 및 충전부(30)의 상태를 확인하여 서버(110)에서 태양전지부(40)의 접힘과 펼쳐짐 제어, 벤치부(20)의 구동제어, 광고표시부(100)의 정삭작동 여부 및 충전부(30)의 정상충전 여부에 대한 오동작 제어 또는 파손을 감지하여 원격으로 오동작을 보정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려 파손 부위를 수리 또는 교체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를 통해 사용자의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벤치부에 앉아 쉬면서 전동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벤치부가 배터리를 통해 냉풍 또는 열풍을 주변온도에 따라 분사하므로, 벤치부에 앉은 사용자가 겨울이나 여름에도 앉아 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부가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회전되므로, 최대 광량을 집광할 수 있도록 하며, 풍속에 따라 전지판을 절접시켜 강한 풍속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부의 하측에 전광판 또는 투사체를 형성하여 광고를 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감지부 11 : 온도센서
12 : 광추적센서 13 : 조도센서
14 : 충격감지센서 15 : 동작감지센서
16 : 카메라
20 : 벤치부 21 : 가열부
22 : 송풍부
30 : 충전부 31 : 충전모듈
32 : 잠금부재 33 : 거치부재
34 : 충전부재
40 : 태양전지부 41 : 전지판
42 : 제1 회전모터 43 : 구동체
44 : 가이드대 45 : 회전롤
46 : 지지대
50 : 가림부 51 : 제2 회전모터
52 : 권취롤
60 : 제어부
70 : 입력부 71 : 잠금입력체
72 : 온도입력부재 73 : 절첩입력부재
80 : 통신부 90 : 배터리
100 : 광고표시부 110 : 서버

Claims (7)

  1.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조도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부(40)를 이송시켜 발생되는 전원으로 배터리(90)를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90)를 충전하는 단계(S10);
    상기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외부의 온도를 통해 배터리(90)의 전원으로 태양전지부(40)의 하측 일측에 형성되는 벤치부(20)를 작동 또는 상기 벤치부(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30)에 사용자가 전동기기를 연결하여 충전시키도록 제어부(60)에서 설정되는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S20);
    상기 제어부(60)에 저장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
    상기 제어부(60)와 연결되는 통신부(80)를 통해 태양전지부(40)의 상태값, 감지부(10)의 감지값, 벤치부(20)의 상태값, 충전부(30)의 상태값 및 광고표시부(100)의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40) 및
    상기 서버(110)에서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들을 확인하여 고장 또는 파손등을 감지하고, 이를 확인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값으로 제어하는 단계(S20)는 타측에 형성되는 충전부(30)에 전동기기를 사용자가 연결하면, 제어부(60)에서 자동으로 전동기기의 충전 전압과 시간 및 충전량을 산출하여 전동기기를 충전하고,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충전부(30)에 전동기기가 연결되면 충전부(30)에 구비되는 잠금부재(32)를 작동시켜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잠금부재(32)를 작동시키기 전에 입력하는 잠금입력을 통해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외부 온도와 조도를 통해 벤치부(20)의 좌석과 등받이를 가열부(21)를 통해 가열하거나, 등받이 및 다리측에 형성되는 통풍구를 통해 가열부(21)를 통해 가열되는 열풍 또는 냉각부를 통해 냉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10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는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되는 광고를 광고표시부(100)의 전광판을 통해 표시하거나 레이저를 투사하는 투사체를 통해 바닥에 투사하여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를 통해 광고표시부(100)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0)는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상태값 및 감지값을 통해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광고표시부(100) 및 충전부(30)의 상태를 확인하여 서버(110)에서 태양전지부(40)의 접힘과 펼쳐짐 제어, 벤치부(20)의 구동제어, 광고표시부(100)의 정삭작동 여부 및 충전부(30)의 정상충전 여부에 대한 오동작 제어 또는 파손을 감지하여 원격으로 오동작을 보정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려 파손 부위를 수리 또는 교체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휴게시설은,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시키고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태양전지부(40);
    상기 태양의 위치, 외부의 온도, 외부의 압력, 외부의 조도 및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값과 영상을 카메라(16)를 통해 촬영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하는 감지부(10);
    상기 태양전지부(40)를 통해 발생되어 배터리(90)에 저장되는 전원 또는 외부 전원을 통해 전동기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충전부(30);
    상기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온도와 조도를 통해 사용자가 앉는 벤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벤치부(20);
    상기 전동기기 충전 시 전동기기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잠금 전동기기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벤치부(20)의 온도, 태양전지부(40)의 접힘과 펼처짐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부(70);
    상기 제어부(60)에서 설정되는 광고를 LED 전광판 또는 레이저 투사부를 통해 바닥에 투사시키는 광고표시부(100);
    상기 감지부(10)로부터 감지값이나 상기 입력부(70)로부터 입력값을 전달받아 상기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및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하며, 음향 및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제어부(60);
    상기 제어부(60)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제어부(60)의 상태, 상기 감지부(10)의 감지값 및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광고표시부(100)의 작동 상태값을 외부의 서버(110)로 전송하는 통신부(80) 및
    상기 통신부(80)로부터 받은 감지값 및 상태값을 저장하고, 감지값 및 상태값을 통해 제어신호를 제어부(60)로 전송하여 벤치부(20), 태양전지부(40), 충전부(30), 광고표시부(100)를 제어하는 서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벤치부(2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
    상기 태양전지부(40)에 형성되어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여 태양전지부(40)가 태양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광추적센서(12);
    상기 태양전지부(40) 또는 벤치부(20)에 형성되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3);
    상기 충전부(30) 및 잠금부재(32)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4);
    상기 벤치부(20)에 형성되어 벤치부(20)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5);
    상기 벤치부(20)의 좌석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센서 및
    상기 태양전지부(40)가 지지되는 기둥 또는 태양전지부(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태양전지부(40) 하측과 주변을 촬영하는 보안용 카메라(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30)는,
    상기 벤치부(20)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수의 전동기기가 거치 또는 지지되는 거치부재(33);
    상기 거치부재(33)에 형성되어 전동기기를 잠가 도난을 방지하는 잠금부재(32) 및
    상기 거지부재에 거치 또는 지지되는 전동기기를 배터리(90)의 전원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모듈(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KR1020200084961A 2020-07-09 2020-07-09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KR10248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61A KR102482943B1 (ko) 2020-07-09 2020-07-09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61A KR102482943B1 (ko) 2020-07-09 2020-07-09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40A true KR20220006940A (ko) 2022-01-18
KR102482943B1 KR102482943B1 (ko) 2022-12-28

Family

ID=8005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961A KR102482943B1 (ko) 2020-07-09 2020-07-09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3609A1 (en) * 2021-09-23 2023-03-23 Swiftmile, Inc. Multifunction light vehicle charging platfor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427U (ko) * 2012-04-27 2013-11-06 성시환 휴대it기기 충전장치가 구비된 간이승강장
KR101370112B1 (ko) * 2012-04-23 2014-03-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버스 정류장
KR101664394B1 (ko) * 2013-10-11 2016-10-10 (주)케이에프 도로변의 기상정보 및 대기오염물질 농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대중교통 수단 승강장
KR20200027335A (ko)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 전기자전거 거치대와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 대여 및 충전 시스템
KR102118908B1 (ko) 2019-11-11 2020-06-04 이승제 태양광 모듈을 구비한 벤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112B1 (ko) * 2012-04-23 2014-03-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버스 정류장
KR20130006427U (ko) * 2012-04-27 2013-11-06 성시환 휴대it기기 충전장치가 구비된 간이승강장
KR101664394B1 (ko) * 2013-10-11 2016-10-10 (주)케이에프 도로변의 기상정보 및 대기오염물질 농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대중교통 수단 승강장
KR20200027335A (ko)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 전기자전거 거치대와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 대여 및 충전 시스템
KR102118908B1 (ko) 2019-11-11 2020-06-04 이승제 태양광 모듈을 구비한 벤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3609A1 (en) * 2021-09-23 2023-03-23 Swiftmile, Inc. Multifunction light vehicle charging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943B1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328B2 (en) Solar powered lighting system
KR102482235B1 (ko)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
BR112017003163B1 (pt) Dispositivo de infraestrutura modular, sistema de infraestrutura e processo para operação de um ou vários dispositivo de infraestrutura
KR102209329B1 (ko) 공공용 스마트 쉘터
WO2012035362A1 (en) Display device
KR20220006940A (ko)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한 휴게시설의 제어방법
KR102256442B1 (ko) 스마트 어닝 시스템
US20160196746A1 (en) Led lighting device for outdoor parking lot
CN207302500U (zh) 一种节能环保的多功能宣传广告牌
KR20200057958A (ko) 차량용 차양 장치
KR102247320B1 (ko) 태양광 패널이 구비된 촬영장치
CN210652827U (zh) 一种移动式安检车
CN105839967A (zh) 一种车位锁和停车场
US20120229640A1 (en) Mobile Advertising System
CN209659469U (zh) 一种移动式人脸识别摄像机
CN207847236U (zh) 电动车充电服务站
CN116729168A (zh) 光储充换两轮车应急充电架
KR100875191B1 (ko) 주행 영상 저장기능을 갖는 차량의 주행시야 확보장치
KR101905404B1 (ko) 방수 특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JP3228355U (ja) 自立移動設置型監視カメラ装置
CN114228525A (zh) 一种用于电动车的智能充电站
CN203133579U (zh) 一种移动式道路引导屏
KR101924399B1 (ko) 전동식 보행 보조 장치
CN111192537A (zh) 带有投影装置的车辆及其投影装置和投影方法
US20140354819A1 (en) Rapidly deployable video surveill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