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690A - 안전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전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690A
KR20220006690A KR1020200084398A KR20200084398A KR20220006690A KR 20220006690 A KR20220006690 A KR 20220006690A KR 1020200084398 A KR1020200084398 A KR 1020200084398A KR 20200084398 A KR20200084398 A KR 20200084398A KR 20220006690 A KR20220006690 A KR 20220006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 blade
horizontal support
skate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석
Original Assignee
유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석 filed Critical 유기석
Priority to KR102020008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690A/ko
Publication of KR2022000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8Skates of the tubular typ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케이트 날이 고정되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형 수평지지간의 양 선단부를 판상으로 밀착시키지 않고 파이프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스케이트 날의 양 선단부를 감싸도록 하여 스케이트 날에 의한 찍힘 상처가 최소화하도록 한 안전성이 우수한 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Safety acceleration skate blade fixed frame}
본 고안은 스케이트 날이 고정되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형 수평지지간의 양 선단부를 판상으로 밀착시키지 않고 파이프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스케이트 날의 양 선단부를 감싸도록 하여 스케이트 날에 의한 찍힘 상처가 최소화되도록 한 안전성이 우수한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은, 부츠의 바닥면 전·후에 각각 부착되는 판상의 두 수평지지판(51A)(51B)과 일측단부가 상기 전방 수평지지판(51A) 하면의 전방 단부측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곧게 뻗은 보조 수직지지간(51C) 및 일측단부가 상기 전·후방 수평지지판(51A)(51B)의 하면 중앙에 수직하게 각각 결합되는 역원뿔 형상의 두 수직지지간(51D)(51E)과 세수직지지간(51C)(11D)(11E)의 각 타측단부 모두에 축방향 외주면 상부 세 곳이 부착되며 양 선단부가 중공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스케이트 날 측으로 휘어진 굴곡부(W)를 이루는 중공 파이프형 원통부(P') 및 원통부(P')의 하부 축방향 외주면을 따라 상기 굴곡부(W) 사이에 연장형성되고 스케이트 날의 양 측면 상부에 용접되어 스케이트 날을 고정시키는 두 리브(R')로 이루어진 수평지지간(51F)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부(P')의 양 선단부에 형성된 굴곡부(W)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은 스케이트 날이 결합된 종래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의 측면도.
도 2는 스케이트 날이 결합된 수평지지간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정면도이고,
(나)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해당하는 수평지지간의 단면도.
도 4는 스케이트 날이 결합된 종래 스케이트 날 고정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을 보인 것으로,
(가)는 측면도이고,
(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스케이트 날이 결합된 본 고안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의 측면도.
도 6은 스케이트 날이 결합된 수평지지간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며,
(다)는 (나)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수평지지간의 제작 개념도를 보인 것으로,
(가)는 드로잉 가공된 금속 판재의 평면도이고,
(나)는 (가)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금속 판재 11 프레임
12 스케이트 날 41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
51 본 고안 프레임
11A,11B,31A,31B 수평지지판
11C,11D,11E,31C,31D,31E 수직지지간
11F,31F 수평지지간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스케이트 날의 양 선단부까지 원통부가 연장 형성되는,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의 하부를 이루는 수평지지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스게이트 날 고정 프레임은 종래와 같이 두 장의 수평지지판과, 두 수직지지간과, 하나의 보조 수직지지간 및 수평지지간으로 구성되며, 수평지지간을 이루는 스케이트 고정용 리브의 길이보다 상기 원통부가 길게 형성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을 구성하는 수평지지간의 원통부가 리브의 양 선단부까지 연장형성되므로써, 상기 리브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스케이트 날의 양 선단부 상단을 감싸게 되고, 그 결과 스케이트 날이 결합된 수평지지간의 양 선단부에 종래와 같이 단면 두께가 얇고 측면 형상이 뾰족하였던 부분이 적절한 두께(또는 직경)와 곡률을 갖는 중공 파이프형 원통부로 대체되어 스케이트 날에 의한 찍힘 사고시 스케이트 날이 깊숙히 들어가 상처가 깊어지는 것을 방비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에 스케이트 날이 결합된 본 고안 안전성이 우수한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의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프레임(51)은, 부츠의 바닥면 전·후에 각각 부착되는 판상의 두 수평지지판(51A)(51B) 과, 일측단부가 상기 전방 수평지지판(51A) 하면의 전방 단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곧게 뻗은 보조 수직지지간(51C)과, 일측단부가 상기 전·후방 수평지지판(51A)(51B)의 하면 중앙에 대략 수직하게 각각 결합되며 밑으로 내려 갈 수록 직경이 감소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대략 역원뿔 형상의 두 수직지지간(51D)(51E)과, 상기 세 수직지지간(51C)(11D)(11E)의 각 타측단부 모두에 외주면 상부 세 곳이 부착되는 수평지지간(51F)으로 이루 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간(51F)은 상부의 중공 파이프형 원통부(P')와, 원통부의 하부 축방향 외주면을 따라 대략 외주면 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스케이트 날의 양 측면 상부에 용접되어 스케이트 날을 고정시키는 두 리브(R')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원통부의 양 선단부는 대략 중공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스케이트 날 측으로 휘어진 굴곡부(W)가 형성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스케이트 날이 결합된 본 고안 프레임은 상기 굴곡부가 길이 방향의 양 선단부가 됨으로써, 스케이트 날이나 스케이트 날을 고정시키는 리브와 같은 뾰족한 부분이 양 선단부에 드러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지지간(51F)은 종래의 것과는 그 제작 방법이 다르게 되는데, 그 제작 방법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간을 축방향으로 양분하여 대칭되도록 금속 판재(7)를 드로잉 가공한 후, 외곽부(T)를 제거하고 두 원통부(P')가 원형을 이루면서 두 리브(R')가 서로 대향하도록 밴딩하는 방법으로 수평지지간이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두 리브(R')는 스케이트 날의 양 측면 상부에 용접되며, 두원통부(P')의 직선부인 중앙부는 일체로 형성되나, 원통부의 양 선단부인 절곡부(W)는 서로 갈라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버트 용접(butt-welding)에 의하여 일체화 된다.

Claims (1)

  1. 스케이트 날이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부츠에 부착되며 수평지지판과 수직지지간 및 수평지지간으로 이루어진 스케이트날 결합 프레임에 있어서, 부츠의 바닥면 전·후에 각각 부착되는 판상의 두 수평지지판(51A)(51B)과;일측단부가 상기 전방 수평지지판(51A) 하면의 전방 단부측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곧게 뻗은 보조 수직지지간(51C) 및 일측단부가 상기 전·후방 수평지지판(51A)(51B)의 하면 중앙에 수직하게 각각 결합되며 밑으로 내려 갈 수록 직경이 감소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역원뿔 형상의 두 수직지지간(51D)(51E)으로 구성되는 수직지지간(51C)(51D)(51E)과;상기 세 수직지지간(51C)(11D)(11E)의 각 타측단부 모두에 축방향 외주면 상부 세 곳이 부착되며 양 선단부가 중공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스케이트 날 양 선단부를 감싸도록 휘어진 굴곡부(W)를 이루는 중공 파이프형 원통부(P')와, 원통부(P') 하부의 축방향 개구부 외주면을 따라 대략 외주면에 수직하면서 상기 양 선단부의 굴곡부(W) 사이에 연장형성되고 스케이트 날의 양 측면 상부에 용접되어 스케이트 날을 고정시키는 두 리브(R')로 이루어진 수평지지간 (51F)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
KR1020200084398A 2020-07-09 2020-07-09 안전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 KR20220006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398A KR20220006690A (ko) 2020-07-09 2020-07-09 안전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398A KR20220006690A (ko) 2020-07-09 2020-07-09 안전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690A true KR20220006690A (ko) 2022-01-18

Family

ID=8005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398A KR20220006690A (ko) 2020-07-09 2020-07-09 안전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6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656B1 (ko) 종형보트 및 그 제조방법
JP6527057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KR20220006690A (ko) 안전가속용 스케이트 날 고정 프레임
JP2015523953A (ja) 縁辺誘導手段を用いるガラス成形装置および方法
TWI804710B (zh) 釣線導引裝置之導引框及釣線導引裝置與釣竿
US8980004B2 (en) Crucible and method for pulling a single crystal
CN206416346U (zh) 一种新型金刚线切割硅片用绕线轮
JPS6310556B2 (ko)
JP5702344B2 (ja) 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1910A (ja) 曲線引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4338990B2 (ja) 石英ガラスルツボ及びこれを用いたシリコン単結晶の引き上げ方法
CN210235210U (zh) 一种摩托车车架及一种摩托车
JP2014012614A (ja) カーボン製ルツボ及びその製造方法
EP0033871A1 (en) Bushing for producing glass fiber filaments
CN217198363U (zh) 一种发动机悬置横梁总成
US2099043A (en) Crucible
CN112771231B (zh) 用于建筑机械的外部的管状结构构件
CN211710815U (zh) 一种轨道车辆用风机底座安装结构
TWI816016B (zh) 釣線導引裝置之導引框、釣線導引裝置及釣竿
US2310553A (en) Ingot mold
JPH06247720A (ja) ガラス溶解用るつぼ
CN214267267U (zh) 一种高强度轻量化铝合金轮毂
JP5360705B2 (ja) ガス吹き用ポーラスプラグ
US20230265579A1 (en) Quartz glass crucible
CN213175041U (zh) 带有底部减振机构的5g输电塔的角钢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