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840A - 치과용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치과용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840A
KR20220005840A KR1020200083502A KR20200083502A KR20220005840A KR 20220005840 A KR20220005840 A KR 20220005840A KR 1020200083502 A KR1020200083502 A KR 1020200083502A KR 20200083502 A KR20200083502 A KR 20200083502A KR 20220005840 A KR20220005840 A KR 20220005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llet
dispenser
motor
direc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규
박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규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규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규은테크
Priority to KR102020008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840A/ko
Publication of KR20220005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10); 바닥 플레이트(38);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를 연결하며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플레이트(20);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 사이에 설치되는 Z 방향 스크류(14); 상기 Z 방향 스크류(14)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제1 모터(11); 상기 Z 방향 스크류(14)에 의해 Z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수평 플레이트(28c);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8c)가 Z 방향 스크류(14)에 의해 이동할 때 가이드 역활을 하는 제1 내지 제2 선형 가이드(15a, 15b);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8c)의 양쪽 단부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 28b);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 28b) 사이에 설치되는 Y 방향 스크류(24) 및 제3 내지 제 4 선형 가이드(25a, 25b);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8a)에 설치되어 상기 Y 방향 스크류(24)를 이동시키는 제2 모터(21); 상기 제2 모터(21)의 작동에 의해 Y 방향 스크류의 회전으로 Y 방향 이동이 가능한 펠릿 플레이트(60); 상기 바닥 플레이트(38)로 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플레이트(37); 상기 수직 플레이트(37)에 설치된 제3 모터(31); 상기 제3 모터(31)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X 방향 스크류(34); 상기 X 방향 스크류(34)의 회전에 의하여 X 방향 이동이 가능한 작업대(40); 상기 펠릿 플레이트(60)에 설치되어 펠릿(90)을 배출하는 펠릿 디스펜서(1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에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 공급부(190)를 포함하는 치과용 3 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3D 프린터 {Dental 3D Printer}
본 발명은 덴탈 (= 치과용)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프린터는 특정의 형상을 갖는 제품에 대하여 전통적 제조 방법인 절삭 가공의 비효율성과 3차원 복잡 형상 제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적층 제조 기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와 같은 3차원 적층 제조 기술은 분말, 액체, 고체 형태의 특정 물질을 입체 형상 제조를 위한 모델링, 프린팅, 후처리 등의 요소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다.
3차원 프린터의 제품 조형 방식은 크게 대상 물체를 2차원의 평면형태로 한 층씩 쌓아 올려 3차원으로 적층하면서 용융 부착하여 형태를 만들어가는 적층형과, 재료덩어리를 조각하듯이 절삭해서 형태를 만들어가는 절삭형이 있다.
적층형은 플라스틱 액체 또는 플라스틱 실을 종이보다 얇은 층(레이어)으로 겹겹이 쌓아 입체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서, 레이어가 얇을수록 정밀한 형상을 얻을 수 있고, 채색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적층형의 일종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된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를 공급릴과 이송롤을 통해 공급하고 공급된 필라멘트를 3차원이송기구에 장착된 히터 노즐에서 용융시켜서 배출하여 물체를 3차원으로 성형하는 필라멘트 용융 적층 조형방법이 있으나, 정밀한 조형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조형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가의 필라멘트가 대량으로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 특허 제10-2020-0023709호 (2020.03.06)
본 발명에는 치아 및 틀니를 원재료 형태인 고형 펠릿을 조형 소스로 사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급되는 펠릿을 분쇄하고 분사하고자 하는 분사기(100)를 제공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사기(1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사기(100)에는 에어 블로우어를 제공하여 펠릿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분사기(100) 내부에 한싸의 경사진 측면 회전 분쇄기(123b, 123c)를 구비하여 펠릿이 보다 섞여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10); 바닥 플레이트(38);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를 연결하며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플레이트(20);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 사이에 설치되는 Z 방향 스크류(14); 상기 Z 방향 스크류(14)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제1 모터(11); 상기 Z 방향 스크류(14)에 의해 Z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수평 플레이트(28c);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8c)가 Z 방향 스크류(14)에 의해 이동할 때 가이드 역활을 하는 제1 내지 제2 선형 가이드(15a, 15b);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8c)의 양쪽 단부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 28b);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 28b) 사이에 설치되는 Y 방향 스크류(24) 및 제3 내지 제 4 선형 가이드(25a, 25b);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8a)에 설치되어 상기 Y 방향 스크류(24)를 이동시키는 제2 모터(21); 상기 제2 모터(21)의 작동에 의해 Y 방향 스크류의 회전으로 Y 방향 이동이 가능한 펠릿 플레이트(60); 상기 바닥 플레이트(38)로 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플레이트(37); 상기 수직 플레이트(37)에 설치된 제3 모터(31); 상기 제3 모터(31)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X 방향 스크류(34); 상기 X 방향 스크류(34)의 회전에 의하여 X 방향 이동이 가능한 작업대(40); 상기 펠릿 플레이트(60)에 설치되어 펠릿(90)을 배출하는 펠릿 디스펜서(1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에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 공급부(190)를 포함하는 치과용 3 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는 상기 펠릿 플레이트(60)에 고정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고정부(111a, 111b, 111c, 111d), 상기 펠릿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펠릿이 투입되는 입구(153),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모터(121a),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모터(121a)에 의해 회전이 되는 디스펜서 수직 봉(131), 상기 수직 봉(131)에 설치된 회전 블레이드(132),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부 양쪽 측면에 설치된 제5 및 제6 모터(121b, 121c), 상기 제5 및 제6 모터(121b, 121c)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고 디스 펜서(100) 내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는 서로 마주 보고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에 대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의 표면에는 다수의 원추형 돌기(123ba, 123c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 하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에어 분사부(142a, 142b)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치아 및 틀니를 원재료 형태인 고형 펠릿을 조형 소스로 사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급되는 펠릿을 분쇄하고 분사하고자 하는 분사기(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사기(1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사기(100)에는 에어 블로우어를 제공하여 펠릿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분사기(100) 내부에 한싸의 경사진 측면 회전 분쇄기(123b, 123c)를 구비하여 펠릿이 보다 고르게 섞여서 분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작하는 치과용 재료(50)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 3D 프린터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 3D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 3D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 분쇄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 분쇄기(100) 내의 측면 회전부(123b, 123c)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 3D 프린터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치아 구조물(5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a 내지 도 2c는 3D 프린터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플레이트(10), 측면 플레이트(20) 및 바닥 플레이트(38)로 구성되고,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Z 방향 스크류(14)를 작동시키는 제1 모터(11)를 장착시키기 위한 제1 모터 장착 플레이트(13)가 설치된다.
상기 Z 방향 스크류(14)에 의해 제1 수평 플레이트(28c)가 Z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 사이에는 제1 내지 제2 선형 가이드(15a, 15b)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8c)가 Z 방향 스크류(14)에 의해 이동할 때 가이드 역활을 한다.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8c)의 양쪽 단부에는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8a)에는 제2 모터(21)가 설치되고 제2 모터(21)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 28b) 사이에 설치된 Y 방향 스크류(24)를 작동시키며 펠릿 플레이트(60)을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 28b) 사이에는 제3 내지 제 4 선형 가이드(25a, 25b)가 설치되어 상기 펠릿 플레이트(60)가 Y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역활을 한다.
바닥 플레이트(38)로 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플레이트(37)에는 제3 모터(31)가 장착되고, 상기 제3 모터(31)은 X 방향 스크류(34)를 작동시켜며 상기 X 방향 스크류(34)은 작업대(40)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에는 펠릿 공급부(190)가 설치되고, 상기 펠릿 플레이트(60)에는 펠릿 디스펜서(100)가 설치된다.
따라서,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업대(40)에서 생성되는 조형물 (예: 도면 번호 50의 치과용 조형물)은 Y 및 Z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펠릿 플레이트(60)에서 걸치되어 펠릿 디스펜서(100)에 의하여 3차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는 제1 내지 제4 고정부(111a, 111b, 111c, 111d)를 구비하여 펠릿 플레이트(60)에 고정되고 상기 펠릿 공급부(190)에서는 튜브(191)를 통해 펠릿 디스펜서(100)의 입구(153)를 통해 펠릿(90)을 제공한다.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의 상부에는 제4 모터(121a)가 설치되어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 내부에 설치된 디스펜서 수직 봉(131)을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 봉(131)에는 회전 블레이드(132)가 설치되어 회전 블레이드(132)의 회전에 의하여 입구(153)로 공급된 펠릿(90)이 하부의 배출구(151)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 디스펜서(100)에서는 양쪽 측면에 제5 및 제6 모터(121b, 121c)가 설치되고 상기 제5 및 제6 모터(121b, 121c)는 디스 펜서(100) 내부에 설치된 경사진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를 회전 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는 서로 마주 보고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에 대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디스펜서(100)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의 표면에는 다수의 원추형 돌기(123ba, 123ca)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부로 부터 공급되는 펠릿이 서로 고르게 혼합이 되면서 하부로 이동할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 봉(131)에 설치된 회전 블레이드(132)와 양쪽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가 회전하면서 디스펜서(100) 내부의 펠릿을 혼합하여 배출구(151)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에어 분사부(142a, 142b)가 설치되어 있어서 하부로 공급되는 펠릿(90)이 배출구(151) 쪽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펠릿(90)을 혼합하여 배출구쪽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로 하여 덴탈용 치아 구조물을 3차원으로 제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상부 플레이트 11: 제1 모터
12: 기어 세트 13: 제1 모터 플레이트
14: Z 방향 스크류 15a, 15b: 제1 내지 제2 선형 가이드
20: 측면 플레이트 21: 제2 모터
28a, 28b: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
28c: 수평 플레이트
100: 디스펜서

Claims (2)

  1. 상부 플레이트(10);
    바닥 플레이트(38);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를 연결하며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플레이트(20);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 사이에 설치되는 Z 방향 스크류(14);
    상기 Z 방향 스크류(14)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제1 모터(11);
    상기 Z 방향 스크류(14)에 의해 Z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수평 플레이트(28c);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3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8c)가 Z 방향 스크류(14)에 의해 이동할 때 가이드 역활을 하는 제1 내지 제2 선형 가이드(15a, 15b);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28c)의 양쪽 단부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 28b);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8a, 28b) 사이에 설치되는 Y 방향 스크류(24) 및 제3 내지 제 4 선형 가이드(25a, 25b);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8a)에 설치되어 상기 Y 방향 스크류(24)를 이동시키는 제2 모터(21);
    상기 제2 모터(21)의 작동에 의해 Y 방향 스크류의 회전으로 Y 방향 이동이 가능한 펠릿 플레이트(60);
    상기 바닥 플레이트(38)로 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플레이트(37);
    상기 수직 플레이트(37)에 설치된 제3 모터(31);
    상기 제3 모터(31)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X 방향 스크류(34);
    상기 X 방향 스크류(34)의 회전에 의하여 X 방향 이동이 가능한 작업대(40);
    상기 펠릿 플레이트(60)에 설치되어 펠릿(90)을 배출하는 펠릿 디스펜서(1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에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 공급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는 상기 펠릿 플레이트(60)에 고정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고정부(111a, 111b, 111c, 111d), 상기 펠릿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펠릿이 투입되는 입구(153),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모터(121a), 상기 펠릿 디스펜서(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모터(121a)에 의해 회전이 되는 디스펜서 수직 봉(131), 상기 수직 봉(131)에 설치된 회전 블레이드(132),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부 양쪽 측면에 설치된 제5 및 제6 모터(121b, 121c), 상기 제5 및 제6 모터(121b, 121c)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고 디스 펜서(100) 내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는 서로 마주 보고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에 대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디스 펜서(100)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3차원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의 표면에는 다수의 원추형 돌기(123ba, 123c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23b, 123c) 하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에어 분사부(142a, 142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3차원 프린터.
KR1020200083502A 2020-07-07 2020-07-07 치과용 3d 프린터 KR20220005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02A KR20220005840A (ko) 2020-07-07 2020-07-07 치과용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02A KR20220005840A (ko) 2020-07-07 2020-07-07 치과용 3d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40A true KR20220005840A (ko) 2022-01-14

Family

ID=7934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502A KR20220005840A (ko) 2020-07-07 2020-07-07 치과용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58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09A (ko) 2018-08-23 2020-03-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에서 펠릿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공급관 길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09A (ko) 2018-08-23 2020-03-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에서 펠릿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공급관 길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872B1 (ko) 치과용 3d 프린터
TWI781232B (zh) 分配系統與在積層製造設備中分配粉末的方法
KR101676606B1 (ko) 3d 프린터용 분말 공급장치
US8944802B2 (en) Fixed printhead fused filament fabrication printer and method
JP2019065397A (ja) 3次元コンポーネントを造形的に製造するデバイス
JP2021107150A (ja) 高解像度バックグラウンドを有する物体の立体造形方法及び装置
KR101575061B1 (ko) 3d 프린터의 노즐 가변수단
WO2017048919A1 (en) Array of printhead modules for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KR101938233B1 (ko) 컬러 3d 프린터의 출력 헤드
US9446558B2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head module
KR20170047550A (ko) 물질분사 방식 3d 프린터의 노즐
CN108943705A (zh) 一种应用平板打印机的砂型3d快速成型设备
KR101880845B1 (ko) 분말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20220005840A (ko) 치과용 3d 프린터
KR102148637B1 (ko) 펠릿 3d 프린터의 펠릿 주입 방법 및 펠릿 이송 시스템
KR101801457B1 (ko) 3d 프린터 장치
CN105538713A (zh) 一种多材质3d打印机
CN104647759A (zh) 一种双电机送丝3d打印机
CN205310840U (zh) 一种多材质3d打印机
KR101591572B1 (ko) 3차원 프린터
KR20200023685A (ko) 여러 개의 노즐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출력하는 3d 프린터
KR20200143306A (ko) 사선형 출력물의 3d 프린터 장치
KR101834663B1 (ko) 복층 헤드를 구비한 3d프린터
CN216423478U (zh) 一种多进料方向的3d打印机
CN106313562A (zh) 一种多轴多喷嘴的3d打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