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780A -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780A
KR20220005780A KR1020200083362A KR20200083362A KR20220005780A KR 20220005780 A KR20220005780 A KR 20220005780A KR 1020200083362 A KR1020200083362 A KR 1020200083362A KR 20200083362 A KR20200083362 A KR 20200083362A KR 20220005780 A KR20220005780 A KR 20220005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variable
modeling
control point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374B1 (ko
Inventor
한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Priority to KR102020008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3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본 폰트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상기 기본 폰트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변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값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값에 기초하여 획득된 상기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폰트는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ariable fonts}
본 개시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 폰트에 대해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각종 미디어, 도서, 광고 문구 등 문자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매체는, 각 매체 별로 고유한 성격, 의도, 분위기, 미적 감각 등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방대한 양의 다양한 폰트들 중에서 보다 적절한 폰트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매번 적절한 폰트를 찾기까지 사용자의 시간과 노력이 크게 소요되고, 또한 자주 사용되는 적절한 폰트는 특정 폰트에 한정되어 있어, 여러 매체로부터 특정 폰트가 중복 사용됨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전달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측면으로는, 일 폰트에 대해 사용자가 자신의 편의에 맞게 형태를 일정하게 변형시킨 정도의 폰트가 필요한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나, 직접 폰트를 제작하기까지의 비용과 시간, 노력이 부담되는 경우, 사용자는 간단하면서도 적절한 조작만으로도 쉽게 원하는 형태의 폰트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폰트에 대해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인 조작을 통해 가변적으로 변형되는 가변 폰트 제작 방법 및 디바이스의 제공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9336호,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폰트 변형방법 및 시스템
본 개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획득된 기본 폰트에 대해, 도형의 모양에 기초하여 형태가 변화하는 가변적인 형태의 폰트를 획득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측면에 따른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본 폰트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상기 기본 폰트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변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값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값에 기초하여 획득된 상기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폰트는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 모양은 원,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플래그형 및 평행사변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폰트의 글자는 제 1 컨트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델링 폰트의 글자는 상기 제 1 컨트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제 2 컨트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폰트의 글자는 제 1 컨트롤 포인트 및 상기 제 2 컨트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제 3 컨트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가 상기 제 2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와 유사한 정도에 따라 상기 유사값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는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되고,
상기 유사값은 상기 제 3 컨트롤 포인트가 상기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한 정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값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폰트에 따른 복수개의 대표 글자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개의 대표 글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갱신되는 상기 유사값에 따라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대표 글자는 상기 기본 폰트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값은 음수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값이 음수인 경우, 상기 가변 폰트는 상기 유사값 변화에 따른 상기 가변 폰트의 변경 추세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와 비유사하게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값은 0 내지 기설정 숫자의 사이값으로 표현되고,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본 폰트를 획득하고,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상기 기본 폰트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를 획득하고, 상기 가변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값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유사값에 기초하여 획득된 상기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폰트는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2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4측면은 제 3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일 형태를 갖는 도형들에 대응되도록 가변되는 형태의 폰트를 간편하고 직관적인 조작을 통해 획득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가 제공되는 각 단계를 나타낸 단계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기본 폰트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 및 가변 폰트를 획득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서 가변 폰트에 따른 복수개의 대표 글자를 디스플레이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10) 및 수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에서는 가변 폰트를 생성 및 제공하는 일련의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유사값에 기초하여 획득된 가변 폰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본 폰트를 획득하고,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기본 폰트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를 획득하고, 가변 폰트가 모델링 폰트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값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유사값에 기초하여 획득된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110)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가변 폰트는 기본 폰트가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 터치 입력 및 도면에 미도시된 컴퓨터, 그에 연결된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부터도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의 경우 가변 폰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에는 한글 글자 또는 특수문자 입력에 따른 텍스트 작성 기능이 구비된 일 이상의 문서 작성 관련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는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가변 폰트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별로 제공된 가변 폰트의 다운로드, 히스토리 관리, 폰트 수정 요청 등에 관한 추가적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이 독립적으로 가변 폰트 생성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가변 폰트 생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와 서버는 그 기능의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고, 서버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가 제공되는 각 단계를 나타낸 단계도이다.
단계 S210에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본 폰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폰트는, 후술하는 단계에 따라 획득되는 가변 폰트를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선택되는 폰트를 말한다. 다시 말해, 폰트의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형되기 이전의 초기 상태인, 변형의 기초가 되는 형태의 폰트로써,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폰트일 수 있다. 이러한 기본 폰트는,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기 선정 되어 일련의 기본 폰트 목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제공된 기본 폰트 목록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의해 기본 폰트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선택된 기본 폰트를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선택된 기설정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획득되는 가변적인 형태를 갖는 폰트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유사값에 따라 기설정 모양에 대응하도록 가변 폰트의 형태가 가변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가변 폰트는 기본 폰트의 형태에서 기설정 모양의 형태로 변경된 모델링 폰트의 형태로 변경되는 과정의 중간 단계에 존재하는, 기설정 모양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가변적인 형태를 갖는 폰트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변 폰트는 기본 폰트가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된 유사값 및 가변 폰트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단계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며, 특히, 가변 폰트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 상에 개시된 모든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본 폰트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서브셋 폰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본 폰트에 대해, 기본 폰트에 포함된 복수의 글자 중에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상에서 기설정 횟수 이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복수개의 글자를 기초로 하여 서브셋 폰트를 생성하고, 이러한 서브셋 폰트를 기본 폰트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셋 폰트를 생성하여 기본 폰트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 빈도가 기설정 횟수 미만인 글자에 대해서는 기본 폰트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아 가변 폰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생략하게 되어, 시스템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동 지연 또는 트래픽 과다 문제를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빠른 처리 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브셋 폰트를 생성하는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본 폰트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기 선정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폰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전에 보유한 사용자 폰트를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에 업로드하여 사용자 폰트로 등록함으로써 기본 폰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임의로 준비한 사용자 폰트에 대한 가변 폰트를 획득하기 위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에 준비한 사용자 폰트를 업로드 하여 사용자 폰트로써 등록하고, 이후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용자 폰트를 기본 폰트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적합성 및 유효성을 판단하는 일련의 절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임의로 준비한 사용자 폰트의 경우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작권 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저작권 상의 문제가 없는 폰트를 사용할 것을 요구하는 경고 문구를 시스템에 업로드하기 전 단계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기본 폰트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은, 기본 폰트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 이용되는 일정한 형태를 갖는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 모양은 원이나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플래그형 또는 평행사변형 등일 수 있다. 그러나, 기설정 모양이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일정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모든 도형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또는 개수를 포함하는 도형 및 기설정된 곡률의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기설정 모양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 모양은,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에서 제공하는 기설정 모양 외에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업로드하여 등록한 사용자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된 사용자 모양의 형태가 기설정된 도형 정보에 적합한 형태인지에 대한 판단 여부가 사용자 모양 인식부(미도시)를 통해 결정되면 사용자 모양으로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모양이 기설정 모양으로 사용되기 적합한 모델링을 갖도록 보정하는 모델링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최종적인 모델링 단계를 거치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용자 모양을 기설정 모양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델링 폰트가 획득되는 단계는, 선택된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기본 폰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본 폰트(321) 및 기설정 모양(310)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설정 모양(310)에 대응하도록 기본 폰트(321)의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 기본 폰트(321) 및 기설정 모양(310)이 선택되면, 기설정 모양(310)에 대한 기본 폰트(321)의 유사값(350)에 대한 변경이 활성화될 수 있다. 기설정 모양(310)에 대한 기본 폰트(321)의 유사값(350)은 최초 “”일 수 있다. 이러한 유사값(350)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유사값(350)이 변경되는 경우 기본 폰트(321)는 기설정 모양(310)에 대응하도록 변경되며, 기본 폰트(321)와 기설정 모양(310)이 완전히 대응하는 경우 유사값(350)은 최대 값일 수 있으며, 유사값(350)이 최대인 경우 모델링 폰트(322)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사값(350)이 변경되어 기본 폰트(321)가 기설정 모양(310)에 대응하도록 변경되는 과정에서 가변 폰트(323)가 획득될 수 있다. 즉, 가변 폰트(323)는 기본 폰트(321)가 기설정 모양(310)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택된 기설정 모양(310)에 대한 모델링은 컨트롤 포인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포인트는, 기본 폰트(321)가 기설정 모양(310)에 대응되도록 형태가 변경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점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본 폰트(321)의 컨트롤 포인트인 제 1 컨트롤 포인트(331)의 이동에 따라 기본 폰트(321)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컨트롤 포인트가 이동하는 경로는 기설정 모양(310)의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컨트롤 포인트(331)의 위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되어(예: 유사값 변경) 기설정 모양(310) 상의 컨트롤 포인트 위치와 최종적으로 일치하게 되는 경우 모델링 폰트(322)가 획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델링 폰트(322)는 기본 폰트(321)가 기설정 모양(310)에 대응되도록 제1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331)가 변경되어, 최종적으로 제1 컨트롤 포인트(331)의 위치가 기설정 모양(310) 상의 컨트롤 포인트와 일치하게 되는 경우(또는, 제 2 컨트롤 포인트(332) 위치와 일치하게 되는 경우) 획득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가변 폰트(323)는 기본 폰트(321) 및 제 1 컨트롤 포인트(331)가 모델링 폰트(322) 및 제 2 컨트롤 포인트(332)로 변경되는 단계에서 획득될 수 있고, 가변 폰트(323)는 제 3 컨트롤 포인트(3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폰트(323)는 기본 폰트(321)가 모델링 폰트(322)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기본 폰트(321)의 글자는 제 1 컨트롤 포인트(331)를 포함하고, 모델링 폰트(322)의 글자는 제 1 컨트롤 포인트(331)에 대응되는 제 2 컨트롤 포인트(332)를 포함하고, 가변 폰트(323)의 글자는 제 1 컨트롤 포인트(331) 및 제 2 컨트롤 포인트(332)에 대응되는 제 3 컨트롤 포인트(3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컨트롤 포인트는 선택된 기설정 모양(310)에 대응되어 가변되기 적절한 각각의 글자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 모양(310)의 컨트롤 포인트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기설정 모양(310)은 제공되는 형태가 정해져 있어 사용자는 제공되는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모양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모양 변경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기설정 모양 변경부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기설정 모양 변경부는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설정 모양(310)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설정 모양(310)에 컨트롤 포인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조작을 통해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 변경에 따라 기설정 모양(310)이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기설정 모양(310)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거쳐 변경된 기설정 모양은 기설정 모양 변경부(또는, 프로세서(110))에 저장되고, 추후 이를 불러오기 하여, 불러오기 된 변경된 기설정 모양을 기초로 기본 폰트(321)를 변경하여 가변 폰트(323) 및 모델링 폰트(322)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계 S210 내지 단계 S220에서 개시된 사용자 폰트, 사용자 모양 및 변경된 기설정 모양을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상호 교류하도록 공유할 수 있는 서식 공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사용자가 자신이 업로드한 사용자 폰트, 사용자 모양 및 사용자 자신이 변경한 변경된 기설정 모양(이하 '사용자 데이터'라 함)에 대해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식 공유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사용자 데이터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공유된 경우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본 폰트, 기설정 모양 목록에 추가하여 제공하거나, 인기 사용자 서식임을 공지하는 취지의 게시판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폰트 및 모양의 경우 저작권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업적 이용이 불가한 폰트, 모양에 대한 사용 경고 취지의 경고문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서식 공유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폭넓은 선택 폭이 제공될 수 있으며, 공유 서비스를 통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의 활발한 사용자 공유 활동 및 그로 인한 시스템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컨트롤 포인트는, 각 글자에 인접하여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값에 따라 컨트롤 포인트가 각 글자에 인접하는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 포인트는 범위 값에 의해 글자 상에 겹쳐지지 않은, 글자와 떨어진 지점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후 유사값(350)의 변경에 따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서 글자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가변 폰트(323)가 모델링 폰트(322)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값(350)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터치 드래그 입력, 클릭 드래그 입력, 터치 입력, 클릭 입력, 키보드 입력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4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계 S230에서 결정된 유사값에 기초하여 획득된 가변 폰트를 제공할 수 있다.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계 S230에서 결정된 유사값에 따른 가변 폰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계 S230에서 결정된 유사값에 따른 가변 폰트에 따른 글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사값(350)은 기 설정된 범위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3 컨트롤 포인트(333)의 위치가 제 2 컨트롤 포인트(332)의 위치와 유사한 정도에 따라 유사값(350)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컨트롤 포인트(331)의 유사값(350)은 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사값(350)은 제 3 컨트롤 포인트(333)가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한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제 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340)는 기본 폰트(321)가 모델링 폰트(322)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340)는 기설정 모양(310)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 모양(310)이 곡선을 포함하는 경우, 제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340) 또한 곡선을 포함할 수 있고, 기설정 모양(310)이 곡선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즉, 직선으로 구성된 경우 제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340) 또한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340)는, 가변 폰트(323)의 형태가 결정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으로, 제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340)가 형성된 형태에 대응하여 가변 폰트(323)의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 모양(310)에 곡선이 포함되어 있으면, 제 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340) 또한 곡선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곡선이 포함된 제 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340)에 대응하는 형태로 가변 폰트(323)의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사값(350)은 복수의 사용자 선택에 기반하여 특정 값이 추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본 폰트(321), 기설정 모양(310)에 기초하여 결정된 유사값(35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동일한 조건(예: 동일한 기본 폰트, 기설정 모양(310)이 선택된 경우)에 대해 결정된 유사값(350)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 상에서 다른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 횟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경우, 다시 말해, 동일한 조건에 대한 유사값(350)이 기설정 횟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경우, 동일한 조건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에게 기설정 횟수 이상으로 획득된 유사값(350)을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에 추천 유사값을 제시함으로써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를 증진함과 동시에 조작이 어려워 발생하는 사용자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유사값(350)의 수치가 무작위하게 결정될 수 있는 랜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본 폰트(321) 및 기설정 모양(310)에 대한 추천 유사값을 획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유사값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본 폰트(321)의 제 1 컨트롤 포인트(331) 및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또는, 기설정 모양의 컨트롤 포인트)을 분석하고,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대응하도록 제 1 컨트롤 포인트(331)를 이동하되, 제 1 컨트롤 포인트(331)의 이동 범위 값에 대해 기 설정된 최소 값 내지 최대 값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획득된 유사값(350)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컨트롤 포인트(331)의 이동 범위 값에 대해 기 설정된 최소 값 및 최대 값은 선택된 기본 폰트(321) 및 기설정 모양(310)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유사값(350)의 숫자 범위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유사값(350)의 숫자 범위도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예: 키보드 입력) 유사값(350)의 숫자 범위는 제 1 컨트롤 포인트(331)의 이동 범위 값에 대해 기 설정된 최소 값 및 최대 값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유사값(350)의 최대값이 5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1000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컨트롤 포인트(331)의 이동 범위 값에 대해 기 설정된 최소 값 내지 최대 값의 범위가 2배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본 폰트(321) 및 기설정 모양(310)의 종류와 유사값(350)의 수치를 무작위하게 결정할 수 있는 랜덤 프리셋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랜덤 프리셋 선택부는 기본 폰트(321), 기설정 모양(310) 및 유사값(350)을 무작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되는 랜덤한 프리셋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 폰트(321), 기설정 모양(310) 및 유사값(350)에 대한 사용자의 3 차례의 선택 절차가 생략된 랜덤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계 S230에서 결정된 유사값(350)에 기초하여 획득된 가변 폰트(323)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유사값(350)에 기초하여 획득된 가변 폰트(323)는 도 4와 같이, 가변 폰트(323)에 따른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갱신되는 상기 유사값(350)에 따라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될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는 기본 폰트(321)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사값(350)은 음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사값(350)이 음수인 경우, 가변 폰트(323)는 유사값(350) 변화에 따른 가변 폰트(323)의 변경 추세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기본 폰트(321)가 모델링 폰트(322)와 비유사하게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폰트(323)의 변경 추세는 유사값(350)이 변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되도록 가변 폰트(323)가 변경되는 형태의 일 흐름일 수 있다. 즉, 유사값(350)의 변화에 대응되도록 가변 폰트(323)가 변경되는 형태 역시 변경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가변 폰트(323)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본 폰트(321)가 모델링 폰트(322)와 비유사하게 변경되는 과정은, 유사값(350)이 음수인 경우, 유사값(350)이 정수일 때의 모델링 폰트(322)의 형태와 상이한(또는 반대되는)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즉,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트롤 포인트에 대한 유사값(350)이 음수로 결정되는 경우, 정수로 결정된 유사값(350)에 기초하여 결정된 컨트롤 포인트의 형태와 상이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형태로 표현되는 모델링 폰트(322)는 음수로 결정된 유사값(350)이 좌표 상에서 표현되는 형태와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사값(350)은 0 내지 기설정 숫자의 사이값으로 표현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드래그 입력은 마우스(미도시)에 의한 입력일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인 터치를 통한 입력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3 은 일 실시 예에서, 기설정 모양(310)의 모델링에 따라 기본 폰트(321)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322)를 획득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본 폰트(32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설정 모양(310)에 따라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본 폰트(321), 기설정 모양(310)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기본 폰트(321) 및 기설정 모양(310)이 선택되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도 2의 단계 S220에서 개시된 일련의 절차에 따라 기본 폰트(321) 상에 포함된 제 1 컨트롤 포인트(331)를 생성한다(여기서,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1컨트롤 포인트(331) 및 제 2 컨트롤 포인트(332)의 시작점 및 개수가 상호 일치하도록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본 폰트(321) 및 제 1 컨트롤 포인트(331)에 대응하는 유사값(350)이 변화하면서, 유사값(350)이 최대 값이 될 경우 모델링 폰트(322) 및 제 2 컨트롤 포인트(332)가 결정된다. 이처럼 사용자 입력에 의해 기본 폰트(321)에서 모델링 폰트(322)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가변 폰트(323) 및 제 3 컨트롤 포인트(333)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유사값(350)이 최소값을 초과하는 값에서 최대값의 미만인 값일 때 가변 폰트(323) 및 제 3 컨트롤 포인트(333)가 결정될 수 있다. 더하여, 결정된 가변 폰트(323) 및 제 3 컨트롤 포인트(333)가 모델링 폰트(322) 및 제 2 컨트롤 포인트(332)에 대응하도록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사값(350)은 제 3 컨트롤 포인트(333)의 위치가 제 2 컨트롤 포인트(332)의 위치와 유사한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유사값(350)은 제 3 컨트롤 포인트(333)의 이동에 대응하도록 값이 변화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서 가변 폰트(323)에 따른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를 디스플레이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 폰트(321)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는 가변 폰트(323)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갱신되는 유사값에 따라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와 유사한 형태의 폰트 설정값을 제공하는 유사 폰트 제공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폰트 설정값은 일련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결정된 기본 폰트, 기설정 모양 및 유사값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 폰트 제공부는 폰트 설정값이 상이하지만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존의 기본 폰트가 적용된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 외에 다른 기본 폰트가 적용된 대표 글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기본 폰트(321), 기설정 모양(310) 및 그에 대한 유사값(350)을 결정함으로써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기본 폰트를 선택한 경우에 대한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최초 단계로 돌아가, 선택한 기본 폰트(321) 외 다른 기본 폰트를 선택하고 기설정 모양(310) 및 그에 대한 유사값(350)을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불필요한 시간 소요를 줄이기 위해,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된 기존의 복수개의 대표 글자(410) 외에, 기존 선택된 기본 폰트(321)를 제외한 다른 기본 폰트를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이 제공되어 사용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다른 기본 폰트가 적용된 복수개의 대표 글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설정 모양(310) 외의 다른 기설정 모양을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120: 수신부
310: 기설정 모양
321: 기본 폰트 322: 모델링 폰트 333: 가변 폰트
331: 제 1 컨트롤 포인트
332: 제 2 컨트롤 포인트
333: 제 3 컨트롤 포인트
340: 제 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
350: 유사값
410: 복수개의 대표 글자

Claims (10)

  1.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본 폰트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상기 기본 폰트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변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값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값에 기초하여 획득된 상기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폰트는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모양은 원,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플래그형 및 평행사변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폰트의 글자는 제 1 컨트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델링 폰트의 글자는 상기 제 1 컨트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제 2 컨트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폰트의 글자는 제 1 컨트롤 포인트 및 상기 제 2 컨트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제 3 컨트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가 상기 제 2 컨트롤 포인트의 위치와 유사한 정도에 따라 상기 유사값이 결정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컨트롤 포인트의 이동 경로는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되고,
    상기 유사값은 상기 제 3 컨트롤 포인트가 상기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한 정도에 따라서 결정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값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 폰트에 따른 복수개의 대표 글자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개의 대표 글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갱신되는 상기 유사값에 따라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대표 글자는 상기 기본 폰트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값은 음수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값이 음수인 경우,
    상기 가변 폰트는 상기 유사값 변화에 따른 상기 가변 폰트의 변경 추세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와 비유사하게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값은 0 내지 기설정 숫자의 사이값으로 표현되고,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으로 결정되는, 가변 폰트 제공 방법.
  9.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본 폰트를 획득하고,
    기설정 모양의 모델링에 따라 상기 기본 폰트를 변경하여 모델링 폰트를 획득하고,
    상기 가변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값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유사값에 기초하여 획득된 상기 가변 폰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폰트는 상기 기본 폰트가 상기 모델링 폰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가변 폰트 제공 디바이스.

KR1020200083362A 2020-07-07 2020-07-07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8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362A KR102385374B1 (ko) 2020-07-07 2020-07-07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362A KR102385374B1 (ko) 2020-07-07 2020-07-07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80A true KR20220005780A (ko) 2022-01-14
KR102385374B1 KR102385374B1 (ko) 2022-04-13

Family

ID=7934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362A KR102385374B1 (ko) 2020-07-07 2020-07-07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3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147A (ja) * 1991-08-21 1993-02-26 Fujitsu Ltd 変形書体生成システム
KR101719336B1 (ko) 2015-12-18 2017-04-0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폰트 변형방법 및 시스템
JP6184569B1 (ja) * 2016-08-11 2017-08-23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オブ スンシル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タイル変更が可能なフォント生成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147A (ja) * 1991-08-21 1993-02-26 Fujitsu Ltd 変形書体生成システム
KR101719336B1 (ko) 2015-12-18 2017-04-0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폰트 변형방법 및 시스템
JP6184569B1 (ja) * 2016-08-11 2017-08-23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オブ スンシル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タイル変更が可能なフォント生成方法及び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구상옥 외, ‘서클체인 표현 기반의 한글 글립 변형’, 한국컴퓨터그래픽스 학회, 2013.* *
이주해 외, '한글 가변 폰트 제작을 위한 METAFONT 속성이 추가된 글리프 원형의 피팅',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374B1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5978B (zh) 用户标签存储方法、用户画像计算方法及计算设备
RU2645276C2 (ru) Создание вариаций при преобразовании данных в потребляемый контент
US20160132225A1 (en) Interactive data-driven presentations
US20120311436A1 (en) Dynamic display of content using an electronic device
US9430776B2 (en) Customized E-books
US20160092530A1 (en) Cross visualization interaction between data visualizations
CN111432226B (zh) 直播推荐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US20140223281A1 (en) Touch Input Visualizations
US20170235706A1 (en) Effecting multi-step operations in an application in response to direct manipulation of a selected object
US20210132743A1 (en) Interactive Display of Data Distributions
US20170076075A1 (en) De-duplication of per-user registration data
US202201377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riven design generation
AU20212736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recolouring a design
US20170046310A1 (en) Providing semantic based document design
CN108292193B (zh) 动画数字墨水
KR102385374B1 (ko)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60026613A1 (en) Processing image to identify object for insertion into document
US11809806B2 (en) Glyph accessibility system
CN105279140B (zh) 文本显示方法、服务器、终端及系统
CN115713572A (zh) 文本图像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395847B1 (ko) 가변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20060851A (ko) 글자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95848B1 (ko) 암호 폰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US10963141B2 (en) Smart multi-touch layout control for mobile devices
US202302059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a design element to a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