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741A -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741A
KR20220005741A KR1020200083286A KR20200083286A KR20220005741A KR 20220005741 A KR20220005741 A KR 20220005741A KR 1020200083286 A KR1020200083286 A KR 1020200083286A KR 20200083286 A KR20200083286 A KR 20200083286A KR 20220005741 A KR20220005741 A KR 20220005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ing coil
touch
hous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831B1 (ko
Inventor
김종윤
이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831B1/ko
Priority to US17/032,393 priority patent/US11327593B2/en
Priority to CN202011448110.6A priority patent/CN113918040B/zh
Publication of KR2022000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pressure sensitive conductive elements delivering a boolean signal and located between crossing sensing lines, e.g. located between X and Y sensing lin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03K17/952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using inductive coi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7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a magnetic movable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7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a magnetic movable element
    • H03K2017/9706Induc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38Induc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2217/9651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the moving element acting on a force, e.g. pressure sensitive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는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 상기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외부 압력의 인가를 검출하는 센싱 회로부; 및 상기 센싱 코일의 일 방향 일 측을 막고, 일 방향 타 측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변형 유도 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TOUCH SENS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기기는 좀더 얇고 심플하면서 깔끔한 디자인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기계식 스위치가 사라지고 있다. 이는 방진, 방수 기술의 구현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매끄러운 디자인의 일체감 있는 모델의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능해지고 있다.
현재 메탈 위를 터치하는 ToM(touch On Metal) 기술, 터치 패널을 이용한 커패시터 센싱 기법, MEMS(Micro-Electro-Mechanical-System), 마이크로 스트레인 게이지(Micro Strain Gauge)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포스 터치기능까지 개발되는 추세이다.
기존의 기계식 스위치의 경우, 스위치 기능 구현을 위해 내부적으로 큰 사이즈와 공간이 필요하고, 외관상으로도 외부로 튀어나오는 형태나 외부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깔끔하지 못한 디자인과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계식 스위치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감전될 위험이 있으며, 특히 기계적 스위치의 구조상 방진·방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포스 센싱 스위치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포스 센싱 스위치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까지 동작 신호로 센싱하는 오작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포스 센싱 스위치에 사용되는 포스 센서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는 힘의 강도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아날로그 신호 중에서 미리 설정된 문턱값(threshold)을 넘는 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다른 위치에 강한 힘을 가하게 되더라도 문턱값을 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포스 센싱 스위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위치와 관계없이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오작동 회피를 위한 역-검출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는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 상기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외부 압력의 인가를 검출하는 센싱 회로부; 및 상기 센싱 코일의 일 방향 일 측은 막고, 일 방향 타 측은 개방하도록 구성된 변형 유도 축을 포함하는 터치 센싱 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해, 적어도 일부 영역에 터치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터치 스위치부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싱 장치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터치 센싱 장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상기 터치 스위치부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기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 및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기계식 스위치 없이도 전자 기기의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는 터치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간 활용 및 방진·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탈 또는 글래스와 같은 하우징과 센싱 코일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는 것을 검출하는 역-검출 알고리즘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터치 센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작동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외관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3은 센싱 코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변형 유도 축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센싱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변형 유도 축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가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는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영역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영역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가 터치 센싱 장치에 구비되는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4 영역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기판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센싱 코일이 실장되는 일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6 영역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외관의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기기(10)는 하우징(51), 전면 디스플레이 글래스(52), 후면 커버(53) 및 터치 스위치부(TS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은 전자 기기(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수단에 해당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전자 기기(10)의 중심 골격을 형성하는 수단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우징(51)은 전자 기기(10)의 종류 및 구성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해당되는 경우, 하우징(51)은 메탈 프레임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1)이 글래스와 같은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글래스(52)는 하우징(51)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 커버(53)는 상기 하우징(51)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기기(10)는 전면 디스플레이 글래스(52), 하우징(51) 및 후면 커버(53)로 이루어지는 2층 내지 3층 구조의 사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위치부(TSW)는 기계식 버튼을 대체하기 위해 상기 전자 기기(10)의 사이드면에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위치부(TSW)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이 전달되는 부분, 즉 사용자 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접촉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위치부(TSW)는 하우징(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1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고, 스마트 와치(Watch)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가 될 수 있으며, 특정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가능하거나 착용 가능한 전자 기기, 또는 동작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갖는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컴퓨터(computer), 모니터(monitor),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비디오 게임(video gam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오토모티브(Automotiv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일반적인 휴대폰 등의 전자 기기의 경우, 그 사이드면에 볼륨 버튼이나 전원 버튼이 물리적인 버튼(키)(Button(Key))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리 버튼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물리 버튼을 사용할 경우 마모 등의 원인으로 인해 내구연한이 있으며, 방수 처리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포스 센싱 장치 및 전자 기기에 대해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대해,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각 도면에 대해 가능한 차이점에 대한 사항이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사용자 손(1)으로 터치 스위치부(TSW)에 압력을 가하였을 때 하우징(51)이 내측으로 휘어지는 정도를 센싱하여, 전자 기기(10)의 사이드면에서 물리 버튼 없이 포스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최신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10)는, 중심에 메탈 프레임 등과 같은 하우징(51)이 있고, 그 상부에는 전면 디스플레이 글래스(52)(Front Display Glass)가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후면 커버(5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 커버(53)는 예를 들어 백 글라스(Back Glass)에 해당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는 하우징(5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51)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터치 스위치부(TSW)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는 터치센싱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센싱 장치(100)는 하우징(5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터치센싱 장치(100)는 하우징(51)의 터치 스위치부(TSW)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참고로 본 서류에서, 터치, 터치 입력, 터치 인가는, 힘을 수반하지 않고 접촉하는 접촉 터치와, 힘(압력)으로 누르는 포스를 수반하는 포스 터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덕티브 센싱에 의한 포스 터치 입력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기술한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의 포스 입력이란, 터치 입력 중에서 압력이 인가되는 포스 터치에 의한 입력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손(1)에 의하여 하우징(51)의 터치 스위치부(TSW)에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51)은 터치 스위치부(TSW)의 위치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고, 터치 센싱 장치(100)와 하우징(51)이 이루는 에어 갭(Air gap)의 크기에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
이때, 에어 갭의 크기가 변화하면 인덕턴스의 변화가 수반된다. 따라서 터치 센싱 장치(100)는 기준값 이상의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되면, 터치 스위치부(TSW)에 포스 터치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센싱 코일(110), 기판(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1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싱 코일(110)이 배치된 기판(120)은 지지부(130)에 의하여 하우징(5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터치 센싱 장치(100)가 전자 기기(10)에 삽입되면, 지지부(130), 기판(120) 및 기판(120)에 배치된 센싱 코일(110)은 하우징(51)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싱 장치(100)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센싱 코일(110)은 하우징(51)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센싱 코일(110)과 하우징(51)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센싱 코일(110)의 형태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으며, 원 또는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코일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PCB나 FPCB에 배선 패턴의 형태로 센싱 코일(110)을 형성하거나, 칩 인덕터의 형태로 센싱 코일(11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센싱 장치(100)는 사용자 손(1)이 터치 스위치부(TSW)를 누르는 힘에 의해 하우징(51)이 변형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손(1)이 터치 스위치부(TSW)를 가압하면 하우징(51)은 센싱 코일(110)과 가까워지는 형태로 휘어지고, 이에 따라 센싱 코일(110)과 하우징(51)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51)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메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써, 센싱 코일(110)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주위의 도체인 메탈 소재의 하우징(51)과 센싱 코일(110) 사이의 거리가 변하여 와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변화에 따라 생성된 와전류에 의하여, 센싱 코일(110)의 인덕턴스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인덕턴스의 변화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화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장치(100)는 상기한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터치 스위치부(TSW)에 가해진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포스 터치 입력으로 인지할 수 있다.
기판(120)은 FPCB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FPCB 외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과 적어도 하나의 배선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여러 가지 종류의 기판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기판(120)의 일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110)이 배치되며, 복수의 센싱 코일(110)은 기판(1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센싱 회로부(200)와 센싱 코일(110) 또한, 기판(1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센싱 코일(110)이 배치된 기판(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의 내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적용되는 전자 기기(10)의 종류 및 내부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특별한 형태 또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 면에 기판(120)이 고정되고, 타 면이 전자 기기(10)의 내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브라켓 등)이면 모두 가능하다.
여기서,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장치(100)는 전자 기기(10)의 내측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센싱 코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변형 유도 축의 일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센싱 코일(110) 및 센싱 회로부(200)가 기판(120)에 배치된 상태에서, 변형 유도 축(140)의 구성이 부가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변형 유도 축(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형 유도 축(140)은 센싱 코일(110)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센싱 코일(110)의 일 측을 막도록 기둥 또는 벽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유도 축(140)은, 사용자가 하우징(51)에 압력을 가하였을 때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손(1)이 특정 지점의 하우징(51)을 누르면, 압력이 가해진 지점의 하우징(51)은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변형 유도 축(140)은,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여, 변형 유도 축(140)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가압한 지점과 대칭되는 반대 지점의 하우징(51)이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변형 유도 축(140)의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예시는 이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변형 유도 축(140)은 센싱 코일(110)의 양 측면의 공간을 비대칭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코일(110)의 우측에 변형 유도 축(140)이 설치되면 센싱 코일(110)의 우측 공간은 막히게 된다. 이에 반해, 변형 유도 축(140)이 설치되지 않은 센싱 코일(110)의 좌측 공간은 막히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변형 유도 축(140)에 의하여, 센싱 코일(110)의 일 방향 일 측은 막고, 일 방향 타 측은 개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변형 유도 축(140)은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소재를 불문하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우징(51)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기둥 또는 벽 형태로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면 충분하므로, 절연체로 이루어지더라도 무관하다. 다만, 가해지는 압력 및 하우징(51)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그 구조를 유지해야 하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도가 높은 소재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 기기(10)에 설치되는 부품이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량의 소재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센싱 회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회로부(200)는 센싱 코일(110)과 연결되어, 외부 압력의 인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코일(110)과 센싱 회로부(200)는 회로 연결부(30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회로부(200)는 센서 IC(집적 회로)에 해당될 수 있다. 센싱 회로부(200)는 상기 센싱 코일(110)의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외부 압력의 인가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51)에 압력이 가해지면, 하우징(51)과 센싱 코일(110) 사이의 거리가 변하여 와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센싱 코일(110)의 인덕턴스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센싱 회로부(200)는 상기한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스위치부(TSW)에 포스 터치 입력이 가해진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센싱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변형 유도 축의 일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복수의 센싱 코일(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센싱 코일(110)은 전자 기기(10)의 종류 또는 하우징(51)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복수의 센싱 코일(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싱 코일(110) 사이의 변형 유도 축(140)은, 양 측의 복수의 센싱 코일(110)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센싱 코일(110)의 우측에 변형 유도 축(140)이 설치되면, 해당 센싱 코일(110)의 우측 공간은 막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센싱 코일(110)의 우측에 변형 유도 축(140)이 설치되면, 해당 센싱 코일(110)의 우측 공간 또한 막히게 된다. 다만, 센싱 코일(110)의 좌측 공간은 변형 유도 축(140)이 설치되지 않아 막히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센싱 코일(110) 사이의 변형 유도 축(140)은, 양 측의 센싱 코일(110)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가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는 일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5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은 d2의 간격을 갖는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터치 센싱 장치(100)는 그 내부 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는 하우징(51)의 일 면에 부착될 수 있고, 지지부(130)에는 센싱 코일(110)이 배치된 기판(12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싱 장치(100)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센싱 코일(110)은 하우징(51)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싱 코일(110)과 하우징(51) 사이에는, d1에 해당하는 거리를 갖는 에어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변형 유도 축(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유도 축(140)은 센싱 코일(110)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되, 하우징(51)과 수직하는 기둥 또는 벽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 유도 축(140)은 센싱 코일(110)의 일 측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써, 변형 유도 축(140)은 지지부(130)에 일 단이 접합되어 지지부(130)와 수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변형 유도 축(140)이 이와 같이 설치되면, 변형 유도 축(140)을 포함하는 터치 센싱 장치(100)가 일체로써 커버 부재(5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변형 유도 축(140)은 센싱 코일(110)의 일 측에만 설치되고, 타 측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코일(110)의 우측에는 변형 유도 축(140)이 설치되고, 센싱 코일(110)의 좌측에는 변형 유도 축(140)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 코일(110)의 일 방향 일 측은 막고, 일 방향 타 측은 개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51)은 변형 유도 축(140)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R1)은 센싱 코일(110)이 설치된 내부 영역과 상응하는 하우징(51)의 일 영역을 의미한다. 즉, 하우징(51)의 제1 영역(R1) 하부에는 센싱 코일(110)이 존재한다. 이때, 제1 영역(R1)과 센싱 코일(110)은 d1의 에어 갭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R2)은, 변형 유도 축(140)을 기준으로, 센싱 코일(110)이 설치되지 않은 내부 영역과 상응하는 커버 부재(51)의 일 영역을 의미한다. 즉, 커버 부재(51)의 제2 영역(R2) 하부에는 센싱 코일(110)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R2)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장치(100)는 제2 영역(R2)에 기준값보다 큰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정상적으로 포스 터치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영역(R2)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되는 것은, 본 발명이 역-검출 알고리즘(Reverse Sensing Algorithm)을 이용하는 것과 연관되므로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51) 및 터치 센싱 장치(100)의 거리가 증가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터치 센서가 하우징(51) 및 터치 센싱 장치(100)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검출하는 방식과는 상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센싱 회로부(200)는, 센싱 코일(110) 및 하우징(51)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센싱 코일(110)과 하우징(51)이 서로 멀어지는 것을 정상적인 포스 입력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역-검출 알고리즘(Reverse Sensing Algorithm)에 의하면, 터치 센서에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보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10)의 하우징(51)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터치 스위치부(TSW)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스위치부(TSW)를 제외한 하우징(51)의 영역은 오동작부에 해당될 수 있다. 즉, 하우징(51)은 정상적인 동작 신호가 발생되는 터치 스위치부(TSW) 및 오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에 센싱 코일(110)이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R1)은 오동작부로 결정되며, 제1 영역(R1)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R2)은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영역(R1)에 기준값을 초과하는 압력을 가하는 경우, 이는 터치 센싱 장치(100)에 의하여 오동작으로 판별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 영역(R2)에 기준값을 초과하는 압력을 가하는 경우, 이는 터치 센싱 장치(100)에 의하여 정상적인 포스 입력으로 판별되어, 정상적인 동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압력이 가해져 포스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구체적인 예시는 도 6 및 도 7에 각각 도시되므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제2 영역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제1 영역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51)의 제2 영역(R2)에 외부 압력(F)이 가해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압력이 직접 가해진 지점인 제2 영역(R2)이 내측(도 6에서 하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변형 유도 축(140)이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변형 유도 축(140)을 기준으로 압력이 가해진 지점과 대칭되는 반대 지점은 외측(도 6에서 상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51)의 제1 영역(R1)은 변형 전보다 센싱 코일(1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참고로, 하우징(51)은 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압력을 가함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변형 후 제자리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1)이 메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다양한 메탈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히 연한 철, 텅스텐, 인청동, 크로몰리 등의 금속 소재를 첨가한 합금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변형 전 상태를 도시한 도 5 및 변형 후 상태를 도시한 도 6을 대비하여 보면, 하우징(51)의 제2 영역(R2)은 외부 압력(F)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써 에어 갭이 d2에서 d21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51)의 제1 영역(R1)은 변형 유도 축(140)에 의하여 외측으로 휘어짐으로써, 센싱 코일(110)과 이루는 에어 갭이 d1에서 d11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R2)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되므로, 도 6은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부(TSW)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 해당한다. 즉, 사용자가 제2 영역(R2)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1 영역(R1)과 센싱 코일(11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므로, 터치 스위치부(TSW)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하우징(51)이 센싱 코일(110)로부터 이격된 수직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51) 및 터치 센싱 장치(100)의 거리가 증가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센싱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R1)의 에어 갭이 증가하면, 정상적인 포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메탈 소재의 하우징(51)을 예로 들면, 센싱 코일(110)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하우징(51)의 제1 영역(R1)과 센싱 코일(11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여 와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변화에 따라 생성된 와전류에 의하여, 센싱 코일(110)의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센싱 회로부(200)는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가압 동작이 정상적인 포스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가 에어 갭이 증가한 결과에 따른 변화인 경우, 이를 터치 스위치부(TSW)에 가해진 포스 입력으로 인지할 수 있다.
부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위치부(TSW)에 해당하는 제2 영역(R2)에 압력이 가해졌다고 하더라도, 그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여야만 정상적인 포스 입력으로 검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 기기(10)를 휴대하면서 의도치 않게 터치 스위치부(TSW)를 건드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센싱 회로부(200)는 센싱 코일(110) 및 하우징(51)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51)의 제1 영역(R1)에 외부 압력(F)이 가해지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압력이 직접 가해진 지점인 제1 영역(R1)이 내측(도 7에서 하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51)의 제1 영역(R1)은 변형 전보다 센싱 코일(110)로부터 더 가까워지게 된다.
변형 전 상태를 도시한 도 5 및 변형 후 상태를 도시한 도 7을 대비하여 보면, 하우징(51)의 제1 영역(R1)은 외부 압력(F)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써 센싱 코일(110)과 이루는 에어 갭이 d1에서 d12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51)의 제2 영역(R2)은 변형 유도 축(140)에 의하여 외측으로 휘어짐으로써, 에어 갭이 d2에서 d22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R1)은 오동작부로 결정되므로, 도 7은 사용자가 오동작부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51) 및 센싱 코일(110)의 거리가 증가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R1)의 에어 갭이 감소하면, 해당 압력이 터치 스위치부(TSW)에 가하여진 정상적인 포스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으로 판별될 수 있다.
메탈 소재의 하우징(51)을 예로 들면, 센싱 코일(110)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하우징(51)의 제1 영역(R1)과 센싱 코일(11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여 와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변화에 따라 생성된 와전류에 의하여, 센싱 코일(110)의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센싱 회로부(200)는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가압 동작이 정상적인 포스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가 에어 갭이 감소한 결과에 따른 변화인 경우, 이를 오동작부에 가해진 압력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가 터치 센싱 장치에 구비되는 일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지지부(130)의 하부면에 탄성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외부 압력(F)이 가해지면 압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51)의 내측에 삽입되는 터치 센싱 장치(100)의 최상부에는 센싱 코일(1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싱 코일(110)의 하부에는 센싱 코일(110)이 실장되는 기판(120)이 배치되고, 기판(120)의 하부에는 기판(120)을 고정시키는 지지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하부에 탄성 부재(150)의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150)의 하측에는 하부 프레임(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60)은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별한 형태나 구조에 구애 받지 않고, 그 상부에 탄성 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탄성 부재(150)는 압력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부(130) 및 하우징(51)이변형 유도 축(14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우징(51)에 압력이 가해지면 지지부(130)의 하부에 위치한 탄성 부재(150)에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8를 참조하면, 하우징(51)은 변형 유도 축(140)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제3 영역(R3) 및 제4 영역(R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영역(R3)은 센싱 코일(110)이 설치된 내부 영역과 상응하는 하우징(51)의 일 영역을 의미한다. 즉, 하우징(51)의 제3 영역(R3) 하부에는 센싱 코일(110)이 존재하며, 제3 영역(R3)과 센싱 코일(110)은 d3의 에어 갭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제3 영역(R3)은, 도 5에 도시된 제1 영역(R1)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4 영역(R4)은, 변형 유도 축(140)을 기준으로, 센싱 코일(110)이 설치되지 않은 내부 영역과 상응하는 커버 부재(51)의 일 영역을 의미한다. 즉, 커버 부재(51)의 제4 영역(R4) 하부에는 센싱 코일(110)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제4 영역(R4)은, 도 5에 도시된 제2 영역(R2)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영역(R2)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4 영역(R4)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장치(100)는 제4 영역(R4)에 기준값보다 큰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정상적으로 포스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영역(R4)에 압력이 가해져 포스 입력이 인가되는 구체적인 예시는 도 9에 도시되므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8의 제4 영역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51)의 제4 영역(R4)에 외부 압력(F)이 가해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51)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압력이 직접 가해진 지점인 제4 영역(R4)이 내측(도 9에서 하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변형 유도 축(140)이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변형 유도 축(140)을 기준으로 압력이 가해진 지점과 대칭되는 반대 지점은 외측(도 9에서 상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51)의 제3 영역(R3)은 변형 전보다 센싱 코일(1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 지지부(130)의 하부에 탄성 부재(150)가 구비되므로, 탄성 부재(150)가 압축되면서 제4 영역(R4)의 휘어지는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3 영역(R3)의 휘어지는 정도 또한 증대될 수 있고, 따라서 하우징(51)의 제3 영역(R3) 및 센싱 코일(110) 사이의 거리도 증가할 수 있다.
변형 전 상태를 도시한 도 8 및 변형 후 상태를 도시한 도 9를 대비하여 보면, 하우징(51)의 제4 영역(R4)은 외부 압력(F)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써 에어 갭이 d4에서 d41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51)의 제3 영역(R3)은 변형 유도 축(140)에 의하여 외측으로 휘어짐으로써, 센싱 코일(110)과 이루는 에어 갭이 d3에서 d31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150)의 압축에 의하여, d3에 대한 d31의 변화율이 증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탈 소재의 하우징(51)을 예로 들면, 센싱 코일(110)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하우징(51)의 제3 영역(R3)과 센싱 코일(11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여 와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변화에 따라 생성된 와전류에 의하여, 센싱 코일(110)의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탄성 부재(150)의 압축에 의하여 거리 변화가 증대되므로, 센싱 코일(110)의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 또한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회로부(200)는 동일한 압력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탄성 부재(150)를 구비하는 경우에 더 민감하게 포스 입력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영역(R4)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되므로, 도 9은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부(TSW)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51) 및 터치 센싱 장치(100)의 거리가 증가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R3)의 에어 갭이 증가하면, 정상적인 포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제3 영역(R3)은 오동작부로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제3 영역(R3)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포스 입력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3 영역(R3)에 압력을 가하면 센싱 코일(110) 및 제3 영역(R3) 사이의 에어 갭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하부에 탄성 부재(150)가 구비되므로, 그 에어 갭의 감소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 장치(100)는 제3 영역(R3)의 에어 갭이 감소하면, 해당 압력이 터치 스위치부(TSW)에 가하여진 정상적인 포스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50)가 구비되는 경우에, 터치 센싱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을 더 민감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기판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센싱 코일이 실장되는 일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6 영역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10을 대비하면, 도 10에 도시된 터치 센싱 장치(100)에 제2 센싱 코일(112)이 더 부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기판(120)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센싱 코일(110)이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센싱 코일(110)은 제1 센싱 코일(111) 및 제2 센싱 코일(112)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 형성되고, 개방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위치에 기판(120)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부(130)의 하부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30)의 상부에는 하나의 기판(120) 및 제1 센싱 코일(111)이 설치되며, 지지부(130)의 하부에는 제2 센싱 코일(112)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20)은 지지부(130)의 개방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위치에 고정되므로, 기판(120)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의 센싱 코일(111, 112)이 실장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판(120)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센싱 코일(111, 112)이 실장되면, 제1 센싱 코일(111)은 하우징(51)과의 거리 변화로 인하여 와전류를 생성하게 되고, 제2 센싱 코일(112)은 하부 프레임(60)과의 거리 변화로 인하여 와전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센싱 코일(111, 112)은 별개의 터치 센싱 장치(100)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회로부(200)는 동일한 압력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더 민감하게 포스 입력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51)은 변형 유도 축(140)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제5 영역(R5) 및 제6 영역(R6)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영역(R5)은 전술한 도 8의 제3 영역(R3)과 대응될 수 있고, 제6 영역(R6)은 전술한 도 8의 제4 영역(R4)과 대응될 수 있다. 즉, 하우징(51)의 제5 영역(R5) 하부에는 제1 센싱 코일(111)이 존재하며, 제5 영역(R5)과 센싱 코일(111)은 d5의 에어 갭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커버 부재(51)의 제6 영역(R6) 하부에는 제1 센싱 코일(111)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4 영역(R4)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6 영역(R6)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장치(100)는 제6 영역(R6)에 기준값보다 큰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정상적으로 포스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하우징 (51)의 제6 영역(R6)에 외부 압력(F)이 가해지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압력이 직접 가해진 지점인 제6 영역(R6)이 내측(도 11에서 하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변형 유도 축(140)이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변형 유도 축(140)을 기준으로 압력이 가해진 지점과 대칭되는 반대 지점은 외측(도 11에서 상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51)의 제5 영역(R5)은 변형 전보다 제1 센싱 코일(111)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6 영역(R6)이 터치 스위치부(TSW)로 결정되므로, 도 11은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부(TSW)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51) 및 터치 센싱 장치(100)의 거리가 증가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영역(R5)의 에어 갭이 증가하면, 정상적인 포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제6 영역(R6)은 오동작부로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제5 영역(R5)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포스 입력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5 영역(R5)에 압력을 가하면 제1 센싱 코일(111) 및 제5 영역(R5) 사이의 에어 갭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 센싱 장치(100)는 제5 영역(R5)의 에어 갭이 감소하면, 해당 압력이 터치 스위치부(TSW)에 가하여진 정상적인 포스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하부에 제2 센싱 코일(112)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센싱 코일(112)은 지지부(130)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 부재(150)에 의하여, 하부 프레임(6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6 영역(R6)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하우징(51)의 제5 영역(R5)은 변형 유도 축(140)에 의하여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센싱 코일(112)은 탄성 부재(150)의 압축으로 인하여 하부 프레임(6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즉, 하부 프레임(60)및 제2 센싱 코일(112)이 이루는 에어 갭은 d6에서 d61로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6 영역(R6)에 압력을 가하는 동작에 의하여, 제1 센싱 코일(111) 및 제2 센싱 코일(112)이 갖는 에어 갭의 변화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즉, 제1 센싱 코일(111)의 에어 갭은 d5에서 d51로 증가하나, 제2 센싱 코일(112)의 에어 갭은 d6에서 d61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터치 센싱 장치(100)는 제1 센싱 코일(111)의 인덕턴스 변화에 의하여는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센싱 코일(112)의 인덕턴스 변화에 의하여는 오동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0)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센싱 코일(111, 112)이 구비되는 실시 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센싱 코일(111, 112)에 대하여 별개의 센서 회로가 구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센싱 코일(111)에 연결되는 센싱 회로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51) 및 제1 센싱 코일(111)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센싱 코일(112)에 연결되는 센싱 회로부(200)는, 하부 프레임(60)및 제2 센싱 코일(112)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 터치 스위치부(TSW)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부(TSW)에 압력을 가하면, 제1 센싱 코일(111)과 연결된 센싱 회로부(200) 및 제2 센싱 코일(112)과 연결된 센싱 회로부(200) 모두 이를 정상적인 포스 입력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터치 센싱 장치(100) 또한 탄성 부재(150)를 구비하므로, 탄성 부재(150)의 압축에 의하여 에어 갭의 거리 변화가 증대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싱 코일(111, 112)의 인덕턴스 변화 및 공진 주파수 변화 또한 동시에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실시되는 터치 센싱 장치(100)는, 동일한 압력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더 민감하게 포스 입력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사용자 손
10: 전자 기기
51: 하우징
52: 전면 디스플레이 글래스
53: 후면 커버
100: 터치 센싱 장치
110: 센싱 코일
111: 제1 센싱 코일
112: 제2 센싱 코일
120: 기판
130: 지지부
140: 변형 유도 축
150: 탄성 부재
200: 센싱 회로부
300: 회로 연결부
TSW: 터치 스위치부

Claims (16)

  1.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
    상기 센싱 코일의 인덕턴스의 변화에 기초하여, 외부 압력의 인가를 검출하는 센싱 회로부; 및
    상기 센싱 코일의 일 방향 일 측을 막고, 일 방향 타 측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변형 유도 축을 포함하는
    터치 센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 축은, 상기 센싱 코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센싱 코일의 일 측을 막도록 기둥 또는 벽 형태인
    터치 센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은,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코일 사이의 변형 유도 축은, 양 측의 복수의 센싱 코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터치 센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코일이 배치된 기판을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형 유도 축은, 상기 지지부에 일 단이 접합되어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터치 센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압축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터치 센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위치에 상기 기판이 고정되며,
    상기 기판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상기 센싱 코일이 실장되는
    터치 센싱 장치.
  7. 적어도 일부 영역에 터치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터치 스위치부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싱 장치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터치 센싱 장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상기 터치 스위치부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장치는,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 및
    상기 센싱 코일과 연결되어, 외부 압력의 인가를 검출하는 센싱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회로부는, 상기 센싱 코일 및 상기 하우징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때, 상기 터치 스위치부에 정상적으로 외부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장치는,
    상기 센싱 코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하우징과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변형 유도 축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 축은,
    상기 센싱 코일의 일 측에 기둥 또는 벽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센싱 코일의 일 측은 막되, 상기 센싱 코일의 타 측은 개방하는
    전자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정상적인 동작 신호가 발생되는 터치 스위치부 및 오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유도 축을 경계로, 하부에 상기 센싱 코일이 배치되는 제1 영역은 오동작부로 결정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은 터치 스위치부로 결정되는
    전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위치부에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센싱 코일로부터 이격된 수직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은,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코일 사이의 변형 유도 축은, 양 측의 복수의 센싱 코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자 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장치는, 상기 센싱 코일이 배치된 기판을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형 유도 축은, 상기 지지부에 일 단이 접합되어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전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압축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위치에 상기 기판이 고정되며,
    상기 기판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상기 센싱 코일이 실장되는
    전자 기기.
KR1020200083286A 2020-07-07 2020-07-07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414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86A KR102414831B1 (ko) 2020-07-07 2020-07-07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7/032,393 US11327593B2 (en) 2020-07-07 2020-09-25 Touch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ing device
CN202011448110.6A CN113918040B (zh) 2020-07-07 2020-12-09 触摸感测装置及包括触摸感测装置的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86A KR102414831B1 (ko) 2020-07-07 2020-07-07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41A true KR20220005741A (ko) 2022-01-14
KR102414831B1 KR102414831B1 (ko) 2022-06-30

Family

ID=7917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86A KR102414831B1 (ko) 2020-07-07 2020-07-07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7593B2 (ko)
KR (1) KR102414831B1 (ko)
CN (1) CN1139180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13A1 (ko) * 2022-07-07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버튼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8102S1 (en) * 2019-09-20 2022-07-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phone
USD955353S1 (en) * 2019-11-27 2022-06-2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pho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760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20125278A (ko) * 2010-02-09 2012-11-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조작 장치
JP2015032276A (ja) * 2013-08-06 2015-02-16 株式会社アスコ 指示入力装置、指示入力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50096701A (ko) * 2012-12-17 2015-08-2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지점 및 터치 힘에 기초한 터치 스크린 시스템 및 방법
KR101714624B1 (ko) * 2016-05-11 2017-03-09 (주)솔트이엔지 인덕티브 센싱을 이용한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079B2 (ja) 1993-04-12 1998-05-06 山武ハネウエル株式会社 静電容量式圧力センサ
JP5267504B2 (ja) * 2009-05-19 2013-08-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検出装置
JP5899667B2 (ja) * 2011-06-07 2016-04-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装置
AU2015100011B4 (en) 2014-01-13 2015-07-16 Apple Inc. Temperature compensating transparent force sensor
KR101920440B1 (ko) * 2017-08-21 2018-11-20 (주)실리콘인사이드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KR20190027553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하이딥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127986B1 (ko) 2018-06-22 2020-06-29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760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20125278A (ko) * 2010-02-09 2012-11-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조작 장치
KR20150096701A (ko) * 2012-12-17 2015-08-2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지점 및 터치 힘에 기초한 터치 스크린 시스템 및 방법
JP2015032276A (ja) * 2013-08-06 2015-02-16 株式会社アスコ 指示入力装置、指示入力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14624B1 (ko) * 2016-05-11 2017-03-09 (주)솔트이엔지 인덕티브 센싱을 이용한 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13A1 (ko) * 2022-07-07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버튼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27593B2 (en) 2022-05-10
CN113918040B (zh) 2024-04-12
KR102414831B1 (ko) 2022-06-30
US20220014190A1 (en) 2022-01-13
CN113918040A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831B1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1526236B2 (en) Touch sensing device
US20110005845A1 (en) Touch sensing device having conductive nodes
US11064060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2465076B1 (ko)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49720A (ko) 멀티 터치의 위치 식별이 가능한 터치 센싱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120154182A1 (en) Keys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s
KR102414832B1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100328107A2 (en) Input Arrangement
KR102460749B1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220032449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393218B1 (ko) 터치 센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22004841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른 온도 제어 방법
JP6950700B2 (ja) センシング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119613B1 (en) Touch sensing module
US11775099B2 (en) Touch sens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578461A (zh) 一种按键检测装置和电子设备
US11855622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ing device
KR102333085B1 (ko) 터치 조작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한 터치 조작 센싱 장치
KR20220032457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EP2469556A1 (en) Dome switch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KR20220019996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KR20220032456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20050734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10150247A (ko) 터치 센싱 식별력을 개선한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