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269A - 스마트 게이트 - Google Patents

스마트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269A
KR20220005269A KR1020200082900A KR20200082900A KR20220005269A KR 20220005269 A KR20220005269 A KR 20220005269A KR 1020200082900 A KR1020200082900 A KR 1020200082900A KR 20200082900 A KR20200082900 A KR 20200082900A KR 20220005269 A KR20220005269 A KR 20220005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storage
loc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269A/ko
Priority to PCT/KR2021/003678 priority patent/WO2022010072A1/en
Publication of KR2022000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 F25D13/04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the compartments be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5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means for identifying a deposit; Deposits carry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7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heating or coo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4Mullions;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8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with ducts for cables o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6Door leaves with provisions for locks, hinges or other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1공간과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2공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출입도어부와, 출입도어부와 함께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1보관부와, 제1보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2보관부 및 제1보관부와 제2보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와 출입도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락킹부와 제1보관부의 제1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2락킹부와 제2보관부의 제2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3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큐리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게이트{SMART GATE}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스마트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현관문에는 우유, 요구르트, 신문과 같이 배달되는 물품을 실내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현관문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므로,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현관문이 열릴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현관문에 구비된 투입구로는 비교적 부피가 큰 배달물품을 집어 넣을 수 없으므로, 배달물품의 분실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관문에 투입구가 구비된 경우, 투입구를 통해 외부인이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이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7547호에는 현관문과 접하는 벽체에 냉장고가 설치된 식품 수취용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는 현관문 바깥쪽에 수납용 개폐문이 배치되고 현관문 안쪽에 수취용 개폐문이 배치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냉장고는 현관문 바깥쪽에 배치된 수납용 개폐문이 개방 가능한 구조이고, 현관문 안쪽에 수취용 개폐문에만 잠금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수납된 물품을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547호(2004.07.19 등록, 발명의 명칭: 식품 수취용 냉장고)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증장치와 잠금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시큐리티부가 설치되어 현관문과 보관부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관부에 배달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배달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현관문에 별도의 투입구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외부인이 투입구를 통해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없는 스마트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관부의 구비된 도어마다 잠금장치가 설치되므로, 보관부에 보관된 배달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증장치와 연결된 잠금장치는 내부에 은닉하여 외부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를 포함한 시큐리티부가 제1보관부와 제2보관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인증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큐리티부가 사용자 인증을 한 후 락킹부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보관부와 출입도어부 중 적어도 어는 하나의 잠금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인증부와 함께 보관부 및 출입도어부의 잠금을 제어하는 잠금장치인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와 제3락킹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사용자 인증을 한 후, 출입도어부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4락킹부와 제5락킹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사용자 인증을 한 후, 보관부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6락킹부와 제7락킹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사용자 인증을 한 후 시큐리티부에 구비된 제2락킹부와 제3락킹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보관부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는, 구조물과 출입도어부와 보관부와 시큐리티부와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도어부는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1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출입도어부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개폐한다.
또한 제1보관부는 상기 출입도어부와 함께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관부는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2보관부는 상기 제1보관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보관부는 상기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와, 상기 출입도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락킹부와, 상기 제1보관부의 제1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2락킹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제2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3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큐리티부는, 상기 인증부와 상기 제1락킹부와 상기 제2락킹부와 상기 제3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제1공간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제1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제2공간을 향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제1공간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상기 인증부와 상기 제1락킹부와 상기 제2락킹부와 상기 제3락킹부가 설치되는 제1시큐리티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상기 제1시큐리티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상기 제1시큐리티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시큐리티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는 커버부재와 제1시큐리티패널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와 상기 제2락킹부와 상기 제3락킹부는 상기 제1시큐리티패널과 상기 제2시큐리티패널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락킹부는 인증부의 인증신호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출입도어부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2락킹부는 상기 인증부의 인증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1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3락킹부는 인증부의 인증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2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관부는 제1몸체부와 제1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부는 상기 배달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제1내측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도어는 제2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1내측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관도어는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관도어는 상기 제2락킹부의 동작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2보관부는 제2몸체부와 제2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는 배달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제2내측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어는 제2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2내측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관도어는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2보관도어는 상기 제3락킹부의 동작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제1보관부와 제2보관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상기 출입도어부와 상기 제1보관부의 경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상기 출입도어부와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잠금장치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출입도어부는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도어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입도어부는 상기 도어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도어몸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도어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킹부는 제4락킹부와 제5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락킹부는 상기 도어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도어몸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5락킹부는 상기 제4락킹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5락킹부는 상기 도어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도어몸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관부는, 상기 제1보관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1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6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보관부는, 제2보관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2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7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와, 상기 제1보관부의 제1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2락킹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제2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3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상기 출입도어부와 상기 제1보관부의 경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잠금장치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관부는 상기 제1보관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1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6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보관부는, 상기 제2보관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2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7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는, 시큐리티부가 보관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 인증과 보관부와 출입도어부의 개폐를 제어하므로 보안성 및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도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락킹부와, 보관도어부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2락킹부와 제3락킹부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부가 시큐리티부로 단일 모듈화되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도어부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2락킹부와 제3락킹부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부가 시큐리티부로 단일 모듈화되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증부가 사용자 인증을 한 후 출입도어부 또는 보관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배달물품을 수령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부의 내측에 배달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배달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부에 구비된 각 도어마다 잠금장치가 설치되므로 배달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부를 통한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도어부에 별도의 투입구가 구비되지 않고, 인증된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는 보관부가 출입도어부에 연이어 설치되므로 투입구를 통한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도어부와 보관부의 잠금을 제어하는 잠금장치가 제1공간으로 부터 은폐되므로 외부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입도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입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부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부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보관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보관부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보관부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1)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1)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게이트(1)는 사용자를 인증하고, 출입도어부(20)를 개방한다. 스마트 게이트(1)는 비인증된 사람의 출입을 차단한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1)는 인증된 코드나 인증된 신체정보를 소유한 사용자를 인증한 후 보관부(70) 또는 출입도어부(2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1)는 외부인을 인증한 후 보관부(70)의 잠금을 제어하므로, 비대면 방식으로 배달물품(210)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1)의 전방에 제1공간(A)이 배치되고, 스마트 게이트(1)의 후방에 제2공간(B)이 배치된다. 즉 스마트 게이트(1)는 제1공간(A) 및 제2공간(B)을 구획한다. 제1공간(A)은 외부인이 접근 가능한 공간이고, 제2공간(B)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1)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120)를 포함한 시큐리티부(110)가 제1보관부(80)와 제2부관부(90)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시큐리티부(110)는, 보관부(70)와 출입도어부(20)의 잠금을 제어하는 잠금장치인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
출입도어부(20) 및 보관부(70)는 구조물(10)에 설치되고, 출입도어부(20)와 보관부(70) 및 시큐리티부(110)에 의해 제1공간(A) 및 제2공간(B)이 구획될 수 있다. 구조물(10)은 건물을 구성하는 벽 또는 기둥일 수 있다. 구조물(10)의 내측에는 제1공간(A)과 제2공간(B)을 연통시키는 연결통로(C)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0)은 제1구조물(11)과 제2구조물(12)과 제3구조물(13)과 제4구조물(14)을 포함한다. 제1구조물(11)은 연결통로(C)의 일측(도 1기준 우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구조물(12)은 연결통로(C)의 타측(도 1기준 좌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구조물(13)은 연결통로(C)의 상측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다. 제4구조물(14)은 연결통로(C)의 하측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구조물(11)과 제2구조물(12)을 연결한다. 제1구조물(11) 및 제2구조물(12)은 벽 또는 기둥일 수 있다. 제3구조물(13)은 천장 또는 벽 일 수 있다. 제4구조물(14)은 바닥 또는 벽일 수 있다.
제1구조물(11) 및 제2구조물(12)의 상측이 제3구조물(13)에 결합되며, 제3구조물(13)은 제1구조물(11) 및 제2구조물(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조물(11) 및 제2구조물(12)의 하측이 제4구조물(14)에 결합되며, 제4구조물(14)은 제1구조물(11) 및 제2구조물(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조물(11), 제2구조물(12), 제3구조물(13) 및 제4구조물(14)은 건물의 구성일 수 있으며,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10)이 철근-콘크리트 구조 건물일 경우, 제1구조물(11), 제2구조물(12), 제3구조물(13) 및 제4구조물(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구조물(10)이 목조 건물일 경우, 제1구조물(11), 제2구조물(12), 제3구조물(13) 및 제4구조물(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재일 수 있다. 또는 구조물(10)이 철골구조 건물일 경우, 제1구조물(11), 제2구조물(12), 제3구조물(13) 및 제4구조물(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철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1)는 구조물(10)의 건축 자재 또는 제작방식과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다.
[출입도어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입도어부(2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입도어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도어부(20)는 사용자가 연결통로(C)를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연결통로(C)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출입도어부(20)는 구조물(10)의 전방에 배치된 제1공간(A)과, 구조물(10)의 후방에 배치된 제2공간(B)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출입도어부(20)는 제1공간(A)과 제2공간(B)을 연결하는 연결통로(C)를 개폐한다. 출입도어부(20)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입도어부(20)는, 도어프레임(30)과 도어몸체(40)와 핸들(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0)은 구조물(10)에 고정되며, 도어프레임(30)의 내측에 연결통로(C)가 위치한다. 도어프레임(30)은 도어몸체(4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도어몸체(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어프레임(30)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30)은, 제1도어프레임(31)과 제2도어프레임(32)과 제3도어프레임(35)과 제4도어프레임(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프레임(31)은 제1구조물(11)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프레임(31)은 직사각형의 판넬이며 제1구조물(11)의 내측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제1도어프레임(31)은 연결통로(C)의 일측(도 2기준 우측)에 위치한다.
제2도어프레임(32)은 제1도어프레임(31)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도어프레임(32)은 직사각형의 판넬이며 제1도어프레임(31)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도어프레임(32)은 연결통로(C)의 타측(도 2기준 좌측)에 위치한다. 제2도어프레임(32)은 도어몸체(40)와 보관부(7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3도어프레임(35)은 제3구조물(13)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3도어프레임(35)은 직사각형의 판넬이며 제3구조물(13)의 하측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제3도어프레임(35)은 연결통로(C)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도어프레임(35)은 제1도어프레임(31)과 제2도어프레임(32)의 상측을 연결한다.
제4도어프레임(36)은 제4구조물(14)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4도어프레임(36)은 직사각형의 판넬이며 제4구조물(14)의 상측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제4도어프레임(36)은 연결통로(C)의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4도어프레임(36)은 제1도어프레임(31)과 제2도어프레임(32)의 하측을 연결한다. 제4도어프레임(36)은 제3도어프레임(35)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도어프레임(31), 제2도어프레임(32), 제3도어프레임(35) 및 제4도어프레임(36)은 보안을 위해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몸체(40)는 도어프레임(30)에 힌지 연결되며,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되어 연결통로(C)를 개폐한다. 도어몸체(40)는 개방되는 방식에 따라 제1도어프레임(31)과 제2도어프레임(32)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출입도어부(20)와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기 제1도어프레임(31)을 제외한 제2도어프레임(32), 제3도어프레임(35)과 제4도어프레임(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프레임(31), 제3도어프레임(35) 및 제4도어프레임(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조물(10)에 결합된다. 제1도어프레임(31)과 제3도어프레임(35) 및 제4도어프레임(36)이 구조물(10)에 모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어프레임(32)에는 관통홀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부(37)는 시큐리티부(110)의 우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시큐리티부(110)에 구비된 제1락킹부(140)의 제1잠금돌기(141)가 이동되기 위한 홀부를 형성한다. 또한 제1락킹부(14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관통홀부(37)의 위치도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관통홀부(37)는 제2도어프레임(32)의 내측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홀부이다. 서비스커버(38)는 관통홀부(37)를 커버하며 제2도어프레임(32)에 고정된다. 그리고 서비스커버(38)에는 제1락킹부(140)의 제1잠금돌기(141)가 이동되기 위한 홀부가 구비된다.
관통홀부(37)를 커버하는 서비스커버(38)는 제2도어프레임(32)에 조립될 수 있다. 서비스커버(38)는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되고, 필요시 제2도어프레임(32)에서 분해 가능하다. 서비스커버(38)는 도어몸체(40)가 닫혔을 때 제2도어프레임(32)의 내측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므로, 제1공간(A)에서 볼 때 은폐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부(1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도어프레임(30)에서 제1잠금돌기(141)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부(37)의 위치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 서비스커버(38)의 위치도 가변된다.
도어몸체(40)는 도어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통로(C)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몸체(40)는, 전면에 위치하는 제1패널(41)과 후면에 위치하는 제2패널(45)을 포함한다. 또한 도어몸체(40)는 제1패널(41)과 제2패널(45)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패널(50)과 도어디스플레이(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41)은, 제1공간(A)에 노출되는 프론트부(42)와, 프론트부(42)에서 제2공간(B)을 향하여 굽어지는 도어사이드부(43)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패널(41)은 핸들(60)을 설치하기 위한 제1핸드홀(44)을 포함한다.
프론트부(42)는 보안 및 방화 성능 향상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패널(41)은 단일 플레이트를 벤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프론트부(42)는 직사각형의 패널 형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어사이드부(43)는 프론트부(42)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며, 프론트부(42)에서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도어사이드부(43)는 도어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제2패널(45)이 도어프레임(30)에 고정되거나 힌지 연결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프론트부(42)에 형성된 제1핸드홀(44)에 핸들(60)이 조립된다. 핸들(60)은 제1핸드홀(44)에 삽입되어 프론트부(42)와 연속된 평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론트부(42)의 전방으로 핸들(60)이 돌출될 수도 있다. 만약 핸들(60)이 프론트부(42)와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는 핸들(60)이 프론트부(4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제2패널(45)은 제1패널(41)과 마주하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제1패널(41)과 제2패널(45)의 가장자리는 상호 결합되고, 제1패널(41)과 제2패널(45)의 내측은 이격되어 도어내부공간(52)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내부공간(52)에는 제3패널(50)이 설치되며, 제3패널(50)에는 도어디스플레이(51)가 고정될 수 있다. 도어내부공간(52)에 도어디스플레이(51)가 배치되는 경우, 제2패널(45) 중 일부는 투명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제3패널(50)은 제1패널(41)과 제2패널(4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립된다. 제3패널(50)은 도어디스플레이(51)를 지지하고, 도어디스플레이(51)에 연결되는 각종 케이블(195) 등을 감추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어디스플레이(51)는 제2공간(B)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디스플레이(51)는 제2공간(B)으로 정보를 표시한다. 도어디스플레이(51)는 제3패널(50)의 내측에 구비된 장착홀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디스플레이(51)의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3패널(50)의 후면에 도어디스플레이(51)가 설치되고, 투명한 제2패널(45)을 통해 제2공간(B)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패널(50)에 도어디스플레이(51)가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2패널(45)에 직접 도어디스플레이(51)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패널(45)은, 도어디스플레이(51)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투과패널(46)과, 투과패널(46)에 결합되는 고정패널(47)을 포함한다. 고정패널(47)은 투과패널(46)과 같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핸들(60)은 도어몸체(40)에 설치된다. 핸들(60)은 도어몸체(40)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몸체(4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핸들(60)은 도어몸체(40)에 고정되며,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들(60)은, 도어몸체(40)에서 제1공간(A)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핸들(61)과, 도어몸체(40)에서 제2공간(B)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핸들(62)과, 제1핸들(61) 또는 제2핸들(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핸들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핸들(61)은 제1패널(41)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며, 제1패널(41)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핸들(61)은 제1핸드홀(44)에 설치되며 제1패널(41)의 프론트부(42)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핸들(62)은 제2패널(45)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며, 제2패널(45)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핸들(62)은 제2핸드홀(48)에 설치되며 제2패널(45)의 고정패널(47)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핸드홀(48)은 고정패널(47)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핸들(61)은 도어몸체(40)의 제1패널(41)과 동일 평면 형상을 이루다가, 제1핸들(61)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1패널(4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핸들(62)은 도어몸체(40)의 제2패널(45)과 동일 평면 형상을 이루다가, 제2핸들(62)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2패널(45)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보관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부(70)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70)는 출입도어부(20)의 일측에 설치된다.
보관부(70)는 출입도어부(20)의 좌측(도 2기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출입도어부(20)의 우측, 상측, 하측, 전방, 후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보관부(70)는 배달물품(210)을 보관하는 내측공간과, 내측공간을 개폐하는 보관도어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70)는 배달물품(210)을 보관하는 공간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관부(70)에는 의류와 신선식품 등이 보관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보관부(70)는 출입도어부(20)와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보관부(70)는 출입도어부(20)와 함께 제1공간(A)과 제2공간(B)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공간(A)인 실외에서 보관부(70)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제2공간(B)인 실내에서 수납된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비대면 방식으로 배달물품(210)을 수령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부(70)는 내측공간이 2개로 구분되며, 내측공간을 개폐하는 보관도어도 2개가 구비된다. 보관부(70)는 제1보관부(80)와 제2보관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측공간은 제1보관부(80)의 내측에 구비된 제1내측공간(82)과 제2보관부(90)의 내측에 구비된 제2내측공간(9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 따른 보관도어는, 제1보관부(80)에 구비된 제1보관도어(85)와 제2보관부(90)에 구비된 제2보관도어(95)를 포함한다.
또한 제1보관부(80)를 냉장 보관실로 사용하며, 제2보관부(90)를 택배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보관부(80)에는 신선식품을 포함하여 냉장 보관이 필요한 배달물품(210)이 보관된다. 그리고 제2보관부(90)에는 냉장 보관이 필요하지 않는 일반 배달물품(210)이 보관될 수 있다.
[제1보관부]
제1보관부(80)는 배달물품(210)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관부(80)는 출입도어부(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제1보관부(80)의 측면은 출입도어부(20)의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출입도어부(20)와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제1보관부(80)의 우측면은 출입도어부(20)의 좌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보관부(80)와 출입도어부(20)의 사이에 별도의 부품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보관부(80)를 냉장 또는 냉동의 용도로 사용하며, 제2보관부(90)를 상온 보관용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제2보관부(90)를 냉장 또는 냉동의 용도로 사용하며, 제1보관부(80)를 상온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보관부(80)는 온도조절이 필요한 배달물품(210)을 임시로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보관부(80)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관부(80)는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할 수 있는 열전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열전모듈이 배치될 경우, 열전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냉기 및 온기를 필요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관부(80)를 냉장 또는 냉동용으로 사용할 경우, 제1보관부(80)에는 냉장고의 구성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의 구성부품이 배치되는 경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와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제1내측공간(82)의 공기와 팽창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가 제1보관부(8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냉장고의 주요 부품은 제1보관부(80)의 외측에 설치되며, 증발기만 제1몸체부(81)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는 열전모듈 또는 냉동사이클을 통해 제1보관부(80)의 공기온도를 조절할 경우, 제1몸체부(81)에 단열재가 배치되고, 제1도어(83)와 제1보관도어(85)의 주변에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패킹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보관부(80)는, 제1몸체부(81)와 제1도어(83)와 제1보관도어(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부(81)는 배달물품(210)을 저장하기 위한 제1내측공간(82)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몸체부(8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공간(A)과 마주하는 제1몸체부(81)의 전면에는 제1보관도어(85)가 설치되며, 제2공간(B)과 마주하는 제1몸체부(81)의 측면이나 후면에는 제1도어(83)가 설치된다.
제1도어(83)는 제2공간(B)과 마주하는 제1몸체부(81)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1내측공간(82)을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제1보관도어(85)는 제1공간(A)과 마주하는 제1몸체부(81)의 전면을 개폐한다. 그리고 제1보관도어(85)는 시큐리티부(110)에 구비된 제2락킹부(150)의 동작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보관도어(85)는 제1공간(A)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도어이며, 제1도어(83)는 제2공간(B)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도어이다. 제1보관도어(85)와 제1도어(83)는 여닫이 방식으로 작용하나, 필요에 따라 미닫이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작동방식으로 동작되어 제1내측공간(82)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83)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도어락킹부(84)는 제1몸체부(81)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도어(83)와 마주하는 다른 구조물(10)에도 제1도어락킹부(84)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보관부(80)는 시큐리티부(110)의 상측에 위치한다. 시큐리티부(110)의 하측에는 제2보관부(90)가 위치한다.
[제2보관부]
제2보관부(90)는 시큐리티부(110)의 하측에 위치하며, 배달물품(210)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보관부(90)는 출입도어부(20)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며, 출입도어부(20)와 나란히 배치된다. 제2보관부(90)는 출입도어부(20)의 하부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보관부(90)와 출입도어부(20)의 사이에 별도의 부재가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보관부(90)는 온도조절이 필요없는 배달물품(210)을 임시로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므로, 제2보관부(90)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구성이 배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보관부(90)는, 제2몸체부(91)와 제2도어(93)와 제2보관도어(95)와 제2도어락킹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부(91)는 배달물품(210)을 저장하기 위한 제2내측공간(92)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9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공간(A)과 마주하는 제2몸체부(91)의 전면에는 제2보관도어(95)가 설치되며, 제2공간(B)과 마주하는 제2몸체부(91)의 측면이나 후면에는 제2도어(93)가 설치된다. 제1몸체부(81)와 제2몸체부(9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몸체부(81)와 제2몸체부(91)가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작업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2도어(93)는 제2공간(B)과 마주하는 제2몸체부(91)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2내측공간(92)을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제2보관도어(95)는 제1공간(A)과 마주하는 제2몸체부(91)의 전면을 개폐한다. 그리고 제2보관도어(95)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3락킹부(300)가 시큐리티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보관도어(95)는 제1공간(A)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도어이며, 제2도어(93)는 제2공간(B)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도어이다. 제2보관도어(95)와 제2도어(93)는 여닫이 방식으로 작용하나, 필요에 따라 미닫이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작동방식으로 동작되어 제2내측공간(92)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어(93)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2도어락킹부(94)는 제2몸체부(91)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2도어(93)와 마주하는 다른 구조물(10)에도 제2도어락킹부(94)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도어(83)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도어락킹부(84)가 제1도어(83)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도어락킹부(84)가 제1도어(83)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제1도어락킹부(84)에 걸리는 고리는 제1몸체부(81)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도어(93)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2도어락킹부(94)가 제2도어(93)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도어락킹부(94)가 제2도어(93)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제2도어락킹부(94)에 걸리는 고리는 제2몸체부(91)에 설치된다.
[시큐리티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부(110)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부(110)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큐리티부(110)는 보관부(70)의 내측에 위치하거나, 보관부(70)에 연이어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부(110)는 제1보관부(80)와 제2보관부(9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시큐리티부(110)의 측면과 출입도어부(20)의 측면은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시큐리티부(110)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120)와, 출입도어부(20)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락킹부(140)와, 제1보관부(80)의 제1보관도어(85)를 개폐하는 제2락킹부(150)와, 제2보관부(90)의 제2보관도어(95)를 개폐하는 제3락킹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부(110)는, 인증부(120)와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와 하우징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부(110)는 제1보관부(80)와 제2보관부(90)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시큐리티부(110)의 동작으로 제1공간(A)에 위치한 사용자를 인증하며, 출입도어부(20)와 보관부(7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하우징부(160)는 시큐리티부(1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부(160)는 인증부(120)와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부(160)는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60)는 스틸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부(160)의 상측은 제1보관부(80)에 고정될 수 있고, 하우징부(160)의 하측은 제2보관부(9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부(160) 및 도어프레임(30)은 외부인에 의한 해체가 어렵도록 체결부위가 제1공간(A)으로 부터 은닉되며, 용접이나 리벳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60)는 제1시큐리티패널(270)과 제2시큐리티패널(180)과 커버부재(190)를 포함한다.
제1시큐리티패널(270)에는 인증부(120)와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가 설치된다. 제1시큐리티패널(270)의 전방에는 커버부재(190)가 설치되며, 제1시큐리티패널(270)의 후방에는 제2시큐리티패널(180)이 설치된다. 제1시큐리티패널(270)은 인증부(120)와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시큐리티패널(270)과 제2시큐리티패널(180)의 사이에는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가 설치되므로, 제1공간(A)으로 부터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를 은닉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시큐리티패널(270)과 커버부재(190)의 사이에 설치된 인증부(120)도 커버부재(190)에 의해 은닉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시큐리티패널(270)은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주물가공, 사출성형 또는 프레스가공을 통해서도 시큐리티부(11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시큐리티패널(270)은, 제1패널몸체(271)와 제2패널몸체(272)와 제3패널몸체(274)와 장착안내돌기(275)와 배선홀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몸체(271)에서 연장되어 제2패널몸체(272)가 형성되며, 제2패널몸체(272)에서 연장되어 제3패널몸체(274)가 형성된다. 제1패널몸체(271)와 제2패널몸체(272)와 제3패널몸체(274)가 연이어 설치된다. 그리고 제1패널몸체(271)와 제3패널몸체(274)는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며, 제2패널몸체(272)는 오목한 형상의 고정홈부(273)를 형성하며 제2시큐리티패널(18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패널몸체(271)는 커버부재(190)를 지지하며 제3패널몸체(274)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패널몸체(272)의 일측은 제1패널몸체(271)와 단차를 이루며, 제2패널몸체(272)의 타측은 제3패널몸체(274)와 단차를 이루며 절곡된다. 제2패널몸체(272)는 "ㄷ"자 형상으로 굽어지며, 제2패널몸체(272)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부(273)에는 인증부(120)가 설치된다.
고정홈부(273)는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고정홈부(273)의 내측에 인증부(120)가 삽입되고, 상기 인증부(120)는 제2패널몸체(2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시큐리티패널(270)을 중심으로 제1공간(A)을 향해 배치된 고정홈부(273)에는 인증부(120)가 설치되며, 제2공간(B)과 마주하는 제1시큐리티패널(270)의 후측에는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가 설치된다. 즉 제1패널몸체(271)의 후측에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인증부(120)가 설치된 제2패널몸체(27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패널몸체(272)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인증부(120)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제1패널몸체(271)의 후면에는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제1패널몸체(271)의 측면은 개구될 수 있다.
제1패널몸체(271)의 후측으로 연장된 장착안내돌기(275)는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착안내돌기(275)는 제1패널몸체(271)를 절개한 후 절곡한다. 또는 장착안내돌기(275)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한 후 제1패널몸체(271)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인증부(120)와 마주하는 제2패널몸체(272)의 일측면에는 배선홀부(276)가 설치된다. 따라서 인증부(120)와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를 연결하는 케이블(195)이 배선홀부(276)를 통해 설치되므로 케이블(195)의 배선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즉 케이블(195)들이 배선홀부(276)를 통해 인증부(120)에 연결되므로 케이블(195)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인증부(120)를 통해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195)이 설치된다. 케이블(195)은 배선홀부(276)를 통해 설치되며, 인증부(120)의 제어신호를 제1락킹부(140) 및 제2락킹부(150)로 전달한다.
제2시큐리티패널(180)은 제1시큐리티패널(270)의 후면에 위치하며, 제1락킹부(140)와 제2락킹부(150) 및 제3락킹부(30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1시큐리티패널(270)의 개구된 입구는 커버부재(190)에 의해 커버된다.
커버부재(190)는 제1시큐리티패널(270)의 전면에 위치하며, 인증부(120)와 마주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9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재(190)는 강화유리(tempered glass) 또는 이중접합유리(laminated glass)가 사용될 수 있다.
인증부(120)는 하우징부(16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인증부(120)는 제1공간(A)과 마주하는 하우징부(16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인증부(120)는 사용자로 인가된 외부인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인증부(120)는 출입도어부(20)와 보관부(70)에 설치된 제1보관도어(85)와 제2보관도어(9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인증부(120)는 등록된 사용자를 판단하여 출입도어부(20)를 개폐하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증부(120)는 보관부(7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등록되지 않은 사람일 경우, 인증된 코드를 통해 보관부(70)를 개방할 수 있고, 소정 시간 후에는 자동으로 보관부(70)를 폐쇄한다.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택배 또는 물품전달을 위해 인증된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등)를 보유하면, 인증부(120)가 이를 확인하고, 보관부(70)의 제1보관도어(85) 또는 제2보관도어(95)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증부(120)는, 카메라부(130)와 마이크(122)와 스피커(123)와 디스플레이(124)와 발광부재(125)와 조도센서(126)와 케이스(121)와 근접센서(1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2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부(130)는 제1공간(A)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카메라부(13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130)는 외부통화용 화상카메라(131)와, 정맥인증을 위한 정맥인증 카메라(132)와, 안면인증을 위한 안면인식 카메라(133)를 포함한다.
마이크(122)는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며, 스피커(123)는 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4)는 제1공간(A) 또는 제2공간(B)을 향하여 화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24)는 케이스(121)에 설치되고, 제1공간(A)을 향하여 배치된다. 제1공간(A) 또는 제2공간(B)에서 디스플레이(124)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발광부재(125)는 전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한다. 발광부재(125)는 정맥인증 카메라(132), 안면인식 카메라(133), 조도센서(126) 및 근접센서(127)를 감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125)는 제1공간(A)을 향하여 빛을 제공하므로 정맥인증 카메라(132) 및 안면인식 카메라(133)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발광부재(125)에서 발광된 빛은 제1공간(A)으로 빛을 제공하며, 화상카메라, 정맥 인증 카메라, 안면인식 카메라(133), 조도센서(126)에 빛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조도가 낮을 때 카메라부(130)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도센서(126)는 조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조도센서(126)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제어부가 발광부재(125)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부(160)에 설치된 근접센서(127)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124), 카메라부(130), 발광부재(125), 조도센서(126), 근접센서(127), 마이크(122), 스피커(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외부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1보관도어(85)가 개방된 경우, 인증부(120)는 제1도어(83)를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제2보관도어(95)가 개방된 경우에도, 인증부(120)는 제2도어(93)를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1보관도어(85) 또는 제2보관도어(95)가 개방된 경우, 외부인이 보관부(70)의 내측을 통해 제2공간(B)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락킹부(140)는 인증부(120)의 인증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출입도어부(20)에 걸리는 동작에 의해 출입도어부(20)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락킹부(140)는 시큐리티부(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락킹부(140)는 제1시큐리티패널(270)과 제2시큐리티패널(180)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락킹부(140)는 인증부(120)의 인증신호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출입도어부(2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1락킹부(140)에서 돌출되는 제1잠금돌기(141)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출입도어부(20)에 구비된 도어몸체(40)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락킹부(140)는 상호 걸림 동작에 의해 도어몸체(4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한다. 도어몸체(40)의 잠금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락킹부(140)의 동작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는 제1잠금돌기(141)는 서비스커버(38)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제2도어프레임(32)을 관통한다. 그리고 제1잠금돌기(141)는 도어몸체(40)의 우측면에 구비된 홈부로 삽입되어 도어몸체(40)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1잠금돌기(141)의 좌측 이동에 의해서 도어몸체(40)의 잠금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락킹부(14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락킹부(140)는 동시에 작동되어 상호 걸림을 통해 출입도어부(20)의 도어몸체(4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2락킹부(150)는 인증부(120)의 인증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보관부(70)에 걸리는 동작에 의해 보관부(70)에 구비된 제1보관도어(85)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락킹부(150)는 시큐리티부(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락킹부(150)는 제1시큐리티패널(270)과 제2시큐리티패널(180)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2락킹부(150)는 보관도어에 걸리는 동작에 의해 보관도어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보관도어는 제1보관부(80)에 설치된 제1보관도어(85)와, 제2보관부(90)에 설치된 제2보관도어(9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락킹부(150)에서 돌출되는 제2잠금돌기(15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1보관도어(85)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2잠금돌기(151)는 제1보관도어(85)의 하측으로 삽입된다.
제3락킹부(300)는 인증부(120)의 인증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2보관도어(95)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3락킹부(300)는 시큐리티부(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3락킹부(300)는 제1시큐리티패널(270)과 제2시큐리티패널(180)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3락킹부(300)에서 돌출되는 제3잠금돌기(30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2보관도어(95)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3잠금돌기(301)는 제2보관도어(95)의 상측으로 삽입된다.
[제1실시예 동작]
출입도어부(20)를 통해 제2공간(B)으로 이동하려 하는 사용자가 출입도어부(20)의 전방에 위치하면, 인증부(120)가 동작되어 사용자 인증을 한다. 인증부(12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가 동작되어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신체정보 인식이나 비밀번호 입력이나 QR코드 인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인증부(120)의 인증이 완료되면, 출입도어부(20)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된다. 인증부(120)의 제어신호는 제1락킹부(140)로 전달되어 출입도어부(20)의 잠금이 해제된다. 그리고 제1핸들(61)이 도어몸체(40)의 전면으로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제1핸들(61)을 파지하고 도어몸체(40)를 이동시킨 후 제2공간(B)을 향하여 이동한다.
택배기사 또는 외부 사용자가 배달물품(210)을 전달할 경우, 인증부(120)를 통해 임시 사용자 인증을 받는다. 인증부(120)는 출입도어부(20)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증에 준하는 정도로 보관부(70)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부(120)는 배달물품(210)의 종류에 따라 제1보관도어(85) 또는 제2보관도어(95)를 개방시킨다. 제1보관도어(85)는 인증부(120)의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제2락킹부(150)가 동작되어 제1보관도어(85)의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2보관도어(95)는 인증부(120)의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제3락킹부(300)가 동작되어 제2보관도어(95)의 잠금을 해제한다.
한편 인증부(120)의 제어신호는 제1도어락킹부(84)와 제2도어락킹부(94)에도 전달되므로, 제1도어(83)와 제2도어(93)의 개폐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2)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2)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2)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보관부(70)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2)에서 출입도어부(20)와 보관부(70)와 시큐리티부(111)의 주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실시예 대비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2)는 제1보관부(80)와 제2보관부(90)의 사이에 시큐리티부(111)가 설치된다. 시큐리티부(111)에는 인증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보관부(70)와 도어몸체(40)의 사이에는 지지부(340)가 추가로 설치된다. 지지부(340)는 출입도어부(20)와 제1보관부(80)의 경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340)는 출입도어부(20)와 제1보관부(8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출입도어부(20)와 제1보관부(80)의 후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40)는 출입도어부(20)와 보관부(70)의 경계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이다. 지지부(340)는 출입도어부(20)와 제1보관부(80)와 제2보관부(90)의 잠금장치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입도어부(20)는, 연결통로(C)를 개폐하는 도어몸체(40)와, 도어몸체(40)에 설치되는 도어락킹부(330)를 포함한다. 도어락킹부(330)는 지지부(340)와 상호 걸림을 통해 도어몸체(4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락킹부(330)는 제4락킹부(331)와 제5락킹부(3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락킹부(331)는 도어몸체(40)에 고정되며, 지지부(340)와 상호 걸림을 통해 도어몸체(4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5락킹부(332)는 제4락킹부(33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5락킹부(332)는 도어몸체(40)에 고정되고, 지지부(340)와 상호 걸림을 통해 도어몸체(4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4락킹부(331)와 제5락킹부(332)는 인증부(120)의 인증 후에 의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락킹부(331)와 마주하는 지지부(340)에는 락킹을 위한 고리가 구비되며, 도어몸체(40)와 함께 이동되는 제4락킹부(331)가 지지부(340)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도어몸체(40)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5락킹부(332)와 마주하는 지지부(340)에도 락킹을 위한 고리가 구비되며, 도어몸체(40)와 함께 이동되는 제5락킹부(332)가 지지부(340)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도어몸체(40)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락킹부(331)와 제5락킹부(332)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340)의 홈부에 제4락킹부(331)와 제5락킹부(332)의 돌기가 걸려서 고정될 수도 있다.
시큐리티부(111)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보관부(80)는, 제1보관도어(85)에 설치되어 제1보관도어(85)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6락킹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6락킹부(310)는 지지부(340)와 상호 걸림을 통해 제1보관도어(85)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6락킹부(310)와 마주하는 지지부(340)에는 락킹을 위한 고리가 구비되며, 제1보관도어(85)와 함께 이동되는 제6락킹부(310)가 지지부(340)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제1보관도어(85)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큐리티부(111)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보관부(90)는, 제2보관도어(95)에 설치되어 제2보관도어(95)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7락킹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7락킹부(320)는 지지부(340)와 상호 걸림을 통해 제2보관도어(95)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7락킹부(320)와 마주하는 지지부(340)에는 락킹을 위한 고리가 구비되며, 제2보관도어(95)와 함께 이동되는 제7락킹부(320)가 지지부(340)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제2보관도어(95)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큐리티부(111)의 인증부(120)가 사용자를 인증한 후, 제4락킹부(331)와 제5락킹부(332)가 동작되어 도어몸체(4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6락킹부(310)가 동작되어 제1보관도어(85)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제7락킹부(320)가 동작되어 제2보관도어(9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3)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3)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보관부(70)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3)의 보관부(70)와 시큐리티부(112)의 주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실시예 대비 상이한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3)는 제1보관부(80)와 제2보관부(90)의 사이에 시큐리티부(112)가 설치된다. 시큐리티부(112)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120)와, 제1보관부(80)의 제1보관도어(85)를 개폐하는 제2락킹부(150)와, 제2보관부(90)의 제2보관도어(95)를 개폐하는 제3락킹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부(112)는 인증부(120)와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를 포함한다.
제2락킹부(150)는 인증부(120)의 인증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보관부(70)에 걸리는 동작에 의해 보관부(70)에 구비된 제1보관도어(85)의 이동을 구속시킨다. 또한 제3락킹부(300)는 인증부(120)의 인증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제2보관도어(95)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2락킹부(150)와 제3락킹부(300)의 구성과 동작상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보관부(70)의 측면에 위치하는 출입도어부(21)는, 틀 형상의 도어프레임(430)과, 도어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440)를 포함한다.
도어몸체(440)에 구비된 핸들(460)은 일반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와 같이 도어몸체(4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어몸체(440)는 인증장치(470)를 통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인증장치(470)는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 입력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어몸체(440)에 인증장치(470)와 핸들(460)이 설치됨은 공지된 구성으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4)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보관부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4)의 보관부(70)와 시큐리티부(112)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2실시예 대비 상이한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시큐리티부(112)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보관부(80)는, 제1보관도어(85)에 설치되어 제1보관도어(85)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6락킹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6락킹부(310)는 도어프레임(430) 또는 도 11에 도시된 지지부(340)와 상호 걸림을 통해 제1보관도어(85)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락킹부(310)와 마주하는 지지부(340) 또는 도어프레임(430)에는 락킹을 위한 고리가 구비되며, 제1보관도어(85)와 함께 이동되는 제6락킹부(310)가 지지부(340) 또는 도어프레임(430)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제1보관도어(85)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6락킹부(310)와 마주하는 지지부(340) 또는 도어프레임(430)에는 락킹을 위한 홈부가 구비되며, 제1보관도어(85)와 함께 이동되는 제6락킹부(310)의 돌기가 지지부(340) 또는 도어프레임(430)에 구비된 홈부에 결합되어 제1보관도어(85)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큐리티부(112)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보관부(90)는, 제2보관도어(95)에 설치되어 제2보관도어(95)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7락킹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7락킹부(320)는 지지부(340)와 상호 걸림을 통해 제2보관도어(95)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락킹부(320)와 마주하는 지지부(340) 또는 도어프레임(430)에는 락킹을 위한 고리가 구비되며, 제2보관도어(95)와 함께 이동되는 제7락킹부(320)가 지지부(340) 또는 도어프레임(430)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제2보관도어(95)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7락킹부(320)와 마주하는 지지부(340) 또는 도어프레임(430)에는 락킹을 위한 홈부가 구비되며, 제2보관도어(95)와 함께 이동되는 제7락킹부(320)의 돌기가 지지부(340) 또는 도어프레임(430)에 구비된 홈부에 결합되어 제2보관도어(95)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340)는 도어몸체(440)와 제1보관부(80)의 경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보관부(80)와 제2보관부(90)의 잠금장치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시큐리티부(112)의 인증부(120)가 사용자를 인증한 후, 제6락킹부(310)가 동작되어 제1보관도어(85)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제7락킹부(320)가 동작되어 제2보관도어(9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어몸체(440)에 구비된 핸들(460)은 일반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와 같이 도어몸체(4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어몸체(440)는 인증장치(470)를 통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인증장치(470)는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 입력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어몸체(440)에 인증장치(470)와 핸들(460)이 설치됨은 공지된 구성으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2,3,4: 스마트 게이트
10: 구조물 11: 제1구조물 12: 제2구조물 13: 제3구조물 14: 제4구조물
20,21: 출입도어부
30,430: 도어프레임 31: 제1도어프레임 32: 제2도어프레임 35: 제3도어프레임 36: 제4도어프레임 37: 관통홀부 38: 서비스커버
40,440: 도어몸체
41: 제1패널 42: 프론트부 43: 도어사이드부 44: 제1핸드홀
45: 제2패널 46: 투과패널 47: 고정패널 48: 제2핸드홀
50: 제3패널 51: 도어디스플레이 52: 도어내부공간
60,460: 핸들 61: 제1핸들 62: 제2핸들
70: 보관부
80: 제1보관부 81: 제1몸체부 82: 제1내측공간 83: 제1도어 84: 제1도어락킹부 85: 제1보관도어
90: 제2보관부 91: 제2몸체부 92: 제2내측공간 93: 제2도어 94: 제2도어락킹부 95: 제2보관도어
110,111,112: 시큐리티부
120: 인증부 121: 케이스 122: 마이크 123: 스피커 124: 디스플레이 125: 발광부재 126: 조도센서 127: 근접센서 130: 카메라부 131: 외부통화용 화상카메라 132: 정맥인증 카메라 133: 안면인식 카메라
140: 제1락킹부 141: 제1잠금돌기
150: 제2락킹부 151: 제2잠금돌기
160: 하우징부
170: 제1시큐리티패널 171: 제1패널몸체 172: 제2패널몸체 173: 고정홈부 174: 제3패널몸체 175: 장착안내돌기 176: 배선홀부
180: 제2시큐리티패널 190: 커버부재
195: 케이블
210: 배달물품
300: 제3락킹부 301: 제3잠금돌기
310: 제6락킹부
320: 제7락킹부
330: 도어락킹부 331: 제4락킹부 332: 제5락킹부
340: 지지부
A: 제1공간 B: 제2공간 C: 연결통로

Claims (20)

  1.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1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출입도어부;
    상기 출입도어부와 함께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1보관부;
    상기 제1보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2보관부; 및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와, 상기 출입도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락킹부와, 상기 제1보관부의 제1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2락킹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제2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3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큐리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큐리티부는, 상기 인증부와 상기 제1락킹부와 상기 제2락킹부와 상기 제3락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제1공간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제1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제2공간을 향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제1공간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큐리티부는, 상기 인증부와 상기 제1락킹부와 상기 제2락킹부와 상기 제3락킹부가 설치되는 제1시큐리티패널;
    상기 제1시큐리티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제1시큐리티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시큐리티패널;을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제1시큐리티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락킹부와 상기 제2락킹부와 상기 제3락킹부는 상기 제1시큐리티패널과 상기 제2시큐리티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마트 게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인증부의 인증신호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출입도어부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스마트 게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인증부의 인증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1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스마트 게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락킹부는 상기 인증부의 인증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며,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2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스마트 게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관부는, 상기 배달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제1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몸체부; 및
    제2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1내측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관도어는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제2락킹부의 동작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스마트 게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관부는, 상기 배달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제2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2몸체부; 및
    제2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2내측공간을 개폐하는 제2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보관도어는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제3락킹부의 동작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스마트 게이트.
  11.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1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출입도어부;
    상기 출입도어부와 함께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1보관부;
    상기 제1보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2보관부;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를 인증하는 시큐리티부; 및
    상기 출입도어부와 상기 제1보관부의 경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출입도어부와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잠금장치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부는,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도어몸체; 및
    상기 도어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도어몸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도어락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킹부는, 상기 도어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도어몸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4락킹부; 및
    상기 제4락킹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도어몸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5락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관부는, 상기 배달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제1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몸체부;
    제2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1내측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보관도어; 및
    상기 제1보관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1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6락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관부는, 상기 배달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제2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2몸체부;
    제2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2내측공간을 개폐하는 제2도어;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보관도어; 및
    상기 제2보관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2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7락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16.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1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출입도어부;
    상기 출입도어부와 함께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1보관부;
    상기 제1보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2보관부; 및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와, 상기 제1보관부의 제1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2락킹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제2보관도어를 개폐하는 제3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큐리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관도어는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보관부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제2보관도어는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보관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스마트 게이트.
  18.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1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출입도어부;
    상기 출입도어부와 함께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1보관부;
    상기 제1보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달물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하는 제2보관부;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를 인증하는 시큐리티부; 및
    상기 출입도어부와 상기 제1보관부의 경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보관부와 상기 제2보관부의 잠금장치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관부는, 상기 배달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제1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몸체부;
    제2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1내측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보관도어; 및
    상기 제1보관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1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6락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관부는, 상기 배달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제2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2몸체부;
    제2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제2내측공간을 개폐하는 제2도어;
    제1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보관도어; 및
    상기 제2보관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2보관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7락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게이트.
KR1020200082900A 2020-07-06 2020-07-06 스마트 게이트 KR20220005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900A KR20220005269A (ko) 2020-07-06 2020-07-06 스마트 게이트
PCT/KR2021/003678 WO2022010072A1 (en) 2020-07-06 2021-03-25 Smart g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900A KR20220005269A (ko) 2020-07-06 2020-07-06 스마트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69A true KR20220005269A (ko) 2022-01-13

Family

ID=7934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900A KR20220005269A (ko) 2020-07-06 2020-07-06 스마트 게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05269A (ko)
WO (1) WO20220100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8250A (ja) * 2009-09-09 2011-03-24 Noritsugi Kato 扉装置
JP5778817B1 (ja) * 2014-03-31 2015-09-16 橋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住宅用玄関ドアの自動開閉システム
US10480241B1 (en) * 2017-02-03 2019-11-19 Kustom Doors LLC Doors including customizable and removable storage
WO2018229348A1 (en) * 2017-06-15 2018-12-20 Postm8 Oy Device for transmisson of goods, and method for using a device for transmission of goods
JP2019112874A (ja) * 2017-12-25 2019-07-11 株式会社Lixil 建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072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7424A1 (en) Smart entryway
US20210207431A1 (en) Smart entryway
US20210207429A1 (en) Smart entryway
US20220039581A1 (en) Refrigerator for entrance gate
KR20220005270A (ko) 스마트 게이트
KR20080106205A (ko) 배달물 보관 장치 및 시스템과 그것을 위한 방법
US20220151419A1 (en) Refrigerator
EP3845732A1 (en) Smart entryway
EP3845733A1 (en) Smart entryway
KR20220005268A (ko) 스마트 게이트
KR20220003345A (ko) 스마트 게이트
KR20220005269A (ko) 스마트 게이트
KR20210087313A (ko) 스마트게이트
CN215565505U (zh) 智能门
KR20220005267A (ko) 스마트 게이트
KR20210087311A (ko) 스마트게이트
KR20210087310A (ko) 스마트게이트
CN215565361U (zh) 智能门
KR20210112152A (ko) 스마트게이트
AU2019376523B2 (en) House
EP3933321A1 (en) Refrigerator for front door
KR20210123077A (ko) 스마트게이트
KR20210087312A (ko) 스마트 게이트
KR20130012369A (ko) 금고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