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077A - 스마트게이트 - Google Patents
스마트게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3077A KR20210123077A KR1020200040356A KR20200040356A KR20210123077A KR 20210123077 A KR20210123077 A KR 20210123077A KR 1020200040356 A KR1020200040356 A KR 1020200040356A KR 20200040356 A KR20200040356 A KR 20200040356A KR 20210123077 A KR20210123077 A KR 202101230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disposed
- space
- case
- pan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물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출입도어; 및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핸들과,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핸들을 포함하는 무빙핸들;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핸들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무빙핸들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핸들이 출입도어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인이 상기 핸들에 외력을 가하기 어렵고, 이를 통해 실내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증 후 핸들드라이버의 구동을 통해서만 핸들을 사용자에게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들이 출입도어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인이 상기 핸들에 외력을 가하기 어렵고, 이를 통해 실내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증 후 핸들드라이버의 구동을 통해서만 핸들을 사용자에게 돌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방문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건물에 설치되는 게이트는 건물내부로 진입할 때 최초로 접하게 되는 구축물이므로, 건물의 전체적인 품격이 표출될 수 있고, 단아한 심미감이 감득될 수 있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현대사회에 있어서 다수의 주거공간이 하나의 건물내에 구축되는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이 증가하고 있어, 외부인이 임의로 출입할 수 없도록 보안이 철저히 유지됨과 아울러, 출입인증을 받은 자 만이 통과할 수 있는 게이트가 요청되고 있다.
특히 현관문에 투입구가 형성된 경우, 상기 투입구를 통해 외부인이 현관문의 도어락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09044호는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도어락이 출입도어에 배치되고, 천정에 사용자의 얼굴을 인증하기 위한 줌카메라가 부착되어, 인증을 받은 자만이 출입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인증장치가 줌카메라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신받아 도어락을 제어하기 문에, 외부해킹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무선신호를 제공하는 부품도 다수 구비해야 하고, 외부 전자기기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 도어락이 오작동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만 핸들을 선택적으로 돌출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출입도어의 핸들을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핸들만 출입도어에 설치하고, 도어락은 출입도어가 아닌 다른 구조물에 설치된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락과 핸들을 분리하여 설치하고, 도어락 및 손잡이를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 측 핸들과 실외 측 핸들이 교대로 노출되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증장치 및 잠금장치를 도어가 아닌 구조물에 설치하고, 핸들만 도어에 설치하며, 사용자에게만 핸들을 선택적으로 돌출하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증장치, 잠금장치 및 핸들이 외부에서 은닉된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출입도어의 전자장치에 유선으로 전원 및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핸들이 출입도어에 비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인이 상기 핸들에 외력을 가하기 어렵고, 이를 통해 실내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증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에만 외부의 사용자에게 핸들을 선택적으로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들만 출입도어에 설치하고, 도어락은 출입도어가 아닌 다른 구조물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락의 해체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락과 핸들을 분리하여 설치하고, 도어락은 은닉된 상태로 배치되고, 핸들만 선택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증장치 및 잠금장치를 도어가 아닌 구조물에 설치하고, 핸들만 도어에 설치하며,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핸들을 선택적으로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증장치, 잠금장치 및 핸들이 외부에서 은닉되기 때문에, 외부인의 침입에 대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물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출입도어; 및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은,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핸들과,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핸들을 포함하는 무빙핸들;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핸들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무빙핸들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도어는,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패널; 상기 제 1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핸들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핸들홀; 및상기 제 2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핸들이 삽입되며,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핸들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핸들의 전면은 상기 제 1 패널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핸들의 배면은 상기 제 2 패널의 배면 보다 후방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가 개방됐을 때, 상기 제 1 핸들의 전면은 상기 제 1 패널의 전면보다 상기 제 1 공간 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 2 핸들의 배면은 상기 제 2 패널의 배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핸들드라이버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어셈블리; 및 상기 무빙핸들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결합되는 제 1 구동기어;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종동기어; 상기 랙와 치합되는 제 2 종동기어; 및 상기 제 1 종동기어 및 제 2 종동기어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핸들은,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연결하는 연결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핸들이 출입도어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인이 상기 핸들에 외력을 가하기 어렵고, 이를 통해 실내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증 후 핸들드라이버의 구동을 통해서만 핸들을 사용자에게 돌출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출입도어의 핸들이 비돌출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외력을 통해 강제로 핸들을 인출하기 어렵고, 이를 통해 핸들의 파손을 통한 외부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핸들만 출입도어에 설치하고, 도어락은 출입도어가 아닌 다른 구조물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락의 해체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도어락과 핸들을 분리하여 설치하고, 도어락은 은닉된 상태로 배치되고, 핸들만 선택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인증장치, 잠금장치 및 핸들이 외부에서 은닉되기 때문에, 외부인의 침입에 대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핸들드라이버의 구동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제 1 핸들을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돌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핸들락은 무빙핸들을 고정하기 때문에, 외부인이 무빙핸들을 강제로 인출할 수 없고, 이를 통해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배선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출입게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서 핸들케이스가 분리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무빙핸들 및 핸들드라이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인증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배선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출입게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서 핸들케이스가 분리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무빙핸들 및 핸들드라이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인증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도어(140, entrance door assembly) 및 비대면 방식으로 물품을 저장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스토리지박스(500, storage box)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전방에 제 1 공간(101)이 배치되고, 스마트게이트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102)이 배치된다. 즉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사용자를 인증하고, 출입도어(140)를 개방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비인증된 사람의 출입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101) 및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102)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조물에 고정되는 출입게이트(100)와,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어셈블리의 측부에 배치되는 딜리버리게이트(200)와,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00) 또는 딜리버리게이트(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시큐리티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간(101)은 외부인이 접근 가능한 공간이고, 상기 제 2 공간(102)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 공간(101)은 사용자의 거주공간 밖일 수 있고, 상기 제 2 공간(102)의 사용자의 거주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01)은 실외일 수 있고, 상기 제 2 공간(102)은 실내일 수 있다.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는 모두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2)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에 의해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은 건물을 구성하는 벽 또는 기둥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에는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연통시키는 개구부(15)가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15)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상기 출입게이트(100)가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15)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딜리버리게이트(200)가 배치되며,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 사이에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게이트(100)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비대면 방식으로 물품을 저장 또는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의 넘버링이 사용용도 또는 우선순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기 구조물(10)은 내측에 상기 개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연통시킨다.
상기 구조물(10)은 상기 개구부(15)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배치된 제 1 구조물(21)과, 상기 개구부(15)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배치된 제 2 구조물(22)과, 상기 개구부(1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을 연결하는 제 3 구조물(23)과, 상기 개구부(15)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을 연결하는 제 4 구조물(2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은 벽 또는 기둥일 수 있다. 상기 제 3 구조물(23)은 천장 또는 벽 일 수 있다. 상기 제 4 구조물(24)은 바닥 또는 벽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은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조물(10)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15)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의 상측단이 상기 제 3 구조물(23)에 결합되고, 상기 제 3 구조물(23)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 의 하측단이 상기 제 4 구조물(24)에 결합되고, 상기 제 4 구조물(24)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조물(21), 제 2 구조물(22),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은 건물의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콘크리트 구조 건물일 경우, 상기 제 1 구조물(21), 제 2 구조물(22),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목조 건물일 경우, 상기 제 1 구조물(21), 제 2 구조물(22),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재일 수 있다. 철골구조 건물일 경우, 상기 제 1 구조물(21), 제 2 구조물(22),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철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건물의 건축 자재 또는 제작방식과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는 제 1 개구부(11), 제 2 개구부(12) 및 제 3 개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개구부(11)에 상기 출입게이트(10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개구부(12)에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가 배치된다. 상기 제 3 개구부(13)에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가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15) 중 일부가 상기 제 1 개구부(11)를 형성하고, 나머지 중 일부가 상기 제 2 개구부(12)를 형성하며, 나머지의 나머지가 상기 제 3 개구부(13)를 형성한다.
제 1 공간(11) 또는 제 2 공간(12)에서 볼 때, 상기 제 1 개구부(11)가 상기 개구부(15)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상기 제 3 개구부(13)가 상기 개구부(15) 중 가장 좁은 면적을 차지한다. 상기 제 2 개구부(12)는 상기 제 1 개구부(11) 보다 좁고, 상기 제 3 개구부(13) 보다 넓은 면적을 형성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개구부(11)의 폭 및 면적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개구부(11), 제 2 개구부(12) 및 제 3 개구부(13)의 좌우 폭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개구부(11), 제 2 개구부(12) 또는 제 3 개구부(13) 중 적어도 2개의 높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개구부(11), 제 2 개구부(12) 및 제 3 개구부(13)의 높이가 모두 같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출입게이트(100), 딜리버리게이트(200) 및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높이는 같고, 폭은 모두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개구부(11)는 개구부(15)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부(12)는 개구부(15)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는 상기 개구부(15) 중 일측을 폐쇄한다. 상기 출입도어(140)는 상기 제 1 개구부(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상기 제 3 개구부(13)를 점유하고, 상기 제 3 개구부(13)를 폐쇄한다.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상기 출입게이트(100), 딜리버리게이트(200) 또는 구조물(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배선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출입게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출입게이트(100)는, 구조물(10)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20)과, 상기 도어프레임(12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1 개구부(11)을 개폐시키는 출입도어(140)와, 상기 출입도어(140)에 배치되는 핸들(400)과, 상기 출입도어(140)에 배치되는 도어디스플레이(180)와, 상기 도어프레임(120) 및 출입도어(14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힌지(130)와, 상기 도어프레임(120) 및 출입도어(140)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커넥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20)은 상기 제 1 구조물(21)에 밀착되는 제 1 도어프레임(121)과,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밀착되는 제 2 도어프레임(122)과, 상기 제 3 구조물(23)에 밀착되는 제 3 도어프레임(123)과, 상기 제 4 구조물(24)에 밀착되는 제 4 도어프레임(12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제 2 도어프레임(122),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4 도어프레임(124)은 보안을 위해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도어프레임(123)은 개구부(1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도어프레임(124)은 개구부(15)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은 개구부(15)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 2 도어프레임(122)은 개구부(15)의 중간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제 2 도어프레임(122),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4 도어프레임(124)은 상기 제 1 개구부(11)의 가장자리를 점유하고, 상기 출입도어(140)는 상기 제 1 개구부(11)의 나머지를 점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도어(14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개구부(11)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출입도어(140)는 개방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또는 제 2 도어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와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4 도어프레임(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조물(10)에 결합되어야 한다. 제 1 도어프레임(121),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4 도어프레임(124)이 상기 구조물(10)에 모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은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우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은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에는 제 1 도어어셈블리(100)의 잠금을 위한 관통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락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관통구(125)의 위치도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140)에는 상기 관통구(125)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잠금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125) 및 잠금부(126)는 대향되게 배치된다.
도 2 또는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출입게이트(100) 및 수납고(200) 사이에 배치되는 시큐리티패널(310)과,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배치되는 인증장치(700)와,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배치되고 상기 출입도어(140)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출입도어락(301)(302)과,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520)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박스도어락(303)(304)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의 데드볼트(301a)(302a)는 상기 관통부(125)를 관통하여 상기 잠금부(126)에 삽입된다. 잠금해제 시, 상기 출입도어락 데드볼트(301a)(302a)는 상기 관통부(125)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도어락(303)(304)의 데드볼트(303a)(304a)는 상기 제 1 박스도어(5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52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적어도 2개의 도어힌지(13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힌지(130)는 3개가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 1 도어힌지(131), 제 2 도어힌지(132) 및 제 3 도어힌지(133)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핸들(400) 및 도어디스플레이(18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케이블(191)과, 상기 핸들(400) 및 도어디스플레이(18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케이블(195)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케이블(191) 및 제어케이블(195)은 케이블커넥터(150)를 통해 상기 출입도어(140) 내부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커넥터(150)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복수개 중 하나는 전원케이블(191)이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어케이블(195)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케이블(191)이 설치되는 케이블커넥터(150)를 제 1 케이블커넥터(150a)라 하고, 상기 제어케이블(195)이 설치되는 케이블커넥터(150)를 제 2 케이블커넥터(150b)라 한다.
상기 제 1 케이블커넥터(150a) 및 제 2 케이블커넥터(150b)의 설치위치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케이블커넥터(150a)는 제 1 도어힌지(131) 및 제 2 도어힌지(13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케이블커넥터(150b)는 제 2 도어힌지(132) 및 제 3 도어힌지(13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원케이블(191)은 상기 인증장치(700)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커넥터(150a)를 통과하는 제 1 케이블부(192)와, 상기 제 1 케이블부(192)에서 분지되고,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에 연결되는 제 2 케이블부(193)와, 상기 제 1 케이블부(192)에서 분지되고, 상기 핸들(400)에 연결되는 제 3 케이블부(19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블부(192)는 도어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케이블부(192)는 상기 도어프레임(12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블부(192)는 도어프레임(120) 및 출입도어(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입도어(14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120)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상기 제 1 케이블부(19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블부(192)의 일단은 상기 출입도어(140)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도어(14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케이블부(192)의 일단은 상기 인증장치(7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케이블커넥터(150a)를 관통한다.
상기 제 2 케이블부(193)는 상기 출입도어(1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2 케이블부(193)의 일단은 상기 제 1 케이블부(19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에 연결된다.
상기 제 3 케이블부(194)는 상기 출입도어(1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케이블부(194)의 일단은 상기 제 1 케이블부(19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4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케이블커넥터(150a)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전원케이블(191)을 제 2 케이블부(193) 및 제 3 케이블부(194)로 분지하여 사용한다. 상기 전원케이블(191)의 분지된 부분은 상기 출입도어(14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핸들(400) 및 도어디스플레이(180)에 각각 전원케이블이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케이블부(192) 및 제 2 케이블부(193)로 구성된 하나의 전원케이블과, 상기 제 1 케이블부(192) 및 제 3 케이블부(194)로 구성된 하나의 전원케이블이 배치된다.
상기 전원케이블을 분지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제 1 케이블커넥터(150a)의 갯수를 1개로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케이블(195)의 구조는 상기 전원케이블(191)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제어케이블(195)은, 상기 인증장치(700)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케이블커넥터(150b)를 통과하는 제 1 케이블부(196)와, 상기 제 1 케이블부(196)에서 분지되고,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에 연결되는 제 2 케이블부(197)와, 상기 제 1 케이블부(196)에서 분지되고, 상기 핸들(400)에 연결되는 제 3 케이블부(198)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블부(196)는 도어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케이블부(196)는 상기 도어프레임(12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블부(196)는 도어프레임(120) 및 출입도어(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입도어(14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120)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상기 제 1 케이블부(196)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블부(196)의 일단은 상기 출입도어(140)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도어(14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케이블부(196)의 일단은 상기 인증장치(7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케이블커넥터(150b)를 관통한다.
상기 제 2 케이블부(197)는 상기 출입도어(1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2 케이블부(197)의 일단은 상기 제 1 케이블부(19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에 연결된다.
상기 제 3 케이블부(198)는 상기 출입도어(1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케이블부(198)의 일단은 상기 제 1 케이블부(19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40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케이블(195)의 분지된 부분은 상기 출입도어(14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출입도어(140)는 적어도 일부가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는 제 1 패널(1150)과, 상기 제 2 공간(102)에 노출되는 제 2 패널(11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150)은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는 프론트부(1151)와, 상기 프론트부(1151)에서 제 2 공간(102)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1 프레임(121)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사이드부(1152)와, 상기 프론트부(1151)에서 제 2 공간(102)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프레임(122)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사이드부(1153)와, 상기 제 1 사이드부(1152)에서 상기 제 2 프레임(122)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패널(116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리어부(1154)와, 상기 제 2 사이드부(1153)에서 상기 제 1 프레임(121)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패널(116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5 리어부(1155)와, 상기 프론트부(1151)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 1 핸들홀(115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150)은 보안 및 방화성능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패널(115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벤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홀(1156)에 상기 핸들(400)이 조립된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제 1 핸들홀(1156)에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부(1151)와 연속된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부(1152)는 상기 제 1 프레임(121)에 힌지결합 될 수 있고, 상기 힌지(13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14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사이드부(1152)는 상기 제 1 프레임(121)의 내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사이드부(1153)는 상기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출입도어(14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사이드부(1153)의 내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리어부(1154) 및 제 2 리어부(1155)는 상기 제 2 패널(1160)의 전면에 밀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패널(1160)과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널(1150) 및 제 2 패널(1160)은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내측은 이격되어 도어내부공간(141)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내부공간(141)에 도어디스플레이(180)가 설치되는 제 3 패널(11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패널(1160) 중 일부는 투명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패널(1170)은 상기 제 1 패널(1150) 또는 제 2 패널(1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립된다. 상기 제 3 패널(1170)의 내측에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개구부(117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개구부(1171)는 상기 제 3 패널(1170)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3 패널(1170)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를 지지하고,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에 연결되는 각종 케이블등을 감추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는 상기 제 2 공간(102)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는 상기 디스플레이개구부(1171)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102)으로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3 패널(1170)에 디스플레이개구부(1171)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3 패널(1170)의 후면에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가 설치되고, 투명한 제 2 패널을 통해 제 2 공간(102)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패널(1170)에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패널(1160)에 직접 도어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패널(1160)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투과패널(1162)와, 상기 투과패널(1162)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패널(1150)에 결합되는 고정패널(116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상기 고정패널(1164)은 상기 투과패널(1162)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고정패널(1164a)과, 상기 투과패널(1162)의 상측에 배치된 제 2 고정패널(1164b)과, 상기 투과패널(1162)의 하측에 배치된 제 3 고정패널(1164c)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패널(1164)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투과패널(1162)의 우측에 제 4 고정패널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패널(1164)은 상기 투과패널(1162)의 적어도 2개의 가장자리와 결합되어 상기 투과패널(1162)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패널(1164)은 제 2 핸들홀(116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핸들홀(1166)을 통해 상기 제 2 핸들(420)이 노출된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출입도어(140)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출입도어(140)와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출입도어(14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출입도어(140)에서 상기 제 1 공간(101) 측으로 돌출가능한 제 1 핸들(410)과, 상기 출입도어(140)에서 상기 제 2 공간(102) 측으로 돌출가능한 제 2 핸들(420)과, 상기 제 1 핸들(410) 또는 제 2 핸들(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핸들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핸들(410)은 제 1 패널(1150)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패널(115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410)은 상기 제 1 핸들홀(1156)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패널(1150)의 프론트부(1151)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410)은 사용할 때에만, 상기 프론트부(1151) 보다 제 1 공간(101) 측으로 돌출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프론트부(1151)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420)은 제 2 패널(1160)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패널(116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420)은 상기 제 2 핸들홀(1166)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패널(1160)의 고정패널(1164)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420)은 사용할 때에만, 상기 고정패널(1164) 보다 제 2 공간(102) 측으로 돌출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고정패널(1164)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410)이 상기 출입도어(14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제 1 상태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핸들(420)이 상기 출입도어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제 2 상태로 정의한다.
상기 출입도어(140)의 개방 시, 상기 제 1 핸들(410)은 제 1 상태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상태일 때, 상기 제 2 핸들(420)은 출입도어(140)의 배면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한다.
상기 출입도어(140)의 폐쇄 시, 상기 제 2 핸들(420)은 제 2 상태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상태일 때, 상기 제 1 핸들(410)은 출입도어(140)의 정면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핸들(410) 또는 제 2 핸들(420)이 출입도어(1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핸들(410)이 정면 보다 후방 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핸들홀(1156)에 오목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핸들(420)이 배면보다 전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핸들홀(1166)에 오목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핸들(410)이 제 1 패널(1150) 및 제 2 패널(116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핸들(410)이 상기 제 1 패널(1150)과 일부 오버랩된 상태를 제 3 상태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핸들(410)이 제 1 패널(1150) 및 제 2 패널(116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핸들(420)이 상기 제 2 패널(1160)과 일부 오버랩된 상태를 제 3 상태로 정의한다.
인증장치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3 상태를 제공할 경우, 외부에서 강제로 핸들을 분리하기 더 어렵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의 외측면은 제 1 구조물(21)에 밀착되고, 내측면(121a)은 상기 출입도어(140)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의 내측면(121a)에 제 1 삽입홈(171)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넥터바디(152, 도 4 참조)는 상기 제 1 삽입홈(171)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사이드부(1152)에 제 2 삽입홈(172) 또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커넥터바디(154)는 상기 제 2 삽입홈(172)에 삽입된다.
상기 제 1 커넥터바디(152) 및 제 2 커넥터바디(154)은 삽입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출입도어(140) 및 제 1 도어프레임(121)의 이격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서 핸들케이스가 분리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무빙핸들 및 핸들드라이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핸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400)은, 상기 출입도어(140)에 배치되는 핸들케이스(430)와, 상기 핸들케이스(430)에 배치되고,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며, 상기 핸들케이스(430)에서 상기 제 1 공간(101)을 향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 1 핸들(410)과, 상기 핸들케이스(43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에 노출되는 제 2 핸들(420)과, 상기 핸들케이스(430)에 배치되고, 인증장치(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핸들(410) 및 제 2 핸들(420)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핸들드라이버(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핸들(410) 및 제 2 핸들(420)은 상기 핸들드라이버(450)의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1 핸들(410) 및 제 2 핸들(420)은 조립을 통해 일체화된다.
상기 제 1 핸들(410)은 상기 제 1 패널(1150)의 제 1 핸들홀(1156)을 통해 제 1 공간(101)에 노출된다. 상기 제 2 핸들(420)은 상기 제 2 패널(1160)의 제 2 핸들홀(1166)을 통해 제 2 공간(102)에 노출된다.
상기 핸들케이스(430)는 상기 출입도어(1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케이스(430)는 전방 측에 배치된 제 1 케이스(432)와, 상기 제 1 케이스(432)에 조립되고, 후방 측에 배치된 제 2 케이스(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스(432) 또는 제 2 케이스(4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패널(1150) 또는 제 2 패널(116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케이스(432) 및 제 2 케이스(434)는 상기 제 1 패널(1150) 및 제 2 패널(116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핸들(410)가 제 1 공간(101) 측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제 2 핸들(420)은 상기 제 2 케이스(434)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420)이 제 2 공간(102) 측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제 1 핸들(410)은 상기 제 1 케이스(432)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410)은 상기 제 1 케이스(432)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420)은 상기 제 2 케이스(434) 보다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432)는 상기 제 1 패널(1150)에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패널(115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핸들케이스(430)는 상기 출입도어(14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436)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스(432)에 상기 체결부(436)가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436)는 상기 제 1 케이스(432)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제 1 케이스(432)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핸들(410)이 수납되는 제 1 수납케이스(480)와, 상기 제 2 케이스(434)에 조립되고, 상기 제 2 핸들(420)이 수납되는 제 2 수납케이스(49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수납케이스(480)는 상기 제 1 케이스(43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제 2 수납케이스(490)는 상기 제 2 케이스(434)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납케이스(48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제 1 핸들홈(481)이 형성된 제 1 수납케이스바디(482)와, 상기 제 1 수납케이스바디(48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관통홀(48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납케이스바디(482)를 제 1 케이스(432)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부(486)가 더 배치된다.
상기 제 2 수납케이스(49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제 2 핸들홈(491)이 형성된 제 2 수납케이스바디(492)와, 상기 제 2 수납케이스바디(49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관통홀(49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납케이스바디(492)를 제 2 케이스(434)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부(466)가 더 배치된다.
상기 제 2 수납케이스(49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 2 핸들홀(49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핸들홀(481) 및 제 2 핸들홀(491)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케이스(432)에는 상기 제 1 수납케이스(480)가 삽입되는 제 1 케이스홈(4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434)에는 상기 제 2 수납케이스(490)가 삽입되는 제 2 케이스홈(434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케이스홈(432a)의 형성방향과 상기 제 2 케이스홈(434a)의 형성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432)에는 상기 제 1 관통홀(483)과 연통되는 제 1 케이스홀(432b)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홀(432a)은 상기 제 1 케이스(43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2 케이스(434)에는 상기 제 2 관통홀(493)과 연통되는 제 2 케이스홀(434b)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홀(434b)은 상기 제 2 케이스(43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1 핸들(410) 및 제 2 핸들(420)은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핸들(410) 및 제 2 핸들(420)은 연결핸들(440)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연결핸들(440)은 제 1 핸들(410) 또는 제 2 핸들(42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핸들(440)은 상기 제 2 핸들(420)과 일체로 제작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핸들(440)은 상기 제 2 핸들(42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핸들(440)은 제 2 수납케이스(490), 제 2 케이스(434), 제 1 케이스(432) 및 제 1 수납케이스(480)를 순서대로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핸들(440)은 상기 제 2 수납케이스(490)의 제 2 관통홀(493), 제 2 케이스(434)의 제 2 케이스홀(434b), 제 1 케이스(432)의 제 1 케이스홀(432b) 및 제 1 수납케이스(480)의 제 1 관통홀(483)을 관통한다.
결합된 상기 제 1 핸들(410), 연결핸들(440) 및 제 2 핸들(420)을 무빙핸들(401)로 정의한다.
상기 무빙핸들(401)는 상기 핸들케이스(430)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무빙핸들(401)는 상기 핸들드라이버(45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핸들드라이버(450)는, 구동모터(452)와, 상기 구동모터(45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어셈블리(460)와, 상기 무빙핸들(401)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46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랙(45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452)는 상기 제 1 패널(1150) 및 제 2 패널(116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모터(452)는 상기 핸들케이스(4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케이스(4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52)는 모터축(452a)을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축의 회전력을 상기 랙(454)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랙(454)에 제공되는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기어어셈블리(46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축과 상기 랙(454)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52)의 모터축(452a) 방향에 따라 상기 기어어셈블리(460)의 배치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축은 상기 제 1 패널(1150) 및 제 2 패널(1160)의 간격을 고려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랙(454)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랙기어(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460)는, 상기 구동모터(45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구동기어(461)와, 상기 제 1 구동기어(461)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종동기어(462)와, 상기 랙(454)과 치합되는 제 2 종동기어(463)와, 상기 제 1 종동기어(462) 및 제 2 종동기어(463)에 결합되는 샤프트(464)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464)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샤프트(464)의 일측에 상기 제 1 종동기어(462)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464)의 타측에 상기 제 2 종동기어(463)가 결합된다.
상기 제 1 구동기어(461) 및 제 1 종동기어(462)는 피니언기어이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종동기어(462) 및 제 2 종동기어(463)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랙기어의 치형은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랙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랙(454)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종동기어(463) 및 랙기어는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 2 종동기어(463)의 회전 시, 상기 랙(454)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종동기어(463)는 상기 랙기어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460)는 상기 핸들케이스(43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랙(454)은 상기 연결핸들(440)에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구동모터(452)의 작동 시, 상기 랙(454)은 상기 연결핸들(440)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64)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된다. 상기 샤프트(46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바디(46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디(465)는 상기 샤프트(464)를 감싸고, 상기 제 1 케이스(432)에 조립된다.
한편, 상기 핸들(400)은, 상기 무빙핸들(401)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핸들락(4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핸들락(470)은 상기 출입도어(140)의 제 1 패널(1150) 및 제 2 패널(116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락(470)은 상기 제 1 케이스(432) 및 제 2 케이스(434)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락(470)은 상기 제 1 수납케이스(480) 및 제 2 수납케이스(49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락(470)은 상기 무빙핸들(401)의 강제인출을 방지한다. 상기 핸들락(470)이 상기 무빙핸들(401)를 상기 핸들케이스(43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무빙핸들(401)가 강제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락(470)은 무빙핸들(401) 중 연결핸들(44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핸들락(470)은 상기 연결핸들(440)의 락홈(448)(449)에 삽입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락(470)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락(470)은 상기 연결핸들(44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좌측에 배치된 핸들락은 제 1 핸들락이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핸들락은 제 2 핸들락이라 한다.
상기 핸들락(470)은, 상기 핸들케이스(430) 측에 고정되는 락모터(472)와, 상기 락모터(472)에 의해 회전되는 락구동기어(474)와, 상기 락구동기어(474)와 치합되고, 상기 락구동기어(474)의 회전 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락랙기어(476)와, 상기 락랙기어(476)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핸들(401)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락(478)을 포함한다.
락모터(472)는 상기 락구동기어(474)와 결합되고, 상기 락구동기어(474)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락모터(472)는 상기 핸들케이스(430)에 조립된다. 특히 상기 제 1 케이스(432) 및 제 2 케이스(4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락모터(472)의 모터축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락구동기어(474)는 수평하게 배치되어 회전된다.
상기 락랙기어(476)은 랙기어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락구동기어(474)는 락랙기어(476)와 치합된다.
락랙기어(476)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락구동기어(474)의 회전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락랙기어(476)에 락(478)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락(478)은 락랙기어(476)의 내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핸들(440)의 락홈(448)(449)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락랙기어(476)의 이동방향과 상기 무빙핸들(401)의 이동방향이 교차되기 때문에, 상기 락(478)이 상기 락홈(448)(449)에 삽입될 경우, 상기 무빙핸들(40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외부에서 상기 제 1 핸들(410)을 인출하려고 외력을 가해도 상기 락(478) 및 락홈(448)의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 1 핸들(410)의 강제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무빙핸들(401)의 강제인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락홈(448)(449)은 제 1 공간(101) 측에 배치된 제 1 락홈(448) 및 제 2 공간(102) 측에 배치된 제 2 락홈(4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핸들(401)가 출입도어(140)에 수납될 때, 상기 락(478)은 상기 제 1 락홈(448)에 삽입된다. 상기 무빙핸들(401)가 제 1 공간(101)으로 돌출될 때, 상기 락(478)은 상기 제 2 락홈(449)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무빙핸들(401)가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 상기 락(478) 및 제 2 락홈(449)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출입할 경우에는 상기 락(478) 및 제 2 락홈(449)의 상호 결합을 유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도어(140)가 닫힐 때마다, 상기 락(478) 및 제 1 락홈(448)을 상호 결합시킨다.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인증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장치(700)는 케이스(710)와, 디스플레이(720), 카메라(730), 발광부재(740), 조도센서(750), 근접센서(760), 마이크(770), 스피커(78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710)는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설치되고, 상기 시큐리티패널(310) 보다 상기 제 1 공간(101)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710)는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7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릴 상기 케이스(7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720)는 상기 케이스(7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공간(10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72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3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730)는 외부통화용 화상카메라(732)와, 정맥인증을 위한 정맥인증 카메라(734)와, 안면인증을 위한 안면인식 카메라(736)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재(740)는 상기 정맥인증 카메라(734), 안면인식 카메라(736), 조도센서(750) 및 근접센서(760)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발광부재(740)를 발광시켜 상기 정맥인증 카메라(734) 및 안면인식 카메라(736)의 위치를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740)에서 발광된 빛은 화상카메라(732), 정맥인증 카메라(734), 안면인식 카메라(736), 조도센서(750)에 빛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조도가 낮을 때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750)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발광부재(7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760)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720), 카메라(730), 발광부재(740), 조도센서(750), 근접센서(760), 마이크(770), 스피커(7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장치(700)는 사용자의 안면인증 후에 정맥인증을 실시한다. 즉,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안면인식 카메라(736)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한 후, 정맥인증 카메라(734)를 통해 사용자의 정맥을 확인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 : 제 1 공간
102 : 제 2 공간
100 : 출입게이트 120 : 도어프레임
140 : 출입도어 150 : 케이블커넥터
180 : 도어디스플레이 200 : 딜리버리게이트
300 : 시큐리티어셈블리 400 : 핸들
500 : 스토리지박스 700 : 인증장치
100 : 출입게이트 120 : 도어프레임
140 : 출입도어 150 : 케이블커넥터
180 : 도어디스플레이 200 : 딜리버리게이트
300 : 시큐리티어셈블리 400 : 핸들
500 : 스토리지박스 700 : 인증장치
Claims (16)
-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출입도어; 및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핸들과,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핸들을 포함하는 무빙핸들;
상기 무빙핸들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무빙핸들을 상기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핸들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는,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패널; 상기 제 1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핸들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핸들홀; 및 상기 제 2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핸들이 삽입되며,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핸들홀;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핸들의 전면은 상기 제 1 패널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핸들의 배면은 상기 제 2 패널의 배면 보다 후방 측으로 더 돌출된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가 개방됐을 때, 상기 제 1 핸들의 전면은 상기 제 1 패널의 전면보다 상기 제 1 공간 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 2 핸들의 배면은 상기 제 2 패널의 배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는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드라이버는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 사이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는 핸들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드라이버는 상기 핸들케이스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케이스는,
상기 제 1 공간 측에 배치된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공간 측에 배치된 제 2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무빙핸들이 관통되는 제 1 케이스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무빙핸들이 관통되는 제 2 케이스홀이 형성된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핸들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핸들이 수납되는 제 1 수납케이스;
상기 제 2 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핸들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핸들이 수납되는 제 2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납케이스는 상기 무빙핸들이 관통되는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납케이스는 상기 무빙핸들이 관통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된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드라이버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어셈블리; 및
상기 무빙핸들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랙;을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는 핸들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핸들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 사이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랙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결합되는 제 1 구동기어;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종동기어; 상기 랙와 치합되는 제 2 종동기어; 및 상기 제 1 종동기어 및 제 2 종동기어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핸들은,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연결하는 연결핸들;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제 1 수납케이스제 2 수납케이스무빙핸들이무빙핸들이제 1 수납케이스무빙핸들이제 2 수납케이스무빙핸들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핸들과 선택적으로 상호걸림을 형성시키는 핸들락;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출입도어; 및 상기 출입도어에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출입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제 1 상태;
상기 출입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제 2 상태;
상기 출입도어 내에 배치되는 제 3 상태;를 제공하는 스마트게이트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356A KR20210123077A (ko) | 2020-04-02 | 2020-04-02 | 스마트게이트 |
PCT/KR2021/003161 WO2021201465A1 (ko) | 2020-04-02 | 2021-03-15 | 스마트게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356A KR20210123077A (ko) | 2020-04-02 | 2020-04-02 | 스마트게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3077A true KR20210123077A (ko) | 2021-10-13 |
Family
ID=7793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0356A KR20210123077A (ko) | 2020-04-02 | 2020-04-02 | 스마트게이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23077A (ko) |
WO (1) | WO2021201465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9044B1 (ko) | 2007-02-05 | 2008-03-03 | 오리엔탈종합전자(주) |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58250A (ja) * | 2009-09-09 | 2011-03-24 | Noritsugi Kato | 扉装置 |
KR101198666B1 (ko) * | 2010-08-31 | 2012-11-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테일게이트의 인출식 아웃사이드 핸들 |
KR101740189B1 (ko) * | 2016-04-08 | 2017-05-26 | 신영환 | 손잡이 엄폐 구조를 가지는 도어 잠금장치 |
US10533342B2 (en) * | 2016-08-25 | 2020-01-14 |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 Handles with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s |
US10619378B2 (en) * | 2017-01-31 | 2020-04-14 | Zephyr Lock, Llc | Lock with movable knob |
-
2020
- 2020-04-02 KR KR1020200040356A patent/KR202101230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
- 2021-03-15 WO PCT/KR2021/003161 patent/WO202120146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9044B1 (ko) | 2007-02-05 | 2008-03-03 | 오리엔탈종합전자(주) |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201465A1 (ko) | 2021-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07431A1 (en) | Smart entryway | |
US20210204739A1 (en) | Smart entryway | |
EP3882873A1 (en) | Smart gate | |
KR20210123077A (ko) | 스마트게이트 | |
EP3845732A1 (en) | Smart entryway | |
EP3845733A1 (en) | Smart entryway | |
KR20220005270A (ko) | 스마트 게이트 | |
KR100645489B1 (ko) | 전자식 금고비 | |
CN215565505U (zh) | 智能门 | |
KR20210087313A (ko) | 스마트게이트 | |
KR101117812B1 (ko) | 여닫이문 잠금 장치 | |
KR20220005268A (ko) | 스마트 게이트 | |
KR20220003345A (ko) | 스마트 게이트 | |
JP4005954B2 (ja) | スイッチボックス | |
CN221524527U (zh) | 锁孔及应急供电接口隐藏式的智能锁及安全门 | |
KR102526943B1 (ko) | 정보통신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방범 시스템 | |
KR20210087312A (ko) | 스마트 게이트 | |
JP2021106678A (ja) | 建具 | |
KR20210153308A (ko) | 스마트게이트 | |
JP2006233582A (ja) | 集合住宅の玄関構造及び該玄関構造に用いる仕切りパネル | |
KR20220005267A (ko) | 스마트 게이트 | |
EP3845731A2 (en) | Smart entryway | |
EP3845730A1 (en) | Smart entryway | |
JP3631167B2 (ja) | 遊技機 | |
JP2010168755A (ja) | 建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