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152A - 스마트게이트 - Google Patents

스마트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152A
KR20210112152A KR1020200027358A KR20200027358A KR20210112152A KR 20210112152 A KR20210112152 A KR 20210112152A KR 1020200027358 A KR1020200027358 A KR 1020200027358A KR 20200027358 A KR20200027358 A KR 20200027358A KR 20210112152 A KR20210112152 A KR 20210112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disposed
door
condition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서기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152A/ko
Publication of KR2021011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출입도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처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1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1 박스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2 박스개구부를 포함하는 컨디셔닝박스;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컨디셔닝도어; 및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2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컨디셔닝도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인증코드를 보유한 사람에게만 의류처리장치의 제 1 컨디셔닝도어를 개방하여 의류 또는 신발을 컨디셔딩박스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실내에서 제 2 컨디셔닝도어를 개방하여 수납된 의류 또는 신발을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게이트{Smart gate}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현관문에는 우유, 요구르트, 신문과 같이 배달되는 물품을 실내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투입구로는 배달물품이나 소포 등과 같이 부피가 큰 물건을 투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현관문에 투입구가 형성된 경우, 상기 투입구를 통해 외부인이 현관문의 도어락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7547호에는 현관문과 맞닿은 벽체에 냉장고가 설치된 식품 수취용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는 현관문 바깥쪽에 수납용 개폐문이 배치되고 현관문 안쪽에 수취용 개폐문이 배치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냉장고는 현관문 바깥쪽에 배치된 수납용 개폐문이 개방 가능한 구조이고, 현관문 안쪽에 수취용 개폐문에만 도어락이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수납된 물품을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냉장고는 건물의 구조물 중간을 관통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건축 시 냉장고의 설치공간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건물의 내력벽을 손상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의류와 같이 구김이 발생되는 물품을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7547호
본 발명은 인증된 사람이 비대면 방식으로 의류 또는 신발을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증장치를 통해 외부공간의 사람을 인증하고, 인증장치와 연결된 잠금장치는 내부에 은닉하여 외부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된 의류 또는 신발에 대해 에어컨디셔닝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오염원이 뭍은 의류에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는 스마트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인증코드를 보유한 사람에게만 의류처리장치의 제 1 컨디셔닝도어를 개방하여 의류 또는 신발을 컨디셔딩박스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실내에서 제 2 컨디셔닝도어를 개방하여 수납된 의류 또는 신발을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박스도어락이 제 1 컨디셔닝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고, 출입도어락이 출입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인의 실내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뭍은 의류를 실내에 진입한 후 바로 컨디셔닝박스에 수납하여 리프레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출입도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처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1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1 박스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2 박스개구부를 포함하는 컨디셔닝박스;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컨디셔닝도어; 및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2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컨디셔닝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 및 제 2 컨디셔닝도어는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는 상기 제 2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 및 출입도어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박스도어락;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디셔닝박스 및 출입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시큐리티패널;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제 1 박스도어락;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가 배치되는 박스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락은 상기 박스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호걸림을 통해 상기 출입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출입도어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출입도어가 배치되는 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도어락은 상기 도어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출입도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컨디셔닝박스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박스도어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박스도어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박스도어락이 배치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처리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 및 처리챔버를 연결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공기가 토출되는 에어아웃릿; 상기 처리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 및 처리챔버를 연결시키고, 상기 처리챔버의 공기가 흡입되는 에어인릿;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에어아웃릿에 제공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물을 저장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설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드레인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레인탱크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탱크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탱크는 상기 설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에 배치된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탱크는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출입도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처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1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1 박스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2 박스개구부를 포함하는 컨디셔닝박스;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컨디셔닝도어;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2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컨디셔닝도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디셔닝박스 및 출입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시큐리티패널;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제 1 박스도어락;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호걸림을 통해 상기 출입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출입도어락;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락 및 출입도어락을 제어하는 인증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인증장치가 인증코드를 보유한 사람에게만 제 1 컨디셔닝도어를 개방하여 의류 또는 신발을 컨디셔딩박스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실내에서 제 2 컨디셔닝도어를 개방하여 수납된 의류 또는 신발을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박스도어락이 제 1 컨디셔닝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고, 출입도어락이 출입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인의 실내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뭍은 의류를 실내에 진입한 후 바로 컨디셔닝박스에 수납하여 리프레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게이트, 딜리버리게이트 및 시큐리티어셈블리가 분리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타측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컨디셔닝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내 측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유닛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시큐리티어셈블리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시큐리티어셈블리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시큐리티어셈블리의 절단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시큐리티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 1 시큐리티패널에 잠금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출입게이트, 딜리버리게이트 및 시큐리티어셈블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출입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다른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시큐리티어셈블리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인증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내부에서 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도어(140, entrance door assembly)와, 비대면 방식으로 의류 또는 신발 등의 물품에 공기조화를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6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의 전방에 제 1 공간(101)이 배치되고, 스마트게이트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102)이 배치된다. 즉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사용자를 인증하고, 출입도어(140)를 개방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비인증된 사람의 출입을 차단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인증된 코드를 소유한 외부인을 인증한 후, 의류처리장치(600)를 개방한다. 인증코드를 소유한 외부인은 개방된 의류처리장치(600)에 구김이 발생할 수 있는 의류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각각 노출된다. 사용자는 제 2 공간(102)에서 수납된 물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인증된 코드를 소유한 외부인을 인증한 후, 의류처리장치(600)를 개방한다. 인증코드를 소유한 외부인은 개방된 의류처리장치(600)에 의류, 신발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인증된 코드를 소유한 외부인을 인증한 후, 의류처리장치(600)를 개방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600) 내부에 수납된 의류, 신발 등을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101) 및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102)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는 출입도어(140)를 포함하고,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는 시큐리티어셈블리(3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간(101)은 외부인이 접근 가능한 공간이고, 상기 제 2 공간(102)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 공간(101)은 사용자의 거주공간 밖일 수 있고, 상기 제 2 공간(102)의 사용자의 거주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01)은 실외일 수 있고, 상기 제 2 공간(102)은 실내일 수 있다.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는 모두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2)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00), 딜리버리게이트(200) 및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의해 상기 제 1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은 건물을 구성하는 벽 또는 기둥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에는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연통시키는 개구부(15)가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15)에 상기 출입게이트(100), 딜리버리게이트(200) 및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게이트(100)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비대면 방식으로 의류와 같은 물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물품에 공조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의류 또는 신발과 같은 물품을 수납하고, 에어컨디셔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의류 또는 신발에 에어컨디셔닝을 제공하여 다시 착용가능한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600)은 세탁 후 수납된 의류 또는 신발에 에어컨디셔닝을 제공하여 구김을 방지하고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인증코드를 보유한 외부인은 외부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600)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사용자는 내부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600)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내에서도 상기 의류처리장치(600)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실내에서 수납된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공간(101, 실외)에서 제 1 공간(102, 실내)로 진입한 사용자는 입고있던 외투나 신발을 벗어의류처리장치(600)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공기기능을 제공하여 수납된 외투나 신발을 리프레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프레쉬된 의류나 신발을 꺼내 착용한 후 다시 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세탁할 필요는 적으나 외부 오염원에 노출된 외투 또는 신발을 사용자가 다시 착용할 수 있는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조물(10)은 내측에 상기 개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연통시킨다.
상기 구조물(10)은 상기 개구부(15)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배치된 제 1 구조물(21)과, 상기 개구부(15)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배치된 제 2 구조물(22)과, 상기 개구부(1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을 연결하는 제 3 구조물(23)과, 상기 개구부(15)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을 연결하는 제 4 구조물(2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은 벽 또는 기둥일 수 있다. 상기 제 3 구조물(23)은 천장 또는 벽 일 수 있다. 상기 제 4 구조물(24)은 바닥 또는 벽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은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조물(10)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15)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구조물(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다. 상기 개구부(15)는 두께(t), 폭(W) 및 높이(h)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께(t)는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의 길이이고,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폭(W)은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의 내측 길이이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h)는 상기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 사이의 길이이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출입도어(140),의류처리장치(600) 또는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상기 두께(t)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의류처리장치(600) 또는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상기 폭(w) 및 높이(h)를 전부 점유하고,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폐쇄한다.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의 상측단이 상기 제 3 구조물(23)에 결합되고, 상기 제 3 구조물(23)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조물(21) 및 제 2 구조물(22) 의 하측단이 상기 제 4 구조물(24)에 결합되고, 상기 제 4 구조물(24)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조물(21), 제 2 구조물(22),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은 건물의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콘크리트 구조 건물일 경우, 상기 제 1 구조물(21), 제 2 구조물(22),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목조 건물일 경우, 상기 제 1 구조물(21), 제 2 구조물(22),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재일 수 있다. 철골구조 건물일 경우, 상기 제 1 구조물(21), 제 2 구조물(22), 제 3 구조물(23) 및 제 4 구조물(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철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건물의 건축 자재 또는 제작방식과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는 제 1 개구부(11), 제 2 개구부(12) 및 제 3 개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개구부(11)에 상기 출입게이트(10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개구부(12)에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가 배치된다. 상기 제 3 개구부(13)에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가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15) 중 일부가 상기 제 1 개구부(11)를 형성하고, 나머지 중 일부가 상기 제 2 개구부(12)를 형성하며, 나머지의 나머지가 상기 제 3 개구부(13)를 형성한다.
제 1 공간(11) 또는 제 2 공간(12)에서 볼 때, 상기 제 1 개구부(11)가 상기 개구부(15)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상기 제 3 개구부(13)가 상기 개구부(15) 중 가장 좁은 면적을 차지한다. 상기 제 2 개구부(12)는 상기 제 1 개구부(11) 보다 좁고, 상기 제 3 개구부(13) 보다 넓은 면적을 형성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개구부(11)의 폭 및 면적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개구부(11), 제 2 개구부(12) 및 제 3 개구부(13)의 좌우 폭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개구부(11), 제 2 개구부(12) 또는 제 3 개구부(13) 중 적어도 2개의 높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개구부(11), 제 2 개구부(12) 및 제 3 개구부(13)의 높이가 모두 같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출입게이트(100), 딜리버리게이트(200) 및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높이는 같고, 폭은 모두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개구부(11)는 개구부(15)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부(12)는 개구부(15)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는 상기 개구부(15) 중 일측을 폐쇄한다. 상기 출입도어(140)는 상기 제 1 개구부(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외부에서 의류를 저장 또는 전달하기 위해 제 1공간(101)에 노출된 제 1 컨디셔닝도어(610)를 포함한다.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상기 제 2 개구부(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의 도어 중 하나는 제 1 공간(101)에 노출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공간(102)에 노출된다.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상기 개구부(15) 중 타측을 폐쇄한다.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상기 제 3 개구부(13)를 점유하고, 상기 제 3 개구부(13)를 폐쇄한다.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상기 출입게이트(100), 딜리버리게이트(200) 또는 구조물(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게이트, 딜리버리게이트 및 시큐리티어셈블리가 분리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타측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출입게이트(100)가 배치될 경우, 타측에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가 배치된다.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구조물(10)에 설치되는 박스프레임(220)과, 상기 박스프레임(220)에 조립되는 의류처리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상기 제 2 개구부(12)를 폐쇄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를 통해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내부에 처리챔버(605) 및 기계실(601)이 배치된 컨디셔닝박스(660)와, 상기 컨디셔닝박스(660) 또는 박스프레임(22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며 상기 처리챔버(605)를 개폐시키는 제 1 컨디셔닝도어(610)와,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에 노출되며 상기 처리챔버(605)를 개폐시키는 제 2 컨디셔닝도어(620)를 포함한다.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은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처리챔버(605)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박스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처리챔버(605)는 의류 또는 신발을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물품을 리프레쉬 하기 위해 공간이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의 개방 시 상기 처리챔버(605)는 상기 제 1 공간(101)과 연통된다.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의 개방 시, 상기 처리챔버(605)는 상기 제 2 공간(102)과 연통된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 및 제 2 컨디셔닝도어(620)가 동시 개방될 때, 상기 처리챔버(605)를 통해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이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 및 제 2 컨디셔닝도어(620)가 동시에 개방되지 않는다. 즉, 제 1 컨디셔닝도어(610)가 개방가능할 때, 제 2 컨디셔닝도어(620)는 잠금상태이고,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가 개방가능할 때,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잠금상태이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 및 제 2 컨디셔닝도어(620)의 개방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배치된다.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은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박스개구부(602)와,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박스개구부(6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컨디셔닝박스(660) 중 상기 처리챔버(605)와 접하는 2개면이 개방된다.
상기 제 1 박스개구부(602)는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의 전벽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의 개방 시 상기 제 1 박스개구부(602)가 제 1 공간(101)으로 개방된다.
상기 제 2 박스개구부(604)는 상기 제 2 공간(102)에 배치된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박스개구부(604)는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의 측벽, 상벽 또는 후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박스개구부(604)는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의 우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2 박스개구부는 박스의 좌측벽, 상벽 또는 후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수평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박스개구부(602)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힌지(630)를 통해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컨디셔닝박스(660) 및 제 1 컨디셔닝도어(610)에 조립된 힌지를 제 1 박스힌지(630)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박스힌지(630)는 제 1 박스개구부(602)의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박스힌지(63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힌지를 상측 제 1 박스힌지(631)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힌지를 하측 제 1 박스힌지(632)라 정의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의 우측단이 좌측에 배치된 제 1 박스힌지(6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컨디셔닝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박스힌지는 제 1 박스개구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의 상측이 하측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는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가 수평하게 지지되는 경우, 상기 처리챔버(605)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꺼낼 때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도 수평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제 2 박스개구부(604)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는 힌지(650)를 통해 상기 컨디셔닝박스(66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컨디셔닝박스(660) 및 제 2 컨디셔닝도어(620)에 조립된 힌지를 제 2 박스힌지(650)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박스힌지(650)는 제 2 박스개구부(604)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박스힌지(65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힌지를 상측 제 2 박스힌지(651)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힌지를 하측 제 2 박스힌지(652)라 정의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컨디셔닝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내 측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유닛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박스프레임(220)은 상기 제 2 구조물(22)에 밀착되는 제 1 박스프레임(221)과,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밀착되는 제 2 박스프레임(222)과, 상기 제 3 구조물(23)에 밀착되는 제 3 박스프레임(223)과, 상기 제 4 구조물(24)에 밀착되는 제 4 박스프레임(22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박스프레임(221), 제 2 박스프레임(222), 제 3 박스프레임(223) 및 제 4 박스프레임(224)은 보안을 위해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박스프레임(221)은 개구부(15)의 타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 2 박스프레임(222)은 개구부(15)의 중간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3 박스프레임(223)은 개구부(1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박스프레임(224)은 개구부(15)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박스프레임(221), 제 2 박스프레임(222), 제 3 박스프레임(223) 및 제 4 박스프레임(224)은 상기 제 2 개구부(12)의 가장자리를 점유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상기 제 2 개구부(12)의 나머지를 점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처리챔버(605)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상기 컨디셔닝박스(660) 또는 상기 박스프레임(2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가 상기 박스프레임(220)에 힌지결합될 경우, 상기 제 1 박스프레임(221) 또는 제 2 박스프레임(222)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와 힌지결합되는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에 힌지(63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1 박스프레임(221), 제 3 박스프레임(223) 또는 제 4 박스프레임(2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조물(10)에 결합되어야 한다. 제 1 박스프레임(221), 제 3 박스프레임(223) 및 제 4 박스프레임(224)이 상기 구조물(10)에 모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은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좌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은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 박스프레임(224)은 상기 제 4 구조물(24) 표면에 지지될 수 있다. 방화성능 및 보안을 위해 상기 4 박스프레임(2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4 구조물(24)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및 제 1 박스프레임(221)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 및 제 2 박스프레임(222) 역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3 박스프레임(223)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4 도어프레임(124) 및 제 4 박스프레임(224) 역시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에는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 또는 제 1 내부박스도어(522)의 잠금을 위한 관통구(225)(226)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25)(226)는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25)(226)는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구(225)(226)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좌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배치된 제 1 박스도어락(303)(304)과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에는 상기 관통구(225)(226)에 대응되는 잠금부(625)(626)가 형성된다. 박스도어락의 데드볼트는 상기 관통구(225)(226)를 관통하여 상기 잠금부(625)(626)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600)는 기계실(601)에 배치된 히트펌프유닛(670)을 더 포함한다.
히트펌프유닛(670)는 처리챔버(605)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순환하는 공기에 대해 히팅, 쿨링,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유닛(67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71)와, 상기 압축기(671)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672)와, 상기 응축기(67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673)와, 상기 팽창밸브(673)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674)와,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675)과, 상기 하우징(675)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경유한 공기를 상기 처리챔버(605)에 토출하는 송풍팬(676)을 포함한다.
상기 컨디셔닝박스(660)에는 상기 송풍팬(676) 및 처리챔버(605)를 순환하는 순환유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팬(676)에 인릿덕트(676a)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675)에 아웃릿덕트(675a)가 배치된다.
상기 인릿덕트(676a)는 처리챔버(605)의 에어인릿(605a)과 연통되고, 상기 아웃릿덕트(675a)는 처리챔버(605)의 에어아웃릿(605b)와 연통된다.
상기 히트펌프유닛(670)은 상기 순환유로 상에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제너레이터(677)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677)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탱크(678)와, 상기 증발기(674)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탱크(67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677)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송풍팬(676)에 의해 순환하는 순환공기와 함께 상기 처리챔버(605)에 분사된다.
냉매를 히트펌프사이클로 순환시키고, 상기 히트펌프사이클에서 발생된 열을 통해, 공기를 제습, 가습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677)는 상기 워터탱크(678)에서 깨끗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스팀을 생성하고 남은 물 또는 상기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탱크(679)로 유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678) 및 드레인탱크(679)는 기계실(601) 내부가 아닌 컨디셔닝박스(660)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678) 및 드레인탱크(679)는 제 2 공간(102)에 노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탱크(678) 및 드레인탱크(679)는 제 2 컨디셔닝도어(620)에 의해 숨겨질 수 있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상기 박스프레임(22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박스힌지(630)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 1 박스힌지(630)는 박스프레임(220) 또는 컨디셔닝박스(66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제 1 이너플레이트(611) 및 제 1 아우터플레이트(612)를 포함한다. 제 1 이너플레이트(611) 및 제 1 아우터플레이트(612)는 체결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플레이트(611)는 제 1 박스개구부(602)를 커버한다. 상기 제 1 아우터플레이트(612)는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된다.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는 후술하는 제 1 박스도어락(303)(304)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는 상기 제 2 박스힌지(650)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 2 박스힌지(650)는 컨디셔닝박스(6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 및 컨디셔닝박스(66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는, 제 2 이너플레이트(621) 및 제 2 아우터플레이트(622)를 포함한다. 제 2 이너플레이트(621) 및 제 2 아우터플레이트(622)는 체결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플레이트(621)는 제 2 박스개구부(604)를 커버한다. 상기 제 2 아우터플레이트(622)는 상기 제 2 공간(102)에 노출된다.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는 후술하는 제 2 박스도어락(305)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박스개구부(604)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부(661)(662)가 배치된다.
제 1 설치부(661)는 제 2 컨디셔닝도어(6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 2 설치부(662)는 상기 컨디셔닝도어(6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설치부(661)에 상측 제 2 박스도어락(305)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설치부(662)에 하측 제 2 박스도어락(306)이 배치된다.
상기 설치부(661)(662)는 제 2 컨디셔닝도어(62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상기 설치부(661)(662)는 상기 박스개구부(604) 보다 상기 제 2 공간(102) 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설치부(661)(662)의 하측면 또는 상측면은 단(663)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박스도어락(305)(306)의 데드볼트는 하측 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 및 제 2 컨디셔닝도어(620)가 상호 걸림을 형성할 경우,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가 잠금되고, 상기 상호걸림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가 잠금해제된다.
한편, 상기 설치부(662)에 상기 워터탱크(678) 및 드레인탱크(679)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탱크(678) 및 드레인탱크(679)는 상기 설치부(662)에서 탈착가능하게조립된다. 사용자는 상기 워터탱크(678) 및 드레인탱크(679)을 각각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워터탱크(678)에 물을 저장하여 상기 스팀제너레이터(677)에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드레인탱크(679)를 분리하여 응축수 및 잔수를 버릴 수 있다.
상기 설치부(662)는 상기 기계실(601)의 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설치부(662)가 상기 기계실(601)의 측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자중을 통해 상기 워터탱크(678)의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667)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처리챔버(605)에 배치된 에어인릿(605a)은 상기 제 2 공간(102) 측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인릿(605a)은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인릿(605a)은 의류처리장치(6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아웃릿(605b)은 의류처리장치(60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인릿(605a) 및 에어아웃릿(605b)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긴 쪽이 상기 제 2 공간(102)을 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한 배치이다. 사용자는 상기 제 2 공간(102)에서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620)를 개방하여 의류를 수납하거나 꺼내기 때문에, 컨디셔닝박스(660) 내부에 거치되는 의류도 제 2 공간(102)을 향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에어인릿(605a) 및 에어아웃릿(605b)은 사용자를 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1의 시큐리티어셈블리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시큐리티어셈블리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시큐리티어셈블리의 절단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시큐리티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 1 시큐리티패널에 잠금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구조물(10),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가 이격되어 제 3 개구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상기 제 3 개구부(13)를 폐쇄한다.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가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101) 및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102)이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도어프레임(120) 및 박스프레임(220)과 각각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는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 사이에 배치되는 시큐리티패널(310)과,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배치되는 인증장치(700)와,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00) 또는 의류처리장치(6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출입도어(140)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출입도어락(301)(302)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출입게이컨디셔닝박스(600)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을 포함한다.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은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은 스틸재질로 형성된다.
시큐리티패널(310)은 일측이 상기 출입게이트(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큐리티패널(310) 및 출입게이트(100)는 외부인에 의한 해체가 어렵도록 용접, 리벳이음될 수 있다.
상기 시큐리티패널(310) 및 출입게이트(100)가 체결결합되는 경우, 체결부재의 헤드는 제 1 공간(101)에 노출되지 않아야 하고, 상기 개구부(15) 또는 제 2 공간(102) 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시큐리티패널(31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도 상술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은 도어프레임(120)과 결합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은 박스프레임(220)과 결합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결합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시큐리티패널(310) 내부에 은닉된다. 그래서 제 1 공간(101)에서는 시큐리티패널(310)을 해제하지 않고는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에 접근할 수 없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사용자 인가된 외부인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출입게이트(1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등록된 사용자를 판단하여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등록되지 않은 사람일 경우, 인증된 코드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를 개방할 수 있고, 소정 시간 후에 자동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600)가 폐쇄된다.
즉, 등록되지 않은 사람의 경우, 택배 또는 물품전달을 위해 인증된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등)를 보유하면, 상기 인증장치(700)가 이를 확인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600)의 후술하는 박스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증장치(700) 및 시큐리티패널(310)를 동시에 커버하는 커버부재(340)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재(340)의 적어도 일부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인증장치(700)의 전방에 배치된 커버부재(34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340)는 강화유리(tempered glass) 또는 이중접합유리(laminated glass)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큐리티패널(310)은 제 1 공간(101) 측에 배치된 제 1 시큐리티패널(320)과, 제 2 공간(102) 측에 배치된 제 2 시큐리티패널(330, 도 20 참조)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및 제 2 시큐리티패널(330)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스마트게이트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및 제 2 시큐리티패널(33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및 제 2 시큐리티패널(330) 사이에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을 배치시키고, 이를 통해 제 1 공간(101)으로부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을 은닉시킬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제 1 시큐리티패널(32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은 상기 제 2 시큐리티패널(330)과 분리될 수 없는 구조로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은, 상기 인증장치(700)가 삽입되고, 제 1 공간(101) 측에서 제 2 공간(102)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설치부(321)와, 상기 제 2 공간(102)에서 상기 제 1 공간(301)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 2 설치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설치부(321)는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설치부(322)는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설치부(321)의 하측에 상기 제 2 설치부(322)가 배치되고, 전후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설치부(321) 및 제 2 설치부(322)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치부(321) 및 제 2 설치부(322)가 오버랩되기 때문에, 시큐리티패널(31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설치부(321)는 제 1 공간(101)을 향해 개구되고, 전방에 배치된 커버부재(340)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제 2 설치부(322)는 제 2 공간(102)을 향해 개구되고,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 2 시큐리티패널(330)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제 1 설치부(32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면을 통해 인증장치(700)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치부(32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면을 통해 출입도어락(301)(302) 또는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치부(321)은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설치부(321)에 상기 인증장치(700)가 삽입되고,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제 1 설치부(32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치부(321)는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전면(320a)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은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주물가공, 사출성형 또는 프레스가공을 통해 제작할 경우, 상기 제 1 설치부(321)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치부(322) 역시 상기 제 1 설치부(322)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치부(322)에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배면에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및 제 2 시큐리티패널(330) 사이에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이 배치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제 1 시큐리티패널(320)에 의해 제 1 공간(101)으로부터 은폐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부(311)(312)(313)(31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311)(312)(313)(314)는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을 절개한 후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부(311)(312)(313)(314)는 상기 제 2 설치홈(32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가장자리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된 사이드지지부(315)와, 상기 사이드지지부(315)에서 절곡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리어지지부(316)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지지부(315) 및 리어지지부(316)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제 2 설치부(322)의 깊이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지지부(315) 및 리어지지부(316)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제 1 설치부(321)의 배면(321b)보다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지지부(311)(312)(313)(314)는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이 삽입된 후 지지될 수 있는 슬롯을 형성된다.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1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형성된 슬롯을 제 1 슬롯이라 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형성된 슬롯을 제 2 슬롯이라 정의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이 2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슬롯은 2개소 형성된다. 상기 제 1 박스도어락(303)(304)도 2개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슬롯은 2개소 형성된다.
상측에 배치된 제 1 슬롯을 제 1 어퍼슬롯(325)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제 1 슬롯을 제 1 로어슬롯(326)이라 한다. 상기 제 1 어퍼슬롯(325) 및 제 1 로어슬롯(326)은 일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은 개구된 상기 일측면을 통해 상기 제 1 어퍼슬롯(325) 및 제 1 로어슬롯(326)에 삽입된다.
상측에 배치된 제 2 슬롯을 제 2 어퍼슬롯(327)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제 1 슬롯을 제 1 로어슬롯(328)이라 한다.
상기 제 2 어퍼슬롯(327) 및 제 2 로어슬롯(328)은 타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개구된 상기 타측면을 통해 상기 제 2 어퍼슬롯(327) 및 제 2 로어슬롯(328)에 삽입된다.
상기 제 1 어퍼슬롯(325)을 형성시키는 지지부를 제 1 어퍼지지부(311)라 하고, 상기 제 1 로어슬롯(326)을 형성시키는 지지부를 제 1 로어지지부(312)라 한다.
상기 제 1 어퍼지지부(311)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출입도어락(301)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제 1 로어지지부(312)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출입도어락(302)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어퍼슬롯(327)을 형성시키는 지지부를 제 2 어퍼지지부(313)라 하고, 상기 제 2 로어슬롯(328)을 형성시키는 지지부를 제 2 로어지지부(314)라 한다.
상기 제 2 어퍼지지부(313)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컨디셔닝도어락(303)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로어지지부(314)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컨디셔닝도어락(304)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은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또는 제 2 시큐리티패널(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설치부(322)는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후면(320b)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부(311) 및 제 2 지지부(312)는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이 체결되기 전에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을 절곡하여 상기 제 1 설치부(321) 및 제 2 설치부(322)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설치부(321) 및 제 2 설치부(322) 사이에 하나의 연결판(323)이 배치된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제 1 설치부(321)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설치부(321)의 연결판(323)에 지지된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인증장치(700)를 통해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을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351)(352)(353)(354)들이 배치된다.
상기 케이블(351)(352)(353)(354)은 제 1 설치부(321) 및 제 2 설치부(322)를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중 일부를 관통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설치부(321) 및 제 2 설치부(322)를 동시에 형성시키는 연결판(323)에 커넥트홀(324)을 형성시키고, 상기 커넥트홀(324)을 통해 상기 케이블(351)(352)(353)(354)들을 설치한다.
상기 케이블(351)(352)(353)(354)들이 상기 커넥트홀(324)을 관통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351)(352)(353)(354)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출입게이트, 딜리버리게이트 및 시큐리티어셈블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출입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다른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출입게이트(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출입게이트(100)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대해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출입게이트(100)는, 구조물(10)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20)과, 상기 도어프레임(12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1 개구부(11)을 개폐시키는 출입도어(140)와, 상기 출입도어(140)에 배치되는 핸들(400)과, 상기 도어프레임(120) 및 출입도어(14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13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20)은 상기 제 1 구조물(21)에 밀착되는 제 1 도어프레임(121)과,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밀착되는 제 2 도어프레임(122)과, 상기 제 3 구조물(23)에 밀착되는 제 3 도어프레임(123)과, 상기 제 4 구조물(24)에 밀착되는 제 4 도어프레임(12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제 2 도어프레임(122),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4 도어프레임(124)은 보안을 위해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도어프레임(123)은 개구부(1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도어프레임(124)은 개구부(15)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은 개구부(15)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 2 도어프레임(122)은 개구부(15)의 중간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제 2 도어프레임(122),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4 도어프레임(124)은 상기 제 1 개구부(11)의 가장자리를 점유하고, 상기 출입도어(140)는 상기 제 1 개구부(11)의 나머지를 점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도어(14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개구부(11)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출입도어(140)는 개방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또는 제 2 도어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와 힌지결합된다.
상기 출입도어(140)와 힌지결합되는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을 제외한 제 2 도어프레임(122), 제 3 도어프레임(123) 또는 제 4 도어프레임(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121),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4 도어프레임(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조물(10)에 결합되어야 한다. 제 1 도어프레임(121), 제 3 도어프레임(123) 및 제 4 도어프레임(124)이 상기 구조물(10)에 모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은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우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은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에는 제 1 도어어셈블리(100)의 잠금을 위한 관통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125)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125)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의 외측면 및 내측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구(125)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우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배치된 출입도어락(301)(302) 중 일부는 상기 관통구(125)를 관통한다.
상기 도어락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관통구(125)의 위치도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25)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의 좌측면에서 제 1 도어프레임(121) 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도어(14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출입도어락(301)(302)이 복수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관통구(125)도 이에 대응하여 복수개소에 형성된다.
상측에 배치되는 도어락를 제 1 도어락(301)라 정의하고, 하측에 배치된 도어락를 제 2 도어락(302)라 정의한다. 복수개의 상기 관통구(125)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출입도어(140)에는 상기 관통구(125)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잠금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125) 및 잠금부(126)는 대향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부(126)는 상기 출입도어(140)의 좌측면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제 1 패널(150)의 제 2 사이드부(153)에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126)는 상기 제 2 사이드부(153)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의 출입도어락 데드볼트(301a)(302a)는 상기 관통부(125)를 관통하여 상기 잠금부(126)에 삽입된다. 잠금해제 시, 상기 출입도어락 데드볼트(301a)(302a)는 상기 관통부(125)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서비스개구부(127)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의 서비스개구부(127)를 차폐하는 서비스커버(128)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커버(128)는 상기 제 1 어퍼슬롯(325) 및 제 1 로어슬롯(326)을 커버한다. 상기 서비스커버(128)는 상기 제 1 어퍼슬롯(325) 및 제 1 로어슬롯(326)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서비스커버(128)는 상기 출입도어락(301)(302)의 데드볼트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커버(128)는 상기 제 1 설치부(32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서비스커버(128)는 상기 제 1 설치부(321)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서비스커버(128)는 상기 인증장치(700) 및 출입도어(14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서비스개구부(127)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측면과 대향된다. 상기 서비스개구부(127)는 제 2 도어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서비스개구부(127)를 커버하는 상기 서비스커버(128)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커버(128)는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되고, 필요시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에서 분해가능하다.
상기 서비스개구부(127) 및 서비스커버(128)는 출입도어(140)가 닫혔을 때, 상기 출입도어(14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공간(101)에서 볼 때 은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개구부(127) 및 서비스커버(128)는 상기 출입도어(140)가 닫혔을 때, 상기 출입도어(140)의 좌측면과 대향되고, 상기 출입도어(140)에 의해 숨겨진다.
상기 4 도어프레임(124)은 상기 제 4 구조물(24) 표면에 지지될 수 있다. 방화성능 및 보안을 위해 상기 4 도어프레임(1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4 구조물(24)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도어(140)는 도어프레임(12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140)는 상기 힌지(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140)는 상기 제 1 공간(101) 또는 제 2 공간(102)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개구부(11)을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도어(140)는 상기 제 1 개구부(11)에서 상기 제 1 공간(101) 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출입도어(140)는 적어도 일부가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는 제 1 패널(150)과, 상기 제 2 공간(102)에 노출되는 제 2 패널(1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50)은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는 프론트부(151)와, 상기 프론트부(151)에서 제 2 공간(102)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1 프레임(121)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사이드부(152)와, 상기 프론트부(151)에서 제 2 공간(102)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프레임(122)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사이드부(153)와, 상기 제 1 사이드부(152)에서 상기 제 2 프레임(122)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패널(16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리어부(154)와, 상기 제 2 사이드부(153)에서 상기 제 1 프레임(121)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패널(16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5 리어부(155)와, 상기 프론트부(151)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 1 핸들홀(15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50)은 보안 및 방화성능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패널(15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벤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홀(156)에 상기 핸들(400)이 조립된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제 1 핸들홀(156)에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부(151)와 연속된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부(152)는 상기 제 1 프레임(121)에 힌지결합 될 수 있고, 상기 힌지(13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14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사이드부(152)는 상기 제 1 프레임(121)의 내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사이드부(153)는 상기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출입도어(14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사이드부(153)의 내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리어부(154) 및 제 2 리어부(155)는 상기 제 2 패널(160)의 전면에 밀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패널(160)과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널(150) 및 제 2 패널(160)은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내측은 이격되어 도어내부공간(141)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내부공간(141)에 도어디스플레이(180)가 설치되는 제 3 패널(1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패널(160) 중 일부는 투명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패널(170)은 상기 제 1 패널(150) 또는 제 2 패널(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립된다. 상기 제 3 패널(170)의 내측에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개구부(18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개구부(181)는 상기 제 3 패널(170)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3 패널(170)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를 지지하고,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에 연결되는 각종 케이블등을 감추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는 상기 제 2 공간(102)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는 상기 디스플레이개구부(181)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102)으로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3 패널(170)에 디스플레이개구부(181)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3 패널(170)의 후면에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가 설치되고, 투명한 제 2 패널을 통해 제 2 공간(102)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패널(170)에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패널(160)에 직접 도어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패널(160)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180)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투과패널(162)와, 상기 투과패널(162)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패널(150)에 결합되는 고정패널(16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상기 고정패널(164)은 상기 투과패널(162)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고정패널(164a)과, 상기 투과패널(162)의 상측에 배치된 제 2 고정패널(164b)과, 상기 투과패널(162)의 하측에 배치된 제 3 고정패널(164c)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패널(164)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투과패널(162)의 우측에 제 4 고정패널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패널(164)은 상기 투과패널(162)의 적어도 2개의 가장자리와 결합되어 상기 투과패널(162)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패널(164)은 제 2 핸들홀(16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핸들홀(166)을 통해 상기 제 2 핸들(420)이 노출된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출입도어(140)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출입도어(140)와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출입도어(14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핸들(400)은 상기 출입도어(140)에서 상기 제 1 공간(101) 측으로 돌출가능한 제 1 핸들(410)과, 상기 출입도어(140)에서 상기 제 2 공간(102) 측으로 돌출가능한 제 2 핸들(420)과, 상기 제 1 핸들(410) 또는 제 2 핸들(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핸들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핸들(410)은 제 1 패널(150)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패널(15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410)은 상기 제 1 핸들홀(156)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패널(150)의 프론트부(151)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410)은 사용할 때에만, 상기 프론트부(151) 보다 제 1 공간(101) 측으로 돌출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프론트부(151)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420)은 제 2 패널(160)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패널(16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420)은 상기 제 2 핸들홀(166)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패널(160)의 고정패널(164)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420)은 사용할 때에만, 상기 고정패널(164) 보다 제 2 공간(102) 측으로 돌출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고정패널(164)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시큐리티어셈블리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다른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다른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은 제 2 도어프레임(122)과 결합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은 제 2 박스프레임(222)과 결합된다.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 및 제 2 박스프레임(22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 또는 제 2 박스프레임(222)을 통해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을 해제하지 않고는 상기 제 1 공간(101)에서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에 접근할 수 없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외부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621) 또는 제 1 내부박스도어(622)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700)는 제 1 내부박스도어(641) 및 제 2 내부박스도어(642)는 모두 폐쇄시킨다.
그래서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621) 또는 제 1 내부박스도어(622)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경우에도, 외부인이 제 1 저장공간(605-1) 또는 제 2 저장공간(605-2)을 통해서 상기 제 2 공간(102)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340)는 상기 시큐리티패널(310)보다 넒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340)의 일측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의 전면을 커버하고, 타측은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전면을 커버한다.
상기 커버부재(340)의 폭을 M3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의 전면 및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전면을 포함하는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폭을 M4라 정의한다.
상기 커버부재(340)이 폭(M3)은 제 2 도어프레임(122) 및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40)이 폭(M3)은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폭(M4)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폭(M3) 및 폭(M4)는 같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340)가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 제 2 도어프레임(122) 및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 제 2 도어프레임(122) 및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을 숨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40)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출입도어(140)의 좌측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타측 가장자리는 제 1 컨디셔닝도어(610)의 우측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40)는 상기 출입도어(140)의 전면 및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시큐리티패널(310)은 제 1 공간(101) 측에 배치된 제 1 시큐리티패널(320)과, 제 2 공간(102) 측에 배치된 제 2 시큐리티패널(3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및 제 2 시큐리티패널(330)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스마트게이트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및 제 2 시큐리티패널(33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의 후방 측(제 2 공간 측)에 미들구조물(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시큐리티패널(330)은 상기 미들구조물(25)에 지지되고, 상기 미들구조물(2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미들구조물(25)은 삭제 가능하다. 상기 미들구조물(25)이 없을 경우,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은 필수적으로 상기 출입게이트(100) 또는 딜리버리게이트(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된다.
상기 미들구조물(25)이 있을 경우,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은 상기 미들구조물(25)과 결합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00) 및 딜리버리게이트(200)와는 결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시큐리티패널(320)은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10)의 배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10)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시큐리티패널(320)은 상기 제 1 설치부(321) 및 제 2 설치부(322)의 배면을 폐쇄시킨다.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 및 제 2 시큐리티패널(330) 사이에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저면 또는 배면을 통해 접근할 수 없다.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10)에 의해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의 전방 접근이 차단되고, 상기 제 2 시큐리티패널(320)에 의해 상기 출입도어락(301)(302) 및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의 후방 접근이 차단된다.
상기 제 1 시큐리티패널(320)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 및 제 2 박스프레임(222)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설치부(321)의 폭(M1) 보다 상기 인증장치(700)의 폭(M2)가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그래서 상기 인증장치(700)의 일측 가장자리(701) 및 타측 가장자리(702)는 상기 제 1 설치부(321)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인증장치(700)의 일측 가장자리(701)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인증장치(700)의 타측 가장자리(702)는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의 외측면(본 실시예에서 좌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설치홈(1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설치홈(122a)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의 외측면에 대해 단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설치홈(122a)에 삽입된 인증장치(700)의 일측(701)은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에 지지된다.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외측면(본 실시예에서 우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설치홈(2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설치홈(222a)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외측면에 대해 단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제 2 설치홈(222a)에 삽입된 인증장치(700)의 타측(702)은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에 지지된다.
상기 인증장치(700)의 일측(701)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에 배치된 서비스커버(128)와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커버(128)의 분리 시, 상기 인증장치(700)가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인증장치(700)의 일부를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치홈(122a) 및 제 2 설치홈(222a)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설치홈(122a)은 일측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제 1 구조물)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설치홈(222a)은 타측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제 2 구조물)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설치홈(122a)은 인증장치(700)의 우측을 감싸고 상기 인증장치(700)를 지지한다. 상기 제 2 설치홈(222a)은 인증장치(700)의 좌측을 감싸고 상기 인증장치(700)를 지지한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제 1 설치홈(122a) 및 제 2 설치홈(222a)에 삽입된다. 상기 인증장치(700)의 전면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 및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전면과 동일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장치(700)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122) 및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전면보다 제 1 공간(101)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에는 서비스커버(228)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커버(228)(229)는 상기 관통구(225)(226)을 일부 커버한다. 상기 서비스커버(228)(229)는 상기 데드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서비스커버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출입도어락을 커버하기 위한 서비스커버(128)를 제 1 서비스커버라 하고, 상기 박스도어락을 커버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를 제 2 서비스커버라 한다.
상기 서비스커버(228)(229)는 상기 제 2 설치부(32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서비스커버(228)(229)는 상기 제 2 설치부(322)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서비스커버(228)(229)는 의류처리장치(600) 및 박스도어락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서비스커버(228)(229)는 상기 관통구(225)(226)를 일부 커버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을 은폐한다. 상기 서비스커버(228)(229)의 분리 시, 상기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이 노출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커버(228)(229)는 상기 제 2 어퍼슬롯(327) 및 제 2 로어슬롯(328)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어퍼슬롯(327, 도 14 참조) 및 제 2 로어슬롯(328, 도 14 참조)을 은폐한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인증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장치(700)는 케이스(710)와, 디스플레이(720), 카메라(730), 발광부재(740), 조도센서(750), 근접센서(760), 마이크(770), 스피커(78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710)는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설치되고, 상기 시큐리티패널(310) 보다 상기 제 1 공간(101)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710)는 상기 시큐리티패널(31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7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릴 상기 케이스(7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720)는 상기 케이스(7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공간(10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72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3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730)는 외부통화용 화상카메라(732)와, 정맥인증을 위한 정맥인증 카메라(734)와, 안면인증을 위한 안면인식 카메라(736)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재(740)는 상기 정맥인증 카메라(734), 안면인식 카메라(736), 조도센서(750) 및 근접센서(760)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발광부재(740)를 발광시켜 상기 정맥인증 카메라(734) 및 안면인식 카메라(736)의 위치를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740)에서 발광된 빛은 화상카메라(732), 정맥인증 카메라(734), 안면인식 카메라(736), 조도센서(750)에 빛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조도가 낮을 때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750)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발광부재(7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760)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720), 카메라(730), 발광부재(740), 조도센서(750), 근접센서(760), 마이크(770), 스피커(7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내부에서 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제 2 딜리버리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스토리지박스(50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스토리지박스(50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600) 자리에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제 4 개구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개구부(14)는 상기 출입도어(140)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는 상기 개구부(14)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일측에 출입도어(140)가 배치되고, 타측에 스토리지박스(50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출입도어(140)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도어(140)의 일측에 의류처리장치(600)가 배치되고, 타측에 시큐리티어셈블리(3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를 위한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이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의 각 데드볼트는 상기 출입도어(140) 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은 상기 출입도어(140) 및 의류처리장치(6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박스도어락(303)(304)은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에 형성된 관통구(225)(226)를 향해 각각의 데드볼트를 돌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61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를 삭제하고, 제 1 도어프레임(121)에 관통구(225)(226)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딜리버리게이트(200)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600)를 포함하는 것을 제 1 딜리버리게이트(201)라 하고, 스토리지박스(500)를 포함하는 것을 제 2 딜리버리게이트(202)라 한다.
상기 제 2 딜리버리게이트(202)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대해 타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딜리버리게이트(202)는, 구조물(10)에 설치되는 박스프레임(220)과, 상기 박스프레임(220)에 조립되는 스토리지박스(5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박스(50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프레임(220)의 구성은 상기 제 1 딜리버리게이트의 박스프레임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2 딜리버리게이트(202)는 상기 제 2 개구부(12)를 폐쇄하고, 상기 스토리지박스(500)를 통해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박스(500)는 내부에 저장공간(505)이 형성된 박스(510)과, 상기 박스(5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며 상기 저장공간(505)을 개폐시키는 제 1 박스도어(520)와, 상기 박스(5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에 노출되며 상기 저장공간(505)을 개폐시키는 제 2 박스도어(540)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510)은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505)이 형성된다. 상기 박스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박스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5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벽, 하측벽, 좌측벽 및 하벽은 막힌 형상이다. 상기 저장공간(505)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1 박스도어(520)의 개방 시 상기 저장공간(505)은 상기 제 1 공간(101)과 연통된다. 상기 제 2 박스도어(540)의 개방 시, 상기 저장공간(505)은 상기 제 2 공간(102)과 연통된다.
상기 제 1 박스도어(520) 및 제 2 박스도어(540)가 동시 개방될 때, 상기 저장공간(505)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이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박스도어(520) 및 제 2 박스도어(540)가 동시에 개방되지 않는다. 즉, 제 1 박스도어(520)가 개방가능할 때, 제 2 박스도어(540)는 잠금상태이고, 상기 제 2 박스도어(540)가 개방가능할 때, 상기 제 1 박스도어(520)는 잠금상태이다.
상기 제 1 박스도어(520) 및 제 2 박스도어(540)의 개방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배치된다.
상기 박스(510)은 상기 제 1 박스도어(520)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박스개구부(502)와, 상기 제 2 박스도어(540)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박스개구부(5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박스개구부(502)는 상기 박스(510)의 전벽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520)의 개방 시 상기 제 1 박스개구부(502)가 제 1 공간(101)으로 개방된다.
상기 제 2 박스개구부(504)는 상기 제 2 공간(102)에 배치된 상기 박스(510)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박스개구부(504)는 상기 박스(510)의 측벽, 상벽 또는 후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박스개구부(504)는 상기 박스(510)의 우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박스(5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2 박스개구부는 박스의 좌측벽, 상벽 또는 후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박스도어(520)는 수평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박스개구부(502)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박스도어(520)는 힌지(530)를 통해 상기 박스(5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박스(510) 및 제 1 박스도어(520)에 조립된 힌지를 제 1 박스힌지(530)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박스힌지(530)는 제 1 박스개구부(502)의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박스도어(52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박스힌지(53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힌지를 상측 제 1 박스힌지(531)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힌지를 하측 제 1 박스힌지(532)라 정의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박스도어(520)의 우측단이 좌측에 배치된 제 1 박스힌지(5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박스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박스힌지는 제 1 박스개구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박스도어의 상측이 하측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 1 박스도어는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박스도어가 수평하게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저장공간(505)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꺼낼 때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박스도어(540)도 수평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제 2 박스개구부(504)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박스도어(540)는 힌지(550)를 통해 상기 박스(5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박스(510) 및 제 2 박스도어(540)에 조립된 힌지를 제 2 박스힌지(550)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박스힌지(550)는 제 2 박스개구부(504)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박스도어(54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박스힌지(55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힌지를 상측 제 2 박스힌지(551)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힌지를 하측 제 2 박스힌지(552)라 정의한다.
상기 스토리지박스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스토리지박스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고,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스토리지박스는 상기 박스프레임(220)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리지박스(500)는 2개가 배치된다. 하측에 배치된 스토리지박스를 제 1 스토리지박스(500-1)라 정의하고, 제 1 스토리지박스(500-1) 상측에 적층된 스토리지박스를 제 2 스토리지박스(500-2)라 정의한다.
각 스토리지박스(500)의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스토리지박스(500-1)의 구성을 "제 1"이라 하고, 제 2 스토리지박스(500-2)의 구성을 "제 2"라 한다.
상기 제 1 박스(511)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제 1 저장공간(505-1)이라 하고, 상기 제 2 박스(511)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제 2 저장공간(505-2)이라 정의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스토리지박스(500-1)는 내부에 제 1 저장공간(505-1)이 형성된 제 1 박스(511)과, 상기 제 1 박스(51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저장공간(505-1)을 개폐시키는 제 1 외부박스도어(521)와, 상기 제 1 박스(511)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저장공간(505-1)을 개폐시키는 제 1 내부박스도어(54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스토리지박스(500-2)는 내부에 제 2 저장공간(505-2)이 형성된 제 2 박스(512)과, 상기 제 2 박스(51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며 상기 제 2 저장공간(505-2)을 개폐시키는 제 2 외부박스도어(522)와, 상기 제 2 박스(51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에 노출되며 상기 제 2 저장공간(505-2)을 개폐시키는 제 2 내부박스도어(5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박스(511)은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외측개구부(502-1)와,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541)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내측개구부(504-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박스(512)은 상기 제 2 외부박스도어(522)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외측개구부(502-2)와,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542)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내측개구부(50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박스(511) 상측에 상기 제 2 박스(512)이 적층된다. 상기 제 1 박스(511) 및 제 2 박스(512)은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 상측에 상기 제 2 외부박스도어(52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541) 상측에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54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 및 제 1 내부박스도어(522)는 상기 제 2 개구부(12)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외부박스도어(522) 상측에 제 3-1 박스도어(52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스토리지박스가 배치되지 않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3 스토리지박스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스토리지박스가 배치되기 않기 때문에, 상기 제 3-1 박스도어(523)가 박스프레임(2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3 스토리지박스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3-1 박스도어(523)는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 제 2 외부박스도어(522) 및 제 3-1 박스도어(523)에 의해 상기 제 2 개구부(12)가 커버되고,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 및 제 2 외부박스도어(522)가 개폐되어 상기 제 2 개구부(12)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스토리지박스(500-1)는 온도조절이 필요없는 배달물품을 임시로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제 2 스토리지박스(500-2)는 온도조절이 필요한 배달물품을 임시로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 스토리지박스(500-1)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구성이 배치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제 2 스토리지박스(500-2)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토리지박스(500-2)는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할 수 있는 열전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이 배치될 경우, 열전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냉기 및 온기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토리지박스(500-2)를 냉장 또는 냉동 용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2 스토리지박스(500-2)에 냉장고의 구성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의 구성부품이 배치되는 경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와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저장공간(505)의 공기와 팽창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제 2 스토리지박스(500-2)가 열전모듈 또는 냉동사이클을 통해 저장공간(505)의 공기온도를 조절할 경우, 상기 박스(510) 및 박스도어(520)(540)에 단열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박스개구부(502) 및 제 2 박스개구부(504) 주변에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는 패킹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딜리버리게이트(202)의 제 2 박스프레임(222)에는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 또는 제 1 내부박스도어(522)의 잠금을 위한 관통구(225)(226)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25)(226)는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25)(226)는 상기 제 2 박스프레임(222)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구(225)(226)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좌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에 배치된 박스도어락(303)(304)과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와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공하는 도어락를 제 1 외부박스도어락(307)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외부박스도어(522)와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공하는 도어락를 제 2 외부박스도어락(308)으로 정의한다.
상기 잠금부(525)는 상기 제 1 외부박스도어(521)의 측면에 배치되고,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26)는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522)의 측면에 배치되고,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잠금부(525)(526)는 상기 시큐리티어셈블리(300)의 측면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잠금부(525)(526)는 제 1 외부박스도어(521) 및 제 1 내부박스도어(522)의 우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25)(226) 및 잠금부(525)(526)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각 잠금부(525)(526)는 각 외부박스도어락(307)(308)과 전후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박스(511)에는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54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한 제 1 내부박스도어락(1305)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락(1305)은 상기 제 1 내측개구부(504-1) 주변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내측개구부(504-1)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락(1305)은 상기 제 1 내측개구부(504-1)를 기준으로 박스힌지(55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락(1305)의 데트볼트는 상기 제 1 내측개구부(504-1)로 돌출된다. 제 1 내부박스도어락(1305)은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541)와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541)의 후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잠금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락(1305)의 데드볼트는 상기 제 1 내부박스도어(541)의 잠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박스(512)에는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542)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한 제 2 내부박스도어락(1306)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락(1306)은 상기 제 2 내측개구부(504-2) 주변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내측개구부(504-2)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락(1306)은 상기 제 2 내측개구부(504-2)를 기준으로 박스힌지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락(1306)의 데드볼트는 상기 제 2 내측개구부(504-2)로 돌출된다. 제 2 내부박스도어락(1306)은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542)와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542)의 후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잠금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락(1306)의 데드볼트는 상기 제 2 내부박스도어(542)의 잠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 : 제 1 공간 102 : 제 2 공간
100 : 출입게이트 200 : 딜리버리게이트
300 : 시큐리티어셈블리 400 : 핸들
500 : 스토리지박스 600 : 의류처리장치
700 : 인증장치

Claims (21)

  1.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출입도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처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1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1 박스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2 박스개구부를 포함하는 컨디셔닝박스;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컨디셔닝도어; 및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2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컨디셔닝도어;를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 및 제 2 컨디셔닝도어는 교차하게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는 상기 제 2 공간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 및 출입도어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박스도어락;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디셔닝박스 및 출입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시큐리티패널;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제 1 박스도어락;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가 배치되는 박스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락은 상기 박스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스마트게이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호걸림을 통해 상기 출입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출입도어락;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출입도어가 배치되는 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도어락은 상기 도어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출입도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스마트게이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컨디셔닝박스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박스도어락;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박스도어락;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박스도어락이 배치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처리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 및 처리챔버를 연결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공기가 토출되는 에어아웃릿;
    상기 처리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 및 처리챔버를 연결시키고, 상기 처리챔버의 공기가 흡입되는 에어인릿;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에어아웃릿에 제공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물을 저장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의 하측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에 의해 커버되는 스마트게이트.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박스도어락이 배치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설치부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드레인탱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탱크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의 하측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탱크는 상기 제 2 컨디셔닝도어에 의해 커버되는 스마트게이트.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박스도어락이 배치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탱크는 상기 설치부에 배치된 스마트게이트.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배치된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탱크는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스마트게이트.
  21. 구조물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공간 및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공간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출입도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처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1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1 박스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챔버 및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2 박스개구부를 포함하는 컨디셔닝박스;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컨디셔닝도어;
    상기 컨디셔닝박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제 2 박스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2 컨디셔닝도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디셔닝박스 및 출입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시큐리티패널;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제 1 컨디셔닝도어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제 1 박스도어락;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호걸림을 통해 상기 출입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출입도어락;
    상기 시큐리티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박스도어락 및 출입도어락을 제어하는 인증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게이트.
KR1020200027358A 2020-03-04 2020-03-04 스마트게이트 KR20210112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58A KR20210112152A (ko) 2020-03-04 2020-03-04 스마트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58A KR20210112152A (ko) 2020-03-04 2020-03-04 스마트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52A true KR20210112152A (ko) 2021-09-14

Family

ID=7777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358A KR20210112152A (ko) 2020-03-04 2020-03-04 스마트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1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47Y1 (ko) 2004-04-30 2004-07-27 김종만 식품 수취용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47Y1 (ko) 2004-04-30 2004-07-27 김종만 식품 수취용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9878A1 (en) Smart entryway
US20210207431A1 (en) Smart entryway
KR20220005270A (ko) 스마트 게이트
EP3845732A1 (en) Smart entryway
EP3845733A1 (en) Smart entryway
KR20210112152A (ko) 스마트게이트
KR20210087313A (ko) 스마트게이트
CN215565505U (zh) 智能门
KR20210087158A (ko) 현관용 물품 보관 시스템
KR20220005268A (ko) 스마트 게이트
KR20210087311A (ko) 스마트게이트
KR20210087310A (ko) 스마트게이트
KR20210087153A (ko) 현관용 물품 보관 시스템
EP3845842B1 (en) Entrance refrigerator and storage system for house entrance having the same
WO2022180765A1 (ja) 冷蔵機能付き宅配ロッカー
KR20220003345A (ko) 스마트 게이트
KR20220005269A (ko) 스마트 게이트
KR20210026661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20005267A (ko) 스마트 게이트
RU2307224C1 (ru) Пустотелая дверь
KR20210053173A (ko) 냉장고
KR20210087154A (ko) 현관용 물품 보관 시스템
US20220146186A1 (en) Refrigerator for front door
JPH06347157A (ja) 冷却貯蔵庫
JP2023061491A (ja) ロッカー式冷却貯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