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179A -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179A
KR20220004179A KR1020217039560A KR20217039560A KR20220004179A KR 20220004179 A KR20220004179 A KR 20220004179A KR 1020217039560 A KR1020217039560 A KR 1020217039560A KR 20217039560 A KR20217039560 A KR 20217039560A KR 20220004179 A KR20220004179 A KR 2022000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up
terminal device
indication
wak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레이 톄
한 저우
멍 화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according to average transmission signal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필요할 때 웨이크업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하지 못하는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함으로써, 그러한 경우에 의해 야기되는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9년 5월 3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TERMINAL DEVICE WAKEUP METHOD AND APPARATU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366422.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모니터링이 요구될 때에는 웨이크업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슬립 상태(sleep state)에 진입할 수 있도록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 상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다.
보통,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기 전에 웨이크업 표시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고 간주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DRX 사이클의 스케줄링 기회를 놓치고, 이는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을 증가시킨다.
본 출원은 단말 디바이스가 요구될 때 웨이크업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하지 못할 때 야기되는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의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만이 아니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구성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여 후속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기회가 증가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하지 못할 때 야기되는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의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와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 또는 제1 웨이크업 표시와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를 검출하는지에 관계없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시에 기초하여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웨이크업 표시들 중 하나가 검출되지 않을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을 때 디폴트로 웨이크업하지 않는 대신에, 다른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거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하지 않는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피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하지 못할 때 야기되는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의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피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하지 못하는 경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지만,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채널 품질 열화 또는 잘못된 검출 또는 미스 검출로 인해 웨이크업 표시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못하는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이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기 위한 불충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 상의 차단 등으로 인해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할 수 없고 웨이크업하지 못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본 방법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거나,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만을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더라도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디폴트로 웨이크업하지 못하는 경우를 회피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본 방법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 이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디폴트로 웨이크업하지 못하는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본 방법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본 방법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은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은 제1 웨이크업 채널이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이거나,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은 제2 웨이크업 채널이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보다 크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 위치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은 PDCCH이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복조 참조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광대역 복조 참조 신호이다.
복조 참조 신호가 광대역 복조 참조 신호일 때,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공통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의해 점유되는 것보다 크고, 자원 블록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이다. 복조 참조 신호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제2 웨이크업 표시는 기존의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고,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자원 오버헤드들이 감소된다. 또한, 복조 참조 신호는 더 양호한 검출 성능을 제공하고, 검출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와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이한 복조 참조 신호들이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transmission occasion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하고,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와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제1 스크램블링 코드 및 제2 스크램블링 코드가 직교함으로써, 제1 복조 참조 신호 및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간섭없이 직교 멀티플렉싱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복조 참조 신호가 존재하는지에 기초하여 또는 상이한 스크램블링 코드들에 기초하여,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전송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불연속 수신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만이 아니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구성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여 후속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기회가 증가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하지 못할 때 야기되는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의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일정 기간 내에 복수의 제1 웨이크업 표시를 동시에 전송할 필요가 있지만, 이 제1 웨이크업 표시들을 전송하기에 충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이 부족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제2 웨이크업 표시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차단 문제로 인해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이 웨이크업 표시를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동시에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들이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할 수 없는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하고, 그에 의해 일부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있어서의 지연의 가능성을 회피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할 수 있음으로써,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기회를 증가시키고,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할 수 없는 경우를 감소 또는 회피함으로써, 일부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하는데 있어서의 지연의 가능성을 회피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3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3 웨이크업 표시는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중 일부 단말 디바이스들을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나머지 단말 디바이스들을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고,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들에 전송한다.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는 또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것보다 높아서,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 단말 디바이스들은 웨이크업하고,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들은 웨이크업하지 않는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이거나,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 위치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은 PDCCH이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복조 참조 신호이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하고,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와 상이하다.
제2 양태와 관련하면,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불연속 수신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로 웨이크업할 것이고, 이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디폴트로 웨이크업하지 못하는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3 양태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통신 장치는 제3 양태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제6 양태에서의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칩 또는 회로와 같은)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제7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제7 양태에서의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칩 또는 회로와 같은)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제8 양태에 따르면, 칩 시스템이 제공되고, 여기서 칩 시스템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전술한 방법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전송 또는 처리하는 것과 같은, 제3 양태에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단말 디바이스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9 양태에 따르면, 칩 시스템이 제공된다. 칩 시스템은 전술한 방법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전송 또는 처리하는 것과 같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컴퓨터는 제3 양태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컴퓨터는 제3 양태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통신 시스템은 제4 양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5 양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신 시스템은 제6 양태에서의 통신 장치 및 제7 양태에서의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RX 모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표시로 구성된 DRX 모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다음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진보된 롱 텀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5세대(5th-generation, 5G) 모바일 통신 시스템,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시스템, 진보된 머신 타입 통신(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 eMTC) 시스템, 또는 LTE 머신-대-머신(LTE-machine-to-machine, LTE-M)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5G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또한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을 사용하여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 추가로 지칭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추가로 지칭될 수 있다.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air interface resource)은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 코드 자원, 및 공간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으로서 추가로 기술될 수 있고, "복수의"는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무선 통신"은 줄여서 "통신"으로서 추가로 지칭될 수 있고, 용어 "통신"은 "데이터 송신", "신호 송신", "정보 송신", "송신" 등으로서 추가로 기술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송신은 전송 또는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은 업링크 송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은 대안적으로 다운링크 송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먼저 본 출원에서의 몇 가지 개념을 설명한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PDCCH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 정보 및 페이징(paging) 정보의 스케줄링 정보와 같은) 공통 제어 정보 및 (다운링크 자원 할당 표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uplink grant, UL grant), 업링크 전력 제어 파라미터, 및 업링크 재송신 정보와 같은) 사용자 특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는 복수의 포맷(format)을 갖는다. 상이한 DCI 포맷들, 예를 들어, 데이터(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 및 단말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포함함)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슬롯 포맷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및 인터럽트된 송신(interrupted transmission)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가 상이한 제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DCCH의 자원 입도는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이다. 각각의 CCE는 6개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을 포함하고, 각각의 REG는 12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CCE는 72개의 RE를 포함하는 연속 자원 블록이다. 시스템은,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각각의 DCI를 송신하기 위해 1/2/4/8개의 논리적으로 연속적인 CCE들을 할당할 수 있고; 1, 2, 4, 및 8개의 CCE는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 AL), 즉, 하나의 PDCCH 채널을 형성하는 CCE들의 수량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 BD): PDCCH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명령어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DCI 포맷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든 구성된 DCI 포맷을 단말기에 항상 송신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PDCCH를 전송하기 위한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에 대해, PDCCH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 세트도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 PDCCH를 전송하기 위해 시간-주파수 자원들 중 하나만을 선택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PDCCH 포맷 및 전송에 실제로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따라서, PDCCH 상의 검출은 블라인드 검출에 속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특정 DCI를 획득할 것으로 예상한다. 상이한 예측 정보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RNTI)를 사용하여 DCI에 대한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수행한다. CRC 검사가 성공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이 정보가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된다는 것을 알고, DCI에서 운반되는 콘텐츠를 추가로 파싱한다.
PDCCH 후보(PDCCH candidate): PDCCH 후보는 가능한 PDCCH 전송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응하고, 하나의 PDCCH 후보는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 AL) CCE들의 집성에 대응한다. 하나의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에는 복수의 PDCCH 후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제어 영역이 32개의 CCE를 포함하면, CORESET는 집성 레벨이 4인 8개의 PDCCH 후보, 집성 레벨이 8인 4개의 PDCCH 후보, 및 집성 레벨이 16인 2개의 PDCCH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PDCCH 후보들은 중첩하는 CCE 자원들을 가질 수 있다.
검색 공간 세트: 하나의 검색 공간은 UE에 의해 검출되고 동일한 집성 레벨(AL)을 갖는 복수의 PDCCH 후보의 세트에 대응하고, 검색 공간 세트는 하나 이상의 집성 레벨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들의 집성이다. 통신 프로토콜에서, 이용가능한 CCE들은 단말 디바이스의 블라인드 검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2가지 타입의 검색 공간들로 분할되는데, 이들은 각각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및 UE-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이고, 상이한 정보는 상이한 공간들에서 검색된다. 공통 검색 공간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는 주로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 DCI,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의 스케줄링 DCI,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DCI 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사용자는 공통 검색 공간을 검색할 필요가 있다. UE-특정 검색 공간의 경우, 각각의 UE의 검색 시작 포인트는 상이하고, 공간 크기는 AL과 관련된다. CCE 집성 레벨에 대해 검색 공간이 정의되고, 하나의 UE는 복수의 검색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검색을 수행할 때, UE는 일반적으로 PDCCH에 의해 점유된 CCE의 집성 레벨을 알지 못한다. 따라서, UE는 모든 구성 가능성을 시도한다. 검색 공간 세트에 대응하는 집성 레벨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1, 2, 4, 8, 및 16의 집성 레벨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블라인드 검출은 UE 단말기가 대응하는 검색 공간 세트 내의 모든 PDCCH 후보에 대해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디코딩된 비트에 대해 CRC 검사를 수행하는 동작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는 상이한 DCI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대한 상이한 RNTI들을 구성하고,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RNTI들 및 CRC 비트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배타적 OR 마스킹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타겟 RNTI에 기초하여,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디코딩된 DCI에서의 CRC를 검사하여, 검사가 성공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PDCCH를 검출하고, PDCCH 상에서 운반된 DCI가 단말기에 전송될 것으로 간주한다.
유휴 상태(IDLE state): UE가 셀에서 캠핑을 완료한 후에, UE는 "유휴 상태" 또는 "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유휴 상태에서의 UE의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이 확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UE는 RRC 유휴 상태에 있는 UE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접속 상태(CONNECTED state): UE가 후속하여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완료하고 네트워크(기지국)에 대한 RRC 접속을 확립하면, UE는 "접속 상태" 또는 "CONNECTED 상태"에 진입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접속 상태에서의 UE의 RRC 접속이 확립된다. 따라서, UE는 RRC 접속 상태에 있는 UE라고 지칭될 수 있다.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메커니즘: 이 메커니즘은 물리적 계층의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에서 정의된다. DRX 메커니즘은 UE가 특정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C-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되는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일부 시간들(비활성 시간(inactive time)으로서 정의될 수 있음)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에 주기적으로 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PDCCH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을 때(시간은 활성 시간(active time)으로서 정의될 수 있음), UE는 슬립 모드로부터 웨이크업(wake up)하고 이러한 PDCCH들을 모니터링하여, UE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R의 경우, 접속된 DRX 메커니즘(줄여서 C-DRX)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C-RNTI), 구성된 스케줄링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onfigured scheduling RNTI, CS-RNTI), 인터럽션 RNTI(interruption RNTI, INT-RNTI), 슬롯 포맷 표시자 RNTI(slot format indicator RNTI, SFI-RNTI), 반영구적 채널 상태 정보 RNTI(semi-persist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RNTI, SP-CSI-RNTI),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송신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 PUCCH RNTI, TPC-PUCCH-RNTI),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송신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 PUSCH RNTI, TPC-PUSCH-RNTI), 및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송신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 RNTI, TPC-SRS-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가 모니터링될 필요가 없지만, 이러한 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는 활성 시간에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다. NR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정보 RNTI(system information RNTI, SI-RNTI), 페이징 RNTI(paging RNTI, P-RNTI), 랜덤 액세스 RNRI(random access RNTI, RA-RNTI), 및 임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temporary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TC-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의 전송은 C-DRX 메커니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UE의 상태에 기초하여, DRX 메커니즘이 구성되면, DRX 메커니즘은 유휴 상태 DRX(Idle-DRX) 및 접속 상태 DRX(Connected-DRX, 줄여서 C-DRX)로 분할될 수 있다.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cycle): 이 사이클은 DRX 사이클이라고도 지칭되고, DRX 상태에 있는 기본 시간 유닛이다. DRX 사이클의 길이는 DRX 사이클이라고 지칭된다. DRX 사이클은 UE의 거동에 기초하여 외부 활성 시간(비활성 시간이라고도 지칭됨) 및 활성 기간(활성 시간이라고도 지칭됨)으로 분할된다.
활성 시간 외(out of active time)에서의 UE의 상태는 본 출원에서 슬립 상태(sleep, DRX_OFF라고도 지칭됨)라고 지칭될 수 있다. 슬립 상태에 있는 UE는, 구현에 기초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또는 수신기)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같은 통신 컴포넌트들을 디스에이블하도록, 또는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더라도, 비교적 전력 소비가 낮은 일부 모니터링 및 검출 프로세스들만이 수행되어,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및 시스템 메시지와 같은, UE가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일부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비활성 시간에서의 UE가 PDCCH를 통해 하나의 타입의 DCI(예를 들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를 수신하지 않지만, UE가 활성 시간에 있는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PDCCH를 통해 다른 DCI를 수신하고, 다른 물리적 채널(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메시지, 또는 부정 확인응답(negative-acknowledgement, NACK))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NR의 경우, C-DRX 메커니즘에서, 비활성 시간 내의 C-RNTI, CS-RNTI, INT-RNTI, SFI-RNTI, SP-CSI-RNTI, TPC-PUCCH-RNTI, TPC-PUSCH-RNTI, 및 TPC-SRS-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는 모니터링될 필요가 없는 반면, 이 RNTI들을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는 활성 시간 동안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다. NR 시스템의 경우, SI-RNTI, P-RNTI, RA-RNTI, 및 TC-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의 전송은 C-DRX 메커니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활성 기간에서의 UE의 상태는 웨이크업 상태(wake up, DRX_ON이라고도 지칭됨)라고 지칭될 수 있다. DRX 사이클이 활성 시간에 진입할 때, UE는 웨이크업하고 PDCCH를 모니터링 및 수신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웨이크업 상태는 활성 상태라고 지칭된다.
본 출원의 다른 예에서, UE가 활성 시간에 있을 때, UE는 웨이크업하고,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 및 수신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를 수신하거나, 또는 C-RNTI, CS-RNTI, INT-RNTI, SFI-RNTI, SP-CSI-RNTI, TPC-PUCCH-RNTI, TPC-PUSCH-RNTI, 및 TPC-SRS-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를 수신한다.
접속된 DRX 작동 모드에서, UE는 항상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없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의 모니터링을 항상 스킵할 수 없다. UE는 주기적으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가 활성 윈도우에 진입할 수 있게 하고, 후속 기간에서, 전송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이 기간은 DRX 온 듀레이션(on duration)으로 지칭되고, 온 듀레이션 타이머(on duration timer)에 의해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온 듀레이션은 고정된 기간이고,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UE가 PDCCH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간은 활성 시간(또는 활성 기간)이라고 지칭된다. 활성 시간 내에서, UE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를 인에이블하고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한다. 활성 시간은 온 듀레이션을 포함하고, 또한 다른 DRX-관련 타이머(예를 들어, 비활성 타이머(inactivity timer) 및 재송신 타이머(retransmission timer))가 실행되는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가 온 듀레이션이 도달할 때에만 웨이크업하지만, 온 듀레이션이 도달하기 전의 기간 내에 먼저 웨이크업하고,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 시간-주파수 오프셋 동기화를 먼저 수행하여, UE의 시스템의 클록 및 작동 주파수가 장시간 슬립으로 인해 기지국의 클록 및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UE가 하나의 셀로부터 다른 셀로 이동한 후에 시스템 메시지의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 UE는 먼저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 및 업데이트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웨이크업 표시(wake-up indication): DRX 사이클로 구성되는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이다.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가 온 듀레이션(예를 들어, 스케줄링 DCI)에서 UE에 전송될 필요가 있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간주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후속 온 듀레이션에서 UE에 전송될 필요가 있는 DCI(예를 들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가 있다는 것을 UE에 통지하기 위해, 온 듀레이션 전의 비활성 시간에서의 기간 내에 또는 특정 시간에 웨이크업 표시를 UE에 먼저 전송하거나; 또는 UE가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할 필요가 있는지를 UE에 통지하여, UE가 온 듀레이션에서 웨이크업하고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예를 들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모니터링하게 한다. UE가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하면, UE는 온 듀레이션 동안 UE에 전송될 미리 설정된 타입의 DCI가 없다고 간주한다. 예를 들어, UE는 기지국이 온 듀레이션 동안 스케줄링 DCI를 UE에 전송하지 않을 것이고, UE가 온 듀레이션 동안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이라고 간주한다. 대안적으로, UE가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하면, UE는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하지 않을 것이다. 온 듀레이션 타이머가 인에이블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는 대응하는 DRX 사이클에서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를 검출하지 못할 것이다(예를 들어, UE는 스케줄링 DCI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것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DRX 메커니즘이 설명될 때, 예를 들어, UE가 PDCCH를 모니터링하는지가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에서 UE의 단말기 거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UE가 PDCCH를 모니터링하는지는 UE가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하는지를 실제로 지칭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UE가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스케줄링 DCI라고 지칭됨)를 모니터링하는지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타입의 DCI는 C-RNTI, CS-RNTI, INT-RNTI, SFI-RNTI, SP-CSI-RNTI, TPC-PUCCH-RNTI, TPC-PUSCH-RNTI, 및 TPC-SRS-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 시나리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및 단말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 디바이스(1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 디바이스(120)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일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가 기지국인 것이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기지국은 때때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지칭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의 기능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의 명칭들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기에 대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들은 총괄하여 기지국이라고 지칭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에서의 진화된 NodeB(evolved node B, eNB), 5세대(the fifth generation, 5G) 시스템에서의 차세대 노드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 gNB), 송신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 노드, 및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복수의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는 하나의 셀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칩 시스템과 같은,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지국인 예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무선 송수신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육상에 배치될 수 있고, 실내 디바이스, 실외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차량-탑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물에(예를 들어, 선박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공중(예를 들어, 비행기, 열기구 풍선, 또는 위성)에 배치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또한 UE, 액세스 단말기, 단말기, 가입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이동국, 모바일 콘솔,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무선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스마트폰(smartphone),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 차량-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인 항공기, 사물 인터넷 또는 차량 인터넷에서의 단말기, 미래 네트워크에서의 임의의 형태의 단말기, 중계 사용자 장비, 미래의 진화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20)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단말 디바이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단말 디바이스, 산업 제어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자율 주행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원격 의료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스마트 시티(smart city)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홈(smart home)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칩 시스템과 같은,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단말 디바이스이고 단말 디바이스가 UE인 예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및 단말 디바이스(12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와 단말 디바이스(120) 사이의 송신 링크를 사용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신호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부터 단말 디바이스(120)로의 송신 링크는 다운링크(downlink)로 지칭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120)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의 송신 링크는 업링크(uplink)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와 단말 디바이스(120) 사이에 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가 있을 때, 단말 디바이스(120)는 다운링크를 통해 전송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모니터링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의해 전송된 표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항상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은 아니고, 단말 디바이스(120)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교환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120)가 이 경우에 PDCCH를 계속 모니터링하면, 그것은 분명히 많은 전기를 소비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사이클이 접속 상태에 있는 UE에 대해 구성될 수 있어서, 필요한 기간에서만, UE는 수신기(예를 들어, 안테나)가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활성 상태에 진입할 수 있게 하고, 나머지 기간에서는 수신기가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수 없게 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도 2는 DRX 모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사이클은 활성 시간(active time)(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활성 시간은 온 듀레이션과 동일함)과 비활성 시간(inactive time)을 포함한다. UE는 활성 시간에 웨이크업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고, UE는 활성 시간 내에 활성 상태(웨이크업 상태)에 있고, UE는 비활성 시간 내에 비활성 상태(슬립 상태)에 있다. RRC 접속 상태에서의 DRX 작동 메커니즘은 타이머가 DRX 사이클과 결합되는 작동 방식이다. 예를 들어, 접속 상태에서의 온 듀레이션 내에서, UE가 새로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면, UE는 비활성 타이머를 인에이블하고, 다음 기간에서 PDCCH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기간(즉,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 기간)에서, 일단 UE가 PDCCH를 사용하여 UE에 전송된 스케줄링 DCI를 수신하면, UE는 비활성 타이머를 다시 인에이블하고,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기간에서 PDCCH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UE가 UE에 전송된 스케줄링 DCI를 기간 내에 수신하지 않고,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하는 경우, UE는 비활성 시간에 진입하고,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UE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를 구성하지 않을 때, 일정 기간 후에, DRX 사이클은 종료되고, UE는 다음 DRX 사이클에 진입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DRX 사이클의 시작 포인트에서, UE는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다시 인에이블하고, 온 듀레이션(즉, 온 듀레이션 타이머의 작동 기간)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하고, 다운링크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려고 시도한다. 온 듀레이션 타이머의 유효 기간(즉, 온 듀레이션 타이머의 작동 기간) 내에 UE에 전송된 스케줄링 DCI가 검출되지 않으면, UE는 온 듀레이션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 비활성 시간에 재진입한다(즉, 비활성 상태에 재진입한다). UE에 전송되는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스케줄링 DCI가 온 듀레이션 타이머의 유효 기간 내에 수신되는 경우, UE는 스케줄링 DCI의 PDCCH가 위치하는 심볼 이후의 다음 심볼 또는 다음 슬롯(slot)으로부터 시작하는 비활성 타이머를 인에이블하고(또는 PDCCH 상의 블라인드 DCI 검출을 완료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음), 온 듀레이션 타이머 또는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시간 기간 내에 PDCCH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UE가 온 듀레이션 타이머 및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기간 내에, UE에 전송된 스케줄링 DCI를 수신하지 않고,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면, UE는 비활성 시간에 재진입한다. UE에 전송되는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스케줄링 DCI가 온 듀레이션 타이머의 유효 기간 내에 수신되는 경우, UE는 계산을 위해 비활성 타이머를 인에이블하고, 온 듀레이션 타이머 또는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기간 내에 PDCCH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UE가 온 듀레이션 타이머 및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기간 내에, UE에 전송되는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스케줄링 DCI를 다시 수신하는 경우, UE는 비활성 타이머를 다시 인에이블하고, UE가 온 듀레이션 타이머 및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기간 내에, UE에 전송된 스케줄링 DCI를 수신하지 않고,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온 듀레이션 타이머 또는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기간 내에 PDCCH를 여전히 계속 모니터링하고; UE는 비활성 시간에 재진입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비활성 타이머를 다시 인에이블하는 것은 재송신 대신에 초기에 송신된 UE의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DRX 메커니즘에서, UE는 주로 비활성 상태에서 슬립하거나 미리 설정된 타입의 PDCCH의 모니터링을 스킵함으로써 절전을 구현한다. 비활성 시간에서, UE는, 구현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를 디스에이블하고 기저대역 처리 칩 및 메모리를 디스에이블하거나, 또는 수정 발진기 및 클록 등만을 예약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PDCCH 상에서 전송되는 전술한 DCI는 상이한 포맷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UE에 대해 구성된 PDCCH는 복수의 상이한 타입을 가질 수 있다. DRX로 구성된 UE는 활성 시간에만 하나의 타입의 DCI(즉, 미리 설정된 타입의 DCI)만을 검출하고, 비활성 시간에 이 타입의 DCI를 검출하지 못한다. 이러한 타입의 DCI는 C-RNTI, CS-RNTI, INT-RNTI, SFI-RNTI, SP-CSI-RNTI, TPC-PUCCH-RNTI, TPC-PUSCH-RNTI, 및 TPC-SRS-RNTI를 사용하여 마스킹된 DCI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UE가 활성 시간 또는 비활성 시간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다른 DCI를 검출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DRX 메커니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DRX로 구성된 UE가 활성 시간에 UE에 전송된 스케줄링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예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이 타입의 DCI 내의 다른 DCI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든 DRX 사이클에서 활성 시간에 스케줄링 DCI를 UE에 전송하지 않는다. 그러나, UE는 모든 DRX 사이클에서 활성 시간에 PDCCH를 여전히 계속 모니터링할 필요가 여전히 있고, UE에 전송될 스케줄링 DCI가 있는지를 블라인드 검출하려고 계속 시도한다. 이러한 블라인드 검출 동작은 실제로 여전히 UE의 많은 전력 소비를 차지한다. UE의 전력 소비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PDCCH 기반 웨이크업 표시가 DRX 메커니즘에 도입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다음은 웨이크업 표시가 구성되는 DRX 메커니즘에서의 UE의 상태 및 거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PDCCH 기반 웨이크업 표시는 웨이크업 표시가 전송을 위해 PDCCH 상에서 운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 기반 웨이크업 표시는 PDCCH 상에서 운반되는 DCI의 비트 또는 비트 필드 내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2개의 DRX 사이클, 즉 제1 DRX 사이클(310) 및 제2 DRX 사이클(320)을 도시한다.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는 UE가 활성 시간에 들어가기 전이고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PDCCH의 검색 공간은 DRX 사이클에서 비활성 시간에 있거나, 또는 웨이크업 표시의 전송 시간은 대응하는 DRX 사이클의 온 듀레이션의 시작 기간 내에 있다. 네트워크가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활성 시간의 온 듀레이션에서 UE에 전송된 스케줄링 DCI가 UE로의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고려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PDCCH 상에서 웨이크업 표시를 UE에 전송한다. 환언하면, UE가 온 듀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될 필요가 있고, 스케줄링 DCI가 온 듀레이션에서 UE에 전송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온 듀레이션이 도달하기 전에 또는 온 듀레이션의 시작 기간 내에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한다. UE의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표시를 구성하면, UE는 DRX 사이클의 온 듀레이션이 도달하기 전에 또는 온 듀레이션의 시작 기간 내에 미리 설정된 시간-주파수 자원 상에서, PDCCH를 사용하여 전송된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수 있다. UE가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면, UE는 스케줄링 DCI를 검출하기 위해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온 듀레이션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고, 스케줄링 DCI의 표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UE에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제1 DRX 사이클(310)의 온 듀레이션 내에 스케줄링 DCI를 UE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DRX 사이클(310)의 온 듀레이션 전에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한다. 대응하여,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한 후에, UE는 웨이크업하고 제1 DRX 사이클(310)의 온 듀레이션에서 동시에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한다. UE는 PDCCH 상에서 스케줄링 DCI를 블라인드 검출 및 수신하고, 스케줄링 DCI를 수신한 후에 비활성 타이머를 인에이블 또는 다시 인에이블한다. UE가 비활성 타이머의 유효 기간 내에, UE에 전송된 스케줄링 DCI를 수신하지 못하면, UE는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한 후에 비활성 상태에 진입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DRX 사이클(320)의 온 듀레이션 동안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UE를 스케줄링할 필요가 없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DRX 사이클(320)의 온 듀레이션 전에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대응하여, UE가 제2 DRX 사이클(320)의 온 듀레이션 전에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하면, UE는 제2 DRX 사이클(320)의 온 듀레이션 동안 웨이크업하지 않을 수 있는데, 즉, UE는 절전을 달성하기 위해 스케줄링 DCI를 검출할 필요가 없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웨이크업 표시와, 웨이크업 표시가 UE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RX 사이클(또는 DRX 사이클에서의 온 듀레이션) 사이에 연관 관계가 있을 수 있고, 연관 관계는 일대일 대응일 수 있거나, 일대다 또는 다대일 대응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UE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한된 자원들로 인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표시를 UE에 전송할 수 없거나 또는 UE가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하고, UE는 대응하는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따라서, UE는 DRX 사이클의 온 듀레이션에서 웨이크업하고 스케줄링 DCI를 검출하지 못해서, UE가 하나의 DRX 사이클의 스케줄링 기회를 놓치게 하고,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지만, UE에 의한 미스 검출 또는 잘못된 검출과 같은 이유로 인해 UE가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UE는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DRX 사이클의 온 듀레이션에서 웨이크업하지 않는다. 일부 다른 경우들에서, 웨이크업 표시를 UE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 및 다른 목적(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 사용자 그룹 송신 포맷 표시, 전력 제어, 또는 시스템 정보 변경 표시)에 사용되는 PDCCH가 동일한 검색 공간을 공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일한 순간에 웨이크업 표시를 복수의 UE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분한 다운링크 자원들을 갖지 않을 수 있는데, 즉, 차단(blockage)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표시를 UE에 전송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UE는 웨이크업 표시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없고, UE는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DRX 사이클의 온 듀레이션에서 웨이크업하지 못한다.
따라서, 필요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및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의 결과적인 문제를 감소 또는 회피하기 위한,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일 수 있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의 단말 디바이스(120)일 수 있다. 이 방법은 단계들 S410 및 S420을 포함한다.
단계 S4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대응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이다.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라는 것은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복수의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은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데, 즉,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하는데 전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에서 운반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서의 하나 이상의 비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CI에서의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응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웨이크업하고, 제1 웨이크업 표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웨이크업하지 않는다.
일부 가능한 구현들에서,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는 것을 스킵할 수 있다. 대응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하면 웨이크업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하지 못하면 웨이크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대응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가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제어 자원 세트라고도 함) 및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의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에 대응하는 RNTI,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 장비 식별(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UE ID)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응하는데, 즉,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의 웨이크업 표시들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PDCCH 상에서 운반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서의 비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표시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는 하나의 DCI를 포함할 수 있다. DCI에서의 복수의 상이한 비트 위치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상이한 단말기들의 웨이크업 표시들에 대응한다. DCI에서의 복수의 상이한 비트 위치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들과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을 수 있다. DCI에서의 비트 위치 정보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표시(즉, 제1 웨이크업 표시)이다. 환언하면,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DCI를 운반하고, DCI에서의 복수의 상이한 비트 필드 위치들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모든 단말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표시들에 대응하고, DCI에서의 하나의 비트 필드 위치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고, DCI에서의 비트 필드 위치에서 운반되는 정보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일 수 있고,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제1 웨이크업 표시가 표시하는 방식은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될 때" 사용된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간단히 하기 위해, 세부사항들은 여기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의 하나의 DCI 비트 정보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될 때" 존재하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이외에,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DCI에서의, 비트 필드 위치를 추가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서의 비트 필드 내의 정보일 수 있고,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비트 필드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는 적어도 하나의 DCI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DCI에서의 DCI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들이다. DCI는 복수의 비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필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모든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복수의 비트 필드 내의 정보는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복수의 비트 필드에서의 비트 필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복수의 비트 필드들에서의 비트 필드 내의 정보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표시(즉, 제1 웨이크업 표시)이다. 환언하면,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의 DCI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의 웨이크업 표시들을 운반한다. 예를 들어, DCI는 복수의 비트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의 비트 필드 내의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대응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가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의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DCI에 대응하는 RNTI,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UE ID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또한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를 단말기들의 제1 그룹에 대응하는 DCI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이다.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라는 것은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즉, 제1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거나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2, 3, 20, 또는 100개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 또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있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 또는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공통 웨이크업 표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형태의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있다.
예를 들어,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응하는데, 즉,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의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보다 클 수 있고, 제2 웨이크업 채널은 제2 웨이크업 표시, 및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있고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와 상이한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과 동일할 수 있고, 이것은 제2 웨이크업 표시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라는 것과 동등하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 웨이크업할 것인지 또는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채널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하기 위해 특별히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일 때, 제2 웨이크업 표시는 PDCCH 상에서 운반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서의 비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DCI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의 그룹 ID를 운반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의 그룹 ID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다. 구성된 그룹 ID를 사용하여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는 DCI에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데, 즉,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공유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 또는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대응하여,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채널 PDCCH가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채널 PDCCH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의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의 그룹 ID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일 수 있다.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단말 디바이스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인지 또는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제1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 또는 다른 절전 표시 신호일 수 있다.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복조 참조 신호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웨이크업 신호로 구성되지 않은 단말기에 의해 사용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복조 참조 신호를 검출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복조 참조 신호만을 검출하고 제1 복조 참조 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웨이크업 표시로 구성되지 않은 이러한 UE들을 지원하여 블라인드 PDCCH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웨이크업 표시로 구성되지 않은 다른 UE들에 의해 제2 복조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복조 참조 신호 및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상이한 스크램블링 코드들을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고, 제1 스크램블링 코드와 제2 스크램블링 코드는 상이하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스크램블링 코드에 기초하여, 제1 복조 참조 신호 또는 제2 복조 참조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결정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광대역 복조 참조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신호는 또한 복조 참조 신호에서의 제1 시퀀스일 수 있고, 복조 참조 신호에 포함되는 기존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복조 참조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시퀀스를 사용하여 복조 참조 신호를 전송한 것을 제1 단말 디바이스가 검출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수신되었다고 고려할 수 있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웨이크업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시퀀스를 사용하여 복조 참조 신호를 전송한 것을 제1 단말 디바이스가 검출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고려할 수 있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웨이크업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대응하여,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시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절대 송신 이유, 또는 제1 웨이크업 표시에 대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시간 간격 또는 상대적 송신 이유, 또는 DRX 사이클의 온 듀레이션 시작 포인트에 대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상대적 송신 이유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는 시간 도메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복조 참조 신호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제2 웨이크업 표시가 기존의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을 재사용하고,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자원 오버헤드들이 감소된다. 또한,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대역폭이 비교적 크고, 검출 성능이 더 양호하고, 검출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보다 더 클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의 하나의 DCI에 포함되고, DCI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의 웨이크업 표시들에 대응한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의 하나의 DCI에 포함되고, DCI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의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한다.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DCI에 의해 서빙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DCI에 의해 서빙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일 수 있다.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은 제1 웨이크업 채널이고,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은 제2 웨이크업 채널인데, 즉, 제1 웨이크업 채널과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PDCCH들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은 PDCCH이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복조 참조 신호이다.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은 제1 웨이크업 채널인데, 즉, 제1 웨이크업 채널은 PDCCH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복조 참조 신호들일 수 있지만,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이한 복조 참조 신호들이다.
본 출원의 구현 동안,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제1 웨이크업 표시와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DRX 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된다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불연속 수신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된다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RX 사이클은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포함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 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활성 시간에 진입할 필요가 있는지(예를 들어,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는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 상에서 운반된다. 웨이크업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하기 위해 활성 시간에 진입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가 활성 시간에 진입하기 위해 DRX 사이클에서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예로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활성 시간 내에 스케줄링 DCI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RX 사이클에서의 활성 시간은 온 듀레이션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유효 기간 및 가능한 비활성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유효 기간을 포함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온 듀레이션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유효 기간 내에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온 듀레이션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유효 기간 내에,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된다.
제1 웨이크업 표시는, 복수의 방식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제1 웨이크업 표시는 복수의 방식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인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운반한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는 것(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비트가 0으로 설정되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없다는 것(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는 것을 스킵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그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과 동등하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지 않으면, 그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그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동등하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는 것을 스킵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고,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전송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는 전송된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지 않으면, 그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그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동등하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면, 그것은 특정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는 것(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비트가 0으로 설정되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없다는 것(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되는 방식은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방식과 유사하다. 세부사항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환언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우선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응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대응하는 웨이크업 표시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대응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황에 기초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대응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한 후에 복수의 결과가 있을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된다는 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사용되는데, 구체적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의 활성 시간에 웨이크업하고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하는 것을 표시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의 온 듀레이션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유효 기간 내에 웨이크업하고,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에서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만을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표시 내의 정보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음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대응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로 웨이크업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의 DCI에서의 비트 정보이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비트 정보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의 DCI에서의 비트 필드 정보일 수 있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비트 필드 정보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는 것을 스킵함으로써,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대응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웨이크업하고,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웨이크업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만을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고,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시간-주파수 위치의 형태에 대해서는, 단계 S410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먼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한 다음,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먼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한 다음,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단말기에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웨이크업 표시만을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웨이크업 표시만을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검출을 놓치거나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잘못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추가로 검출하고,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는 경우가 감소되거나 회피되어,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이 증가하는 가능한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한다.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내의 다른 단말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한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과 동등하다. 따라서, 제1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이라고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내의 다른 단말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한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과 동등하다. 따라서, 제1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또한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내의 다른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고, 다른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예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제3 웨이크업 표시는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인데, 즉, 제3 웨이크업 표시는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웨이크업 표시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대응하여, 제2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한다. 전술한 프로세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전술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설명되지 않는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 및 제2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2 단말 디바이스에만 전송할 수 있고,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2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 및 제3 웨이크업 표시를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3 웨이크업 표시는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제3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거나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면, 제2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면, 제2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제2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고,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제2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검출된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하지 않고,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검출된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3 웨이크업 표시가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검출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고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 및 제2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제2 단말 디바이스는, 제2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3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된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일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모든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때,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에,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표시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표시는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N개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는 반면, N개의 단말 디바이스 내의 M개의 단말 디바이스는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N개의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M개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M개의 웨이크업 표시를 M개의 단말 디바이스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M개의 웨이크업 표시는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이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각각 표시한다. 대응하여, M개의 단말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 자체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를 검출할 수 있고, M개의 단말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환언하면, M개의 단말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사용되는 제2 웨이크업 표시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내의 일부 단말 디바이스들에 대한 대응하는 웨이크업 표시들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모든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고,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차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추가로 웨이크업하기 위해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 단말 디바이스 및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웨이크업 표시에 대해 우선순위가 구성되어, 단말 디바이스는,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웨이크업할 단말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를 회피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로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만 전송할 수 있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웨이크업 표시이고,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과 동등하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기에 충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차단이 발생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표시만을 전송하여, 제2 웨이크업 표시로 구성된 모든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구성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셀 내의 모든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 또는 셀 내의 모든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 차단 문제로 인해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웨이크업 표시들이 전송될 수 없는 경우를 해결할 수 있고, 그로써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게 웨이크업하라고 요청하지만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는 경우를 회피하고, 그로써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이 증가하는 가능한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하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채널 품질 열화로 인한 미스 검출에 의해 야기되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기지국이 PDCCH 자원 차단으로 인해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그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수 없고 전술한 이유들로 스케줄링 DCI를 수신할 수 없을 가능성을 회피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야기되는, 일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지연의 가능성을 회피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일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의 단말 디바이스(120)일 수 있다. 도 4는 여전히 예로서 사용된다.
단계 S4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1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들은 다음의 동작들로 대체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대응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420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은 다음과 같은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한다.
즉,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로 웨이크업할 것이고, 이것은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지만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디폴트로 웨이크업하지 못하는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한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에 포함되고,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의 DCI의 복수의 비트 필드 정보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표시들에 대응한다.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DCI를 검출한 후,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각각은 대응하는 비트 필드에서 단말 디바이스 자체의 웨이크업 표시를 획득하고, 여기서 하나의 비트 필드 정보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웨이크업 표시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CI를 검출하지 못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획득할 수 없다. 이 경우,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DRX 사이클의 스케줄링 기회를 놓칠 때 야기되는 데이터 수신 및 전송 지연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디폴트로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전술한 정보 이외에,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웨이크업 표시의 형태,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간단히 하기 위해, 세부사항들은 여기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일부 특정 비제한적인 예들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채널은 PDCCH이고,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운반되는 DCI의 비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DCI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용인 DCI이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2 웨이크업 채널은 PDCCH이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웨이크업 표시인데, 즉,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적용되는 UE 범위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이고,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공유한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의 DCI에 위치할 수 있고, DCI에서의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는 제2 웨이크업 채널 PDCCH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에 있는 DCI는 UE-특정 웨이크업 신호(UE-specific wakeup signal, UE-특정 WUS)라고 지칭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2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에 있는 DCI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common wakeup signal, 공통 WUS)라고 지칭된다. 즉,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는 DCI의 하나의 타입이고,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또한 DCI의 하나의 타입이고,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UE-특정 웨이크업 신호의 DCI와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DCI는 동일한 DCI 포맷을 사용하고, UE-특정 웨이크업 신호와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 상이한 RNTI들 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들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DRX 모드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를 구성하는 것 이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추가로 구성한다.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이고,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인지만 표시할 수 있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웨이크업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그룹-기반 웨이크업 신호일 수 있는데, 즉,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이다.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공통 웨이크업 신호만을 검출할 때,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웨이크업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에 기초하는 웨이크업 신호일 수 있는데, 즉,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이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만이 모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될 때,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모든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와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데, 즉, UE-특정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와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UE-특정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적어도 다음의 내용: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의 구성 정보, 및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UE-특정 웨이크업 신호가 위치하는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특정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UE-특정 웨이크업 채널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단말 디바이스의 RNTI를 추가로 포함한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적어도 다음의 내용: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의 구성 정보,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가 위치하는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공통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기 위한 DCI에 대응하는 공통 C-RNTI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와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들 사이의 시간 관계(UE-특정 웨이크업 신호와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도 5 내지 도 7에서의 예들로서 개별적으로 사용됨)는 단지 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상이한 송신 이유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대안적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 각각의 전송 시간은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의 전송 시간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 추가로 유의해야 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웨이크업 신호와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웨이크업 신호와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DRX 사이클의 온 듀레이션의 비활성 시간 또는 시작 기간 내에, 제1 단말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DRX 사이클에서 온 듀레이션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유효 기간(즉, 온 듀레이션) 내에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고,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제1 단말기가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만을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지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만을 검출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UE-특정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온 듀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추가로 검출하거나,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하기로 결정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슬립 상태 또는 비활성 시간을 계속 유지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UE-특정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온 듀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추가로 검출하거나,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하기로 결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한 후에,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온 듀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한다. PDCCH 상의 블라인드 검출이 완료된 후,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스케줄링 DCI가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된다고 검출하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비활성 타이머를 인에이블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UE-특정 웨이크업 신호가 표시하는 경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공통 웨이크업 신호가 표시하더라도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웨이크업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통 웨이크업 신호만을 전송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지만, 제1 단말 디바이스가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가 공통 웨이크업 신호만을 검출할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하고, 온 듀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하거나, 온 듀레이션 타이머를 인에이블하기로 결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및 검출 프로세스는 도 5의 관련 설명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간단히 하기 위해,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거나,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때, 제1 단말 디바이스는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도 공통 웨이크업 신호도 검출하지 못하고,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로 웨이크업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온 듀레이션에서 웨이크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UE-특정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UE가, 공통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UE가 온 듀레이션에서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공통 웨이크업 신호가 설정되고, 그에 의해 UE에 대한 채널 품질 열화 또는 차단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일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지연의 가능성을 회피한다.
다른 예로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채널은 PDCCH이고,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에서 운반되는 DCI의 1 비트 필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DCI는 복수의 비트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비트 필드에 관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UE-특정 웨이크업 표시이다.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DCI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응하는 DCI이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2 웨이크업 채널은 PDCCH이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의 웨이크업 표시인데, 즉,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적용되는 UE 범위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고,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공유한다.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의 하나의 DCI에 위치할 수 있고, DCI에서의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는 제2 웨이크업 채널 PDCCH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에 있고 또한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는 그룹 웨이크업 신호(group wakeup signal, 그룹 WUS)라고 지칭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2 웨이크업 채널 PDCCH 상에 있고 또한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common wakeup signal, 공통 WUS)라고 지칭된다. 즉, 그룹 웨이크업 신호는 DCI의 하나의 타입이고, DCI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UE-특정 웨이크업 표시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UE-특정 웨이크업 표시는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또한 DCI의 한 타입이고,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DRX 모드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그룹 웨이크업 신호를 구성하는 것 이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추가로 구성한다. 그룹 웨이크업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인지를 개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을 웨이크업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보다 더 클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와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데, 즉, 그룹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와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그룹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적어도 다음의 내용: 그룹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의 구성 정보, 및 그룹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그룹 웨이크업 신호가 위치하는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룹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응하는 RNTI를 추가로 포함한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적어도 다음의 내용: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의 구성 정보, 및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공통 웨이크업 신호가 위치하는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응하는 RNTI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그룹 웨이크업 신호의 전송 시간은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전송 시간과 동일할 수 있거나 상이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그룹 웨이크업 신호와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그룹 웨이크업 신호와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그룹 웨이크업 신호(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전송 시간은 그룹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의 전송 시간과 동일할 수 있거나 상이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그룹 웨이크업 신호(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 및 그룹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그룹 웨이크업 신호(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 및 그룹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전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그룹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단말 디바이스의 검출 결과 및 대응하는 거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UE-특정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공통 웨이크업 신호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경우에서의 것들과 유사하다. 세부사항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그룹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UE가, 공통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UE가 온 듀레이션에서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공통 웨이크업 신호가 설정되고, 그에 의해 UE에 대한 채널 품질 열화 또는 차단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일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지연의 가능성을 회피한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웨이크업 채널(예를 들어, PDCCH) 상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웨이크업 신호는 복조 참조 신호이고, 즉,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복조 참조 신호(예를 들어, 광대역 DMRS)이다.
복조 참조 신호가 DCI의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될 때,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공통 DCI에 의해 점유되는 것보다 훨씬 더 크고, 자원 블록 RB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이다. 따라서, 복조 참조 신호에 의해, UE는 매끄러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더 양호한 검출 성능을 갖는다.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기 위해 복조 참조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연하고, 차단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는데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와 웨이크업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복조 참조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는데 사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는 제1 복조 참조 신호로서 표시되고, 웨이크업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복조 참조 신호로서 표시된다. 제1 복조 참조 신호 및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상이한 스크램블링 코드들을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스크램블링 코드들에 기초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복조 참조 신호 또는 제2 복조 참조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단말 디바이스는 복조 참조 신호가 존재하는지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수신된 에너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웨이크업 신호로 구성되지 않은 단말기에 의해 사용된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복조 참조 신호를 검출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제2 복조 참조 신호만을 검출하고 제1 복조 참조 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블라인드 PDCCH 검출을 수행할 시에 웨이크업 표시로 구성되지 않은 이러한 UE들을 지원하기 위해, 웨이크업 표시로 구성되지 않은 다른 UE들에 의해 제2 복조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복조 참조 신호 및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상이한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제1 시퀀스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시퀀스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1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상이한 시퀀스들에 기초하여,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사용된 제1 복조 참조 신호 또는 웨이크업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채널 추정에 사용된 제2 복조 참조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 예를 들어, 시간 도메인에서의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절대 송신 이유 또는 제1 웨이크업 표시에 대한 상대적 송신 이유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2 스크램블링 코드, 제2 시퀀스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현 동안, 제2 웨이크업 표시 및 제1 웨이크업 표시는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그룹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UE가, 공통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UE가 온 듀레이션에서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공통 웨이크업 신호가 설정되고, 그에 의해 UE에 대한 채널 품질 열화 또는 차단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일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지연의 가능성을 회피한다. 또한, 광대역 DMRS가 표시를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공통 웨이크업 신호는 기존의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고, 공통 웨이크업 신호의 자원 오버헤드들이 감소된다. 또한, 광대역 DMRS는 더 양호한 검출 성능을 제공하고, 검출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방법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장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방법 실시예들의 설명들은 장치 실시예들의 설명들에 대응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기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의 단말 디바이스(800)는, 도 1의 단말 디바이스(120)의 특정 예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800)는 송수신기 유닛(810) 및 처리 유닛(820)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8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처리 유닛(820)은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820)이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처리 유닛(820)은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820)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처리 유닛(820)은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820)이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처리 유닛(820)은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이거나,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은 PDCCH이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복조 참조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하고,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와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가 불연속 수신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의 통신 장치(900)는 도 1의 단말 디바이스(120)의 특정 예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통신 장치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 내의 장치일 수 있거나, 사용을 위해 단말 디바이스와 매칭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900)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20)는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수신된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수신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사항들에 대해서는, 방법 예들에서의 상세한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20)의 기능들은 처리 유닛(820)의 기능들과 동일하다.
통신 장치(900)는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10)는 프로세서(920)에 결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결합들은 장치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 사이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이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장치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와 협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장치(900)는, 통신 장치(900) 내의 장치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9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수신기, 회로, 버스, 모듈, 핀, 또는 다른 타입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900)는 단말 디바이스이고, 다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프로세서(920)는 통신 인터페이스(93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하고, 도 4 내지 도 7에 대응하는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930), 프로세서(920), 및 메모리(910) 사이의 특정 접속 매체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910), 프로세서(920), 및 통신 인터페이스(930)는 도 9의 버스(940)를 사용하여 접속된다. 버스는 도 9에서 굵은 선을 사용하여 표현된다. 다른 컴포넌트들의 접속 방식은 단지 개략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는 주변 컴포넌트 인터커넥트(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단지 하나의 굵은 선이 도 9에서 버스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것은 단지 하나의 버스 또는 단지 하나의 타입의 버스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는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특정 예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는 송수신기 유닛(1010)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1010)은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여기서
송수신기 유닛(1010)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유닛은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송수신기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송수신기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송수신기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송수신기 유닛(1010)은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송수신기 유닛(1010)은 제3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3 웨이크업 표시는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이거나, 또는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채널은 PDCCH이고,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복조 참조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송신 이유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하고,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와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단말 디바이스가 불연속 수신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의 통신 장치(1100)는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특정 예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통신 장치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장치일 수 있거나, 사용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매칭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0)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20)를 포함한다. 세부사항들에 대해서는, 방법 예들에서의 상세한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통신 장치(1100)는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10)는 프로세서(1120)에 결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결합들은 장치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 사이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이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장치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와 협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0)는, 통신 장치(1100) 내의 장치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수신기, 회로, 버스, 모듈, 핀, 또는 다른 타입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0)는 단말 디바이스이고, 다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프로세서(1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3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하고, 도 4 내지 도 7에 대응하는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30), 프로세서(1120), 및 메모리(1110) 사이의 특정 접속 매체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1110), 프로세서(1120), 및 통신 인터페이스(1130)는 도 11의 버스(1140)를 사용하여 접속된다. 버스는 도 11에서 굵은 선을 사용하여 표현된다. 다른 컴포넌트들의 접속 방식은 단지 개략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는 주변 컴포넌트 인터커넥트(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단지 하나의 굵은 선이 도 11에서 버스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것은 단지 하나의 버스 또는 단지 하나의 타입의 버스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예들과 연계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적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해결책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좌우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되는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된 몇가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단순히 논리적 기능 분할이고 실제의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일부 피처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또는 논의되는 상호 결합들 또는 직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기타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별개의 부분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도 있고, 한 위치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기능적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 내로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 각각은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 내로 통합된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이용될 때,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이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필수적으로, 또는 현재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퍼스널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여러 표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현들이지,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종속될 것이다.

Claims (108)

  1.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으로서,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이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8.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이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3.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으로서,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도록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서의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은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운반하고, 상기 제1 DCI는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 중 하나 이상의 제1 비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트 중 하나의 제1 비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1.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도록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서의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은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운반하고, 상기 제1 DCI는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 중 하나 이상의 제1 비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트 중 하나의 제1 비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7.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으로서,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웨이크업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1.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웨이크업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3.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 이상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보다 클 때,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에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와 상이한 다른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웨이크업 표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5.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6.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은 PDCCH이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복조 참조 신호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상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상기 제2 스크램블링 코드와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8.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채널일 때,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운반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복수의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 필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과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고, 상기 복수의 비트 필드에서의 제1 비트 필드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 장비 식별,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의 사용자 장비 식별들,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1.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4. 제41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3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3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5.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6. 제4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 이상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보다 클 때,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에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와 상이한 다른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웨이크업 표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8.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49.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은 PDCCH이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복조 참조 신호인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상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상기 제2 스크램블링 코드와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51.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채널일 때,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운반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복수의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 필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과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고, 상기 복수의 비트 필드에서의 제1 비트 필드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52. 제48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 장비 식별,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의 사용자 장비 식별들,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웨이크업 방법.
  54. 단말 디바이스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이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5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57.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인 단말 디바이스.
  58. 제54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59. 제5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60. 제54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6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이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이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63. 제61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4.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5. 제61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6. 단말 디바이스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도록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69. 제66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인 단말 디바이스.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71.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서의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72. 제39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은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운반하고, 상기 제1 DCI는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 중 하나 이상의 제1 비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트 중 하나의 제1 비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는 단말 디바이스.
  74.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도록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제1 웨이크업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7. 제75항 또는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서의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8.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은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운반하고, 상기 제1 DCI는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 중 하나 이상의 제1 비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트 중 하나의 제1 비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0. 단말 디바이스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만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82. 제80항 또는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83. 제8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84. 제8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85. 제80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는 단말 디바이스.
  86. 제80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 이상인 단말 디바이스.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보다 클 때,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에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와 상이한 다른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웨이크업 표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88. 제80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인 단말 디바이스.
  89. 제80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은 PDCCH이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복조 참조 신호인 단말 디바이스.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상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상기 제2 스크램블링 코드와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
  91.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채널일 때,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운반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복수의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 필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과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고, 상기 복수의 비트 필드에서의 제1 비트 필드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
  92. 제88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 장비 식별,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의 사용자 장비 식별들,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93.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94.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 및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6.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7. 제94항 또는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하지 않을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제3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를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2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8. 제94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9. 제94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에 대한 제2 웨이크업 채널 상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 이상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량이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수량보다 클 때,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은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2 그룹 내에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와 상이한 다른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웨이크업 표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1. 제94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 둘 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들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102. 제94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가 위치하는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은 PDCCH이고,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는 제1 복조 참조 신호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조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제2 복조 참조 신호는 제2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되고, 상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상기 제2 스크램블링 코드와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104.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채널일 때,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 상에서 운반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복수의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 필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과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고, 상기 복수의 비트 필드에서의 제1 비트 필드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5. 제101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상기 제1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에 대한 DCI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 장비 식별, 상기 제1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들의 제1 그룹의 사용자 장비 식별들, 및 상기 제1 웨이크업 표시의 비트 필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표시의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웨이크업 채널의 검색 공간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7. 통신 장치로서,
    메모리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내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통신 장치.
  108.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제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39560A 2019-05-03 2020-04-30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KR20220004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66422.3A CN111885682A (zh) 2019-05-03 2019-05-03 唤醒终端设备的方法、装置、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201910366422.3 2019-05-03
PCT/CN2020/088452 WO2020224552A1 (zh) 2019-05-03 2020-04-30 唤醒终端设备的方法、装置、网络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179A true KR20220004179A (ko) 2022-01-11

Family

ID=7305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560A KR20220004179A (ko) 2019-05-03 2020-04-30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60986A1 (ko)
EP (1) EP3965479A4 (ko)
JP (2) JP2022531681A (ko)
KR (1) KR20220004179A (ko)
CN (1) CN111885682A (ko)
BR (1) BR112021022080A2 (ko)
WO (1) WO2020224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5417A (zh) * 2019-07-05 2022-02-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进入睡眠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
JP7379650B2 (ja) * 2019-07-10 2023-11-1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起動信号に関連する誤検出の回避
US20210360732A1 (en) * 2020-05-18 2021-11-18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downlink channel monitoring
CN115278720A (zh) * 2021-04-30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321367A (zh) * 2021-12-20 2023-06-2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装置
WO2023232029A1 (zh) * 2022-06-02 2023-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4040441A1 (en) * 2022-08-23 2024-02-29 Nec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medium for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319A1 (en) * 2011-04-29 2012-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ceiving messages in connection with lte wakeup
US9883473B2 (en) * 2015-10-19 2018-01-30 Intel IP Corporation Conveying information to bandwidth limited device
EP3603268A4 (en) * 2017-03-24 2020-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PLANNING AND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64170B2 (en) * 2017-05-04 2023-01-24 Ipla Holdings Inc. Wake up signals operation
KR102470439B1 (ko) * 2017-05-05 2022-11-25 소니그룹주식회사 단말 디바이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들
CN109219113B (zh) * 2017-07-05 2020-07-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盲检测方法、信号发送方法、相关设备和系统
US10820299B2 (en) * 2017-11-13 2020-10-27 Qualcomm Incorporated Radio resource management configuration for user equipment with wake-up signal receivers
CN109314869B (zh) * 2018-08-24 2022-04-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非连续接收drx参数的配置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66462A (ja) 2023-11-21
EP3965479A4 (en) 2022-07-20
BR112021022080A2 (pt) 2021-12-28
US20220060986A1 (en) 2022-02-24
WO2020224552A1 (zh) 2020-11-12
CN111885682A (zh) 2020-11-03
JP2022531681A (ja) 2022-07-08
EP3965479A1 (en) 202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5584B2 (en) Power saving operations for communication systems
US11968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CN116095795B (zh) 用于在省电模式中的上行链路发射的方法和装置
US20220060986A1 (en) Terminal device wakeup method and apparatu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08562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ver an unlicensed band in cellular networks
US8681724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in carrier aggreg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9804685B (zh) 采用两步授权的激活时间处理
CN114424482B (zh) 通信方法及装置
WO2012149322A1 (en) Managing group messages for lte wakeup
EP3949542A1 (en) Methods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based wake up signal (wus) configuration
EP395219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408092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199655A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related device
CN113923761A (zh)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905795B1 (en) Pdcch monitoring configuration for a terminal
CN108463000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5136718A (zh) 通信设备和方法
CN114616870B (zh) 非连续接收周期期间的唤醒信令
US20240080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CN111436101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918415A (zh) 用于不连续接收中的电力节省的方法及设备
CN115589627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