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102A - Plk4 억제제 (1r,2s)-(e)-2-(3-(4-((시스-2,6-디메틸모르폴리노)메틸)스티릴)-1h-이미다졸-6-일)-5'-메톡시스피로[시클로프로판-1,3'-인돌린]-2'-온 푸마레이트의 결정 형태 s4 - Google Patents

Plk4 억제제 (1r,2s)-(e)-2-(3-(4-((시스-2,6-디메틸모르폴리노)메틸)스티릴)-1h-이미다졸-6-일)-5'-메톡시스피로[시클로프로판-1,3'-인돌린]-2'-온 푸마레이트의 결정 형태 s4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102A
KR20220004102A KR1020217037777A KR20217037777A KR20220004102A KR 20220004102 A KR20220004102 A KR 20220004102A KR 1020217037777 A KR1020217037777 A KR 1020217037777A KR 20217037777 A KR20217037777 A KR 20217037777A KR 20220004102 A KR20220004102 A KR 2022000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und
fumarate salt
crystalline form
fuma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쩌-완 리
마크 로버트 브레이
Original Assignee
유니버시티 헬스 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시티 헬스 네트워크 filed Critical 유니버시티 헬스 네트워크
Publication of KR2022000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I)의 푸마레이트 염의 결정 형태 S4가 개시된다:
Figure pct00023
.
화합물 (I) 및 푸마르산 사이의 몰비는 1.0:1:0이다. 6.6°, 9.8°, 16.3°, 21.1°, 28.7° 및 30.2° ± 0.2 (2θ)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형태 S4.

Description

PLK4 억제제 (1R,2S)-(E)-2-(3-(4-((시스-2,6-디메틸모르폴리노)메틸)스티릴)-1H-이미다졸-6-일)-5'-메톡시스피로[시클로프로판-1,3'-인돌린]-2'-온 푸마레이트의 결정 형태 S4
관련 출원에 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4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837,858을 우선권 주장한다. 상기 언급된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세린/트레오닌 키나제의 폴로-유사 키나제 (PLK) 패밀리는 적어도 4종의 공지된 구성원: PLK1, PLK2 (Snk로도 공지됨), PLK3 (Fnk 또는 Prk로도 공지됨) 및 PLK4 (Sak로도 공지됨)를 포함한다. PLK4를 억제하는 작용제는 암을 치료하는 잠재력을 갖는다. 다수의 강력한 PLK4 억제제가 미국 특허 번호 8,263,596; 8,481,525; 및 8,481,533 (이들의 전체 교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 개시된 1종의 억제제의 구조는 화합물 (I)로서 하기에 제시된다:
Figure pct00001
결정질이고 달리 제조-규모 생산에 적용가능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이 화합물의 염 형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약물 후보가 안정하고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제약 제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특허 번호 9,884,855는 잠재적인 항암 약물 후보로서 형태 D를 포함하는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여러 결정 형태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번호 9,884,855의 전체 교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1:1"은 푸마르산과 화합물 (I) 사이의 몰비를 지칭한다.
형태 D는, 미국 특허 번호 9,884,85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정질 상태로 제조될 수 있고, 낮은 흡습성을 가지며, 우수한 용해도 및 유리한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 효과적인 항암제이기 때문에 규모-확대를 위해 선택되었다. 그러나, 이후에 대규모 제조 공정에서의 형태 D의 제조는 상이한 결정질 형태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에 이르러, "S4"로 지칭되는 신규 결정 형태는 형태 D의 유익한 특성을 갖고 (예를 들어, 낮은 흡습성 및 우수한 용해도를 갖고 ) , 우수한 약동학적 특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6 및 7 참조). 보다 중요하게는, 이는 형태 D와 연관된 문제를 극복한다. 구체적으로, 형태 S4는 고순도로 우수한 수율로 제조될 수 있고, 규모-확대에 적용가능하다 (실시예 4 및 5 참조).
결과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화합물 (I)과 푸마르산 사이의 몰비가 1:1이고, 푸마레이트 염이 6.6°, 9.8°, 16.3°, 21.1°, 28.7° 및 30.2° ± 0.2 (2θ)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형태 S4를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 (I)의 푸마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화합물 (I)의 1:1 푸마르산 염의 결정 형태 S4,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화합물 (I)의 1:1 푸마르산 염의 결정 형태 S4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푸마르산 및 화합물 (I)을 2-부타논, 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용해 용매 중에 용해시켜 결정화 용액을 형성한 다음, 결정 형태 S4를 결정화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용해 용매 중 화합물 (I)과 푸마르산 사이의 몰비는 약 1:1 내지 약 1:1.3이고; 화합물 (I)의 푸마레이트 염 중 화합물 (I)과 푸마르산 사이의 몰비는 1:1이다. 한 측면에서, 푸마르산 및 화합물 (I)의 용해는 승온에서 일어나고, 결정화 용액으로부터의 결정 형태 S4의 침전은 냉각 및/또는 냉각하면서 메틸시클로헥산의 첨가에 의해 일어난다.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암에 걸린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화합물 (I)의 1:1 푸마르산 염의 형태 S4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암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합물 (I)의 푸마레이트 염의 결정 형태 S4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한,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I)의 푸마르산 염의 결정 형태 S4가 제공된다.
도 1은 100 g 제조로부터의 화합물 (I)의 1:1 푸마르산 염의 결정 형태 S4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 (XRPD)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 5에서의 대규모 제조로부터의 화합물 (I)의 1:1 푸마르산 염의 결정 형태 S4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 (XRPD)을 도시한다.
도 3은 형태 D 및 형태 S4를 투여한 후의 용량-정규화된 노출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은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신규 결정 형태 S4 및 상응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우수한 수율 및 순도로 재현가능하고 확장가능한 방식으로 결정 형태 S4를 제조하는 신규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개시내용은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결정질 형태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적어도 특정 중량 백분율은 단결정 형태이다. 특정한 중량 백분율은 70 %, 72 %, 75 %, 77 %, 80 %, 82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99.5 %, 99.9 %, 또는 70 %-75 %, 75 %-80 %, 80 %-85 %, 85 %-90 %, 90 %-95 %, 95 %-100 %, 70-80 %, 80-90 %, 90-100 %의 중량 백분율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의 적어도 80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90 중량% 또는 99 중량%)가 단결정 형태로 존재한다. 모든 값 및 이들 값과 범위 사이의 범위는 본 개시내용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결정질"은 개별 분자가 고도로 균질한 규칙적 잠금 화학적 배위를 갖는 결정 구조를 갖는 고체를 지칭한다.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 결정질은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단결정 형태의 결정, 또는 상이한 단결정 형태의 결정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단결정 형태는 단결정으로서의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 또는 각각의 결정이 동일한 결정 형태를 갖는 복수의 결정을 의미한다.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특정 중량 백분율이 단결정 형태인 경우, 푸마레이트의 나머지는 무정형 푸마레이트, 및/또는 단결정 형태를 제외한 1:1 화합물 (I) 푸마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결정 형태의 일부 조합이다.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 결정질이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한 특정한 결정 형태의 명시된 백분율로서 정의되는 경우에, 나머지는 명시된 하나 이상의 특정한 형태 이외의 무정형 형태 및/또는 결정 형태로 구성된다. 단결정 형태의 예는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의 형태 S4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30 중량%, 25 중량%, 20 중량%, 10 중량%, 9 중량%, 8 중량%, 7 중량%, 6 중량%, 5 중량%, 4 중량%, 3 중량%, 2 중량%, 1 중량%, 0.5 중량% 미만은 결정 형태 D이다. 샘플 중 형태 D에 대한 형태 S4의 양은 공지된 중량비를 갖는 형태 S4 및 형태 D의 일련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각각에 대한 XRPD 스펙트럼을 수득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샘플 중 형태 S4 내지 형태 D의 상대량은 형태 S4 및 형태 D의 하나 이상의 특징적인 피크를 선택하고 샘플 XRPD에서의 그의 상대 강도를 혼합물 XRPD에서의 그의 상대 강도와 상관시킴으로써 평가된다. 결정 형태 D에 대한 특징적인 XRPD 피크는 미국 특허 번호 9,884,855의 표 4에 제공되어 있다.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은 다른 입체이성질체에 비해 적어도 60 중량%, 70 중량%, 80 중량%, 90 중량%, 99 중량% 또는 99.9 중량%으로 순수하며, 즉 모든 입체이성질체의 중량에 대한 입체이성질체의 중량의 비이다.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 결정질 형태 S4의 제조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고체 형태는, 예를 들어 저속 증발, 저속 냉각 및 역용매 침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개선된 수율 및 순도로 재현가능하고 확장가능한 방식으로 결정 형태 S4를 제조하기 위한 신규 결정화 절차를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역용매"는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이 낮은 용해도를 가져, 푸마레이트 염이 용액으로부터 미세 분말 또는 결정의 형태로 침전되도록 하는 용매를 지칭한다.
대안적으로,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은 시드 결정의 첨가 하에 또는 첨가 없이 적합한 용매로부터 재결정화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결정 형태 S4는 푸마르산 및 화합물 (I)을 2-부타논, 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용해 용매 중에 용해시켜 결정화 용액을 형성한 다음, 결정화 용액으로부터 S4 결정 형태를 침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용해 용매 중 화합물 (I) 및 푸마르 사이의 몰비는 약 1:1 내지 약 1:1.3이고; 화합물 (I)의 푸마레이트 염 중 화합물 (I) 및 푸마르산 사이의 몰비는 1:1이다. 본 실시양태의 한 측면에서, 푸마르산 및 화합물 (I)의 용해는 승온에서 일어나고, 결정화 용액으로부터의 결정 형태 S4의 침전은 냉각 및/또는 냉각하면서 메틸시클로헥산의 첨가에 의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결정 형태 S4는 (i) 화합물 (I)을 승온에서 2-부타논 및 물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켜 화합물 (I)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i) 푸마르산을 승온에서 에탄올 중에 용해시켜 푸마르산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ii) 푸마르산 용액을 승온에서 화합물 (I) 용액에 첨가하여 결정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v) 임의로 시드 결정을 승온에서 결정화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v) 결정화 용액의 온도를 감소시켜 S4 결정 형태를 침전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한 측면에서, 2-부타논과 물 사이의 부피비는 80:20 내지 98:2 (예를 들어, 90:10 내지 98:2)이고, 2-부타논/물 대 에탄올 대 메틸시클로헥산의 부피비는 6-7 대 4-5 대 11-22이고; 승온은 45 ℃ 내지 55 ℃이고; 감온은 20 ℃ 내지 30 ℃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방법은 메틸시클로헥산을 감온에서 결정화 용액에 첨가하여 S4 결정 형태를 침전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특정 측면에서, 감온은 20 ℃ 내지 30 ℃이다. 또 다른 구체적 측면에서, 결정화 용액의 온도를 추가로 감소시켜 S4 결정 형태를 침전시킨다. 보다 구체적인 측면에서, 추가로 감온은 0 ℃ 내지 10 ℃이다.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 단결정 형태 S4의 특징화
한 실시양태에서, 형태 S4는 고도로 결정질인 물질을 나타내는, 2θ에서의 각 피크 위치 및 편평한 기준선에 상응하는 예리한 피크를 갖는 고유한 XRPD 패턴을 나타낸다 (도 1 참조). XRPD 패턴은 40 V/30 mA에서 작동되는 구리 방사선 공급원 (CuKα; λ = 1.54056
Figure pct00002
)으로부터 수득하였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형태 S4는 6.6°, 9.8°, 16.3°, 21.1°, 28.7° 및 30.2°에서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단결정 형태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형태 S4는 6.6°, 9.8°, 16.3°, 21.1°, 28.7°, 29.4° 및 30.2°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형태 S4는 6.6°, 9.8°, 13.0°, 16.3°, 19.5°, 21.1°, 22.5°, 28.7°, 29.4° 및 30.2°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형태 S4는 6.6°, 9.8°, 13.0°, 16.3°, 19.5°, 21.1°, 22.5°, 22.9°, 23.9°, 28.7°, 29.4° 및 30.2°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형태 S4는 6.6°, 9.8°, 11.6°, 13.0°, 16.3°, 17.1°, 19.5°, 21.1°, 21.5°, 22.0°, 22.5°, 22.9°, 23.9°, 24.3°, 28.7°, 29.4° 및 30.2°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형태 S4는 도 1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X선 분말 회절도는 2개의 회절도에서의 신호의 적어도 90 %, 예컨대 적어도 95 %, 적어도 98 %, 또는 적어도 99 %가 2θ에서 동일한 ± 0.2인 경우에 "[특정] 도면에서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것이다. "유사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심지어 동일한 결정질 형태에 대해서도 XRPD 회절도에서 강도 및/또는 신호 위치에 변동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XRPD 회절도에서의 신호 최대 값 (본원에 지칭된 도 2-세타 (°2θ))이 일반적으로 하기 논의된 바와 같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인식되는 분산인 보고된 값의 ±0.2 도 2θ로 보고된 값을 의미함을 이해할 것이다.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에 대해, 각도 피크 위치는 온도 변화, 샘플 변위, 및 내부 표준의 존재 또는 부재와 같은 인자로 인해 약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각 피크 위치의 가변성은 2θ에서 ± 0.2이다. 또한, 주어진 결정 형태에 대한 상대 피크 강도는 XRPD 분석을 위한 샘플 제조에서 결정자 크기 및 비-랜덤 결정자 배향의 차이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가변성은 결정 형태의 명백한 확인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인자를 설명할 것임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치료 방법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제의 폴로 패밀리의 구성원으로서의 PLK4는 세포 유사분열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효소의 소분자 억제제는 잠재적 항암제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PLK4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형태 S4를 투여함으로써, 예컨대 암을 치료하거나 또는 종양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형태 S4는 종양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또는 종양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종양의 성장을 억제한다.
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구체적 암은 폐암, 유방암, 결장암, 뇌암, 신경모세포종, 전립선암, 흑색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난소암, 림프종, 백혈병, 흑색종, 육종, 부신생물, 골육종, 배세포종, 신경교종 및 중피종을 포함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암은 폐암, 유방암, 결장암, 신경모세포종, 전립선암, 흑색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난소암, 림프종, 백혈병, 골육종, 배세포종, 신경교종, 섬유육종, 위장 육종, 섬유성 조직구종, 원형 세포 육종, 활막 육종, 자궁경부암, 항문생식기암, 두경부암 및 구인두암이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암은 폐암, 결장암, 뇌암, 신경모세포종, 전립선암, 흑색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또는 난소암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암은 폐암, 유방암, 결장암, 뇌암, 신경모세포종, 전립선암, 흑색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또는 난소암이다. 또 다른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암은 폐암, 유방암 및 결장암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암은 유방암이다. 또 다른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암은 기저 하위유형 유방암 또는 내강 B 하위유형 유방암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기저 하위유형 유방암은 ER (에스트로겐 수용체), HER2 및 P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 유방암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암은 삼중 음성 유방암이다. 용어 "삼중 음성 유방암"은 ASCO/CAP 임상 실시 가이드라인 (Clinical Practice Guideline)하에 호르몬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및 HER2에 대해 음성으로 시험된 유방암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삼중 음성 유방암은 절제불가능한 또는 전이성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기재된 방법은 췌장암을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췌장암은 선암종이다. 또 다른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췌장암은 저산소성이다. 또 다른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췌장암은 비-저산소성이다.
연부 조직암은 또한 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연부 조직암"은 신체의 임의의 연부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종양을 포괄하는 관련 기술분야에 인식된 용어이다. 이러한 연부 조직은 평활근, 골격근, 힘줄, 섬유성 조직, 지방 조직, 혈액 및 림프관, 혈관주위 조직, 신경, 중간엽 세포 및 활막 조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신체의 다양한 구조 및 기관을 연결, 지지 또는 둘러싼다. 따라서, 연부 조직암은 지방 조직, 근육 조직, 신경 조직, 관절 조직, 혈관, 림프관 및 섬유성 조직의 암일 수 있다. 연부 조직암은 양성 또는 악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악성 연부 조직암은 육종 또는 연부 조직 육종으로 지칭된다. 지방종, 지방모세포종, 하이버노마, 지방육종, 평활근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종, 횡문근육종, 신경섬유종, 슈반세포종 (신경초종), 신경종, 악성 슈반세포종, 신경섬유육종, 신경성 육종, 결절성 건활막염, 활막 육종, 혈관종, 사구체 종양, 혈관주위세포종, 혈관내피종, 혈관육종, 카포시 육종, 림프관종, 섬유종, 엘라스토섬유종, 표재성 섬유종증, 섬유성 조직구종, 섬유육종, 섬유종증,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DFSP),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MFH), 점액종, 과립 세포 종양, 악성 중간엽종, 폐포 연부 육종, 상피양 육종, 투명 세포 육종 및 결합조직형성 소세포 종양을 포함한 많은 유형의 연부 조직 종양이 존재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연부 조직암은 섬유육종, 위장 육종, 평활근육종, 탈분화 지방육종, 다형성 지방육종,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원형 세포 육종 및 활막 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육종이다. 용어 "유효량"은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경우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상체에서 유익한 또는 목적하는 결과, 예컨대 임상 결과를 발생시키는, 예를 들어 암을 억제, 저해 또는 감소시키는 (예를 들어, 임상 증상 또는 암 세포의 양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음) 양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암을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은 암의 성장을 정지시키는 것, 암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 (예를 들어, 종양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 암의 성장 속도를 억제하는 것, 암 (예컨대 조직 또는 혈청 성분)과 연관된 임상 증상 또는 지표를 완화 또는 개선시키는 것 또는 대상체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 및 암의 재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암의 재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은 관해 기간 후에 원발성 부위 및/또는 속발성 부위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암의 복귀를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암이 그의 부재 하에서보다 본원에 기재된 치료로 복귀할 가능성이 더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관해"는 전형적으로 대상체가 항암 요법으로 성공적으로 치료된 후에 암과 연관된 임상 증상 또는 지표가 사라지거나 검출될 수 없는 암의 상태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다양한 인자, 예컨대 주어진 약물 또는 화합물, 제약 제제, 투여 경로, 질환 또는 장애의 유형, 치료될 대상체 또는 숙주의 정체성 (identity)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상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상용 방법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의 유효량은 약 0.01 내지 약 1000 mg/kg 체중, 대안적으로 약 0.05 내지 약 500 mg/kg 체중, 대안적으로 약 0.1 내지 약 100 mg/kg 체중, 대안적으로 약 0.1 내지 약 15 mg/kg 체중, 대안적으로 약 1 내지 약 5 mg/kg 체중, 및 또 다른 대안적으로 약 2 내지 약 3 mg/kg 체중의 범위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 인자가 암을 앓고 있는 대상체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요구되는 투여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들 인자는 질환 또는 장애의 중증도, 이전 치료, 대상체의 전반적 건강 및/또는 연령 및 존재하는 다른 질환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더욱이,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I)의 푸마레이트 염을 사용한 대상체의 "치료" 요법은 단일 투여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일련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은 적어도 1주 1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대상체에게 주어진 치료를 위해 1주에 약 1회 내지 1일 1회 투여될 수 있다. 치료 기간의 길이는 다양한 인자, 예컨대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농도 및 활성, 또는 그의 조합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유효 투여량은 특정한 치료 또는 예방 요법의 과정에 걸쳐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투여량의 변화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표준 진단 검정에 의해 초래되고 명백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만성 투여가 요구될 수 있다.
"대상체"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이지만, 수의학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동물, 예를 들어 반려 동물 (예를 들어, 개, 고양이 등), 가축 (예를 들어, 소, 양, 돼지, 말 등) 및 실험 동물 (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기니 피그 등)일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선택된 투여 경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협측, 설하, 비강, 직장, 패치, 펌프 또는 경피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제약 조성물은 그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정맥내, 복강내, 피하, 근육내, 경상피, 비강, 폐내, 척수강내, 직장 및 국소 투여 방식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는 선택된 기간에 걸친 연속 주입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제약 조성물 및 투여 방법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염 결정 형태 S4는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로 적합하게 제제화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형태 S4,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염의 적어도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중량%)은 결정 형태 S4이다.
본 발명이 교시하는 제약 조성물은 그를 위한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희석제, 예컨대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및 덱스트로스를 임의로 포함한다. 다른 부형제, 예컨대 향미제; 감미제; 및 보존제,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파라벤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보다 완전한 목록은 문헌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5th Ed., Pharmaceutical Press (2005))]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유형의 투여 경로에 적합한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알 것이다. 적합한 제제의 선택 및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절차 및 성분은,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003 - 20th edition) 및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The National Formulary (USP 24 NF19) published in 1999]에 기재되어 있다. 담체,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는 제약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고 그의 수용자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의미에서 "허용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경구 치료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이 교시하는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혼입되고, 섭취가능한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현탁액,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경구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이 교시하는 화합물의 용액은 일반적으로 물 중에서 계면활성제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와 적합하게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분산액은 또한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DMSO 및 알콜 함유 또는 무함유 그의 혼합물 중에서, 및 오일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적인 저장 및 사용 조건 하에, 이들 제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제를 함유한다.
전형적으로, 주사가능한 용도를 위해,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를 위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분말이 적절하다.
비강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이 교시하는 화합물은 에어로졸, 점적제, 겔 및 분말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제는 전형적으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수성 또는 비-수성 용매 중 활성 물질의 용액 또는 미세 현탁액을 포함하고, 통상적으로 밀봉된 용기 내에 멸균 형태로 단일 또는 다중용량으로 존재하며, 이는 아토마이징 (atomizing)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또는 리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밀봉된 용기는 단일 분배 장치, 예컨대 단일 용량 비강 흡입기, 또는 사용 후에 폐기되도록 의도된 계량 밸브가 장착된 에어로졸 분배기일 수 있다. 투여 형태가 에어로졸 분배기를 포함하는 경우, 이는 압축 기체, 예컨대 압축 공기 또는 유기 추진제, 예컨대 플루오로클로로탄화수소일 수 있는 추진제를 함유할 것이다. 에어로졸 투여 형태는 또한 펌프-아토마이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협측 또는 설하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이 교시하는 화합물은 정제, 로젠지 또는 파스틸로서 담체, 예컨대 당, 아카시아, 트라가칸트, 또는 젤라틴 및 글리세린과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직장 투여를 위해,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통상의 좌제 베이스, 예컨대 코코아 버터를 함유하는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며, 이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험
약어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분석 조건
X선 분말 회절 (XRPD):
샘플을 패널리티컬 큐비X-프로 (Panalytical CubiX-Pro) X선 분말 회절계 또는 브루커 (Bruker) D8 어드밴스 (Advance) XRP 회절계 상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 샘플을 규소 제로-리턴 (zero-return) 울트라-마이크로 샘플 홀더 상에 놓았다. 샘플을 40 kV/30 mA에서 작동하는 X선 튜브로 구리 K-알파 X선으로 조사하였다. 샘플을 3 내지 45°범위에 따라 연속 모드로 스캐닝하였다.
브루커 D8 어드밴스 XRP 기기 파라미터: 40 kV/40 mA에서 작동하는 고출력 Cu-타겟을 사용하였다. 2.1°의 PSD 개구로 링크스아이 (Lynxeye)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유기 결정질 화합물에 대한 대표적인 피크가 발생하는 4 - 40° (2σ) 범위에 따라 샘플을 스캐닝하였다.
동적 증기 수착 (DVS):
약 10 mg의 샘플을 DVS 기기로 옮기고, 후속적으로 하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25 ℃에서 대기 습도에 대한 중량 변화를 기록함으로써 흡습성 측정을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5
HPLC에 의한 순도:
샘플의 순도를 HPLC에 의해 결정하였다. HPLC 작동 파라미터는 하기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1: 아세톤에서의 소규모 결정화는 형태 D를 생성하지만, 보다 큰 규모에서는 재현가능하지 않다.
2 g 규모의 화합물 (I) 및 푸마르산을 50-60 ℃에서 아세톤 중에 용해시키는 아세톤 중 여러 소규모 결정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 및 2에서, 화합물 (I) 및 산 용액을 혼합한 후, 증발시켜 용매를 농축시키고, 2-5시간 내에 0 ℃로 냉각시켰다. 형태 D는 시딩 없이 결정화로부터 및 시딩과 함께 결정화로부터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다. 두 실험 모두 형태 D를 생성하였고, 이는 용액 중에서 적어도 17시간 동안 시딩의 존재 및 부재 하에 결정화로부터 안정했다. 실험 3에서, 용매의 농도를 절차로부터 생략하였고, 용액으로부터 고체가 침전되지 않았다. 실험으로부터 형태 D를 수득하기 위해 용매의 농축이 필요하다고 결론내렸다 (표 1).
이어서, 아세톤 중에서의 결정화 절차를 3.5 g까지 확대하고, 총 농축 시간을 약 10시간으로 연장하였다. 이 실험에서, 형태 D는 3시간 동안 농축시킨 후에 형태 S4로 전환되었다.
염 형성 전에 푸마르산 용액을 농축시키는 것을 시도하였다. 푸마르산을 아세톤 중에 용해시킨 후, 산 용액을 8 부피로 농축시켜 푸마르산의 현탁액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화합물 (I)을 아세톤 (32 부피) 중에 용해시키고, 1 % 시드로 55 ℃에서 산 현탁액에 첨가하고, 55 ℃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용액을 5 ℃로 냉각시키고, 16-17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형태 D는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다 (표 2). 그러나, 형태 D 현탁액은 형태 S4로의 전환 전에 2.5시간 미만 동안 50 ℃에서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세톤 중 50-55 ℃에서 형태 S4로의 빠른 전환 때문에, 50-55 ℃에서 유지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결정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같이, 50-55 ℃에서의 유지 시간을 1 그램 및 5 그램 규모의 배치에 대해 10분으로 감소시켰고, 그 후에 온도를 1.5시간에 걸쳐 0 ℃로 냉각시키고, 그 온도에서 16-17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형태 D가 우수한 품질로 수득되었지만, 수율은 각각 63 % 및 65 %로 저하되었다 (표 3). 온도를 24시간 동안 25 ℃로 감소시킨 후 5 ℃로 냉각시키는 실험을 반복하였다. 이 실험은 여전히 우수한 품질로 형태 D를 생성하였지만, 수율 손실은 여전히 약 12 %였다. 또한, 5 ℃로의 추가의 냉각은 손실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을 돕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4).
결정화 수율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로, 냉각 단계 동안 저온 역용매를 첨가하였다. 메틸 t-부틸 에테르 (MTBE)를 역용매로서 선택하고, 1 그램 및 5 그램 양의 화합물 (I)을 사용하여 2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세톤 (34 부피) 중 화합물 (I) 용액을 아세톤 (8 부피) 중 푸마르산 현탁액과 50 ℃ 및 1 % 시드에서 합하고, 0.5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MTBE를 첨가하고, 1.5시간에 걸쳐 0 ℃로 냉각시켰다. 1 그램 샘플을 사용한 결정화는 형태 D를 제공하였지만, 5 그램 배치는 D 및 S4의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어떠한 실험도 만족스러운 수율 (각각 64 % 및 60 %)을 제공하지 않았다 (표 5).
이어서, 결정화 절차를 반복하여, 화합물 (I) 및 푸마르산이 혼합된 온도를 25 ℃ 및 35 ℃로 낮추었다. 형태 D 및 S4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표 6).
표 1. 아세톤 중 예비 결정화 실험의 요약
Figure pct00007
표 2. 아세톤 중 증발 결정화의 규모 확장
Figure pct00008
표 3. 시딩 후 유지 시간의 감소
Figure pct00009
표 4. 25 ℃에서 유지에 의한 결정화 수율의 최적화
Figure pct00010
표 5. 냉각 동안 저온 MTBE의 첨가
Figure pct00011
표 6. 25 ℃ 및 35 ℃에서의 아세톤 중 염 형성
Figure pct00012
실시예 2: 결정화 품질은 출발 물질에 의존한다.
상기 실시예 1의 결과로부터, 50 ℃에서 아세톤 중 염 형성이 형태 D를 합리적인 수율로 전달하는 가장 유망한 절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절차에서, 화합물 (I) 아세톤 용액을 먼저 50 ℃에서 푸마르산 아세톤 현탁액에 충전하여 과포화 아세톤 용액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이 과포화 용액을 시딩하였다. 시딩 후 (냉각 전) 2시간 이하 동안 시스템을 유지시키고; 이어서 시스템을 25 ℃로 냉각시킨 후, 25 ℃에서 밤새 유지하였다. 여과한 후, 케이크를 메틸 t-부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50 ℃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이 절차는 바람직한 형태 D를 >60 %의 수율로 전달할 수 있었다. 제안된 절차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실험을 4 그램 (순도 99.1 %) 및 9 그램 (순도 99.8 %) 규모로 수행하였다. 4 그램 배치를 사용한 실험은 바람직한 형태 D를 전달하였지만, 9 그램 규모를 사용한 실험은 형태 S4를 생성하였다. 두 실험의 규모가 유사하였기 때문에, 결과는 출발 물질의 품질에 의존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표 7).
출발 물질의 품질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상이한 순도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여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8). 실험 4에서, 덜 순수한 화합물 (I)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그러나, 연구 동안 명백한 결정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 5에서, 고순도의 화합물 (I)의 배치를 덜 순수한 물질의 여러 배치와 혼합하고,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시딩 후 결정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지 시간을 50 ℃에서 3시간으로 연장하였지만, 형태 D 및 S4의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실험 6에서, 전형적인 순수한 화합물 (I) 및 화합물 (I) 제조로부터의 모액 (화합물 (I) 합성 단계로부터의 모액)의 혼합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형태 D가 생성되었고 비교적 더 긴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었다.
화합물 (I) 중 잔류 용매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여러 "스파이킹"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9). "스파이킹된" 용매는 합성 단계에서 사용된 용매였다. 또한, 화합물 (I)은 일부 배치에서 무정형이었다. 화합물 (I)의 다형성이 염의 다형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연구하기 위해, 무정형 화합물 (I)로 출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7에서, 3 % MeOH를 시스템에 첨가하고, 50 ℃에서 유지하는 동안 형태 D가 형태 S4로 전환되었다. 실험 8에서, 1 % 메틸 아세테이트를 시스템에 첨가하고, 50 ℃에서 유지하는 동안 형태 D가 형태 S4로 전환되었다. 실험 9에서, 무정형 화합물 (I)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였고, 50 ℃에서 유지하는 동안 형태 D가 형태 S4로 전환되었다.
요약하면, 증발 결정화 절차를 개발하여 형태 D를 수득하였다. 그러나, 절차의 성공은 출발 물질의 순도 및 형태에 매우 의존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약간 상이한 부차적 불순물 또는 순도 수준을 갖는 출발 물질은 상이한 다형체를 생성하였다. 결정화의 성공은 또한 결정화 조건 및 결정화 규모의 사소한 변화에 의존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형태 D 또는 안정한 형태 S4의 형성을 제어하는 중요한 인자는 결정되지 않았다.
표 7. 아세톤 중 제안된 절차의 반복성
Figure pct00013
표 8. 출발 물질의 효과
Figure pct00014
표 9. 출발 물질의 상이한 배치
Figure pct00015
실시예 3: 순수한 형태 D에 대해 의도된 대규모 제조 방법은 형태 D 및 S4의 1:1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1.05 kg의 화합물 (I)을 55-6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5-10 kg의 아세톤에 용해시켜 화합물 (I) 용액을 제조하였다. 35 kg 아세톤에 용해된 0.32 kg 푸마르산의 용액을 60 ℃에서 화합물 (I)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형태 D를 포함하는 3.5 g 시드 결정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2시간 동안 50 ℃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4 kg MTBE를 50 ℃에서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추가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0-25 시간의 기간에 걸쳐 천천히 25 ℃로 냉각시켰다. 다형체 변환은 냉각 공정의 종료시에 검출되었고, 다형체 형태 D 및 S4의 1:1 혼합물이 생성되었다. 이어서, 푸마레이트 염을 수집하고, 3-4 kg MTBE로 2회 세척하고, 여과하고, 65-70 ℃에서 8-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다형체 형태 D 및 S4의 1:1 혼합물 1.02 kg을 최종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4: 화합물 (I)의 1:1 푸마레이트 결정 형태 S4의 소규모 제조.
MEK/물/EtOH/MCH 용매 시스템에서의 신규한 소규모 결정화 절차를 하기와 같이 개발하였다: 0.282 g의 푸마르산을 50 ℃에서 5 ml의 에탄올에 용해시켜 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1.0 g의 화합물 (I)을 7 ml의 2-부타논/물 (95/5 부피비)에 50 ℃에서 용해시켜 화합물 (I) 용액을 제조하였다. 산 용액의 20 %를 화합물 (I) 용액에 충전하고, 20 mg 시드 결정을 혼합 용액에 첨가한 다음, 나머지 산을 적가하였다. 온도를 50 ℃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2.5시간 내에 25 ℃로 냉각시키고, 25 ℃에서 추가로 17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다음에, 22 부피 당량의 메틸시클로헥산을 2시간 내에 첨가하였다. 온도를 30분 내에 5 ℃로 냉각시키고, 5 ℃에서 추가로 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샘플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50 ℃에서 건조시켜 최종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XRPD에 의해 단결정 형태 S4로서 확인하였다. 이 최종 생성물에 대한 XRPD 패턴은 동일한 절차에 기초하여 100 g 화합물 (I)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최종 생성물에 대해 도 1에 나타나고 표 10에 열거된 것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였다. 예리한 피크 및 편평한 기준선을 갖는 그의 고유한 XRPD 패턴으로 인해, 형태 S4는 적어도 90 % 결정질 순도를 갖는 단결정 형태인 것으로 여겨졌다.
생성물 수율을 개선하기 위해, 메틸시클로헥산은 역용매로서 적절하게 첨가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2-부타논/물 (95/5) 대 에탄올 대 메틸시클로헥산의 부피비가 6-7 대 4-5 대 11-22인 경우에, 90 % 초과의 수율을 갖는 형태 S4가 일관되게 수득될 수 있다 (표 11). 또한, 푸마르산과 화합물 (I) 사이의 몰비는 주로 생성물 용해도의 감소를 통해 수율을 개선하도록 미세-조정될 수 있다. 푸마르산 대 화합물 (I)의 몰비가 1.1에서 1.5로 변할 때, 형태 S4의 수율 손실은 7 %에서 3 %로 감소하였다 (표 12). 1.3의 몰비는 이후에 1.5와 동일하게 잘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따라서 결정화 절차에 적용되었다.
결정화 절차는 푸마르산 용액 또는 화합물 (I) 용액을 포함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조건하의 시험으로부터 매우 강건한 것으로 결론지어졌으며, 이는 각각 제조되어 장기간 (24시간 이하) 동안 50 ℃에서 유지되었고, 푸마르산 또는 메틸시클로헥실 역용매의 빠른 첨가 (30분 이하), 빠른 냉각을 포함한다 (표 13). 이들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도, 형태 S4는 매우 높은 순도로 일관되게 수득되었고; 수율은 약간 감소되었지만, 본 개시내용 (실시예 1-2 참조) 및 미국 특허 번호 9,884,855 (실시예 6 참조)에 개시된 절차로부터 형태 D에 대해 수득된 것보다 훨씬 더 우수하였다.
표 10. 형태 S4의 XRPD
Figure pct00016
표 11. MEK/물/EtOH (MCH) 중에서의 예비 결정화
Figure pct00017
표 12. 첨가된 산의 양의 효과
Figure pct00018
표 13. 스트레스 시험
Figure pct00019
실시예 5: 형태 S4에 대한 대규모 제조 방법
형태 S4를 대규모로 제조하기 위해, 17.0 kg 화합물 (I)을 1-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45-55 ℃에서 2-부타논/물 (95/5 부피비) 90 kg에 용해시켜서 화합물 (I) 용액을 형성하였다. 4.3 kg 푸마르산을 1-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45-55 ℃에서 74 kg EtOH에 용해시켜 산 용액을 형성하였다. 산 용액의 일부를 45-55 ℃에서 화합물 (I) 용액에 충전하고, 45-55 ℃에서 0.5-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태 S4를 포함하는 시드 결정을 혼합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시딩된 혼합물을 45-55 ℃에서 2-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나머지 산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5-55 ℃에서 3-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5-12시간의 기간에 걸쳐 20-30 ℃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284 kg 메틸시클로헥산을 6-8시간의 기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20-30 ℃에서 3-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3-12시간 동안 0-10 ℃로 냉각시키고, 추가로 6-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0-10 ℃에서 유지시켰다. 이어서, 목적하는 염을 수집하고, 16 kg MCH로 2회 세척하고, 여과하고, 50 ℃에서 8-24시간 동안 건조시켜, 17.96 kg의 최종 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XRPD에 의해 단결정 형태 S4로서 확인하였다 (도 2 참조). 예리한 피크 및 편평한 기준선을 갖는 그의 고유한 XRPD 패턴으로 인해, 형태 S4는 적어도 90 % 결정질 순도를 갖는 단결정 형태인 것으로 여겨졌다.
실시예 6: 흡습성 및 용해도 시험
상기 기재된 DVS 측정에 기초하여, 형태 S4는 80 % RH에서 단지 0.41 % 중량 증가로 0-80 % RH 사이의 낮은 흡습성을 나타내었고, 80 % RH에서 0.56 % 중량 증가를 갖는 형태 D보다 약간 더 낮았다.
형태 S4의 용해도 거동을 형태 D의 용해도 거동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해 다중 시험을 수행하였다. pH 2에서의 고유 용해 속도는 형태 S4 (429.3 μg/cm2-분) 및 형태 D (440.4 μg/cm2-분)에 대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평형 용해도를 주위 온도에서 다양한 생체-관련 매질에서 측정하였다. 형태 S4는 형태 D에 대해 관찰된 것과 유사한 (각각 2.08 및 0.08 mg/ml), 공복 상태 모의 위액 (FaSSGF)에서 높은 평형 용해도 (2.52 mg/ml) 및 공복 상태 모의 장액 (FaSSIF)에서 낮은 평형 용해도 (0.05 mg/ml)를 나타내었다.
FDA의 지침에 따르면, 그의 경구 투여 형태에서의 약물 물질의 시험관내 용해 시험은 생체내-시험관내 상관관계 (IVIVC), 즉 투여 형태의 시험관내 특성과 생체내 반응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립하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 지침으로, 결정 형태 D 및 S4를 함유하는 푸마레이트의 2개의 배치를 사용하여 정제를 제조하여, 약물 제품의 성능에 대한 임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푸마레이트 및 부형제의 2개의 배치 각각을 칭량 전에 개별적으로 체질하였다. 이어서, 목적하는 중량의 각각의 성분을 진탕기 혼합기로 옮기고 블렌딩하였다. 이어서, 2개의 배치에 대한 정제화를 단일 펀치 정제 프레스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어서, 이들 정제의 성능을 적절하게 검증된 용해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정제의 배치 둘 다가 매우 유사한 용해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든 배치에 대한 60분에서의 최종 평균 농도는 94 %에 도달하였다 (표 14 참조). 이들 데이터는 결정 형태 S4로 제조된 약물 생성물이 시험관내 용해 시험과 관련하여 형태 D와 동등한 성능을 나타내어, FDA의 지침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은 생물학적 동등성을 추론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14. 각각의 경구 투여 형태의 형태 S4 및 D에 대한 시험관내 용해 시험
Figure pct00020
실시예 7: 약동학적 분석.
화합물 (I)의 임상 개발 동안, 각각 다형체 형태 D 또는 형태 S4를 함유하는 푸마레이트 염의 2개의 배치를 사용하여, 현행 우수 제조 관리기준 (cGMP) 규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들은 하기 섹션에서 형태 D 및 형태 S4 정제로 지칭된다.
방법:
약물 투여, 혈액 수집 및 혈장 제조
캐나다 보건 및 병원 연구 윤리 위원회 (Health Canada and the Research Ethics Board of the Hospital)에 의해 승인된 약물을 투여하는 임상 시험에서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8명의 환자에게 형태 S4 정제를 투여하였고, 6명은 48 mg의 용량 수준으로, 2명은 160 mg의 용량 수준으로 투여하였다. 64명의 환자에게 형태 D 정제를 3-160 mg 범위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투여 전 및 투여 후 2, 4, 및 6시간에 분석을 위해 혈액을 수집하였다. 간략하게, 표준 정맥절개술 절차를 사용하여, 대략 6 mL의 혈액을 K3EDTA 혈액 수집 튜브 내로 수집한 후, 8-10회 뒤집어 혼합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1,000 g에서 10-15분 동안 대략 5 ℃에서 원심분리하였다. 혈액의 혈장 분획을 일회용 피펫을 사용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70 ℃에서 동결시키고, 후속적으로 분석을 위해 드라이 아이스 상에 운송하였다.
인간 혈장 분석
화합물 (I)의 수준은 모든 적용가능한 USFDA, OECD 및 MHLW 규정 및 문헌 [USFDA Guidance for Industry: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May 2001]에 따라 검증된 방법을 사용하여 혈장에서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내부 표준으로서 화합물 (I) 13C6 및 항응고제로서 K3EDTA를 갖는 화합물 (I)을 함유하는 인간 혈장 샘플을 액체/액체 추출에 의해 제조하였다. 추출 용매를 증발시킨 후, 샘플 추출물을 재구성하고, 워터스 아틀란티스 (Waters Atlantis) dC18을 사용하여 역상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동상을 전기분무 양성 이온화로 설정된 Z-분무 공급원/계면에서 가열된 질소를 사용하여 분무하였다. 이온화 화합물을 MS/MS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실험 샘플을 참조 표준 물질을 사용하여 구성된 표준 곡선 샘플과 비교하여 화합물 농도를 결정하였다. "PK 함수"에서 엑셀(Excel) 첨가를 사용하여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였다.
결과
상이한 용량 수준에서의 용량을 비교하기 위해, 노출 (AUC0-6h 값) (ng*h/mL)을 투여된 용량 (mg)으로 나누었다. 결과를 도 3에 플롯팅하였다. 형태 D 정제를 투여한 후 평균 용량-정규화된 노출은 3.11±2.19 ng*h/mL/mg이었다. 형태 S4를 투여한 후 평균 용량-정규화된 노출은 5.99±2.48 ng*h/mL/mg이었다. 양측 t-검정을 사용하여 계산된 유의성에 대한 p 값은 0.0009였다.
결론
형태 S4를 함유하는 정제로의 투여는 형태 D를 함유하는 정제로의 투여보다 환자에서 더 높은 노출 수준을 유발한다. 제시된 데이터에서, 형태 D 정제와 비교하여 형태 S4 정제로의 투여 후 노출에서의 평균 배수 증가는 5.99/3.11 = 1.9배이다.

Claims (27)

  1. 화합물 (I)과 푸마르산 사이의 몰비가 1:1이고, 푸마레이트 염은 6.6°, 9.8°, 16.3°, 21.1°, 28.7° 및 30.2° ± 0.2 (2θ)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형태 S4를 포함하는,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I)의 푸마레이트 염.
    Figure pct00021

    화합물 (1)
  2. 제1항에 있어서, 6.6°, 9.8°, 16.3°, 21.1°, 28.7°, 29.4° 및 30.2° ± 0.2 (2θ)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형태 S4를 포함하는 푸마레이트 염.
  3. 제1항에 있어서, 6.6°, 9.8°, 13.0°, 16.3°, 19.5°, 21.1°, 22.5°, 28.7°, 29.4° 및 30.2° ± 0.2 (2θ)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형태 S4를 포함하는 푸마레이트 염.
  4. 제1항에 있어서, 6.6°, 9.8°, 13.0°, 16.3°, 19.5°, 21.1°, 22.5°, 22.9°, 23.9°, 28.7°, 29.4° 및 30.2° ± 0.2 (2θ)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형태 S4를 포함하는 푸마레이트 염.
  5. 제1항에 있어서, 6.6°, 9.8°, 11.6°, 13.0°, 16.3°, 17.1°, 19.5°, 21.1°, 21.5°, 22.0°, 22.5°, 22.9°, 23.9°, 24.3°, 28.7°, 29.4° 및 30.2° ± 0.2 (2θ)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형태 S4를 포함하는 푸마레이트 염.
  6. 제1항에 있어서, 도 1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형태 S4를 포함하는 푸마레이트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의 적어도 90 중량%가 단결정 형태, 형태 S4인 푸마레이트 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의 적어도 99 중량%가 단결정 형태, 형태 S4인 푸마레이트 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0 중량% 미만의 결정 형태 D를 함유하는 푸마레이트 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 중량% 미만의 결정 형태 D를 함유하는 푸마레이트 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푸마레이트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2. 푸마르산 및 화합물 (I)을 2-부타논, 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용해 용매 중에 용해시켜 결정화 용액을 형성한 다음, 결정 형태 S4를 결정화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합물 (I)의 푸마레이트 염의 결정 형태 S4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2

    여기서 용해 용매 중 화합물 (I)과 푸마르산 사이의 몰비가 약 1:1 내지 약 1:1.3이고; 푸마레이트 염 중 화합물 (I)과 푸마르산 사이의 몰비가 1:1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푸마르산 및 화합물 (I)을 승온에서 용해 용매에 용해시키고, 결정 형태 S4를 냉각 및/또는 냉각하면서 메틸시클로헥산의 첨가에 의해 결정화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i) 화합물 (I)을 승온에서 2-부타논 및 물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켜 화합물 (I)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i) 푸마르산을 승온에서 에탄올 중에 용해시켜 푸마르산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ii) 푸마르산 용액을 승온에서 화합물 (I) 용액에 첨가하여 결정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v) 임의로 시드 결정을 승온에서 결정화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v) 결정화 용액의 온도를 감소시켜 S4 결정 형태를 침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2-부타논과 물 사이의 부피비가 80:20 내지 98:2이고, 2-부타논/물 대 에탄올 대 메틸시클로헥산의 부피비가 6-7 대 4-5 대 11-22이고; 승온이 45 ℃ 내지 55 ℃이고; 감온이 20 ℃ 내지 30 ℃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2-부타논과 물 사이의 부피비가 90:10 내지 98:2이고, 2-부타논/물 대 에탄올 대 메틸시클로헥산의 부피비가 6-7 대 4-5 대 11-22이고; 승온이 45 ℃ 내지 55 ℃이고; 감온이 20 ℃ 내지 30 ℃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메틸시클로헥산을 감온에서 결정화 용액에 첨가하여 S4 결정 형태를 침전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결정화 용액의 온도를 추가로 감소시켜 S4 결정 형태를 침전시키는 것인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감온이 20 ℃ 내지 30 ℃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추가로 감온이 0 ℃ 내지 10 ℃인 방법.
  21.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푸마레이트 염 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을 암에 걸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에 걸린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암이 폐암, 유방암, 결장암, 신경모세포종, 전립선암, 흑색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난소암, 림프종, 백혈병, 골육종, 배세포종, 신경교종, 섬유육종, 위장 육종, 섬유성 조직구종, 원형 세포 육종, 활막 육종, 자궁경부암, 항문생식기암, 두경부암 및 구인두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암이 폐암, 유방암 및 결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암이 유방암인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암이 삼중 음성 유방암인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삼중 음성 유방암이 절제불가능한 또는 전이성인 방법.
  27.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푸마레이트 염 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을 췌장암에 걸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췌장암에 걸린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
KR1020217037777A 2019-04-24 2020-04-23 Plk4 억제제 (1r,2s)-(e)-2-(3-(4-((시스-2,6-디메틸모르폴리노)메틸)스티릴)-1h-이미다졸-6-일)-5'-메톡시스피로[시클로프로판-1,3'-인돌린]-2'-온 푸마레이트의 결정 형태 s4 KR20220004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37858P 2019-04-24 2019-04-24
US62/837,858 2019-04-24
PCT/CA2020/050535 WO2020215155A1 (en) 2019-04-24 2020-04-23 Crystal form s4 of the plk4 inhibitor (lr,2s)-(e)-2-(3-(4-((cis-2,6-dimethylmorpholino)methyl)styryl)- 1 h-imidazol-6- yl)-5'-methoxyspiro[cyclopropane-l,3'-indolin]-2'-one fumar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102A true KR20220004102A (ko) 2022-01-11

Family

ID=7294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77A KR20220004102A (ko) 2019-04-24 2020-04-23 Plk4 억제제 (1r,2s)-(e)-2-(3-(4-((시스-2,6-디메틸모르폴리노)메틸)스티릴)-1h-이미다졸-6-일)-5'-메톡시스피로[시클로프로판-1,3'-인돌린]-2'-온 푸마레이트의 결정 형태 s4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220204494A1 (ko)
EP (1) EP3959209A4 (ko)
JP (1) JP2022530028A (ko)
KR (1) KR20220004102A (ko)
CN (1) CN113966330A (ko)
AU (1) AU2020264143A1 (ko)
BR (1) BR112021021106A2 (ko)
CA (1) CA3137191A1 (ko)
EA (1) EA202192903A1 (ko)
IL (1) IL287394A (ko)
MA (1) MA55767A (ko)
MX (1) MX2021012993A (ko)
SG (1) SG11202111003UA (ko)
TW (1) TW202104216A (ko)
WO (1) WO2020215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09008A (zh) 2021-05-11 2023-03-01 美商歐瑞克製藥公司 類polo激酶4抑制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9752B2 (ja) * 2009-04-06 2014-11-26 ユニバーシティ・ヘルス・ネットワークUniversity Health Network キナーゼインヒビ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癌の治療方法
BR112012025496B1 (pt) 2010-04-06 2021-02-23 University Health Network composto inibidor quinase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que o compreende
JP6492072B2 (ja) * 2013-10-18 2019-03-27 ユニバーシティー ヘルス ネットワーク Plk4阻害剤の塩および結晶形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5155A8 (en) 2020-11-26
EP3959209A1 (en) 2022-03-02
BR112021021106A2 (pt) 2021-12-14
JP2022530028A (ja) 2022-06-27
AU2020264143A1 (en) 2021-10-28
EA202192903A1 (ru) 2022-02-09
US20220204494A1 (en) 2022-06-30
CA3137191A1 (en) 2020-10-29
WO2020215155A1 (en) 2020-10-29
MA55767A (fr) 2022-03-02
IL287394A (en) 2021-12-01
TW202104216A (zh) 2021-02-01
CN113966330A (zh) 2022-01-21
SG11202111003UA (en) 2021-11-29
EP3959209A4 (en) 2022-12-28
MX2021012993A (es)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7627B2 (en) Salt and crystal forms of PLK-4 inhibitor
AU2014336929A1 (en) Salt and crystal forms of PLK-4 inhibitor
US10323035B2 (en) Co-crystal of a CDK inhibitor and an MEK inhibitor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KR20220004102A (ko) Plk4 억제제 (1r,2s)-(e)-2-(3-(4-((시스-2,6-디메틸모르폴리노)메틸)스티릴)-1h-이미다졸-6-일)-5'-메톡시스피로[시클로프로판-1,3'-인돌린]-2'-온 푸마레이트의 결정 형태 s4
US11878980B2 (en) Solid forms of TTK inhibitor
EA044843B1 (ru) Кристаллическая форма ингибитора plk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