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959A - Eje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je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959A
KR20220003959A KR1020210079953A KR20210079953A KR20220003959A KR 20220003959 A KR20220003959 A KR 20220003959A KR 1020210079953 A KR1020210079953 A KR 1020210079953A KR 20210079953 A KR20210079953 A KR 20210079953A KR 20220003959 A KR20220003959 A KR 2022000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cleaning
chuck table
driving flui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케오미 후쿠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22000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9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2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rotary tools, e.g. drills
    • B28D5/022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rotary tools, e.g. drills by cutting with disc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28D5/0076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for remov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28D5/008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for supporting, holding, feeding,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1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Dicing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jector that suppresses a decrease in suction force when a liquid enters the ejector and enables processing or cleaning of an object to be processed at low cost. An ejector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comprising: an inlet pip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from which the driving fluid is injected; an outlet pipe having a receiving port for receiving the driving fluid injected from the open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a tip of the inlet pipe; and a body part surrounding the opening and the receiving port and having a suction path for sucking external fluid to the inside.

Description

이젝터, 가공 장치 및 세정 장치{EJE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EJE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 및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jec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processing apparatus and a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ejector.

퍼스널 컴퓨터 및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는, IC(집적 회로) 및 LSI(대규모 집적 회로)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칩을 갖는다. 상기 칩은, 실리콘 및 실리콘 카바이드 등의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기능층을 갖는 웨이퍼를 분할함으로써 제조된다.BACKGROUND ART Electronic devi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and smartphones have chips of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ICs (integrated circuits) and LSIs (large-scale integrated circuits). The chip is manufactured by dividing a wafer having a functional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such as silicon and silicon carbide.

상기 웨이퍼는, 예컨대, 이면이 연삭되어 원하는 두께로 가공된 후,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절삭됨으로써 분할된다. 또한, 가공 시에 발생한 가공 부스러기가 상기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로부터 제조된 개개의 칩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상기 웨이퍼 및 상기 칩은 적절한 타이밍에 세정되는 경우가 많다.The wafer is divided by, for example, grinding the back surface and processing it to a desired thickness, and then cutting along a line to be divided. Further, since processing debris generated during processing ma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wafer and individual chips manufactured from the wafer, the wafer and the chips are often cleaned at an appropriate timing.

웨이퍼를 연삭 또는 절삭하는 가공 장치와, 상기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로부터 제조된 개개의 칩을 세정하는 세정 장치의 각각은, 웨이퍼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면을 갖는 척 테이블을 포함한다.Each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grinding or cutting a wafer and the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the wafer and individual chips manufactured from the wafer include a chuck table having a holding surface for holding the wafer.

상기 웨이퍼 및 상기 칩 등에 대해 가공 및 세정 등의 처리를 행하면, 상기 웨이퍼 및 상기 칩 등의 피처리물에는 외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라도 피처리물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척 테이블은, 일반적으로, 상기 피처리물을 흡인하여 유지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참조).When processing, such as processing, cleaning, etc. are performed on the wafer and the chip,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bject to be processed, such as the wafer and the chip. Even in such a case, the chuck table generally sucks and holds the to-be-processed object so that the to-be-processed object does not move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s 1 and 2).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609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246098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36275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36275

척 테이블의 표면측에는 피처리물을 흡인할 때에 부압으로 유지되는 다공질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공질부의 표면이 상기 피처리물을 흡인, 유지하는 유지면이 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질부는 이젝터와 연통(連通)되고, 상기 이젝터에서 발생한 흡인력에 의해 상기 다공질부가 부압으로 유지된다.On the surface side of the chuck table, a porous portion held at a negative pressure when the object to be treated is sucked is formed, and the surface of the porous portion serves as a holding surface for sucking and holding the object to be treated. Then, the porous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ejector, and the porous portion is maintained at a negative pressure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ejector.

이젝터는,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구동 유체가 기체인 것과, 액체인 것으로 크게 구별된다. 전자의 이젝터는, 주로, 비점성 유체가 갖는 에너지(운동량)가 보존된다고 하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후자의 이젝터는, 주로, 점성 유체와, 그 주위의 유체 사이의 속도 구배(勾配)에 따른 마찰력이 발생한다고 하는 뉴턴의 점성 법칙을 이용하는 것이다.Ejector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those in which the driving fluid used for generating the suction force is a gas and a liquid. The electron ejector mainly uses Bernoulli's theorem, which states that the energy (momentum) of a non-viscous fluid is conserved. In addition, the latter ejector mainly utilizes Newton's law of viscosity, which states that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velocity gradient between the viscous fluid and the fluid around it.

단, 기체의 점성은 액체에 비해 낮으나, 현실적으로는 점성을 갖지 않는 기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구동 유체가 기체인 이젝터라도, 상기 기체의 이동에 따라, 그 주위의 유체와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한다. 따라서, 구동 유체가 기체인 이젝터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고 뉴턴의 점성 법칙을 이용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킨다.However, although the viscosity of a gas is lower than that of a liquid, in reality, there is no gas that does not have viscosity. Therefore, even in an ejector whose driving fluid is a gas, friction occurs with the surrounding fluid as the gas moves. Accordingly, an ejector in which the driving fluid is a gas generates a suction force using Bernoulli's theorem and Newton's law of viscosity.

그런데, 전술한 피처리물의 가공 및 세정은, 일반적으로, 액체를 공급하면서 행해진다. 또한, 상기 피처리물을 유지하는 유지면에서의 다공질부의 사이즈는, 상기 피처리물을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피처리물의 사이즈보다 약간 커지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By the way, processing and washing of the above-mentioned to-be-processed object are generally performed while supplying a liquid. In addition, in many cases, the size of the porous portion on the holding surface for holding the object is design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bject in order to securely hold the object.

그 때문에, 다공질부의 유지면 중 외연(外緣) 근방의 영역은, 피처리물을 가공 또는 세정할 때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에 의해 피복되지 않고, 상기 액체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상기 피처리물에 공급되는 액체는, 상기 이젝터에서 발생한 흡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영역을 통해 상기 다공질부의 내부로 흡인되는 경우가 있다.Therefore, the region near the outer edge of the holding surface of the porous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liqui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to-be-processed object when processing or washing the to-be-processed object. As a result, the liquid supplied to the to-be-processed object may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said porous part through the said area|region by the action of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aid ejector.

또한, 상기 다공질부에 흡인된 액체는, 연통로를 통해 이젝터의 내부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구동 유체와, 이젝터의 내부에 침입한 액체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상기 구동 유체의 흐름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이젝터의 흡인력이 저하되어, 피처리물의 가공 또는 세정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Also, the liquid sucked into the porous portion may reach the inside of the ejec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In this case, friction may occur between the driving fluid and the liquid that has invaded the inside of the ejector, and the flow of the driving fluid may be inhibited. As a result, the suction power of the ejector is lower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roblem may occur in processing or cleaning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내부에 침입한 액체에 의한 악영향을 저감하는 이젝터도 존재하지만, 그러한 이젝터는 복잡한 기구를 구비하는 대형의 장치이며, 또한, 대량의 구동 유체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이젝터를 이용하여 칩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칩의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There are also ejectors that reduce the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 liquid entering the interior, but such ejectors are large devices with complicated mechanisms and require a large amount of driving fluid. Therefore, when a chip is manufactured using such an ejector,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aid chip|tip increases may arise.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이젝터의 내부에 액체가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의 흡인력의 저하를 억제하고 피처리물의 가공 또는 세정을 저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above,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jector that suppresses a decrease in suction force when a liquid enters the inside of the ejector and enables processing or cleaning of an object to be processed at low cost will d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이젝터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 및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cessing apparatus and a cleaning apparatus having such an ejec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이젝터로서, 선단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의 상기 개구로부터 구동 유체가 분사되는 유입관과, 상기 개구로부터 분사된 구동 유체를 받아들이는 수용구를 상기 유입관의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갖는 유출관과, 상기 개구와 상기 수용구의 주위를 둘러싸고, 외부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로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것인, 이젝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jector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an inlet pip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at its front end, through which a driving fluid is injected from the opening of the inflow pipe, and receiving the driving fluid injected from the opening An ejector is provided, comprising: an outlet pipe having a receiving por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ip of the inlet pipe;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유체는 액체이다.Preferably, the drive fluid is a liqui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표면에 디바이스가 형성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장치로서, 상기 피가공물을 유지하는 유지면을 갖는 척 테이블과, 상기 척 테이블에 유지된 상기 피가공물을 스핀들의 선단에 장착된 가공 지석으로 가공하는 가공 유닛과, 전술한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의 상기 흡인로와 상기 유지면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구비하는 것인, 가공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workpiece having a devic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 chuck table having a holding surface for holding the workpiece, and the workpiece held by the chuck table at the tip of a spindle. A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comprising: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with an attached processing grindstone; the above-mentioned ejecto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표면에 디바이스가 형성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장치로서, 상기 피세정물을 유지하는 유지면을 갖는 척 테이블과, 상기 척 테이블에 유지된 상기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유닛과, 전술한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의 상기 흡인로와 상기 유지면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구비하는 것인,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n object to be cleaned having a devic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comprising: a chuck table having a holding surface for hold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the object to be cleaned held by the chuck table; A cleaning apparatus is provided, comprising: a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ejector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입관의 복수의 개구로부터 본체부의 내부에 구동 유체를 분사하는 이젝터가 제공된다. 상기 이젝터에 있어서는, 하나의 개구로부터 구동 유체를 분사하는 이젝터와 비교하여, 본체부의 내부에 있어서 구동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상정되는 유로의 표면적이 증가한다. 즉, 상기 이젝터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유체와, 그 주위의 유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jector for ejecting a driving fluid from a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inlet pipe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In the ejector, as compared with an ejector that ejects the driving fluid from one opening, the surface area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driving fluid is supposed to pass inside the body portion increases. That is, in the ejecto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driving fluid and the surrounding fluid increases.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구동 유체와 그 주위의 유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체부의 내부에 액체가 침입하여 상기 구동 유체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침입한 액체에 의한 악영향이 저감된다. 즉, 이러한 경우라도 상기 이젝터의 흡인력의 저하가 억제된다.Therefo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fluid and the surrounding fluid. As a result, even in the case where liquid enter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low of the driving fluid is obstructed, adverse effects due to the intruding liquid are reduced. That is, even in such a case, a decrease in the suction force of the ejector is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장치를 복잡화, 대형화시키지 않고, 또한, 필요해지는 구동 유체의 양을 대폭 증가시키지 않고, 원하는 흡인력을 실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피처리물의 가공 또는 세정을 저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desired suction force without complicating and increasing the size of the apparatus and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required driving fluid.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process or wash the to-be-processed object inexpensive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러한 이젝터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 또는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이들 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의 흡인력의 저하가 억제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가공 또는 세정이 저렴하게 행해진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ing apparatus or a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n ejector is provided. In these apparatuses, as described above, a decrease in the suction force of the ejector is suppressed, and the processing or cleaning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performed inexpensively.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젝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젝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에 연결되는 테이블 베이스 및 척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에 연결되는 테이블 베이스 및 척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척 테이블의 유지면에서 흡인, 유지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척 테이블(또는 스피너 테이블)의 유지면에서 흡인, 유지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the ejector shown in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able base and a chuck table connected to the ejector shown in FIGS. 1 and 2 .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able base and a chuck table connected to the ejector shown in FIGS. 1 and 2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workpiece that is sucked and held on the holding surface of the chuck tabl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n object to be cleaned that is sucked and held on the holding surface of the chuck table (or spinner table).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젝터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젝터(2)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젝터(2)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An embodiment of the ejec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jecto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ejector 2 illustrated in FIG. 1 .

이젝터(2)는, 외부로부터 격리된 본체부(4)의 내부에서 구동 유체를 유동시킴으로써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상기 구동 유체는, 예컨대, 물 등의 액체, 또는 공기 혹은 아르곤 가스 및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등의 기체이다.The ejector 2 generates a suction force by flowing a driving fluid inside the body portion 4 isolated from the outside. The driving fluid may be either liquid or gas. The driving fluid is, for example, a liquid such as water or a gas such as air or an inert gas such as argon gas or nitrogen gas.

본체부(4)는, 서로 대향하는 벽(4a 및 4b)과, 벽(4a 및 4b) 이외의 본체부(4)의 벽에 형성되는 흡인로(4c)를 갖는다. 그리고, 벽(4a)에는 유입관(6)의 일단측이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벽(4b)에는 유출관(8)의 일단측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The body part 4 has walls 4a and 4b which oppose each other, and the suction path 4c formed in the wall of the body part 4 other than the walls 4a and 4b. Then, one end of the inlet pipe 6 is inserted into the wall 4a, and one end of the outlet pipe 8 is inserted into the wall 4b.

유입관(6)은, 본체부(4)의 내부에 구동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유출관(8)은, 본체부(4)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를 유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흡인로(4c)는, 본체부(4)의 내부로 외부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The inlet pipe 6 provides a path for introducing the driving fluid into the body portion 4 . The outlet pipe 8 provides a path for discharging the fluid existing inside the body part 4 . The suction path 4c provides a path for sucking the external fluid into the body portion 4 .

유입관(6)의 타단측은, 구동 유체가 공급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또한, 본체부(4)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입관(6)의 일단부는, 본체부(4)의 벽(4a)으로부터 본체부(4)의 중앙에 근접함에 따라, 그 직경이 감소하고 나서 증가하는 부분(벤투리관으로서 기능하는 부분)(6a)을 포함한다.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6 is connected to a driving fluid supply source (not shown) to which the driving fluid is supplied. In addition, one end of the inflow pipe 6 located inside the body 4 decreases in diameter as it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body 4 from the wall 4a of the body 4 , and then It includes an increasing portion (a portion that functions as a venturi tube) 6a.

유입관(6)의 일단부는, 복수의 개구(구멍)(6b)가 형성된 벽(6c)을 갖는다. 벽(6c)은, 유입관(6)의 일단(선단)으로부터 부분(6a)을 향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유입관(6)의 선단의 형상은 대략 원형이고, 그 직경은 부분(6a)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즉, 벽(6c)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이다.One end of the inflow pipe 6 has a wall 6c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holes) 6b are formed. The wall 6c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one end (tip) of the inflow pipe 6 toward the portion 6a. The shape of the tip of the inflow pipe 6 is approximately circular, and the diameter thereof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maximum diameter of the portion 6a. That is, the shape of the wall 6c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복수의 개구(6b)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입관(6)의 선단에 있어서의 복수의 개구(6b)의 형상은, 모두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사형이어도 좋고, 각각이 상이해도 좋다. 단, 구동 유체를 균일하게 분사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유입관(6)의 선단에 있어서의 복수의 개구(6b)의 형상은, 서로 직경이 대략 동일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some opening 6b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In addition, all may be the same or similar shape may be sufficient as the shape of the some opening 6b in the front-end|tip of the inflow pipe 6, and each may differ.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uniformly jetting the driving fluid,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6b at the tip of the inflow pipe 6 is preferably a circular shap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또한, 구동 유체를 균일하게 분사한다는 관점에서, 복수의 개구(6b)는, 유입관(6)의 선단에 있어서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벽(6c)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벽(6c)의 두께가 유입관(6)의 선단의 직경보다 길고, 또한, 복수의 개구(6b)가 유입관(6)의 선단에 있어서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벽(6c)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uniformly jetting the driving flui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openings 6b pass through the wall 6c while maintaining the shape at the tip of the inflow pipe 6 .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wall 6c is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tal end of the inflow pipe 6,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6b maintain the shape at the distal end of the inflow pipe 6 to form the wall 6c. It is preferable to penetrate.

유입관(6)의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유출관(8)의 수용구(8a)가 형성된다. 수용구(8a)는, 바닥이 개구된 사발(鉢)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유입관(6)의 선단과 대향하는 측의 수용구(8a)의 직경은, 유입관(6)의 선단의 직경보다 길다.The receiving port 8a of the outlet pipe 8 is formed in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front-end|tip of the inflow pipe|tube 6 . The receiving tool 8a has a shape like a bowl with an open bottom. Moreover,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 8a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ront-end|tip of the inflow pipe 6 is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end|tip of the inflow pipe 6 .

그 때문에, 본체부(4)의 내부에 있어서 구동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상정되는 유로는, 복수의 개구(6b)의 각각으로부터 수용구(8a)까지 연장된다. 또한, 본체부(4)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출관(8)은, 본체부(4)의 중앙으로부터 본체부(4)의 벽(4b)에 근접함에 따라, 그 직경이 증가하는 부분(8b)을 포함한다.Therefore,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driving fluid is supposed to pass inside the main body 4 extend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6b to the receiving port 8a. In addition, the outlet pipe 8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4 is a portion 8b whose diameter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wall 4b of the main body 4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4 . ) is included.

본체부(4)는, 흡인로(4c), 유입관(6) 및 유출관(8) 이외로부터 유체가 입출(入出)하지 않도록, 유입관(6)의 복수의 개구(6b)와 유출관(8)의 수용구(8a)의 주위를 둘러싼다. 즉, 본체부(4)는, 흡인로(4c), 유입관(6) 및 유출관(8) 이외에 있어서는 밀폐된다.The main body 4 has a plurality of openings 6b and an outlet pipe of the inlet pipe 6 so that the fluid does not enter and exit from anything other than the suction path 4c, the inlet pipe 6 and the outlet pipe 8 . It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accommodation port 8a of (8). That is, the body part 4 is sealed except for the suction path 4c, the inflow pipe|tube 6, and the outflow pipe|tube 8. As shown in FIG.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는, 유출관(8)의 선단(8c)으로부터 배출되는 구동 유체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체 공급원으로 순환시키는 회수 유닛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회수 유닛을 갖는 이젝터(2)는, 구동 유체를 재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may further include a recovery unit for circulating the driv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tip 8c of the outlet pipe 8 to a driving fluid supply source (not shown). The ejector 2 having the recovery unit is preferable in that the driving fluid can be reus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입관(6)으로 구동 유체가 공급된다. 유입관(6)에 공급된 구동 유체는, 벤투리 효과에 의해 가속되고, 선단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6b)의 각각으로부터 본체부(4)의 내부로 분사된다. 본체부(4)의 내부로 분사된 구동 유체는, 수용구(8a)로부터 유출관(8)으로 유입된다.In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 the driving fluid is supplied to the inlet pipe 6 from a driving fluid supply source (not shown). The driving fluid supplied to the inlet pipe 6 is accelerated by the venturi effect, and is injected into the body portion 4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6b formed at the tip. The driving fluid injected into the body portion 4 flows into the outlet pipe 8 from the receiving port 8a.

이때, 상기 구동 유체가 가속됨으로써 증가한 에너지분을 상쇄하도록 상기 구동 유체의 압력이 저하되고(베르누이의 정리), 또한, 상기 구동 유체와 그 주위의 유체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한다(뉴턴의 점성 법칙). 이에 의해, 흡인로(4c)를 통해 외부 유체가 본체부(4)의 내부로 유입되고, 또한, 상기 구동 유체와 함께 상기 주위의 유체가 유출관(8)으로 유입된다. 단적으로는, 이젝터(2)는, 본체부(4)의 내부를 부압으로 하여, 흡인로(4c)를 통해 흡인력을 발생시킨다.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driving fluid is lowered to offset the increased energy by the acceleration of the driving fluid (Bernoulli's theorem), and friction occurs between the driving fluid and the surrounding fluid (Newton's law of viscosity) . Thereby, the external flui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4 through the suction path 4c, and also the said surrounding fluid flows into the outlet pipe 8 together with the said driving fluid. In short, the ejector 2 mak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4 a negative pressure, and generates a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path 4c.

여기서, 이젝터(2)는, 유입관(6)의 복수의 개구(6b)로부터 본체부(4)의 내부로 구동 유체를 분사한다. 이에 의해, 이젝터(2)에 있어서는, 하나의 개구로부터 구동 유체를 분사하는 이젝터와 비교하여, 본체부(4)의 내부에 있어서 구동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상정되는 유로의 표면적이 증가한다. 즉, 이젝터(2)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유체와, 그 주위의 유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Here, the ejector 2 ejects the driving fluid from the plurality of openings 6b of the inflow pipe 6 into the body portion 4 . As a result, in the ejector 2 , the surface area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driving fluid is supposed to pass inside the main body 4 increases as compared with an ejector that ejects the driving fluid from one opening. That is, in the ejector 2,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driving fluid and the surrounding fluid increases.

그 때문에, 이젝터(2)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유체와 그 주위의 유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체부(4)의 내부에 액체가 침입하여 상기 구동 유체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침입한 액체에 의한 악영향이 저감된다[본체부(4)의 내부에 액체가 침입하는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이러한 경우라도 이젝터(2)의 흡인력의 저하가 억제된다.Therefore, in the ejector 2,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fluid and the surrounding fluid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As a result, even in the case where the liquid enter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4 and the flow of the driving fluid is inhibited, the adverse effect due to the infiltrating liquid is reduced. Specific examples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even in such a case, a decrease in the suction force of the ejector 2 is suppressed.

또한, 이젝터(2)는, 장치를 복잡화, 대형화시키지 않고, 또한, 필요해지는 구동 유체의 양을 대폭 증가시키지 않고, 원하는 흡인력을 실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피처리물의 가공 또는 세정을 저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피처리물의 가공 또는 세정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the ejector 2 can realize a desired suction force without complicating 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device, and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required driving fluid.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process or clean the to-be-processed object at low cost (specific examples of processing or cleaning of the to-be-processed objec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에 연결되는 테이블 베이스(18) 및 척 테이블(20)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단면도이다. 또한, 척 테이블(20)은, 테이블 베이스(18)에 대해 착탈할 수 있는 양태로 고정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able base 18 and the chuck table 20 connected to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In addition, the chuck table 20 is fixed to the table base 18 in a detachable manner.

테이블 베이스(18)의 상면(18a)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볼록부(18b)가 형성된다. 상면(18a)의 볼록부(18b)보다 내측의 영역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고, 볼록부(18b)보다 직경이 작은 환형의 볼록부(18c)가, 볼록부(18b)와 동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면(18a)의 볼록부(18b)와 볼록부(18c) 사이의 영역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위치 결정 볼록부(18d)가 형성된다.An annular convex portion 18b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8a of the table base 18 . In a region inside the convex part 18b of the upper surface 18a, an annular convex part 18c protruding upward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convex part 18b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convex part 18b. . Further, in the region between the convex portion 18b and the convex portion 18c of the upper surface 18a, a cylindrical positioning convex portion 18d protruding upward is formed.

상면(18a)의 볼록부(18c)보다 내측의 영역에는, 볼록부(18c)보다 직경이 작은 환형의 홈(18e)이, 볼록부(18c)와 동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면(18a)의 홈(18e)보다 내측의 영역에는, 테이블 베이스(18)의 내부에 형성된 연통로(18f)의 일단이 개구된다. 또한, 연통로(18f)의 타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의 본체부(4)의 흡인로(4c)에 연통된다.An annular groove 18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x portion 18c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convex portion 18c in a region inside the convex portion 18c of the upper surface 18a. Moreover,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ath 18f formed inside the table base 18 is opened in the area|region inside the groove|channel 18e of the upper surface 18a. Further,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th 18f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th 4c of the main body portion 4 of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

척 테이블(20)은, 상면측에 오목부(22a)를 갖는 프레임(22)과, 프레임(22)의 오목부(22a)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다공질판(24)을 포함한다. 다공질판(24)은, 피처리물을 흡인, 유지하는 다공질부로서 기능하고, 그 상면(24a)이 피처리물을 흡인, 유지하는 유지면이 된다. 예컨대, 프레임(22)은, 금속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다공질판(24)은, 다공질 세라믹스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The chuck table 20 includes a frame 22 having a concave portion 22a on the upper surface side thereof, and a porous plate 24 fixed to the concave portion 22a of the frame 22 with an adhesive. The porous plate 24 functions as a porous part for attracting and holding the to-be-processed object, and the upper surface 24a becomes a holding surface which attracts and holds the to-be-processed object. For example, the frame 22 is comprised using a metal etc., and the porous plate 24 is comprised using porous ceramics etc.

프레임(22)의 하면(22b)에는, 테이블 베이스(18)의 볼록부(18b)에 대응하는 환형의 오목부(22c)가 형성된다. 하면(22b)의 오목부(22c)보다 내측의 영역에는, 테이블 베이스(18)의 볼록부(18c)에 대응하는 환형의 오목부(22d)가 형성된다. 즉, 오목부(22c)와 오목부(22d)는, 동심형으로 구성된다.An annular recessed portion 22c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18b of the table base 18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22b of the frame 22 . Annular recessed part 22d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art 18c of the table base 18 is formed in the area|region inside the recessed part 22c of the lower surface 22b. That is, the recessed part 22c and the recessed part 22d are comprised concentrically.

테이블 베이스(18)의 위치 결정 볼록부(18d)에 대응하는 영역[즉, 오목부(22c)와 오목부(22d) 사이의 영역]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22e)가 형성된다. 또한, 환형의 홈(18e)에 대응하는 영역[즉, 오목부(22d)보다 내측의 영역]에는, 원형의 오목부(22f)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22f)의 바닥에는, 프레임(22)의 내부에 형성된 연통로(22g)의 일단이 개구된다. 연통로(22g)의 타단은, 오목부(22a)의 바닥으로 개구되고, 다공질판(24)에 통하고 있다.The positioning recessed part 22e is formed in the area|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convex part 18d of the table base 18 (namely, the area|region between the recessed part 22c and the recessed part 22d). Further,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nnular groove 18e (that is, the region inside the concave portion 22d), a circular concave portion 22f is formed.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ath 22g formed inside the frame 22 is open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22f.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th 22g opens to the bottom of the recess 22a and communicates with the porous plate 24 .

테이블 베이스(18)에 대해 척 테이블(20)을 고정할 때에는, 예컨대, 테이블 베이스(18)의 환형의 홈(18e)에 대해, 이 홈(18e)에 대응하는 형상의 링 부재(26)를 삽입한다. 링 부재(26)는, 예컨대,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테이블 베이스(18) 및 척 테이블(20)에 대해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링 부재(26)는, 홈(18e)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18a)으로부터 돌출되는 두께(높이)로 형성된다.When fixing the chuck table 20 to the table base 18 , for example, the annular groove 18e of the table base 18 is provided with a ring member 26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8e. insert The ring member 26 is made of, for example, resin or the like, and is made less slippery with respect to the table base 18 and the chuck table 20 . In addition, this ring member 26 is formed with the thickness (height) which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18a in the state inserted in the groove|channel 18e.

홈(18e)에 대해 링 부재(26)를 삽입한 후에는, 테이블 베이스(18)의 상면(18a)과 프레임(22)의 하면(22b)이 대면하도록, 테이블 베이스(18)에 척 테이블(20)을 싣는다. 이때, 오목부(22c), 오목부(22d) 및 위치 결정 오목부(22e)에 대해, 각각, 볼록부(18b), 볼록부(18c) 및 위치 결정 볼록부(18d)가 삽입되도록, 테이블 베이스(18)와 척 테이블(20)의 위치를 조정한다.After inserting the ring member 26 into the groove 18e, the chuck table ( 20) is loaded. At this time, with respect to the recessed part 22c, the recessed part 22d, and the positioning recessed part 22e, the table|surface so that the convex part 18b, the convex part 18c, and the positioning convex part 18d may be inserted, respectively. The positions of the base 18 and the chuck table 20 are adjusted.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22f)의 형상은, 링 부재(26)가 삽입되는 홈(18e)의 형상에 대응한다. 그 때문에, 테이블 베이스(18)에 척 테이블(20)을 실으면, 상면(18a)으로부터 돌출되는 링 부재(26)의 일부는 오목부(22f)에 삽입된다. 링 부재(26)를, 홈(18e)과 오목부(22f)에 삽입함으로써, 척 테이블(20)에 대한 테이블 베이스(18)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2f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groove 18e into which the ring member 26 is inserted. Therefore, when the chuck table 20 is mounted on the table base 18, a part of the ring member 26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18a is inserted into the recess 22f. By inserting the ring member 26 into the groove 18e and the concave portion 22f,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position shift of the table base 18 with respect to the chuck table 20 .

테이블 베이스(18)에 대해 척 테이블(20)을 실은 후에는, 연통로(18f)와 연통로(22g)가 연통된다. 그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의 본체부(4)의 흡인로(4c)는, 연통로(18f) 및 연통로(22g)를 통해, 척 테이블(20)의 유지면[다공질판(24)의 상면(24a)]에 연통된다.After the chuck table 20 is mounted on the table base 18, the communication path 18f and the communication path 22g communicate. Therefore, the suction path 4c of the main body portion 4 of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holds the chuck tabl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18f and the communication path 22g. It communicates with the surface (upper surface 24a of the porous plate 24).

이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의 유입관(6)으로 구동 유체가 공급되면, 이젝터(2)는, 흡인로(4c) 및 연통로(18f) 및 연통로(22g)의 내부를 부압으로 하여 다공질판(24)을 흡인한다. 이에 의해, 척 테이블(20)의 유지면[다공질판(24)의 상면(24a)]에 있어서 피처리물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ing fluid is supplied to the inlet pipe 6 of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 the ejector 2 has a suction path 4c and a communication path 18f and a communication path ( 22g), the porous plate 24 is sucked with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hold a to-be-processed object in the holding surface of the chuck table 20 (upper surface 24a of the porous plate 24).

도 5는 척 테이블(20)의 유지면에서 흡인, 유지된 피가공물(11)을 가공하는 가공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는 절삭 유닛(52)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1)에 홈을 형성(하프 컷)하도록 절삭하는 절삭 장치(50)를 도시하고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11 sucked and held by the holding surface of the chuck table 20 . Specifically, FIG. 5 shows the cutting device 50 for cutting the workpiece 11 to form a groove (half-cut) using the cutting unit 52 .

도 5에 도시된 절삭 장치(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테이블 베이스(18) 및 척 테이블(20)을 갖고, 척 테이블(20)의 유지면에서 피가공물(11)을 흡인, 유지한다.The cutting device 50 shown in FIG. 5 has the table base 18 and the chuck table 20 shown in FIGS. 3 and 4 , and sucks the workpiece 11 from the holding surface of the chuck table 20 . , keep

피가공물(11)은, 예컨대, 실리콘 등의 반도체를 포함하는 원반형의 웨이퍼이고, 그 표면(상면)측은, 중앙의 디바이스 영역과, 디바이스 영역을 둘러싸는 외주 잉여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디바이스 영역은, 격자형으로 배열된 분할 예정 라인(스트리트)으로 또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고, 각 영역에는, IC 및 LSI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다.The workpiece 11 is, for example, a disk-shaped wafer containing a semiconductor such as silicon, and the surface (upper surface) side thereof is divided into a central device region and an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surrounding the device region. The device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y division scheduled lines (streets) arranged in a grid pattern, and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ICs and LSIs are formed in each region.

도 5에 도시된 절삭 장치(50)는, 도시하지 않은 척 테이블 이동 기구와, 도시하지 않은 절삭 유닛 이동 기구를 더 갖는다. 상기 척 테이블 이동 기구는, 예컨대, 가공 이송 방향(도 5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테이블 베이스(18) 및 척 테이블(20)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삭 유닛 이동 기구는, 예컨대, 인덱싱 이송 방향(도 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및 절입 이송 방향(도 5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절삭 유닛(52)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cutting device 50 shown in FIG. 5 further has a chuck table moving mechanism (not shown) and a cutting unit moving mechanism (not shown). The chuck table moving mechanism can move the table base 18 and the chuck table 20 in the machining feed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in FIG. 5 ), for example. Moreover, the said cutting unit moving mechanism can move the cutting unit 52 in the indexing feed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FIG. 5) and the cutting feed direction (the up-down direction in FIG. 5), for example.

절삭 유닛(52)은, 척 테이블(20)의 유지면의 평면 방향에 대략 평행한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스핀들(56)을 갖는다. 스핀들(56)의 일단측에는 환형의 절삭 블레이드(58)가 장착되고, 타단측에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된다. 그 때문에, 절삭 블레이드(58)는, 스핀들(56)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회전 구동원의 토크에 의해 회전한다.The cutting unit 52 has a spindle 56 which rotates about an axial cente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nar direction of the holding surface of the chuck table 20 as a center. An annular cutting blade 58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pindle 56, and a rotational driving source (not shown) such as a mo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For that reason, the cutting blade 58 is rotated by the torque of the rotation driving source transmitted through the spindle 56 .

절삭 블레이드(58)는, 가공 지석에 의해 피가공물(11)을 절삭하는 가공 공구이다. 그 때문에, 절삭 유닛(52)은, 스핀들(56)의 선단에 장착된 가공 지석으로 피가공물(11)을 절삭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The cutting blade 58 is a machining tool which cuts the to-be-processed object 11 with a machining grindstone. Therefore, the cutting unit 52 can also be expressed as cutting the to-be-processed object 11 with the processing grindstone attached to the front-end|tip of the spindle 56. As shown in FIG.

절삭 블레이드(58)로서는, 예컨대, 금속 등을 포함하는 환형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절삭날이 일체로 되어 구성된, 허브 타입의 절삭 블레이드가 이용된다. 허브 타입의 절삭 블레이드의 절삭날은, 다이아몬드 및 입방정 질화붕소(cBN: cubic Boron Nitride) 등을 포함하는 지립(가공 지석)이 니켈 도금 등의 결합재에 의해 고정된 전기주조(電鑄) 지석에 의해 구성된다.As the cutting blade 58, for example, a hub-type cutting blade in which an annular base made of metal or the like and an annular cutting edg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ase are integrally formed is used. The cutting edge of the hub type cutting blade is formed by an electroforming grindstone in which abrasive grains (processed grindstone) containing diamond and cubic boron nitride (cBN), etc. are fixed with a binder such as nickel plating. is composed

또한, 절삭 블레이드(58)로서, 지립(가공 지석)이, 금속, 세라믹스 및 수지 등을 포함하는 결합재에 의해 고정된, 환형의 절삭날에 의해 구성되는, 와셔 타입의 절삭 블레이드를 이용해도 좋다.Further, as the cutting blade 58, a washer-type cutting blade in which abrasive grains (processed grindstone) are formed by an annular cutting edge fixed by a binder containing metal, ceramics,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절삭 블레이드(58)의 근방에는, 절삭액 공급 노즐(60)이 설치된다. 절삭액 공급 노즐(60)은, 절삭 블레이드(58)에 의해 피가공물(11)을 절삭할 때에 피가공물(11) 및 절삭 블레이드(58) 등에 절삭액(17)을 공급한다. 절삭액(17)은, 예컨대, 물이다.A cutting fluid supply nozzle 60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utting blade 58 . The cutting fluid supply nozzle 60 supplies the cutting fluid 17 to the workpiece 11 and the cutting blade 58 when cutting the workpiece 11 by the cutting blade 58 . The cutting fluid 17 is, for example, water.

절삭 유닛(52)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1)을 절삭할 때에는, 먼저, 피가공물(11)을 다공질판(24)의 상면(24a)에 접촉시킨다. 혹은, 피가공물(11)과 동등한 사이즈를 갖는 다이싱 테이프에 피가공물(11)을 부착한 후,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통해 피가공물(11)을 다공질판(24)의 상면과 접촉시켜도 좋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의 유입관(6)에 구동 유체를 공급한다.When cutting the to-be-processed object 11 using the cutting unit 52, first, the to-be-processed object 11 is made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24a of the porous plate 24.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after attaching the to-be-processed object 11 to the dicing tape which has the same size as the to-be-processed object 11, you may make the to-be-processed object 11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plate 24 via the said dicing tape. Then, the driving fluid is supplied to the inlet pipe 6 of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

이에 의해, 이젝터(2)에서 발생하는 부압은, 흡인로(4c) 및 연통로(18f) 및 연통로(22g)를 통해 척 테이블(20)의 유지면[다공질판(24)의 상면(24a)]에 작용한다. 그 결과, 피가공물(11)을 척 테이블(20)에 흡인,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ejector 2 passes through the suction path 4c, the communication path 18f, and the communication path 22g to the holding surface of the chuck table 20 (upper surface 24a of the porous plate 24). )].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attract and hold the workpiece 11 to the chuck table 20 .

계속해서, 스핀들(56)에 의해 절삭 블레이드(58)를 회전시키면서, 피가공물(11)이 절삭 블레이드(58)와 접촉하도록 테이블 베이스(18) 및 척 테이블(20)이 가공 이송 방향(도 5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피가공물(11)이 절삭되어, 홈이 형성된다.Subsequently, while rotating the cutting blade 58 by the spindle 56, the table base 18 and the chuck table 20 move in the machining feed direction (FIG. 5) so that the workpiece 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tting blade 58.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by, the to-be-processed object 11 is cut, and a groove|channel is form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 테이블(20)에 의해 흡인, 유지된 피가공물(11)을 절삭할 때에는, 피가공물(11) 및 절삭 블레이드(58) 등에 대해 절삭액 공급 노즐(60)로부터 절삭액(17)이 공급된다.As shown in FIG. 5 , when cutting the workpiece 11 sucked and held by the chuck table 20 , the cutting fluid supply nozzle 60 to the workpiece 11 and the cutting blade 58 , etc. Cutting fluid 17 is supplied.

여기서, 절삭액(1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판(24) 등을 통해, 연통로(18f) 및 연통로(22g)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연통로(18f) 및 연통로(22g)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의 본체부(4)의 흡인로(4c)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젝터(2)의 본체부(4)의 내부에 절삭액(17)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Here, the cutting fluid 17 may penetrate into the communication path 18f and the communication path 22g through the porous plate 24 etc., as shown in FIG. And,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18f and the communication path 22g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4c of the main body part 4 of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the ejector 2 The cutting fluid 17 may intrude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4 .

이에 대해, 이젝터(2)는, 유입관(6)의 복수의 개구(6b)로부터 본체부(4)의 내부로 구동 유체를 분사한다. 이에 의해, 이젝터(2)에 있어서는, 하나의 개구로부터 구동 유체를 분사하는 이젝터와 비교하여, 본체부(4)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상정되는 유로의 표면적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이젝터(2)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유체와 그 주위의 유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In contrast, the ejector 2 ejects the driving fluid from the plurality of openings 6b of the inflow pipe 6 into the body portion 4 . Accordingly, in the ejector 2 , the surface area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driving fluid is supposed to pass inside the main body 4 increases as compared with an ejector that ejects the driving fluid from one opening. Therefore, in the ejector 2,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fluid and the surrounding fluid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그 결과, 이젝터(2)를 갖는 절삭 장치(50)는, 본체부(4)의 내부에 액체가 침입하여 상기 구동 유체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침입한 액체에 의한 악영향이 저감된다. 즉, 이러한 경우라도 이젝터(2)의 흡인력의 저하가 억제되어, 절삭 장치(50)에 있어서의 절삭 시에 문제가 발생하는 개연성을 저감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cutting device 50 having the ejector 2 , even when liquid enter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4 and the flow of the driving fluid is inhibited,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 intruding liquid are reduced. . That is, even in such a case, the fall of the suction force of the ejector 2 is suppressed, and the probability that a problem arises at the time of cutting in the cutting device 50 can be reduced.

또한, 이젝터(2)는, 복잡한 기구를 갖는 대형의 장치가 아니며, 또한, 대량의 구동 유체를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다. 그 때문에, 이젝터(2)를 갖는 절삭 장치(50)를 이용함으로써, 피가공물(11)의 절삭을 저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jector 2 is not a large-scale device having a complicated mechanism, nor does it require a large amount of driving fluid. Therefore, by using the cutting device 50 having the ejector 2 , it is possible to cut the workpiece 11 at low cost.

또한, 이젝터(2)를 탑재 가능한 가공 유닛을 갖는 가공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을 행하는 절삭 유닛을 갖는 절삭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젝터(2)는, 예컨대, 피가공물의 표면을 스핀들의 선단에 장착된 가공 지석으로 연삭하는 연삭 유닛을 갖는 연삭 장치에 탑재되어도 좋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apparatus which has the processing unit which can mount the ejector 2 is not limited to the cutting apparatus which has a cutting unit which performs cutting as shown in FIG. The ejector 2 may be mounted, for example, on a grinding device having a grinding unit that grinds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with a processing grindstone mounted on the tip of the spindle.

연삭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의 표면에 액체가 공급되면서 연삭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이젝터(2)는, 이러한 연삭 장치에 탑재되는 이젝터로서도 바람직하다.In a grinding apparatus, grinding is generally performed while a liquid is supplied to the surface of a to-be-processed object. Therefore, the ejector 2 is suitable also as an ejector mounted on such a grinding device.

도 6은 척 테이블(또는 스피너 테이블)(88)의 유지면에서 흡인, 유지된 피세정물(21)을 세정하는 세정 장치(7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단, 도 6에 있어서는, 편의상, 구성 요소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구성 요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device 70 for cleaning the object to be cleaned 21 that is sucked and held on the holding surface of the chuck table (or spinner table) 88 . However, in FIG. 6 , for convenience, a part of the component is removed, and a cross section of the component is shown.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피세정물(21)로서, 격자형으로 홈이 형성된 원반형의 웨이퍼가 도시되어 있으나, 세정 장치(70)에 의해 세정되는 피세정물은, 이러한 피세정물(21)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정 장치(70)에 의해 세정되는 피세정물로서는, 예컨대, 이러한 홈이 형성되기 전의 원반형의 웨이퍼, 또는 상기 웨이퍼를 분할함으로써 제조되는 복수의 칩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6 , a disk-shaped wafer with grid-shaped grooves is shown as the object to be cleaned 21 , but the object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device 70 is the object to be cleaned 21 . is not limited to Examples of the object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device 70 include a disk-shaped wafer before such grooves are formed, or a plurality of chips manufactured by dividing the wafer.

세정 장치(70)는, 척 테이블(88)을 회전시키는 테이블 회전 유닛(84)을 갖는다. 테이블 회전 유닛(84)은, 예컨대, 연직 방향에 대략 평행한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축(94)을 갖는다. 축(94)의 측면에는, 축(94)의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 부재(126)가 연결된다.The cleaning apparatus 70 includes a table rotation unit 84 that rotates the chuck table 88 . The table rotation unit 84 has, for example, a shaft 94 which rotates about an axial cente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haft 94 is a cover member 126 that surrounds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shaft 94 .

축(94)의 일단에는, 척 테이블(88)이 연결된다. 척 테이블(88)의 표면측에는, 다공질판(88a)이 설치된다. 그리고, 축(94)의 축심은, 다공질판(88a)의 표면의 평면 방향에 대략 직교한다.A chuck table 88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94 . A porous plate 88a is provid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chuck table 88 . And the axial center of the shaft 94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porous plate 88a.

또한, 축(94)의 내부에는, 일단이 다공질판(88a)의 이면으로 통하는 연통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로의 타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의 본체부(4)의 흡인로(4c)에 연통된다. 즉, 상기 연통로는, 흡인로(4c)와 다공질판(88a)을 연통한다. 그 때문에, 이젝터(2)는, 흡인로(4c) 및 상기 연통로를 통해, 척 테이블(88)의 유지면[다공질판(88a)의 상면]에 연통된다.In addition, a communication path (not show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ous plate 88a is formed inside the shaft 94 .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th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th 4c of the main body 4 of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 That is, the communication path communicates the suction path 4c and the porous plate 88a. Therefore, the ejector 2 communicates with the holding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plate 88a) of the chuck table 88 via the suction path 4c and the communication path.

축(94)의 타단에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도시하지 않음) 및 에어 실린더 등의 승강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된다. 그 때문에, 척 테이블(88)은, 축(94)을 통해 전해지는 회전 구동원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척 테이블(88)은, 승강 구동원의 동력에 의해, 피세정물(21)이 반입 또는 반출되는 상방의 반입 반출 위치와, 하방의 세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한다.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94, a rotational driving source (not shown) such as a motor and a lifting/lowering driving source (not shown) such as an air cylinder are connected. Therefore, the chuck table 88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rotation drive source transmitted through the shaft 94 . In addition, the chuck table 88 is raised/lowered between the upper carry-in/out position where the object to be cleaned 21 is carried in or out and the lower cleaning position by the power of the raising/lowering drive source.

축(94)을 둘러싸는 위치에는, 세정액 받이 유닛(86)이 배치된다. 세정액 받이 유닛(86)은, 원통형의 외주벽(100a)과, 외주벽(100a)의 하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의 바닥벽(100b)과, 바닥벽(100b)의 내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주벽(100c)을 갖는다. 축(94)은, 내주벽(100c)의 내측을 통과한다. 내주벽(100c)의 외경은, 커버 부재(126)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척 테이블(88)이 세정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에는, 커버 부재(126)는, 내주벽(100c)을 외주측으로부터 둘러싼다.A cleaning liquid receiving unit 86 is disposed at a position surrounding the shaft 94 . The cleaning liquid receiving unit 86 includes a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wall 100a, an annular bottom wall 100b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100a, and an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bottom wall 100b. It has a cylindrical inner peripheral wall (100c) erected upwardly. The shaft 94 passes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100c.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100c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ver member 126, and when the chuck table 88 is lowered to the cleaning position, the cover member 126 moves the inner peripheral wall 100c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surround

바닥벽(100b)에는 배수구(104)가 형성되고, 배수구(104)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세정액 받이 유닛(86)에 세정액이 낙하하면, 세정액은 배수구(104)로부터 상기 배수로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척 테이블(88)이 세정 위치로 하강하면, 내주벽(100c)이 상기 커버 부재(126)에 둘러싸이기 때문에, 축(94)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거친 하방으로의 세정액의 비산이 억제된다.A drain 104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100b, and the drain 104 is connected to a drain (not shown) extending downward. When the cleaning liquid falls on the cleaning liquid receiving unit 86 ,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drain 104 through the drain passage to the outside. When the chuck table 88 is lowered to the cleaning position, since the inner peripheral wall 100c is surrounded by the cover member 126, the scattering of the cleaning liqui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94 passes is suppressed.

외주벽(100a)의 내측에는, 건조 유닛(108)이 배치된다. 건조 유닛(108)은, 바닥벽(100b)으로 삽입되는 파이프형의 축부(114)를 갖는다. 축부(114)는, 척 테이블(88)의 외측에서 상기 척 테이블(88)의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파이프형의 부재이다. 축부(114)의 상단은, 척 테이블(88)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도달하고, 아암부(112)에 접속된다. 축부(114)의 하단측에는 축부(114)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다.A drying unit 108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peripheral wall 100a. The drying unit 108 has a pipe-shaped shaft 114 inserted into the bottom wall 100b. The shaft portion 114 is a pipe-shaped member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chuck table 88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chuck table 88 . The upper end of the shaft portion 114 reach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chuck table 88 and is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112 . A rotation driving source (not shown) such as a motor for rotating the shaft portion 11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shaft portion 114 .

아암부(112)는, 축부(114)의 상단으로부터 척 테이블(88)의 중앙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파이프형의 부재이다. 아암부(112)의 연장 방향은, 축부(114)의 연장 방향에 대략 직교한다. 아암부(112)의 선단[축부(114)와 접속되지 않는 아암부(112)의 말단]에는, 하방을 향한 건조 노즐(110)이 설치된다. 축부(114)에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 공급원이 접속되고, 축부(114) 및 아암부(112)를 거쳐 건조 노즐(110)로부터 척 테이블(88)의 표면측으로 에어를 분출할 수 있다.The arm part 112 is a pipe-shaped member extending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shaft part 114 to the center of the chuck table 88 .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 part 112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aft part 114 . A drying nozzle 110 facing downward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arm portion 112 (the end of the arm portion 112 not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114 ). An air supply sourc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114 , and air can be blown from the drying nozzle 110 to the surface side of the chuck table 88 via the shaft portion 114 and the arm portion 112 .

외주벽(100a)의 내측에는, 건조 유닛(108)과의 사이에 내주벽(100c)을 끼우도록 세정 유닛(116)이 배치된다. 세정 유닛(116)은, 바닥벽(100b)으로 삽입되는 파이프형의 축부(122)를 갖는다. 축부(122)는, 척 테이블(88)의 외측에서 상기 척 테이블(88)의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파이프형의 부재이다. 축부(114)의 상단은, 척 테이블(88)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도달하고, 아암부(120)가 접속된다. 축부(122)의 하단측에는 축부(122)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이 접속된다.A cleaning unit 116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peripheral wall 100a so as to sandwich the inner peripheral wall 100c between the drying unit 108 and the drying unit 108 . The cleaning unit 116 has a pipe-shaped shaft 122 inserted into the bottom wall 100b. The shaft portion 122 is a pipe-shaped member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chuck table 88 along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chuck table 88 . The upper end of the shaft portion 114 reach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uck table 88 , and the arm portion 120 is connected thereto. A rotational drive source, such as a motor which rotates the shaft part 12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shaft part 122. As shown in FIG.

아암부(120)는, 축부(122)로부터 척 테이블(88)의 중앙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파이프형의 부재이다. 아암부(120)의 연장 방향은, 축부(122)의 연장 방향과 대략 직교한다. 아암부(120)의 선단[축부(122)와 접속되지 않는 아암부(120)의 말단]에는, 하방을 향한 세정 노즐(118)이 설치된다. 축부(122)에는, 도시하지 않은 세정액 공급원이 접속되고, 축부(122) 및 아암부(120)를 거쳐 세정 노즐(118)로부터 척 테이블(88)의 표면측으로 세정액을 분출할 수 있다.The arm part 120 is a pipe-shaped member extending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haft part 122 to the center of the chuck table 88 .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 part 120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aft part 122 . At the tip of the arm portion 120 (the end of the arm portion 120 not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122 ), a downward cleaning nozzle 118 is provided. A cleaning liquid supply sourc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122 , and the cleaning liquid can be ejected from the cleaning nozzle 118 to the surface side of the chuck table 88 via the shaft portion 122 and the arm portion 120 .

세정 장치(70)로 피세정물(21)을 세정할 때에는, 척 테이블(88)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피세정물(21)을 향해 세정 노즐(118)로부터 세정액(대표적으로는, 물과 공기를 혼합한 혼합 유체)을 분사한다. 그 후, 건조 노즐(110)로부터 피세정물(21)로 건조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세정액을 제거한다.When the cleaning device 70 cleans the object 21 to be cleaned, the cleaning liquid (typically water and air) flows from the cleaning nozzle 118 toward the object 21 while rotating the chuck table 88 at high speed. mixed fluid) is sprayed. Thereafter, dry air is sprayed from the drying nozzle 110 to the object to be cleaned 21 to remove the cleaning liquid.

여기서, 상기 세정액은, 척 테이블(88)의 다공질판(88a) 등을 통해, 축(94)의 내부에 형성된 연통로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젝터(2)의 본체부(4)의 흡인로(4c)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젝터(2)의 본체부(4)의 내부에 상기 세정액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Here, the cleaning liquid may enter the communication path formed inside the shaft 94 through the porous plate 88a of the chuck table 88 or the like. And,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4c of the main body 4 of the ejector 2 shown in FIGS. 1 and 2 , it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4 of the ejector 2 . The cleaning liquid may intrude.

이에 대해, 이젝터(2)는, 유입관(6)의 복수의 개구(6b)로부터 본체부(4)의 내부로 구동 유체를 분사한다. 이에 의해, 이젝터(2)에 있어서는, 하나의 개구로부터 구동 유체를 분사하는 이젝터와 비교하여, 본체부(4)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상정되는 유로의 표면적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이젝터(2)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유체와 그 주위의 유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In contrast, the ejector 2 ejects the driving fluid from the plurality of openings 6b of the inflow pipe 6 into the body portion 4 . Accordingly, in the ejector 2 , the surface area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driving fluid is supposed to pass inside the main body 4 increases as compared with an ejector that ejects the driving fluid from one opening. Therefore, in the ejector 2,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fluid and the surrounding fluid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그 결과, 이젝터(2)를 갖는 세정 장치(70)는, 본체부(4)의 내부에 액체가 침입하여 상기 구동 유체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침입한 액체에 의한 악영향이 저감된다. 즉, 이러한 경우라도 이젝터(2)의 흡인력의 저하가 억제되어, 세정 장치(70)에 있어서의 절삭 시에 문제가 발생하는 개연성을 저감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cleaning device 70 having the ejector 2 , even in the case where the liquid enter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4 and the flow of the driving fluid is inhibited, the adverse effect caused by the infiltrating liquid is reduced. . That is, even in such a case, a decrease in the suction force of the ejector 2 is suppressed, and the probability that a problem occurs during cutting in the cleaning device 70 can be reduced.

또한, 이젝터(2)는, 복잡한 기구를 갖는 대형의 장치가 아니며, 또한, 대량의 구동 유체를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다. 그 때문에, 이젝터(2)를 갖는 세정 장치(70)를 이용함으로써, 피세정물(21)의 세정을 저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jector 2 is not a large-scale device having a complicated mechanism, nor does it require a large amount of driving fluid. Therefore, by using the cleaning device 70 having the ejector 2 ,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leaning of the object to be cleaned 21 inexpensively.

11: 피가공물 17: 절삭액
21: 피세정물 2: 이젝터
4: 본체부 4a: 벽
4b: 벽 4c: 흡인로
6: 유입관 6a: 부분
6b: 개구(구멍) 6c: 벽
8: 유출관 8a: 수용구
8b: 부분 8c: 선단
20: 척 테이블 22: 프레임
22a: 오목부 22b: 하면
22c: 오목부 22d: 오목부
22e: 위치 결정 오목부 22f: 오목부
24: 다공질판 24a: 상면(유지면)
26: 링 부재 50: 절삭 장치
52: 절삭 유닛 56: 스핀들
58: 절삭 블레이드 60: 절삭액 공급 노즐
70: 세정 장치 84: 테이블 회전 유닛
86: 세정액 받이 유닛 88: 척 테이블(또는 스피너 테이블)
88a: 다공질판 94: 축
100a: 외주벽 100b: 바닥벽
100c: 내주벽 104: 배수구
108: 건조 유닛 110: 건조 노즐
112: 아암부 114: 축부
116: 세정 유닛 118: 세정 노즐
120: 아암부 122: 축부
126: 커버 부재
11: Workpiece 17: Cutting fluid
21: object to be cleaned 2: ejector
4: body part 4a: wall
4b: wall 4c: suction path
6: inlet pipe 6a: part
6b: opening (hole) 6c: wall
8: outlet pipe 8a: receiving port
8b: part 8c: tip
20: chuck table 22: frame
22a: recess 22b: lower surface
22c: recessed part 22d: recessed part
22e: positioning concave portion 22f: concave portion
24: porous plate 24a: upper surface (holding surface)
26: ring member 50: cutting device
52: cutting unit 56: spindle
58: cutting blade 60: coolant supply nozzle
70: cleaning device 84: table rotation unit
86: cleaning liquid receiving unit 88: chuck table (or spinner table)
88a: porous plate 94: shaft
100a: outer peripheral wall 100b: bottom wall
100c: inner peripheral wall 104: drain hole
108: drying unit 110: drying nozzle
112: arm part 114: shaft part
116: cleaning unit 118: cleaning nozzle
120: arm portion 122: shaft portion
126: cover member

Claims (4)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이젝터로서,
선단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구동 유체가 분사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상기 개구로부터 분사된 상기 구동 유체를 받아들이는 수용구를 상기 유입관의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갖는 유출관과,
상기 개구와 상기 수용구의 주위를 둘러싸고, 외부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로를 갖는 본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An ejector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an inlet pip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from which the driving fluid is injected;
an outlet pipe having a receiving port for receiving the driving fluid injected from the opening of the inlet pip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ip of the inlet pipe;
A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opening and the receiving port and having a suction path for sucking an external fluid
An eject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체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터.
According to claim 1,
The ej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fluid is a liquid.
표면에 디바이스가 형성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장치로서,
상기 피가공물을 유지하는 유지면을 갖는 척 테이블과,
상기 척 테이블에 유지된 상기 피가공물을 스핀들의 선단에 장착된 가공 지석으로 가공하는 가공 유닛과,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의 상기 흡인로와 상기 유지면을 연통(連通)하는 연통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workpiece having a device formed on its surface, th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huck table having a holding surface for holding the workpiece;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held on the chuck table with a processing grindstone mounted on a tip of a spindle;
The ej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ommunication path for communicating the suction path and the holding surface of the ejector
A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표면에 디바이스가 형성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장치로서,
상기 피세정물을 유지하는 유지면을 갖는 척 테이블과,
상기 척 테이블에 유지된 상기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유닛과,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의 상기 흡인로와 상기 유지면을 연통하는 연통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A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n object to be cleaned with a device formed on its surface, comprising:
a chuck table having a holding surface for hold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object to be cleaned held on the chuck table;
The ej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ommunication path for communicating the suction path and the holding surface of the ejector
A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KR1020210079953A 2020-07-02 2021-06-21 Eje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KR2022000395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14783 2020-07-02
JP2020114783A JP2022012736A (en) 2020-07-02 2020-07-02 Ejector, process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59A true KR20220003959A (en) 2022-01-11

Family

ID=7901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953A KR20220003959A (en) 2020-07-02 2021-06-21 Eje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12736A (en)
KR (1) KR20220003959A (en)
CN (1) CN113878735A (en)
TW (1) TW20221018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8024B (en) * 2024-03-08 2024-05-28 江苏京创先进电子科技有限公司 Jet block, jet device and dicing sa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098A (en) 2008-03-31 2009-10-22 Disco Abrasive Syst Ltd Method for grinding wafer
JP2010036275A (en) 2008-08-01 2010-02-18 Disco Abrasive Syst Ltd Cu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098A (en) 2008-03-31 2009-10-22 Disco Abrasive Syst Ltd Method for grinding wafer
JP2010036275A (en) 2008-08-01 2010-02-18 Disco Abrasive Syst Ltd Cu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0181A (en) 2022-03-16
CN113878735A (en) 2022-01-04
JP2022012736A (en)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452B2 (en) Processing apparatus
JP2007111840A (en) Cutting device
CN101659033A (en) Grinding wheel
KR102226224B1 (en) Wafer and wafer processing method
TWI823988B (en) polishing pad
KR20220003959A (en) Eje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US20190099855A1 (en) Polishing apparatus
JP7204318B2 (en) grinding wheel
JP2007083392A (en) Singulation apparatus
TWI397955B (en) The cutting device of the workpiece
JP2015193056A (en) Chuck table and grinding device
JP6534861B2 (en) Grinding device
KR20100011909A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JP2011110631A (en) Cutting device
TW201944480A (en) Polishing apparatus
US20190111537A1 (en) Workpiece grinding method
JP6012239B2 (en) Wafer processing method
TW202208079A (en) Workpiece cleaning method having a removing step for removing the cleaning liquid attach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workpiece
JP7295653B2 (en) chuck table
CN110867398B (en) Chuck table and wafer processing method
CN109420975B (en) Polishing pad
US20230234182A1 (en) Chuck table and grinding apparatus
KR20180093801A (en) Blade cover
JP7251899B2 (en) Workpiece processing method
JP2022012360A (en) C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