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855A -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855A
KR20220003855A KR1020200081609A KR20200081609A KR20220003855A KR 20220003855 A KR20220003855 A KR 20220003855A KR 1020200081609 A KR1020200081609 A KR 1020200081609A KR 20200081609 A KR20200081609 A KR 20200081609A KR 20220003855 A KR20220003855 A KR 2022000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body
mask
earring
unit
bo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수
Original Assignee
최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수 filed Critical 최재수
Priority to KR102020008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855A/ko
Publication of KR2022000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35Feeding or advancing
    • A41H43/0242Convey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movable tables 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 빈도가 높고 생산성 저하 요인이 있는 귀걸이 접합장치의 고장율과 불량율은 줄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또는 부착,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되는 마스크 소재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형성부와, 마스크 본체 형성부로부터 배출되는 마스크 본체를 마스크 귀걸이 접합장치로 투입시키는 투입부와, 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마스크 본체 양측부에 귀걸이를 접합하는 귀걸이 접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귀걸이 접합장치는,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 본체를 받아 배출컨베어 방향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부(77)와, 이송부(77)의 대략 중앙 양측에 설치되고 순차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의 양측에 귀걸이(1a)(1b)를 융착시켜 접합하는 귀걸이 접합부(78)와, 이송부 후단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1)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접합 귀걸이(1a)(1b)를 마스크 본체(1) 안쪽으로 접어 마스크의 포장이 쉽도록 하는 귀걸이 접힘부(79)와, 이송부(78)의 말단에 설치되고 완성된 마스크를 배출컨베어(76)로 낙하시키는 배출부(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Earring bonding device of mask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또는 부착,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를 배출 방향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부를 간단하게 구성하고, 교체가 쉽도록 함으로써 귀걸이 접합장치의 고장율과 불량율을 줄이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 먼지의 발생빈도와 발생농도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초래될 뿐 아니라, 호흡기 및 심장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황사나 미세먼지차단에 효과가 있는 보건용 마스크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상기 보건용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고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들이마시지 않게 하는 방진,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흡입이나 비산을 막아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로 유해 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기 등을 예방하는 보건 위생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동절기 혹한기에 코와 입 주위의 방한 및 보온을 통해 안면을 보호하는 용도의 일반 방한용 마스크와 구별된다.
한편,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호흡기 감염 질환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며, 근육통과 피로감, 설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무증상에 의한 감염 사례도 많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병원체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이며,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는 중국이 학계를 통해 공개한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자염기서열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박쥐 유래 유사 코로나바이러스와 가장 높은 상동성(89.1%)이 있고, 메르스와는 50%, 사스와는 77.5%의 상동성이 확인된 바 있다. 이후 감염 확산세가 이어지자, WHO는 1월 30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으며, 코로나19 확진자가 전 세계에서 속출하자 WHO는 3월 11일 홍콩독감(1968), 신종플루(2009)에 이어 사상 세 번째로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한 바 있으며,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를 꼼꼼히 하고, 외출하거나 실내외에 출입할 때 마스크 착용 등의 예방 수칙을 지키도록 권장하거나 강제하고 있다.
또한 사스,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2019 novel Coronavirus)와 같은 전염력이 강한 코로나(바이러스) 예방에 있어서, 특히 호흡기를 통한 감염이 문제시되고 있으며, 호흡기를 통한 비말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재로서는 마스크 착용이 최상의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마스크는 외부로 노출되는 겉감과, 안면에 밀착되는 안감과, 겉감과 안감 사이에 설치되는 정전필터(또는 지지체와 정전필터) 등으로 접합 구성되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접합되는 귀걸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 즉 코와 입 주변을 덮는 마스크 본체를 형성한 다음 후단에 위치하는 귀걸이 부착부로 이송시켜 마스크 본체 양측에 귀걸이를 접합시켜 완성하게 된다.
상기 귀걸이 접합장치는 자동화과정을 거치면서 공정 부하가 줄고 생산성이 많이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고장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고장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불량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귀걸이 접합장치가 고장나면 마스크 제조시스템 전체가 정지(Shutdown)되면서 마스크 생산에 큰 차질이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8054호(발명의 명칭: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2020. 04. 29.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9497호(발명의 명칭: 마스크 제조장치, 2006. 08. 09.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5606호(발명의 명칭: 보건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2020. 01. 14. 특허공고)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를 배출 방향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부를 간단하게 구성하고, 교체가 쉽도록 함으로써 귀걸이 접합장치의 고장율과 불량율을 줄이고, 생산성은 향상되도록 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는, 공급되는 마스크 소재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형성부와, 마스크 본체 형성부로부터 배출되는 마스크 본체를 마스크 귀걸이 접합장치로 투입시키는 투입부와, 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마스크 본체 양측부에 귀걸이를 접합하는 귀걸이 접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귀걸이 접합장치는,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 본체를 배출컨베어 방향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의 중앙 양측에 설치되고 순차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귀걸이를 접합하는 귀걸이 접합부와, 이송부 후단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접합 귀걸이를 마스크 본체 안쪽으로 접어 마스크의 포장이 쉽도록 하는 귀걸이 접힘부와, 이송부 말단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를 배출컨베어로 낙하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기대 상부에 복수의 지지봉으로 고정되고 마스크가 안착되는 안착판과, 안착판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의 안착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안착판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소정 폭의 통공과, 안착판의 전후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 통공과, 통공에 결합되고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이송판과, 이송판의 전후로 돌출되고 보조 통공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마스크 본체 지지부와, 기대의 길이방향 상부면에 설치되는 LM가이드와, LM가이드 상부에 설치되어 미끄럼 운동하는 평판과, 기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평판을 전후진시키는 왕복실린더와, 평판 일측에 고정되고 왕복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평판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승강실린더와,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고정되는 이송판과, 안착판과 이송판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과 소정 높이로 체결되는 칸막이부재와, 칸막이부재와 칸막이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마스크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는, 기대 상부에 고정되는 수직봉과, 수직봉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바와, 수평바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실린더와, 수평실린더의 바깥 방향으로 출몰하는 실린더로드와, 실린더로드 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송부로부터 전달되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지지부를 갖는 "ㄴ" 형상의 대칭 받침대와, 수평바의 중앙에 고정되고 받침대로 전달되는 마스크 본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시스템에서 고장빈도가 높고 생산성 저하 요인이 있는 귀걸이 접합장치를 안착판과 이송판으로 구성하여 순차 이송되게 함으로써 귀걸이 접합장치의 고장율과 불량율이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송부(77)는 안착판(83)과 이송판(88)으로 구성되어 마스크 본체(1)를 후단공정으로 효율적으로 순차 이송시키고, 정확하게 이송시켜 불량이 줄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를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에 분배(배분) 공급하되,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 중에서 고장난 귀걸이 접합장치는 수리될 때까지 마스크 본체(1)가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안적정인 동작과 더불어 셧다운(Shutdown)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직선 구간의 제1, 2, 3 이송부(6)(7)(8)를 증설시키고 직각 구간의 투입부(13)(14)(15)와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를 증설시켜 생산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귀걸이 접합장치가 고장 또는 의도적으로 정지되는 경우 동작중인 나머지 귀걸이 접합장치의 처리능력을 감안하여 마스크 본체 형성부의 형성 속도가 감속 제어되므로 과부하가 방지되고 추가 고장과 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의 채용으로 종래 마스크 제조기에 비하여 평면적이 축소되어 설치공간이 절약되며 적은 공간에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송부(77)를 구성하는 안착판(83)과 이송판(88)의 구성이 간단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전기에너지, 임대비, 유지보수 및 운영비 등이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평면 구성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정면 구성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이송부 및 투입부의 평면 구성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이송부 정면도로, 스토퍼가 하강한 상태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이송부 측면도로, 스토퍼가 하강한 상태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이송부 정면도로, 스토퍼가 상승한 상태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이송부 측면도로, 스토퍼가 상승한 상태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투입부 평면 확대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투입부 측면 구성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투입부 측면 구성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제어방법 흐름도.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귀걸이 접합장치 평면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송판 사시도.
도 1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안착판 사시도.
도 1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송판과 안착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기대에 설치된 왕복실린더와 완충구 및 LM가이드에 미끄럼 결합된 평판과, 평판에 고정된 복수의 승강실린더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송부 동작 상태 단면도로, 이송판이 안착판 위로 상승한 상태.
도 1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송부 동작 상태 단면도로, 이송판이 안착판 위로 상승한 상태에서 전진 이동한 상태.
도 1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송부 동작 상태 단면도로, 이송판이 안착판 밑으로 하강한 상태.
도 2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송부 동작 상태 단면도로, 이송판이 안착판 밑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후진 복귀한 상태.
도 2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귀걸이 접합부의 정면도.
도 2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배출부의 정면도로, 마스크 본체가 이송된 상태.
도 2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배출부의 정면도로, 이송된 마스크 본체가 카운트 되면서 컨베어벨트 위에 낙하 적재되는 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정면 예시도이고, 도 2는 그 평면 예시도로, 고장빈도가 높고 생산성 저하 요인이 있는 귀걸이 접합장치를 개량시켜 불량율과 고장율을 줄이고 생산성은 보다 향상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마스크 제조시스템은 마스크 본체(1)의 소재인 안감 및 겉감용 부직포와 정전필터와 코심 등을 각각 제공하는 소재공급부(2)와, 소재와 절단 코심을 합지하는 합지부(3)와, 합지된 소재를 접고 접합하고 절단하고 불요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마스크 본체(1)를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형성부(4)와, 형성된 마스크 본체(1)를 신속히(고속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5)와, 배출되는 마스크 본체(1)를 후단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로 연속 이송하는 제1, 2, 3 이송부(6)(7)(8)와, 제1, 2, 3 이송부(6)(7)(8)에 설치되는 제1, 2, 3 안착봉(19)(20)(21) 및 제 1, 2, 3 스토퍼와, 제1, 2, 3 안착봉(19)(20)(21)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1)의 안착을 감지하는 안착감지센서(19a)(20a)(21a)와, 제1, 2, 3 이송부(6)(7)(8)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1)를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로 낱개씩 투입 공급하는 복수의 투입부(13)(14)(15)와, 마스크 본체(1)의 양측에 귀걸이(1a)(1b)를 접합시키는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를 포함한다.
상기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와 투입부(13)(14)(15)는 설명의 편의상 3개로 후술하며, 상황 여건이나 운영상태에 2개이거나 3개를 초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직선 구간의 제1, 2, 3 이송부(6)(7)(8)를 증설시키고 직각 구간의 투입부(13)(14)(15)와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를 증설시켜 생산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2, 3 이송부(6)(7)(8) 간의 간격을 조절할 때 직선 구간인 제1, 2, 3 이송부(6)(7)(8)의 길이 또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는 마스크 본체 형성부(4)의 후단에 설치되며, 제어부(16)의 제어를 받는 기어드 모터와, 기어드 모터에 의해 회전 및/또는 이동하고 마스크 본체(1)를 제1 이송부(6)로 이송 배출시키는 컨베어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부(5)는 마스크 본체 형성부(4)에서 형성된 마스크 본체(1)가 배출될 때 배출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스크 본체(1)가 형성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제1 이송부(6)로 배출하게 된다. 이를테면 배출부(5)가 마스크 본체(1)를 배출시키는 속도는 마스크 본체(1)가 마스크 본체 형성부(4)에서 형성 및 배출되는 속도보다 1.2~2배 빠른 속도일 수 있다.
제1 이송부(6)와 제2 이송부(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1 이송부(6)에 의해 이송된 마스크 본체(1)가 안착하는 한 쌍의 제1 안착봉(19)이 축설치되며, 제2 이송부(7)와 제3 이송부(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2 이송부(7)에 의해 이송된 마스크 본체(1)가 안착하는 한 쌍의 제2 안착봉(20)이 축설치되며, 제3 이송부(8)의 후단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3 이송부(8)에 의해 이송된 마스크 본체(1)가 안착하는 한 쌍의 제3 안착봉(21)이 축설치된다.
한 쌍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1, 2, 3 안착봉(19)(20)(21) 사이에는 마스크 본체(1)의 안착을 감지하는 안착감지센서(19a)(20a)(21a)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안착봉(19)과 제2 이송부(7) 사이에는 실린더(22)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제1 스토퍼(23)가 설치되고, 제2 안착봉(20)과 제3 이송부(8) 사이에는 실린더(24)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스토퍼(25)가 설치되며, 제3 안착봉(21)의 후단에는 제3 스토퍼(26)가 제3 안착봉(21)보다 높게 고정되어 마스크 본체(1)가 제3 이송부(8)의 후단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2, 3 안착봉(19)(20)(21)은 마스크 본체(1)가 이송되거나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2, 3 이송부(6)(7)(8)의 컨베어벨트(6a)(7a)(8a)와 같은 높이로 축 설치되며, 제1, 2, 3 이송부(6)(7)(8)의 컨베어벨트(6a)(7a)(8a)를 회전시키는 기어드 모터(27)(28)(29)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기어드 모터(27)(28)(29)의 회전축에 각각 고정되는 타이밍풀리(27a)(28a)(29a)와, 제1, 2, 3 이송부(6)(7)(8)의 컨베어벨트(6a)(7a)(8a)의 구동축봉에 고정되는 타이밍풀리(6b)(7b)(8b)와, 상하 텐션롤러(31)(32)와, 제1, 2, 3 안착봉(19)(20)(21)의 축봉에 각각 고정되는 타이밍풀리(19a)(20a)(21a)와, 상기 타이밍풀리를 연결하는 엔드레스형 타이밍벨트(27a)(28a)(29a)를 포함하며, 따라서 제1, 2, 3 이송부(6)(7)(8)의 컨베어벨트(6a)(7a)(8a)와 제1, 2, 3 안착봉(19)(20)(21)이 같은 방향으로 연동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2, 3 이송부(6)(7)(8)는 제어부(16)의 제어를 받는 기어드 모터(27)(28)(29)와, 기어드 모터(27)(28)(29)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 및 피동축에 연결되는 엔드레스형 컨베어벨트(6a)(7a)(8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실린더(22)(24)에 의해 제1, 2 스토퍼(23)(25)가 하강해 있는 경우 제1 이송부(6)에 의해 후단으로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는 기어드모터(27)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제1 안착봉(19)을 지나 제2 이송부(7)로 이송되며, 제2 이송부(7)로 이송된 마스크 본체(1)는 기어드모터(28)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제2 안착봉(20)을 지나 제3 이송부(8)로 이송되며, 제3 이송부(8)로 이송된 마스크 본체(1)는 기어드모터(29)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제3 안착봉(21) 위로 이송되지만 상승 고정 상태의 제3 스토퍼(26)에 의해 정지한 상태로 안착된다.
한편, 마스크 본체(1)는 수g 내지 수십g으로 가벼운 상태이고, 컨베어벨트(6a)(7a)(8a) 위에 얹혀 이송되므로 고속 이동이 어려우며, 이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컨베어벨트(6a)(7a)(8a) 상부에 선후 롤러(33)(34)를 이격 설치하되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축설치하고, 선후 롤러(33)(34)의 외주연에 롤러(33)(34)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예컨대 2~5개의 요입홈을 등 간격 또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다음 오링벨트(35)를 걸어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가 자유회전하는 오링벨트(35)에 의해 하부 방향, 즉 컨베어벨트(6a)(7a)(8a)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이송되게 함으로써 슬립(slip)없이 고속 이송이 달성된다.
상기 컨베어벨트(6a)(7a)(8a)와 오링벨트(35) 사이의 높이(거리)는 마스크 본체(1)의 두께(높이)와 같거나 다소 낮게 설치된다.
상기 오링벨트(35)는 선후 롤러(33)(34)의 요입홈에 걸이되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링이거나 오링일 수 있으며, 약간의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과도한 처짐이 방지된다.
도 8은 투입부(13)(14)(15)의 평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9, 도 10은 그 측면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제1, 2, 3 이송부(6)(7)(8)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투입부(13)(14)(15)의 후단에는 귀걸이 접합장치(10)(11)(12)가 설치되며,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의 설치방향은 제1, 2, 3 이송부(6)(7)(8)와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투입부(13)(14)(15)는 제1, 2, 3 스토퍼(23)에 의해 제1, 2, 3 안착봉(19)(20)(21) 위에 정지된 각각의 마스크 본체(1)를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로 이송하고,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는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의 양측부에 귀걸이(1a)(1b)를 접합하고, 포장이 쉽도록 접합된 귀걸이(1a)(1b)를 안쪽으로 접어 완성시킨 다음 배출 및 포장하게된다.
상기 투입부(13)(14)(15)는 양측판(37)(38) 사이의 선단과 후단에 축봉(39)(40)이 축설치되고, 일측판(37)에는 기어드 모터(41)(42)가 고정되고, 일측판(37) 바깥으로 돌출된 축봉(39)(40)과 기어드 모터(41)(42)의 회전축에는 타이밍풀리(43)(44)(45)(46)가 각각 고정되고, 선단 축봉(39)에 고정된 타이밍풀리(44)와 기어드 모터(41)에 고정된 타이밍풀리(46)에는 타이밍벨트(47)를 걸어 일방향, 이를테면 도 9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후단 축봉(40)에 고정된 타이밍풀리(43)와 기어드 모터(42)에 고정된 타이밍풀리(45)에는 타이밍벨트(48)를 걸어 도 9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선단 축봉(39)의 외주연에는 2개의 고정링(49)을 끼우되 이격시켜 고정하고, 고정링(49)의 외주연 양측에는 길이가 길고 굵기가 가는 봉체(51)(52)를 끼워 고정하고, 봉체(51)(52)의 단부에는 절곡부(53)(54)를 구성하여 제1, 2, 3 안착봉(19)(20)(21)에 안착된 마스크 본체(1)를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단 축봉(40)의 양측에는 외주연에 복수의 요입홈, 예컨대 4개의 요입홈이 등간격 또는 소정 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된 롤러(55)(56)를 끼워 고정하고, 양측판(37)(38)의 내측면 선후부에도 복수의 요입홈, 예컨대 4개의 요입홈이 등간격 또는 소정 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된 선단 롤러(57)(58) 및 2개의 요입홈이 등간격 또는 소정 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된 후단 롤러(59)(60)를 자유회전하도록 축설치하고, 양측판(37)(38)의 내측면 하단에도 4개의 요입홈이 등간격 또는 소정 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된 하단 롤러(61)(62)를 자유회전하도록 축설치한다.
상기 롤러(55)(57)(61)에 형성된 외측 2개의 요입홈에는 오링벨트(63)를 걸어 설치하고, 상기 롤러(56)(58)(62)에 형성된 내측 2개의 요입홈에도 다른 오링벨트(64)를 걸어 설치하고, 상기 선단 롤러(57)(58)와 후단 롤러(59)(60)에 형성된 내측(양측판에 가까운쪽) 2개의 요입홈에는 또 다른 오링벨트(65)(66)를 걸어 설치된다.
상기 오링벨트(63)(64)(65)(66)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링이거나 오링일 수 있으며, 약간의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과도한 처짐이 방지되며, 기어드 모터(41)와 타이밍벨트(47)에 의해 회전하는 봉체(51)(52)에 의해 들어 올려진 다음 낙하하는 마스크 본체(1)를 받아 귀걸이 접합장치(10)(11)(12)가 위치하는 후단으로 이송하게된다.
상기 타측판(38)의 바깥으로 돌출된 선단 축봉(39)의 단부에는 돌부(67)(68)가 양측부에 형성된 피감지체(69)를 끼운 다음 고정시켜 선단 축봉(39)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고, 타측판(38)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부(67)(68)를 감지하는 근접센서(70)가 설치된다.
상기 봉체(51)(52)는 제1, 2, 3 안착봉(19)(20)(21)에 안착된 마스크 본체(1)를 떠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도 2, 도 3과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제1, 2, 3 안착봉(19)(20)(21)에 근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근접센서(70)에 의해 상하 돌부(67)(68)가 감지되는 지점에서 기어드 모터(41)가 정지되면서 봉체(51) 또는 다른 봉체(52)는 도 10과 같이 수평선보다 낮게 기울어진 상태로 정지된다.
상기 봉체(51)(52)의 정지 위치는 마스크 본체(1)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제1, 2, 3 안착봉(19)(20)(21)의 상부면 보다 낮은 위치이고, 정지 상태의 마스크 본체(1) 보다 낮은 위치이며, 봉체(51)(52)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53)(54)에 의해 봉체(51)(52)가 기울어지더라도 마스크 본체(1)가 선단 축봉(39)의 반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2, 3 이송부(6)(7)(8)에 의해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가 제1, 2, 3 스토퍼(23)(25)(26)에 의해 제1, 2, 3 안착봉(19)(20)(21)에 안착 정지되면 안착감지센서(19a)(20a)(21a)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6)로 전송하고, 제어부(16)는 기어드 모터(41)를 동작시켜 제1, 2, 3 안착봉(19)(20)(21) 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서 정지 및 대기하고 있던 봉체(51)가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면서 마스크 본체(1)를 들어올리게 되며, 들어 올려진 마스크 본체(1)는 계속 회전하는 봉체(51)를 따라 최고점까지 상승한 다음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기어드 모터(42)와 타이밍벨트(48)에 의해 계속 회전하고 있는 오링벨트(63)(64)(65)(66) 위로 떨어져 안착된 다음 오링벨트(63)(64)(65)(66)를 따라 후단으로 이송되고, 계속 회전하는 봉체(51)(52)의 돌부(67)(68)가 근접센서(70)에 감지되면서 다음번 마스크 본체(1)를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로 투입하기 위하여 정지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상기 후단 축봉(40)의 양측에 고정된 롤러(55)(56)와 후단 롤러(59)(60) 사이의 양측판(37)(38) 상부면에는 지지대(71)가 설치되고, 지지대(71)의 중앙부에는 실린더(72)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지지대(71) 하부로 돌출되는 실린더 로드 단부에는 마스크 본체(1)를 밀어 내리는 푸쉬(73)가 고정되고, 푸쉬(73) 상부 양측에는 지지대(71)에 미끄럼 결합되는 안내봉(74)이 설치되고, 일측판(37) 내측에는 근접센서(75)가 설치되어 오링벨트(63)(64)(65)(66)에 의해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를 감지하게된다.
상기 푸쉬(73)는 마스크 본체(1)와 비슷한 형상이지만 그 길이는 오링벨트(65)(66) 간의 이격거리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하강할 때 오링벨트(65)(66)와의 간섭이 방지되며, 따라서 오링벨트(63)(64)(65)(66)를 따라 후단으로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가 근접센서(75)에 의해 감지되면 실린더(72)의 로드가 순간적으로 돌출되고 푸쉬(73)가 하강하면서 양측 오링벨트(65)(66)의 상부에 양측 단부가 걸려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를 하강 낙하시킨 다음 다음번 푸싱을 위하여 상승 복귀하여 대기하게되며, 낙하하는 마스크 본체(1)는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의 안착부 위로 낙하하여 안착된 다음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를 순차 이송되면서 귀걸이(1a)(1b)가 접합되고, 포장이 쉽도록 접합된 귀걸이(1a)(1b)가 안쪽방향으로 접힌 다음 배출컨베어(77)를 따라 배출된다.
도 1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제어방법 흐름도로, 마스크 본체 형성부(4)로 마스크 소재를 공급하면(S1 단계), 마스크 본체(1)가 형성되며(S2 단계), 형성된 마스크 본체(1)는 배출부(5)에 의해 제1, 2, 3 이송부(6)(7)(8)로 이송되고(S3 단계), 제1 스토퍼(23)가 실린더(22)에 의해 상승하여 제1 이송부(6)로 이송된 마스크 본체(1)가 정지되고(S4 단계), 정지된 마스크 본체(1)가 제1 투입부(13)에 의해 제1 귀걸이 접합장치(10)로 투입된 다음 마스크 본체(1) 양측에 귀걸이(1a)(1b)가 접합되어 완성품 마스크가 배출되며(S5 단계), 상기 제1 스토퍼(23)가 실린더(22)에 의해 하강하고 제2 스토퍼(25)가 실린더(24)에 의해 상승하여 제2 이송부(7)로 이송된 마스크 본체(1)가 정지하면(S6 단계), 제2 투입부(14)에 의해 제2 귀걸이 접합장치(11)로 마스크 본체(1)가 투입된 다음 마스크 본체(1) 양측에 귀걸이(1a)(1b)가 접합되어 완성품 마스크가 배출되며(S7 단계), 상기 제1, 2 스토퍼(23)(25)가 실린더(22)(24)에 의해 하강하고 제3 이송부(8)로 이송된 마스크 본체(1)가 제3 스토퍼(26)에 의해 정지하면(S8 단계), 제3 투입부(15)에 의해 제3 귀걸이 접합장치(12)로 마스크 본체(1)가 투입된 다음 마스크 본체(1) 양측에 귀걸이(1a)(1b)가 접합된 완성품 마스크가 배출된다(S9 단계).
상기 제3 투입부(15)에 의해 제3 귀걸이 접합장치(12)로 마스크 본체(1)가 투입된 다음 마스크 본체(1) 양측에 귀걸이(1a)(1b)가 접합된 완성품 마스크가 배출되는 단계(S9 단계) 이후에, 제1 스토퍼(23)가 실린더(22)에 의해 상승하여 제1 이송부(6)로 이송된 마스크 본체(1)가 정지되는 단계(S4 단계)로 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로 마스크 본체(1)가 배분 공급되면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의 고장 및 과부하 등이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마스크 소재로 형성된 마스크 본체를 제1, 2, 3 이송부(6)(7)(8)로 이송하되, 복수의 투입부(13)(14)(15)를 이용하여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에 각각 투입하고, 고장난 귀걸이 접합장치는 수리될 때 까지 해당 투입부를 정지시켜 마스크 본체(1)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셧다운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 중 특정 귀걸이 접합장치가 고장이나 정지된 경우 정상 동작될 때 까지 마스크 본체 형성부(4) 전체를 구동시키는 모터(M)의 회전속도를 감속 제어함으로써 고장이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세 개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중 한 개의 귀걸이 접합장치가 고장인 경우 고장난 귀걸이 접합장치가 수리, 복구에 의해 정상 동작할 때 까지 상기 모터(M)의 회전속도가 정상 속도보다 2/3로 감속 제어(PLC 제어, 인버터 제어 등)되게 함으로써 정상 동작하는 두 대의 귀걸이 접합장치로 투입되는 마스크 본체(1)의 투입 속도가 정상 유지되며, 따라서 정상 동작중인 귀걸이 접합장치의 고장이나 과부하 및 동작 불량 등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직선 구간의 제1, 2, 3 이송부(6)(7)(8)를 증설시키고 직각 구간의 투입부(13)(14)(15)와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를 증설시켜 생산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크 본체(1)는 귀걸이(1a)(1b)를 제외한 부분을 뜻하며,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에서 마스크 본체(1) 양측에 소정 길이의 귀걸이(1a)(1b)가 접합되면서 마스크 제조가 완성되며, 완성된 마스크는 포장이 쉽도록 귀걸이(1a)(1b)가 접어진 상태로 배출되며, 포장되는 마스크는 판매처, 수요처 또는 소비자에게 공급되어 사용된다.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를 예시한 것으로, 투입부(13)(14)(15)에 의해 투입되는 마스크 본체(1)를 후단의 배출컨베어(76)로 순차 이송하면서 귀걸이(1a)(1b)가 접합(또는 부착, 접착)되고, 포장이 쉽도록 접합된 귀걸이(1a)(1b)를 안쪽(마스크 본체의 중앙 방향)으로 접어 마스크를 완성한 다음 배출 및 포장하게된다.
상기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는, 투입부(13)(14)(15)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 본체(1)를 받아 배출컨베어(76) 방향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부(77)와, 이송부(77)의 대략 중앙 양측에 설치되고 순차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의 양측에 소정길이로 절단 공급되는 귀걸이(1a)(1b)를 융착시켜 접합하는 귀걸이 접합부(78)와, 이송부 후단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1)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접합 귀걸이(1a)(1b)를 마스크 본체(1) 안쪽으로 접어 마스크의 포장이 쉽도록 하는 귀걸이 접힘부(79)와, 이송부(78)의 말단에 설치되고 완성된 마스크를 배출컨베어(76)로 낙하시키는 배출부(80)와, 낙하되는 마스크를 포장이 쉽도록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어(76)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77)는, 기대(81) 상부에 복수의 지지봉(82)으로 고정되고 복수의 마스크 본체(1)가 소정간격으로 나열(안착)되는 안착판(83)과, 최선단 안착판(83)에 설치되고 투입부(13)(14)(15)로부터 투입되는 마스크 본체(1)의 안착을 감지하는 근접센서(75)와, 안착판(83)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소정 폭의 통공(85)과, 안착판(83)의 전후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85)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 통공(86)과, 상기 통공(85)에 결합되고 승강실린더(87)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긴 길이의 이송판(88)과, 상기 이송판(88)의 전후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보조 통공(86)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마스크 본체(1) 지지부(89)와, 기대(81)의 길이방향 상부면에 설치되는 LM가이드(90)와, LM가이드(90) 상부에 설치되어 미끄럼 운동하는 평판(91)과, 기대(8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평판(91)을 전후진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실린더(92)와, 평판(91) 일측에 고정되고 왕복실린더(92)의 로드 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93)과, 평판(91) 상부면에 브라켓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승강실린더(87)와, 승강실린더(87)의 로드 단부에 저부면이 고정되는 이송판(88)과, 안착판(83)과 이송판(88)에 상부면에 소정 간격과 소정 높이로 체결되는 칸막이부재(94)(95)와, 칸막이부재(94)(95)와 칸막이부재(94)(95) 사이에 형성되는 마스크 안착부(96)(97)를 포함한다.
상기 기대(81)에 설치되는 완충구(9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구(99)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왕복실린더(92)의 동작이나 과도한 동작을 완충시킨다.
상기 이송판(88)에는 복수의 장공(98)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경량화 할 수 있으며 승강실린더(87)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1)의 이송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칸막이부재(94)(9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소정기울기의 경사면(94a)(95a)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94a)(95a)에 의해 낙하하거나 안착하는 마스크 본체(1)가 유동하지 않고 안착부(96)(97)로 정확히 이송되어 귀걸이(1a)(1b) 접합 위치 불량이 방지되며 귀걸이(1a)(1b)의 접힘 불량 또한 방지된다.
도 13은 이송부(77)를 구성하는 이송판(88)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기대(81)에 고정된 안착판(83)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이송판(83)이 안착판(83)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기대(81)에 설치된 왕복실린더(92)와 완충구(99) 및 LM가이드(90)에 미끄럼 결합된 평판(91)과, 평판(91)에 고정된 복수의 승강실린더(87)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7 내지 도 20은 이송부(77)의 동작 상태를 단면으로 예시한 것이다.
상기 이송부(77)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승강실린더(87)의 하강 동작에 의해 이송판(88)이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투입부(13)(14)(15)로부터 낙하하는 마스크 본체(1)가 최선단 안착부(96)(97)에 안착하면 근접센서(75)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6)로 입력하고 승강실린더(87)가 상승 동작하여 도 17과 같이 이송판(88)이 안착판(83) 위로 수직 상승하면서 안착부(97)와 지지부(89)에 안착해 있는 마스크 본체(1)를 위로 들어 올리게 되며, 이송판(88)과 마스크 본체(1)가 상승된 상태에서 왕복실린더(92)가 전진 동작하면 도 18과 같이 LM가이드(90)에 설치된 평판(91)이 전진 동작하고, 평판(91)에 고정된 승강실린더(87) 또한 전진하게 되므로 승강실린더(87)의 로드 단부에 고정된 이송판(88) 및 이송판(88)의 안착부(97)와 지지부(89)에 안착된 마스크 본체(1)가 후단 안착부(96) 위로 전진 이동하고, 이어 승강실린더(87)가 하강 동작하면서 도 19와 같이 이송판(88)이 안착판(83) 밑으로 수직 하강하고 이송판(88)의 안착부(97)와 지지부(89)에 안착해 있던 마스크 본체(1)는 안착판(83)의 안착부(96) 위체 안착하여 1칸 전진 이송이 달성되며, 이어 왕복실린더(92)의 후진 동작에 의해 도 20과 같이 LM가이드(90)에 설치된 평판(91)이 후진 동작하고, 평판(91)에 고정된 이송판(88)이 후진 복귀하는 과정의 반복으로 마스크 본체(1)가 1칸씩 전진 이송되며, 귀걸이 접합부(78)에서 마스크 본체(1)의 양측에 귀걸이(1a)(1b)가 접합되고, 귀걸이 접힘부(79)에서 접합된 귀걸이(1a)(1b)가 마스크 본체(1)의 안쪽으로 접힘되고, 배출부(80)에서 배출컨베어(76)로 낙하 배출된다.
도 21은 상기 귀걸이 접합부(78)의 정면도이고, 도 15의 119, 120은 마스크 본체(1)의 양측에 귀걸이(1a)(1b)를 초음파 융착하는 초음파혼이고, 124는 실린더(123)에 의해 승강하면서 귀걸이(1a)(1b) 단부를 마스크 본체(1)에 압지시키는 압지구이다.
도 22와 도 23은 이송부(77)의 후단과 배출컨베어(76)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부(80)를 예시한 것으로, 기대(81) 상부에 고정되는 수직봉(801)(802)과, 수직봉(801)(802)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바(803)와, 수평바(803)의 상부면(또는 저부면)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실린더(804)(805)와, 수평실린더(804)(805)의 바깥 방향으로 출몰하는 실린더로드(806)(807)와, 실린더로드(806)(807) 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송부(77)로부터 전달되는 마스크 본체(1)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지지부(808)(809)를 갖는 "ㄴ" 형상의 대칭 받침대(810)(811)와, 수평바(803)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받침대(810)(811)로 전달되는 마스크 본체(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1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실린더(804)(805)의 오무림 동작에 의해 도 22와 같이 실린더로드(806)(807)가 몰입되면서 양측 받침대(810)(811)가 가까워지면(오무려지면) 이송판(88)의 상승 전진 동작에 의해 최후단에 안착되어 있던 마스크 본체(1)가 수평바(803)와 수평지지부(808)(809)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게되며, 이송판(88)이 하강 복귀하면 마스크 본체(1)의 양측부가 수평지지부(808)(809)의 상부면에 얹힌 상태로 지지되며, 감지센서(812)가 마스크 본체(1)를 감지하면 도 23과 같이 수평실린더(804)(805)의 벌림 동작에 의해 실린더로드(806)(807)가 돌출되면서 양측 받침대(810)(811)가 벌어지게 되므로 마스크 본체(1)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배출컨베어(76) 위에 안착하게되고, 마스크 본체(1)의 낙하에 의해 감지센서(812)가 마스크 본체(1)를 감지하지 못하게되므로 수평실린더(804)(805)의 오무림 동작에 의해 도 22와 같이 실린더로드(806)(807)가 몰입되면서 양측 받침대(810)(811)가 가까워지면서(오무려지면서) 다음번 마스크 본체(1)를 배출할 수 있도록 대기하게된다.
상기 감지센서(812)는 카운터 기능과 배출컨베어(76)를 단속(동작)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예컨대, 배출부(80)에 의해 배출되는 마스크 본체(1)의 개수를 카운터하되 설정된 개수에 도달할 때까지 배출컨베어(76)를 정지시키고,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배출컨베어(76)가 구동하여 배출컨베어(76)에 적재된 마스크 본체(1)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도 23과 같이 배출되는 마스크 본체(1)를 일정개수, 또는 포장 단위로 적재시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설명 부호 180은 지지판이고, 181은 기대를 구성하는 프로파일이나 프레임이고, 182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받침대이고, 183은 본 마스크 제조시스템을 이동하기 위한 캐스터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시스템에서 고장빈도가 높고 생산성 저하 요인이 있는 귀걸이 접합장치를 안착판과 이송판으로 구성하여 순차 이송되게 함으로써 귀걸이 접합장치의 고장율과 불량율이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이송부(77)는 안착판(83)과 이송판(88)으로 구성되어 마스크 본체(1)를 후단공정으로 효율적으로 순차 이송시키고, 정확하게 이송시켜 불량이 줄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1)를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에 분배(배분) 공급하되,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 중에서 고장난 귀걸이 접합장치는 수리될 때까지 마스크 본체(1)가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안적정인 동작과 더불어 셧다운(Shutdown)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직선 구간의 제1, 2, 3 이송부(6)(7)(8)를 증설시키고 직각 구간의 투입부(13)(14)(15)와 귀걸이 접합장치(10)(11)(12)를 증설시켜 생산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귀걸이 접합장치(10)(11)(12)의 채용으로 종래 마스크 제조기에 비하여 평면적이 축소되어 설치공간이 절약되며 적은 공간에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송부(77)를 구성하는 안착판(83)과 이송판(88)의 구성이 간단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전기에너지, 임대비, 유지보수 및 운영비 등이 절감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마스크 본체 (2)--소재공급부
(3)--합지부 (4)--마스크 본체 형성부
(5)--배출부 (6)(7)(8)--제1, 2, 3 이송부
(10)(11)(12)--귀걸이 접합장치 (6a)(7a)(8a)--컨베어벨트
(6b)(7b)(8b)(19a)(20a)(21a)(27a)(28a)(29a)(43)(44)(45)(46)--타이밍풀리
(13)(14)(15)--투입부 (16)--제어부
(27)(28)(29)(41)(42)--기어드 모터 (19)--제1 안착봉
(19a)(20a)(21a)--안착감지센서 (20)--제2 안착봉
(21)--제3 안착봉 (22)(24)(72)--실린더
(23)--제1 스토퍼 (25)--제2 스토퍼
(26)--제3 스토퍼
(27a)(28a)(29a)(47)(48)--타이밍벨트 (31)(32)--텐션롤러
(33)(34)(55)(56)(57)(58)(59)(60)(61)(62)--롤러
(35)(63)(64)(65)(66)--오링벨트 (37)(38)--양측판
(39)(40)--축봉 (49)--고정링
(51)(52)--봉체 (53)(54)--절곡부
(55)(56)--롤러 (57)(58)--선단 롤러
(59)(60)--후단 롤러 (61)(62)--하단 롤러
(67)(68)--돌부 (69)--피감지체
(70)--근접센서 (71)--지지대
(73)--푸쉬 (74)--안내봉
(75)--근접센서 (76)--배출컨베어
(77)--이송부 (78)--귀걸이 접합부
(79)--귀걸이 접힘부 (80)--배출부
(81)--기대 (82)--지지봉
(83)--안착판 (85)--통공
(86)--보조 통공 (87)--승강실린더
(88)--이송판 (89)--지지부
(90)--LM가이드 (91)--평판
(92)--왕복실린더 (93)--브라켓
(94)(95)--칸막이부재 (94a)(95a)--경사면
(96)(97)--안착부 (98)--장공
(99)--완충구

Claims (6)

  1. 공급되는 마스크 소재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형성부;
    마스크 본체 형성부로부터 배출되는 마스크 본체를 마스크 귀걸이 접합장치로 투입시키는 투입부;
    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마스크 본체 양측부에 귀걸이를 접합하는 귀걸이 접합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귀걸이 접합장치는,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 본체를 배출컨베어 방향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부의 중앙 양측에 설치되고 순차 이송되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귀걸이를 접합하는 귀걸이 접합부;
    이송부 후단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접합 귀걸이를 마스크 본체 안쪽으로 접어 마스크의 포장이 쉽도록 하는 귀걸이 접힘부;
    이송부 말단에 설치되고 마스크를 배출컨베어로 낙하시키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기대 상부에 복수의 지지봉으로 고정되고 마스크가 안착되는 안착판;
    안착판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의 안착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안착판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소정 폭의 통공;
    안착판의 전후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 통공;
    통공에 결합되고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이송판;
    이송판의 전후로 돌출되고 보조 통공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
    기대의 길이방향 상부면에 설치되는 LM가이드;
    LM가이드 상부에 설치되어 미끄럼 운동하는 평판;
    기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평판을 전후진시키는 왕복실린더;
    평판 일측에 고정되고 왕복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
    평판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승강실린더;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고정되는 이송판;
    안착판과 이송판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과 소정 높이로 체결되는 칸막이부재;
    칸막이부재와 칸막이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마스크 안착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접합부는,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접힘부는,
    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배출부는,
    기대 상부에 고정되는 수직봉;
    수직봉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바;
    수평바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실린더;
    수평실린더의 바깥 방향으로 출몰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 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송부로부터 전달되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지지부를 갖는 "ㄴ" 형상의 대칭 받침대;
    수평바의 중앙에 고정되고 받침대로 전달되는 마스크 본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배출부 후단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어;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KR1020200081609A 2020-07-02 2020-07-02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KR20220003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609A KR20220003855A (ko) 2020-07-02 2020-07-02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609A KR20220003855A (ko) 2020-07-02 2020-07-02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855A true KR20220003855A (ko) 2022-01-11

Family

ID=7935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609A KR20220003855A (ko) 2020-07-02 2020-07-02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85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497B1 (ko) 2004-09-02 2006-08-09 이용철 마스크 제조장치
KR102055606B1 (ko) 2019-02-28 2020-01-14 용환기 보건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108054B1 (ko) 2013-12-12 2020-05-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497B1 (ko) 2004-09-02 2006-08-09 이용철 마스크 제조장치
KR102108054B1 (ko) 2013-12-12 2020-05-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55606B1 (ko) 2019-02-28 2020-01-14 용환기 보건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62588B (zh) 用于在生产线中制造面罩的方法和系统
CN109998829A (zh) 一种心胸外科临床护肺装置
KR20220000048A (ko) 셧다운이 방지되는 마스크 제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03855A (ko) 마스크 제조시스템의 귀걸이 접합장치
CN108046025A (zh) 一种改进的用于淋膜纸的复卷机
CN110355689A (zh) 一种磨簧机的自动上料装置
CN210312514U (zh) 一种机械式自动翻片装置
US8931630B2 (en) Quick access allergen cleaning open frame conveyors
CN106726258A (zh) 一种带有可自行清洁的重症监护儿童床
CN109464245A (zh) 一种儿科集成式监护抢救装置
CN205327520U (zh) 一种用于卫生用品生产线的理片装置
CN209720825U (zh) 一种传送带上的筐体清洁装置
US6035998A (en) Dual sensor trigger assembly for live roller conveyors
CN205434164U (zh) 多功能气垫
CN106959311A (zh) 一种用于含骨鱼肉片的检测设备及方法
CN205582076U (zh) 基于慧鱼技术的小额钱币整理计数装置
CN106184933A (zh) 一种胶囊数粒装瓶机
CN213069970U (zh) 一种自助口罩机
CN205436348U (zh) 一种输液药瓶检测分类装置
CN217043529U (zh) 一种用于卷烟条包分拣激光打码保护装置
CN109498281A (zh) 悬浮芯纸尿裤的生产装置
KR102429342B1 (ko) 위생용품 제조장치
KR102279841B1 (ko) 무늬 열전사 구조를 갖는 마스크 제조장치
CN206434506U (zh) 一种内科护理用排泄物清洁处理装置
CN209779289U (zh) 吸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