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831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831A
KR20220003831A KR1020200081552A KR20200081552A KR20220003831A KR 20220003831 A KR20220003831 A KR 20220003831A KR 1020200081552 A KR1020200081552 A KR 1020200081552A KR 20200081552 A KR20200081552 A KR 20200081552A KR 20220003831 A KR20220003831 A KR 2022000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ransparent electrode
blender
electrode film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경수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831A/ko
Priority to PCT/KR2021/005669 priority patent/WO2022005007A1/ko
Priority to EP21831599.2A priority patent/EP4176782A4/en
Priority to US17/921,104 priority patent/US20230157486A1/en
Publication of KR2022000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A47J43/0777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in which the activating element on the cover transmits a signal to a safety device in the base element via the mixing bowl removably seated on this base element, e.g. pin on the cover moves a pushrod in the bowl handle to operate safety switch in the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60Safety arrangements
    • B01F35/605Safety device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mixer
    • B01F35/6052Safety device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mixer with locking, blocking or interlocking mechanisms for preventing operation of the actuation mechanism of the mix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1805Kitchen, household equipment for 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필름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뚜껑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용기의 상방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감지시스템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전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투명전극필름을 포함한다.. 따라서,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조립 불량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렌더{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필름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뚜껑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blender)는 믹서기 또는 분쇄기 등으로 일컫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칼날이 회전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잘게 자르는 용도로 주로 쓰인다.
통상의 블렌더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가 하측에 위치하고, 이러한 본체의 상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가 안착되며, 용기 내부에는 음식물을 파쇄하거나 잘게 자르기 위한 블레이드(칼날)이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에 음식물 등과 같은 썰기 위한 식품을 넣은 후, 본체의 조작버튼이나 노브 등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은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썰게 된다.
이러한 블렌더는 근래 직장인의 바쁜 일상 및 음식물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의 욕구와 부합하여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즉, 소형의 핸드블렌더가 개발되기도 하고, 좀 더 크기가 큰 대용량 또는 고속으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하는 블렌더 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블렌더의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 재료가 더 신선한 상태에서 가공될 수 있도록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음식물을 절개하거나 분쇄하도록 하는 진공블렌더가 개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블렌더에서 갈수록 강조되는 것은, 기기에 의해 가공된 음식물의 맛이나 영양 문제와 더불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가의 문제이다. 즉,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블레이드의 회전이 일어나게 되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외부로 튕겨져 나와 비산되는 것은 물론이고, 어린아이 등이 용기 내부에 손을 넣거나 하는 경우에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뚜껑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등록특허 US6910800에서와 US7871196에는 용기와 본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누름부재(push rod)를 설치하여 용기에 뚜껑이 닫힐 때 뚜껑이 누름부재를 누르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등록특허 US6910800에서는 용기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링크를 형성함으로써, 상측의 뚜껑이 닫힐 때 뚜껑의 돌기가 링크 상단을 하측으로 눌러 링크의 하단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기구적으로 용기의 뚜껑 닫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국 등록특허 US7871196에서는 용기의 상하로 뚜껑 닫힘을 전달하는 링크가 용기 측면에 구비되는 대신, 용기의 손잡이 내부에 구비된다. 즉,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푸시로드(push rod)를 손잡이 내부의 그루브(groove)에 설치하여 상측으로부터 뚜껑의 닫힘에 의해 푸시로드(push rod)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측에 구비된 하부스위치가 푸시로드(push rod)에 의해 활성화되어 뚜껑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별도의 누름부재나 푸시블럭(push block) 등이 설치되어야 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링크나 푸시로드(push rod)를 길이에 맞춰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조 및 조립이 어려울 뿐 아니라, 잦은 사용에 따른 마모나 파손에 의한 감지기능 상실 그리고, 상당히 긴 길이를 가지는 링크나 푸시로드(push rod)의 비틀림이나 굽힘 등에 의한 감지 불능(신호전달 불능)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누름부재와 누름감지부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누름감지부에 투습 또는 음식물에 의한 오염발생의 여지가 있으며, 용기의 누름부재와 본체의 누름감지부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용기를 특정방향으로만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기구적 구조물(또는 전선)을 이용하여 용기의 상하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구조에서는, 용기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하는 경우 적어도 용기의 일부는 불투명으로 하여 전달기구나 전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야 하므로 디자인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 미국공개특허 US20180020875에는 본체에 한쌍의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이 배치되고 이들 코일에 대응되도록 용기에 한쌍의 수신코일과 송신코일이 배치되며,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본체의 송신코일을 통해 용기의 수신코일로 전력이 전달되고 다시 용기의 송신코일을 통해 본체의 수신코일로 전력이 전달되어 본체가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식하는 인터록킹 블렌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미국공개특허 US20180020875에는 용기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푸시로드(push rod)가 설치되어 뚜껑(Lid)의 감지신호를 용기 하측으로 기구적으로 전달하는 외에, 뚜껑(Lid)의 에 의해 컨테이너 상측의 스위치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컨테이너 하부까지 연결된 회로가 닫힘 또는 개방됨에 따라 베이스로 신호 전달 허용 또는 불허용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용기 상단부의 2개의 스위치 연결 및 용기 상하단 사이의 전기 신호 전달을 위해 연결선(connection wire)이 각각 용기의 상단 둘레와 용기의 상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선(connection wire)이 용기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거나 용기의 측면에 상하로 설치됨에 따라 투명 재질의 용기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선(connection wire)이 용기의 표면에 설치되어 간섭에 의해 절단되거나, 투명한 용기에 유색의 연결선(connection wire)이 설치됨으로써 디자인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6910800 미국 등록특허 US7871196 미국 공개특허 US2018002087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뚜껑 닫힘 감지신호를 전기적으로 본체에 전달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려한 미감과 부드러운 촉감 및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전극필름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전극필름이 조립 작업시 당김이나 기타 외력이 작동하는 경우에도 물리적 손상이 방지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뚜껑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이 용기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투명 용기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고 용기 상단의 신호가 하단으로 전달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전달부재가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투명전극필름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부재가 베이스필름에 인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투명전극필름에서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부재가 커버필름에 의해 감싸여지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이 접착기능을 가지는 고정부재에 의해 용기에 부착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이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절단이나 두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투명전극필름에는 외력에 의한 저항력을 보완하기 위한 지지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투명전극필름에서는 벤딩에 의한 파손이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의 투명전극필름에서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본 발명의 투명전극필름은 후크(hook) 체결방식에 의해 용기 등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용기의 상방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감지시스템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전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투명전극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필름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재와, 상기 전달부재가 인쇄되는 베이스필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재의 일측에는, 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커버필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이 상기 용기에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접착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접착부재의 일면은, 상기 커버필름의 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재와 커버필름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전달부재와 커버필름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재의 끝단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은,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까지 서로 연결된 단일 부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은, 상기 용기에 부착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메인부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절곡부에는, 외력에 의한 저항력을 보완하기 위한 지지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메인부와 제1절곡부 간의 벤딩에 의한 파손이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찢김방지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에는,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은, 후크(hook) 체결방식에 의해 상기 용기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에는, 후크(hook)가 삽입되는 후크홈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닫힘 여부에 따라 용기에 형성되는 전기회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전기적으로 뚜껑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기구적인 감지에 비해 장기간 사용에도 정확한 감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링크나 푸시로드(push rod)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변형이나 파손 등으로 인한 작동오류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둘, 본 발명에서는 투명 용기의 표면에 상하로 투명전극필름이 부착되어 용기의 상하로 전기가 도통하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투명 용기의 외관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뚜껑 감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용기의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된다.
셋,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과 영구자석 및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용기 상단의 뚜껑 감지신호가 하측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처럼 링크나 푸시로드(push rod)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며, 누름부재나 누름감지부가 불필요하므로 가볍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넷,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이 하나의 단일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의 부품으로 나누어져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외부의 인장력 등에 강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다수의 부품으로 나뉘어져 연결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당김 등의 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이음부에서 파단이나 파손이 일어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절개 위험성(Risk)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재가 위치된다. 따라서, 전기 흐름을 안내하는 전달부재가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으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 본 발명에서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재가 베이스필름에 인쇄된다. 따라서,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마찰에 의해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위험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일곱,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은 카본(Carbon)코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투명전극필름의 연결부분에서의 부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여덟,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에 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투명전극필름이 용기 등에 잘 부착되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저향력이 보완되는 장점이 있다.
아홉,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의 지지부에 찢김방지홈이 형성되다. 따라서, 투명전극필름은 벤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도 파손이나 찢김이 예방되는 장점이 있다.
열,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의 끝단부 등에 별도의 보강편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투명전극필름의 강성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얼하나,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은 후크(hook) 체결방식에 의해 용기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품의 진동이나 충격 또는 작업자의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투명전극필름의 탈거나 이탈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열둘,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에는 후크(hook)의 돌기가 삽입되는 후크홈이 관통 형성되므로, 투명전극필름의 결합시 후크커넥터의 후크(hook) 돌기가 후크홈에 삽입되면 '딸깍'하는 삽입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명전극필름의 끝단 연결의 완성 상태(정상 체결 여부)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조립 불량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재가 커버필름 등에 의해 감싸여진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조립이나 사용시 구조적으로 외부 간섭으로 인한 손상이나 충격에 강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투명전극필름은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끝단은 후크(hook)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인장력에 의해 찢어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투명전극필름이 제위치를 벗어나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용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용기에 장착되는 투명전극필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명전극필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투명전극필름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명전극필름의 제1절곡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명전극필름의 제2절곡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명전극필름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명전극필름과 전력수신수단 및 감지센서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명전극필름과 전력수신수단 및 감지센서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후크커넥터에 투명전극필름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후크커넥터로부터 투명전극필름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와 종단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100)를 지지하는 본체(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는 음식물이 수납되어 절개되거나 분쇄되는 등의 가공이 일어나는 부분이며, 상기 본체(500)는 상기 용기(100)를 지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500)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100)에서 음식물이 절개되거나 분쇄되는 것을 제어하거나 전력 공급 등을 위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용기(100)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은 개구되어 음식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블레이드어셈블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잘게 절개하거나 분쇄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어셈블리(600)와 연결되어, 모터어셈블리(600)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이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용기(110)와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는 서로 접하도록 구성되거나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면, 일부만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는 이너가이드(122)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이너가이드(122)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서 회전하는 음식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나 좌우로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의 우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00)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단이 상기 용기(100)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300)의 반대측에는 주둥이(2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주둥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의 좌측면 상단에 형성되며, 용기(100) 내부에서 절개작업이 완료된 음식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주둥이(210)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좌측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의 상면은 뚜껑(400)에 의해 차폐된다. 즉, 상기 용기(100)의 상면에는 뚜껑(40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기(100)의 상방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은 상기 용기(100)의 상면을 덮어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은 사용자의 가압이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1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뚜껑(400)의 외주면에는 가스켓(402)이 더 구비되어 뚜껑(400)와 용기(10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한다. 물론, 이러한 가스켓(402)은 상기 뚜껑(400)이 상기 용기(100)에 압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에는 캡(45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는 소정 크기의 원형 홈인 뚜껑홀(40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뚜껑홀(401)에 캡(450)이 장착되어 뚜껑홀(401)을 차폐한다.
상기 캡(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전체적으로는 상기 뚜껑(40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압착에 의한 억지끼움이나 회전동작에 의해 뚜껑(400)에 착탈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450)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뚜껑(400)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캡(450)은 상기 뚜껑(4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뚜껑(400)을 열지 않고 상기 캡(450)만 연 상태에서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캡(450)을 열어 용기(100)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을 섞는 등의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캡(450)의 상단은 상기 뚜껑(400)의 상단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뚜껑(400)을 열거나 닫는 경우에 파지할 수 있는 뚜껑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사각통상의 육면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용기(100)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모터어셈블리(600)와 PCB와 같은 전자부품 등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본체(500)의 외관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500)의 내부 중앙부에는 모터어셈블리(60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가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하단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500)의 전면에는 노브(50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노브(50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5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502)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작동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노브(502)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회전 속도가 고속과 저속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터치조작부(504)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조작부(50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조작을 터치에 의해 하기 위한 것으로, 블렌더의 동작 시작과 정지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의 노브(502)와 터치조작부(504)는 블렌더의 작동 설정과 조작을 서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기능이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편의에 의해 상기 노브(502)나 터치조작부(504)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블렌더의 작동을 설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서로 기능이 중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조작부(504)의 옆(도 1에서는 좌측)에는 표시부(506)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표시부(506)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표시부(506)는 블렌더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시부(506)는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측에는 쿨링팬(6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쿨링팬(610)은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에서 생성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본체(500) 내부로 흡입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쿨링팬(610)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본체(500) 내부로 흡입되어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본체(500) 내부에 구비되는 PCB 등의 부품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본체(500)의 하면에는 베이스단(5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단(510)은 상기 본체(5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무선전력모듈(520)이 수용된다. 상기 무선전력모듈(520)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외부의 전력(Wireless Power)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500) 내부의 모터어셈블리(6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500)와 용기(100) 등에는 상기 뚜껑(400)이 상기 용기(100)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감지시스템은 상기 용기(100)에 개폐 가능한 전기회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도록 하여, 이러한 전기회로가 폐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5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폐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감지시스템은, 상기 본체(500)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송신수단(700)과, 상기 용기(100)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수단(220)과, 상기 용기(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400)의 닫힘 여부에 따라 용기(100)에 형성되는 전기회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수단(230)과, 상기 용기(100)의 일면에 구비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상기 개폐수단(230) 사이에 전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투명전극필름(240)과, 상기 본체(500)나 용기(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개폐수단(230)이 연결된 전기회로가 폐회로를 형성하여 전기의 흐름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8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은, 상기 본체(500) 외부로부터 본체(500)로 유입되거나 본체(500) 자체에 미리 저장된 전력을 상기 용기(1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기전력 발생이 가능한 유도코일(coil)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은, 상기 본체(500)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와 전력수신수단(220) 사이에 유도기전력에 의해 전력이 전달되도록 코일(coil)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전력수신수단(220)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유도기전력이 생성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은 상기 용기(100)의 우측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은 상기 용기의 우측하단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개폐수단(230)은, 상기 용기(100)에 형성되는 전기회로(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뚜껑(4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개폐(on/off)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뚜껑(400)와 용기(100)에 각각 구비되는 영구자석(232)과 감지센서(234)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구자석(232)이 상기 뚜껑(400)의 우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234)는 상기 용기(100)의 상단 우측(손잡이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감지센서(234)는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위치홈(236)에 수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센서(234)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나 홀센서(Hall sensor) 등과 같이 자석이나 자기장 등을 감지 가능한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 스위치(reed switch)는 유리 튜브 속에 자성체가 되는 가동접점이 봉입하여 있어 자석을 접근시킴으로써 유리 튜브 내의 접점은 온(ON) 되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홀센서(Hall sensor)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알아낸 것으로, 이때 발생된 전압은 전류차가 발생하는 효과를 이용하는 센서이다.
이와 같은, 리드 스위치(reed switch)나 홀센서(Hall sensor)는 많이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세부 구성과 원리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이러한 개폐수단(230)으로 상기 영구자석(232)과 감지센서(234)를 사용하는 외에, 다른 전기적 온(on)/오프(off) 수단이나 기구적인 구조물을 이용하여 전기회로가 개폐(on/off)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여, 상기 뚜껑(400)과 용기(100)에 각각 설치되는 영구자석(232)과 감지센서(234)의 설치 위치를 반대로 하는 등의 변경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감지수단(800)은, 상기 개폐수단(230)에 의해 용기(100)에 형성된 전기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 가능한 기능을 가지는 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장치나 구조물 등이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광(光)센서(photosensor, photodetector)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감지수단(800)은, 상기 용기(100)에 구비되어 빛을 생성하는 광송신모듈(810)과, 상기 본체(500)에 구비되어 상기 광송신모듈(810)로부터 송신되는 빛을 수신하는 광수신모듈(8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송신모듈(810)과 광수신모듈(820)은 서로 인접한 곳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송신모듈(810)은 상기 용기(100)의 좌측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광수신모듈(820)은 상기 본체(500)의 좌측 상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광송신모듈(810)에는 전기에 의해 빛을 생성하는 엘이디(LED)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수신모듈(820)에는 빛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光)센서(photosensor, photodetector)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면에 부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전도성 부재와 같이 전기 전달이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ITO필름(Indium-Tin Oxide film)과 같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용기(100)의 상측에 구비된 개폐수단(230)이 상기 용기(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전력수신수단(220) 및 광송신모듈(810)과도 연결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상하로 길게 부착되어 용기(10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상기 용기(100)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도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되어 용기(100)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을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부착한 경우 부착면과의 사이에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ITO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중앙부분에 타공을 추가하여 기포가 빠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포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안착단(900)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900)은 상기 용기(100)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상기 용기(100)의 하단이 상하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0)는 겹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너가이드(122)는 내측용기(12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용기(100)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겹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용기(110)와,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 즉,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용기(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하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외면 우측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300)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00)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상기 외측용기(110)의 우측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300)의 내부에는 상기 감지센서(234)가 수용되는 스위치홈(23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에는 스위치홈(236)이 형성되어 상기 감지센서(234)가 장착될 공간을 제공하며, 이러한 스위치홈(236)의 좌측은 개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용기(100)에 설치되는 투명전극필름(24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에는 상기 용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용기(100)에 장착되는 투명전극필름(240)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뚜껑(400)이 상기 용기(100)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을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로, 상기 뚜껑(400)의 장착 여부를 상기 용기(100)의 상단부에서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상기 용기(100)의 하단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까지 서로 연결된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2이상의 부재 결합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일체형 필름 와이어(Film wire) 형태의 단일체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중간 이음부가 없는 단일의 일체형 필름 와이어(Film wire)로 이루어지면,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생성되는 이음부에서의 절단 또는 파손될 리스크(risk)가 줄들게 되므로 기본적으로 내구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은, 후크(hook) 체결방식에 의해 상기 용기(10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상단은 상기 용기(100)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하단은 상기 용기(100)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용기(100) 상단부에서 생성되는 신호 또는 전기 등이 용기(100)의 하단부로 전달되도록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상단은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위치홈(236)에 수용 설치되는 감지센서(234)에 투명전극필름(240)의 상단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용기(100)에 부착되는 메인부(242)와, 상기 메인부(24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절곡부(244)와, 상기 메인부(242)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절곡부(246)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의 측면에 부착되는 메인부(242)와, 상기 메인부(242)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벤딩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절곡부(244)와, 상기 메인부(24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한번 이상 벤딩되어 상기 손잡이(300) 내부에 수용되는 제2절곡부(2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곡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상기 메인부(242)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측방으로 벤딩되나, 2회 이상 소정 각도로 다수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어느 한 곳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경우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절단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절곡부(244)에는, 외력에 의한 저항력을 보완하기 위한 지지부(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부(242)와 연결되는 제1절곡부(244)의 끝단(도 3 및 도 4에서는 우측단)에는 지지부(250)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250)는 상기투명전극필름(240)이 당겨지는 경우에 저항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250)에는, 상기 메인부(242)와 제1절곡부(244) 간의 벤딩에 의한 파손이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찢김방지홈(252)이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부(242)와 접하는 지지부(250)의 적어도 일단(도 4에서는 우측단)에는 하나 이상의 찢김방지홈(252)이 좌측(도 4에서)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244)의 끝단(도 4에서는 좌측단)에는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연결되는 전력연결단(244a)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절곡부(246)의 끝단(도 4에서는 상단)에는 상기 감지센서(234)와 연결되는 센서연결단(246a)이 구비된다.
도 5 내지 도 9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제1절곡부(244)와 제2절곡부(246)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곡부(244)에는 외력 또는 당김에 의한 저항력을 보완하기 위한 지지부(250)가 구비되며, 이러한 지지부(250)의 일단(도 5애서는 좌측단, 도 7에서는 우측단)에는 벤딩에 의한 파손이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찢김방지홈(252)이 더 형성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에는, 후크(hook)가 삽입되는 후크홈(24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곡부(244)의 끝단(도 7에서는 좌측 후단)과 상기 제2절곡부(246)의 끝단(도 8에서는 우측단)에는 후크홈(248)이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후크홈(248)에는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이나 감지센서(234)에 구비되는 후크(hook)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후크홈(24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후크홈(248) 크기와 형상은, 결합되는 후크(hook)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전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재(260)와, 상기 전달부재(260)가 인쇄되는 베이스필름(261)과, 상기 전달부재(2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달부재(260)를 지지하는 커버필름(262)과, 상기 전달부재(2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상기 용기(100)에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263)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달부재(260)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메인 곡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부(242)와 제1절곡부(244) 및 제2절곡부(246) 등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는 전력연결단(244a)과 센서연결단(246a)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필름(2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상기 전달부재(2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필름(261)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지지부(25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부재(260)는 상기 베이스필름(261)에 인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달부재(260)는 0.2mm이하의 전기가 통하는 실버페이스트(Silver Paste)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전달부재(260)는 상기 베이스필름(261)에 인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필름(262)은 상기 전달부재(260)이 일면을 덮는 것으로, 페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필름(2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부재(260)의 상측(도 9에서)에 구비되어 상기 전달부재(260)를 지지한다. 즉, 전체적으로 상기 커버필름(262)은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필름(2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필름(261)과 형상 및 크기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필름(262)과 베이스필름(261)이 서로 상하로 겹쳐지고, 이러한 커버필름(262)과 베이스필름(261) 사이에 상기 전달부재(260)가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263)는, 상기 전달부재(260)의 일측(도 9에서는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상기 용기(100)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2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달부재(260)의 메인부(242)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부재(263)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상기 용기(100)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메인부(24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263)의 일면은, 상기 커버필름(262)의 일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63)는 양면테이프과 같은 접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재(263)의 하면(도 9에서)은 상기 커버필름(262)의 상면(도 9에서)에 접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부재(260)와 커버필름(262) 사이에는, 접착부재(264)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전달부재(260)와 커버필름(262)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재(264)는 양면테이프(兩面tape)와 같이 접착제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전달부재(260)와 커버필름(262)이 서로 부착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264)는 상기 베이스필름(261) 및 커버필름(262)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264)의 지지부(250)에 의해 상기 베이스필름(261)과 커버필름(262)의 지지부(250)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260)의 끝단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층(26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버페이스트(Silver Paste)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달부재(260)의 접촉부인 끝단에는, 접촉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카본(Carbon)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본(Carbon) 코팅은 상기 전달부재(260)의 끝단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전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층(265)은 상기 전달부재(260)의 끝단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끝단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에는,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편(266,267,26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편(266,267,268)은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강성 등을 강화하기 위한 보강재(stiffener)이며, 적어도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제1절곡부(244)와 제2절곡부(246) 끝단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제1절곡부(244) 끝단에는 절곡보강편(266)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절곡부(246)의 끝단에는 커넥터보강편(267)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50)의 일측에도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편(266,267,26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50)의 하측(도 9에서)에도 지지보강편(268)이 구비되어 지지부(25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편(266,267,268)은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베이스필름(261)에 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절곡보강편(266)은 절곡접착부재(266a)에 의해 상기 제1절곡부(244)에 부착되고, 상기 커넥터보강편(267)은 커넥터접착부재(267a)에 의해 제2절곡부(246)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보강편(268)은 지지접착부재(268a)에 의해 상기 베이스필름(261)의 지지부(250)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절곡접착부재(266a)와 커넥터접착부재(267a) 및 지지접착부재(268a)도 양면테이프와 같이 양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전력수신수단(220)과 감지센서(234)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전력수신수단(220) 및 감지센서(234)와 분리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감지센서(234)에는 각각 후크커넥터(270)가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후크커넥터(270)에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제1절곡부(244) 끝단은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의 후크커넥터(270)에 연결되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제2절곡부(246) 끝단은 상기 감지센서(234)의 후크커넥터(27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는 상기 후크커넥터(270)에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이 삽입되는 상태 및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는 상기 후크커넥터(27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커넥터(270)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후크(hook)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커넥터(270)에는 고정후크(272)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후크(2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탄성에 의해 밀착 가능한 한 쌍의 후크돌기(272a)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돌기(272a)는 상하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에 형성되는 후크홈(248)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크커넥터(270)에는 상기 고정후크(272)의 후크돌기(272a)가 유동하도록 강제하는 후크커버(2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커버(274)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후크(272)가 선택적으로 눌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후크돌기(272a)가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에 형성되는 후크홈(248)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후크커버(274)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하의 후크돌기(272a)가 서로 탄성력에 의해 근접한 상태가 되고, 이러한 한 쌍의 후크돌기(272a) 사이에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이 삽입되면 상기 후크돌기(272a)가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후크홈(248)에 삽입되어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이 후크커넥터(27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런 다음,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후크커버(274)를 반시계방향(도 13에서)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한 쌍의 후크돌기(272a)가 상하로 이동하여 서로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후크홈(248)에 삽입되어 있던 후크돌기(272a)가 상기 후크홈(248)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끝단은 상기 후크커넥터(27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용기 110. 외측용기
120. 내측용기 200. 블레이드어셈블리
210. 주둥이 220. 전력수신수단
230. 개폐수단 232. 영구자석
234. 감지센서 236. 스위치홈
240. 투명전극필름 242. 메인부
244. 제1절곡부 246. 제2절곡부
248. 후크홈 250. 지지부
252. 찢김방지홈 260. 전달부재
261. 베이스필름 262. 커버필름
263. 고정부재 264. 접착부재
265. 코팅층 266. 절곡보강편
267. 커넥터보강편 268. 지지보강편
270. 후크커넥터 272. 고정후크
274. 후크커버 300. 손잡이
400. 뚜껑 450. 캡
500. 본체 510. 베이스단
520. 무선전력모듈 600. 모터어셈블리
610. 쿨링팬 700. 전력송신수단
800. 감지수단 810. 광송신모듈
820. 광수신모듈 900. 안착단

Claims (15)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용기의 상방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감지시스템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전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투명전극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필름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재와, 상기 전달부재가 인쇄되는 베이스필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의 일측에는,
    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커버필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이 상기 용기에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접착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착부재의 일면은,
    상기 커버필름의 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와 커버필름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전달부재와 커버필름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의 끝단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필름은,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까지 서로 연결된 단일 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필름은,
    상기 용기에 부착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메인부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에는,
    외력에 의한 저항력을 보완하기 위한 지지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메인부와 제1절곡부 간의 벤딩에 의한 파손이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찢김방지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에는,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은,
    후크(hook) 체결방식에 의해 상기 용기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필름의 끝단에는,
    후크(hook)가 삽입되는 후크홈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KR1020200081552A 2020-07-02 2020-07-02 블렌더 KR20220003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552A KR20220003831A (ko) 2020-07-02 2020-07-02 블렌더
PCT/KR2021/005669 WO2022005007A1 (ko) 2020-07-02 2021-05-06 블렌더
EP21831599.2A EP4176782A4 (en) 2020-07-02 2021-05-06 MIXER
US17/921,104 US20230157486A1 (en) 2020-07-02 2021-05-06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552A KR20220003831A (ko) 2020-07-02 2020-07-02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831A true KR20220003831A (ko) 2022-01-11

Family

ID=7931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552A KR20220003831A (ko) 2020-07-02 2020-07-02 블렌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57486A1 (ko)
EP (1) EP4176782A4 (ko)
KR (1) KR20220003831A (ko)
WO (1) WO202200500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800B2 (en) 2002-08-27 2005-06-28 Eupa International Corporation Blender having a top cover provided with a switch actuating block
US7871196B2 (en) 2007-08-16 2011-01-18 Kuan-Chih Lin Juicer safety device
US20180020875A1 (en) 2015-02-17 2018-01-2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Interlocking blen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8578B2 (ja) * 1991-03-20 1999-10-06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調理機
KR100657600B1 (ko) * 2005-10-24 2006-12-19 (주)씨-넷 엘씨디모듈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커넥터
KR100796634B1 (ko) * 2007-03-07 2008-01-2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 가공장치
JP2013041476A (ja) * 2011-08-17 2013-02-28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タッチパネル
US20170095122A1 (en) * 2014-02-16 2017-04-06 Breville Pty Limited Combination Juicer Blender
WO2017118379A1 (en) * 2016-01-04 2017-07-13 Novis Ag Apparatus for mixing and/or pureeing of fo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800B2 (en) 2002-08-27 2005-06-28 Eupa International Corporation Blender having a top cover provided with a switch actuating block
US7871196B2 (en) 2007-08-16 2011-01-18 Kuan-Chih Lin Juicer safety device
US20180020875A1 (en) 2015-02-17 2018-01-2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Interlocking blen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6782A4 (en) 2024-06-12
EP4176782A1 (en) 2023-05-10
WO2022005007A1 (ko) 2022-01-06
US20230157486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131B2 (en) Blender
KR102511609B1 (ko) 블렌더
KR20220003831A (ko) 블렌더
KR102630211B1 (ko) 블렌더
KR20210019791A (ko) 블렌더
US20220225837A1 (en) Blender
KR20210019794A (ko) 블렌더
US20220400903A1 (en) Blender
CN113784648B (zh) 料理机
CN113784649B (zh) 料理机
EP4046554A1 (en) Blender
EP3967194A1 (en) Blender
CN113811235B (zh) 料理机
KR20210019958A (ko) 블렌더
US20220202255A1 (en) Blender
CN113747819B (zh) 料理机
US20220248907A1 (en) Blender
KR20210044072A (ko) 블렌더
KR20230017061A (ko) 블렌더
KR20210053726A (ko) 블렌더
KR960003082Y1 (ko) 착즙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