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624A - 노선 추천 방법, 장치, 전자기기,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노선 추천 방법, 장치, 전자기기,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624A
KR20220003624A KR1020217041176A KR20217041176A KR20220003624A KR 20220003624 A KR20220003624 A KR 20220003624A KR 1020217041176 A KR1020217041176 A KR 1020217041176A KR 20217041176 A KR20217041176 A KR 20217041176A KR 20220003624 A KR20220003624 A KR 20220003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rist
route
zone
tim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란 지
하오 장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573267.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559891A/zh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0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노선 추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를 개시하고, 스마트 추천분야에 속한다. 구체적인 구현 수단으로는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것, -여기서, i는 자연수임-; 제i번째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는 것; 및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을 경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수단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적인 수요에 부합되는 고품질 추천노선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노선 추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본 출원은 데이터 처리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마트 추천 분야에 관한 것이다.
여행업의 활발한 발전에 따라 여행 품질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도 신속히 향상되고 있다. 단체 여행 또는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행하는 자유여행에 비해, 도로여행(road trip)은 출행시간의 계획 및 경승지의 선택상에서 더 자유롭고, 행정(Journey)의 원활성과 체험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따라서 도로여행은 점차적으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여행 방법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도로여행의 노선 선택 만족여부가 여행 만족도의 핵심이고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종래에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기타 사용자가 추천하는 노선을 검색하여 그 중에서 자체 요구에 상대적으로 부합되는 노선을 선택한다.
본 출원은 노선 추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의하면, 노선 추천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노선 추천 방법은,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여기서, i는 자연수임-;
제i번째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을 경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노선 추천 장치를 제공하며, 해당 노선 추천 장치는,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모듈, -여기서 i는 자연수임-;
제i번째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확인 모듈; 및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을 경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기 위한 노선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가기기를 제공하며, 해당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되,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며, 해당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입력된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확인된 예상 관광 시간과 행정 계획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작을 경우, 추천노선을 확인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관광구 리스트를 확인하고, 행정 중의 관광구의 수량을 적합하게 설정하여 사용자의 개인맞춤형 요구에 부합되는 고품질 추천노선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내용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관건적이거나 중요한 특징을 표기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도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은 아래의 명세서를 통해 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은 본 수단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한 것 이지, 본 출원에 대한 한정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선 추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선 추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노선 추천방법의 하나의 응용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선 추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선 추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 추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고, 이를 돕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종 세부내용이 포함되며,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보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분야의 보통 기술자는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 각종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출원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명확하고 간명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서는 공지 기능 및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선 추천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 -여기서, i는 자연수임-;
제i번째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S12); 및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과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은 경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단계(S13)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관광구는 적어도 하나의 경승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집중적이고 풍부한 경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궁 관광구, 장가계 관광구 등이 있다. 여기서, 경승지는 상대적으로 독립성과 완전성을 구비하는 경치 단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궁 관광구 중의 태화전 경승지, 장가계 관광구 중의 천문 경승지 등이 있다.
목표행정은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노선이 속하는 행정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목표행정의 관련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전자기기는 획득한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행정의 관련정보는 관광구 정보,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행정 시작 시간, 행정 종결 시간 및 행정 날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행정 시작 시간과 행정 종결 시간에 기반하여 행정 계획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목표행정에 대해 관광구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관광구 정보에 따라 관광구 리스트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개인맞춤형 요구에 따라 추천노선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관광구 정보는 관광구의 이름, 코드 및 철자(예를 들어, 중국어 한자병음, 영어 스펠링, 한글 맞춤법 등)의 첫 문자/모음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관광구 정보를 한번 입력할 때마다 전자기기는 대응 되는 관광구 이름 또는 코드 등 정보를 관광구 리스트에 첨가하여 관광구 리스트를 한번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한다. 다시 말하면,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한 후, 관광구 리스트에는 제i번째 관광구 정보와 이에 기반한 이 전에 획득한 X개의 관광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자연수이고, 예를 들어 X는 0일 수 있다.
행정 계획 시간과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관광구 정보의 입력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고, 현재의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행정 계획 시간과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을 경우, 관광구 정보에 대한 입력을 정지하라는 제시정보를 출력하고, 관광구 정보의 입력이 정지된 것이 확인된 경우(일례로, 사용자가 정지를 확인하는 명령을 입력한 경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한다. 이에, 목표행정의 관광구 수량이 완전포화한도에 이르지 않은 상황에서 추천노선을 확인하여 목표행정의 관광구 수량이 합리적이고 행정 배치가 조리정연 하도록 할 수 있다.
행정 계획 시간과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한 제(i+1)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관광구 정보를 계속 입력하도록 하여, 관광구 리스트를 계속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방법은 행정 계획 시간과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 관광구 정보에 대한 입력을 계속하라는 제시정보를 출력하고,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1)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내에 되도록 많은 관광구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되도록 많이 관광하고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에 기반하여, 입력된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확인된 예상 관광 시간과 행정 계획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작을 경우, 추천노선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행정 중의 관광구 수량을 적합하게 설정하여 사용자의 개인맞춤형 요구에 부합되는 고품질 추천노선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된다. 보다 많은 여유시간을 남겨 사용자가 불충분한 관광을 하거나 또는 행정설계가 너무 타이트하여 행정 중에서 일부 관광구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예상 관광 시간은 목표행정의 관련정보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관련정보에 기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S12)는,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S21);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 및 노정시간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S2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은
Figure pct00001
이고, 행정 종착점은
Figure pct00002
이며, 관광구 리스트는 (n+1)개 관광구를 구비하되, 각 관광구에 대해 0부터 시작하여 넘버링하면, 제j번째 관광구는
Figure pct00003
이며, 아래의 식에 따라 노정 시간
Figure pct00004
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식(1)
여기서,
Figure pct00006
는 행정 출발점
Figure pct00007
에서 관광구 리스트 중의 제0번째 관광구
Figure pct00008
까지 수요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9
는 관광구 리스트 중의 마지막 관광구
Figure pct00010
에서 행정 종착점
Figure pct00011
까지 수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Figure pct00012
는 관광구 리스트 중의 제(j-1)번째 관광구에서 제j번째 관광구까지 수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행정 출발점
Figure pct00013
, 행정 종착점
Figure pct00014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따라 식(1) 중의 각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목표행정의 행정 시작 시간
Figure pct00015
를 결합하여 식(1) 중의 각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목표행정의 행정 시작 시간
Figure pct00016
에 따라 지도 앱의 미래 출행 시간 예측 기능을 호출하여 미래 출행 시간 예측 기능을 사용하여, 행정 출발점
Figure pct00017
, 행정 종착점
Figure pct00018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 결과는 보다 높은 정확도를 구비한다.
예시적으로,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은 과거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에 기반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거 데이터 중의 복수의 사용자가 관광구에 진입한 시간 및 관광구를 떠난 시간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가 관광구에서의 정류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관광구에서의 정류 시간을 통계하여 정류 시간 분포정보를 얻는다. 실제 응용 중에서, 정류 시간의 분포는 통상적으로 가우스분포이다. 정류 시간 분포정보에 기반하여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정류 시간의 중앙치(median) 또는 기대치를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으로 한다. 또는 일례로, 정류 시간이 가장 긴 X개 사용자의 정류 시간 분포구간
Figure pct00019
을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으로 하되, X는 자연수이고, X는 미리 설정된 비례에 기반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일례로, X는 사용자 총수의 70%, 80% 등일 수 있다.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에 기반하여 아래의 식에 따라 총 정류 시간
Figure pct00020
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21
, 식(2)
여기서,
Figure pct00022
는 제(j+1)번째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이고, 이는 정류 시간 분포구간
Figure pct00023
중의 임의값이다.
합리적인 정류 시간 및 노정시간에 기반하여, 아래 식에 따라 예상 관광 시간T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ct00024
식(3)
보다시피, 상기 실시예에서,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를 계산근거로, 행정 중의 노정시간, 정류 시간 등 시간요소를 전면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정확한 예상 관광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관광구 수량을 설정하고, 행정 체험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된다.
더 설명하는바,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이 구간인 경우, 예상 관광 시간은 합리적인 정류 시간의 최소값에 기반하여 얻을 수 있고, 합리적인 정류 시간의 최대값에 기반하여 얻을 수도 있다. 또는, 예상 관광 시간은 대응되게 일부 시간구간일 수 있고, 행정 계획 시간과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할 때, 해당 시간구간의 최대값에 기반하여 계산하여 행정이 보다 타이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S21)은,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N개의 관광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여기서, N은 자연수임-;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N개의 관광순서에 각각 대응되는 N개의 노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N개의 노정시간 중의 최소값을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전부 배열방식을 순회하여, N개의 관광순서를 얻을 수 있다. 다음 N개의 관광순서 중의 각 관광순서에 기반하여, 식(1)에 따라 노정시간을 계산하여 N개의 노정시간을 얻을 수 있다. 이중에서의 최소값을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으로 한다.
상기 실시방식에 의하면, 행정 중의 노정시간을 최소로 하여 행정의 체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단계(S13)는,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얻은 N개의 노정시간 중의 최소값에 대응되는 관광순서를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에서의 각 관광구의 관광순서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최소 노정시간이 대응되는 관광순서를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에서의 각 관광구의 관광순서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에, 추천노선을 최대한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보다시피, 상기 각 실시방식에 따라 전자기기는 아래와 같은 제한 조건하에서의 전역 최적화된 관광구 리스트 및 관광구 관광순서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25
여기서,
Figure pct00026
는 노정시간
Figure pct00027
을 최소화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subject to)는 뒤부분의 부등식을 만족해야 함을 나타내고, 즉, 제한 조건은
Figure pct00029
임을 나타내되, 여기서,
Figure pct00030
는 행정 예상 시간이고,
Figure pct00031
는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이며,
Figure pct00032
는 총 정류 시간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관광구 리스트 및 관광구 관광순서를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개인맞춤형 요구를 만족하고, 사용자에게 충분하고 타이트하지 않는 행정 체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 관광구에 대해 최적화된 관광구 내의 노선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단계(S13)는,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 중의 제j번째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j번째 관광구에 대응되는 우수한(우등의) 노선 집합 중에서 예상 정류 시간에 부합되는 노선을 선택하여 제j번째 관광구의 추천노선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에 기반하여, 각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의 비례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비례 및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과 노정시간 사이의 차이값에 따라 각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을 확인한다.
일 예로, 행정 계획 시간이 7h(시간)이고, 예상 관광 시간이 5h이되, 여기서 노정시간은 1h이고 총 정류 시간이 4h일 경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에 합리적인 정류 시간이 2.5h과 1.5h인 두개의 관광구가 포함된다고 확인하면, 두개의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의 비례는 5:3이여야 하고, 행정 계획 시간과 노정시간 사이의 차이값6h 및 해당 비례에 의해 두개의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은 각각 3.75h와 2.25h임을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각 관광구의 우등 노선집합을 미리 배치할 수 있다. 해당 우등 노선집합은 과거 데이터에 기반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과거 데이터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관광구 내에서의 노선을 선택하여 해당 우등 노선집합에 첨가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노선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선택할 수 있고, 선호도는 사용자 또는 노선이 브라우징된 차수, 평론된 차수 등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실제 응용 중에서, 우등 노선집합에 대응되는 시간구간을 복수의 서브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가 관광구내에서의 노선에 사용한 시간이 모두 1h 내지 2h일 때, 시간구간[1h, 2h]를 서브구간 [1h, 1.5h] 및 [1.5h, 2h]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만약 관광구 리스트 중의 제j번째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이 1.75h이면, 해당 예상 정류 시간이 부합되는 서브구간은 [1.5h, 2h]이고, 정류 시간이 서브구간 [1.5h, 2h]에 속하는 노선을 제j번째 관광구의 추천노선으로 한다.
상기 실시방식에 의하면, 관광구 리스트를 확인한 기초상에서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에 대해 관광구내의 추천노선을 자동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는 많은 시간과 정력을 들일 필요가 없고, 추천 효율이 높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각 관광구에 대응되는 우등 노선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선 추천방법은
제j번째 관광구의 M개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에서 제j번째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를 확인하는 단계, -여기서, M는 자연수임-;
제j번째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에 기반하여 M개의 과거노선에서 L개의 노선을 선택하고, L개의 노선에 기반하여 제j번째 관광구에 대응되는 우등 노선집합을 얻는 단계, -여기서, L은 M보다 작은 자연수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M개의 과거노선이 지나는 경승지에 대해 통계하여 지난 차수가 가장 많은 Y개의 경승지를 핵심적 경승지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Y는 자연수이다.
예시적으로, 먼저 M개의 과거노선에 대해 클러스터(cluster) 처리하여, 선택하려는 과거노선 집합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개 과거 노선
Figure pct00033
가 포함하는 경승지가 완전히 일치한 노선을 동일한 노선으로 간주하여, 서로 다른 노선이
Figure pct00034
에서 나타나는 차수를 통계하고; 나타나는 차수가 차수 한계값보다 작은 노선, 예를 들어, 나타나는 차수가 3차, 4차인 노선을 제거하고, 나머지 노선에 기반하여 선택하려는 과거 노선집합을 얻는다.
예시적으로, 선택하려는 노선집합 중의 각 과거노선이 포함하는 핵심적 경승지의 수량에 따라 L개 노선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가 5개이고, 어느 하나의 과거노선이 포함하는 핵심적 경승지가 3개 이상이면, 해당 노선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 의하면, 핵심적 경승지에 기반하여 얻은 관광구내의 우등 노선 집합은 사용자에게 핵심적 경승지를 포함하는 비율이 높고 체험감이 좋은 관광구내의 노선을 추천하는데 도움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각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를 확인하는 방식을 더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선 추천 방법은,
M개 과거 노선에서 제k번째 과거 노선이 대응되는 사용자의 위치점에 대해 클러스터링 하여 P개의 위치점군을 얻는 단계, -여기서 k와 P는 모두 자연수임-;
제j번째 관광구 중의 각 경승지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P개의 위치점군과 관련되는 P개의 경승지를 확인하고, P개의 경승지를 제k번째 과거노선이 지나는 경승지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각 과거 노선에서 사용자의 위치점의 공간거리에 따라 클러스터링 하여 복수의 위치점군을 얻고, 그 중에서 위치점 밀도가 작은 위치점군을 제거하여 나머지 P개의 위치점군을 얻을 수 있다. P개의 위치점군에서 각 위치점군의 중심과 관광구 내의 각 경승지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 위치점군을 가장 가까운 경승지와 바인딩(binding)하여, 해당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를 얻는다.
클러스터링 방식을 적용하여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를 정확히 확인함으로써 핵심적 경승지를 마이닝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관광구내의 노선을 추천하는데 도움된다.
도 3은 본 출원의 노선 추천방법의 하나의 응용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노선 추천 방법은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오프라인 데이터 마이닝 단계 및 미래 출행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데이터 마이닝 단계는,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을 마이닝 하는 단계(S311);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를 마이닝 하는 단계(S312); 및
관광구의 우등 노선 집합을 확인하는 단계(S313)를 포함한다.
오프라인 데이터 마이닝에 기반하여 얻은 정보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단계에 사용될 것이다.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목표행정의 관련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321), 여기서, 관련정보는 시작 시간, 종결 시간, 행정 출발점 및 행정 종착점 등을 포함한다. 시작 시간 및 종결 시간에 기반하여 행정 계획 시간을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관광구 리스트를 입력하는 단계(S322), 여기서, 폴링 접속 입력 모듈의 방식을 적용하여 예상 관광 시간이 행정 계획 시간에 접근할 때까지 매번 입력한 후 예상 관광 시간을 계산하여 계속 입력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예상 관광 시간은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에 따라 미래 출행 예측 시간을 결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단계(S323), 여기서,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 및 우등 노선집합에 의해 추천노선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입력된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확인된 예상 관광 시간과 행정 계획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작을 경우, 추천노선을 확인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관광구 리스트를 확인하고, 행정 중의 관광구 수량을 적합하게 설정하여 사용자의 개인맞춤형 요구에 부합되는 고품질 추천노선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방법의 구현으로, 본 출원은 노선추천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선 추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 획득 모듈(410), 여기서, i는 자연수임;
제i번째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확인 모듈(420); 및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을 경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기 위한 노선 확인 모듈(430)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한 제(i+1)번째 관광구 정보를 얻기 위한 입력 확인 모듈(510)을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확인 모듈(420)은,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노정 시간 확인 유닛(421);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 및 노정시간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총 시간 확인 유닛(422)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노정 시간 확인 유닛은,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N개의 관광순서를 확인하되, 여기서, N은 자연수이고;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N개의 관광순서에 대응되는 N개의 노정시간을 계산하며;
N개의 노정시간 중의 최소값을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노선 확인 모듈은,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얻은 N개의 노정시간중 최소값이 대응되는 관광순서를 목표행정의 추천노선 중의 각 관광구의 관광순서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선 확인 모듈(430)은,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에 기반하여 관광구 리스트 중의 제j번째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정류 시간 확인유닛(431); 및
제j번째 관광구에 대응되는 우등 노선집합 중에서 예상 정류 시간에 부합되는 노선을 선택하여 제j번째 관광구의 추천노선으로 하기 위한 관광구 노선확인유닛(4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제j번째 관광구의 M개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에서 제j번째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를 확인하기 위한 핵심적 경승지 마이닝모듈(520), -여기서, M는 자연수임-; 및
제j번째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에 기반하여 M개의 과거노선에서 L개의 노선을 선택하고, L개의 노선에 기반하여 제j번째 관광구의 우등 노선집합을 얻기 위한 노선 선택모듈(530)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L은 M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M개 과거 노선에서 제k번째 과거 노선이 대응되는 사용자의 위치점에 대해 클러스터링 하여 P개의 위치점군을 얻기 위한 위치점 클러스터링모듈(540), -여기서 k와 P는 모두 자연수임-; 및
제j번째 관광구의 각 경승지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P개의 위치점군과 관련되는 P개의 경승지를 확인하고, P개의 경승지를 제k번째 과거노선이 지나는 경승지로 확인하기 위한 경승지 확인모듈(550)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고, 대응되는 효과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출원은 전자기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자기기(6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전자기기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서버, 블레이드 서버, 메인프레임 컴퓨터 및 기타 적합한 컴퓨터와 같은 여러 가지 형식의 디지털 컴퓨터를 가리킨다. 전자기기는 개인 디지털 프로세싱,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유사한 컴퓨팅 장치와 같은 여러 가지 형식의 이동장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부품, 이들의 연결과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또는 요구한 본 출원의 구현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600)는 컴퓨팅 유닛(601)을 포함하며, 해당 유닛은 판독 전용 메모리 ROM(60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저장유닛(608)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603)에 로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각종 적당한 동작과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RAM(603)에는 기기(600)의 조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유닛(601), ROM(602) 및 RAM(603)은 버스(604)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605)도 버스(604)에 연결되어 있다.
기기(600)내의 복수의 부품도 I/O 인터페이스(605)에 연결되며, 이런 부품은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등 입력유닛(606); 각종 종류의 디스플레이 기기, 스피커 등 출력유닛(607); 자기 디스크, 시디롬 등 저장유닛(608); 및 네트워크 카드, 모뎀, 무선 통신 트랜시버 등 통신 유닛(609)을 포함한다. 통신유닛(609)은 기기(600)로 하여금 예를 들면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및/또는 각종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타 기기들과 정보/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허용한다.
컴퓨팅 유닛(601)은 각종 프로세싱 및 컴퓨팅 능력을 구비한 범용 및/또는 전용 프로세싱 부품(components)일 수 있다. 컴퓨팅유닛(601)의 일부 예시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처리 장치(GPU), 각종 전용의 인공지능(AI) 컴퓨팅 칩, 각종 머신러닝 모델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컴퓨팅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 임의의 적당한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컴퓨팅 유닛(601)은 상기에서 설명한 각 방법과 처리를 실행하며, 예를 들면 노선추천 방법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노선추천 방법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실현되며, 실체유형의 형식으로 기계판독 가능한 매체, 예를 들면 저장유닛(608)에 포함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가 ROM(602) 및/또는 통신유닛(609)을 거쳐 기기(600)에 로딩 및/또는 장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603)에 로딩되어 컴퓨팅 유닛(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에 설명한 노선추천 방법의 하나 또는 복수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대체 가능한 방안으로서, 기타 실시예에서, 컴퓨팅 유닛(601)은 기타 임의의 적당한 방식(예를 들면, 펌웨어(firmware)를 빌어)을 통해 노선추천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과 기술의 여러 가지 실시방식은 디지털 전자회로 시스템, 집적회로 시스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전용 집적회로(ASIC), 특정 용도 표준 제품(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SP), 시스템 온 칩(SOC), 복합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실시방식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범용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로서,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서 데이터와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와 명령을 해당 저장 시스템, 해당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 및 해당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런 프로그램 코드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제공되어, 프로그램 코드로 하여금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될 때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규정된 기능/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부가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고, 일부가 기기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또한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일부가 기기에서 실행되고 일부가 원격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고 또는 완전히 원격 기기 또는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하 내용에서,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는 실체유형의 매체일 수 있으며, 해당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또는 저장할 수 있다.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 혹은 상기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에 기반한 전기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 섬유, 휴대용 콤팩트 판독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상기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과 기술을 컴퓨터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CRT(Cathode Ray Tube, 음극선관)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및 키보드와 포인팅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 볼)를 구비하고, 사용자는 해당 키보드와 해당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종류의 장치도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사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모든 형식의 감각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고; 모든 형식(소리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을 포함함)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과 기술을 백그라운드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 또는 미들웨어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프런트엔드 부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컴퓨터, 사용자는 해당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해당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과 기술의 실시형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백엔드 부품, 미들웨어 부품 또는 프런트엔드 부품(components)을 포함하는 임의의 조합의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임의의 형식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시스템의 부품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시는 근거리 통신망 (LAN), 광역 통신망 (WAN) 및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단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단과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원격으로 설치된 동시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한다. 상응하는 컴퓨터에서 운행되고 서로 클라이언트단-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를 발생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상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형태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단계를 다시 정렬시키고 증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에서 기재한 각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는 바, 본 출원에서 공개한 기술방안에서 기대하는 결과를 실현할 수만 있다면, 본 문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해당 분야 기술자들은 설계 요구와 기타 요소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수정, 조합, 하위 조합과 대체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해야 한다. 본 출원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그 어떤 수정, 균등한 대체와 개량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9)

  1. 노선 추천 방법으로서,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i는 자연수인, 상기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i번째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행정의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상기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선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과 상기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1)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선 추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 및 상기 노정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선 추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N개의 관광순서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N은 자연수인, 상기 N개의 관광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N개의 관광순서에 각각 대응되는 N개의 노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노정시간 중의 최소값을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선 추천 방법.
  5. 제4에 있어서,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얻은 상기 N개의 노정시간 중의 최소값에 대응되는 관광순서를 상기 목표행정의 추천노선 중의 각 관광구의 관광순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선 추천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목표행정의 추천노선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제j번째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j번째 관광구에 대응되는 우등 노선집합 중에서 상기 예상 정류 시간에 부합되는 노선을 선택하여, 상기 제j번째 관광구의 추천노선으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선 추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 추천 방법은,
    상기 제j번째 관광구의 M개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중에서 상기 제j번째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j번째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에 기반하여, 상기 M개의 과거 노선중에서 L개 노선을 선택하고, 상기 L개의 노선에 기반하여 상기 제j번째 관광구에 대응되는 우등 노선 집합을 얻는 단계로서, L은 M보다 크지 않은 자연수인, 상기 우등 노선 집합을 얻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노선 추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개 과거 노선 중의 제k번째 과거 노선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위치점에 대해 클러스터링 하여 P개의 위치점군을 얻는 단계로서, k와 P는 모두 자연수인, 상기 P개의 위치점군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j번째 관광구 중의 각 경승지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P개의 위치점군과 관련된 P개의 경승지를 확인하고, 상기 P개의 경승지를 상기 제k번째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로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노선 추천 방법.
  9. 노선 추천 장치로서,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모듈로서, i는 자연수인, 상기 정보 획득 모듈;
    상기 제i번째 관광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행정의 관광구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확인 모듈; 및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상기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목표행정에 대해 입력된 제(i+1)번째 관광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노선 확인 모듈
    을 포함하는, 노선 추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상기 예상 관광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목표행정에 대해 계속 입력된 관광구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는, 노선 추천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확인 모듈은,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노정시간확인 유닛;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 및 상기 노정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예상 관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총 시간확인 유닛
    을 포함하는, 노선 추천 장치.
  12. 상기 노정시간 확인유닛은,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N개의 관광순서를 확인하되, N은 자연수이고;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출발점, 행정 종착점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N개의 관광순서에 각각 대응되는 N개의 노정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N개의 노정시간 중의 최소값을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를 관광하는데 수요되는 노정시간으로 확인하는, 노선 추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 확인 모듈은,
    상기 관광구 리스트에 기반하여 얻은 상기 N개의 노정시간 중의 최소값에 대응되는 관광순서를 상기 목표행정의 추천노선 중의 각 관광구의 관광순서로 확인하는, 노선 추천 장치.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 확인 모듈은,
    상기 목표행정의 행정 계획 시간 및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각 관광구의 합리적인 정류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관광구 리스트 중의 제j번째 관광구의 예상 정류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정류 시간 확인유닛; 및
    상기 제j번째 관광구에 대응되는 우등 노선집합 중에서 상기 예상 정류 시간에 부합되는 노선을 선택하여, 상기 제j번째 관광구의 추천노선으로 하기 위한 관광구 노선 확인유닛
    을 포함하는, 노선 추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j번째 관광구의 M개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에서 상기 제j번째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를 확인하는 핵심적 경승지 마이닝 모듈로서, M는 자연수인, 상기 핵심적 경승지 마이닝 모듈; 및
    상기 제j번째 관광구의 핵심적 경승지에 기반하여, 상기 M개의 과거 노선에서 L개 노선을 선택하고, 상기 L개의 노선에 기반하여 상기 제j번째 관광구에 대응되는 우등 노선 집합을 얻는 노선 선택모듈로서, L은 M보다 크지 않은 자연수인, 상기 노선 선택모듈
    을 더 포함하는, 노선 추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개 과거 노선 중의 제k번째 과거 노선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위치점에 대해 클러스터링 하여 P개의 위치점군을 얻는 위치점 클러스터링 모듈로서, k와 P는 모두 자연수인, 상기 위치점 클러스터링 모듈; 및
    상기 제j번째 관광구 중의 각 관광구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P개의 위치점군과 관련된 P개의 경승지를 확인하고, 상기 P개의 경승지를 상기 제k번째 과거 노선이 지나는 경승지로 확인하는 경승지 확인모듈
    을 더 포함하는, 노선 추천 장치.
  17. 전자기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전자기기.
  18.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9.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17041176A 2020-12-24 2021-06-02 노선 추천 방법, 장치, 전자기기,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03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573267.1A CN112559891A (zh) 2020-12-24 2020-12-24 路线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202011573267.1 2020-12-24
PCT/CN2021/097905 WO2022134479A1 (zh) 2020-12-24 2021-06-02 路线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624A true KR20220003624A (ko) 2022-01-10

Family

ID=7934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176A KR20220003624A (ko) 2020-12-24 2021-06-02 노선 추천 방법, 장치, 전자기기,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10796A1 (ko)
EP (1) EP4044048A4 (ko)
JP (1) JP2023510659A (ko)
KR (1) KR20220003624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384440B2 (en) * 2011-12-28 2016-07-07 Rakuten Group,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70032480A1 (en) * 2015-08-02 2017-02-02 Chi Him Wong Personalized travel planning and guidance system
CN107633317B (zh) * 2017-06-15 2021-09-2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建立行程规划模型以及规划出游行程的方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4048A1 (en) 2022-08-17
EP4044048A4 (en) 2022-09-14
JP2023510659A (ja) 2023-03-15
US20240110796A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84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tinerary-planning model and planning a traveling itinerary
CN104281649A (zh) 一种输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533254B (zh) 一种路段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781132B (zh) 一种经验路线替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146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alogu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191088B (zh) 一种跨界服务需求分析方法、系统和可读介质
CN104951219B (zh) 一种移动终端文本输入的方法及移动终端
US20130325483A1 (en) Dialogue models for vehicle occupants
WO2012158571A2 (en) Training statistical dialog managers in spoken dialog systems with web data
CN112686778A (zh) 基于大数据的旅游路线规划方法、装置及设备
CN116737908A (zh) 知识问答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019617A (zh) 地址标识的确定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4997263B (zh) 基于机器学习的结训率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862209A (zh) 运力调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091589B (zh) 模型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2559891A (zh) 路线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20003624A (ko) 노선 추천 방법, 장치, 전자기기,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066152A1 (ja) データ統合装置およびデータ統合方法
JP2019059348A (ja) 運行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JP5219271B2 (ja) 変換候補表示装置、および変換候補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05574019B (zh) 一种查询参数处理方法及装置
US2022016472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boarding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175940B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2818024A (zh) 一种地图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eslyuk et al. The recommendation system for cyclists LvivBicycle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