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390A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3390A KR20220003390A KR1020200081148A KR20200081148A KR20220003390A KR 20220003390 A KR20220003390 A KR 20220003390A KR 1020200081148 A KR1020200081148 A KR 1020200081148A KR 20200081148 A KR20200081148 A KR 20200081148A KR 20220003390 A KR20220003390 A KR 202200033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ver
- cover body
- tab
- sea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805—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탭을 이용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패킹을 제거하여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두 개의 잠금손잡이를 통해 덮개부와 용기부가 결착되더라도 밀폐 성능을 보장해 주도록 하여 적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덮개본체와 잠금손잡이가 연결되는 접힘부가 덮개본체의 외곽에서 일정지점 안쪽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접힘부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잠금손잡이를 포함하는 덮개부 둘레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밀폐용기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냉장고 등에 보관하는 경우 냄새나 수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밀폐용기는 외부의 공기나 습기가 내부로 스며들지 않게 하고, 내용물이나 냄새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는 용기를 말한다.
밀폐용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덮개와 용기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패킹이 구비되어 있으며, 덮개의 둘레에는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결착되는 잠금부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밀폐용기는 패킹을 이용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서, 패킹을 수용하기 위한 덮개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덮개에 구비된 패킹이 용기본체의 둘레를 단순하게 가압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패킹과 용기본체 사이에 반찬 등의 이물질이 끼어 있을 경우 밀폐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또, 통상의 밀폐용기는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덮개 둘레의 네 개 방향에 잠금부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덮개에서 외곽으로 돌출된 잠금부에 의해 적재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더불어 종래의 밀폐용기에서는 덮개와 잠금부를 연결하는 접힘부가 용기본체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접힘부가 외부 충격에 쉽게 노출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덮개부의 외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접힘부는 접힘 동작을 위해 반드시 직선 형태로만 제작될 수 밖에 없어서, 접힘부에서 연장되는 잠금부 역시 직선 형태로만 제작해야 한다.
한편 밀폐 용기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74534호(2009.07.07. '세라믹 밀폐용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밀폐탭을 이용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패킹을 제거하여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주하는 2개 방향에 마련된 잠금손잡이를 통해 덮개부와 용기부가 결착되더라도 밀폐 성능을 보장해 주도록 하여 적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덮개본체와 잠금손잡이가 연결되는 접힘부가 덮개본체의 외곽에서 일정지점 안쪽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접힘부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잠금손잡이를 포함하는 덮개부 둘레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바닥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용기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측면부의 상단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용기둘레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본체와, 상기 덮개본체의 둘레의 일정 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의 용기둘레부에 결착되는 잠금손잡이를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밀폐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탭의 하단에는 바깥 방향으로 꺾어진 형태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밀폐탭 하단의 날개부가 상기 용기부의 용기측면부를 가압하여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의 용기측면부 상부 내측 둘레에는 상기 덮개부의 밀폐탭 하단에 형성된 날개부가 안착되는 탭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손잡이가 상기 용기둘레부에 결착될 시, 상기 덮개본체가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밀폐탭 하단의 날개부가 상기 탭안착홈의 상단 부분을 쓸어내리면서 하강하여 상기 탭안착홈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잠금손잡이는 상기 덮개본체의 마주보는 두 개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의 덮개본체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서, 상기 잠금손잡이가 상기 용기부에 결착될 시 상기 덮개본체의 굴곡진 형태가 변형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밀폐탭 하단과 상기 용기부의 밀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의 잠금손잡이는 단면이 'ㄱ' 형태이며, 상기 잠금손잡이의 꺾어진 상부 측단면이 상기 덮개본체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덮개본체의 둘레에서 일정 지점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덮개본체의 하방으로 돌출된 밀폐탭의 하단이 용기부의 탭안착홈에 안착되어 밀착을 유지함으로써 밀폐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밀폐를 위해 별도의 패킹이 필요 없어서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을 크게 낮춰줄 수가 있다.
또한 밀폐탭 하단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에 의해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잠금손잡이의 결착 과정에 따라 밀폐탭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밀폐탭의 하단에 수직하방 성분의 밀착력이 가해지는 것은 기본이며, 밀폐탭 하단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날개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바깥 방향으로 힘을 가해주고 있기 때문에 수평 측방향 성분의 밀착력도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하방 성분의 힘과 수평 측방 성분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여 밀폐탭이 탭안착홈에 밀착되고 있어서 밀폐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잠금손잡이가 결착되기 전 밀폐탭의 하단이 탭안착홈 상부에 걸친 상태에서, 잠금손잡이의 걸림턱이 용기둘레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걸리면, 밀폐탭의 하단은 탭안착홈의 상단에서 탭안착홈의 내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하강하게 된다. 즉 밀폐탭의 날개부가 용기측면부를 쓸어내리면서 탭안착홈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탭안착홈 부근에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 이물질을 아래로 쓸어내리게 된다. 즉 이물질이 밀폐탭과 용기측면부 사이의 접촉면에 끼이면 기밀 성능이 저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밀폐탭과 용기측면부를 단순하게 가압하여 접촉시키는 것이 아니라, 밀폐탭 하단의 날개부가 용기측면부를 쓸어내리면서 이물질을 안쪽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이물질이 접촉면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기밀 성능을 보장해 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에서는 덮개본체를 굴곡진 형태로 제작하고, 잠금손잡이의 결착 과정에서 굴곡진 형태의 덮개본체가 형상 변형이 일어나도록 하여 밀폐탭과 탭안착홈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덮개본체의 네 개 방향이 아닌 두 개 방향에 대해서만 잠금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밀폐력이 보장된다.
이에 따라 덮개부에서 잠금손잡이의 개수가 줄어든 만큼 밀폐용기가 보관되는 주변 공간을 더욱 확보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가 있고, 적은 개수의 잠금손잡이만 작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잠금 및 해제 작업도 간편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잠금손잡이와 덮개본체가 연결되는 접힘부는 용기둘레부의 최외곽 지점이 아닌 내측으로 일정 지점 들어간 지점에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부를 둥근 형태로 제작하더라도 일직선인 접힘부의 형태에 제약받지 않고 잠금손잡이도 둥근 형태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접힘부는 접힘 동작을 위해 얇게 구현되어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접힘부가 용기부의 둘레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다면 파손의 위험성이 높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접힘부가 덮개본체의 외곽에서 일정 지점 안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접힘부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매우 적기 때문에 파손 위험성을 낮출 수가 있다.
더불어 접힘부가 덮개본체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고, 잠금손잡이의 손잡이본체가 'ㄱ' 형태로 제작된다면, 손잡이본체의 꺾어진 위쪽 부분이 덮개본체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본체의 상부를 아래로 눌러주는 원터치 동작만으로 결착 작업이 완료되어 간편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부와 용기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부가 용기부에 올려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부의 잠금손잡이가 용기부에 결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본체의 형태 변형에 의해 잠금손잡이 결착시 밀폐력이 향상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부와 용기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부가 용기부에 올려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부의 잠금손잡이가 용기부에 결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본체의 형태 변형에 의해 잠금손잡이 결착시 밀폐력이 향상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부와 용기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덮개부가 용기부에 올려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크게 용기부(20) 및 덮개부(10)를 포함한다.
용기부(20)와 덮개부(1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트라이탄(tritan) 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며, 이 외에도 내구성, 내열성, 성형성, 투명도 등을 고려하여 다른 재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부(20)나 덮개부(10)의 재질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용기부(20)와 덮개부(10)의 결합 구조에 특징이 있기 때문에, 재질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피하도록 하고 결합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용기부(20)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통상의 그릇 형상이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용기부(20)의 평면 형태는 모서리가 완만하게 굴곡진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이거나, 실시하기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서리가 완만하게 굴곡진 정사각형 형태의 용기부(20)가 사용된 예시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용기부(20)는 바닥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용기측면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측면부(22)의 상단에는 용기둘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둘레부(21)는 덮개부(10)의 잠금손잡이(12)가 결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용기측면부(22)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외력이 가해졌을 시 잠금손잡이(12)의 걸림턱(14)이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도록 용기둘레부(21)의 끝단은 둥근 형태로 제작된다.
한편 용기부(20)에서 용기측면부(22) 상부에는 용기측면부(2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깊이의 탭안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탭안착홈(23)은 덮개부(10)가 용기부(20)에 올려졌을 시 용기부(20)의 하단으로 돌출된 밀폐탭(17)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탭안착홈(23)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다루도록 한다.
덮개부(10)는 덮개본체(11), 잠금손잡이(12) 및 밀폐탭(17)을 포함한다. 다만 덮개부(10)의 구성들인 덮개본체(11), 잠금손잡이(12) 및 밀폐탭(17)은 동일한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전체 부분이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된다.
덮개본체(11)는 용기부(20)의 평면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제작된다. 또한 덮개본체(11)는 평면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11)의 내측 부분이 움푹 패인 형태로 제작된다면, 여러개의 밀폐용기를 적층시켰을 시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다.
잠금손잡이(12)는 덮개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용기부(20)의 용기둘레부(21)에 결착됨으로써 덮개부(10) 전체를 용기부(20)에 밀착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잠금손잡이(12)는 덮개본체(11)의 둘레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두 개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덮개본체(11)에 마련된 두 개의 잠금손잡이(12) 중 하나의 잠금손잡이(12)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잠금손잡이(12)는 단면이 대략 'ㄱ' 형태인 손잡이본체(13)와, 손잡이본체(13)의 내측 상방에서 용기부(2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4)을 포함한다. 또한 걸림턱(14)의 상부와 손잡이본체(13)가 'ㄱ' 형태로 꺾어지는 부분의 내측에는 용기둘레부(21)가 안착되는 둘레안착홈(15)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본체(13)의 상부 측단부는 덮개본체(11)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다. 이렇게 손잡이본체(13)와 덮개본체(11)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부분을 접힘부(16)라고 명칭하도록 한다.
덮개본체(11)의 저면 둘레에는 용기부(20)의 탭안착홈(23)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밀폐탭(17)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탭(17)은 용기측면부(22) 둘레를 전체적으로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밀폐탭(17)의 하측 단부에는 바깥 방향으로 소정각도 꺾어진 형태로 날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탭(17)의 날개부(18)는 용기부(20)의 탭안착홈(23)에 안착되어 바깥 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도1 및 도2를 통해서는 자세히 확인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덮개부(10)는 덮개본체(11)가 굴곡진 형태로 제작된다. 덮개본체(11)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이유는 잠금손잡이(12)의 결착 과정에 따라 덮개본체(11)의 형태가 변형되도록 하여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5를 통해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덮개부(10)가 용기부(20)에 결착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0)가 제거되어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용기부(20)에 조리 음식 등의 내용물을 담은 후 덮개부(10)를 용기부(20) 상부에 올려준다. 이때 도1에 도시된 밀폐용기에서 용기부(20)와 덮개부(10)의 덮개본체(11)는 평면 형태가 모서리 부분이 완만하게 곡선을 이루고 있는 정사각형 형태이다. 따라서 덮개부(10)를 용기부(20)에 올릴 때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덮개부(10)를 용기부(20)에 올려주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손잡이(12)의 손잡이본체(13)에서 꺾어진 부분은 상부로 올라온 상태이고, 밀폐탭(17)의 하단은 용기측면부(22)의 탭안착홈(23) 상부에 걸쳐진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잠금손잡이(12)의 돌출된 윗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손잡이본체(13)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4)이 용기둘레부(21)의 외곽면을 미끄러지듯이 타고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본체(13)의 걸림턱(14)은 용기둘레부(21)의 아래쪽에 걸리게 되고, 용기둘레부(21)는 잠금손잡이(12)의 둘레안착홈(15)에 삽입 안착된다.
또한 손잡이본체(13)의 걸림턱(14)이 용기둘레부(21)의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잠금손잡이(12)와 연결된 덮개본체(11)도 하방으로 가압된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손잡이(12)가 결착되기 전에는 덮개본체(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밀폐탭(17)이 용기측면부(22)의 탭안착홈(23) 상부에 걸쳐 있는 상태였지만, 잠금손잡이(12)가 결착되어 걸림턱(14)이 용기둘레부(21)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덮개본체(11)가 하방으로 가압되면, 밀폐탭(17) 하단에 형성된 날개부(18)도 탭안착홈(23) 상부의 턱을 지나 탭안착홈(23) 안쪽으로 미끄러지듯이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잠금손잡이(12)의 결착이 완료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탭(17)의 날개부(18)는 용기측면부(22)의 탭안착홈(23)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밀폐탭(17)의 날개부(18)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작된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날개부(18)가 탭안착홈(23) 상부의 턱을 지나 보다 안쪽에 위치한 탭안착홈(23)에 안착하게 되면, 날개부(18)를 포함한 밀폐탭(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날개부(18)는 용기측면부(22)를 바깥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밀폐탭(17)의 날개부(18)가 용기측면부(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탭안착홈(23)을 바깥 방향으로 강하게 가압하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날개부(18)와 탭안착홈(23)이 강하게 밀착하여 용기부(20) 내부 공간이 밀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덮개본체(11)의 하방으로 돌출된 밀폐탭(17)의 하단이 용기부(20)의 탭안착홈(23)에 안착되어 밀착을 유지함으로써 밀폐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밀폐를 위해 별도의 패킹이 필요 없어서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을 크게 낮춰줄 수가 있다.
또한 밀폐탭(17) 하단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18)에 의해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잠금손잡이(12)의 결착 과정에 따라 밀폐탭(17)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밀폐탭(17)의 하단에 수직하방 성분의 밀착력이 가해지는 것은 기본이며, 밀폐탭(17) 하단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날개부(18)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바깥 방향으로 힘을 가해주고 있기 때문에 수평 측방향 성분의 밀착력도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하방 성분의 힘과 수평 측방 성분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여 밀폐탭(17)이 탭안착홈(23)에 밀착되고 있어서 밀폐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잠금손잡이(12)가 결착되기 전 밀폐탭(17)의 하단이 탭안착홈(23) 상부에 걸친 상태에서, 잠금손잡이(12)의 걸림턱(14)이 용기둘레부(21)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걸리면, 밀폐탭(17)의 하단은 탭안착홈(23)의 상단에서 탭안착홈(23)의 내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하강하게 된다. 즉 밀폐탭(17)의 날개부(18)가 용기측면부(22)를 쓸어내리면서 탭안착홈(23)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탭안착홈(23) 부근에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 이물질을 아래로 쓸어내리게 된다. 즉 이물질이 밀폐탭(17)과 용기측면부(22) 사이의 접촉면에 끼이면 기밀 성능이 저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밀폐탭(17)과 용기측면부(22)를 단순하게 가압하여 접촉시키는 것이 아니라, 밀폐탭(17) 하단의 날개부(18)가 용기측면부(22)를 쓸어내리면서 이물질을 안쪽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이물질이 접촉면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기밀 성능을 보장해 주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덮개본체(11)를 굴곡진 형태로 제작하고, 결착 과정에서 덮개본체(11)의 형태가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잠금손잡이(1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밀폐성능도 보장해줄 수가 있다. 이에 대하여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용기부(20)에 덮개부(10)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인데,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0)의 덮개본체(11)는 잠금손잡이(12)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에서 그 반대 방향을 향하여 완만하게 굴곡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5의 (a)에서는 설명을 위해 덮개본체(11)의 굴곡 정도를 과장하여 도시한 것이며, 실제 덮개본체(11)의 굴곡 형태는 곡선 반경이 매우 크게 제작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굴곡 정도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이렇게 덮개본체(11)에서 잠금손잡이(12)가 형성되지 않은 양측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제작된 덮개부(10)를 용기부(20)에 올려준 후 잠금손잡이(12)를 결착하면,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손잡이(12)의 걸림턱(14)이 용기둘레부(21) 아래쪽으로 결합되면서 덮개본체(11) 전체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잠금손잡이(12)가 형성된 측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해주면, 굴곡진 형태의 덮개본체(11)의 형상 변화가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잠금손잡이(12)가 형성된 측단부의 하방 가압에 따라, 굴곡이 펼쳐지는 형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잠금손잡이(12)가 형성되지 않은 양측단부는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잠금손잡이(12)가 형성되지 않은 덮개본체(11)의 양측단부가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는 힘을 받게 됨으로써, 해당 지점의 밀폐탭(17) 하단에는 수평 측방향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탭안착홈(23)과 더욱 강하게 밀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에서는 덮개본체(11)를 굴곡진 형태로 제작하고, 잠금손잡이(12)의 결착 과정에서 굴곡진 형태의 덮개본체(11)가 형상 변형이 일어나도록 하여 밀폐탭(17)과 탭안착홈(23)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덮개본체(11)의 네 개 방향이 아닌 두 개 방향에 대해서만 잠금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밀폐력이 보장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덮개부(10)에서 잠금손잡이(12)의 개수가 줄어든 만큼 밀폐용기가 보관되는 주변 공간을 더욱 확보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가 있고, 적은 개수의 잠금손잡이(12)만 작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잠금 및 해제 작업도 간편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덮개부(10)의 잠금손잡이(12)는 'ㄱ' 형태로 꺾어진 구조로 제작되며, 꺽어진 상부의 측단부가 덮개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둘레부(21)의 최외곽 부분(A)이 아닌 용기둘레부(21)에서 일정 지점 안쪽으로 진입한 부분(B)에 접힘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접힘부(16)가 용기둘레부(21) 끝단(A)이 아닌 안쪽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면, 용기부(20)의 형태와 덮개부(10)의 형태를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접힘부(16)는 회동 가능하게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일직선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접힘부가 원형의 덮개본체에서 최외곽에 형성되어야 한다면, 직선 형태의 접힘부를 형성시켜야만 해서 잠금손잡이가 원형의 용기측면부 형태를 따르지 못하고 접힘부의 직선 형태에 대응하여 제작되어야만 해서, 접힘부와 잠금손잡이가 원형의 덮개본체나 용기부 둘레에서 튀어나온 형태로 제작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접힘부(16)가 용기둘레부(21)의 최외곽 지점(A)이 아닌 내측으로 일정 지점 들어간 지점(B)에 형성된다면, 접힘부(16)는 용기부(20)의 형태와 관계 없이 직선 형태로 구현하면 되고, 잠금손잡이(12)의 손잡이본체(13)는 용기둘레부(2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용기부(20)가 둥근 형태로 제작되더라도 이에 맞추어 잠금손잡이(12)도 둥근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돌출된 부분도 없게 된다.
또한 접힘부(16)는 접힘 동작을 위해 얇게 구현되어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용기처럼 접힘부가 용기둘레부의 최외곽에 형성 되어 있다면, 냉장고에 부딪히거나 덮개부를 떨어뜨렸을 시, 접힘부에 큰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접힘부(16)가 덮개본체(11)의 외곽에서 일정 지점 안쪽에 형성된 구조라면, 접힘부(16)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매우 적기 때문에 파손 위험성을 낮출 수가 있다.
더불어 접힘부(16)가 덮개본체(11)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고, 잠금손잡이(12)의 손잡이본체(13)가 'ㄱ' 형태로 제작된다면, 잠금손잡이(12)를 결착시키는 작업도 한층 수월해진다. 즉 종래에는 접힘부가 덮개본체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고, 그 접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자 형태의 잠금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었다. 이 경우에는 덮개본체를 용기부 위에서 눌러준 상태에서 용기부 측면에서 안쪽으로 잠금손잡이를 밀어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만 해서 결합 과정이 다소 번거로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접힘부(16)가 덮개본체(11)의 안쪽에 위치한 상태이고, 손잡이본체(13)의 꺾어진 위쪽 부분이 덮개본체(11)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본체(13)의 상부를 아래로 눌러주는 원터치 동작만으로 결착 작업이 완료되어 간편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덮개부
11 : 덮개본체
12 : 잠금손잡이
13 : 손잡이본체
14 : 걸림턱
15 : 둘레안착홈
16 : 접힘부
17 : 밀폐탭
18 : 날개부
20 : 용기부
21 : 용기둘레부
22 : 용기측면부
23 : 탭안착홈
11 : 덮개본체
12 : 잠금손잡이
13 : 손잡이본체
14 : 걸림턱
15 : 둘레안착홈
16 : 접힘부
17 : 밀폐탭
18 : 날개부
20 : 용기부
21 : 용기둘레부
22 : 용기측면부
23 : 탭안착홈
Claims (5)
- 바닥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용기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측면부의 상단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용기둘레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본체와, 상기 덮개본체의 둘레의 일정 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의 용기둘레부에 결착되는 잠금손잡이를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밀폐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탭의 하단에는 바깥 방향으로 꺾어진 형태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밀폐탭 하단의 날개부가 상기 용기부의 용기측면부를 가압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용기측면부 상부 내측 둘레에는 상기 덮개부의 밀폐탭 하단에 형성된 날개부가 안착되는 탭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손잡이가 상기 용기둘레부에 결착될 시, 상기 덮개본체가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밀폐탭 하단의 날개부가 상기 탭안착홈의 상단 부분을 쓸어내리면서 하강하여 상기 탭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잠금손잡이는 상기 덮개본체의 마주보는 두 개 지점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덮개본체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서, 상기 잠금손잡이가 상기 용기부에 결착될 시 상기 덮개본체의 굴곡진 형태가 변형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밀폐탭 하단과 상기 용기부의 밀착력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잠금손잡이는 단면이 'ㄱ' 형태이며, 상기 잠금손잡이의 꺾어진 상부 측단면이 상기 덮개본체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덮개본체의 둘레에서 일정 지점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1148A KR20220003390A (ko) | 2020-07-01 | 2020-07-01 | 밀폐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1148A KR20220003390A (ko) | 2020-07-01 | 2020-07-01 | 밀폐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3390A true KR20220003390A (ko) | 2022-01-10 |
Family
ID=7934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1148A KR20220003390A (ko) | 2020-07-01 | 2020-07-01 | 밀폐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3390A (ko) |
-
2020
- 2020-07-01 KR KR1020200081148A patent/KR202200033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13414B2 (en) |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 |
KR100759487B1 (ko) |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 |
JP5607151B2 (ja) | 密閉部材と、これを有する容器 | |
KR20220003390A (ko) | 밀폐용기 | |
KR100856469B1 (ko) | 밀폐용기 | |
TWI732406B (zh) | 具有卡合結構之容器組 | |
KR20200000714U (ko) | 도시락 용기 | |
KR200425701Y1 (ko) | 원터치식 밀폐용기 | |
KR100615946B1 (ko) |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 |
KR100831575B1 (ko) | 저장용기용 용기뚜껑 | |
KR101676949B1 (ko) | 식품 저장용기 | |
KR200471613Y1 (ko) | 튜브식 용기의 마개 | |
KR102206253B1 (ko) |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
KR200433746Y1 (ko) | 원터치식 밀폐 용기 | |
CA3038628C (en) |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 |
KR102241982B1 (ko) |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 |
KR101971489B1 (ko) | 용기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 |
KR101845361B1 (ko) | 트레이 용기 구조체 | |
KR200403774Y1 (ko) | 흡착식 용기커버 | |
KR20040081086A (ko) | 음식물 보관용기 | |
KR20130139594A (ko) | 밀폐용기의 뚜껑 | |
KR20190033243A (ko) | 저장용기 | |
KR102543445B1 (ko) | 밀폐용기 | |
KR20170105232A (ko) |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 |
KR200304787Y1 (ko) | 분유통용 뚜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