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382A -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 Google Patents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382A
KR20220003382A KR1020200081136A KR20200081136A KR20220003382A KR 20220003382 A KR20220003382 A KR 20220003382A KR 1020200081136 A KR1020200081136 A KR 1020200081136A KR 20200081136 A KR20200081136 A KR 20200081136A KR 20220003382 A KR20220003382 A KR 20220003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neycomb filter
filter ventilation
ventilation window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639B1 (ko
Inventor
강성옥
전익현
Original Assignee
강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옥 filed Critical 강성옥
Priority to KR102020008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1)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는 창문이 결합된 기본창틀프레임(T1);과, 상기 기본창틀프레임(T1)의 외부 측, 마지막 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가 장착, 결합되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 및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에 장착, 결합되어,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로 구성되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T1)을,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를 장착, 결합하여,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간 내부를, 외부 환경(날씨, 먼지, 미세먼지)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S2)을 설치하기 위한 창틀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허니콤필터환기창(S2)을 통해 자연 환기에 필요한 통풍성은 물론, 구조의 내구성, 차광성, 빗물 유입의 차단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허니콤필터환기창(S2) 및 이를 용이하게 장착, 결합하여,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창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Window frame structure for ventilating window}
본 발명은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창틀에도, 외부의 환경(날씨,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해 개선된 창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아파트나 고층 건물, 주택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실내 생활 공간을 갖는 건축물에는 햇빛에 의한 간접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 기능 및 풍수(風水)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창문이 설치된다.
창문은, 대개 장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에 창틀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상에 여닫이식 또는 고정식의 장착 구조로 구성된다.
나아가, 창틀 프레임에, 계절적인 특성에 따라 실내로 각종 벌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방충망도 함께 설치된다.
이렇게 창문이 설치된 건축물은, 건축물 내 밀폐된 공간을 환기 시키기 위해, 창문의 개방(開放)을 통한 실내 환기가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며, 실내 환기 시, 방충망은 닫힌 상태로 둔 채, 창문을 일정 시간 동안 개방(開放)하여 환기시킨다.
그러나, 창문을 열어 실내 환기를 하는 경우, 방충망에 의해 각종 벌레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지만, 황사나 미세먼지 등과 같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오염 물질이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수시로 실내 환기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환기를 시키지 못하면 실내 공기의 오염도로 인해 건강을 해칠 수도 있음을 인지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황사나 미세먼지를 무시하고 환기를 할 경우에, 또한, 호흡기 질병과 각종 알러지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 다양한 외부 환경에 의해 환기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의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를 자연 환기 시킬 수 있도록 하되, 환기량이 충분히 확보되는 환기창 및 이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창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창틀에도 용이하게, 외부의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를 자연 환기 시킬 수 있도록 하되, 환기량이 충분히 확보되는 환기창을 장착,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창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7569호의 "방충망 일체형 창호 구조체"(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 창틀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창문, 및 상기 창틀 프레임에서의 측부 프레임에 설치되되, 내부에 롤형 방충망이 구비된 방충망 하우징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창문을 여는 경우에 창문의 이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방충망이 설치되고, 창문을 닫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방충망의 설치가 해체됨으로써, 방충망으로 인해 창문을 통한 사용자의 시야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충망의 장기간의 설치로 인해 방충망이 먼지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충망 일체형 창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2763호의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이하, '선행기술 2'라 함.)로,
창문틀에 설치되며 전면과 후면으로 관통되어 개방된 복수의 방충망 설치용 개방부가 구비된 베이스 틀부재, 상기 베이스 틀부재에 장착되어 복수의 상기 방충망 설치용 개방부를 커버하며 망사체를 포함하는 방충망부재, 상기 베이스 틀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부재를 포함하여 복수의 방충망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간단히 청소할 수 있어 방충망의 유지 및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발명을 이루는 기본 구성요소에 있어 일부 유사, 동일한 기술적 개념이 존재하지만,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이로 인해 발휘되는 효과가 상이하다.
즉, 선행기술 1은, 창문의 개폐(開閉)에 맞춰 방충망이 자동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창호 구조체에 대한 기술이며,
선행기술 2는, 방충망을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하여, 방충망의 유지 및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창틀 구조체에 대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 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구성요소)의 기술적 특징의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환기창 및 창틀 구조와 관련된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7569호 (2017.12.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2763호 (2018.07.23.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창틀에도, 내구성 및 통풍성, 햇볕 및 빗물, 먼지, 미세먼지의 차단성이 극대화된 허니콤필터환기창 및 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개선된 창틀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는 창문이 결합된 기본창틀프레임;
상기 기본창틀프레임의 외부 측, 마지막 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가 장착, 결합되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에 장착, 결합되어,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로 구성되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을,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를 장착, 결합하여,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은,
기본창틀프레임의 외부 측, 마지막 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가 설치,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의 일부가 장착,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제 1레일;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제 1레일을 기준으로 실내 방향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의 일부가 장착,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제 2레일;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의 하면 일측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기본창틀프레임의 제 3레일과 결합되도록 하는 추가레일장착홈;으로 구성되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에도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를 장착, 결합하여,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고,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는,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에 형성된 제 1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에 형성된 제 2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의 일부를 차단,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켓창;이 구성되되,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은,
방충망이 형성되는 제 1방충모듈;
상기 제 1방충모듈 측면으로 허니콤필터환기창이 형성되는 제 2방충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 2방충모듈에 형성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차단, 방지하는 방진필터부;
상기 방진필터부가 결합되고, 햇볕 및 빗물이 실내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는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차양환기창부;로 구성되어,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방진필터부 및 차양환기창부에 의해 내부로 먼지, 햇볕, 빗물의 유입을 차단, 방지하는 것과,
상기 포켓창은,
제 1창문과 밀착,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제 1창문의 개폐(開閉) 시, 동시에 개폐(開閉)되되,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의 일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 1창문으로부터 포켓창만을 분리하여, 제 2레일을 따라 단독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창틀을 용이하게 개조하여, 허니콤필터환기창이 장착, 결합될 수 있는 창틀 구조 및 이에 장착, 결합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제공한다.
즉, 외부의 환경(날씨,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이미 건축물에 설계되어 매립된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이중창)에 대한 개념도를 평면도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의 실시 예(도 3의 (a)는 상태 사시도, (b)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의 구성요소 중, 허니콤필터환기창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의 구성요소 중, 허니콤필터환기창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의 허니콤필터환기창부에 구성요소 중, 차양환기창부의 부분 확대도를 실시 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대한 개념도를 평면도로, 도 3은 본 발명인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1)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는 창문이 결합된 기본창틀프레임(T1);
상기 기본창틀프레임(T1)의 외부 측, 마지막 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가 장착, 결합되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에 장착, 결합되어,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로 구성되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T1)을,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를 장착, 결합하여,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외부 환경(날씨,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의한 실내 공간 내부의 오염을 고려하지 않고, 외부 환경과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는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를, 이미 건축물에 설계되어 매립된 종래의 창틀 구조에도 용이하게 장착,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S2)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T1)은,
사각 형상의 기본프레임(F);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이 장착, 결합되는 제 3레일(600);
상기 제 3레일(600)을 기준으로 실내 방향 측으로 형성되고, 제 1창문(W1)이 장착, 결합되는 제 4레일(700);
상기 제 4레일(700)에 장착, 결합되는 제 1창문(W1);
상기 제 4레일(700)을 기준으로 실내 방향 측으로 형성되고, 제 2창문(W2)이 장착, 결합되는 제 5레일(800);
상기 제 5레일(800)에 장착, 결합되는 제 2창문(W2);으로 구성되고,
이중창(二重唱) 구조로 형성된 기본프레임(F)의 경우에는,
상기 제 5레일(800)을 기준으로 실내 방향 측으로 형성되고, 제 3창문(W3)이 장착, 결합되는 제 6레일(900);
상기 제 6레일(900)에 장착, 결합되는 제 3창문(W3);
상기 제 6레일(900)을 기준으로 실내 방향 측으로 형성되고, 제 4창문(W4)이 장착, 결합되는 제 7레일(1000);
상기 제 7레일(1000)에 장착, 결합되는 제 4창문(W4);이 더 포함, 구성된다.
또한,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은,
기본창틀프레임(T1)의 외부 측, 마지막 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가 설치,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E);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E)의 상면 일측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의 일부가 장착,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제 1레일(400);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E)의 상면 일측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제 1레일(400)을 기준으로 실내 방향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의 일부가 장착,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제 2레일(500);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E)의 하면 일측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기본창틀프레임(T1)의 제 3레일(600)과 결합되도록 하는 추가레일장착홈(H);으로 구성되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T1)에도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를 장착, 결합하여,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는,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에 형성된 제 1레일(400)에 장착, 결합되어,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에 형성된 제 2레일(500)에 장착, 결합되어,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일부를 차단,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켓창(B);이 구성되되,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은,
방충망(S1)이 형성되는 제 1방충모듈(A1);
상기 제 1방충모듈(A1) 측면으로 허니콤필터환기창(S2)이 형성되는 제 2방충모듈(A2);로 구성되고,
상기 제 2방충모듈(A2)에 형성되는 허니콤필터환기창(S2)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차단, 방지하는 방진필터부(100);
상기 방진필터부(100)가 결합되고, 햇볕 및 빗물이 실내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는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차양환기창부(200);로 구성되어,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방진필터부(100) 및 차양환기창부(200)에 의해 내부로 먼지, 햇볕, 빗물의 유입을 차단,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과,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의 결합 관계는,
제 1레일(400)에,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이 장착, 결합되고,
제 2레일(500)에, 포켓창(B)이 장착,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T1)에도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을 이용하여,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를 장착, 결합하여,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은, 하면 일측에 형성된 추가레일장착홈(H)을 통해, 기본창틀프레임(T1)의 제 3레일(600)에 장착, 결합된다.
또한, 제 2레일(500)에 장착, 결합된 포켓창(B)은,
제 1창문(W1)과 밀착,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제 1창문(W1)의 개폐(開閉) 시, 동시에 개폐(開閉)되되,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일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 1창문(W1)으로부터 포켓창(B)만을 분리하여, 제 2레일(500)을 따라 단독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의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은,
방충망(S1)이 형성되는 제 1방충모듈(A1);
상기 제 1방충모듈(A1) 측면으로 허니콤필터환기창(S2)이 형성되는 제 2방충모듈(A2);로 구성되되,
상기 제 2방충모듈(A2)에 형성되는 허니콤필터환기창(S2)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차단, 방지하는 방진필터부(100);
상기 방진필터부(100)가 결합되고, 햇볕 및 빗물이 실내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는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차양환기창부(200);로 구성되어,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방진필터부(100) 및 차양환기창부(200)에 의해 내부로 먼지, 햇볕, 빗물의 유입을 차단, 방지한다.
이때, 차양환기창부(200)는,
다각형의 차양방지요소(211)가 일정 배열로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틀로 이루어진 허니콤차양모듈(210);
상기 허니콤차양모듈(210)의 차양방지요소(211) 각각의 면(面) 중, 어느 한 면(面) 이상에 일정 각도로 형성되어, 실내 공간 내부로 햇볕 및 빗물의 유입을 차단, 방지하는 차양날개모듈(220);로 구성되어,
자연 환기에 필요한 통풍성 및 외부로부터 실내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햇볕 및 빗물의 차단성을 극대화하고,
차양환기창부(200)에는,
일정 배열로 연결된 차양방지요소(211) 사이사이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빗물이 특정 경로(R)를 따라 흘러 내리도록 하는 빗물낙하경로모듈(230);이 더 포함, 구성되어,
빗물이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차양환기창부(200)에 고이지 않고 특정 경로(R)를 따라 유동하여 용이하게 아래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허니콤필터창(S2)은,
제 1레일(400)에 결합, 장착되어, 외부 환경(날씨, 먼지, 미세먼지)에 의해 실내 공간 내부가 오염될 것을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내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자연 환기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내 공간 내부와 외부 간, 공기 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실내 공간 내부 공기 및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면적을 최적으로 확보하여, 통풍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한 특정 형상을 적용하여,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방진필터부(100)는,
자연 환기 시, 순수 외부 공기만이 실내 공간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실내 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먼지와 미세먼지를 거르는 방진필터모듈(110);
상기 방진필터모듈(110)을 차양환기창부(200)에 밀착, 고정시키는, 차양환기창부(200)로부터 탈착 가능한 방진필터고정모듈(120);로 구성되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 시킬 때, 외부로부터의 먼지 및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 방지한다.
이때, 방진필터모듈(110)은,
방진필터고정모듈(120)에 의해 차양환기창부(200)에 밀착, 고정되거나, 또는, 방진필터고정모듈(120)과 고주파 접착(high frequency sealing) 방식으로 접착, 일체화되어, 차양환기창부(20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거나, 방진필터모듈(110)만을 고주파 접착(high frequency sealing) 방식으로 차양환기창부(200)에 접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진필터고정모듈(120)은,
예를 들어, 차양환기창부(200)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방진필터모듈(110)을 용이하게 세척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차양환기창부(200)로부터 방진필터고정모듈(120)이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하는 구조는, 종래의 탈착 가능한 구조에 대한 기술이 적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방진필터고정모듈(120)에 다양한 탈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차양환기창부(200)는,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다각형의 차양방지요소(211)가 일정 배열로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틀로 이루어진 허니콤차양모듈(210);
상기 허니콤차양모듈(210)의 차양방지요소(211) 각각의 면(面) 중, 어느 한 면(面) 이상에 일정 각도로 형성되어, 실내 공간 내부로 햇볕 및 빗물의 유입을 차단, 방지하는 차양날개모듈(220);로 구성되어,
자연 환기에 필요한 통풍성 및 외부로부터 실내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햇볕 및 빗물의 차단성을 극대화하되,
상기 차양환기창부(200)에는,
일정 배열로 연결된 차양방지요소(211) 사이사이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빗물이 특정 경로(R)를 따라 흘러 내리도록 하는 빗물낙하경로모듈(230);이 더 포함, 구성되어,
빗물이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차양환기창부(200)에 고이지 않고 특정 경로(R)를 따라 유동하여 용이하게 아래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차양방지요소(211)의 형상을 이루는 다각형이라 함은,
삼각형 등, 세 개 이상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도형을 말하되, 본 발명에서는 원형도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본 발명에서의 차양방지요소(211)는,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허니콤차양모듈(210)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특성상, 다른 다각형과 대비하여, 동일한 면적 내에서 최대 넓이 및 최대 부피로 형성되므로, 견고한 구조가 확보되고, 이로 인해, 굽힘이나 압축, 뒤틀림 등, 외부로부터 가해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분산, 내구성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양환기창부(200)는, 빗물낙하경로모듈(230)로 인해,
접촉되는 빗물이 특정 경로(R)를 따라 용이하게 흘러내리도록 유도함으로서, 빗물의 고임 방지는 물론, 차양환기창부(200)에 접촉되는 빗물이 빗물낙하경로모듈(230)에 의해 특정 경로(R)를 따라 즉시 아래로 떨어지므로, 자체적인 세정 효과가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빗물낙하경로모듈(230)의 표면에는 빗물의 유동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외부 환경으로부터 빗물낙하경로모듈(230)을 보호하기 위해 코팅 처리된 표면처리코팅요소(231);가 더 포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양환기창부(200)에는,
허니콤차양모듈(210)의 일측에 형성, 창문의 일측과 접촉되어, 창문과, 차양환기창부(200) 간에 밀폐성이 생성되도록 하여, 자연 환기 시, 실내 공간 내부로 먼지, 미세먼지, 빗물,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유입방지패킹모듈(240);이 더 포함, 구성되어,
실내 공간 내부로 순수 외부 공기 이외에 별도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공간 내부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허니콤필터창(S2)에는,
방진필터부(100)와 차양환기창부(200) 사이에 위치, 결합되어, 벌레, 입자가 큰 먼지 및 이물질이 실내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는 방충망부(300);가 더 포함되어,
방진필터부(100)를 외부로부터 일차적으로 보호하여, 방진필터부(100)의 내구성은 물론, 방진필터부(100)와 차양환기창부(200)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에 형성된 제 2레일(500)은,
포켓창(B)이 장착, 결합되고, 사용자가 포켓창(B)을 제 1창문(W1)으로부터 분리하여,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제 1방충모듈(A1)만을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제 2레일(500)은,
사용자가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을 제 1레일(400)을 따라 기본프레임(F) 맨 끝으로 이동, 위치시켰을 때, 제 1창문(W1)으로부터 분리하여 포켓창(B)이 제 1방충모듈(A1)만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 2레일(500)과 제 2레일(500)에 결합, 장착된 포켓창(B)을 이용,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제 1방충모듈(A1)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제 2방충모듈(A2)에 형성된 허니콤필터환기창(S2)을 통해서만, 자연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제 1방충모듈(A1)에 형성되는 방충망(S1)은, 날씨, 먼지, 미세먼지 농도 등,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제 2레일(500)과, 제 2레일(500)에 결합, 장착되는 포켓창(B)은,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과 제 1창문(W1) 사이에 생성될 수 있는 틈새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사용자가 허니콤필터환기창(S2)의 효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2레일(500)과, 제 2레일(500)에 결합, 장착되는 포켓창(B)이 생략되면,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과, 제 1창문(W1)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실내 공간 내부가 외부의 환경(날씨,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의해 오염된다.
그러므로,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제 2레일(500) 및 포켓창(B)이 형성된다.
정리하여, 본 발명은,
1.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T1)을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을 이용하여,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가 장착,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개선시키고,
2. 이로 인해, 허니콤필터환기창(S2)의 효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창틀 구조를 제공하고,
3. 허니콤필터환기창(S2)의 효과를 기반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양방지요소(211)가 일정 배열로 형성된 허니콤차양모듈(210)로 인해 실내 공간 내부의 환기량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고,(공기 유동의 직진성, 공기가 직진성을 가지고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범위의 확장성 확보.)
4. 차양날개모듈(220)에 의해, 실내 공간 내부로 햇볕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고,
5. 방진필터부(100)에 의해, 실내 공간 내부로 먼지 및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고,
6. 빗물낙하경로모듈(230)에 의해, 빗물 및 이물질이 특정 경로(R)를 따라 아래로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유도하여, 차양환기창부(200)에 빗물이 고이거나,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휘되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이 결합될 수 있는 개선된 창틀 구조에 대한 것이다.
즉,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 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서, 본 발명에 구성되는 빗물낙하경로모듈(230)의 폭(W)은,
하기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
W = (Sf * Pav * C) / Hw
이때,
'W'는, 빗물낙하경로모듈(230)의 폭이고,
'Sf'는, 허니콤차양모듈(210)의 재질의 표면 장력이고,
'Pav'는, 설치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이고,
'C'는, 비례 상수이고,
'Hw'는, 차양날개모듈(220)이 형성된 높이이다.
즉, 상기 식에 의해, 빗물낙하경로모듈(230)의 폭(W)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서, 빗물 및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빗물낙하경로모듈(230) 및 차양날개모듈(220)을 범람하지 않고, 특정 경로(R)를 따라 아래로 용이하게 낙하,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레일(500)과 포켓창(B)의 형성으로,
제 1레일(400)을 따라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이 기본프레임(F)의 맨 끝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경우, 방충망(S1)과 허니콤필터환기창(S2)을 통해 실내 공간 내부가 자연 환기되도록 하는 완전개방모드(M1);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개방모드(M1)에서 제 2레일(500)을 따라 포켓창(B)이 이동, 방충망(S1)만을 폐쇄하여, 허니콤필터환기창(S2)을 통해서만 실내 공간 내부가 자연 환기되도록 하는 허니콤필터창개방모드(M2);가 더 포함, 구성되어,
사용자가 외부의 환경에 따라 상기 두 모드(M1, M2)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2의 (a)는, 실내 공간 내부와 실외가, 그 어떠한 방해 요소 없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이 폐쇄되어,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을 통해, 실내 공간 내부가 자연 환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c)는, 포켓창(B)으로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제 1방충모듈(A1)에 형성된 방충망(S1)만을 폐쇄하여, 제 2방충모듈(A2)에 형성된 허니콤필터환기창(S2)을 통해서만, 실내 공간 내부가 자연 환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d)는, 실내 공간 내부와 실외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의 (b)는 상기의 완전개방모드(M1) 상태이며, (c)는 상기의 허니콤필터창개방모드(M2)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서의 공기 유동의 '직진성'이라 함은,
실내 공간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의 순환(공기의 유동)에 있어, 방해 요소 없이 자유롭게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확장성'이라 함은,
공기가 자유롭게 방해 요소 없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면적이 확보되는 것을 말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환경(날씨,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창이 결합되는 창틀 구조를 제작, 판매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은 물론, 환기가 필요한 거주 공간 및 건축물을 건축하는 건축업 및 리모델링 사업 등, 창틀과 환기창과 관련된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100: 방진필터부 110: 방진필터모듈
120: 방진필터고정모듈 200: 차양환기창부
210: 허니콤차양모듈 211: 차양방지요소
220: 차양날개모듈 230: 빗물낙하경로모듈
231: 표면처리코팅요소 240: 이물질유입방지패킹모듈
300: 방충망부 400: 제 1레일
500: 제 2레일 600: 제 3레일
700: 제 4레일 800: 제 5레일
900: 제 6레일 1000: 제 7레일
A: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 B: 포켓창
E: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 F: 기본프레임
H: 추가레일장착홈 R: 특정 경로
T1: 기본창틀프레임
T2: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
T3: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
A1: 제 1방충모듈 A2: 제 2방충모듈
M1: 완전개방모드 M2: 허니콤필터창개방모드
S1: 방충망 S2: 허니콤필터환기창
W1: 제 1창문 W2: 제 2창문
W3: 제 3창문 W4: 제 4창문

Claims (4)

  1.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1)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는 창문이 결합된 기본창틀프레임(T1);
    상기 기본창틀프레임(T1)의 외부 측, 마지막 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가 장착, 결합되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에 장착, 결합되어,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로 구성되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T1)을,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를 장착, 결합하여,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은,
    기본창틀프레임(T1)의 외부 측, 마지막 레일에 장착, 결합되어,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가 설치,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E);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E)의 상면 일측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의 일부가 장착,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제 1레일(400);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E)의 상면 일측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제 1레일(400)을 기준으로 실내 방향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의 일부가 장착,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開閉)되도록 하는 제 2레일(500);
    상기 창틀추가브라켓프레임(E)의 하면 일측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기본창틀프레임(T1)의 제 3레일(600)과 결합되도록 하는 추가레일장착홈(H);으로 구성되어,
    건축물에 이미 설계되어 매립된 기본창틀프레임(T1)에도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를 장착, 결합하여,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허니콤필터환기창결합체(T3)는,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에 형성된 제 1레일(400)에 장착, 결합되어,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
    허니콤필터환기창추가레일브라켓(T2)에 형성된 제 2레일(500)에 장착, 결합되어, 상기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일부를 차단,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켓창(B);이 구성되되,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은,
    방충망(S1)이 형성되는 제 1방충모듈(A1);
    상기 제 1방충모듈(A1) 측면으로 허니콤필터환기창(S2)이 형성되는 제 2방충모듈(A2);로 구성되되,
    상기 제 2방충모듈(A2)에 형성되는 허니콤필터환기창(S2)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차단, 방지하는 방진필터부(100);
    상기 방진필터부(100)가 결합되고, 햇볕 및 빗물이 실내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는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차양환기창부(200);로 구성되어,
    날씨 및 먼지, 미세먼지 농도에 관계없이 실내 공간 내부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방진필터부(100) 및 차양환기창부(200)에 의해 내부로 먼지, 햇볕, 빗물의 유입을 차단,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포켓창(B)은,
    제 1창문(W1)과 밀착,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제 1창문(W1)의 개폐(開閉) 시, 동시에 개폐(開閉)되되,
    허니콤필터환기창망수단(A)의 일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 1창문(W1)으로부터 포켓창(B)만을 분리하여, 제 2레일(500)을 따라 단독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KR1020200081136A 2020-07-01 2020-07-01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KR10257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36A KR102573639B1 (ko) 2020-07-01 2020-07-01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36A KR102573639B1 (ko) 2020-07-01 2020-07-01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82A true KR20220003382A (ko) 2022-01-10
KR102573639B1 KR102573639B1 (ko) 2023-09-07

Family

ID=7934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136A KR102573639B1 (ko) 2020-07-01 2020-07-01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6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613B2 (ja) * 1992-11-02 1997-02-05 株式会社フミテック 自然換気設備用フィルタ
KR101807569B1 (ko) 2017-03-16 2017-12-11 주식회사 효성금속 방충망 일체형 창호 구조체
KR101882763B1 (ko) 2017-01-10 2018-07-27 김정숙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101917256B1 (ko) * 2017-09-29 2018-11-12 주식회사 윈로드시스템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613B2 (ja) * 1992-11-02 1997-02-05 株式会社フミテック 自然換気設備用フィルタ
KR101882763B1 (ko) 2017-01-10 2018-07-27 김정숙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101807569B1 (ko) 2017-03-16 2017-12-11 주식회사 효성금속 방충망 일체형 창호 구조체
KR101917256B1 (ko) * 2017-09-29 2018-11-12 주식회사 윈로드시스템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639B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3239C2 (ru) Рама для окон и дверей с присоединяемыми и отсоединяемыми рельсами
KR101925855B1 (ko) 커튼월형 방진망을 구비한 창호
KR101717570B1 (ko)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20200059969A (ko)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KR20080000505U (ko) 공기정화필터를 장착한 방충망
KR200401049Y1 (ko) 방충망
KR20220003382A (ko) 허니콤필터환기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창틀 구조
KR102570914B1 (ko) 허니콤필터환기창이 결합되는 창틀 구조
KR200310925Y1 (ko) 정전기식 창호용 방진망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KR102131686B1 (ko) 허니콤 필터 환기창
KR102346373B1 (ko) 먼지 소음 유입 및 먼지 증적 차단용 창호
KR20180123613A (ko) 샤시레일 부착형 롤방충망
KR101129964B1 (ko) 조립식 통풍 창호
KR200319626Y1 (ko) 방충망 어셈블리
RU182606U1 (ru) Воздухозаборник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KR102005985B1 (ko) 창문의 먼지 유입 방지장치
KR100831423B1 (ko) 방풍용 창호
JPH112445A (ja) 室内空気の換気システム
JP4098762B2 (ja) 建具
RU2267593C1 (ru) Ок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KR101152098B1 (ko) 차단재가 구비된 미닫이용 창틀 구조
CN219299155U (zh) 一种平开窗地漏排水器
KR200373238Y1 (ko) 창문의 눈비막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