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200A - 발명의 명칭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명의 명칭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200A
KR20220003200A KR1020200080736A KR20200080736A KR20220003200A KR 20220003200 A KR20220003200 A KR 20220003200A KR 1020200080736 A KR1020200080736 A KR 1020200080736A KR 20200080736 A KR20200080736 A KR 20200080736A KR 20220003200 A KR20220003200 A KR 20220003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video
image
advertisement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가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가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가트리
Priority to KR102020008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200A/ko
Publication of KR2022000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들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에 포함된 동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구현하여 동영상 인식을 이용한 광고 영상에서 광고의뢰서버, 방송장치를 통해 전송된 동영상을 통신망 부가 장비에 제공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소정 서버에 전송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이미지를 인식한 후 동영상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 부가정보를 표출해주는 시청자 단말기, 광고 장면에 부가정보를 매칭 하여 증강현실 인식정보를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며, 동영상 인식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부가정보를 시청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미디어 콘텐츠 제공서버 및 증강현실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동영상 인식정보를 기초로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미디어 콘텐츠 제공서버에 전송하는 증강현식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 동영상 인식기반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content service}
본 발명은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를 통해 생활속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동영상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하면 동영상을 인식하고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한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상품 광고는 비용이 높은 ATL(Above The Line) 이었다. 전통적인 광고 매체인 TV,신문, 잡지, 라디오가 4대 매체로 일컬어지는 매체광고가 중심을 이뤘다. 이후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인터넷은 4대 매체와 더불어 중요한 광고 매체로 부각되었다. 통상 상품 광고는 ATL을 통해서 상품 인지도를 높이고 이를 기반으로 BTL(Below The Line) 이나 커머스를 통한 판매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네트워크 구조이다.
이와 같이 ATL은 장기간 가장 중요한 광고 매체로 자리를 잡아 왔지만 매스미디어를 통에 불특정 다수에게 자신의 제품을 홍보하는 만큼 막대한 재정이 소요된다는 점과, 대다수 불 특정인에게 광고를 함으로 타깃을 확실하게 잡고 광고를 할 수 있는 수단이 아니기 때문에 제품을 표현하는 데 있어 수많은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ATL 광고의 단점으로 인해 BTL(Below The Line) 마케팅이 부각되었는데 고객이 세분화되어가는 만큼 소비자에게 일방적인 홍보가 아닌 쌍방향 즉 직접 경험하거나 체험을 통에 구매 심리를 자극하거나 기발한 아이디어를 통에 자신이 판매하는 제품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방법이 부각되었다. 예컨대 전시나 매장 디스플레이 이벤트 PPL 등의 방법으로 소비자가 참여 또는 경험을 해보면서 자연스럽게 구매 혹은 브랜딩 등에 효과를 줄 수 있는 마케팅이다.
최근에 부각된 이러한 BTL은 규제들이 많은 ATL 광고에 비에 더 자유롭게 광고하고 소비자에게 직접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와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으며 세분화된 타깃 고객을 중심으로 접근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지만 한 번에 많은 소비자에게 전달하기는 힘들며 한정된 공간에서 오랜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점은 광고 또는 마케팅 도구로서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는 CF 나 PPL 등을 통해서 노출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그 상품을 포털 사이트 등에서 검색을 하고, 이후 가격 비교 사이트나 오픈마켓 등 소비자가 자주 이용하는 쇼핑몰을 통해서 해당 상품을 구매한다.
또한 방송의 PPL 광고에는 노골적으로 광고하고자 하는 제품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해서 노골적인 기능의 시연이나 극 중 내용과 상관없는 제품의 장점을 설명하는 대사 등을 넣어서 TV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제품에 대해 홍보를 하고자 했으나 제품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역효과를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노골적인 PPL의 역효과를 줄이면서도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동영상을 이용한 새로운 광고 방법이 하기의 <특허문헌 1>내지 <특허문헌 4>로 제안되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용 콘텐츠를 상기 피사체에 적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용 콘텐츠가 적용된 상기 피사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광고 용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카메라 폰에 구비된 프로그램이 오프라인 설치 광고 매체에 표시된 광고화면 상의 광고인식 데이터를 촬영한 광고화면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폰의 프로그램이 상기 광고화면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광고인식 데이터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카메라폰의 프로그램이 촬영 시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사각형 기하학 구조를 지닌 광고인식 데이터 영역을 정면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기하학 구조에 대응하게 좌표 전환 후 상기 좌표 변환된 광고인식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광고화면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광고 ID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카메라폰의 프로그램이 오프라인 설치 광고 매체를 통에 표시 되는 광고를 식별하는 광고 ID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상기 확인된 광고 ID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카메라폰의 프로그램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ID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 한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동영상, 이미지, 사운드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되어 저장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키워드 광고를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한 각종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접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성이 있는 키워드 광고 콘텐츠를 통하여 관련 콘텐츠로의 웹서핑이 용이하게 되며,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광고주는 자신이 광고하고자 하는 사이트/웹페이지에 더 많은 트래픽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얼굴 인식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얼굴 이미지에 대한 닮은 얼굴 이미지 검색을 요청하면 얼굴 인식 검색 서버가 검색된 닮은 얼굴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얼굴 인식 검색 서버가 얼굴 인식 광고 서버로 해당 닮은 얼굴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얼굴 인식 광고 서버가 관리하는 웹페이지에 대해 광고를 요청받는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사용자가 제공한 적어도 하나의 닮은 얼굴이미지 중 최적의 닮은 얼굴 이미지와 광고 이미지(동영상)를 조합하여 생성된 전자적 광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광고 타깃과 연관된 인물과 유산한 인물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 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694779(2017. 01. 10. 공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6-0024374(2016. 03. 04. 공개) (광고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1-0043568(2011. 04. 27. 공개)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들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2-0108306(2012. 10. 05. 공개) (얼굴 인식 기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ATL/BTL 광고 방법은 CF 나 PPL 등을 통해서 노출된 상품을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할 때, 그 상품을 포털 사이트 등에서 검색을 하고 이후 가격 비교 사이트나 오픈마켓 등 소비자가 자주 이용하는 쇼핑몰을 통해서 해당 상품을 구매하므로, 상품 검색이나 구매가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얼굴 인식을 통에 전자적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 줄 수는 있으나, 얼굴 인식에만 국한되고,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접속한 후 얼굴 검색 등을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ATL/BTL 광고 방법이나 종래 기술은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실시간으로 동영상에 관련된 부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를 통해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동영상을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하면 동영상을 인식하고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한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출 효과가 높은 ATL을 이미지 인식에만 사용하지 않고 바로 BTL이나상거래로 연결시켜 부가광고 또는 판매와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중인 극의 내용에는 방해를 하지 않으면서도 시청자들이 극증에 쓰이는 소품이나 상품에 대한 궁금증을 즉석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인식을 통에 시청자들에게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광고주와 기업들의 에게는 해당 제품 광고 및 쇼핑몰 연계까지 원스톱으로 연결, 더욱 효율적인 구매와 판매 서비스를 구현하도록 한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인식을 이용한 광고 영상에서 광고 장면을 선정하고, 선정한 광고 장면을 기초로 광고를 의뢰하는 광고의뢰서버; 방송 장치를 통해 방송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인식한 후 동영상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 부가정보를 표출해주는 시청자 단말기;
상기 광고의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장면에 부가정보를 매칭하여 증강현실 인식정보를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부가정보를 상기 시청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미디어 콘텐츠 제공서버;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증강현실 인식 정보를 저장하고 동영상 인식 정보를 기초로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시청자 단말기는 동영상 인식과 부가정보 서비스를 위한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상기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통에 동영상 촬영과 동영상 인식을 수행하며 인식한 동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부가 정보 요청과 수신한 부가정보 표출을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미디어 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광고의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영상과 선정된 광고 장면을 인식 영상으로 업로드 받는 인식 영상 등록부; 상기 인식 영상 등록부에서 업로드 한 광고 영상 파일을 처리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로 등록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인식 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부가 정보를 추출 및 제공해주는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 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와 연동하여 광고 장면 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 이미지를 설정하는 증강현실 이미지 설정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증강현실 이미지 설정부는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와 연동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한 미디어/제품의 영상 코드를 추출하는 영상 코드 추출기; 비디오/제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콘텐츠 코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코드 추출기; 상기 추출한 영상 코드와 콘텐츠 코드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등록 구간 설정과 증강현실 출력 콘텐츠를 설정하여 증강현실 설정 등록을 요청 하는 증강현실 설정 등록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은, 시청자 단말기에서 기 등록된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방송 장치를 통해 방송되는 동영상을 인식하고, 동영상 인식 정보를 기초로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에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수신한 동영상 인식 정보로부터 특징 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 점을 기초로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매칭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에서 특징점을 분석하여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매칭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에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계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수신한 부가정보를 시청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시청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부가 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를 통해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동영상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하면 동영상을 인식하고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출 효과가 높은 ATL을 이미지 인식에만 이용하지 않고 바로 BTL이나 상거래로 연결시켜 부가 광고 또한 판매와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직접적이고 효율적인 광고 시스템을 구현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중인 극의 내용에는 방해를 하지 않으면서도 시청자들이 극중에 쓰이는 소품이나 상품에 대한 궁금증을 즉석에서 해결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인식을 통해 시청자들 에게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광고주와 기업들에는 해당 제품 광고 및 쇼핑몰 연결까지 원스톱으로 연결, 더욱 효율적인 구매와 판매 서비스를 실행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의 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동영상 인식과정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광고의뢰 서버(100), 미디어 콘텐츠 제공서버(200), 방송장치(300), 시청자 단말기 (400) 및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의뢰서버(100)는 동영상 인식을 이용한 광고 영상에서 광고 장면을 선정하고, 선정한 광고 장면을 기초로 광고를 의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고의뢰 서버(100)는 광고주, 광고 대행사, 상품판매업체 등에서 사용하는 서버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시청자 단말기(400)는 방송 장치(300)를 통에 방송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인식한 후 동영상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 부가 정보를 표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시청자 단말기(400)는 인터넷이 가능하며, 카메라와 같은 촬영 장치가 구비된 모바일 기기로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이라고 가정한다.
시청자 단말기(400)는 동영상 인식과 부가 정보 서비스를 위한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 촬영과 동영상 인식을 수행하며, 인식한 동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부가 정보 요청과 수신한 부가정보 표출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상기 광고 의뢰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장면에 부가 정보를 매칭 하여 증강현실 인식 정보를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500)에 등록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500)와 연동하여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부가 정보를 상기 시청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고의뢰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영상과 선정된 광고 장면을 인식 영상으로 업로드 받는 인식 영상 등록부(210), 상기 인식 영상 등록부(210)에서 업로드 한 광고 영상 파일을 처리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로 등록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기(400)로 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인식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500)와 연동하여 부가정보를 추출 및 제공해주는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부(230),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 부(230)와 연동하여 광고 장면 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 이미지를 설정하는 증강현실 이미지 설정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설정부(220)는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부(230)와 연동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한 미디어/제품의 영상 코드를 추출하는 영상 코드 추출기(221), 비디오/제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콘텐츠 코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코드 추출기(222), 상기 추출한 영상 코드와 콘텐츠 코드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등록 구간 설정과 증강현실 출력 콘텐츠를 설정하여 증강현실 설정 등록을 증강현실 설정 등록부(223)포함한다.
여기서 증강현실 등록모듈(234)은 상기 영상 구간 정보 열람 및 저장 데이터와 상기 콘텐츠 코드 생성 및 저장 데이터를 정합하여 영상 정보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증강현실 인식 정보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강현실 등록 및 서비스 부(230)의 증강현실 등록 모듈(234)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설정 부(220)에서 전송된 영상 구간 정보를 상기 스토리지(232) 및 데이터베이스(233)와 연동하여 영상 구간 정보 열람 및 저장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을 완료한 상태에서 미디어 콘텐츠(부가 정보)를 서비스해주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광고의뢰서버 200: 미디콘텐츠 제공서버
210: 인식 영상 등록부 220: 증강현실 이미지 설정부
221: 영상 코드 추출기 222: 콘텐츠 코드 추출기
223: 증강현실(AR) 설정등록부
230: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및 서비스부
231: 영상 관리 모듈 232: 스토리지
233: 데이터베이스 234: 증강현실 등록 모듈
235: 부가정보 제공부 300: 방송장치
400: 시청자 단말기 500: 강실 클라우드

Claims (4)

  1.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미어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으로서,
    동영상 인식을 이용항 광고 영상에서 광고 장면을 선정하고 선정한 광고 장면을 기초로 광고를 의뢰하는 광고 의뢰서버 :

    방송장치를 통해 방송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인식한 후 동영상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 부가 정보를 표출해주는 시청자 단말기 :
    상기 광고 의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장면에 부가 정보를 매칭하여 증강현실 인식 정보를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인식정보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부가정보를 상기 시청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 및 상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증강현실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동영상 인식정보를 기초로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증강현실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시청자 단말기는 동영상 인식과 부가정보 서비스를 위한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상기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 촬영과 동영상 인식을 수 행하며, 인식한 동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부가정보 요청과 수신한 부가정보 표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광고 의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영상과 선정된 광고 장면을 인식 영상으로 업로드 받는 인식 영상 등록부; 상기 인식 영상 등록부에서 업로드 한 광고 영상 파일을 처리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로 등록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인식정보를 증강현실 클라우드서버와 연동하여 부가정보를 추출및 제공해주는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 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부와 연동하여 광고장면 정보를 기초로 증강현실 이미지를 설정하는 증강현실 이미지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설정부는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등록 및 서비스와 연동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한 미디어/ 제품이 영상 코드를 추출하는 영상코드 추룰기 : 비디오/제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콘텐츠 코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코드 추출기 : 상ㄹ기 추출한 영상 코드와 콘텐츠 코드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등록 구간 설정과 증강현실 출력 콘텐츠를 설정하여 증강현실 설정 등록을 요청하는 증강현실 설정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인식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0200080736A 2020-07-01 2020-07-01 발명의 명칭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3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36A KR20220003200A (ko) 2020-07-01 2020-07-01 발명의 명칭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36A KR20220003200A (ko) 2020-07-01 2020-07-01 발명의 명칭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200A true KR20220003200A (ko) 2022-01-10

Family

ID=7934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36A KR20220003200A (ko) 2020-07-01 2020-07-01 발명의 명칭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20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568A (ko) 2011-03-16 2011-04-27 강민수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20120108306A (ko) 2011-03-23 2012-10-05 (주)큐앤솔브 얼굴 인식 기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4374A (ko) 2016-02-15 2016-03-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광고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4779B1 (ko) 2015-09-01 2017-01-10 주식회사 시어스랩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568A (ko) 2011-03-16 2011-04-27 강민수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20120108306A (ko) 2011-03-23 2012-10-05 (주)큐앤솔브 얼굴 인식 기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694779B1 (ko) 2015-09-01 2017-01-10 주식회사 시어스랩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장치
KR20160024374A (ko) 2016-02-15 2016-03-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광고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178B2 (en) Monitoring individual viewing of television events using tracking pixels and cookies
US20190364329A1 (en) Non-intrusive media linked and embedded information delivery
CN103369049B (zh) 移动终端和服务器交互方法及其系统
US8315423B1 (en) Providing information in an image-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9838753B2 (en) Monitoring individual viewing of television events using tracking pixels and cookies
US81910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advertisement in contents of video program
JP6713414B2 (ja) コンテンツプロビジョニングに関連付けられた関係をサポート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80319844A1 (en) Image Advertising System
EP2045729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043828B1 (en) Placing sponsored-content based on images in video content
US20120138671A1 (en) Provision of Alternate Content in Response to QR Code
EP204573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n engine that pairs advertisements with video files
US20100023405A1 (en) Advertising by tagging predefined keywords or phrases onto content or media
US8346604B2 (en) Facilitating bidding on images
US20170213248A1 (en) Placing sponsored-content associated with an image
KR101344912B1 (ko) 클라우드 기반의 클립보드에 저장된 문서와 연계 가능한 서비스와 광고를 제공하는 문서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189346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소규모 매장 광고관리시스템
KR102078417B1 (ko) 영상 기반 이미지 정보검색 및 구매지원 방법
KR20190081367A (ko)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74108A (ja) 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181732B1 (ko) 동영상 핑거프린트 정보에 기반한 동영상 마크업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40715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실시간 모바일 상품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US8595760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n advertisement within content
JP6082716B2 (ja) 放送照合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20003200A (ko) 발명의 명칭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