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870U - 기능성 침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870U
KR20220002870U KR2020210001683U KR20210001683U KR20220002870U KR 20220002870 U KR20220002870 U KR 20220002870U KR 2020210001683 U KR2020210001683 U KR 2020210001683U KR 20210001683 U KR20210001683 U KR 20210001683U KR 20220002870 U KR20220002870 U KR 202200028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oor
bracket
variab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원지영
Original Assignee
이영우
원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원지영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2020210001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870U/ko
Publication of KR20220002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수납기능을 가지도록 된 것으로, 노약자라도 안정되게 상기 수납공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적층되는 매트리스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지하도록 되며 상부개구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도어와, 상기 수납부재에 대하여 상기 개폐도어을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을 가지는 프레임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침대{Functional bed}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수납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공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구성되는 매트리스의 하중의 가변에 따라 적합한 탄성지지력을 조절하여 형성하도록 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된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누워 쉬거나 취침하도록 된 침대는, 크기와 기능에 따라 싱글 침대, 더블 침대, 세미더블 침대, 어린이용 침대, 유아용 침대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침대에 대하여 근자에는, 실내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침대로 활용하는 침대 프레임에 옷 가지와 같은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들이 설치된 기능성 침대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구조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도록 된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물품들이 수납하도록 된 '기능성 침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침대의 하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공간사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22891호(명칭: 수납공간이 구비된 침대/2005.08.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 상단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는 침대본체 및 전술한 침대본체의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양측 하부에 슬라이딩 유닛이 설치되며, 전술한 침대본체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상판을 포함하는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28595호(명칭: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침대/2002.09.2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종 또는 횡방향으로 폴딩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며, 이 매트리스를 받치되, 상기 침대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지는 매트리스가 폴딩되는 폭만큼 폴딩수단에 의해 그 양측이 상반되게 개폐되도록 결합되어지며 매트리스의 폴딩방향과 일치되게 폴딩되도록 한복수의 폴딩 프레임과, 상기 침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다양한 수납공간부를 제공하는 다수의 구획판이 구비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03889호(명칭: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2001.02.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을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하고 제 1 프레임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서랍식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프레임 내부 중앙에 칸막이를 형성하고 칸막이 좌·우로 수납부를 형성한 침대프레임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 20-2000-0028159호(명칭: 물품수납기능을 갖는 침대/2000.10.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 내부에 물품이 수납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침대에 있어서, 침대본체의 상부를 개방하여 내측 수납공간부를 다수개의 격벽으로 분리 구성하고 격벽으로 분리된 각 수납공간부의 상부를 각각의 상판으로 덮어 밀폐시켜주되, 통상의 고정구를 측벽의 일측면 상부와 상판의 저면 일측에 각각 고정하여 상판이 일측으로 회동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 수용부에는 양쪽 측판이 중앙 연결판과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된 보조칸막이가 내설되어 구성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22891호(2005.08.08.)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28595호(2002.09.2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03889호(2001.02.16.)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 20-2000-0028159호(2000.10.1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대 및 침대프레임들은,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폐도어의 상부에 적층되는 매트리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개폐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힘이 악한 노약자들은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수납기능을 가지도록 된 것으로, 노약자라도 안정되게 상기 수납공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폐도어의 상부에 적층되는 매트리스의 하중의 가변에 따라 적합한 탄성지지력을 조절하여 형성하도록 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된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침대는, 매트리스와;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매트리스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지하도록 되며 상부개구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도어를 가지는 프레임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상기 수납부재에 대하여 상기 개폐도어을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수납부재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저면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도어브라켓과; 상기 도어브라켓과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수납부재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수납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에 도어회전축(a1)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브라켓의 수납회전축(b1)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되, 상기 도어브라켓과 상기 수납브라켓에 대하여 직각상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직지지링크와;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에 도어가변축(a2)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브라켓의 수납가변축(b2)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가변지지링크와;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의 탄성지지축(a3)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변지지링크에 탄성가변축(C)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되 신축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가변축(a2)는, 상기 도어회전축(a1)과 상기 탄성지지축(a3)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회전축(a1)과 상기 도어가변축(a2)의 간격은, 상기 수납회전축(b1)과 상기 수납가변축(b2)의 간격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되어, 상기 가변지지링크가 상기 도어브라켓 및 상기 수납브라켓에 대하여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지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침대는, 수납부재의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하도록 되어 수납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매트리스가 적층되어 하중을 가지는 개폐도어를 탄성지지수단의 탄성지지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개방압력을 보강하도록 됨에 따라, 노약자라도 안정되게 상기 수납공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지지링크에 대하여 탄성가변축(C)의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하여 상기 개폐도어를 통해 인가되는 중력하중에 대한 탄성지지부재의 지지탄성력을 증감하도록 조절하게 됨에 따라, 개폐도어의 상부에 적층되는 매트리스의 하중의 가변에 따라 적합한 탄성지지력을 조절하여 형성하도록 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를 구성하는 탄성지지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를 구성하는 탄성지지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를 구성하는 탄성가변축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는, 쿠션탄성력을 가지어 상부에 누워 취침 및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를 안락하게 하도록 된 매트리스(100)와; 상부에 상기 매트리스(100)가 적층되며 상기 매트리스(100)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지하도록 된 프레임구조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바닥에 시설되는 상기 프레임구조체(2)의 상부에 상기 매트리스(100)가 적층되어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매트리스(100)는, 사용자가 상부에 거치하도록 된 것으로, 주로 탄성쿠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재질 및/또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되며;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재질 및/또는 구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서,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개구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21)와; 상기 수납부재(21)의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도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폐도어(22)를 통해 개폐되는 상기 수납부재(21)의 수납공간에 물품을 선택적으로 수납하게 된다.
상기에서 수납부재(21)는,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시설되며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판(板;plate)' 형상의 측면프레임판(211)들이 '사각틀' 형상으로 결속조립되어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프레임판들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된 바닥판(212)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폐도어(22)는,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상기 매트리스(100)가 안정적으로 적층되면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서, 상기 프레임구조체(2)는, 상기 수납부재(21)에 대하여 상기 개폐도어(22)를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탄성지지수단(3)을 통해 상기 수납부재(21)에 대하여 상기 개폐도어(22)를 탄성지지하면서 회전운동시키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100)가 적층되어 하중을 가지는 상기 개폐도어(22)를 탄성지지수단(3)의 탄성지지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개방압력을 보강하도록 된다.
따라서, 노약자라도 안정되게 상기 수납공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서, 상기 탄성지지수단(3)은, 상기 개폐도어(22)가 상기 수납부재(21)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22)의 저면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도어브라켓(31)과; 상기 도어브라켓(31)과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수납부재(21)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수납브라켓(32)과;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31)에 도어회전축(a1)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브라켓(32)의 수납회전축(b1)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되, 상기 도어브라켓(31)과 상기 수납브라켓(32)에 대하여 직각상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직지지링크(33)와;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31)에 도어가변축(a2)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브라켓(32)의 수납가변축(b2)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가변지지링크(34)와;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31)의 탄성지지축(a3)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변지지링크(34)에 탄성가변축(C)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되 신축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지지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폐도어(22)의 저면에 상기 도어브라켓(31)이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재(21)의 내측면에 상기 수납브라켓(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지지링크(33)의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수납부재(21)에 대하여 상기 개폐도어(22)가 회전운동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지지링크(34)를 통해 상기 수납브라켓(32)에 대하여 상기 도어브라켓(31)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탄성지지부재(35)를 통해 상기 가변지지링크(34)에 대하여 상기 개폐도어(22)를 탄성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수납부재(21)에 대하여 회전운동하는 상기 개폐도어(22)가 탄성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페도어(22)의 개방상태기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됨은 물론, 상기 개폐도어(22)를 개방하고자 상부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작은 힘으로도 안정되게 개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노약자라도 안정되게 상기 수납공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된다.
상기에서 탄성지지부재(35)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가스스프링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폐도어(22)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취부한 후, 개페작업을 수행하도록 되는 '손잡이홈'(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서, 상기 도어가변축(a2)는, 상기 도어회전축(a1)과 상기 탄성지지축(a3)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회전축(a1)과 상기 도어가변축(a2)의 간격은, 상기 수납회전축(b1)과 상기 수납가변축(b2)의 간격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되어, 상기 가변지지링크(34)가 상기 도어브라켓(31) 및 상기 수납브라켓(32)에 대하여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가변지지링크(34)가 상기 도어브라켓(31) 및 상기 수납브라켓(32)에 대하여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35)에 의해 상기 가변지지링크(34)가 상기 도어브라켓(31)에 대하여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22)를 통해 바닥에 대하여 수작상으로 인가되는 하중압력(G)에 대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재(35)의 탄성지지방향(S)이 교각(P: angle of intersection , 交角)을 형성하면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교각(P)이 크게 이루어질수록 상기 하중압력(G)에 대한 탄성지지력이 작아지게 되어, 상기 개폐도어(22)가 상기 수납공간을 안정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22)가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면, 상기 교각(P)이 작아지면서 상기 하중압력(G)에 대한 탄성지지력이 점차적으로 크게 되면서 상기 개폐도어(22)가 상기 수납공간을 안정적으로 개방하게 됨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안정된 개방작업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도어(22)의 상부에서 상기 매트리스(100)를 제거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상기 개폐도어(22)의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될 수 있어, 개폐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서, 상기 가변지지링크(34)에서 상기 탄성가변축(C)의 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되어 상기 교각(P)의 각도를 임의로 선택하여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가변지지링크(34)에 대하여 탄성가변축(C)의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하여 상기 개폐도어(22)를 통해 인가되는 하중압력(G)에 대한 상기 탄성지지부재(35)의 지지탄성력을 증감하도록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22)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매트리스(100)의 하중의 가변에 따라 적합한 탄성지지력을 조절하여 형성하도록 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과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지지링크(34)에는, 상기 탄성가변축(C)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다수의 고정축(F1)(F2)(F3)들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교각(P)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탄성가변축(C)을 축결합하게 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고정축(F1)(F2)(F3)들에 대하여 상기 탄성가변축(C)이 선택적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교각(P)을 임의로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트리스(100)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상기 교각(P)이 작게 이루어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개폐도어(22)에 대한 탄성지지력을 맞춤되게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기능성 침대
10 : 손잡이홈 100 : 매트리스
2 : 프레임구조체 21 : 수납부재
211 : 측면프레임판 212 : 바닥판
22 : 개폐도어 3 : 탄성지지수단
31 : 도어브라켓 32 : 수납브라켓
33 : 수직지지링크 34 : 가변지지링크
35 : 탄성지지부재
a1 : 도어회전축 a2 : 도어가변축
a3 : 탄성지지축 b1 : 수납회전축
b2 : 수납가변축 C : 탄성가변축
F1,F2,F3 : 고정축 G : 하압중력
P : 교각 S : 탄성지지방향

Claims (1)

  1. 매트리스(100)와;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매트리스(100)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지하도록 되며 상부개구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21)와, 상기 수납부재(21)의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도어(22)를 가지는 프레임구조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 침대(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2)는, 상기 수납부재(21)에 대하여 상기 개폐도어(22)를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지지수단(3)은,
    상기 개폐도어(22)가 상기 수납부재(21)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22)의 저면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도어브라켓(31)과; 상기 도어브라켓(31)과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수납부재(21)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수납브라켓(32)과;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31)에 도어회전축(a1)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브라켓(32)의 수납회전축(b1)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되, 상기 도어브라켓(31)과 상기 수납브라켓(32)에 대하여 직각상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직지지링크(33)와;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31)에 도어가변축(a2)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브라켓(32)의 수납가변축(b2)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가변지지링크(34)와;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31)의 탄성지지축(a3)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변지지링크(34)에 탄성가변축(C)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되 신축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지지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가변축(a2)는,
    상기 도어회전축(a1)과 상기 탄성지지축(a3)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회전축(a1)과 상기 도어가변축(a2)의 간격은,
    상기 수납회전축(b1)과 상기 수납가변축(b2)의 간격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되어, 상기 가변지지링크(34)가 상기 도어브라켓(31) 및 상기 수납브라켓(32)에 대하여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지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KR2020210001683U 2021-05-28 2021-05-28 기능성 침대 KR202200028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83U KR20220002870U (ko) 2021-05-28 2021-05-28 기능성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83U KR20220002870U (ko) 2021-05-28 2021-05-28 기능성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70U true KR20220002870U (ko) 2022-12-06

Family

ID=8439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683U KR20220002870U (ko) 2021-05-28 2021-05-28 기능성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87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151B2 (en) Cabinet having a fold-away bed
KR20030074029A (ko) 접이식 의자 겸용 침대
EP1937563A2 (en) Frame structure for a collapsible box with top access, side access and interconnected vertical stacking
CN106667121A (zh) 一种多功能沙发床
EP1434507B1 (en) Improvements in furniture combination bed and desk
RU199436U1 (ru) Подъемная кровать
KR200458881Y1 (ko) 상부 회전 개방형 수납공간을 겸한 침대
JPS6162407A (ja) 折り畳み椅子を収納した床構造
RU2759927C2 (ru) Матрасный комплект и способ
KR20220002870U (ko) 기능성 침대
KR200483447Y1 (ko) 침대 및 소파겸용 여행용 캐리어
KR100840334B1 (ko) 강의용 책상
KR102607256B1 (ko) 리프트침대용 판넬
KR20210000204U (ko) 수납공간이 내장된 소파
KR20120079311A (ko) 수납박스
KR200454234Y1 (ko) 접이식 테이블
CN221012618U (zh) 一种折叠床垫支撑
KR200375527Y1 (ko) 절첩식 매트리스를 구비한 간이침대
RU229335U1 (ru) Диван с раскладной спинкой
CN215899276U (zh) 一种折叠床及家居用品
US95048A (en) Improved sofa and bedstead
CN208777019U (zh) 可伸缩折叠的落地式晾衣架
US1124769A (en) Combined trunk and seat.
JPH11276304A (ja) ベッドの天板開閉装置
CN117860065A (zh) 一种行李箱外置便携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