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839A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839A
KR20220002839A KR1020210190979A KR20210190979A KR20220002839A KR 20220002839 A KR20220002839 A KR 20220002839A KR 1020210190979 A KR1020210190979 A KR 1020210190979A KR 20210190979 A KR20210190979 A KR 20210190979A KR 20220002839 A KR20220002839 A KR 2022000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ld air
air supply
output
suppl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103B1 (ko
Inventor
안승욱
채수남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1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4Calculation of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설정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 및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가전 기기로서, 저장실이 항상 일정한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 저장실이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한 범위와 하한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즉, 저장실 온도가 상한 온도로 상승하면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여 저장실을 냉각하고, 저장실 온도가 하한 온도에 도달하면 냉동 사이클을 정지하는 방법으로 냉장고를 제어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22182호(공개일 1997년5월28일)에는 냉장고의 저장실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정온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저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압축기와 팬을 구동하고, 이와 동시에 저장실 댐퍼를 완전히 개방하며, 저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로 냉각되면 압축기 및/또는 팬의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저장실 댐퍼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냉장고의 저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압축기를 구동한 이후에, 저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압축기 구동을 중지하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저장실의 온도 변화 폭이 커 저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축기의 구동 시작 및 구동 정지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므로, 압축기를 재구동할 때 전력 소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저장실 댐퍼를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 댐퍼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실 쪽으로 냉기가 과도하게 공급될 가능성이 높아 저장실이 과냉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피보관물의 신선도 향상을 위하여 저장실의 온도가 정온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저장실의 온도가 정온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냉기공급수단의 소비전력이 줄어들 수 있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저장실의 온도가 정온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 신속하게 정온 상태로 회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고,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한 후에, 제1인자 및 제2인자에 의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증가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현재의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증가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증가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 및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 및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경우는,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단위 온도 보다 작은 경우이다.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경우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고,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단위 온도 이상인 경우이다.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이하이고,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단위 온도 이상인 경우이다.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경우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 또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단위 온도 보다 작은 경우이다.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이하이면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단위 온도 이상인 경우이다.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경우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면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단위 온도 이상인 경우이다.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재차 결정한다.
상기 냉기공급수단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및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저장실로 송풍하기 위한 팬을 구동하는 팬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냉기공급수단은, 냉동실의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에 배치되는 댐퍼를 구동하는 댐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이전에 결정된 출력으로 냉기공급수단이 일정 시간 작동하는 단계;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실의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결정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상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2 하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상한 기준값 또는 제1 하한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감소된 출력으로 작동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는,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고,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하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재차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증가된 출력으로 작동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는,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고,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하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재차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이전에 결정된 출력으로 냉기공급수단이 일정 시간 작동하는 단계;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실의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결정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큰 온도 상한 및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온도 하한 사이의 구간을 온도 만족 구간이라고 할 때,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현재 온도가 상기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고, 상기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작고, 상기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이전에 결정된 출력으로 냉기공급수단이 일정 시간 작동하는 단계;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실의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결정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큰 온도 상한 및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온도 하한 사이의 구간을 온도 만족 구간이라고 할 때,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현재 온도가 상기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고,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현재 온도가 상기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되지 않고,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현재 온도가 상기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고,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고, 감지된 현재 온도가 상기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전원이 온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의 전원이 온된 후에, 미리 설정된 제1출력값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단계;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출력값 보다 낮은 제2출력값으로 작동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A1) 보다 낮고 상기 설정 온도 보다 높은 온도 상한(C1)과, 상기 설정 온도 보다 낮고 상기 오프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 하한(C2) 사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저장실의 현재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후에, 저장실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A1) 이상이 되면, 미리 설정된 제1출력값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단계;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출력값 보다 낮은 제2출력값으로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A1) 보다 낮고 상기 설정 온도 보다 높은 온도 상한(C1)과, 상기 설정 온도 보다 낮고 상기 오프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 하한(C2) 사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저장실의 현재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는 상기 설정 온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에, 미리 설정된 제1출력값으로 제어부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단계;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출력값 보다 낮은 제2출력값으로 작동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A1) 보다 낮고 상기 설정 온도 보다 높은 온도 상한(C1)과, 상기 설정 온도 보다 낮고 상기 오프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 하한(C2) 사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저장실의 현재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는 상기 설정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와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고,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한 후에, 제1인자 및 제2인자에 의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설정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 및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이하이고,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경우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면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제1 하한 기준값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냉장고의 운전은, 정온 제어 운전과 일반 제어 운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온 제어 운전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와,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운전일 수 있다.
상기 일반 제어 운전은, 상기 제1인자와 상기 제2인자와 무관하게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운전일 수 있다.
상기 정온 제어 운전 수행전에 상기 일반 제어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온 제어 운전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고,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한 후에, 제1인자 및 제2인자에 의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제어 운전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미리 설정된 출력값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정지시키고,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다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반 제어 운전은, 냉장고의 전원이 온되거나,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고,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한 후에, 상기 제1인자에 의해서 결정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2인자에 의해서 결정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증가되거나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증가되거나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와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가 동일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와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가 동일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저장실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보관 기간이 늘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저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이 과냉되거나 시드는 현상이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실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냉기공급수단이 정지하지 않고 구동 상태를 유지하므로, 냉기공급수단의 초기 기동에 따른 소비 전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또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므로, 저장실의 온도가 정온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 신속하게 정온 상태로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의 온도 변화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의 온도 변화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 내지 도 12는 제3실시 예에 따른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의 온도 변화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저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에는 음식물과 같은 피보관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은 구획벽(113)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도어는, 상기 냉동실(111)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15)와, 상기 냉장실(112)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냉장실 도어(16)는 상기 냉장실 도어(16)를 열지 않고, 상기 냉장실 도어(16)에 보관된 피보관물을 인출하기 위한 서브 도어(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113)에는 냉기를 냉장실(112)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덕트(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덕트(미도시)에는 댐퍼(12)가 설치되어, 상기 연결 덕트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11) 및/또는 냉장실(112)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20)을 더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동 사이클(2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와, 상기 압축기(21)를 통과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22)와, 상기 응축기(22)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부재(23)와, 상기 팽창 부재(23)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24)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24)는 일 예로 냉동실용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11)의 냉기 순환을 위하여 상기 증발기(24)를 향하여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팬(26)과, 상기 팬(26)을 구동시키는 팬 구동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동실(111)로 냉기가 공급되기 위해서는 압축기(21)와 팬 구동부(25)가 작동하여야 하며, 상기 냉장실(112)로 냉기가 공급되기 위해서 상기 압축기(21)와 팬 구동부(25)가 작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댐퍼(12)가 개방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댐퍼(12)는 댐퍼 구동부(13)에 의해서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압축기(21), 팬 구동부(25) 및 댐퍼(12)(또는 댐퍼 구동부)는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야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냉기공급수단이 압축기(21) 및 팬 구동부(25)인 경우에는 "냉기공급수단이 운전"된다는 것은 압축기(21) 및 팬 구동부(25)가 온되는 것을 의미하고, "냉기공급수단이 정지"된다는 것은 압축기(21) 및 팬 구동부(25)가 오프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냉기공급수단이 압축기(21) 및 팬 구동부(25)인 경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은 상기 압축기(21)의 냉력, 상기 팬 구동부(25)의 회전속도를 의미한다.
또한, 냉기공급수단이 댐퍼(12)인 경우에는, "냉기공급수단이 운전"된다는 것은 상기 댐퍼(12)가 개방되어 냉동실(111)의 냉기가 냉장실(112)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냉기공급수단이 정지"되는 것은 상기 댐퍼(12)가 폐쇄되어 상기 냉동실(111)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112)로 유동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댐퍼(12)(또는 댐퍼 구동부)인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증가되는 것은 상기 댐퍼(12)의 개방 각도가 증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감소되는 것은 상기댐퍼(12)의 개방 각도가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11)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 온도센서(41)와,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 온도센서(42)와, 상기 각 온도센서(41, 42)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실(111)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21)와 상기 팬 구동부(25)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팬 구동부(25) 및 상기 압축기(21)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21), 상기 팬 구동부(25) 및 상기 댐퍼(12)(또는 댐퍼 구동부(13))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압축기(21) 및 상기 팬 구동부(25)가 일정 출력으로 작동하는 중에 상기 댐퍼(12)의 개방 각도를 가변할 수 있다.
메모리(52)에는 설정 온도(또는 목표 온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52)에는 단위 온도에 따른 단위 냉력의 변화량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보다 높은 온도를 제1 냉장실 기준 온도라 하고,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제2 냉장실 기준 온도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보다 높은 온도를 제1 냉동실 기준 온도라 하고, 목표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제2 냉동실 기준 온도라 한다.
또한,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온도와 제2 냉장실 기준 온도 사이의 범위를 냉장실 온도 만족 구간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온도와 상기 제2 냉장실 기준 온도 사이의 소정의 온도를 제1 설정 온도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 온도는 목표 온도이거나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온도와 제2 냉장실 기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온도와 제2 냉동실 기준 온도 사이의 범위를 냉동실 온도 만족 구간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온도와 상기 제2 냉동실 기준 온도 사이의 소정의 온도를 제2 설정 온도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 온도는 목표 온도이거나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온도와 제2 냉동실 기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실(111) 및/또는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가 상기 온도 만족 구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실의 정온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는, 냉장고(1)의 전원이 온되면(S1), 정온 제어를 위한 예비 운전을 수행한다(S2).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은, 저장실의 온도가 온 기준 온도(A1) 이상인 경우 온되고, 저장실의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A2) 이하인 경우 오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 또는 제상을 위하여 냉기공급수단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가 온되거나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온되면, 저장실의 온도는 상기 온 기준 온도(A1) 보다 높을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미리 결정된 제1출력값, 일 예로 최대 출력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압축기(21)가 최대 냉력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댐퍼(12)의 개방 각도가 최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1)가 최대 냉력으로 운전되면, 상기 저장실의 온도는 하강하게 되며,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오프 기준 온도(A2)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압축기(21)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댐퍼(12)를 패쇄할 수 있다.
즉, 예비 운전 단계는, 냉기공급수단을 최대 출력으로 운전시키는 단계와, 냉기공급수단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예비 운전 중에 상기 제어부(50)는 정온 제어 시작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정온 제어 시작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저장실의 정온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정온 제어 시작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은 미리 결정된 출력(제1출력값 보다 낮은 제2출력값임)으로 작동된다(S4). 상기 미리 결정된 출력은 최소 출력과 최대 출력 사이의 출력이다.
상기 정온을 위한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연속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정온을 위한 제어 단계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5)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정온 제어를 위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되, 상기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는, 저장실의 온도 변화의 추이를 판단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한다(S6).
본 실시 예에서는, 저장실의 온도 변화의 추이로써, 이전의 저장실의 온도(이하 "이전 온도"라 함)와 현재의 저장실의 온도(이하 "현재 온도"라 함)의 차이값을 이용한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변화 추이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값에 기초한다. 따라서, 상기 일정 시간은 온도 변화 추이를 판단하기 위한 샘플링 시간이다.
이때, 상기 샘플링 시간은 일정하거나, 현재 온도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제1온도 구간에 위치되는 경우, 다음 번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샘플링 시간으로서, 제1샘플링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반면, 현재 온도가 제2온도 구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다음 번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샘플링 시간으로서, 제1샘플링 시간 보다 길거나 짧은 제2샘플링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냉장고(1)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S7) 상기 정온 제어를 지속한다.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의 온도 변화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에는 일 예로 냉동실을 정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압축기의 냉력 변화 및 이에 따른 냉동실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고, 그래프 상의 숫자는 압축기의 냉력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냉기공급수단의 일 예로 압축기의 냉력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냉장고의 전원이 온되거나 또는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 상기 압축기(21)는 냉동실의 온도를 신속하게 하강시키기 위하여 최대 냉력으로 운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의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21)는 정지된다.
상기 압축기(21)가 정지되면, 상기 냉동실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Notch)에 도달하게 되면, 냉동실의 정온을 위한 제어가 시작된다.
상기 냉동실의 정온 제어가 시작되면, 상기 압축기(21)는 최소 냉력과 최대 냉력 사이의 미리 설정된 냉력으로 작동하게 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의 온도는 샘플링 시간 간격을 두고 감지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축기(21)가 60의 냉력으로 작동하는 중에 냉동실의 온도에 따라, 냉력이 유지되거나(냉력: 60), 감소(냉력: 55, 50)되거나 증가(냉력 :65, 70)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면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1레벨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1레벨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과 비교를 위한 기준값은 복수 개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면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2레벨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2기준값 보다 큰 제3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3레벨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2레벨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2기준값 보다 큰 제3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3레벨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기준값들 간의 차이값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준값은 0.5로 설정될 수 있고, 제2기준값은 1로 설정될 수 있고, 제3기준값은 1.5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기준값은 0.5로 설정될 수 있고, 제2기준값은 0.9로 설정될 수 있고, 제3기준값은 1.3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레벨들 간의 차이값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A이고, 제2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2*A이며, 제3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3*A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A이고, 제2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2*A가 아닌 B(A 보다는 큰 값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3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3*A가 아닌 C(B 보는 큰 값임)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이 감소된 상태(냉력 55)에서, 샘플링 시간 이후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면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재차 감소시킬 수 있다(냉력 50).
또한,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이 증가된 상태(냉력 65)에서, 샘플링 시간 이후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재차 증사킬 수 있다(냉력 70).
이와 같이 샘플링 시간 간격 마다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고 냉기공급수단의 냉력을 조절함에 따라서, 저장실의 온도는 외부 요인의 영향이 없는 한 설정 온도에 수렴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인자의 종류가 다른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전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단계 S1 내지 단계 S4는 본 실시 예의 제어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냉장고가 온되면, 예비 운전을 수행한 후에 압축기를 정지시킨 후, 정온 제어 시작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저장실의 정온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정온 제어 시작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후술할 온도 만족 구간 내의 특정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온을 위한 제어 단계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5)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설정 온도와 현재의 저장실의 온도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한다(S15).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실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상한 기준값 또는 제1 하한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온도보다 제1 상한 기준값 만큼 높은 온도를 온도 상한(기준 온도 C1)이라할 수 있고, 상기 설정 온도보다 제1 하한 기준값 만큼 낮은 온도를 온도 하한(기준 온도 C2)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한 기준값과, 상기 제1 하한 기준값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한 기준값과 상기 제1 하한 기준값이 0.5로 설정되거나, 상기 제1 상한 기준값이 상기 제1 하한 기준값 보다 크거나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하한 기준값 또는 상기 제1 상하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현재 온도가 상기 온도 상한 보다 낮고 온도 하한 보다 높은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현재 온도가 상기 온도 상한 보다 낮고 온도 하한 보다 높은 경우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보다 높은 경우를 상기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상기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보다 낮은 경우를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온도 상한은 상기 온 기준 온도(A1) 보다 작고, 설정 온도 보다 높은 온도값이고, 상기 온도 하한은 상기 오프 기준 온도(A2) 보다 높고,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온도값이다.
상기 제어부(50)는, 현재 온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일정 시간은 온도 변화 추이를 판단하기 위한 샘플링 시간이다.
이때, 상기 샘플링 시간은 일정하거나, 현재 온도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되는 경우, 다음 번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샘플링 시간으로서, 제1샘플링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반면,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 외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다음 번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샘플링 시간으로서, 제1샘플링 시간 보다 길거나 짧은 제2샘플링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냉장고(1)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S7) 상기 정온 제어를 지속한다.
도 7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의 온도 변화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에는 일 예로 냉동실을 정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압축기의 냉력 변화 및 이에 따른 냉동실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고, 그래프 상의 숫자는 압축기의 냉력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냉기공급수단의 일 예로 압축기의 냉력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전원이 온되거나 또는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 상기 압축기(21)는 냉동실의 온도를 신속하게 하강시키기 위하여 최대 냉력으로 운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의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21)는 정지된다.
상기 압축기(21)가 정지되면, 상기 냉동실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Notch)에 도달하게 되면, 냉동실의 정온을 위한 제어가 시작된다.
상기 냉동실의 정온 제어가 시작되면, 이때, 상기 압축기(21)는 최소 냉력과 최대 냉력 사이의 미리 설정된 냉력으로 작동하게 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의 온도는 샘플링 시간 간격을 두고 감지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축기(21)가 60의 냉력으로 작동하는 중에 냉동실의 온도에 따라, 냉력이 유지되거나(냉력: 60), 감소(냉력: 55, 50)되거나 증가(냉력: 65)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의 절대값이 제1 상한 기준값 또는 제1 하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하한 기준값 보다는 크고, 제2 하한 기준값 보다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이 냉력이 제1레벨 만큼 감소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2 하한 기준값 보다는 크고, 제3 하한 기준값 보다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2레벨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3 하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3레벨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하한 기준값은 상기 제1 하한 기준값 보다 크고, 상기 제3 하한 기준값은 상기 제2 하한 기준값 보다 크다.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상한 기준값 보다는 크고, 제2 상한 기준값 보다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이 냉력이 제2레벨 만큼 증가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2 상한 기준값 보다는 크고, 제3 상한 기준값 보다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2레벨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3 상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제3레벨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레벨들 간의 차이값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A이고, 제2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2*A이며, 제3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3*A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A이고, 제2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2*A가 아닌 B(A 보다는 큰 값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3레벨은 냉력 변화 값이 3*A가 아닌 C(B 보는 큰 값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상한 기준값들 또는 복수의 하한 기준값들 간의 차이값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한 기준값은 0.5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상한 기준값은 1로 설정될 수 있고, 제3 상한 기준값은 1.5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상한 기준값은 0.5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상한 기준값은 0.9로 설정될 수 있고, 제3 상한 기준값은 1.3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이 감소된 상태(일 예로 냉력 60에서 냉력 55로 감소)에서, 샘플링 시간 이후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일 예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하한 기준값 보다 크고 제2 하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재차 감소시킬 수 있다(일 예로 냉력 55에서 냉력 50으로 감소).
또한,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이 증가된 상태(일 예로 냉력 45에서 냉력 50으로 증가)에서, 샘플링 시간 이후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일 예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2 상한 기준값 보다 크고 제3 상하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재차 증가킬 수 있다(일 예로 냉력 50에서 냉력 60으로 증가).
이와 같이 샘플링 시간 간격 마다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고 냉기공급수단의 냉력을 조절함에 따라서, 저장실의 온도는 외부 요인의 영향이 없는 한 설정 온도에 수렴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 들과 동일하고, 다만,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인자의 종류가 다른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전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단계 S1 내지 단계 S4는 본 실시 예의 제어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냉장고가 온되면, 예비 운전을 수행한 후에 냉기공급수단을 정지시킨 후, 정온 제어 시작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저장실의 정온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정온 제어 시작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온도 만족 구간 내의 특정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온을 위한 제어 단계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5)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정온 제어를 위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되,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저장실의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저장실의 온도 변화의 추이와, 제2실시 예에서 설명된 설정 온도와 현재의 저장실의 온도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한다(S16).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 및 제2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를 동일하게 사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저장실의 온도 변화의 추이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을 이용한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변화 추이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값에 기초한다. 따라서, 상기 일정 시간은 온도 변화 추이를 판단하기 위한 샘플링 시간이다.
이러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인자(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 제2인자(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은 감소되거나, 현재 상태로 유지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하고,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한 후에,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킨다.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킨다.
제1인자 및 제2인자 각각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킨다.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킨다.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킨다.
제1인자 및 제2인자 각각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킨다.
제1인자 및 제2인자 각각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킨다.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 및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 및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결정된 이후에, 결정된 출력이 샘플링 시간 동안 유지되고, 샘플링 시간이 경과되면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재차 결정된다. 즉, 샘플링 시간 간격 마다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샘플링 시간 동안에는 결정된 출력으로 냉기공급수단이 작동되도록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는 냉장고(1)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S7) 상기 정온 제어를 지속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고의 운전은, 일반 제어 운전과 정온 제어 운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운전이 일반 제어 운전에 해당한다. 상기 정온 제어 운전은 상기 제1인자 및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운전이고, 상기 정온 제어 운전은 상기 제1인자와 제2인자에 기초하지 않고(상기 제1인자 및 제2인자와 무관하게)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운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정온 제어를 위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제어방법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제3실시 예에 따른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정온 제어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은 최소 출력과 최대 출력 사이의 미리 결정된 출력으로(이하 "초기 출력"이라 함)으로 설정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저장실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상태에서 정온 제어를 위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초기 출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압축기 및 팬 구동부가 초기 출력으로 동작하고, 상기 댐퍼(12)가 0보다 큰 초기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초기 출력으로 작동하는 중에 샘플링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온도센서(41, 42)에서 저장실의 온도가 감지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50)는, 이전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41, 42)에서 감지된 저장실의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51). 여기서, 정온 제어의 초기에는 이전 온도는 설정 온도일 것이다.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보다 큰 경우에는 저장실의 온도가 하강하고 있는 경우이다.
단계 S51에서 판단 결과,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52).
단계 S52에서 판단 결과,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50)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53).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가 0보다 작은 경우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높은 경우이고,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온도와 설정 온도가 동일하거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낮은 경우이다.
단계 S53에서 판단 결과,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4).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단위 온도 보다 작은 경우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와 근접한 온도인 경우이다.
단계 S54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52)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53 및 S54)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55).
반면, 단계 S54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임),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52)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53 및 S54)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56).
이때, 상기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과 복수의 상한 기준값을 비교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증가량이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상한 기준값 보다는 크고, 제2 상한 기준값 보다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제1레벨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2 상한 기준값 보다는 크고, 제3 상한 기준값 보다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제2레벨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3 상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제3레벨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단계 S53에서 판단 결과,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1).
단계 S61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52)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53 및 S61)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62).
반면, 단계 S61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임),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52)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53 및 S61)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63).
이때, 상기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과 복수의 하한 기준값을 비교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감소량이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 하한 기준값 보다는 크고, 제2 하한 기준값 보다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제1레벨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2 하한 기준값 보다는 크고, 제3 하한 기준값 보다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제2레벨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3 하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제3레벨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52에서 판단 결과,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50)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1).
단계 S71에서 판단 결과,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크기에 따라서(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임)에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감소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52)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71)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72).
반면, 단계 S71에서 판단 결과,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3).
단계 S73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52)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71 및 S73)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74).
반면,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임),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52)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71 및 S73)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거나,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S75).
예를 들어,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감소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크기와,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증가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유지,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감소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과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증가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감소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증가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감소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증가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1에서 판단 결과,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O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1).
여기서,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가 0 이하인 경우는 저장실의 온도가 샘플링 시간 동안 유지되거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이다.
단계 S81에서 판단 결과,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82).
단계 S82에서 판단 결과,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3).
단계 S83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기초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81)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82 및 S83)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84).
반면, 단계 S83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는(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되는 경우임),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기초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81)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82 및 S83)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85).
한편, 단계 S82에서 판단 결과,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6).
단계 S86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기초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81)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82 및 S86)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85).
반면, 단계 S86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현재 온도가 온도 상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임),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기초한 판단 결과로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과 복수의 기준값의 비교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증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81)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82 및 S86)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88).
한편, 단계 S81에서 판단 결과,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1).
단계 S91에서 판단 결과,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50)는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
단계 S92에서 판단 결과,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81)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91 및 S92)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93).
반면, 현재 온도가 온도 만족 구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현재 온도가 온도 하한 초과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임), 상기 제어부(50)는 제2인자에 대한 판단 결과로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81)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91 및 S92)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거나,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S94).
예를 들어,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증가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크기와,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감소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유지,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증가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과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감소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증가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감소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증가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감소되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91에서 판단 결과,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의 크기에 따라서,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로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과 복수의 기준값의 비교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증가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S51 및 S52) 및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S91)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현재의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95).
도 13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의 온도 변화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에는 일 예로 냉동실을 정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압축기의 냉력 변화 및 이에 따른 냉동실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면, 그래프 상의 숫자는 압축기의 냉력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전원이 온되거나 또는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 상기 압축기(21)는 냉동실의 온도를 신속하게 하강시키기 위하여 최대 냉력으로 운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의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21)는 정지된다.
상기 압축기(21)가 정지되면, 상기 냉동실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Notch)에 도달하게 되면, 냉동실의 정온을 위한 제어가 시작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의 온도는 샘플링 시간 간격을 두고 감지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제1인자 및 제2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축기(21)가 60의 냉력으로 작동하는 중에 냉동실의 온도에 따라, 냉력이 유지되거나(냉력: 60), 감소(냉력: 55, 45, 40, 35)되거나 증가(냉력: 70, 65)될 수 있다.
이때, 냉장고 도어가 열려 저장실의 온도가 증가되는 경우이거나, 저장실로 음식물이 추가로 인입되는 경우, 저장실이 과열되어 저장실의 온도가 온 기준 온도(A1)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신속하게 하강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1출력값, 일 예로 최대 출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냉장고의 도어가 열렸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도어 열림이 감지된 후에, 저장실의 온도가 기준 온도(A1) 이상이 되면, 상기 샘플링 시간 동안 또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온도 만족 구간 내의 특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미리 결정된 제1출력값, 일 예로 최대 출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제1출력값 보다 낮은 제2출력값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샘플링 시간 간격 마다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고 냉기공급수단의 냉력을 조절함에 따라서, 저장실의 온도는 외부 요인의 영향이 없는 한 설정 온도에 수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근접한 상태에서 유지되기 위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은 출력 조절 과정을 거쳐 특정 출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저장실의 온도가 일정하기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보관 기간이 늘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저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이 과냉되거나 시드는 현상이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실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냉기공급수단이 정지하지 않고 구동 상태를 유지(연속 운전)하므로, 냉기공급수단의 초기 기동에 따른 소비 전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므로, 저장실의 온도가 정온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 신속하게 정온 상태로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냉장고 11: 캐비닛
111: 냉동실 112: 냉장실
12: 댐퍼 13: 댐퍼 구동부
21: 압축기 25: 팬 구동부
26: 팬 50: 제어부

Claims (17)

  1.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에, 미리 설정된 제1출력값으로 제어부가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단계;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출력값 보다 낮은 제2출력값으로 작동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A1) 보다 낮고 상기 설정 온도 보다 높은 온도 상한(C1)과, 상기 설정 온도 보다 낮고 상기 오프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 하한(C2) 사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저장실의 현재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이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는 상기 설정 온도인 냉장고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와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고,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한 후에, 제1인자 및 제2인자에 의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설정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 온도의 차이값 및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최종적으로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 및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는,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이하이고,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인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경우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0 보다 크면서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이 제1 하한 기준값 이상인 경우인 냉장고.
  8.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냉장고의 운전은, 정온 제어 운전과 일반 제어 운전을 포함하고,
    상기 정온 제어 운전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와,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운전이고,
    상기 일반 제어 운전은, 상기 제1인자와 상기 제2인자와 무관하게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운전인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 제어 운전 수행전에 상기 일반 제어 운전이 수행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 제어 운전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고,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한 후에, 제1인자 및 제2인자에 의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제어 운전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미리 설정된 출력값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오프 기준 온도(A2)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정지시키고,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다시 작동시키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제어 운전은, 냉장고의 전원이 온되거나,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에 수행되는 냉장고.
  13.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기공급수단;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저장실의 온도의 증감인 제1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하고,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값인 제2인자에 기초하여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결정한 후에, 상기 제1인자에 의해서 결정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2인자에 의해서 결정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의 증가, 유지 또는 감소 여부를 결정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증가되거나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는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증가되거나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일정 시간 동작 작동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는 냉장고.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와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가 동일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냉장고.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한 결과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감소되는 출력의 크기와 상기 제2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된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가 동일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냉장고.
KR1020210190979A 2017-07-05 2021-12-29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2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979A KR102529103B1 (ko) 2017-07-05 2021-12-29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555A KR102346550B1 (ko) 2017-07-05 2017-07-05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210190979A KR102529103B1 (ko) 2017-07-05 2021-12-29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555A Division KR102346550B1 (ko) 2017-07-05 2017-07-05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39A true KR20220002839A (ko) 2022-01-07
KR102529103B1 KR102529103B1 (ko) 2023-05-08

Family

ID=649511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555A KR102346550B1 (ko) 2017-07-05 2017-07-05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210190979A KR102529103B1 (ko) 2017-07-05 2021-12-29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555A KR102346550B1 (ko) 2017-07-05 2017-07-05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62135B2 (ko)
EP (1) EP3649416B1 (ko)
KR (2) KR102346550B1 (ko)
CN (1) CN110832262A (ko)
AU (2) AU2018295869B2 (ko)
RU (1) RU2744558C1 (ko)
WO (1) WO2019009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93B1 (ko) 2017-07-05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50118A (ko) * 2019-10-28 2021-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60914A (ko) * 2019-11-19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63495A (ko) * 2020-11-10 202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14562846A (zh) * 2020-11-27 2022-05-3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设备的控制方法与冷藏冷冻设备
KR20220084713A (ko) * 2020-12-14 202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74B1 (ko) * 2006-10-11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팬 모터 운전제어장치
KR20160125060A (ko) * 2015-04-21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705528B1 (ko) * 2010-07-29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20170071301A (ko)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70087440A (ko) * 2017-07-19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109A (ja) 1982-11-29 1984-06-11 東芝熱器具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
JPH0814452B2 (ja) 1985-03-04 1996-0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の温度制御方式
KR100189103B1 (ko) 1995-10-20 1999-06-01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US5907953A (en) 1996-04-29 1999-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ing velocity control of rotary blade
KR100187197B1 (ko) 1996-12-16 1999-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08018B1 (ko) 1997-07-11 1999-07-15 윤종용 냉장고용 압축기 제어 방법
JP3398022B2 (ja) 1997-09-16 2003-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凍冷蔵庫
KR100301501B1 (ko) * 1998-12-09 2001-09-22 구자홍 인버터냉장고의운전속도가변장치및방법
CN1273790A (zh) 1999-05-13 2000-11-22 陕西宴友思股份有限公司 无臭水晶蒜
JP2002318067A (ja) 2001-04-20 2002-10-31 Hitachi Ltd 冷蔵庫
US7490480B2 (en) * 2003-03-14 2009-02-17 Maytag Corporation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CN100483049C (zh) 2003-10-20 2009-04-29 星崎电机株式会社 冷却储藏库
JP2005140414A (ja) 2003-11-06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冷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2005164192A (ja) 2003-12-05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の制御装置
ITTO20030991A1 (it) * 2003-12-11 2005-06-12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Apparecchio refrigerante.
KR20050082330A (ko) 2004-02-18 2005-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CN1273790C (zh) * 2004-07-30 2006-09-06 海信集团有限公司 变频冰箱模糊控制方法
US8181472B2 (en) * 2005-03-17 2012-05-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Electronic refrigeration control system
JP5027443B2 (ja) * 2006-05-19 2012-09-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KR100756712B1 (ko) 2006-09-14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과냉각 해제를 판단하는 방법
JP4468337B2 (ja) 2006-09-15 2010-05-2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の半ドア判定方法
KR100850957B1 (ko) * 2007-04-03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5405009B2 (ja) 2007-09-06 2014-02-0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の庫内温度制御装置
KR101208551B1 (ko) 2009-11-30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또는 정수기의 디스펜서
JP5579556B2 (ja) 2010-09-28 2014-08-27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US9377238B2 (en) 2013-03-14 2016-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JP6355325B2 (ja) 2013-12-16 2018-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の制御方法
CN105222516A (zh) 2015-10-29 2016-01-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EP3392583B1 (en) 2015-12-15 2022-05-11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74B1 (ko) * 2006-10-11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팬 모터 운전제어장치
KR101705528B1 (ko) * 2010-07-29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20160125060A (ko) * 2015-04-21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1301A (ko)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70087440A (ko) * 2017-07-19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9416A1 (en) 2020-05-13
RU2744558C1 (ru) 2021-03-11
KR102529103B1 (ko) 2023-05-08
AU2021273649B2 (en) 2023-12-14
US11662135B2 (en) 2023-05-30
EP3649416B1 (en) 2023-05-10
CN110832262A (zh) 2020-02-21
KR102346550B1 (ko) 2022-01-04
EP3649416A4 (en) 2021-04-07
US20200149798A1 (en) 2020-05-14
KR20190005032A (ko) 2019-01-15
WO2019009642A1 (en) 2019-01-10
AU2021273649A1 (en) 2021-12-16
AU2018295869A1 (en) 2020-02-06
AU2018295869B2 (en)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550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145799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659139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11885547B2 (en) Refrigerator having a cold air supply mea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AU202220048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1301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082221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AU202220091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63495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61753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60914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09761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