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754U - Fuctional cap with a scarf - Google Patents

Fuctional cap with a scar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754U
KR20220002754U KR2020210001523U KR20210001523U KR20220002754U KR 20220002754 U KR20220002754 U KR 20220002754U KR 2020210001523 U KR2020210001523 U KR 2020210001523U KR 20210001523 U KR20210001523 U KR 20210001523U KR 20220002754 U KR20220002754 U KR 202200027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rf
hat
crown
wearer
endoth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5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6672Y1 (en
Inventor
안준희
Original Assignee
안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희 filed Critical 안준희
Priority to KR2020210001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72Y1/en
Publication of KR20220002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5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7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자에 일체로 구비된 스카프가 가려짐이 없이 외부에서 스카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우천시 모자 및 스카프가 빗물에 젖지 않게 하고, 빗물이 모자의 차양을 타고 모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야간에 발광으로 착용자의 위치 식별이 가능하게 하되, 우천시 야광도료층이 빗물에 의해 오손되지 않도록 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햇볕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한 차양과 머리가 수용되는 크라운으로 모자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크라운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게 복수개의 스카프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스카프 삽입공에 스카프를 교호되게 삽입하고 빼내어 착용자의 전방측에 위치한 스카프의 양단부를 리본 형태로 묶어 모자몸체에 스카프가 일체로 장식될 수 있도록 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몸체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투명 비닐 재질의 내피와; 상기 내피의 차양부 단부 외측으로 접힌 상태로 구비되고, "V"자 형태로 하부측으로 잘라낸 노치를 중심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차양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확장절첩면과; 상기 내피의 크라운부 외측에 구비되고, 상부측이 상기 크라운부의 외측면에 접착 고정되며, 내면에 야광도료층을 갖는 투명 비닐 재질의 야광띠;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carf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hat to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while preventing the hat and scarf from getting wet in rainwater in case of rain, and preventing rainwa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at through the awning of the hat. It is related to a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that enables the wearer's location to be identified by light emission at night, but prevents the luminous paint layer from being contaminated by rainwater in case of rain,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n awning to cover the wearer's face from sunlight, etc. A hat body is composed of a crown that accommodates the head and a head, and a plurality of scarf insertion hole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rown, and scarves are alternately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scarf insertion holes to improve the wearer's A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in which both ends of a scarf located at a front side are tied in a ribbon form so that the scarf can be integrally decorated with a hat body, comprising: an inner skin made of transparent vinyl material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hat body; an extended folding surface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endothelium of the endothelium is folded to the outside and extended from the awning so as to be folded and unfolded around a notch cut downward in a "V" shape;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rown part of the endothelium, the upper side is adhesive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rown part, and a luminous band made of transparent vinyl material having a luminous paint layer on the inner surface.

Description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Fuctional cap with a scarf}Functional cap with a scarf}

본 고안은 본원인의 선출원한 바 있는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자에 일체로 구비된 스카프가 가려짐이 없이 외부에서 스카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우천시 모자 및 스카프가 빗물에 젖지 않게 하고, 빗물이 모자의 차양을 타고 모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야간에 발광으로 착용자의 위치 식별이 가능하게 하되, 우천시 야광도료층이 빗물에 의해 오손되지 않도록 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design of a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and more specifically, a hat and scarf integrally provided in a hat so that the scarf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and in case of rain prevents rainwater from getting wet, prevents rainwa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at through the awning of the hat, and enables the location of the wearer to be identified by light emission at night, but prevents the luminous paint layer from being damaged by rainwater in case of rain It is about a one-scarf integrated functional hat.

본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55호(2019.03.06.공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는 모자에 스카프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스카프 휴대의 간편성 및 분실의 위험성을 줄이고, 별도의 탈부착수단없이 스카프가 모자에 대한 결속력을 가져 모자의 단순성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가져오며, 기념일 행사에 관련한 스카프의 착용으로 행사의 기념을 홍보할 수 있고, 스카프의 색상이나 각종 디자인의 변화로 연출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볕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한 차양(11)과 머리가 수용되는 크라운(12)으로 모자몸체(1)를 구성하고, 크라운(12)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게 복수개의 스카프 삽입공(13)을 형성하여 상기 스카프 삽입공(13)에 스카프(2)를 교호되게 삽입하고 빼내어 착용자의 전방측에 위치한 스카프(2)의 양단부를 리본 형태로 묶어 모자몸체(1)에 스카프(2)가 일체로 장식 및 구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9-000055 (published on March 6, 2019), which was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allows the scarf to be integrated into the hat, so that the scarf is easy to carry and prevents loss. It reduces the risk, and the scarf has binding force to the hat without a separ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means, resulting in simplicity and cost reduction of the hat. As a change in desig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iversity of production, and the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S. 1 to 3, a sunshade 11 for covering the wearer's face from sunlight and the like, and a crown 12 in which the head is accommodated. The hat body 1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scarf insertion holes 13 symmetrically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rown 12, and the scarf 2 is inserted into the scarf insertion holes 13. are alternately inserted and taken out to tie both ends of the scarf 2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wearer in a ribbon form so that the scarf 2 can be integrally decorated and provided on the hat body 1.

이러한 종래의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기념일과 같은 특정행사의 야외에서 착용하고 모자의 스카프를 통해 알리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갑자기 비가 오면 속수무책으로 비를 맞을 수 밖에 없고, 스카프는 물론 모자 전체가 비에 젖어 착용의 불편함과 불쾌감을 갖게 한다. 또한 야간에는 착용자의 위치 식별이 어려워 야외활동의 불안전성을 초래함은 물론 별도의 발광장비를 휴대 및 구비함에 따른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se conventional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s are usually worn outdoors for specific events such as anniversaries and are mainly used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through the scarf of the hat. The entire hat gets wet in the rain, making it uncomfortable and unpleasant to wear.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wearer at night, causing instability in outdoor activities, as well as causing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in use due to carrying and equipping a separate light emitting device.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553호(2019.03.06.공개)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9-0000553 (published on March 6, 2019)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자에 일체로 구비된 스카프가 가려짐이 없이 외부에서 스카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우천시 모자 및 스카프가 빗물에 젖지 않게 하고, 빗물이 모자의 차양을 타고 모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야간에 발광으로 착용자의 위치 식별이 가능하게 하되, 우천시 야광도료층이 빗물에 의해 오손되지 않도록 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purpose is to enable the scarf integrally provided to the hat to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and to prevent the hat and scarf from rainwater in case of rain. A scarf that prevents rainwa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at through the awning of the hat, enables the location of the wearer to be identified by light-emitting at night, and prevents the luminous paint layer from being contaminated by rainwater in case of rain I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functional hat.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의 한 형태는, 햇볕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한 차양과 머리가 수용되는 크라운으로 모자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크라운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게 복수개의 스카프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스카프 삽입공에 스카프를 교호되게 삽입하고 빼내어 착용자의 전방측에 위치한 스카프의 양단부를 리본 형태로 묶어 모자몸체에 스카프가 일체로 장식될 수 있도록 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몸체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투명 비닐 재질의 내피와; 상기 내피의 차양부 단부 외측으로 접힌 상태로 구비되고, "V"자 형태로 하부측으로 잘라낸 노치를 중심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차양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확장절첩면과; 상기 내피의 크라운부 외측에 구비되고, 상부측이 상기 크라운부의 외측면에 접착 고정되며, 내면에 야광도료층을 갖는 투명 비닐 재질의 야광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form of a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hat body with an awning to cover the wearer's face from sunlight and a crown in which the head is accommodated,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crown is A plurality of scarf insertion holes are formed to achieve left and right symmetry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scarf, alternately inserting and removing scarves into the scarf insertion holes, and tying both ends of the scarf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wearer in the form of a ribbon so that the scarf is integrated into the hat body. A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that can be decorated with a transparent vinyl inner skin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hat body; an extended folding surface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endothelium of the endothelium is folded to the outside and extended from the awning so as to be folded and unfolded around a notch cut downward in a "V" shape; 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rown of the endothelium, the upper side is adhesive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rown, and the luminous band made of a transparent vinyl material having a luminous paint layer on the inn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자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투명 비닐 재질의 내피를 구비하여 우천시 모자에 씌우고 내피의 차양부 단부측에 연장 형성된 확장절첩면을 펼쳐 모자의 차양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모자에 일체로 구비된 스카프가 가려짐이 없이 외부에서 스카프를 식별함과 동시에 모자 및 스카프가 빗물에 젖지 않아 착용자로 하여금 보다 쾌척한 모자의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내피 외측에 내피와 동일한 재질의 야간띠를 부착하되, 상부가 내피의 크라운부에 접착 고정되고 야광도료층은 내피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우천시 야광도료층이 빗물에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우천시에도 야간에 착용자의 위치 식별이 가능해 야외 활동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vinyl inner skin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hat, covered on the hat in case of rain, and extending the extended folding surface formed at the end side of the visor of the inner shell to protrude outside the visor of the hat. The scarf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hat identifies the scarf from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hat and scarf do not get wet in the rain, so that the wearer can wear the hat more comfortabl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night band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endothelium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skin, but the upper part is adhesively fixed to the crown of the inner skin and the luminous paint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kin to prevent the luminous paint layer from being soiled by rainwater in case of rai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wearer at night even in rainy weather,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outdoor activities.

도 1 및 도 2는 본원인이 선출원한 종래의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를 촬영한 사진.
도 3은 도 2의 스카프 착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사용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4의 "B"부 사용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1 and 2 are photographs taken of a conventional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Figure 3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scarf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carf integrated functional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 portion of Figure 4;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 portion of Figure 4;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and therefore,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는 착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크라운(12)과 햇볕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는 차양(11)이 상.하로 일체로 형성된 모자몸체(1)로 구성되고, 크라운(1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복수개의 스카프 삽입공(13)이 좌.우 대칭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카프(2)를 스카프 삽입공(13)에 교호되게 삽입하고 빼내어 스카프(2)의 양단이 착용자의 전방측에 위치되게 한 후, 스카프(2)의 양단부를 리본 형태로 묶게 됨으로써 스카프(2)를 모자몸체(1)에 일체로 장식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is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consists of a hat body (1) integrally formed with a crown (12) that covers the wearer's head and a sunshade (11) that covers the wearer's face from sunlight, etc. A plurality of scarf insertion holes 13 along the circumference are left and right symmetrical and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addition, the scarf 2 is alternately inserted into the scarf insertion hole 13 and pulled out so that both ends of the scarf 2 ar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wearer, and then both ends of the scarf 2 are tied in a ribbon form to make the scarf 2 )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decorated and fixed to the hat body (1).

이를 위해 상기 스카프 삽입공(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몸체(1)의 좌측에 등간격으로 제1,2,3,4 삽입공(13)을 형성하고, 상기 제1,2,3,4 삽입공(13)에 대칭되게 모자몸체(1)의 우측에 제5,6,7,8 삽입공(13)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총 8개의 삽입공(13)을 형성한 것이다. 스카프(2)는 삽입공(13)에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접어 일측 단부를 크라운(12)의 외측에서 제1 삽입공(13a)을 통해 크라운(12)의 내측으로 빼내고, 다시 크라운(12) 내측의 스카프(2)를 제2 삽입공(13b)을 통해 크라운(12)의 외측으로 빼낸다.To this end, the scarf insertion hole 13 form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sertion holes 13 at equal intervals on the left side of the hat body 1, as shown in FIG. 5, 6, 7, 8 insertion holes 13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p body 1 symmetrically with the 3, 4 insertion holes 13, and a total of 8 insertion holes 13 are formed. will be. The scarf 2 is folded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3 and one end is taken out from the outside of the crown 12 to the inside of the crown 12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13a, and again the crown 12 ) Take the inner scarf 2 out of the crown 12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13b.

그리고, 크라운(12) 외측의 스카프(2)를 제3 삽입공(13c)을 통해 다시 크라운(12)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크라운(12) 내측의 스카프(2)를 제4 삽입공(13d)을 통해 크라운(12)의 외측으로 빼낸다. 그런 다음 다시 크라운(12) 외측의 스카프(2)를 제5 삽입공(13e)을 통해 크라운(12) 내측으로 삽입하고, 크라운(12) 내측의 스카프(2)를 제6 삽입공(13f)을 통해 크라운(12) 외측으로 빼낸다. 또한, 상기 제6 삽입공(13f)을 관통한 크라운(12) 외측의 스카프(2)를 제7 삽입공(13g)을 통해 삽입한 후, 다시 제8 삽입공(13h)을 통해 빼냄으로써 스카프(2)의 양단이 제1 삽입공(13a)과 제8 삽입공(13h)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각각의 스카프(2) 양단부를 리본 형태로 묶어 고정하는 것에 의해 스카프를 모자에 일체로 장식 및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scarf 2 outside the crown 1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rown 12 again through the third insertion hole 13c, and the scarf 2 inside the crown 12 is inserted into the fourth insertion hole 13d. ) to the outside of the crown 12. Then, the scarf 2 on the outside of the crown 1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rown 12 through the fifth insertion hole 13e, and the scarf 2 on the inside of the crown 12 is inserted through the sixth insertion hole 13f. Take out to the outside of the crown (12) through. In addition, the scarf 2 outside the crown 12 penetrating the sixth insertion hole 13f is inserted through the seventh insertion hole 13g and then taken out again through the eighth insertion hole 13h. Both ends of (2) are located outside the first insertion hole (13a) and the eighth insertion hole (13h), and the scarf is integrated into the hat by tying and fixing both ends of each scarf (2) in a ribbon form. It can be decorated and fixed with .

이러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에 있어,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 모자몸체(1)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가 우천시 모자몸체(1) 내부에서 빼내어 모자몸체(1)의 외부에 씌우게 됨으로써 빗물이 모자몸체(1)의 내부로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피(3)가 구비된다. 내피(3)는 모자몸체(1)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모자몸체(1)와 마찬가지로 크라운부(32)와 차양부(31)가 일체로 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내피(3)를 모자몸체(1) 외부에 씌웠을 때 외부에서 스카프(2)를 볼 수 있도록 내피(3)는 투명의 비닐 재질로 형성되고, 내피(3)의 차양부(31)는 단부측에 확장절첩면(34)을 더 포함한다.In such a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provided inside the hat body (1), and in case of rain, it is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hat body (1) and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hat body (1) As a result, an endothelial (3) is provided to prevent rainwater from permeating into the hat body (1). The inner skin 3 is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cap body 1,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rown portion 32 and the visor portion 31 are integrated as in the cap body 1. In addition, the endothelium 3 is made of a transparent vinyl material so that the scarf 2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when the endothelium 3 is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hat body 1, and the visor 31 of the endothelium 3 is It further includes an extended folding surface 34 on the end side.

확장절첩면(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부(31)의 상부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내피(3)를 모자몸체(1)의 외부에 씌운 후 바깥쪽으로 펼쳐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확장절첩면(34)은 "V"자 형태로 하부측으로 잘라낸 노치(33)에 의해 절첩이 가능해진다. 확장절첩면(34)을 펼치면 확장절첩면(34)이 모자몸체(1)의 차양(11) 앞쪽으로 돌출됨에 따라 내피(3)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모자몸체(1)의 차양(11)을 타고 모자몸체(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extended folding surface 34 remains folded to the upper side of the visor 31, and then the inner skin 3 is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hat body 1 and then spread outward for use. At this time, The extended folding surface 34 can be folded by a notch 33 cut downward in a "V" shape. When the extended folding surface 34 is unfolded, as the extended folding surface 34 protrudes to the front of the awning 11 of the hat body 1, rainwater flowing down on the inner skin 3 flows down the awning 11 of the hat body 1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into the cap body (1) riding on.

이와 함께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에 착용자의 위치 식별이 용이하도록 내피(3)의 크라운부(32) 외측에 야광띠(35)가 구비된다. 야광띠(35)는 크라운부(32)의 둘레 전체를 따라 부착되고, 상부만 접착부(35a)에 의해 크라운부(32)의 외측에 접착 고정되며, 내측면에 야광도료층(35b)이 형성되고, 야광도료층(35b)에 의한 발광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게 이역시 투명 비닐 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in the present invention, a luminous band 3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rown portion 32 of the inner skin 3 so that the wearer's location can be easily identified at night. The luminous band 35 is attach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rown part 32, and only the upper part is adhered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rown part 32 by the adhesive part 35a, and the luminous paint layer 35b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is is also formed of a transparent vinyl material so that light emission by the luminous paint layer 35b can be express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내피(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몸체(1)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내피(3)의 차양부(31) 단부측에 연장 형성된 확장절첩면(34)은 노치(33)의 상부측으로 접힌 상태가 된다. 모자몸체(1)의 통풍이 필요한 경우에는 내피(3)를 모자몸체(1) 내부에서 빼내어 별도로 휴대 및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비가 오면, 내피(3)를 모자몸체(1) 내부에서 빼내어 모자몸체(1)의 외부에 씌우고, 확장절첩면(34)을 노치(33)를 중심으로 펼쳐 모자몸체(1)의 차양(11) 앞쪽으로 돌출시킨다.The endothelium 3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side the hat body 1 as shown in FIG. 4 . At this time, the extended folding surface 34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visor 31 of the endothelium 3 is fold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notch 33. When ventilation of the cap body 1 is required, the endothelium 3 can be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p body 1 and carried and stored separately. In this state, when it rains, the inner skin (3) is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hat body (1) and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hat body (1), and the extended folding surface (34) is spread around the notch (33) to Protrude the awning (11) forward.

이렇게 하면 내피(3)가 투명 비닐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카프(2)가 내피(3)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외부에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이 내피(3)를 타고 크라운부(32)에서 차양부(31) 쪽으로 흐르고, 차양부(31) 쪽으로 흘러 내린 빗물은 내피(3)의 차양부(31)가 모자몸체(1)의 차양(11)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모자몸체(1)의 차양(11)를 타고 모자몸체(1) 내부로 유입되는 차단 및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피(3)의 차양부(31)를 타고 모자몸체(1)의 차양(11)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다시 하부측으로 절단된 노치(33)에 의해서 모자몸체(1)의 차양(11)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되지 않게 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빗물의 유입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inner skin (3) is formed of a transparent vinyl material, the scarf (2) is not covered by the inner skin (3) and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rainwater rides the inner skin (3) on the crown part (32). The rainwater that flows toward the visor 31 and flows down toward the visor 31 is the cap body 1 because the visor 31 of the inner skin 3 protrudes in front of the visor 11 of the cap body 1. It is possible to block and prevent inflow into the inside of the cap body (1) on the awning (11) of the cap. At this tim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visor 31 of the inner shell 3 to the visor 11 side of the cap body 1 is returned to the visor 11 side of the cap body 1 through the notch 33 cut to the lower side. By not being allowed to ent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lock and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more reliably.

한편, 야광띠(35)는 상부가 내피(3)의 크라운부(32)에 접착 고정되어 있어 상부를 통해 빗물이 야광띠(35)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부가 내피(3)의 크라운부(32)와 분리되어 있어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야광띠(35)를 뒤집어 야광도료층(35b)이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야간에 더 밝은 빛으로 착용자의 위치 식별이 가능해진다. 이는 야광띠(35)가 위로 접을 때 어느 정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투명 비닐 재질로 형성된 것에 기인하다.Meanwhile, the upper part of the luminous strip 35 is adhesively fixed to the crown part 32 of the endothelium 3 so that rainwater does not flow into the luminous band 35 through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crown part of the endothelium 3 Since it is separated from the part 32, on a day when it is not raining, the luminous strip 35 is turned over to expose the luminous paint layer 35b to the outside, so that the wearer's location can be identified with brighter light at night. This is because the luminous strip 35 is made of a transparent vinyl material that can maintain its state to some extent when folded upward.

이같이 본 고안은 모자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투명 비닐 재질의 내피를 구비하여 우천시 모자에 씌우고 내피의 차양부 단부측에 연장 형성된 확장절첩면을 펼쳐 모자의 차양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모자에 일체로 구비된 스카프가 가려짐이 없이 외부에서 스카프를 식별함과 동시에 모자 및 스카프가 빗물에 젖지 않아 착용자로 하여금 보다 쾌척한 모자의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내피 외측에 내피와 동일한 재질의 야간띠를 부착하되, 상부가 내피의 크라운부에 접착 고정되고 야광도료층은 내피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우천시 야광도료층이 빗물에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우천시에도 야간에 착용자의 위치 식별이 가능해 야외 활동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vinyl inner skin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hat, covered on the hat in case of rain, and extending the extended folding surface formed at the end side of the visor of the inner shell to protrude outside the visor of the hat. The scarf provided with is able to identify the scarf from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hat and scarf do not get wet in the rain, so that the wearer can wear the hat more comfortabl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night band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endothelium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skin, but the upper part is adhesively fixed to the crown of the inner skin and the luminous paint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kin to prevent the luminous paint layer from being soiled by rainwater in case of rai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wearer at night even in rainy weather, thereby securing safety in outdoor activities.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scarf integrated functional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bove, this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is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become limited In addition,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will be clear that this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모자몸체
11: 차양 12: 크라운
13: 스카프 삽입공 13a: 제1 삽입공
13b: 제2 삽입공 13c: 제3 삽입공
13d: 제4 삽입공 13e: 제5 삽입공
13f: 제6 삽입공 13g: 제7 삽입공
13f: 제8 삽입공
2: 스카프
3: 내피
31: 차양부 32: 크라운부
33: 노치(notch) 34: 확장절첩면
35: 야광띠 35a: 접착부
35b: 야광도료층
1: cap body
11: Awning 12: Crown
13: scarf insertion hole 13a: first insertion hole
13b: second insertion hole 13c: third insertion hole
13d: 4th insertion hole 13e: 5th insertion hole
13f: 6th insertion hole 13g: 7th insertion hole
13f: 8th insertion hole
2: scarf
3: endothelium
31: awning part 32: crown part
33: notch 34: extended folding surface
35: luminous band 35a: adhesive part
35b: luminous paint layer

Claims (1)

햇볕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한 차양(11)과 머리가 수용되는 크라운(12)으로 모자몸체(1)를 구성하고, 상기 크라운(12)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게 복수개의 스카프 삽입공(13)을 형성하여 상기 스카프 삽입공(13)에 스카프(2)를 교호되게 삽입하고 빼내어 착용자의 전방측에 위치한 스카프(2)의 양단부를 리본 형태로 묶어 모자몸체(1)에 스카프(2)가 일체로 장식될 수 있도록 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몸체(1)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투명 비닐 재질의 내피(3)와;
상기 내피(3)의 차양부(31) 단부 외측으로 접힌 상태로 구비되고, "V"자 형태로 하부측으로 잘라낸 노치(33)를 중심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차양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된 확장절첩면(34)과;
상기 내피(3)의 크라운부(32) 외측에 구비되고, 상부가 접착부(35a)에 의해 상기 크라운부(32)의 외측면에 접착 고정되며, 내면에 야광도료층(35b)을 갖는 투명 비닐 재질의 야광띠(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

The hat body (1) is composed of a sunshade (11) for covering the wearer's face from sunlight and a crown (12) for receiving the head, a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rown (12), left and right symmetry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 plurality of scarf insertion holes 13 are formed, and the scarf 2 is alternately inserted into and taken out of the scarf insertion holes 13, and both ends of the scarf 2 located on the wearer's front side are tied in a ribbon form to form a hat body 1 ) In the scarf integrated functional hat so that the scarf 2 can be integrally decorated,
an endothelium (3) made of a transparent vinyl material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cap body (1);
The endothelial portion 31 of the endothelium 3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folded to the outside and extended from the visor portion 31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around the notch 33 cut to the lower side in a "V" shape. Cheopmyeon 34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rown part 32 of the inner skin 3, the upper part is adhesive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rown part 32 by the adhesive part 35a, and the transparent vinyl having a luminous paint layer 35b on the inner surface. A scarf-integrated functional hat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luminous band (35) of a material.

KR2020210001523U 2021-05-14 2021-05-14 Fuctional cap with a scarf KR20049667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23U KR200496672Y1 (en) 2021-05-14 2021-05-14 Fuctional cap with a scar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23U KR200496672Y1 (en) 2021-05-14 2021-05-14 Fuctional cap with a scar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54U true KR20220002754U (en) 2022-11-22
KR200496672Y1 KR200496672Y1 (en) 2023-03-30

Family

ID=8423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523U KR200496672Y1 (en) 2021-05-14 2021-05-14 Fuctional cap with a scar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72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445Y1 (en) * 2003-01-14 2003-05-01 양재봉 The Umbrella of hat for multipurpose
CN2638469Y (en) * 2003-06-06 2004-09-08 刘郑华 Brim of rain cape
KR20190000553U (en) 2017-08-23 2019-03-06 안준희 Fuctional cap with a scar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445Y1 (en) * 2003-01-14 2003-05-01 양재봉 The Umbrella of hat for multipurpose
CN2638469Y (en) * 2003-06-06 2004-09-08 刘郑华 Brim of rain cape
KR20190000553U (en) 2017-08-23 2019-03-06 안준희 Fuctional cap with a scar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672Y1 (en)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672Y1 (en) Fuctional cap with a scarf
US20100294301A1 (en) Hair retaining device
JP3125153U (en) hat
JP3110940U (en) hat
KR200456313Y1 (en) Cap having a hiden rear neck cover with hiden connecting parts thereof
KR101394554B1 (en) A cap of raincoat
US8621667B2 (en) Visored cloth headgear
KR200462392Y1 (en) Cap having a mask
JP3114996U (en) hat
KR200399101Y1 (en) Sunlight interception device which is used a cap
KR100280152B1 (en) Sunshade composed of shades and towels
WO2015147579A1 (en) Towel connected to cap
KR20080110707A (en) Sunvisor for a cap and hat with improved function
JP3202931U (en) Sun hat
CN211431124U (en) Novel rain-shielding device
KR200451660Y1 (en) Suncap
KR20190000553U (en) Fuctional cap with a scarf
JP3132834U (en) Hat with connecting part
JP3237790U (en) Rainwear
CN205567948U (en) Multifunctional cap
KR20150131848A (en) Towel combined Hat
JPS639533Y2 (en)
KR100455446B1 (en) Top knot hat
JP3123295U (en) Head covering
CN209846232U (en) Multifunctional h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