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598U - 조명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598U
KR20220002598U KR2020210002226U KR20210002226U KR20220002598U KR 20220002598 U KR20220002598 U KR 20220002598U KR 2020210002226 U KR2020210002226 U KR 2020210002226U KR 20210002226 U KR20210002226 U KR 20210002226U KR 20220002598 U KR20220002598 U KR 202200025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wall
disposed
device assembly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995Y1 (ko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ublication of KR20220002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21V33/0016Furnishing for windows and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는,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벽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레일 구역, 상기 레일 구역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조명 구역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조명 구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벽면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 어셈블리{LIGHTING DEVICE ASSEMBLY}
본 고안은, 조명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벽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의 실내에는 벽걸이형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벽면과 천장의 경계에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실내공간의 천장면과 벽면의 경계부를 따라 저면의 중심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채널(Channel)형태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별도의 장착부재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액자나 그림 등 벽걸이형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액자나 그림 등의 벽걸이형 패널에 대한 인테리어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조명등을 설치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액자나 그림의 장착위치에 해당되는 벽면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다수의 조명램프를 별도로 설치한 후 액자나 그림의 전면을 조명하거나, 또는 액자나 그림의 뒤쪽 내부에 형광등과 같은 별도의 램프를 설치하여 액자나 그림의 뒤쪽으로부터 조명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조명장치는 액자나 그림을 향해 조사되도록 특정 각도로 설치되어야 하고, 한번 설치하고 나면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는 천장에 매립하는 구조로 교체나 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명 유닛 및 안정기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조명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는,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벽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레일 구역, 상기 레일 구역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조명 구역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조명 구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벽면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역과 상기 조명 구역 사이에 배치되는 안정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정기 구역에는 상기 조명 유닛에 전원을 제공하는 안정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조명 구역에 결합되고 내측에 광원이 배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상기 벽면을 향하도록 굴절시키는 출사 굴절면이 형성되는 옵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사 굴절면은 수직 방향의 기준선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 마주하는 제1 굴절면과 제2 굴절면을 포함하는 단위 굴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절면은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벽면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굴절면은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벽면으로 멀어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굴절면이 상기 기준선과 이루는 제2 각도는 상기 제1 굴절면이 상기 기준선과 이루는 제1 각도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2배 내지 2.5배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구역을 이루는 벽체의 일측에는 내측에 암 전원 단자가 배치되는 조명 설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수 전원 단자가 배치되는 단자 돌기 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단자 돌기 부재가 상기 조명 설치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암 전원 단자 및 상기 수 전원 단자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 돌기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정기 구역을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부재의 단부에는 걸림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 부재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안정기 구역을 형성하는 벽체에 형성되는 걸림 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정기 구역을 폐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벽면과 상기 천장의 경계부에서, 상기 벽면과 인접한 상기 천장의 일부 영역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우물부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의 상기 우물부와 인접한 영역을 마감하는 몰딩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의 설치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과 일체로 구비되는 조명 유닛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정기 구역을 개폐 가능한 도어 부재를 구비하여 안정기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가 벽면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틱 부재의 출사 굴절면을 통해 빛이 굴절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틱 부재를 통해 벽면을 향해 굴절된 빛이 조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에서 조명 유닛이 하우징의 조명 구역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에서 조명 유닛의 수 전원 단자와 하우징의 암 조명 단자가 결합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재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설명하고,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폭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가 벽면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틱 부재(155)의 출사 굴절면을 통해 빛이 굴절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틱 부재(155)를 통해 벽면을 향해 굴절된 빛이 조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에서 조명 유닛(150)이 하우징(110)의 조명 구역(113)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어셈블리에서 조명 유닛(150)의 수 전원 단자와 하우징(110)의 암 조명 단자가 결합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재(1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는, 실내의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분에 설치되어 벽면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10) 및 조명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벽면과 인접한 상기 천장의 일부 영역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우물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천장의 상기 우물부와 인접한 영역을 마감하는 몰딩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벽면과 천장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천장에만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우징(110)은 벽면과 천장의 경계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대체로 횡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는 3개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벽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레일 구역(111), 상기 레일 구역(111)과 수평하게 이격 배치되는 조명 구역(113) 및 상기 레일 구역(111)과 상기 조명 구역(113) 사이에 배치되는 안정기(400) 구역(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일 구역(111)은 하우징(110)의 3개의 구역 중에서 가장 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단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중앙부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 홈(111a)과 레일 홈(111a)의 폭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는 레일 턱(1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레일에는 별도의 장착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그림이나 액자와 같은 벽걸이 패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을 이용해 설치되는 벽걸이 패널은 벽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이러한 벽걸이 패널을 위한 조명이 필요할 수 있다.
조명 구역(113)은 후술하는 조명 유닛(150)이 설치되기 위한 구역으로, 레일 구역(111)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구역(113)은 하우징(110)의 3개의 구역 중에서 벽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조명 구역(113)은 내부에 조명 유닛(15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공간은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벽체(113a)로 구획될 수 있다. 조명 구역(113)을 구획하는 벽체(113a)는 하우징(110)의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조명 구역(113)의 내부 공간에는 조명 유닛(150)이 수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 구역(113)을 이루는 벽체(113a)의 일측에는 내측에 암 전원 단자(181)가 배치되는 조명 설치 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암 전원 단자(181)는 후술하는 안정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 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 설치 홈(161)은 조명 구역(113)을 구획하도록 폭 방향으로 양 측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설치 홈(161)에는 조명 유닛(150)의 케이스(151)에 형성되는 단자 돌기 부재(185)가 결합될 수 있다.
안정기(400) 구역(115)은 레일 구역(111)과 조명 구역(1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정기(400) 구역(115)을 구획하는 벽체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정기(400) 구역(115)을 구획하는 한 쌍의 벽체는 각각 레일 구역(111)을 이루는 벽체 및 조명 구역(113)을 이루는 벽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안정기 구역(115)를 구획하는 한 쌍의 벽체 중에서 레일 구역(111)과 가깝게 배치되는 벽체를 일 측의 벽체(115a)로 설명할 수 있다. 안정기(400) 구역(115)의 내부에는 조명 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4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정기(400) 구역(115)은 안정기(400)가 설치되기 위해 입구가 아래쪽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입구를 덮기 위한 도어 부재(17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 부재(170)는 안정기(400) 구역(115)의 하부에 안정기(400) 구역(115)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 부재(170)의 폭방향 일단부는 안정기(400) 구역(115)을 이루는 일 측 벽체(115a)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 부재(170)의 폭방향 타단부에는 걸림 돌기(175)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걸림 돌기(175)가 상술한 안정기(400) 구역(115)을 형성하는 벽체에 형성되는 걸림 홈(178)에 걸림으로써 안정기(400) 구역(115)이 폐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2과 같은 천장의 우물부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경우 우물부와 인접한 천장을 마감하는 몰딩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유닛(150)은 안정기(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벽면을 향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 유닛(150)은 상술한 하우징(110)의 조명 구역(113)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조명 유닛(1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조명 구역(11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 유닛(150)은 조명 구역(113)에 결합되고 내측에 광원(157)이 배치되는 케이스(151) 및 상기 케이스(15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157)으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상기 벽면을 향하도록 굴절시키는 출사 굴절면이 형성되는 옵틱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51)의 내측의 상단부에는 안정기(4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광원(157)이 배치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광원(157)은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광원(157)이 케이스(151)의 상단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광원(157)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케이스(151)의 외측에는 단자 돌기 부재(18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돌기 부재(185)가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조명 설치 홈(161)에 결함됨으로써 조명 구역(113)에 조명 유닛(150)이 설치될 수 있다. 단자 돌기 부재(185)에는 수 전원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51)의 단자 돌기 부재(185)가 조명 설치 홈(161)에 결합되면, 단자 돌기 부재(185)의 수 전원 단자가 조명 설치 홈(161)에 구비되는 암 전원 단자(181)와 접촉됨으로써 광원(157)과 안정기(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조명 유닛(150)이 조명 구역(11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명 구역(113)을 이루는 벽체가 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케이스(151)의 단자 돌기 부재(185)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벽체가 외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자 돌기 부재(185)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통해 케이스(151)의 외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지지됨으로써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케이스(151)의 하부에는 옵틱 부재(155)가 결합될 수 있다. 옵틱 부재(155)는 광원(157)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옵틱 부재(155)는 케이스(151)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157)으로부터 방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벽면을 향해 조사되도록 굴절시킬 수 있다.
옵틱 부재(1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빛의 진행 방향을 벽면을 향하도록 굴절시키기 위한 출사 굴절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사 굴절면은 수직 방향의 기준선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 마주하는 제1 굴절면(156a)과 제2 굴절면(156b)을 포함하는 단위 굴절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굴절부(156)는 출사 굴절면의 전체 면적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굴절면(156a)은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벽면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굴절면(156b)은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벽면으로 멀어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굴절면(156b)이 상기 기준선과 이루는 제2 각도(θ2)는 상기 제1 굴절면(156a)이 상기 기준선과 이루는 제1 각도(θ1)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원(157)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옵틱 부재(155)의 입사면에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고, 수직 방향으로 입사된 빛이 출사 굴절면의 제2 굴절면(156b)을 통과하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이때 벽면을 향해 굴절되는 빛의 각도는 제2 굴절면(156b)의 각도 변경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굴절면(156b)의 제2 각도(θ2)는 제1 굴절면(156a)의 제1 각도(θ1)의 2배 내지 2.5배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조사하고자 하는 벽면의 영역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는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의 설치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과 일체로 구비되는 조명 유닛(15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또한 안정기(400) 구역(115)을 개폐 가능한 도어 부재(170)를 구비하여 안정기(40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1: 레일 구역
111a: 레일 홈
111b: 레일 턱
113: 조명 구역
115: 안정기 구역
150: 조명 유닛
151: 케이스
155: 옵틱 부재
156: 단위
156a: 제1 굴절면
156b: 제2 굴절면
157: 광원
161: 조명 설치 홈
170: 도어 부재
175: 걸림 돌기
178: 걸림 홈
181: 암 전원 단자
185: 단자 돌기 부재
400: 안정기

Claims (10)

  1. 벽면과 천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벽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레일 구역, 상기 레일 구역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조명 구역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조명 구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벽면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2.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역과 상기 조명 구역 사이에 배치되는 안정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정기 구역에는 상기 조명 유닛에 전원을 제공하는 안정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조명 구역에 결합되고 내측에 광원이 배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상기 벽면을 향하도록 굴절시키는 출사 굴절면이 형성되는 옵틱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 굴절면은 수직 방향의 기준선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 마주하는 제1 굴절면과 제2 굴절면을 포함하는 단위 굴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절면은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벽면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굴절면은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벽면으로 멀어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굴절면이 상기 기준선과 이루는 제2 각도는 상기 제1 굴절면이 상기 기준선과 이루는 제1 각도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2배 내지 2.5배의 크기로 형성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구역을 이루는 벽체의 일측에는 내측에 암 전원 단자가 배치되는 조명 설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수 전원 단자가 배치되는 단자 돌기 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단자 돌기 부재가 상기 조명 설치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암 전원 단자 및 상기 수 전원 단자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돌기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 구역을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재의 단부에는 걸림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 부재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안정기 구역을 형성하는 벽체에 형성되는 걸림 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정기 구역을 폐쇄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벽면과 상기 천장의 경계부에서, 상기 벽면과 인접한 상기 천장의 일부 영역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우물부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의 상기 우물부와 인접한 영역을 마감하는 몰딩과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장치 어셈블리.

KR2020210002226U 2021-04-22 2021-07-14 조명장치 어셈블리 KR2004969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1264 2021-04-22
KR2020210001264 2021-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98U true KR20220002598U (ko) 2022-10-31
KR200496995Y1 KR200496995Y1 (ko) 2023-06-30

Family

ID=8379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226U KR200496995Y1 (ko) 2021-04-22 2021-07-14 조명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9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667A (ja) * 1997-05-16 1998-12-04 Nakano Refrigerators Co Ltd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200391694Y1 (ko) * 2005-05-04 2005-08-08 홍사준 그림걸이 및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장마감 몰딩
JP2006024521A (ja) * 2004-07-09 2006-01-26 Daiko Electric Co Ltd ダウンライト
KR20130003394U (ko) * 2011-11-30 2013-06-10 박현용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장마감 몰딩
KR20160105056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린노 간접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667A (ja) * 1997-05-16 1998-12-04 Nakano Refrigerators Co Ltd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6024521A (ja) * 2004-07-09 2006-01-26 Daiko Electric Co Ltd ダウンライト
KR200391694Y1 (ko) * 2005-05-04 2005-08-08 홍사준 그림걸이 및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장마감 몰딩
KR20130003394U (ko) * 2011-11-30 2013-06-10 박현용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장마감 몰딩
KR20160105056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린노 간접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995Y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7061B2 (en) Showcase
KR100948820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US10539737B2 (en) Lighting fixture with end plate slots and elongated heat sinks for retaining an edge-lit optical device
JP5495815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US20120268922A1 (en) Illumination device
KR20220002598U (ko) 조명장치 어셈블리
KR200491220Y1 (ko) 조명기구
KR20210141118A (ko) 선형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거울
CN108413314B (zh) 线性灯及其安装方法
KR200326940Y1 (ko) 엘리베이터의 송풍로 겸용 간접조명장치
KR101713963B1 (ko) 간접 조명장치
JP5810322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102037590B1 (ko) 조립식 화장실 조명장치
KR101244937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90090529A (ko) 조립식 화장실
JP7373786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用埋込箱
WO2011132459A1 (ja) 照明装置の取り付け構造
US10234102B2 (en) Illuminating instrument
KR101841207B1 (ko) 엘이디 조명기구 조립체
KR100769486B1 (ko) 천정 매입형 등기구 갓
KR20090001580U (ko) 덕트형 등기구
KR0121632Y1 (ko) 연속취부형 조명기구
KR20100107279A (ko) 박형 엘이디 조명 기구
KR20090001377U (ko) 천정매립형 등
KR100874824B1 (ko) 독립 건축물의 자연 채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